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38757B1 -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757B1
KR102438757B1 KR1020210054476A KR20210054476A KR102438757B1 KR 102438757 B1 KR102438757 B1 KR 102438757B1 KR 1020210054476 A KR1020210054476 A KR 1020210054476A KR 20210054476 A KR20210054476 A KR 20210054476A KR 102438757 B1 KR102438757 B1 KR 10243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afety
unit
work
work per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성욱
최영호
김준기
준 이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S)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정보를 송ㆍ수신하는 정보 처리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장치와 정보를 송ㆍ수신하여 기록하는 정보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작업별 작업허가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작업허가부;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작업별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제공하는 위험성 평가부; 기술인에 대한 안전교육 이력 정보와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기술인별 요구되는 안전교육 정보를 제공하는 안전교육 관리부;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기술인의 현장 입문을 승인하고, 입ㆍ출문 정보를 제공하는 입ㆍ출문 관리부; 및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작업별 안전자료 및 점검사항을 제공하는 TBM 지원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서지기반의 현장 관리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 단말과 IoT 장치를 활용하여 현장의 대부분의 활동을 데이타화함으로써 자동화된 현장 관리가 가능해지며, 건설 현장의 모든 활동이 정보 처리장치의 작업허가부의 액티비티를 중심으로 데이타화되어 정보저장 장치에 저장됨으로써 향후 위험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Smart Safety Platform}
본 발명은 정보를 송ㆍ수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정보 처리장치 및 정보 저장장치가 상호 작용하는 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작업별 작업허가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허가서를 기초로 작업별 위험등급을 평가하고, 기술인에 대한 안전교육 이력 정보와 요구되는 안전교육 정보를 제공하며, 기술인의 현장 입문을 승인하고, 입ㆍ출문 정보를 제공하며, 작업별 안전자료 및 점검사항을 제공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전체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은 다수의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는 특성상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인력과 장비에 대한 효율적 관리는 시공 경제성으로 직결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설 현장에서는 인력 점검을 위하여 전/중/후 시점별 체크 시트를 작성하여 작업허가서상의 출력 현황과 대조하였으며, 장비점검에 많은 대기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작업별로 위험성 평가표와 작업 현황판을 작성하여 현장에 직접 비치하였으며, 일련의 관리 작업들이 문서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지 작성, 승인, 출력, 비치 등에 많은 시간과 간접 인력이 소모되는 비효율이 있었다.
또한, 건설 현장의 안전을 위하여 주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형식적인 교육이 대부분이어서 작업별로 요구되는 실질적인 교육이 제공되지 못하거나, 안전 교육의 이수 여부를 엄격하게 관리하지 않음에 따라 안전사고의 예방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나아가, 건설 현장은 종종 예상치 못한 돌발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작업자의 위치나 경로가 실시간으로 파악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장비에 결함이 발생되거나 추가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장비의 현황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미관리 작업자나, 장비의 비정상 작동 내지 결함은 대형 인명사고의 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국내에서 2022. 1. 27.자로 시행되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이라 한다)은 중대한 인명 피해를 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사업주에 대한 형사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이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를 위반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처벌하고, 나아가 감독의무를 위반한 법인 또는 기관에 대하여도 벌금형이 부과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중대재해처벌법은 기업이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업무에 관해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 하지 아니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벌금을 부과하지 않는다고 규정함으로써, 기업이 산업 현장의 안전확보에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 의무를 다한 것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처벌에서 면책될 수 있도록 하여, 기업들은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교육과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체계화된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한편, 종래의 문서기반의 건설 관리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무선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계된 관리 플랫폼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예컨데, 작업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작업허가 신청을 하면 관리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이를 승인할 수 있도록 제안하거나, 관리자가 위험성 평가서를 단말기를 통하여 직접 작성하고, 이를 다른 작업자들이 공유하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설 관리 플랫폼들은 현장이나 작업별로 관리를 달리하거나, 교육 관리, 작업허가 관리, 출입 관리, 비용ㆍ공사기간 관리 등 개별적인 관리 기능을 구현하는 것에 집중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건설 현장의 정보를 제공하고,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구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 KR 10-2003-0068661 A 공개특허 KR 10-2007-0104033 A 공개특허 KR 10-2016-0126152 A 공개특허 KR 10-2019-0040847 A 공개특허 KR 10-2020-0043306 A 공개특허 KR 10-2020-0136077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서지기반의 현장 관리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 단말과 IoT 장치를 활용하여 현장의 대부분의 활동을 데이타화함으로써 자동화된 현장 관리가 가능하며, 현장의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현장의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종합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하며, 개별 현장과 무관하게 여러 현장에 연계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S)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로 정보를 송ㆍ수신하는 정보 처리장치(200)와,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정보 처리장치(200)와 정보를 송ㆍ수신하여 기록하는 정보 저장장치(DB)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는 작업별 작업허가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작업허가부(210);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작업별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제공하는 위험성 평가부(220); 기술인에 대한 안전교육 이력 정보와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기술인별로 이수된 안전교육 이력 정보와 작업일지에 기초하여 기술인별로 요구되는 안전교육 시간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제공하고,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상의 작업별 세부분류에 따라 특정한 안전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신규 안전교육 일정을 개설할 것을 제안하는 안전교육 관리부(230);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기술인의 현장 입문을 승인하고, 입ㆍ출문 정보를 제공하며, 작업허가서에 기초한 작업별 공수와 실시간 공수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정상범위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작업반장 단말(120)이나 관리자 단말(130)로 이상 알람을 전달하는 입ㆍ출문 관리부(240);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작업별 안전자료 및 점검사항을 제공하는 TBM 지원부(250); 및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의 작업 내용에 중대한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00)을 바탕으로 작업허가서의 실시간 변경을 요청하면 승인권한을 지니는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작업허가서가 전달되어 승인 또는 반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전미팅ㆍ변경점 제안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는,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에 중점위험 작업이 포함되거나,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에 의하여 고위험작업으로 평가되는 경우에 위험구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위험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구간 점검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는,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중장비의 현장 입문을 승인하고, 운영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중장비 관리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장비 관리부(270)는,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에 중장비 작업이 포함되는 경우에 장비점검 명령을 사용자 단말(100)과 해당 중장비(300)에 전달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가 처리하는 건설 현장의 전체적인 현황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통합 모니터링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는,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가 평가한 작업별 위험등급에 기초하여 요구되는 안전교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ㆍ출문 관리부(240)는,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가 제공하는 기술인에 대한 안전교육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현장 입문의 승인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 및 정보 저장장치(DB)와 정보를 송ㆍ수신하는 사용자 단말(100)은, 개별 작업자가 휴대하는 작업자 단말(110); 작업별 반장이 휴대하는 작업반장 단말(120); 및 안전ㆍ공사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S)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정보를 송ㆍ수신하는 정보 처리장치 및 이들과 정보를 송ㆍ수신하여 기록하는 정보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서지기반의 현장 관리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 단말과 IoT 장치를 활용하여 현장의 대부분의 활동을 데이타화함으로써 자동화된 현장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건설 현장의 모든 활동이 정보 처리장치의 작업허가부의 액티비티를 중심으로 데이타화되어 정보저장 장치에 저장됨으로써 향후 위험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작업허가부, 위험성 평가부, 안전교육 관리부, 입ㆍ출문 관리부 및 TBM 지원부가 상호 연계된 상태로 정보를 전달하여 즉각적인 반영이 가능하며, 중복업무를 제거할 수 있어 효율적인 현장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기술인별 요구되는 안전교육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실질적인 안전교육이 가능하며, 안전교육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현장 입문을 승인함으로써 기술인들의 안전 불감증을 해소하고, 안전 의식을 재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작업별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위험구간 정보를 위험구간 점검부에 전달함으로써 IoT 장치를 활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사전미팅ㆍ변경점 제안부에 전달하여 추가적인 안전교육을 진행하거나 현장의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작업별 작업허가서를 생성하여 중점위험 작업이 포함되는 경우에 위험구간 정보를 위험구간 점검부에 전달할 수 있으며, 안전교육 관리부에 전달하여 안전교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중장비 작업이 포함되는 경우에 중장비에 대한 장비점검 명령을 지시하여 중장비의 비정상 작동 및 결함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이나 공기지연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작업자들이 휴대하는 작업자 단말의 NFC 태깅이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들의 입ㆍ출문 정보를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위치 및 경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각종 정보를 작업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작업별 반장들이 휴대하는 작업반장 단말의 작업 시점별 정보를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작업별 작업자, 장비 등을 포함한 현황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각종 정보를 작업반장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안전ㆍ공사 관리자들이 휴대하는 관리자 단말을 이용하여 위험구간의 점검 및 확인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정보나 위험 구간에 대한 실시간 현황 정보를 안전ㆍ공사 관리자가 접속하는 관리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건설 현장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하며, 상기 정보 저장장치가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장치와 정보를 송ㆍ수신하여 기록함으로써 개별 현장과 무관하게 여러 현장에 연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S)을 도시한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장치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과 스마트폰용 UI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허가부가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UI 화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성 평가부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과 스마트폰용 UI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성 평가부가 위험등급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 관리부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BM 지원부가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UI 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구간 점검부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관리부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부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간의 연계성을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기술인'이란 현장의 작업자나, 작업별 작업반장을 포함함은 물론, 안전 관리자와 공사 관리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작업자나 작업반장은 협력사의 인력이고, 안전 관리자와 공사 관리자는 시공사의 인력인 것이 일반적이나, 이와 달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작업자'는 일반공과 기능공을 모두 포함하며, 중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S)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로 정보를 송ㆍ수신하는 정보 처리장치(200)와,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정보 처리장치(200)와 정보를 송ㆍ수신하여 기록하는 정보 저장장치(D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는 중앙 관리실(C)에 구비된 관리서버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을 변경히나 플러그인 가능하도록 구성한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정보 처리장치(200)는 다양한 방식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정보를 송ㆍ수신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LTE 데이타 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 및 정보 저장장치(DB)와 정보를 송ㆍ수신함에 있어서, 개별 작업자가 휴대하는 작업자 단말(110)과, 작업별 반장이 휴대하는 작업반장 단말(120) 그리고 안전ㆍ공사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APP)을 설치하여 각종 정보를 입,출력하고, 정보 처리장치(200) 및 정보 저장장치(DB)와 정보를 송ㆍ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단말(110)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으며, 작업별 반장이 휴대하는 작업반장 단말(120)도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작업자 단말(110)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나 NFC 태깅(Tagging), QR 코드 스캔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테블릿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130)은 현장의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나 중장비(300)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하여 IoT 장치와 근거리 통신하거나 NFC 태깅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이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장의 모니터링을 위해서 사용되는 관리자 단말(130)은 안전 관리부서에 구비된 업무용 또는 관리용 컴퓨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S)에 의하면 별도의 블루투스 메쉬 통신망이나 인터넷 통신망과 같은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유지 관리가 효율적이며, 현장의 위험 시설물이나 중장비(300)에는 비콘(beacon)을 설치하여 일정 거리이상 근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에 위험알람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장치(200)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과 스마트폰용 UI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작업허가부(210), 위험성 평가부(220), 안전교육 관리부(230), 입ㆍ출문 관리부(240) 및 중장비 관리부(25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UI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작업허가부(210)는 작업별 작업허가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거나,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정보 저장장치(DB)에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100)을 바탕으로 작업자나 협력사 소장 등이 작업별로 작업허가서를 작성하여 결제를 요청하면, 승인권한을 지니는 협력사 소장, 시공 관리자나 안전 관리자, 현장 소장 및 공사 팀장에게 순차적으로 작업허가서가 전달되어 순차적으로 승인 또는 반려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각 주체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된 작업허가서는 결제현황에 따라 임시저장, 상신, 진행중, 반려, 승인완료로 처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작업허가부(210)는 단순히 작업허가서를 생성하고, 각 주체에게 결제를 요청하여 승인받는 절차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은 물론,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를 중심으로 건설 현장의 모든 활동이 작업허가부(210)의 액티비티를 중심으로 데이타화되어 정보저장 장치(DB)에 저장됨으로써 향후 위험관리 및 생산성 분석을 위한 데이타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의 정보가 후술할 위험성 평가부(220), 안전교육 관리부(230), 입ㆍ출문 관리부(240) 및 TBM 지원부(250)와 연계되어 즉각적으로 전달됨으로써 변경 사항이 발생하더라도 실시간 반영이 가능하며, 중복업무를 제거할 수 있어 효율적인 현장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발휘된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과 스마트폰용 UI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는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작업별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는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상의 작업별 세부분류에 따라 데이타화된 발생빈도와 손실강도 지수에 기초하여 위험등급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고위험등급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중점위험 작업으로 분류되어 해당 작업에 대하여 후술할 위험구간 점검부(260)가 활성화됨으로써, 해당 작업이 시작되면 위험구간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 물론,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한정 열거된 특정 작업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중점위험 작업으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는 중점위험 작업으로 평가된 작업에 대하여는 별도의 중점위험 작업허가서를 작성하도록 상기 작업허가부(210)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작업허가부(210)에 작업 내역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시간적 오차가 발생됨이 없이 중점위험 작업허가서를 작성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는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상의 작업별 세부분류에 따라 요구되는 안전교육 정보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기술인별로 이수된 안전교육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술인별로 요구되는 안전교육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는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술인별 작업일지에 기초하여 안전교육에 대한 시간표를 기술인별로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는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상의 작업별 세부분류에 따라 특정한 안전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신규 안전교육 일정을 개설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작업자들은 작업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를 바탕으로 예정된 작업에 대한 안전교육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동시에 안전교육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다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에도 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작업반장이나 관리자들은 작업반장 단말(120)이나 관리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개별 작업자들에 대한 작업별 안전교육 수료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안전교육에 참석한 기술인들은 사용자 단말(100)을 교육장에서 직접 NFC 태깅하거나 QR 코드 스캔하여 교육 출석과 이수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는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가 평가한 작업별 위험등급에 기초하여 요구되는 안전교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가 데이타화된 발생빈도와 손실강도 지수에 기초하여 위험등급을 자동으로 산출하면,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는 안전교육 정보로서 해당 작업별 실제 사고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인들의 안전 불감증을 해소하고, 안전 의식을 재고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는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가 중점위험 작업으로 평가한 경우에 실제 작업 현장의 위험구간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안전교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ㆍ출문 관리부(240)는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작업별로 기술인의 현장 입문에 대한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개별 기술인에 대한 입ㆍ출문 정보를 데이타화하여 작업반장 단말(120)이나 관리자 단말(130)에 제공한다. 이때, 작업 현장에 참석한 기술인들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입ㆍ출문 관리부(240)를 활성화하여 현장에서 직접 NFC 태깅하거나 QR 코드 스캔하여 입문과 출문을 기록할 수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작업반장 단말(120)에 작업자 단말(110)을 직접 NFC 태깅하거나 QR 코드 스캔하여 입문과 출문을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ㆍ출문 관리부(240)는 실시형태에 따라서 월간 내지 주간 단위로 정규 근로시간 이외의 공수를 자동으로 산출하여 기술인의 업무부담을 관리하여 과로로 인한 산업재해 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입ㆍ출문 관리부(240)는 입문 및 출문 시간을 바탕으로 실시간 공수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ㆍ출문 관리부(240)는 작업허가서에 기초한 작업별 공수와 실시간 공수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정상범위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작업반장 단말(120)이나 관리자 단말(130)로 이상알람을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TBM 지원부(250)가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UI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TBM 지원부(250)는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상의 작업별 세부분류에 따라 요구되는 작업별 안전자료 및 점검사항을 제공한다. 상기 TBM 지원부(250)는 작업 당일에 현장에 입문한 기술인들이 작업 수행 직전에 이루어지는 사전미팅(Tool Box Meeting)에서 필요한 최신 안전 교육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술인들은 상기 TBM 지원부(250)를 통하여 작업허가서와 위험성 평가서와 같은 기본적인 서류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작업에 필요한 공지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별 안전자료로서 작업별 작업절차서, 작업지침서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업별 점검사항으로서 작업별 안전작업 수칙, 체크리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TBM 지원부(250)는 입ㆍ출문 관리부(240)를 통하여 현장 입문이 승인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로써 외부인들에게 작업 현장의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장치(200)의 위험구간 점검부(260)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위험구간 점검부(260)는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에 중점위험 작업이 포함되거나,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에 의하여 고위험작업으로 평가되는 경우에 해당 위험구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위험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위험구간 점검부(260)는 별도의 위험상황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위험구간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며, CCTV와 같은 영상정보는 물론 사용자 단말(100)을 바탕으로 기술인의 이동 경로나 동선을 지속적으로 확인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구간 점검부(260)가 제공하는 위험알람 정보는 작업별로 다양한 실시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망사고가 가장 많은 고소작업의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IoT 장치로서, 고도와 체결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고리를 제공함으로써 고도가 높은 경우임에도 작업자가 비계 난간과 같은 시설물에 안전고리를 체결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 단말(110)에 위험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중장비(300)와 작업자 단말(110)이 상호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승인된 운전자가 아닌 작업자가 중장비(300)로 접근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 단말(110)에 위험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험구간 점검부(260)는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위험알람 정보를 작업자 단말(110)로 전달되는 위험알람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위험구간의 전체적인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장치(200)의 중장비 관리부(270)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중장비 관리부(270)는, 기본적인 중장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중장비의 현장 입문을 승인하고, 운영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장비 관리부(270)는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작업별로 중장비의 현장 입문에 대한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개별 중장비에 대한 입ㆍ출문 정보를 데이타화하여 작업반장 단말(120)이나 관리자 단말(130)에 제공한다. 이때, 작업 현장에 투입된 중장비들은 작업자 단말(110)을 통하여 중장비 관리부(270)를 활성화하여 현장에서 중장비(300)에 직접 NFC 태깅하거나 QR 코드 스캔하여 중장비(300)에 대한 운전을 개시할 수 있으며, 이후 중장비(300)의 작동 정보가 중장비 관리부(270)로 실시간 전달되어 운영현황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에 중장비 작업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중장비 관리부(270)는 장비점검 명령을 관리자 단말(130)과 해당 중장비(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전자의 작업자 단말(110)이나 관리자 단말(130)에서 중장비 관리부(270)를 활성화하여 중장비(300)에 직접 NFC 태깅하거나 QR 코드 스캔하여 안전점검 결과 정보를 중장비 관리부(270)로 실시간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안전점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단말(110)이나 관리자 단말(130)에 의하여 중장비 관리부(270)에 안전점검 결과가 합격된 것으로 등록된 경우에만 중장비의 현장 입문을 승인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중장비 관리부(270)는 누적된 안전점검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다른 현장에서 해당 중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전점검 결과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전미팅ㆍ변경점 제안부(280)는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에 실시간 변경이 요청되거나,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에 의하여 고위험작업으로 평가되는 경우에 확인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사전미팅ㆍ변경점 제안부(280)는 작업 내용에 중대한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00)을 바탕으로 작업허가서의 변경을 요청하면, 승인권한을 지니는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작업허가서가 전달되어 승인 또는 반려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승인권한이 없는 사용자에게는 변경 승인이 완료된 작업허가서에 대한 확인알람을 제공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사전미팅ㆍ변경점 제안부(280)는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에 중점위험 작업이 포함되거나,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에 의하여 고위험작업으로 평가되는 경우에 소규모 사전미팅(Small Pre-Construction Meeting, S-PCM) 을 위한 확인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규모 사전미팅(S-PCM)은 작업일 이전에 현장에 입문할 기술인들이 사전에 모여 협의하는 안전작업 절차에 관한 회의로서, 상기 사전미팅ㆍ변경점 제안부(280)는 소규모 사전미팅에서 필요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술인들은 상기 사전미팅ㆍ변경점 제안부(280)를 통하여 작업허가서와 위험성 평가서와 같은 기본적인 서류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작업별 안전자료로서 작업별 작업절차서, 작업지침서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업별 점검사항으로서 작업별 안전작업 수칙, 체크리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전미팅ㆍ변경점 제안부(280)는 기본적인 회의록 작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장치(200)의 통합 모니터링부(290)가 제공하는 PC용 UI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통합 모니터링부(290)는 정보 처리장치(200)가 처리하는 건설 현장의 전체적인 현황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작업반장이나 안전ㆍ시공 관리자는 작업반장 단말(120)이나 관리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통합 모니터링부(290)가 제공하는 건설 현장의 전체적인 현황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모니터링부(29)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출입인력 현황, 안전교육 현황, 구역별 인력 현황, 위험구간 인력 현황, 기술인의 위치 정보, 각 구역별 진도율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 현황, 구역별 중장비 가동률, 중장비별 가동률, 시간별 누적 가동률, 중장비의 위치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S)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기술적 내용들을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안전관리 시스템
100:사용자 단말 110:작업자 단말
120:작업반장 단말 130:관리자 단말
200:정보 처리장치 210:작업허가부
220:위험성 평가부 230:안전교육 관리부
240:입ㆍ출문 관리부 250:TBM 지원부
260:위험구간 점검부 270:중장비 관리부
280:사전미팅ㆍ변경점 제안부 290:통합 모니터링부
300:중장비
DB:정보 저장장치

Claims (9)

  1.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로 정보를 송ㆍ수신하는 정보 처리장치(200)와,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정보 처리장치(200)와 정보를 송ㆍ수신하여 기록하는 정보 저장장치(DB)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S)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는,
    작업별 작업허가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작업허가부(210);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작업별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제공하는 위험성 평가부(220);
    기술인에 대한 안전교육 이력 정보와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기술인별로 이수된 안전교육 이력 정보와 작업일지에 기초하여 기술인별로 요구되는 안전교육 시간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제공하고,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상의 작업별 세부분류에 따라 특정한 안전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신규 안전교육 일정을 개설할 것을 제안하는 안전교육 관리부(230);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기술인의 현장 입문을 승인하고, 입ㆍ출문 정보를 제공하며, 작업허가서에 기초한 작업별 공수와 실시간 공수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정상범위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작업반장 단말(120)이나 관리자 단말(130)로 이상 알람을 전달하는 입ㆍ출문 관리부(240);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작업별 안전자료 및 점검사항을 제공하는 TBM 지원부(250); 및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의 작업 내용에 중대한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00)을 바탕으로 작업허가서의 실시간 변경을 요청하면 승인권한을 지니는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작업허가서가 전달되어 승인 또는 반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전미팅ㆍ변경점 제안부(2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는,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에 중점위험 작업이 포함되거나,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에 의하여 고위험작업으로 평가되는 경우에 위험구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위험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구간 점검부(2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는,
    생성된 작업허가서를 바탕으로 중장비의 현장 입문을 승인하고, 운영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중장비 관리부(2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 관리부(270)는,
    상기 작업허가부(210)가 생성한 작업허가서에 중장비 작업이 포함되는 경우에 장비점검 명령을 사용자 단말(100)과 해당 중장비(30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가 처리하는 건설 현장의 전체적인 현황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통합 모니터링부(29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는,
    상기 위험성 평가부(220)가 평가한 작업별 위험등급에 기초하여 요구되는 안전교육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ㆍ출문 관리부(240)는,
    상기 안전교육 관리부(230)가 제공하는 기술인에 대한 안전교육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현장 입문의 승인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200) 및 정보 저장장치(DB)와 정보를 송ㆍ수신하는 사용자 단말(100)은,
    개별 작업자가 휴대하는 작업자 단말(110);
    작업별 반장이 휴대하는 작업반장 단말(120); 및
    안전ㆍ공사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210054476A 2021-04-27 2021-04-27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10243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76A KR102438757B1 (ko) 2021-04-27 2021-04-27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76A KR102438757B1 (ko) 2021-04-27 2021-04-27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757B1 true KR102438757B1 (ko) 2022-09-01

Family

ID=8328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476A KR102438757B1 (ko) 2021-04-27 2021-04-27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7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315B1 (ko) * 2022-11-09 2023-06-13 예주산업(주) 건설중장비 사용자의 근태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27538B1 (ko) * 2022-12-05 2024-01-25 주식회사 카이토리 360도 파노라마 영상 기반 안전교육 콘텐츠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55252B1 (ko) * 2023-11-09 2024-04-08 윈디텍 주식회사 풍력발전단지의 체계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hse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90056B1 (ko) * 2023-12-06 2024-07-29 장재선 스마트 안전 툴 박스 미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661A (ko) 2002-02-15 2003-08-25 주식회사 네오컨텍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070104033A (ko) 2006-04-21 2007-10-25 (주)씨에프정보통신울산 위험작업장 안전관리를 위한 작업승인시스템
KR20160126152A (ko) 2015-04-22 2016-11-02 (주)대우건설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70092317A (ko) * 2016-02-03 2017-08-11 주식회사 두올테크 건설현장 출입통제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마더보드
KR101822586B1 (ko) * 2016-11-07 2018-03-08 유니셈(주) 출입통제를 위한 보안장치,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0847A (ko) 2017-10-11 2019-04-19 양경옥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983265B1 (ko) *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00043306A (ko)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작업장 안전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12418A (ko) * 2019-03-22 2020-10-05 안치상 Tbm 전산화 및 안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136077A (ko) 2019-05-27 2020-12-07 (주)솔트웍스 중장비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661A (ko) 2002-02-15 2003-08-25 주식회사 네오컨텍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070104033A (ko) 2006-04-21 2007-10-25 (주)씨에프정보통신울산 위험작업장 안전관리를 위한 작업승인시스템
KR20160126152A (ko) 2015-04-22 2016-11-02 (주)대우건설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70092317A (ko) * 2016-02-03 2017-08-11 주식회사 두올테크 건설현장 출입통제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마더보드
KR101822586B1 (ko) * 2016-11-07 2018-03-08 유니셈(주) 출입통제를 위한 보안장치,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0847A (ko) 2017-10-11 2019-04-19 양경옥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983265B1 (ko) *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00043306A (ko)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작업장 안전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12418A (ko) * 2019-03-22 2020-10-05 안치상 Tbm 전산화 및 안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136077A (ko) 2019-05-27 2020-12-07 (주)솔트웍스 중장비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315B1 (ko) * 2022-11-09 2023-06-13 예주산업(주) 건설중장비 사용자의 근태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27538B1 (ko) * 2022-12-05 2024-01-25 주식회사 카이토리 360도 파노라마 영상 기반 안전교육 콘텐츠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55252B1 (ko) * 2023-11-09 2024-04-08 윈디텍 주식회사 풍력발전단지의 체계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hse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90056B1 (ko) * 2023-12-06 2024-07-29 장재선 스마트 안전 툴 박스 미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757B1 (ko)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Zhou et al. Tower crane safety on construction sites: A complex sociotechnical system perspective
JP6937113B2 (ja) 作業現場管理システム
CN112508417A (zh) 一种基于bim技术的民航专业工程总承包项目管理系统
KR101754753B1 (ko)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KR102421223B1 (ko)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CN104573971A (zh) 基于射频和wifi技术的金属矿山井下安全数字化管理系统
KR102481223B1 (ko)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CN104732315A (zh) 安全管理系统
CN102360459A (zh) 井下作业人员的安全监控系统
CN102622677A (zh) 一种企业安全生产管理方法
CN113379370A (zh) 一种管片生产信息化管理系统
KR102534819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 대한 안전 감시를 위한 매뉴얼 제공 및 결과 보고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9657954A (zh) 一种hse-act风险控制方法及系统
KR102507467B1 (ko)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00043306A (ko) 작업장 안전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184519A (zh) 标准化安全作业痕迹化管理系统
CN116402344A (zh) 安全管理平台
CN109325646A (zh) 一种装置检修现场高危作业动态控制方法
Bal Formation and management of safety culture in the railway industry: best practices and strategies
KR102573540B1 (ko)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KR20210088369A (ko) 제어it 위탁운영 협력사의 업무보안 리스크관리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15034571A (zh) 一种烟草安全生产管理监控系统
Tarigan et al. Operational risk analysis of network Operation Center Division pt. 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