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867B1 -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5867B1 KR102425867B1 KR1020170142583A KR20170142583A KR102425867B1 KR 102425867 B1 KR102425867 B1 KR 102425867B1 KR 1020170142583 A KR1020170142583 A KR 1020170142583A KR 20170142583 A KR20170142583 A KR 20170142583A KR 102425867 B1 KR102425867 B1 KR 1024258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ne
- link
- discharge
- joint
- rig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구 및 토출구가 저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베인은, 상기 토출구에 대하여 전방 측에 위치되고,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대하여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 2 베인축을 통해 상기 케이스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회전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방운전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상기 토출구의 하측으로 하강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하나의 수평풍안내면을 형성하는 수평풍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0단계가 냉방운전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이미지센서를 통해 상기 제 1 베인 또는 제 2 베인의 이슬맺힘을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각도를 변경하는 단계(S50); 상기 S50단계 후 변경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상기 S60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S3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토출베인이 수평풍으로 작동될 때, 이미지센서를 이용해 맺힌 이슬을 직접 판단하고,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의 각도를 변경하여 제 1 베인 또는 제 2 베인의 이슬맺힘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re formed on the bottom; It includes; a discharge vane disposed in the case and guid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 a second van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outle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through a second vane shaft coupled to the cas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vane motor installed in the cas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the cooling operation step (S10); After the step S10, after the step S10,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descend to the lower side of the outlet, a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contact or overlap to form one horizontal wind guide surface. determining whether it is a horizontal wind (S20); if the step S20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step S10 exceeds the cooling operation time (S30); If the S30 is satisfied, determining the dew formation of the first vane or the second vane through the image sensor disposed in the case (S40); if the step S40 is satisfied, changing the angle of the discharge vane (S50);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time has elapsed after the step S50 (S60); and returning to the step S30 when the S60 is satis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charge vane is operated in a horizontal wind, the dew formation of the first vane or the second vane can be removed by directly determining the dew formed using the image sensor, and changing the angle of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there are advantages to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ceiling type indoor unit installed on a ceiling in a room.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d an expander, and supplies cold or warm air to a building or room using an air conditioning cycle.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Structurally, th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in which the compressor is disposed outdoors and an integral type in which the compressor is integrally manufactured.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In the separation type, an indoor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an indoor unit,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r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and two separated devices are connected by a refrigerant pipe.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The integral type is an indoor heat exchange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installed in one case. The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cludes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which is installed directly by hanging the device on a window, and a duct type air conditioner which is installed outside the room by connecting a suction duct and a discharge duct.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eparation type air conditioner is generally classified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form of the indoor unit.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실내기라 한다. 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indoor space, it is called a stand-type air conditioner, 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room is called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room, it is called a ceiling-type indoor unit.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한 종류로서, 복수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어컨이 있다. Also, as a type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there is a system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oviding air-conditioned air to a plurality of spaces.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여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타입과, 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타입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there are a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provided to air-condition a room, and a type in which air-conditioned air is supplied to each space through a duct.
시스템에어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실내기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등 어느 것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provided in the system air conditioner may be any of a stand type, a wall mounted type, or a ceiling type.
종래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토출구에 1개의 베인이 설치되고, 상기 베인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eiling-type indoor unit, one vane is installed at a discharge port, and a rotation angle of the vane is adjusted to control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본 발명은 수직풍 및 수평풍을 구현할 수 있는 베인이 배치된 실내기에서 상기 베인의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inimizing dew formation on the vanes in an indoor unit having vanes arranged to implement vertical and horizontal winds.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를 통해 토출베인의 이슬맺힘을 판단하고, 토출베인의 이슬맺힘을 제거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that determines dew formation on a discharge vane and removes dew formation on the discharge vane through the imag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미지센서를 이용해 수평풍을 형성하는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에 형성된 이슬을 직접 확인하고, 이슬이 맺힌 경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의 각도를 변경하여 형성된 이슬을 제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checks the dew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vanes that form a horizontal wind using an image sensor, and when dew is formed, the dew formed by changing the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can be removed. .
본 발명은 흡입구 및 토출구가 저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베인은, 상기 토출구에 대하여 전방 측에 위치되고,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대하여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 2 베인축을 통해 상기 케이스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회전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re formed on the bottom; It includes; a discharge vane disposed in the case and guid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 a second van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outle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through a second vane shaft coupled to the case; In the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a vane motor installed in the cas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냉방운전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상기 토출구의 하측으로 하강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하나의 수평풍안내면을 형성하는 수평풍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0단계가 냉방운전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이미지센서를 통해 상기 제 1 베인 또는 제 2 베인의 이슬맺힘을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각도를 변경하는 단계(S50); 상기 S50단계 후 변경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상기 S60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S3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cooling operation (S10); After the step S10,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descend to the lower side of the outlet, a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contact or overlap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horizontal wind forming one horizontal wind guide surface. step (S20); if the step S20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step S10 exceeds the cooling operation time (S30); If the S30 is satisfied, determining the dew formation of the first vane or the second vane through the image sensor disposed in the case (S40); If the step S40 is satisfied, changing the angle of the discharge vane (S50);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time has elapsed after the step S50 (S60); and returning to the step S30 when the S60 is satisfied.
상기 S20, S30, S40, S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현재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When at least one of S20, S30, S40, and S6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angle of the discharge vane may be maintained.
상기 S40 단계는,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의 이미지를 프로세싱하는 단계(S42); 상기 S42 단계에서 획득된 이미지에서 이슬맺힘을 판단하는 단계(S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S40 may include processing images of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from the image sensor (S42); It may include; determining dew formation in the image obtained in step S42 (S44).
상기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은 접촉 또는 오버랩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연결되어 하나의 수평풍안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forming the horizontal wi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may contact or overlap, a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may be connected to form one horizontal wind guide surface.
상기 S50 단계는, 상기 베인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이격시킬 수 있다. In step S50,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may be separated by operating the vane motor.
상기 수평풍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접촉 또는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S50 단계는 상기 베인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 및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을 이격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the horizontal wi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are contacted or overlapp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step S50,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vane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vane motor. The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may be spaced apart.
상기 S20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현재각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If the S2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angle of the discharge vane may be maintained, and the process may be returned to the step S10.
상기 S30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현재각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S3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If the S3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angle of the discharge vane may be maintained, and the process may be returned to the step S30.
상기 S40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현재각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S4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If the S4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angle of the discharge vane may be maintained, and the process may be returned to the step S40.
상기 S60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현재각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S6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If the S6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angle of the discharge vane may be maintained, and the process may be returned to the step S60.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토출베인이 수평풍으로 작동될 때, 이미지센서를 이용해 맺힌 이슬을 직접 판단하고,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의 각도를 변경하여 제 1 베인 또는 제 2 베인의 이슬맺힘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determines the dew formed by using an image sensor when the discharge vane is operated in a horizontal wind, and removes the dew formation of the first vane or the second vane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둘째, 본 발명은 수평풍으로 작동될 때, 이미지센서를 통해 이슬맺힘을 판단하고,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있던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분리시켜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에 맺힌 이슬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dew on the first and second vanes by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vanes that were in contact or overlapped by determining dew formation through an image sensor when operated in a horizontal wind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셋째, 본 발명은 이미지센서를 통해 이슬맺힘을 직접 확인한 후, 이슬맺힘 제거를 위한 토출베인의 제어를 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하게 토출베인의 토출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control of the discharge vane for removing the dew formation after directly checking the dew formation through the image sensor,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hange in the discharge angle of the discharge vane unnecessarily. .
넷째, 본 발명은 냉방운전 시, 수평풍으로 작동될 때, 제 1 베인 또는 제 2 베인에 맺힌 이슬을 이미지센서를 통해 직접 검출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이슬맺힘을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rmine the formation of dew more accurately because the dew formed on the first or second vane is directly detected through the image sensor when the cooling operation is operated in horizontal win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이슬맺힘을 직접 확인한 후, 수평풍에서 경사풍으로 소정시간동안 전환되기 때문에, 수평풍의 제공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사풍의 제공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rectly checks the dew formation and then switches from the horizontal wind to the inclined win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rovision time of the horizontal wind, and to provide the inclined wind that the user does not want.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베인이 도시된 제 1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베인이 도시된 다른 각도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작동 예시도들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작동 예시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베인을 제어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1 ;
3 is a firs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from another angle showing a discharge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FIG. 4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link shown in Figure 3;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
8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joint link shown in FIG.
9 is an exemplary operation view of the discharge vane shown in FIG.
10 is a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a discharge van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1 .
<실내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unit>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송풍팬(140)을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케이스의 구성><Case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실내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케이스하우징(110)과,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개구된 면을 커버하고 실내에 노출되며,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커버패널(120)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커버패널(120)이 케이스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작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흡입구(101)가 커버패널(12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의 개수 또는 토출구(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1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각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커버패널(120)은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는 흡입그릴(1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그릴(122)은 상기 커버패널(12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상기 흡입그릴(122)의 상측에 프리필터(124)가 배치되고, 상기 프리필터(124)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A pre-filter 124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토출구(102)는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개폐하는 토출베인(200)이 배치된다. The
<실내열교환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실내송풍팬(1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하게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드레인팬(13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드레인팬(132)에 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132)으로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3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된다. A drain pan 132 is installed inside the
상기 드레인팬(132)은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rain pan 132 may have a directional inclined surface to collect and store 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실내송풍팬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blower fan>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가 사용된다. The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벨마우스(142), 팬(144) 및 팬모터(146)를 포함한다.The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그릴(122)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그릴(122)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팬(144)으로 안내한다. The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을 회전시킨다. The
<유로의 구성><Configuration of Euro>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 대해 실내송풍팬(140) 측 공간을 흡입유로(103)로 정의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 대해 외측 공간(실내열교환기(130) 및 케이스하우징(110) 사이)를 토출유로(104)로 정의한다. For the
상기 흡입유로(103)는 흡입구(101)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유로(104)는 토출구(103)와 연통된다.The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토출유로(10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Air flows from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커버패널(120)의 같은 면에 형성된다.The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커버패널(120)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102)가 약간의 측면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토출유로(104)와 연결된 토출구(102)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When the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토출베인(200)이 배치된다. 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베인이 도시된 제 1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베인이 도시된 다른 각도의 제 2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 firs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angle, and FIG. 5 is FIG. is a plan view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link shown in FIG. 3,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토출베인의 구성><Configuration of discharge vane>
상기 토출베인(200)은 토출유로(104)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The
상기 토출베인(200)은 토출구 상에 배치되고,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제 1 베인(210)과, 제 2 베인축(241)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240)과,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220)와, 상기 제 1 베인(210) 및 케이스(100)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관절링크(320)와, 상기 제 1 베인(210)과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을 통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100)와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을 통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베인모터(220)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리지드링크(310, rigid link)와, 상기 제 2 베인(240) 및 상기 리지드링크(310)와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베인(240)을 회전시키는 연결링크(360)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토출구(210)의 대부분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210)이 상기 토출구(210) 전체를 커버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the
상기 제 1 베인(210)은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에 의해 회전된다.The
상기 제 2 베인(240)은 리지드링크(310)와 연결된 연결링크(360)에 의해 회전된다. The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유로(104) 상에 배치되는 모터케이스(105)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절링크(320)는 리지드링크(310)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토출유로(104)를 형성하는 상기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하우징(11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상기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하우징(110)의 토출유로(104)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길이방향과 교차 또는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상기 제 1 베인(210)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모터케이스(105)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에 수납될 수 있다. The
상기 모터케이스(105)의 외측(베인모터 측)에는 베인모터(220)가 조립되는 베인모터설치부(10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터설치부(106)에 상기 베인모터(220)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A vane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The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된다. The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모터케이스(105)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베인(210)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베인모터(220)의 구동력은 상기 모터케이스(105)를 관통하여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다. The
상기 모터케이스(105)의 내측(베인 측)에는 링크가 설치되기 위한 보스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230)는 내측(베인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A boss for installing a link is formed on the inner side (the vane side) of the
상기 리지드링크(310) 또는 관절링크(3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보스(23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된 링크는 상기 보스(23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Any one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리지드링크(310)가 상기 보스(230)와 결합되고, 상기 보스(2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보스(230)에 결합된 링크에 구동력을 제공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스(230)를 관통하여 설치된 리지드링크(310)에 베인모터(220)의 회전력이 제공되고, 상기 베인모터(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20)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보스(230)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결합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한다. The
상기 보스(230)는 내부가 빈 중공(236)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스(230)의 중공(236)을 관통하여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모터케이스(105)를 관통하게 배치된다.The
상기 보스(23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인(210) 측으로 돌출된다.The
상기 보스(230)는 상기 제 1 베인(210) 측으로 더 돌출된 보스스토퍼(232)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 시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을 제한한다.The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시계방향 회전 및 반시계방향 회전에 대해 각각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대략 270도 회전가능하게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보스(230)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일측단(233) 및 타측단(234)이 리지드링크(310)와 상호 간섭된다.The
상기 일측단(233)은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시계방향 회전 시 접촉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상기 타측단(23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반시계방향 회전 시 접촉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상기 일측단(233) 및 타측단(234)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반대로 위치될 수 있다. The one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회전될 때, 상기 일측단(233) 또는 타측단(234)과 접촉되어 회전이 정지된다. The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을 회전평면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링크가 회전되는 바, 각 링크들은 각각의 고유한 회전평면을 형성한다. A virtual plane formed when the
<베인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vane>
설명을 위해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천장 측을 상측으로 정의하고, 바닥을 하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토출베인에서 베인모터가 설치된 측을 일측(우측)으로 정의하고 반대쪽은 타측(좌측)으로 정의한다.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defined as a forward direction, and an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a rearward direction. In addition, the ceiling side is defined as the upper side, and the floor is defined as the lower side. Also, in the discharge vane, the side where the vane motor is installed is defined as one side (right) and the opposite side is defined as the other side (lef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은 수평풍, 수직풍,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특히, 수평풍을 제공할 때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이 연결되어 하나의 베인처럼 배치된다. 상기 수평풍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240)의 전방 측 단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 측 단에 근접 또는 접촉되고,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의 상측면을 따라 토출공기가 안내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horizontal wind is provided, the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가 천장 또는 지면과 평행하게 토출시키는 수평풍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리지드링크(310),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에 의해 회전되어 위치된 상기 제 1 베인(210)과,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연결링크(360)에 의해 회전되어 위치된 상기 제 2 베인(240)이 하나의 연속된 수평풍안내면(201)을 형성한다. When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수평풍안내면(201)은 상기 제 2 베인(240)의 상측면(245)과 제 1 베인(210)의 상측면(215)이 연결되었을 때 형성된다. 즉, 수평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베인(240)의 상측면(245)과 제 1 베인(210)의 상측면(215)이 연결되었을 때, 2개의 베인이 하나의 베인처럼 상기 수평풍안내면(201)을 형성한다. The horizontal
즉, 상기 수평풍안내면(201)은 상기 제 2 베인(240)의 상측면(245)과 제 1 베인(210)의 상측면(2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베인(240) 및 제 1 베인(210)에 분산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240)의 상측면(245)과 제 1 베인(210)의 상측면(215)이 연결될 때, 상기 수평풍안내면(201)으로서 기능한다. That is, the horizontal
상기 수평풍안내면(201)은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근접 또는 접촉되어 상기 제 2 베인(240)의 상측면(245)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면(215)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The horizontal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이 연결되어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할 경우, 연결된 면적을 통해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When the
<제 1 베인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first vane>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베인바디(212)와,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가 결합되는 결합플랜지(214)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제 1 베인바디(212)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 1 베인바디(212)는 상기 토출유로(104)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딪혀 유동방향이 안내된다. 수평풍일 경우, 상측면을 따라 토출공기가 안내되고, 수직풍일 경우 하측면을 따라 공기가 안내된다. The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은 직교 또는 교차된다.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는 다수개의 그루브(213)가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213)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213)는 복수개의 상기 결합플랜지(214) 사이에 위치된다. A plurality of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의 결합을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토출베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The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The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 측(전방)이 낮고, 공기가 진입되는 방향 측(후방)이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결합되는 측이 높고 관절링크(320)이 결합되는 측이 낮게 형성된다. The
상기 결합플랜지(214)의 후방 측 단(214a)은 제 1 베인바디(212)의 후방 측 단(212a)을 벗어나 더 후방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결합플랜지(214)의 후방 측 단(214a)은 제 1 베인바디(212)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rear side end 214a of the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타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베인결합부(216)와, 상기 관절링크(320)의 타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결합부(217)가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상기 결합플랜지(214)를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면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상기 보스(230)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한편,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일측단은 상기 모터케이스(105)에 결합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스(230)에 결합된다. 상기 관절링크(320)의 일측단은 상기 모터케이스(105)에 결합된다. 즉, 상기 모터케이스(105)에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일측단 및 관절링크(320)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Meanwhile, one end of the
상기 모터케이스(105)에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230)와, 상기 관절링크(320)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링크결합부(237)가 형성된다.The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The joint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후방 측 단(212a)을 벗어나 더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결합부(217)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베인바디(212) 상에 위치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베인결합부(217) 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first
그래서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에 대해 소정의 링크결합부 사이각(A)을 형성한다. 상기 링크결합부 경사각(a)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선회 운동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조이다. So, the first
<제 2 베인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second vane>
상기 제 2 베인(240)은 상기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베인바디(242)와,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링크(36)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플랜지(244)와,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축(241)을 포함한다. The
상기 제 2 베인바디(242)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 2 베인바디(242)는 상기 토출유로(104)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바디(21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딪혀 유동방향이 안내된다. 수평풍일 경우, 상측면을 따라 토출공기가 안내되고, 수직풍일 경우 하측면을 따라 공기가 안내된다. The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의 길이방향은 직교 또는 교차된다.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제 2 베인바디(242)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결합플랜지(2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수평풍을 위해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이 연결되어 배치될 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의 전방 측 단은 상기 제 1 결합플랜지(214) 사이에 위치된다. The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의 상측면에는 다수개의 그루브(213)가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213)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213)는 복수개의 상기 제 2 결합플랜지(244) 사이에 위치된다. A plurality of
그래서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의 길이는 제 1 베인바디(212)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Therefore, the length of the
상기 제 2 결합플랜지(244)는 연결링크(360) 및 리지드링크(310)의 결합을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제 2 결합플랜지(244)는 상기 토출베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The
상기 제 2 결합플랜지(244)에는 상기 연결링크(360)의 타측단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베인결합부(246)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베인결합부(246)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The
상기 제 2 결합플랜지(24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플랜지(244)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제 2 결합플랜지(24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The
상기 제 2 베인축(241)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베인(240)이 회전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41)은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41)은 상기 제 2 베인바디(242)의 일측에서 일측 모터케이스(105)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41)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토출유로(104) 내에 위치되며, 상기 토출구(102)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The
상기 모터케이스(105)에는 상기 제 2 베인축(24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결합부(238)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베인결합부(238)는 상기 모터케이스(105)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A second
상기 제 2 베인축(241)은 상기 제 2 결합플랜지(244)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41) 전방으로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가 위치된다. The
<링크의 구성><Configuration of link>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을 회전시키기 위해 리지드링크(310), 관절링크(320) 및 연결링크(360)가 배치된다. In order to rotate the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상기 관절링크(320)에 비해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링크(360)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에 비해 후방 측에 배치된다.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연결링크(360),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 순으로 배치된다. The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제 1 베인(210)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연결링크(360) 및 리지드링크(310)는 제 2 베인(240)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The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을 회전시키는데 모두 사용된다. 수평풍 또는 수직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를 동기화시킨다. The
상기 리지드링크(310)에 대하여 상기 관절링크(320)는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링크(360)는 타측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리지드링크(310), 관절링크(320) 및 연결링크(360)는 각각 서로 다른 회전평면을 형성하고, 회전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With respect to the
<리지드링크의 구성><Configuration of Rigid Link>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리지드링크축(311)과,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스(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리지드링크축(312)과,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링크(3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리지드링크축(313)과,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의 회전평면 상으로 돌출되고, 소정각도 회전 시 보스스토퍼(232)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링크스토퍼(314)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제 1 베인(210)이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상기 제 1 베인(210) 또는 결합플랜지(214)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모터케이스(105)가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은 상기 모터케이스(105),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1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은 상기 연결링크(360) 및 리지드링크(310)가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은 상기 리지드바디(315)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은 상기 연결링크(3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third
상기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은 상기 후술하는 관절링크축(341)과 같은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은 상기 연결링크(360)에 삽입되어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thir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은 상기 링크스토퍼(314)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리지드링크축(313)는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전 방 측에 위치되고,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은 후방 측에 위치된다. Based on the second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및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소정의 사이각(E)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E)은 0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형성된다.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시계회전될 때,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보스스토퍼(232)의 일측단(233)에 접촉되고,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반시계방향 회전될 때, 상기 링크스토퍼(314) 또는 리지드링크바디(315)는 상기 보스스토퍼(232)의 타측단(234) 접촉되고, 회전이 정지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에 대하여 관절링크(320)의 반대편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상기 사이각(E)을 형성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링크스토퍼(314)의 단측에 상기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이 배치된다.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상기 리지드바디(315) 보다 짧게 형성된다. The third
<관절링크의 구성><Composition of joint link>
상기 관절링크(320)는 특정 위치에서 관절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The
상기 관절링크(320)는 상기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관절링크(330)와, 상기 제 1 베인(2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와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관절링크(340)와,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의 상대 회전 시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관절스토퍼(350)를 포함한다. The
상기 관절링크(320)의 회전평면은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과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관절링크(320) 및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작동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otation plane of the
상기 제 1 관절링크(330)는 상기 케이스(100) 및 제 2 관절링크(340)와 각각 상대회전되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와,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관절링크축(331)과,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절링크(3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커넥트링크부(336)를 포함한다. The first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는 상측이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제 2 관절링크(3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rst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회전평면은 공기의 토출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회전평면은 제 1 베인(21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된다. The rotation plane of the first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서 일측으로 돌출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관절링크결합부(237)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가 회전될 수 있는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는 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홀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구조로 형성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에 삽입된 후, 분리가 차단되도록 후크구조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관절링크(331)는 복수개의 제 1 링크축바디(332)와 상기 제 1 링크축바디(332)의 단에 각각 배치된 제 1 링크후크(333)를 포함한다. After the first
제 1 링크축바디(332)는 원통형상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링크후크(333)는 제 1 링크축바디(332)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 1 링크후크(333)를 형성한다.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링크축바디(332)는 4개가 배치되고, 이들이 모여 원통형상을 형성한다. 각 제 1 링크축바디(332)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를 통해 휨변형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In this embodiment, four of the first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재질에 의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The first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를 관통하고, 상기 제 1 링크후크(333)는 모터케이스(105)와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The first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제 1 링크축바디(33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축플랜지(338)가 형성된다. 상기 축플랜지(338)는 상기 모터케이스(105)의 타측면에 밀착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와 후술하는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암수 형상으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암형상이고 상기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수형상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암수 형상은 반대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first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 및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제 1 관절링크(330)의 회전평면 상에서 서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제 1 커넥트바디(335)의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와,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에 각각 형성된 관절축홀(339)을 포함한다.The first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 사이에는 링크삽입공간(334)이 형성된다. A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각 관절축홀(339) 역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one side
상기 제 2 관절링크(340)는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1 관절링크(330)와 각각 상대회전되는 제 2 관절링크바디(345)와,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베인(2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관절링크축(341)과,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넥트링크부(346)를 포함한다. The second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 2 관절링크바디(345)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second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와 함께 상기 관절링크의 회전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관절링크(320)가 형성하는 회전평면은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형성하는 회전평면과 평행하다. The second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과 동일한 구성이다. 다만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제 2 링크축바디(342) 및 제 2 링크후크(34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상기 제 2 링크축바디(34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축플랜지(348)가 형성된다. 상기 축플랜지(348)는 상기 결합플랜지(214)의 일측면에 에 밀착된다. The second
상기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제 2 커넥트바디(345)의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와,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에 각각 형성된 관절축(349)과,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 사이에 형성된 사이공간(343)을 포함한다. The second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에 형성된 관절축(349)은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 링크부바디(347)에 형성된 관절축(349)는 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상기 관절축(349)은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The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는 재질의 탄성에 의해 휨변형이 가능하다. The one side
상기 제 2 커넥트링크부(346)가 상기 링크삽입공간(334)으로 삽입되어 제 커넥트링크부(336)과 결합될 때,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는 상기 사이공간(344)으로 휨변형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상기 제 2 관절링크(340)의 관절축(349)은 제 1 관절링크(330)의 관절축홀(339)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는 서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관절스토퍼(350)는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의 상대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관절스토퍼(350)를 통해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의 사이각을 제한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베인(210)을 보다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Sinc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절스토퍼(350)는 상기 관절링크(320)의 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 1 관절스토퍼(352)와, 상기 관절링크(32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 2 관절스토퍼(354)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의 후방 측 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제작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도 돌출되게 제작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 및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제한하려는 상대회전각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전방 측 외측면(35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후방 측 외측면(353)에 지지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연결링크의 구성><Configuration of connection link>
상기 연결링크(360)는 일측이 리지드링크(3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 2 베인(240)과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One side of the
상기 연결링크(360)는 연결링크바디(365)와, 상기 연결링크바디(36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4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연결링크결합부(361)와, 상기 연결링크바디(365)에 배치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연결링크결합부(362)를 포함한다. The connecting
상기 제 2 연결링크결합부(362)는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의 관통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 3 리지드링크축(313)은 상기 제 2 연결링크결합부(36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제 1 연결링크결합부(361)은 상술한 관절링크축(341)의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제 1 연결링크결합부(361)는 타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40)에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 1 연결링크결합부(361)는 상기 제 2 베인(24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 2 결합플랜지(244)에 결합된다. The first connecting
상기 제 1 연결링크결합부(361)는 제 3 베인결합부(246)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 3 베인결합부(246)에서 상기 제 2 베인(240)과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작동 예시도들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작동 예시도들이다. 8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joint link shown in FIG. 7, and FIG. 9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discharge vane shown in FIG.
<관절링크의 작동 설명> <Explanation of joint link operation>
도 8을 참조하여 관절링크(320)의 작동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상기 베인모터(220)가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켰을 때, 관절링크(320)는 도 8의 (a)와 같은 상태를 형성한다. When the
도 8의 (a) 상태에서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관절링크(320)는 도 8의 (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When rotating the
상기 베인모터(220)가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켰을 때, 관절링크(320)는 도 8의 (c)와 같은 상태를 형성한다. When the
도 8의 (a) 상태일 때,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전방 측 외측면(351)에 지지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절링크(340)는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다. When the state of Figure 8 (a), the first
도 8의 (c) 상태일 때,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후방 측 외측면(353)에 지지된 상태이다. 도 8의 (a)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절링크(340)가 관절축(34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에 의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할 때, 도 8의 (c)와 같은 상태를 형성한다. In the state of Figure 8 (c), the second
<리지드링크, 관절링크 및 연결링크의 작동 설명><Explanation of operation of rigid link, joint link and connecting link>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리지드링크, 관절링크 및 연결링크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rigid link, the joint link and the connecting lin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도 8의 (a) 및 도 9의 (a) 상태일 때, 토출베인(200)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토출베인(200)은 도 8의 (a) 및 도 9의 (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베인모터(220)는 리지드링크(310)를 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킨다. 이때, 링크스토퍼(314)는 보스스토퍼(232)의 일측단(233)에 지지된 상태이다. In the state of FIGS. 8A and 9A , the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전방 측 외측면(351)에 지지된 상태이다. 상기 관절링크(320)는 사이각을 형성하지 않고, 직선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The first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제 2 리지드링크축(312)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관절링크(320)는 제 1 관절링크축(33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The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토출구(102) 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210)의 하측면은 상기 커버패널(120)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도 9의 (a) 상태일 때, 상기 제 2 베인(240)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베인(240)은 복수개의 상기 결합플랜지(214)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에 위치된다. In the state (a) of FIG. 9 , the
그리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을 회전시키는 필요한 리지드링크(310), 관절링크(320) 및 연결링크(360)가 위치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 관절링크(320) 및 연결링크(360)는 상기 제 1 베인(210)에 의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And the
상기 도 9의 (a) 상태일 때, 제 2 링크결합부(362)는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도 9의 (a) 상태일 때,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최대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고, 상기 연결링크(360)는 최대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state (a) of FIG. 9 , the second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베인(240)은 제 1 베인(210)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 때 은닉된 상태이다. 상기 제 2 베인(240)은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그래서 상기 제 2 베인(240)은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토출유로(104)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대부분을 커버한다.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since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베인(210)이 토출구(210)의 대부분만을 커버하지만, 설계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이 상기 토출구(210)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9의 (b) 상태일 때, 상기 토출베인(200)은 수평풍을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9 (b), the
상기 수평풍은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제 1 베인(210)에 의해 안내되어 천장 또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상태로 정의한다.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공기의 유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wind is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은 연결되고,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베인(240)은 제 1 베인(210)의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40)의 전방측 단(242a)이 상기 제 1 베이(210)의 후방측 단(212a)에 근접 또는 접촉될 수 있다. When forming the horizontal wind, the
상기 전방측 단(242a) 및 후방측 단(212a)을 근접 또는 접촉시킴으로서,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 사이로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By bringing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측 단(242a) 및 후방측 단(212a)을 밀착시키되 접촉시키지는 않는다. 대신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 사이로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 2 베인(240)의 전방측 단(242a)을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베인(240)의 전방 측은 제 1 베인(210)에 오버랩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베인(240)의 상측면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면으로 안내될 수 있고, 공기의 저항 및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고,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42a)이 제 1 베인의 후방측(212a) 단에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토출공기가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에 부딪혀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Also, when forming a horizontal wind, at least a portion of the
그리고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이 연결되어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되기 때문에, 수평풍의 기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토출공기는 상기 제 2 베인(240)의 상면 및 제 1 베인(210)의 상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1개의 베인으로 수평풍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토출공기의 방향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And when forming a horizontal wind, since the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에 비해 상기 제 2 베인(240)은 좀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When forming a horizontal wind, the
도 9의 (a)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터(220)가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9의 (b)의 상태를 형성시킨다. 관절링크(320)는 제 1 관절링크축(33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In the state of Fig. 9 (a), the
수평풍을 토출하도록 제 1 베인(210)이 배치될 때,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제 1 리지드링크축(311)보다 낮게 위치된다. When the
상기 수평풍의 경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40)은 상기 토출구(102)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wind,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상기 제 1 베인(210)이 도 9의 (a)와 같은 높이에서 회전되는 경우, 토출공기와의 간섭으로 인해 제 1 베인(210)에 안내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든다.When the
본 실시예의 도 9의 (b)와 같이, 제 1 베인(210)이 토출구(102) 하측으로 하강된 후, 수평방향으로 정렬되어야 토출공기의 대부분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b) of this embodiment, after the
본 실시예에서는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의 회동을 통해 제 1 베인(210)을 토출구(102)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 1 베인(210)의 방향도 수평으로 형성킬 수 있다. 종래 실내기의 베인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없다. 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도 9의 (a)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터(220)가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리지드링크(310)에 결합된 연결링크(360)도 상기 리지드링크(310)와 함께 회전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연결링크(36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연결링크(360)에 결합된 제 2 베인(240)은 제 2 베인축(2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된다. When the
즉, 수평풍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도 9의 (a) 상태에서 도 9의 (b)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21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측으로 하강되고, 상기 제 2 베인(24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That is, to form a horizontal wind, when the state of FIG. 9 (a) is changed from the state of FIG. 9 (b) to the state of FIG. 9 (b), the
상기 수평풍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도 9의 (a) 상태에서 도 9의 (b)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의 회전방향은 반대로 형성된다. In order to form the horizontal wind, when the state of FIG. 9 (a) is changed to the state of FIG. 9 (b),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상기 제 2 베인(240)의 전방측 단(242a)과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a)이 근접 또는 접촉될 때,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정지된다.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 사이로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 2 베인(240)의 전방측 단(242a)을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discharge air from leaking between the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베인(240)의 전방 측은 제 1 베인(210)에 오버랩된다. 상기 제 2 베인(240)의 전방측이 제 1 베인(210)의 후방측에 겹쳐지기 때문에, 토출유로(104)를 따라 유동되는 토출공기가 상기 제 2 베인(240)의 전방측 단(242a) 및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a) 사이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front side of the
수평풍을 형성하는 도 9의 (b) 상태일 때, 상기 연결링크(360),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모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When the state of Figure 9 (b) to form a horizontal wind, the connecting
상기 연결링크(360)의 제 1 연결링크결합부(361)는 상기 제 2 연결링크결합부(36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링크(36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first connection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관절링크(320)의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제 1 관절링크축(331)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관절링크(320)는 직선형태로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first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를 통해 수평풍을 형성할 때, 제 1 베인(210)이 토출구(102)의 하측에 위치되게 하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제공할 수 있다. When forming a horizontal wind through the
상기 제 1 베인(210)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When the
상기 제 1 베인(210)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케이스(100)의 저면(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패널(12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커버패널(120)의 저면보다 더 하측에 위치된다. When the
수평풍을 형성하는 도 9의 (b)의 상태에서 제 1 베인(210)은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제 1 베인(210)에 부딪혀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도 9의 (b) 상태에서 베인모터(220)를 통해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9의 (c)와 같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도 9의 (b) 상태에서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좀 더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고, 상기 제 2 베인(240)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As the
도 9의 (c)의 토출베인(200)은 토출공기를 수직 및 수평 사이의 경사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경사풍으로 정의한다. The
도 9의 (c)의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은 모두 상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되, 경사각이 다르게 배치된다. In the state of FIG. 9(c), both the
상기 제 1 베인(210)은 제 2 베인(240)과 비교할 때, 좀 더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240)은 상기 제 1 베인(210)과 비교할 때, 좀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The
도 9의 (c)의 상태에서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이 일렬로 배치될 때,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 관절축(349) 및 제 2 관절링크축(341)도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ure 9 (c), the second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이 일렬로 배치된 상태 이후로, 상기 베인모터(220)를 통해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관절링크축(341)을 통해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가 상대회전되기 시작한다. After the second
도 9의 (c)의 상태에서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소정이 사이각(B)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B)은 0도 초과 9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B)은 리지드링크 및 관절링크의 길이 또는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ure 9 (c), the
도 9의 (c)의 상태에서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9의 (d)와 같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도 9의 (c) 상태에서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좀 더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When the
도 9의 (d)와 같은 상태일 때, 토출베인(200)은 수직풍을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제 1 베인(210)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향 하측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수직풍으로 정의한다. When the state as shown in (d) of Figure 9, the
상기 수직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은 천장 또는 지면과 교차 또는 직교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When forming the vertical wind,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풍은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회전되었을 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천장 또는 지면에 거의 수직하게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vertical wind is formed when the
도 9의 (c) 상태에서 도 9의 (d)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40)은 제 2 베인축(2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된다. When changing from the state (c) of FIG. 9 to the state (d) of FIG. 9 , the
도 9의 (c) 상태에서 도 9의 (d)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도 9의 (b), 도 9의 (c) 상태로 변경될 때와 달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When the state of FIG. 9 (c) is changed to the state of FIG. 9 (d), the
도 9의 (c)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이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베인(2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Since the
이를 위해 상기 관절링크(320)가 배치된다. For this, the
상기 도 9의 (d)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후방 측 외측면(353)에 지지되고,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다. 또한,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보스스토퍼(232)의 타측단(234)와 상호 간섭되어 지지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다. In the state of Figure 9 (d), the second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 관절축(349)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이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절축(349)이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는 도 9의 (d) 상태를 형성시킨다.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상기 관절축(349)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은 제 2 관절링크축(3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된다. As the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9의 (d)의 상태에서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는 소정의 사이각(C)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C)은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C)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9 (d) to form a vertical wind, the second
상기 사이각(D)은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또는 제 2 관절링크축(341)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ngle D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9의 (d)의 상태에서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는 소정의 사이각(D)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D)은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D)은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9 (d) to form a vertical wind, the first
상기 사이각(D)은 제 1 관절링크 및 제 2 관절링크의 길이 또는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ngle (D)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joint link and the second joint link or the position of the axis of rotation.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9의 (d)의 상태에서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9 (d) to form a vertical wind, the first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9의 (d)의 상태에서 제 1 리지드링크축(311), 제 2 관절링크축(341) 및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일렬 또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ure 9 (d) to form a vertical wind, the first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9의 (d)의 상태에서 리지드링크(310)는 보스스토퍼(232)에 지지된 상태이고, 관절링크(320)는 관절스토퍼(350)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가 제 1 베인(210)에 부딪혀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9 (d) to form a vertical wind, the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9의 (d)의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링크결합부(361), 제 2 연결링크결합부(362) 및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은 순서대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9 (d) to form a vertical wind, the first connection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기준으로, 수직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연결링크결합부(362)가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및 제 1 연결링크결합부(361)와 일렬로 배치될 때까지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Based on the
한편, 상기 토출베인(200)이 수직풍을 형성할 때, 리지드링크(310)는 보스스토퍼(232)에 지지된 상태이고, 관절링크(320)는 관절스토퍼(350)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 1 베인(210)에 가해진 외력을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로 분산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본 발명은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가 관절축(349)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180도 이하의 상기 사이각(D)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베인바디(212)의 후방측 단(212a)을 보다 토출구 측으로 근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후방측 단(212a)이 상승되어 모터케이스(105)가 있는 높이까지 상승되고, 이를 통해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직방향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를 통해 수직풍을 형성할 때, 제 1 베인(210)의 일부를 토출구(102) 측에 밀착 또는 삽입시키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토출공기를 수직풍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210)의 일부가 토출구(102)에 밀착 또는 삽입되지 않는 경우, 일부 공기가 수직풍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When forming a vertical wind through the
또한,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제 1 관절링크축(311)을 관절축(349)과 유사한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베인바디(212)의 후방측 단(212a)을 보다 토출구(102) 측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또한,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는 관절축(349)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관절링크(320) 및 리지드링크(31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베인을 제어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a discharge van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토출베인의 이슬맺힘을 억제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제어방법이다.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ntrol method for suppressing or minimizing dew formation of the discharge vane.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냉방운전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 이후에, 토출베인(200)의 토출각도가 수평풍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0단계가 냉방운전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을 만족하는 경우, 케이스(100)에 배치된 이미지센서(400)를 통해 제 1 베인(210) 또는 제 2 베인(240)의 이슬맺힘을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200)의 현재 각도를 유지하는 단계(S45)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200)의 각도를 변경하는 단계(S50)와, 상기 S50단계 후 변경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0)와, 상기 S60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S3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performing a cooling operation (S10), and after the step S10, determining whether the discharge angle of the
여기서 상기 S20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200)의 현재 각도를 유지한다.(S25)Here, if the S2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angle of the
그리고 상기 S30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200)의 현재 각도를 유지한다.(S35)And if the S3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angle of the
그리고 상기 S60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200)의 현재 각도를 유지한다.(S65)And if the S6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angle of the
상기 S10 단계는 제어부(301)가 상기 공기조화기를 냉방운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냉방운전은 설정된 실내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통해 실시될 수도 있다.The step S10 is a step in which the
상기 냉방운전 시, 압축기가 구동되고, 상기 압축기에 압축된 냉매는 실외기의 실외열교환기에서 응축된 후, 실내기에 공급된다. 실내기로 공급된 응축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팽창되고, 실내공기를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된 실내공기는 실내기의 송풍팬(140)에 의해 실내로 토출된다.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he compressor is driven, and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is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the outdoor unit and then supplied to the indoor unit. The condensed refrigerant supplied to the indoor unit is expanded in the
상기 송풍팬(140)의 작동에 의해 흡입구(101)를 통해 실내공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고, 토출구(102)를 통해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된다. By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토출베인(200)의 베인모터(220)를 제어하여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의 위치 및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S20 단계는 상기 토출베인(200)이 수평풍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수평풍은 상기 도 9의 (b) 상태를 의미한다. In step S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상기 S20 단계는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상기 토출구의 하측으로 하강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하나의 수평풍안내면(201)을 형성하는지를 판단한다. The step S20 is performed after the step S10,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lowered to the lower side of the outlet, a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in contact or overlap to form a single horizontal
상기 수평풍은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제 1 베인(210)에 의해 안내되어 천장 또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상태로 정의한다. 상기 수평풍은 토출공기의 유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차가운 공기가 직접 제공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horizontal wind is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수평풍은 사용자에게 직접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풍 형태로 실내공기를 냉각시킨다. The horizontal wind cools the indoor air in the form of an indirect wind rather than directly discharging air to the user.
상기 S20 단계는 상기 토출베인(200)이 수평풍 상태로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In step S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30 단계로 이행된다.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현재의 토출베인(200)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25)When the step S20 is satisfi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tep S30. If the step S2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state of the
상기 S25는 상기 토출베인(200)이 경사풍, 수직풍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S25, the
상기 S30 단계는 냉방운전이 제 1 냉방운전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In step S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oling operation exceeds the first cooling operation tim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냉방운전 시간은 10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 1 내방운전 시간은 설치환경 또는 설치되는 위도에 따라 본 실시예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oling operation time is set to 10 minutes, and the first interior operation time may be set differently from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r the installed latitude.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40 단계로 이행된다.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현재의 토출베인(200)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35)When the step S30 is satisfi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tep S40. If the step S3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state of the
토출베인(200)이 수평풍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냉방운전이 제 1 냉방운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에는 이슬이 맺힐 수 있다. When the cooling operation exceeds the first cooling operation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서 토출베인(200)이 수평풍을 형성하면,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이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하나의 수평풍안내면(20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평풍안내면(201)의 상측에서는 차가운 공기가 유동되고, 하측에서는 이보다 따뜻한 실내공기가 배치된다. When the
이와 같이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되는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기 다른 온도의 공기가 제 1 냉방운전 시간 이상 형성되는 경우, 온도차로 인해 제 1 베인 또는 제 2 베인에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ir of different temperatures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종래 베인의 경우 베인의 일측 및 타측이 동일한 온도의 토출공기와 접촉되지만, 본원발명은 수평풍을 형성할 때,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의 상측 및 하측 공기의 온도차가 명확하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van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ane are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air of the same temperatur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rizontal wind is forme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ir of the
이는 수평풍을 형성할 때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의 상측에 형성된 수평풍안내면(201)을 통해서만 냉각된 공기가 유동되고, 하측으로는 냉각된 토출공기가 유동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when the horizontal wind is formed, the cooled air flows only through the horizontal
상기 S40 단계는 이미지센서(400)를 통해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의 이슬맺힘을 판단한다. 상기 이미지센서(400)는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패널(120)에 배치된다. 상기 이미지센서(400)는 카메라모듈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400)는 상기 커버패널(1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In step S40 , dew formation is determined on the
상기 이미지센서(400)는 하측으로 돌출된 돔형태일 수 있다.The
상기 이미지센서(400)는 흡입그릴(122)의 중앙에 배치되고, 4개의 토출베인(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인식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센서(400)는 360도 전방향에 대해 이미지를 센싱한다. The
상기 S40 단계는 상기 이미지센서(400)로부터 각 토출베인(200)의 이미지를 프로세싱하는 단계(S42)와, 상기 S42 단계에서 획득된 이미지에서 이슬맺힘을 판단하는 단계(S44)를 포함한다. The step S40 includes processing an image of each
상기 S42 단계는 상기 제어부(301)가 상기 이미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이미지를 프로세싱하고, 이를 저장한다. In step S42, the
상기 S44 단계는 저장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에 맺힌 이슬의 직경이 기준크기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The step S44 reads the stored image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ameter of the dew formed o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크기는 1mm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size is 1 mm.
상기 S40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S50 단계로 이행된다.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S45 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S45 단계는 현재의 토출베인(200)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If the step S40 is satisfi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0. If the step S40 is not satisfi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tep S45,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상기 S50 단계는 제 1 토출베인(210) 또는 제 2 토출베인(240)의 이슬맺힘을 예방 또는 제거하기 위해 수평풍 상태에서 경사풍으로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의 배치를 변경하는 단계이다. The step S50 is to prevent or remove dew formation of the
상기 S50 단계에서 제어부는 베인모터(220)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이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수평풍안내면(201)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S50 단계는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40)을 분리시킨다.In step S50,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상기 토출베인(200)이 수평풍 상태에서 경사풍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면 및 하측면으로 냉각된 토출공기가 안내되고, 상기 제 2 베인(240)의 상측면 및 하측면으로 냉각된 토출공기가 안내된다. When the
상기 경사풍은 도 9의 (c)에 도시된 상태이다. The inclined wind is the state shown in FIG. 9(c).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S50 단계는 상기 수평풍 상태에서 수직풍(도 9의 (d)) 상태로 토출베인을 변경시켜도 무방하다. 수직풍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제 1 베인(210)의 하측면 및 제 2 베인(240)의 하측면에 보다 많은 양의 냉각된 토출공기가 제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S50 단계의 변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Unlike this embodiment, in step S50, the discharge vane may be changed from the horizontal wind state to the vertical wind state (FIG. 9(d)). When the vertical wind is changed, a larger amount of cooled discharge air may be provi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S60 단계는 상기 S50 단계의 변경시간을 판단한다. 상기 S50 단계의 변경시간이 기준변경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변경시간은 1분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대습도, 설치장소 또는 위도에 따라 상기 기준변경시간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e step S60 determines the change time of the step S5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nge time of step S50 exceeds the reference change time.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change time is 1 minute. Unlike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change tim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relative humidity, installation location, or latitude.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S30 단계로 리턴된다.If step S60 is satisfi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현재의 토출베인(200)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65)If the step S60 is not satisfied, the current state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토출베인이 수평풍으로 작동될 때, 제 1 베인 또는 제 2 베인의 이슬맺힘을 예방 또는 제거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or remove dew formation on the first vane or the second vane when the discharge vane is operated in a horizontal wind.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운전 시, 수평풍으로 작동될 때, 제 1 베인(210) 또는 제 2 베인(240)의 맺힌 이슬을 이미지센서(400)를 통해 직접 검출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이슬맺힘을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o directly detect the dew formed o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이슬맺힘을 직접 확인한 후, 수평풍에서 경사풍으로 소정시간동안 전환되기 때문에, 수평풍의 제공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사풍의 제공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rectly checks the dew formation and then switches from the horizontal wind to the inclined win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rovision time of the horizontal wind, and to provide the inclined wind that the user does not want. can be suppress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케이스 101 : 흡입구
102 : 토출구 103 : 흡입유로
104 : 토출유로 110 : 케이스하우징
120 : 커버패널 130 : 실내열교환기
140 : 실내송풍팬 200 : 토출베인
210 : 제 1 베인 220 : 베인모터
230 : 보스 232 : 보스스토퍼
240 : 제 2 베인 241 : 제 2 베인축
310 : 리지드링크 311 : 제 1 리지드링크축
312 : 제 2 리지드링크축 314 : 링크스토퍼
315 : 리지드링크바디 320 : 관절링크
330 : 제 1 관절링크 331 : 제 1 관절링크축
340 : 제 2 관절링크 341 : 제 2 관절링크축
349 : 관절축 350 : 관절스토퍼
352 : 제 1 관절스토퍼 354 : 제 2 관절스토퍼
360 : 연결링크 361 : 제 1 연결링크결합부
362 : 제 2 연결링크결합부 365 : 연결링크바디100: case 101: intake port
102: discharge port 103: suction flow path
104: discharge flow path 110: case housing
120: cover panel 130: indoor heat exchanger
140: indoor blowing fan 200: discharge vane
210: first vane 220: vane motor
230: boss 232: boss stopper
240: second vane 241: second vane shaft
310: Rigid Drink 311: First Rigid Drink Shaft
312: second rigid drink shaft 314: link stopper
315: rigid drink body 320: joint link
330: first joint link 331: first joint link axis
340: second joint link 341: second joint link shaft
349: joint axis 350: joint stopper
352: first joint stopper 354: second joint stopper
360: connecting link 361: first connecting link coupling unit
362: second connection link coupling part 365: connection link body
Claims (10)
상기 토출베인은, 상기 토출구에 대하여 전방 측에 위치되고,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대하여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 2 베인축을 통해 상기 케이스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회전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방운전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상기 토출구의 하측으로 하강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하나의 수평풍안내면을 형성하는 수평풍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수평풍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S10단계가 냉방운전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이미지센서를 통해 상기 제 1 베인 또는 제 2 베인의 이슬맺힘을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각도를 변경하는 단계(S50);
상기 S50단계 후 변경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상기 S60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S3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은 접촉 또는 오버랩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연결되어 하나의 수평풍안내면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베인의 각도를 변경하는 단계(S50)는, 연결되어 상기 수평풍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분리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a case in which the inlet and outlet are formed on the bottom; and a discharge vane disposed in the case and guid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he discharge vane may include: a first van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ort and guid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 second van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outle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through a second vane shaft coupled to the case; In the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a vane motor installed in the cas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cooling operation (S10);
After the step S10,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descend to the lower side of the outlet, a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contact or overlap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horizontal wind forming one horizontal wind guide surface. step (S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orizontal wind, determining whether the step S10 exceeds the cooling operation time (S30);
If the S30 is satisfied, determining the dew formation of the first vane or the second vane through the image sensor disposed in the case (S40);
if the step S40 is satisfied, changing the angle of the discharge vane (S50);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time has elapsed after the step S50 (S60);
When the S60 is satisfied, returning to the step S30;
When forming the horizontal wi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contact or overlap, a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connected to form one horizontal wind guide surface,
The step (S50)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discharge vane is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vanes that are connected to form the horizontal wind are separated.
상기 S20, S30, S40, S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현재각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t least one of S20, S30, S40, and S60 is not satisfied,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maintains the current angle of the discharge vane.
상기 S40 단계는,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의 이미지를 프로세싱하는 단계(S42); 상기 S42 단계에서 획득된 이미지에서 이슬맺힘을 판단하는 단계(S44);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S40 is,
processing images of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from the image sensor (S42);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determining dew formation in the image obtained in step S42 (S44).
상기 수평풍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접촉 또는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S50 단계는 상기 베인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 및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을 이격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provide the horizontal wi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contact or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step S50,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are spaced apart by operating the vane motor.
상기 S20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현재각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20 is not satisfied,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maintains the current angle of the discharge vane and returns to the step S10.
상기 S30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현재각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S30 단계로 리턴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30 is not satisfied,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maintains the current angle of the discharge vane and returns to the step S30.
상기 S40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현재각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S40 단계로 리턴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S40 is not satisfied,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maintains the current angle of the discharge vane and returns to the step S40.
상기 S60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베인의 현재각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S60 단계로 리턴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S60 is not satisfied,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maintains the current angle of the discharge vane and returns to the step S6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2583A KR102425867B1 (en) | 2017-10-30 | 2017-10-30 |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2583A KR102425867B1 (en) | 2017-10-30 | 2017-10-30 |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8077A KR20190048077A (en) | 2019-05-09 |
KR102425867B1 true KR102425867B1 (en) | 2022-07-26 |
Family
ID=6654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2583A KR102425867B1 (en) | 2017-10-30 | 2017-10-30 |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586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4030A (en) * | 2020-06-11 | 2021-1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N112378070B (en) * | 2020-11-16 | 2021-11-30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42182A (en) * | 2010-08-23 | 2012-03-01 | Toshiba Corp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JP2014016132A (en) * | 2012-07-11 | 2014-01-30 | Panasonic Corp | Air conditioner |
JP2017072497A (en) * | 2015-10-08 | 2017-04-13 |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 Droplet amount measuring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82920B2 (en) * | 1991-09-05 | 1999-04-19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5611694B2 (en) | 2010-07-23 | 2014-10-22 | 三洋電機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
2017
- 2017-10-30 KR KR1020170142583A patent/KR10242586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42182A (en) * | 2010-08-23 | 2012-03-01 | Toshiba Corp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JP2014016132A (en) * | 2012-07-11 | 2014-01-30 | Panasonic Corp | Air conditioner |
JP2017072497A (en) * | 2015-10-08 | 2017-04-13 |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 Droplet amount measuring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8077A (en) | 2019-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46110B1 (en) |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and blade unit applying the same | |
KR102600958B1 (en) | Air Conditioner | |
AU2018330131B2 (en) |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EP2498019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EP2498018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168584B1 (en) |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 |
EP2997312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425866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 |
KR102454762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11094856B (en) | Air conditioner | |
KR102476796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425867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 |
JP6641606B2 (en) |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 |
KR102521295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053148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451312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451314B1 (en) | Air Conditioner | |
KR102461796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392956B1 (en) | Air Conditioner | |
KR102392958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5803974B2 (en) | Decorative panel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quipped with the same | |
KR102451313B1 (en) | Air Conditioner | |
KR102168581B1 (en) | Indoor unit of celling type air conditioner | |
EP4269884A1 (en) | Air conditioner | |
JP6721871B2 (en) |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