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009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1009B1 KR102401009B1 KR1020150167359A KR20150167359A KR102401009B1 KR 102401009 B1 KR102401009 B1 KR 102401009B1 KR 1020150167359 A KR1020150167359 A KR 1020150167359A KR 20150167359 A KR20150167359 A KR 20150167359A KR 102401009 B1 KR102401009 B1 KR 102401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touch area
- mobile terminal
- area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1—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in the bulk of the light guid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9—FTIR in optical digitiser, i.e. touch detection by frustrating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within an optical waveguide due to changes of optical properties or deformation at the touch 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획득하는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1 터치영역의 일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2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1 터치센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2 터치센서; 상기 제1,2 터치센서의 후면에 위치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전파하는 도광판본체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휘도(brightness)가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도광판본체의 상기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되, 크기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이 상이한 복수의 윈도우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휘도(brightness)를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글래스에서 지문을 인식할 수 있으면서 균일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에 지문인식 기술을 도입하여, 이동 단말기의 보안이 강화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지문을 인식하는 센서는 이동 단말기에 글래스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가 많으나,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과 공간 활용을 위해 글래스에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의 지문은 골과 마루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과 마루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분해능을 가지는 센서가 글래스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글래스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우려된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글래스에서 지문을 인식할 수 있으면서 균일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획득하는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1 터치영역의 일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2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1 터치센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2 터치센서; 상기 제1,2 터치센서의 후면에 위치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전파하는 도광판본체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휘도(brightness)가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된 크기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이 상이한 복수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는, 상기 제2 터치센서에 제공되는 상기 빛의 휘도가 상기 제2 터치센서 외부 영역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 보다 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센서는, 상기 제1 터치센서 상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의 속성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경계를 중심으로 불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밀도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제1,2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 대응된 상기 제1 윈도우 속성과 상기 제2 터치영역 외에 대응된 상기 제2 윈도우 속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상기 제1 터치영역에 대응된 윈도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상기 속성이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영역은, 상기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영역은, 상기 글래스의 엣지(edge)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2 터치영역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하거나, 상기 제2 터치영역에 위치하는 아이콘에 대응된 영역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를 다르게 활성화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제2 터치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아이콘을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로 옮기는 제1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제2 터치센서를 통해 획득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모드를 다르게 활성화 하는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획득하는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1 터치영역의 일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2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1 터치센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2 터치센서; 상기 제1,2 터치센서의 후면에 위치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전파하는 도광판본체, 상기 도광판본체의 일 면에 형성되되, 상기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윈도우 및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휘도와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도광판본체의 내부 위치하여 빛을 산란하는 광확산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광확산입자는, 상기 도광판 내부 영역 중 상기 제1 터치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공간상 밀도와 상기 제2터치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공간상 밀도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광확산입자의 공간상 밀도는, 상기 제2 터치영역의 경계를 중심으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광확산입자 중 상기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한 제1, 2 광확산입자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 대응된 상기 제1 광확산입자의 위치에서의 공간상 밀도와 상기 제2 터치영역 외에 대응된 상기 제2 광확산입자의 위치에서의 공간상 밀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글래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글래스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인이동 단말기의 각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6은, 도 3과 4의 이동 단말기 각각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12는 글래스에서 제2 터치영역의 위치에 관한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에서 제1, 2터치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터치센서의 정전 용량과 구동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터치센서의 신호전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터치센서의 센싱전극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내지 21은 여러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내지 24는 지문 인식 기능이 없는 이동 단말기의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는 도 7의 이동 단말기에서 윈도우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에서 광확산입자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에서 하부패턴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에서 윈도우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에서 광확산입자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8의 이동 단말기에서 하부패턴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해 잠금 상태에서 접근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정보의 제공 여부에 따라 실행 모드가 달라지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이콘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정보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링크된 아이콘이 제2 터치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작동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지문정보의 이용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인이동 단말기의 각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6은, 도 3과 4의 이동 단말기 각각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12는 글래스에서 제2 터치영역의 위치에 관한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에서 제1, 2터치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터치센서의 정전 용량과 구동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터치센서의 신호전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터치센서의 센싱전극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내지 21은 여러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내지 24는 지문 인식 기능이 없는 이동 단말기의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는 도 7의 이동 단말기에서 윈도우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에서 광확산입자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에서 하부패턴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에서 윈도우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에서 광확산입자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8의 이동 단말기에서 하부패턴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해 잠금 상태에서 접근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정보의 제공 여부에 따라 실행 모드가 달라지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이콘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정보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링크된 아이콘이 제2 터치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작동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지문정보의 이용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2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케이스(2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서 이동 단말기는 Z축 방향으로 전면을 향하고, Y축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상부를 나타내며 X축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오른쪽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글래스(300), 제1터치센서(402), 제2터치센서(404), 광시트(420), 도광판(430), 반사시트(440), 프레임(500), 백커버(510), 및 PCB(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터치센서(402)는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제2터치센서(404)는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가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는 방식은 스와이프(swipe) 방식 및 정적(static/area)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PCB(520)는 제1, 2터치센서(402, 404)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 및 지문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a 및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는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글래스(300)에서 도광판(430) 사이의 두께가 이동 단말기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글래스(300)에서 도광판(430) 사이의 두께가 이동 단말기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글래스(300)는 화면을 구성하며, 도광판(430)은 광원(미도시)으로부터 광선(light ray)을 제공받아 제1, 2 터치센서(402, 404)에 제공한다. 제1, 2 터치센서(402, 404)를 통과한 광선은 글래스(300)로 방출된다. 광시트(420)는 도광판(430)과 제1, 2 터치센서(402, 40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440)는 도광판(430)으로부터 후면(Z축의 음의 방향)으로 향하는 광선을 반사시켜 글래스(300)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도 5와 6은 각각 도 3 과 4의 이동 단말기의 측단면도이다. 이동 단말기는 도광판(430)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410)과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411)를 포함할 수 있다.도광판(430)은 그 자체가 빛을 제공하지 않는다. 도광판(430)은 광원(410)으로부터 광선을 제공받고, 도광판(430)에 주입된 광선(light ray)의 일부는 바로 글래스(300)로 향하게 되고, 나머지 광선은 도광판(430) 내부에서 반사하며 진행하는 도중에 제1, 2 터치센서(402, 404)로 향하게 된다.
도광판(430)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은 공기보다 높으므로, 임계각(critical angle)보다 작은 각도로 도광판(430)의 표면을 향하는 광선은 전반사를 하며 도광판(430) 내부에서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광원(410)으로부터 광선이 진행하게 된다. 도광판(430)으로부터 제1, 2 터치센서(402, 404)로 향하는 광선에 대하여는 후술하게 된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Y축을 따라 Z방향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Y축을 따라 Z방향의 두께가 일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일체로 형성되어 두께가 일정하더라도, 제1, 2 터치센서(402, 402)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센싱전극의 밀도 차이는, 도광판(430)에서 제1, 2 터치센서(402, 404)로 제공되는 광량이 균일할 경우, 글래스(300)에 제공되는 광량이 불균일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7은 글래스(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터치영역(320)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영역(300)은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터치영역(33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touch 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은 사용자의 지문(finger print)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이 디스플레이 영역(300)의 하부에 있으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다룰 때 편리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이동 단말기에 등록된 경우 편리할 수 있다.
도 8은 글래스(300)의 하부에 위치하되 좌우의 엣지(edge)에 접하지 않는 제2 터치영역(320)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이 디스플레이 영역(300)의 하부에 있으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지문을 인식시키기 용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제2 터치영역(320)을 사용하는 영역은 디스플레이 영역(300)의 엣지(310)에 접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으로 가정한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이 글래스(300)상에 위치하여도 사용자가 지문을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영역(320)의 넓이가 줄어들면 이동 단말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9는 글래스(300)의 하부에 위치하되 오른쪽 엣지에 접하는 제2 터치영역(320)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가 왼손잡이인 경우보다 많으며, 엄지손가락을 지문인식에 등록한 경우, 제2 터치영역(320)을 글래스(300)의 오른쪽 아래에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기술적 구현성도 높일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터치영역(320)을 글래스(300)의 왼쪽 아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왼손잡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글래스(300)의 측면 엣지(edge)에 위치하는 제2 터치영역(320)을 나타내며, 도 11은 글래스(30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터치영역(320)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300)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고 있으나, 글래스의 엣지(310)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의 두께는 제1 터치영역(330)의 두께에 비하여 클 수 있으므로, 제2 터치영역(320)을 엣지(310)에 접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글래스(300)의 중앙에 구현하는 것에 비하여 기술적으로 용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별도의 글래스인 독립패널(370)로 제공되는 제2 터치영역(320)을 도시한다. 여기서 독립패널(370)은 글래스(300)의 구동과는 별개의 제어에 의함을 의미한다. 도 12에서 형상으로 구분하여 보면, 글래스(300)은 직사각형의 패널로 형성되는 반면, 독립패널(370)은 글래스(300)에 접하여 형성되며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독립패널(370)은 글래스(300)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므로, 글래스(300)는 활성화와 비활성화의 단계가 있으나 독립패널(370)은 항상 활성화 단계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터치영역(320)이 독립패널(370)상에 형성되면, 글래스(3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독립패널(37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문을 인식시킴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에서 제1, 2 터치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은 사용자의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지문(finger print)은 골(valley)과 마루(ridge)의 간격보다 촘촘한 분해능(resolution)을 가져야 하므로 지문의 획득에 필요한 전송라인(Tx-line, 406)과 수신라인(Rx-line, 408)의 밀도가 제1 터치영역(330)에서의 전송라인과 수신라인의 밀도보다 높게 요구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의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분(line segment)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은 센싱전극으로 칭할 수 있다. 즉 제1 터치센서(402)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는, 제2 터치센서(404)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제1, 2 터치센서(402, 404)가 터치(touch)를 감지하는 방식은, 터치 여부에 따라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 사이의 정전용량(capacitance)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가 제1 터치센서(402)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보다 높게 요구될 수 있으므로,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터치센서(404)에서의 정전용량이 제1 터치센서(402)에서의 정전용량보다 높을 수 있다. 즉 C2가 C1 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터치센서(404)의 전송라인(406)에 송신되는 구동펄스(drive pulse) 세기(intensity)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의 전송라인(406)에 송신되는 구동펄스 세기와 다를 수 있다. 즉 V2가 V1보다 높을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가 제1 터치센서(402)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보다 높게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터치센서(404)에서 전송라인(406)에 신호를 전송하는 간격(time interval for transmitting signal)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에서 전송라인(406)에 신호를 전송하는 간격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터치센서(404)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는 제1 터치센서(402)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보다 3배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의 (a) 에서, Tx-line1과 Tx-line2는 제1 터치센서(402)에서의 전송라인(406)을 지시한다. 도 15의 (b)에서 Tx-line1,1 내지 Tx-line1,3는 제2 터치센서(404)에서의 전송라인(406)이되 Tx-line1에 대응되는 전송라인(406)이다. 마찬가지로 Tx-line2,1 내지 Tx-line2,3는 제2 터치센서(404)에서의 전송라인(406)이되 Tx-line2에 대응되는 전송라인(406)이다. 즉 도 15의 (b)에서 제2 터치센서(404)의 전송라인(406) 간격은 제1 터치센서(402)의 전송라인의 간격에 비해 3배 작을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의 전송라인(406)의 간격이 제1 터치센서(402)의 전송라인의 간격에 비해 3배 작을 경우, 동일한 사이클(cycle)로 입력을 획득하기 위해서 제2터치센서(404)의 각 전송라인(406)에 할당되는 전송시간(T2)은 제1 터치센서(402)의 각 전송라인(406)에 할당되는 전송시간(T1)에 비해 3배 적을 수 있다. 즉 T1은 T2의 3배일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는, 제1 터치센서(402)과 비교하여 자주 신호를 변경하며 전송하여야 하므로, 제1 터치센서(402)에 비하여 전력을 많이 소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터치센서(404)는 필요할 때에만 가동하는 것이 전력소비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는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제1 터치센서(402)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2 터치영역(320)을 터치하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를 터치함이 감지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의 제2 터치센서(404)가 활성화될 수 있다.
글래스를 모두 제2 터치영역(320)으로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의 개수가 너무 많아지므로 이동 단말기 자체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도록 별도의 전송라인과 수신라인을 설치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는 제1 터치영역(330)에 대응되도록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도록 별도의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을 설치하여 제2 터치센서(40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를 구성하는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은 ,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패턴(diamond pattern)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는, 예를 들어 도 xx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영역(330)에 대응하되, 12개의 전송라인(406)과 9개의 수신라인(408)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은 다이아몬드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의 패턴이 가질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는 제1 터치센서(4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에 형성된 각각의 다이아몬드 패턴 내부에 복수개의 전송라인(406) 또는 수신라인(408)을 설치함으로써, 제2 터치센서(404)가 제1 터치센서(40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의 (a)와 (b)는, 도 3의 이동 단말기에서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 외부의 영역과 제2 터치영역(320)을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글래스(300)에서 광시트(420)까지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c)는, 도 4의 이동 단말기에서 제2 터치영역(320)을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글래스(300)에서 광시트(420)까지 나타낸 도면이다.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 외부 영역은, 글래스(300), 제1 터치센서(402) 및 광시트(420)를 포함하여 두께를 형성한다. 제1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제2 터치영역(320)은,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300), 제1 터치센서(402), 제2 터치센서(404) 및 광시트(420)를 포함하여 두께를 형성한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제2 터치영역(320)은,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300), 제1 터치센서(402) 및 광시트(420)를 포함하여 두께를 형성한다.
도 17의 (a)와 (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 외부 영역의 두께를 D1이라 하고 제2 터치영역(320)의 두께를 D2라 하면, 제2 터치센서(404)의 두께로 인하여 D2가 D1에 비하여 더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에서 Z축을 향하는 두께는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기존에 도광판에서 Z축을 향하는 두께가 균일함을 전제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하는 경우, 제2 터치영역(320)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머지 영역보다 두꺼울 수 있으므로 제2 터치영역(320)이 나머지 영역보다 어두워 보일 수 있다.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제1 터치영역(330)의 두께와 제2 터치영역(330)의 두께는 모두 D3라 할 수 있으며 동일하다. 그러나,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 외부 영역에 대응되는 제1터치센서(402)의 밀도는,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제1, 2 터치센서(402, 404)의 밀도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도광판을 이용하는 경우, 제2 터치영역(320)이 나머지 영역보다 어두워 보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도광판(430)은 도광판본체(431)와 윈도우(4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본체(431)의 일측에는 광원(410)이 위치하여 도광판본체(431)에 대해 광선(light-ray)을 제공할 수 있다. 도광판본체(431)는 글래스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광원(410)으로부터 광선을 제공받아 반사시키며 전파(propagation)시킬 수 있다. 도광판본체(431)의 굴절율(refractive index)은 공기의 굴절율에 비하여 크므로 도광판본체(431)의 내부에서 진행하는 광선의 적어도 일부는 전반사될 수 있다.
윈도우(433)는 도광판본체(431)에 형성되되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433)는, 도 19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광판본체(431)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기(protrude)의 형상이거나, 도 19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광판본체(431)의 표면에서 내부로 공간이 형성되는 홀(hole)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윈도우(433)은 돌기와 홀(hole)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433)는,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본체(431)의 표면에서 글래스를 향해 연장된 형상의 벽(wall)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광판본체(431)의 표면과 벽의 각도는 a라 할 수 있다. 여기서 a 각도가 예각인 경우와 직각인 경우 그리고 둔각인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a 각도가 직각인 경우, 윈도우(433)는 기둥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단면이 원인 경우 원기둥이 될 수 있다. a 각도가 둔각이고 단면이 원인 경우, 윈도우(433)는 원뿔대(truncated cone)의 형상이 될 수 있다. a 각도가 예각이고 단면이 원인 경우, 윈도우(433)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원뿔대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윈도우(433)의 굴절율(refractive index)은 도광판본체(431)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a 각도에 따라 윈도우(433)에서 방출하는 빛의 양이 정해질 수 있다.
윈도우(433)는,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본체(431)의 표면에서 내부로 공간이 형성되는 홀(hole)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도광판본체(431)의 표면에서 내부로 향해 연장된 형상의 벽(wall)을 형성할 수 있고, 도광판본체(431)의 표면과 벽의 연장선과의 각도는 a라 할 수 있다. 윈도우(433)의 굴절율(refractive index)은 도광판본체(431)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a각도에 따라 윈도우(433)에서 방출하는 빛의 양이 정해질 수 있다.
윈도우(433)가 홀(hole)의 형상인 경우, 도 14의 (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벽의 연장선과 도광판본체(431)의 표면 사이 각도인 a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410)에 가까운 벽의 경우 a 각도가 둔각으로 형성되고 광원(410)으로부터 멀리 있는 벽의 경우 a 각도가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에 따라 a 각도가 달리함으로써 광원(41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글라스에 제공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광판본체(431)의 내부에서 진행하는 광선이 윈도우(433)에 입사하면, 도광판본체(431)의 표면과 다른 입사각(injection angle)을 가지므로 전반사하지 않고 투과될 수 있다. 윈도우(433)를 투과한 광선은 글래스를 향해 진행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광판(430)은 도광판본체(431) 내부에 광확산입자(43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선(visible light ray)가 광확산입자(434)에 입사하면, 광확산입자(434)는 광선을 반사하되 반사되는 광선은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는 중합체(polymer)일 수 있으며 특히 폴리스티렌(polystyrene)일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는 도광판본체(431) 내부에서 균일한 분포를 가질 수 있으며, 도광판본체(431) 내부에서 불균일한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430)은 글래스(300)와 마주하는 면에 윈도우(4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윈도우(433)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spatial density)는 Y축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윈도우(433)가 균일하게 분포된 경우,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300)에 제공하는 광량을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윈도우(433)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경우라도,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300)에 제공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광판(430)은, 반사시트(440)와 마주보는 도광판본체(431)의 일 면에 형성되는 하부패턴(436)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은 도광판본체(431)의 외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광판본체(43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형상은 X축과 나란한 기둥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그 단면은 삼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원형 및 타원형이 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형상에 따라 하부패턴(436)에 입사하는 광선이 반사하는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Y축을 따라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에 따라, 글래스(300)에 제공되는 광량의 공간상 분포가 달라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300)에 제공하는 광량을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윈도우(433)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경우라도,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300)에 제공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윈도우(433)의 형상은, 도 22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두 일정하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밀도가 다를 수 있다. 지문인식 기능이 없는 경우 글래스와 터치센서가 적층된 구조는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광원으로부터의 거리(Y축상 거리)에 따라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는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윈도우(433)의 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도 22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Y축상 거리에 따라 윈도우(433)의 공간상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도 22의 (b)는 도 22의 (a)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Y축상 거리에 따라 윈도우(433)의 공간상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를 포함하는 도광판(430)의 경우, 광확산입자(434)는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될 수 있다. 도광판본체(431)의 일 면에 형성된 윈도우(433)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으며, 불균일하게 분포되더라도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도 2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Y축상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Y축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을 포함하는 도광판(430)의 경우, 하부패턴(436)은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형상은 원뿔일 수 있으며, 원뿔대 또는 다각뿔일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상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Y축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도 24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X축 상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형상이 도광판본체(431)의 일 면을 따라 접하는 기둥의 형상인 경우, 하부패턴(436)은 길이방향이 서로 나란하거나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5는 도 7의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서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도 25에서 복수의 윈도우(433)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도광판(430)의 영역 중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는, 도광판(430)의 영역 중 제1 터치영역(33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보다 높게 함으로써 글래스를 통과하는 광선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광판이 글래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1, 2 터치센서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거나 제 1, 2 터치센서의 밀도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윈도우(433)의 분포 패턴은 도 22에 도시된 윈도우의 분포 패턴과 다를 수 있다. 도 2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광판(430)의 영역 중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도광판본체(431)에 형성되는 윈도우(433)의 공간상 밀도는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Y축상을 따라) 높아질 수 있다.
한편 Y축을 따라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서, 도광판(430)에서 글래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1, 2 터치센서의 두께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거나 제1, 2 터치센서의 밀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즉 제2 터치영역(320) 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글래스에 제공하는 광선의 휘도가 불연속적일 수 있다. 글래스에 제공하는 광선의 휘도는 윈도우(433)의 밀도에 의존할 수 있으므로,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윈도우(433)의 밀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비윈도우면적(specific transparent hole area)의 개념을 도입한다. 비윈도우면적은, 도광판(430)의 일 지점에서 도광판(430)의 단위면적당 윈도우(433)의 면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비윈도우면적은 윈도우(433)의 크기와 밀도에 의존할 수 있다. 비윈도우면적을 변화시키는 방안으로서, 윈도우(433)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되 윈도우(433)의 밀도를 변화시키는 방안, 윈도우(433)의 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되 윈도우(433)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방안, 그리고 윈도우(433)의 밀도와 크기를 동시에 변화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5에서와 같이, 윈도우(433)의 형상이 동일한 경우 윈도우(433)의 밀도는 윈도우(433)의 비윈도우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윈도우면적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면 증가하되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서의 윈도우(433)의 밀도 또는 비윈도우면적을 살펴볼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일 지점을 제1지점(340), 제1지점에 인접한 제2 터치영역(320)의 지점을 제2지점(350), 그리고 제1지점에 인접한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의 외부 영역의 지점을 제3지점이라 할 수 있다.
도 25의 (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지점(350)에서의 윈도우(433)의 밀도(dnst2)는 제3지점(360)에서의 윈도우(433)의 밀도(dnst3)보다 클 수 있다. 비윈도우면적의 관점에서 보면, 제2지점(350)에서의 비윈도우면적은 제3지점(360)에서의 비윈도우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도 25의 (b)에서는 윈도우(433)의 분포 패턴이, 도 22의 (b)의 윈도우 분포 패턴과 다를 수 있다. 연속과 불연속의 관점에서 보면,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일 지점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증감(increase and decrease)의 관점에서 보면, 도 22의 경우 윈도우(433)의 밀도 또는 비윈도우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비하여, 도 25의 경우 윈도우(433)의 밀도 또는 비윈도우면적은 증가, 감소, 그리고 증가의 경향을 보인다.
도 26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의 광확산입자의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에서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윈도우(43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433)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는 도광판본체(431)의 내부에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을 따라 공간상 밀도가 변화할 수 있다. 특히 Y축을 따라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서, 도광판(430)에서 글래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1, 2, 터치센서의 두께 또는 밀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에 제공하는 광선의 휘도가 불연속적일 수 있으므로,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에 제공하는 광선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6의 (b)는 도 26의 (a)를 Y축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제1 지점(340)에서의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인 dnst1은 제2 지점(350)에서의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dnst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dnst2는 제3 지점(360)에서의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dnst3) 보다 클 수 있다.
도 27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의 하부패턴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에서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윈도우(43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433)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은 도광판본체(431)의 내부에서 또는 도광판본체(431)의 일 면에서, 도 2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을 따라 공간상 밀도가 변화할 수 있다. Y축을 따라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서 도광판(430)에서 글래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1, 2 터치센서의 두께 또는 밀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가 공간상 불연속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가 조정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도 2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제1 지점(340)에서의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dnst1)는 제2 지점(350)에서의 광확산입자(436)의 공간상 밀도(dnst2)보다 클 수 있고, dnst2는 제3 지점(360)에서의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dnst3)보다 클 수 있다.
도 28은 도 8의 이동 단말기에서 윈도우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에서 복수 개의 윈도우(433)의 형상은 일정할 수 있다. 도 8에서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하되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한다. 도 8에서 A-A 방향에 따른 공간상 밀도는 도 28의 (b)에 도시되고, 도 8에서 B-B 방향에 따른 밀도는 도 28의 (c)에 도시된다.
도 28의 (a)에서 하부에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영역이다. 즉 점선은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상의 라인이다. 도 28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윈도우(433)의 공간상 밀도 또는 비윈도우면적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면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상의 지점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그래프를 통해 살펴보면, 도 28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Y축에 따라 윈도우(433)의 밀도 패턴은 도 28의 (b)에 도시된 밀도 패턴과 유사하다. Y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Y축 방향으로 점선까지의 거리를 V1이라 하고 Y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도광판(430)의 엣지(edge)까지의 거리를 V2라 하면, 윈도우(433)의 밀도는 V1까지 증가하나, V1에서 불연속 또는 감소하며, 다시 V2까지 증가하는 패턴을 가진다.
좌우방향인 X축에 따라 윈도우(433)의 밀도 패턴을 살펴보면 도 28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X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X 축 방향으로 점선과 만나는 곳의 거리를 각각 H1, H2라 할 수 있고, X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X축 방향으로 도광판(430) 의 엣지(edge)까지의 거리를 H3라 할 수 있다. 도 28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윈도우(433)의 밀도는 X축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하나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한 이후 일정하며, 다시 H3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한다. 도 28의 (c)에서, 구간 [0,H1), (H1, H2), 그리고 (H2, H3]에서의 윈도우(433) 밀도는 일정하지 않고 증가 또는 감소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윈도우(433)의 공간상 밀도는,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하며, H2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한다는 점에서 도 28의 (c)의 특징이 있다.
도 28의 (a) 및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지점(350)에서의 윈도우(433)의 밀도(dnst2)는 제3지점(360)에서의 윈도우(433)의 밀도(dnst3)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비윈도우면적의 관점에서 보면, 제2지점(350)에서의 비윈도우면적은 제3지점(360)에서의 비윈도우면적보다 같거나 넓을 수 있다.
도 29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의 광확산입자의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에서 복수 개의 윈도우(433) 형상은 일정할 수 있으며,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도 29의 (a)에서 하부에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영역이다. 즉 점선은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 상의 라인이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도 29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면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상의 지점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 패턴은 도 26의 (b)에 도시된 밀도 패턴과 유사하다. Y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Y축 방향으로 점선까지의 거리를 V1이라 하고 Y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도광판(430)의 엣지(edge)까지의 거리를 V2라 하면, 광확산입자(434)의 밀도는 V1까지 증가하나, V1에서 불연속 또는 감소하며, 다시 V2까지 증가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를 좌우방향인 X축을 따라 살펴보면, 도 29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도 29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X축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하나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한 이후 일정하며, 다시 H3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한다. 도 29의 (c)에서, 구간 [0,H1), (H1, H2), 그리고 (H2, H3]에서의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일정하지 않고 약간의 증가 또는 감소(quasi-uniform)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하며, H2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한다는 점에서 도 29의 (c)의 특징이 있다.
도 30은 도 8의 이동 단말기의 하부패턴의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에서 복수 개의 윈도우(433) 형상은 일정할 수 있으며,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도 30의 (a)에서 하부에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영역이다. 즉 점선은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 상의 라인이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도 30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면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 상의 지점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도 27의 (b)에 도시된 밀도 패턴과 유사하다. 하부패턴(436)의 밀도는 V1까지는 증가하나, V1에서 불연속적 감소 또는 급격한 감소를 하며, 다시 V2까지 증가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를 좌우방향인 X축을 따라 살펴볼 수 있다. 도 30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X축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나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한 이후 일정할 수 있고 다시 H3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할 수 있다. 도 30의 (c )에서, 구간 [0,H1), (H1, H2), 그리고 (H2, H3]에서의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일정하지 않고 약간의 증가 또는 감소(quasi-uniform)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하며, H2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한다는 점에서 도 30의 (c)의 특징이 있다.
도 31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에서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도 31에서 윈도우(433)의 밀도는 도광판(430)의 영역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나 윈도우(433)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윈도우(433)의 크기(size)가 커지면 윈도우(433)을 통해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양이 커질 수 있다.
도 31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영역에서 Y축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윈도우(433)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의 외부 영역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영역에서 Y축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윈도우(433)의 크기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일 지점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윈도우(433)의 크기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윈도우(433)의 크기 패턴을 그래프로 살펴보면, 도 31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 외부 영역에 대응되는 각각의 영역 내에서 윈도우(433)의 크기는 Y축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커질 수 있다. 그러나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일 지점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윈도우(433)의 크기는 급격하게 작아지거나 불연속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800)는 글래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사용자(700)의 지문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는 제1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700)의 터치동작 중 제2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700)의 지문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터치동작과 지문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8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700)가 제2 터치영역을 터치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면, 사용자(700)의 지문을 인식하여 이동 단말기(800)를 활성화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도 1a의 제어부(180)가 될 수 있다. 제어부는 도3 내지 6에 도시된 PCB(520)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8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700)가 제2 터치영역을 복수 회 터치하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이동 단말기(800)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지문정보를 터치동작의 종점에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사용자(700)의 첫번째 터치를 인식하여 사용자(700)의 지문을 획득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사용자(700)의 두번째 터치에서 사용자(700)로부터 지문을 획득하여 이동 단말기(800) 또는 특정 어플리캐이션(application)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해 잠금상태에서 접근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800)는 잠금상태(locked)이며, 잠금상태의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보안과 관계가 적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700)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보안과 관계가 있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갤러리(gallery) 어플리케이션)을 잠금 화면에서 바로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자(800)는 지문인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도 3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700)가 제2터치영역(320)에 지문을 제공하면, 사용자(700)의 지문을 획득하여 사용자(700)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가 사용자(700)의 지문을 획득하여 인증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획득된 지문이 인증되지 못하면, 제어부는, 도 33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잠금상태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20)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3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2 터치영역(320)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과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서로 밀접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700)의 지문정보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잠금 상태에서 접근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됨에 따라, 사용자(700)가 예를 들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30)을 터치하면, 도 3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이라 하더라도 제1 터치영역(330)을 통해 입력이 획득된 경우와 제2 터치영역(330)을 통해 입력이 획득된 경우는 그 실행 모드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영역(330)을 통해 음악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관한 입력이 획득된 경우, 도 3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80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의 재생만 할 수 있을 수 있다. 반면 제2 터치영역(320)을 통해 음악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관한 입력이 획득된 경우, 도 3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80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의 재생뿐만 아니라 온라인(on-line) 음원 시장에서 음원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동 단말기(80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의 편집(editing)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는 인증되거나 인증되지 못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터치영역(320)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가 인증되는 경우, 도 3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700)의 신원(identification)이 요구되는 음원 구매 등이 가능한 실행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가 인증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도 34의 (a)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700)의 신원이 요구되지 않는 음악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실행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2 터치영역(320)에 위치하는 아이콘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따라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를 다르게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의 외부에 위치하는 아이콘(850)을 드래그-앤-드랍(drag-and-drop)으로 제2 터치영역(320)으로 위치시키는 제1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700)는, 도 3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앤-드랍으로 아이콘(850)을 제2터치영역(320) 외부의 제1 터치영역(330)에서 제2 터치영역(32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터치영역(3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아이콘(850)을 통해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아이콘(850)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2 터치센서(404)를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의 인증 여부에 따라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터치영역(330)에 위치하는 아이콘(850)을 드래그-앤-드랍(drag-and-drop)으로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의 외부 영역으로 위치시키는 제2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700)는, 도 3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앤-드랍으로 아이콘(850)을 제2 터치영역(320)에서 제2 터치영역(33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터치센서(402)를 통해 획득한 입력에 의해 아이콘(850)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지문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50)은 제2터치영역(320)에 위치하여야 바람직하나, 제2 터치영역(320) 외부의 제1 터치영역(330)에 위치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지문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50)이 제2 터치영역(320) 외부의 제1 터치영역(330)에 위치하는데도, 사용자(700)가 실행하는 경우를 먼저 고려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 경우 도 3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알람(alarm) 소리를 내도록 하면서 제2 터치영역(320)의 색깔 또는 명도 등을 변화하며 사용자(700)의 지문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지문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50)이 제2 터치영역(320) 외부의 제1 터치영역(330)에 위치하고, 사용자(700)가 이를 인지하나 아이콘(850)을 제2 터치영역(320)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 경우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그래그-앤- 홀드(drag-and-hold)를 통해 지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700)가 아이콘(850)을 제2 터치영역(320)으로 드래그(drag)한 이후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하면, 제어부는 제2 터치센서(404)를 통해 사용자(700)의 지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보안(security)은 지문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제2터치센서(404)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S10)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인지 여부(S20)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작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인 경우, 제2 터치센서(404)로부터 획득된 지문의 인증(certification) 여부(S30)가 문제된다. 획득된 지문이 인증되면,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소유자가 사용할 수 있는 소유자 홈화면으로 이동 단말기를 활성화(S40)할 수 있다. 반면 획득된 지문이 인증되지 못하면, 제어부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손님 홈화면으로 이동 단말기를 활성화(S50)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가 아닌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이 터치되었는지 여부(S60)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작동이 달라질 수 있다. 아이콘이 터치되었을 경우, 제2 터치센서(404)로부터 획득된 지문의 인증 여부(S70)가 문제된다. 획득된 지문이 인증되면, 제어부는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이 제한 없이 실행(S90)되도록 할 수 있다.
획득된 지문이 인증되지 못하면, 제어부는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이 제한을 가지며 실행(S80)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의 특정 기능이 제한된 상태로 실행되거나, 앱 자체의 실행이 제한되거나, 단말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도록 단말 자체를 잠글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이콘이 터치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는 제2 터치영역(404)으로부터 획득한 지문정보를 폐기하고 다음 신호 입력을 기다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420 : 광시트
430 : 도광판 440 : 반사시트
500 : 프레임
430 : 도광판 440 : 반사시트
500 : 프레임
Claims (16)
-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획득하는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1 터치영역의 일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2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1 터치센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2 터치센서;
상기 제1,2 터치센서의 후면에 위치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전파하는 도광판본체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휘도(brightness)가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도광판본체의 상기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되, 크기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이 상이한 복수의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영역의 두께는 제1 터치영역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2 터치센서는 이동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터치센서에 적층된,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는,
상기 제2 터치센서에 제공되는 상기 빛의 휘도가
상기 제2 터치센서 외부 영역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 보다 크도록 배치된 이동 단말기.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의 속성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경계를 중심으로 불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이동 단말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밀도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밀도보다 큰 이동 단말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크기 보다 큰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제1,2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 대응된 상기 제1 윈도우 속성과 상기 제2 터치영역 외에 대응된 상기 제2 윈도우 속성이 서로 다른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상기 제1 터치영역에 대응된 윈도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상기 속성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영역은,
상기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영역은,
상기 글래스의 엣지(edge)에 접하도록 위치한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와 다른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영역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하거나, 상기 제2 터치영역에 위치하는 아이콘에 대응된 영역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를 다르게 활성화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제2 터치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아이콘을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로 옮기는 제1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제2 터치센서를 통해 획득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를 다르게 활성화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획득하는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1 터치영역의 일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2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1 터치센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2 터치센서;
상기 제1,2 터치센서의 후면에 위치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전파하는 도광판본체,
상기 도광판본체의 일 면에 형성되되, 상기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윈도우 및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휘도와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도광판본체의 내부 위치하여 빛을 산란하는 광확산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광확산입자는,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밀도와 상기 제2터치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서의 밀도가 상이한 이동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확산입자의 공간상 밀도는,
상기 제2 터치영역의 경계를 중심으로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이동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확산입자 중 상기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한 제1, 2 광확산입자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 대응된 상기 제1 광확산입자의 위치에서의 공간상 밀도와 상기 제2 터치영역 외에 대응된 상기 제2 광확산입자의 위치에서의 공간상 밀도가 서로 다른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7359A KR102401009B1 (ko) | 2015-11-27 | 2015-11-27 | 이동 단말기 |
EP15909365.7A EP3383001B1 (en) | 2015-11-27 | 2015-12-15 | Mobile terminal |
PCT/KR2015/013701 WO2017090816A1 (ko) | 2015-11-27 | 2015-12-15 | 이동 단말기 |
US15/204,487 US10921922B2 (en) | 2015-11-27 | 2016-07-07 |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region to obtain fingerprint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7359A KR102401009B1 (ko) | 2015-11-27 | 2015-11-27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2030A KR20170062030A (ko) | 2017-06-07 |
KR102401009B1 true KR102401009B1 (ko) | 2022-05-24 |
Family
ID=5876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7359A KR102401009B1 (ko) | 2015-11-27 | 2015-11-27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921922B2 (ko) |
EP (1) | EP3383001B1 (ko) |
KR (1) | KR102401009B1 (ko) |
WO (1) | WO201709081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90837B2 (en) * | 2016-06-21 | 2020-06-23 | Apple Inc. | Backlist displays with bent light guide layers |
KR20180014644A (ko) | 2016-08-01 | 2018-0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WO2018026155A1 (en) * | 2016-08-01 | 2018-02-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touch |
KR102384014B1 (ko) * | 2017-03-14 | 2022-04-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지문 검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CN108664177B (zh) * | 2017-03-29 | 2021-11-12 | 上海耕岩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指纹识别开启应用的方法和装置 |
CN106993072A (zh) * | 2017-05-12 | 2017-07-28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壳体及移动终端 |
CN109426766A (zh) * | 2017-08-23 | 2019-03-05 |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 指纹成像模组和电子设备 |
KR102433103B1 (ko) * | 2017-10-02 | 2022-08-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08647606B (zh) * | 2018-04-28 | 2020-07-14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
CN108538206B (zh) * | 2018-05-25 | 2021-02-09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显示面板和显示装置 |
WO2020034119A1 (zh) * | 2018-08-15 | 2020-02-20 |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 屏下光学指纹识别系统、背光模组、显示屏幕及电子设备 |
EP3644222A4 (en) | 2018-08-24 | 2020-08-26 |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 BACKLIGHT MODULE, METHOD AND DEVICE FOR FINGERPRINT RECOGNITION UNDER A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
US20220052128A1 (en) * | 2018-09-10 | 2022-02-17 | Sharp Kabushiki Kaisha | Display device |
DE102018215735A1 (de) * | 2018-09-17 | 2020-03-19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 |
CN109767713A (zh) * | 2019-01-09 | 2019-05-17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显示屏、显示屏驱动方法及显示装置 |
WO2020155038A1 (zh) * | 2019-01-31 | 2020-08-06 |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背光模组、显示模组、屏下光学指纹系统及电子装置 |
CN111831240B (zh) | 2019-04-17 | 2022-02-22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终端屏幕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
KR20200139941A (ko) | 2019-06-05 | 2020-1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학적 지문 인식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원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적 지문 인식 방법 |
CN111256889B (zh) * | 2020-01-07 | 2021-05-04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触觉传感器、触觉事件的检测方法、装置及智能机器人 |
CN111881753B (zh) * | 2020-06-28 | 2022-11-01 |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 背光模组和显示装置 |
KR20230011523A (ko) * | 2021-07-13 | 2023-01-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 장치 |
US11861095B2 (en) * | 2021-10-20 | 2024-01-02 | Dish Network Technologies India Private Limited | Touchscreen lock feature for playback of media cont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35620A (zh) * | 2014-06-20 | 2014-09-10 | 深圳印象认知技术有限公司 | 光学感应键、触摸屏、指纹采集设备、电子设备 |
US20140359756A1 (en) * | 2013-05-28 | 2014-12-04 | Motorola Mobility Llc | Multi-layered sensing with multiple resolutions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8067B1 (ko) * | 2006-02-28 | 2007-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센서 장치 |
KR20100028458A (ko) * | 2008-09-04 | 2010-03-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
US8311514B2 (en) | 2010-09-16 | 2012-11-13 | Microsoft Corporation | Prevention of accidental device activation |
US20120321149A1 (en) * | 2011-05-17 | 2012-12-20 | Carver John F | Fingerprint sensors |
KR101854773B1 (ko) * | 2011-10-28 | 2018-05-0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US20130127784A1 (en) * | 2011-11-22 | 2013-05-23 |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iding optical contrast features |
JP5992165B2 (ja) * | 2011-12-19 | 2016-09-14 | ミネベア株式会社 | 入力装置 |
KR101925832B1 (ko) * | 2012-06-13 | 2018-1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장치 |
US9063262B2 (en) * | 2012-08-29 | 2015-06-23 | Osram Sylvania Inc. | Lightguide design techniques |
KR102206394B1 (ko) * | 2013-12-17 | 2021-01-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작업 설정 방법 |
KR102113631B1 (ko) * | 2013-12-31 | 2020-05-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087802A (ko) * | 2015-01-16 | 2015-07-30 | 크루셜텍 (주) | 터치 센싱과 지문 센싱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전자 장치 |
US9915776B2 (en) * | 2015-09-04 | 2018-03-13 | Concraft Holding Co., Ltd. | Light guide mechanism of fingerprint recognition plate |
-
2015
- 2015-11-27 KR KR1020150167359A patent/KR1024010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2-15 WO PCT/KR2015/013701 patent/WO2017090816A1/ko unknown
- 2015-12-15 EP EP15909365.7A patent/EP3383001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6
- 2016-07-07 US US15/204,487 patent/US1092192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359756A1 (en) * | 2013-05-28 | 2014-12-04 | Motorola Mobility Llc | Multi-layered sensing with multiple resolutions |
CN104035620A (zh) * | 2014-06-20 | 2014-09-10 | 深圳印象认知技术有限公司 | 光学感应键、触摸屏、指纹采集设备、电子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383001A4 (en) | 2019-07-03 |
US20170153743A1 (en) | 2017-06-01 |
EP3383001B1 (en) | 2021-02-03 |
KR20170062030A (ko) | 2017-06-07 |
EP3383001A1 (en) | 2018-10-03 |
US10921922B2 (en) | 2021-02-16 |
WO2017090816A1 (ko) | 2017-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1009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309296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9768824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10169809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02384640B1 (ko) | 이동 단말기 | |
US20170052566A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20528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251118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155091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9001734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9946421B2 (en) | Mobile terminal with multiple driving modes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US10007381B2 (en) | Mobile terminal | |
CN106534624A (zh) | 移动终端 | |
KR102152168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215816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210055094A (ko) | 이동 단말기 | |
KR102218182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13537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415667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201749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406843B1 (ko) | 이동 단말기 | |
EP3419259A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41238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기능 객체 정렬 방법 | |
KR102105465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501123B1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