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0054B1 - Container storage facility - Google Patents

Container storage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054B1
KR102390054B1 KR1020170115001A KR20170115001A KR102390054B1 KR 102390054 B1 KR102390054 B1 KR 102390054B1 KR 1020170115001 A KR1020170115001 A KR 1020170115001A KR 20170115001 A KR20170115001 A KR 20170115001A KR 102390054 B1 KR102390054 B1 KR 10239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gulating
opening
regulating bod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8970A (en
Inventor
다카히로 호리이
다이치 도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02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9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0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6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characterized by being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single substrate or by comprising a stack of such individual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용기는, 측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또한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출납 가능하게 구성된다. 용기 수납 설비는, 수납부에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의 개구부로부터의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체와, 수납부에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압하(押下)되는 피압하부(被押下部)와, 규제체와 피압하부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機構)를 구비한다. 규제체는,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규제 위치로부터 이격된 퇴피 위치로 위치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연동 기구는, 피압하부가 용기에 압하된 상태에서 규제체를 규제 위치에 위치시키고, 피압하부가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규제체를 퇴피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ntainer has an opening in the side surface, and is comprised so that contents can be put in and out from the opening part.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includes a regulating body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contents from an opening of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and is depressed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A lower part to be pressed (被押下部) and an interlocking mechanism (機構) for interlocking the regulating body and the lower part to be pressed are provided. The regulating body is configured to be switchable between a regulating position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contents and a retracte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and the interlocking mechanism places the regulating body at the regulating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part to be pressed is pressed down on the container. It is configured to position the regulating body in the retracted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part to be pressed is not depressed.

Description

용기 수납 설비{CONTAINER STORAGE FACILITY}Container storage facility {CONTAINER STORAGE FACILITY}

본 발명은, 용기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는 용기 수납 선반을 구비한 용기 수납 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torage facility provided with a container storage shelf having a storage portion for accommodating containers.

상기와 같은 용기를 수납하는 용기 수납 선반을 구비하는 용기 수납 설비로 하여, 예를 들면, 용기의 내용물로서의 반도체 기판을 처리 및 보관하는 반도체제조 공장에 설치된 것이 있다. 반도체 제조 공장에서는, 복수의 공정으로 나누어진 반도체 기판의 처리(가공이나 검사 등)가 행해진다. 그리고, 어떤 공정에서 처리를 마친 반도체 기판은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어, 다음 공정의 처리 장치에 공급되거나, 용기 수납 선반을 구비한 보관고 등의 용기 수납 설비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반도체 기판은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용기 수납 선반에 수납된다.As a container storage facility provided with a container storage shelf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s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for example, those installed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lants that process and store semiconductor substrates as contents of containers.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lant, processing (processing, inspection, etc.)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divided into several process is performed. The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hat has been processed in a certain process is transported by a transport device in a state accommodated in a container, and is supplied to a processing device in the next process, or is stored in a container storage facility such as a storage room equipped with a container storage shelf. In this way,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또한, 상기한 용기 수납 설비에서는, 측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출납 가능하게 구성된 용기를 수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측면에 반도체 기판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고, 상하 복수층으로 분산 배치된 기판 수용용의 슬롯을 구비한 용기를 수납하는 설비가 있다.Moreover, it is known that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mentioned above has an opening part on the side surface, and accommodates the container comprised so that the content can be put in and out from the said opening part. For example, a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there is a facility for accommodating a container having an opening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n a side surface and having slots for accommodating the substrate dispersedly arranged in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layers.

여기서, 용기가 용기 수납 선반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반송 장치의 작동에 의한 기계적인 진동이나 지진에 의한 진동이 용기 수납 선반에 전달되면, 용기에 대한 반도체 기판의 출납 방향에서의 요동이 일어나고, 용기 내의 반도체 기판이 개구부로부터 용기 밖으로 튀어나와, 반도체 기판이 낙하·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용기가 용기 수납 선반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반도체 기판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체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용기 수납 선반에 있어서,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의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규제체를 설치해 두면, 용기를 용기 수납 선반에 수납할 때, 용기가 규제체에 간섭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즉, 규제체가, 용기를 수납할 때의 방해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Here, when the container is stored i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and mechanical vibration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device or vibration caused by an earthquake is transmitted to the container storage shelf, fluctuation occurs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n the container may protrude from the opening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may be dropped or damaged. Accordingly, it may be considered to provide a regulating body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t a position close to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o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However, i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if the regulating body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container interferes with the regulating body when the container is stored i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increases. . That is, the possibility that the regulating body becomes an obstacle when storing the container increases.

용기로부터의 반도체 기판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체에 대하여,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03-237941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반도체 기판이 수용된 용기를 반송하는 자동 유도 차량에 있어서, 용기로부터 반도체 기판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을 용기의 개구 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누르는 규제체를 구비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Regarding a regulator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from a container,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237941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utomatic guidance vehicle for transporting a container in which a semiconductor substrate is accommodated, It is disclosed that a regulating member is provided for press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nward from the opening sid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semiconductor substrate does not protrude from the container.

특허문헌 1의 자동 유도 차량은, 반도체 기판을 반송할 때는 상기 반도체 기판을 카세트의 개구 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누르는 위치에 규제체를 위치시키고, 매엽(枚葉) 이송 탑재 장비에 의해 반도체 기판을 이송 탑재할 때는 이송 탑재되는 반도체 기판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규제체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자동 유도 차량은, 이러한 규제체의 위치 전환을,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행하고 있다.In the automatic guidance vehicle of Patent Document 1, when convey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the regulating body is positioned at a position that presses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nward from the opening side of the cassette,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s transported and mounted by single-wafer transfer and mounting equipment. It is comprised so that the regulating body may be located in the position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miconductor substrate which is transferred and mounted at the time of carrying out. In the automatic guidance vehicle of Patent Document 1, the position of the regulating body is switched by a driving means such as an air cylinder.

일본공개특허 제2003-237941호 공보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237941

구동 수단에 의해 위치 전환되는 특허문헌 1과 같은 규제체를 용기 수납 선반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용기 수납 선반에 구동 수단을 설치하면, 모터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원을 용기 수납 선반에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설치 스페이스의 점에서 불리하다. 또한, 구동원에 대하여 구동용의 전력이나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나 배관이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Although it is conceivable to install a regulating body such as Patent Document 1 whose position is switched by means of a drive means o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if the drive means is installed o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driving source such as a motor or an air cylinder o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Therefore,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installation space. In addition, since wiring or piping for supplying driving electric power or air to the driving source is required,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이에, 설치 스페이스의 점에서 유리하면서 또한 간소한 구조에 의해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 가능한 용기 수납 설비의 실현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realization of a container storage facility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installation space and capable of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with a simple structure.

본 공개에 따른 용기 수납 설비는, 용기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는 용기 수납 선반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는, 측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수납 설비는,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로부터의 상기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체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압하(押下)되는 피압하부(被押下部)와, 상기 규제체와 상기 피압하부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체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상기 내용물의 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이격된 퇴피 위치로 위치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피압하부가 상기 용기에 압하된 상태에서 상기 규제체를 상기 규제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피압하부가 상기 용기에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규제체를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A contain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ontainer storage shelf having a storage portion for accommodating a container, the container having an opening on a side surface,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put contents in and out from the opening,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comprising: , a regulating body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 lower part to be pressed, and an interlocking mechanism for interlocking the regulating body and the lower part to be pressed, wherein the regulating body is disposed in the container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t is arranged outside the opening in the direction of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contents and is configured to be switchable to a regulating position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and a retracte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wherein the interlocking mechanism includes: It is configured to position the regulating body in the regulating position in a state pressed down by the container, and to position the regulating body in the retracted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art to be pressed is not pressed down on the container.

본 구성에 의하면, 규제체와 피압하부가 연동 기구에 의해 연동한다. 이 연동 기구는,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피압하부가 압하되어 있는 상태와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따라, 규제 위치와, 규제 위치로부터 이격된 퇴피 위치의 사이에 규제체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피압하부가 압하되어 있지 않을 때, 즉 용기가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지 않을 때는, 규제체는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피압하부가 압하되어 있을 때, 즉 용기가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을 때는, 규제체는 규제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용기가 수납되기 전에는, 규제체는 퇴피 위치에 있으므로, 용기가 수납되는 것을 규제체가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용기가 수납될 때는,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피압하부가 압하되고, 피압하부가 압하되는 것에 연동하여 규제체가 규제 위치로 위치 전환된다. 이와 같이, 구동 수단에 관계없이 용기를 수납하는 동작 및 꺼내는 동작에 의해, 규제체를 규제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gulating body and the under-pressured portion are interlocked by the interlocking mechanism. This interlocking mechanism can switch the position of the regulating body between the regula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to be pressed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is not depressed. . When the part to be pressed is not depressed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at is, when the container is no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he regulating body is located in the retracted position, and when the part to be pressed is depressed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at is, When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the regulating body is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Therefore, before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the restraining body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so that the restraining body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ntainer being accommod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the lower part is pushed down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position of the regulating body is switched to the regulating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pushing down of the lower part. In this way, regardless of the driving means, the regulating body can be switched between the regula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by the operation to accommodate the container and the operation to take it out.

규제 위치는,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용기 개구부에 대하여 내용물의 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예를 들면, 개구부에 대하여 출납 방향으로 근접하여)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위치이므로, 용기가 수납부에 수납된 후에는, 규제 위치에 있는 규제체에 의해 용기의 내용물은 출납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따라서, 용기에 진동이 생긴 경우라도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regulating position is a position that is disposed outside the container opening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for example, close to the opening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to regulate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After being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in the withdrawing and unloading direction is regulated by the regulating body at the regulating position. Therefore, even when vibration occurs in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ntents from jumping out of the container.

구동 수단을 채용하지 않는 만큼, 모터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원을 설치할 필요로 없기 때문에, 설치 스페이스의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구동원에 대하여 구동용의 전력이나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나 배관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installation space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driving source such as a motor or an air cylinder as much as the driving means is not employed. Further, since wiring or piping for supplying driving electric power or air to the driving source is unnecessary,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설치 스페이스의 점에서 유리하면서 또한 간소한 구조에 의해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 가능한 용기 수납 설비를 얻을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advantageous in the point of installation space, and can obtain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which can regulate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 from a container with a simple structure.

본 공개에 따른 기술이 새로운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이하의 예시적이면서 또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The new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clearer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xemplary and non-limiting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용기 수납 선반 및 반송 장치를 출납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용기 수납 선반 및 반송 장치를 수평면에서 출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용기 수납 선반 및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용기가 수납부에 수납될 때의 연동 기구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다음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수납 선반 및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퇴피 위치에 있는 규제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 위치에 있는 규제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figure which looked at the container storage shelf and the conveyance apparatus from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It is the figure which looked at the container storage shelf and the conveyance apparatus from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utting-out direction in the horizontal plan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storage shelf and a container.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when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FIG. 6 is a plan view in the state of FIG. 5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sequent operation of FIG. 5 .
FIG. 8 is a plan view in the state of FIG. 7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storage shelf and a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ed the restrictor in the retracted position in 2nd Embodiment.
11 is a view showing a regulating body in a regulating pos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수납 설비(1)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수납 설비(1)는, 용기(W)를 수납하는 수납부(21)를 가지는 용기 수납 선반(2)과 용기(W)를 수납부(21)에 반송하는 반송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based on drawing.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1 includes a container storage shelf 2 having a storage part 21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W and the container W in the storage part 21 . A conveying device 3 for conveying is provid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W)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물로서의 반도체 트레이(T)를 수용하는 것이다. 반도체 트레이(T)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층 중첩되는 상태에서 용기(W)에 수용된다(도 1도 참조). 용기(W)는, 측면에 개구부(Wa)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개구부(Wa)로부터 반도체 트레이(T)를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Wa)는, 용기(W)에서의 출납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용기(W)에 대한 반도체 트레이(T)의 출납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수평면을 따르면서 또한에 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으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 상, X 방향 중 한쪽을 제1 X 방향(X1)으로 하고, 다른 쪽을 제2 X 방향(X2)으로 한다. 또한, Y 방향 중 한쪽을 제1 Y 방향(Y1)으로 하고, 다른 쪽을 제2 Y 방향(Y2)으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W accommodates the semiconductor tray T as a content, as shown in FIG. The semiconductor tray T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W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overlapp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ee also FIG. 1 ). The container W has an opening Wa on the side surface, and is comprised so that the semiconductor tray T can be put in and out from the said opening part Wa. In addition, a pair of opening part Wa is formed in the state mutually opposing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in the container W. As shown in FIG.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let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X direction be a Y direction, making the putting-in/out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tray T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W a X direction, and following a horizontal plan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of the X directions is referred to as the first X direction (X1), and the other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X direction (X2). Moreover, let one of the Y directions be a 1st Y direction Y1, and let the other be a 2nd Y direction Y2.

용기(W)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면하는 한 쌍의 측벽(Wc)을 가지고 있다. 용기(W)의 상부 및 바닥부는 폐쇄되어 있다. 또한, 용기(W)의 상부 및 바닥부는, X 방향에 있어서 측벽(Wc)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W)는, 평면에서 볼 때에 X 방향의 단부(端部)가 절결된 H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W)는 이러한 형상을 가지므로, 용기(W)의 내부가 쉽게 시인(視認)할 수 있고, 또한, 용기(W)로부터의 반도체 트레이(T)의 출납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용기(W)의 상부에는, 톱 플랜지(top flange; Wb)가 설치되어 있다. 톱 플랜지(Wb)를 반송 장치(3)가 파지(把持)함으로써, 반송 장치(3)에 의한 용기(W)의 반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container W has a pair of side walls Wc which face each other at intervals in the Y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tainer W are closed. Moreover, the upper part and the bottom part of the container W are formed shorter than the side wall Wc in the X direction. Thereby, the container W is formed in the H-shape by which the edge part of the X direction was cut out in planar view. Since the container W has such a shap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W can be visually visually recognized easily, and the putting in and taking out of the semiconductor tray T from the container W is made easy. A top flange (Wb)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W). When the conveying apparatus 3 grips the top flange Wb, conveyance of the container W by the conveying apparatus 3 is attained.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장치(3)는, 현수구(懸垂具)(91)에 의해 천장에 고정된 주행 레일(90)을 주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레일(90)은 적어도 용기 수납 선반(2)에 대응하는 개소(箇所)에서는 X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송 장치(3)는 X 방향을 따라 용기(W)를 반송할 수 있다.1 and 2 , the conveying device 3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ravel on the traveling rail 90 fixed to the ceiling by the suspension port 91 . The traveling rail 90 is provided along the X direction at least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 For this reason, the conveying apparatus 3 can convey the container W along the X direction.

반송 장치(3)는, 주행 레일(90) 상을 주행하는 주행 구동부(3R)와, 주행 레일(9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주행 구동부(3R)에 현수 지지된 용기 지지부(3S)를 구비하고 있다.The conveying device 3 includes a traveling driving unit 3R traveling on the traveling rail 90 , and a container supporting unit 3S suspended and supported by the traveling driving unit 3R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traveling rail 90 , there is.

주행 구동부(3R)는, 구동 모터(3Rc)로 회전 구동되는 주행륜(3Ra)과, 주행 구동부(3R)를 주행 레일(90)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륜(3Rb)을 가지고 있다. 주행륜(3Ra)은,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주행 레일(90)의 상면을 전동(轉動)한다. 안내륜(3Rb)은,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주행 레일(90)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형성된 연직면(鉛直面)을 전동한다. 따라서, 주행 구동부(3R)는, 안내륜(3Rb)에 의해 주행 레일(90)을 따라 안내되면서, 구동 모터(3Rc)로 구동되는 주행륜(3Ra)에 의해 주행 레일(9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travel drive unit 3R includes a travel wheel 3Ra that is rotationally driven by a drive motor 3Rc and a guide wheel 3Rb that guides the travel drive unit 3R along the travel rail 90 . The traveling wheel 3Ra has a horizontal rotation shaft and rolls the upper surface of the traveling rail 90 . The guide wheel 3Rb has a vertical rotation shaft, and rolls a vertical surfac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traveling rail 90 . Accordingly, the traveling driving unit 3R can move along the traveling rail 90 by the traveling wheel 3Ra driven by the driving motor 3Rc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traveling rail 90 by the guide wheel 3Rb. there is.

용기 지지부(3S)는, 용기(W)의 톱 플랜지(Wb)를 파지 가능한 파지부(31S)를 가지고 있다. 용기 지지부(3S)는, 파지부(31S)의 상방, 제1 X 방향(X1), 및 제2 X 방향(X2)을 덮는 커버(32S)를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버(32S)는, 하방, 제1 Y 방향(Y1), 및 제2 Y 방향(Y2)이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파지부(31S)가 커버(32S)에 의해 덮어진 상태라도, 파지부(31S)는, 하방 및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ontainer holding part 3S has the holding part 31S which can grip the top flange Wb of the container W. The container holding part 3S has the cover 32S which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part 31S, the 1st X direction X1, and the 2nd X direction X2. In other words, the cover 32S has a shape in which the downward direction, the first Y direction Y1, and the second Y direction Y2 are opened. Thereby, even in the state in which the holding|gripping tool 31S is covered with the cover 32S, the holding|gripping tool 31S is able to move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용기 지지부(3S)는, 파지부(31S)를 승강시키는 승강 조작 기구(34S)와, 파지부(31S)를 Y 방향을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기구(33S)를 가지고 있다.The container holding part 3S has the raising/lowering operation mechanism 34S which raises/lowers the grip part 31S, and the slide operation mechanism 33S which slides the grip part 31S in a Y direction.

파지부(31S)는, 용기(W)를 파지하는 파지 자세와 파지를 해제하는 해제 자세로 전환 가능한 파지 클로우(31Sa)와, 파지 클로우(31Sa)를 파지 자세와 해제 자세로 전환 조작하는 파지용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 클로우(31Sa)가 용기(W)의 톱 플랜지(Wb)를 파지함으로써, 파지부(31S)가 용기(W)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holding portion 31S includes a holding claw 31Sa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a holding posture for holding the container W and a release posture for releasing the holding, and a gripping claw 31Sa for switching operation between the holding posture and the releasing posture. It has a motor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ipping claw 31Sa grips the top flange Wb of the container W, so that the gripping part 31S can grip the container W.

승강 조작 기구(34S)는, 승강 벨트(34Sb)를 풀어내기 및 권취 가능한 드럼(34Sa)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 조작 기구(34S)는, 승강용 모터(34Sc)로 드럼(34Sa)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파지부(31S) 및 그것에 의해 파지된 용기(W)를 승강시킬 수 있다.The raising/lowering operation mechanism 34S is equipped with the drum 34Sa which can unwind and wind up the raising/lowering belt 34Sb. The raising/lowering operation mechanism 34S can raise and lower the holding part 31S and the container W gripped by it by rotationally driving the drum 34Sa with the raising/lowering motor 34Sc.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조작 기구(33S)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풀리(33Sa)(도면 중에서는 한쪽 풀리만 기재)와, 이들 한 쌍의 풀리(33Sa)에 걸쳐진 슬라이드 벨트(33Sb)와, 풀리(33Sa)를 회전 구동시키는 슬라이드용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 조작 기구(33S)는, 슬라이드용 모터에 의해 풀리(33Sa)를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벨트(33Sb)를 구동시켜, 파지부(31S) 및 그것에 의해 파지된 용기(W)를 제2 Y 방향(Y2)에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조작 기구(33S)는, 슬라이드용 모터를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써, 파지부(31S) 및 그것에 의해 파지된 용기(W)를 제1 Y 방향(Y1)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즉, 슬라이드 조작 기구(33S)에 의해, 용기(W)와 용기 수납 선반(2)이 Y 방향에서 중복되는 위치인 돌출 위치와, 용기(W)가 커버(32S)의 내측에 수납되는 퇴피 위치로 용기(W)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lide operation mechanism 33S includes a pair of pulleys 33Sa (only one pulley is described in the drawing)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Y direction, and the pair of pulleys 33Sa. It has the slide belt 33Sb which spanned, and the motor (not shown) for slides which rotationally drives the pulley 33Sa. The slide operation mechanism 33S drives the slide belt 33Sb by rotating the pulley 33Sa with the motor for slide, and moves the grip part 31S and the container W gripped by it in the 2nd Y direction Y2. ) can be slid on. Moreover, the slide operation mechanism 33S can slide the grip part 31S and the container W gripped by it in the 1st Y direction Y1 by rotating the motor for slides opposite to the above case. That is, by the slide operation mechanism 33S, the protruding position, which is a position where the container W and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overlap in the Y direc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where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32S. The vessel (W) can be slid.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해, 반송 장치(3)는, 용기 수납 선반(2)의 수납부(21)에 용기(W)를 수납할 수 있다. 즉, 반송 장치(3)는, 파지부(31S)의 파지 클로우(31Sa)에 의해 용기(W)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구동부(3R)에 의해 주행 레일(90)을 X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반송 장치(3)는, X 방향에서의 용기 수납 선반(2)의 수납부(21)와 중복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장치(3)는, 슬라이드 조작 기구(33S)에 의해 파지부(31S) 및 그것에 의해 파지되는 용기(W)를 제2 Y 방향(Y2)으로 슬라이드시켜, 파지부(31S) 및 용기(W)를 돌출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반송 장치(3)는, 승강 조작 기구(34S)에 의해 용기(W)를 강하(降下)시킴으로써 용기(W)를 수납부(21)에 수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demonstrated above, the conveyance apparatus 3 can accommodate the container W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of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 That is, in the state which gripped the container W by the holding|gripping tool 31Sa of the holding|gripping tool 31S, the conveyance apparatus 3 shows, as shown in FIG. 2, the traveling rail 90 by the traveling drive part 3R. ) is moved in the X direction. And the conveying apparatus 3 stops at the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storage part 21 of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in the X direction. As shown in FIG. 1, the conveying apparatus 3 slides the holding part 31S and the container W held by it by the slide operation mechanism 33S in the 2nd Y direction Y2, and the holding part (31S) and the container (W) are placed in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conveyance apparatus 3 can accommodate the container W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by lowering|falling the container W by the raising/lowering operation mechanism 34S.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3)는, 용기(W)의 X 방향이 주행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용기(W)를 반송하고, 슬라이드 조작 기구(33S)는, 용기(W)의 Y 방향을 따라 용기(W)를 슬라이드시킨다. 즉, 용기 수납 선반(2)의 수납부(21)에 대하여 용기(W)를 수납할 경우의 용기(W)의 슬라이드 방향이, 제2 Y 방향(Y2)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21)로부터 용기(W)를 꺼내는 경우의 용기(W)의 슬라이드 방향이, 제1 Y 방향(Y1)이다. 즉, 제2 Y 방향(Y2)은 용기 수납 선반(2)에 대한 선반 안쪽 길이 방향이며, 제1 Y 방향(Y1)은 용기 수납 선반(2)에 대한 앞 방향이다.In this embodiment, the conveying apparatus 3 conveys the container W in the attitude|position which the X direction of the container W follows a running direction, and the slide operation mechanism 33S moves the Y direction of the container W. Slide the container (W) accordingly. That is,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W in the case of storing the container W with respect to the storage part 21 of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is the 2nd Y direction Y2. And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W in the case of taking out the container W from the said accommodation part 21 is the 1st Y direction Y1. That is, the second Y direction (Y2) is a shelf insid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and the first Y direction (Y1) is a fro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그런데, 용기(W)의 반송중의 속도 변화에 의해, 반도체 트레이(T)가 용기(W)와 상대적으로 X 방향으로 이동하여, 용기(W)의 개구부(Wa)로부터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3)는, 용기(W)의 반송 시에 있어서, 용기(W)의 개구부(Wa)에 대하여 X 방향(출납 방향)에서 근접하여 반도체 트레이(T)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방지체(35S)를 가지고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즉, 낙하 방지체(35S)는, 용기(W)의 개구부(Wa)에 대하여 X 방향(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X 방향의 외측이란, 용기(W)의 X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을 의미한다. 낙하 방지체(35S)는, 용기(W)의 개구부(Wa)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반도체 트레이(T)가 용기(W)와 상대적으로 X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반송 장치(3)는, 낙하 방지체(35S)에 의해, 반도체 트레이(T)가 용기(W)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낙하 방지체(35S)와 용기(W)의 개구부(Wa)의 사이의 X 방향의 이격 거리는, 내용물(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트레이(T))의 X 방향의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이격 거리를, 내용물의 X 방향의 길이의 1/2 이하의 값, 1/3 이하의 값, 1/5 이하의 값, 혹은 1/10 이하의 값 등으로 할 수 있다.By the way, the semiconductor tray T moves in the X direction relative to the container W by the speed change during conveyance of the container W, and may protrude from the opening part Wa of the container W.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nveying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djacent to the opening Wa of the container W in the X direction (in/out direction) at the time of conveying the container W, and the semiconductor tray ( It has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which prevents the fall of T) (refer FIG. 1 and FIG. 2). That is,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is arrange|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art Wa of the container W, and is arrange|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X-direction (withdrawal direction). Here, the outer side of the X direction means a sid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X direction of the container (W). Since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adjoins the opening part Wa of the container W, it prevents the semiconductor tray T from moving in the X direction relative to the container W. Therefore, the conveyance apparatus 3 can prevent that the semiconductor tray T falls from the container W with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In addition,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X direction between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and the opening Wa of the container W can be set based on the length in the X direction of the contents (in this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tray T). and, for example, the separation distance can be set to a value of 1/2 or less, a value of 1/3 or less, a value of 1/5 or less, or a value of 1/10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content in the X direction. there is.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31S)가 용기(W)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용기(W)의 Y 방향에서의 중앙부로부터 제1 Y 방향(Y1)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 위치하도록, 낙하 방지체(35S)는 파지부(31S)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낙하 방지체(35S)는, 용기(W)에서의 상하 방향의 모든 영역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하 방향의 길이가 적어도 용기(W)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낙하 방지체(35S)는 구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in the state in which the holding part 31S is holding the container W,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art in the Y direction of the container W to the 1st Y direction Y1 is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is provided in the holding part 31S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placed position. Moreover,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it may overlap with all the areas of the up-down direction in the container W. In other words,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is comprised so that the length of the up-down direction may becom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container W at least.

본 실시형태에서는, 낙하 방지체(35S)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X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실린더의 양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봉형체(棒形體)이며, 실린더의 신축(伸縮)에 의해 X 방향에서 위치 전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한 쌍의 낙하 방지체(35S)의 X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를 확장시켜, 파지부(31S)가 용기(W)를 파지할 때 낙하 방지체(35S)가 용기(W)에 간섭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31S)가 용기(W)를 파지한 후에는, 한 쌍의 낙하 방지체(35S)의 X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를 축소시켜, 낙하 방지체(35S)를 용기(W)의 개구부(Wa)에 근접시킬(예를 들면, 반도체 트레이(T)에 접촉할 정도로 근접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is a rod-shaped body extending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cylinder arranged along the X direction, and the cylinder is expanded and contracted. (伸縮) is configur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changed in the X direction. Thereby,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X direction of the pair of fall arresters 35S is extended, so that the fall arrester 35S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ntainer W when the gripper 31S grips the container W. can prevent it And, after the holding part 31S grips the container W,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X direction of the pair of fall arresters 35S is reduced, and the fall arrester 35S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W of the container W. It may be brought close to the opening Wa (eg, close enough to contact the semiconductor tray T).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수납 선반(2)은, X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는 탑재대(99)를 가지고 있다. 탑재대(99)는, 천장에 매달린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수납 선반(2)은,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수납부(21)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용기 수납 선반(2)에 대하여 2개의 수납부(21)가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탑재대(99)에는, 용기(W)가 수납부(21)에 수납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용기(W)의 위치 결정을 담당하는 가이드(9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98)는, 용기(W)가 수납부(21)에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W)의 바닥부의 4개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탑재대(99)에서의 용기(W)의 바닥부의 4개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합계하여 4개의 가이드(98)가, 1개의 수납부(2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98)는, 직육면체의 일부가 절결된 형상이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98)는, 수납부(21)에 수납된 용기(W)의 수평면을 따른 이동을 규제하면서, 용기(W)를 탑재대(99)로부터 상방으로 뜨게 한 상태에서 지지한다(도 7도 참조). 즉, 복수의 가이드(98)는, 용기(W)의 바닥면과 탑재대(99)의 상면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또한 용기(W)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용기(W)를 지지한다.2 and 4 ,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has a mounting table 99 arranged with the X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unting table 99 is configured to be suspended from the ceiling.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has a plurality of storage portions 21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X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with respect to one container storage shelf 2, the two storage parts 21 are arrange|positioned side by side in the X direction. The mounting table 99 is provided with a guide 98 responsible for positioning the container W when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21 . The guide 98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 on the mounting table 99 to support the four corners of the bottom part of the container W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art 21 . They are installed i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ners, respectively. That is, in total, four guides 98 are provided in one accommodating part 21 . In addition, the guide 98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cut out. Then, the guide 98 supports the container W in a state in which it is floated upward from the mounting table 99 while regulating the movement along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ntainer W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FIG. see also 7). That is, the plurality of guides 98 hold the container W in a state wher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W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table 99 and the container W is positioned. support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 장치(3)에 의한 용기(W)의 반송 시에는, 낙하 방지체(35S)에 의해 반도체 트레이(T)가 용기(W)의 개구부(Wa)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반송 장치(3)가 용기(W)의 반송을 종료한 후, 즉 용기(W)가 용기 수납 선반(2)의 수납부(21)에 수납된 후에는, 반송 장치(3)는 다음 작업 등을 행하기 위하여 용기(W)의 파지를 해제하여 수납부(21)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 때문에, 낙하 방지체(35S)는 용기(W)의 개구부(Wa)에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이격되게 되고, 용기 수납 선반(2)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요동할 경우에는, 용기(W)의 개구부(Wa)로부터 반도체 트레이(T)가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By the way, as mentioned above, at the time of conveyance of the container W by the conveyance apparatus 3, the semiconductor tray T falls from the opening part Wa of the container W by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is preventing However, after the conveying apparatus 3 finishes conveying the container W, that is, after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art 21 of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the conveying apparatus 3 is next In order to perform work and the like, the holding of the container W is relea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unit 21 . For this reason,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is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opening part Wa of the container W, and whe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swings for some reason, the opening part of the container W.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miconductor tray T may protrude from (Wa).

이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수납 설비(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부(21)에 용기(W)가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W)의 개구부(Wa)로부터의 반도체 트레이(T)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체(4a)와, 수납부(21)에 용기(W)가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W)의 바닥부에 의해 압하되는 피압하부(4b)와, 규제체(4a)와 피압하부(4b)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체(4a) 및 피압하부(4b)는, 연동 기구(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트레이(T)를 출납하는 개구부(Wa)는, 용기(W)에서의 X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규제체(4a)는, 한 쌍의 개구부(Wa)에 대응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규제체(4a)는, 장척형(長尺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의 길이가 적어도 용기(W)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수납 선반(2)이 복수(2개)의 수납부(21)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복수의 수납부(21)의 각각에 대하여, 규제체(4a)와 피압하부(4b)와 연동 기구(4)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동 기구(4)는, 링크 기구이며, 상부 링크체(4c)와, 하부 링크체(4d)와, 고정 링크체(4e)를 가지고 있다. 이들, 상부 링크체(4c), 하부 링크체(4d), 및 고정 링크체(4e)의 각각은, X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되어 있다.Accordingly, in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a semiconductor tray from the opening Wa of the container W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art 21 . A regulating body 4a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 a lower part to be pressed 4b pressed down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An interlocking mechanism 4 for interlocking the sieve 4a and the lower part 4b is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gulating body 4a and the lower portion 4b constitute a part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4 . As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part Wa which puts in and out the semiconductor tray T is formed in the state mutually opposing in the X direction in the container W, and a pair is formed. Accordingly, a pair of regulating bodies 4a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openings Wa. Moreover, the regulating body 4a is formed in the elongate shape, an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length of an up-down direction may becom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container W at leas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has the several (two) accommodating part 21, with respect to each of these several accommodating part 21, the restraining body 4a and the lower part to be pressed. (4b) and the interlocking mechanism 4 are respectively provided separately. And in this embodiment, the linkage mechanism 4 is a link mechanism, and has the upper link body 4c, the lower link body 4d, and the fixed link body 4e. Each of these, the upper link body 4c, the lower link body 4d, and the fixed link body 4e is provided as a pai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X direction.

고정 링크체(4e) 및 하부 링크체(4d)의 단부는, 탑재대(99)의 상면에 장착된 브래킷(97)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 링크체(4e)는, 브래킷(97)에 대하여 고정되는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한편, 하부 링크체(4d)는, 브래킷(9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가압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고 있다.The ends of the fixed link body 4e and the lower link body 4d are supported by a bracket 97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table 99 . In detail, the fixed link body 4e is supported in the state fixed with respect to the bracket 97.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nk body 4d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bracket 97, and is pressed upward by a pressing member constituted by a spring (not shown) or the like.

피압하부(4b)는, X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피압하부(4b)의 X 방향에서의 양 단부의 각각은, 한 쌍의 하부 링크체(4d)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 피압하부(4b)는, 길이 방향이 회전 축심 방향을 따른 장척형의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압하부(4b)는, 하부 링크체(4d)의 회동 단부(브래킷(97)에 의해 지지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X 방향을 따른 이동 축심(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피압하부(4b)는, 하부 링크체(4d)의 회동과 함께 자전(自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기(W)가 수납부(21)에 수납되어 있지 않고 피압하부(4b)가 용기(W)의 바닥부에 의해 압하되어 있지 않을 때는, 하부 링크체(4d)는,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브래킷(97)에 의해 지지된 단부를 하단으로 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자세를 유지한다. 따라서, 하부 링크체(4d)에서의 다른 단부(브래킷(97)에 의해 지지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지지되고 있는 피압하부(4b)는, 용기(W)의 바닥부에 의해 압하되어 있지 않고 있을 때, 탑재대(99)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The portion to be pressed 4b is disposed along the X direction. Each of the opposite ends in the X-direction of the lower portion 4b to be pressed is supported by a pair of end portions of the lower link body 4d. The lower part 4b to be pressed is constituted by a long roller whos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Accordingly, the lower part 4b to be pressed moves around the axis of movement along the X direction (the axis of rotation) located at the end of the lower link body 4d (the end opposite to the end supported by the bracket 97). It is configured to rotate. That is, the lower part 4b to be pressed is comprised so that it may rotate with rotation of the lower link body 4d. When the container W is no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lower portion 4b is not pressed down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 the lower link body 4d is urged upward by the spring. Therefore, an upward inclined posture is maintained with the end supported by the bracket 97 as the lower end. 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4b supported 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link body 4d (the end opposite to the end supported by the bracket 97) is pushed down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 When it is not, it will be in the state arrange|positioned at the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mounting table 99.

상부 링크체(4c)의 단부는, 고정 링크체(4e)에서의 브래킷(97)에 의해 지지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상부 링크체(4c)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 하부 링크체(4d)와 항상 동일한 기울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링크체(4c)는, 하부 링크체(4d)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도 5등도 참조). 또한, 상부 링크체(4c)는, 고정 링크체(4e)에 지지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규제체(4a)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규제체(4a)의 다른 단부는, 하부 링크체(4d)에서의 단부로부터 중앙에 거리를 둔 위치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링크체(4e)와 규제체(4a)가, 항상 상하 방향을 따른 기립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의 연동 기구로서의 링크 기구는, 평행 링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을 따른 기립 자세」란, 연직 방향을 따른 자세 외에, 연직 방향에 대하여 다소 경사진 자세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end of the upper link body 4c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end opposite to the end supported by the bracket 97 in the fixed link body 4e. The upper link body 4c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come always the same inclination as the lower link body 4d when seen from the X direction. The upper link body 4c is formed shorter than the lower link body 4d (see also FIG. 5 and the like). Further, the upper link body 4c rotatably supports the end of the regulating body 4a at an end opposite to the end supported by the fixed link body 4e. The other end of the regulating body 4a is rotatably supported at a central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lower link body 4d. In this embodiment, the fixed link body 4e and the regulating body 4a are comprised so that it may become a standing posture along an up-down direction at all times. That is, the link mechanism as the interlocking mechanism in this embodiment is a parallel link. In addition, the "standing postur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s a concept including a posture slight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postur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도 5∼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체(4a)는, 수납부(21)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용기(W)의 개구부(Wa)에 대하여 반도체 트레이(T)의 출납 방향(X 방향)에서 근접하여 반도체 트레이(T)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RP)와, 규제 위치(RP)로부터 이격된 퇴피 위치(SP)로 위치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규제 위치(RP)는, 수납부(21)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용기(W)의 개구부(Wa)에 대하여 X 방향(반도체 트레이(T)의 출납 방향)의 외측에, 규제체(4a)가 배치되는 위치이다. 규제체(4a)가 규제 위치(RP)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규제체(4a)와 용기(W)의 개구부(Wa)의 사이의 X 방향의 이격 거리는, 내용물(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트레이(T))의 X 방향의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이격 거리를, 내용물의 X 방향의 길이 1/2 이하의 값, 1/3 이하의 값, 1/5 이하의 값, 혹은 1/10 이하의 값 등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8 , the regulating body 4a is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tray T with respect to the opening Wa of the container W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 ) adjacent to the regulating position RP that regulates the protrusion of the semiconductor tray T, and the regulating position RP is configured to be switchable to a retracted position SP separated from the position. That is, the regulating position RP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X-direction (in/out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tray T) with respect to the opening Wa of the container W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the regulating body ( 4a) is the location where it is placed.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X direction between the regulating body 4a and the opening Wa of the container W in a state where the regulating body 4a is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RP is the content (in this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tray). (T)) can be set based on the length in the X direction, for example, the separation distance is less than 1/2 the length of the content in the X direction, 1/3 or less, 1/5 or less value, or a value of 1/10 or less.

여기서, 규제 위치(RP)와 퇴피 위치(SP)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 the regulating position RP and the retracted position S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개구부(W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Wa)는, Y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측벽(Wc)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Wa)가 Y 방향에 있어서 점유하는 영역은, Y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측벽(Wc)의 내면의 사이의 영역이다.First, the opening Wa will be described. 5 to 8 , the opening Wa is formed between a pair of sidewalls Wc arranged in the Y direction,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opening Wa in the Y direction is Y It is a region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a pair of side walls Wc arranged in the direction.

규제 위치(RP)란, 개구부(Wa)에 대하여, X 방향에서 측벽(Wc)의 단부의 위치보다 바깥쪽에 있어서 근접하는 위치로서, 개구부(Wa)와 Y 방향에서 중복되는 위치를 일컫는다.The regulating position RP is a position closer to the opening Wa than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side wall Wc in the X direction, and refers to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opening Wa in the Y direction.

본 실시형태에서는, 퇴피 위치(SP)란, 개구부(Wa)와 Y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위치를 일컫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tracted position SP refers to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opening Wa in the Y direction.

도 5∼도 8 중의 파선은, 용기(W)에서의 제2 Y 방향(Y2)에 배치되는 측벽(Wc)의 제1 Y 방향(Y1)의 면을 따라 연장한 선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파선은, 개구부(Wa)가 Y 방향에서 점유하는 영역과, 이 영역에 제2 Y 방향(Y2)으로 인접하는 영역과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선이다. 이 경계선으로부터 제1 Y 방향(Y1)의 영역이, 규제 위치(RP)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이 경계선으로부터 제2 Y 방향(Y2)의 영역이, 퇴피 위치(SP)를 포함하는 영역이다.A broken line in FIGS. 5-8 is a line extending along the surface of the 1st Y-direction Y1 of the side wall Wc arrange|positioned in the 2nd Y-direction Y2 of the container W. As shown in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is broken line is a boundary line indicating a boundary between a region occupied by the opening Wa in the Y direction and a region adjacent to this region in the second Y direction Y2. From this boundary line, the area|region of 1st Y direction Y1 is an area|region including the regulation position RP. And the area|region of the 2nd Y-direction Y2 from this boundary line is the area|region including the evacuation position SP.

연동 기구(4)는, 피압하부(4b)가 용기(W)에 압하된 상태에서 규제체(4a)를 규제 위치(RP)에 위치시키고, 피압하부(4b)가 용기(W)에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규제체(4a)를 퇴피 위치(SP)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체(4a)는, 규제 위치(RP) 및 퇴피 위치(SP)에 있어서 그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기립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동 기구(4)는, 규제체(4a)에 기립 자세를 유지시킨 채, 규제체(4a)와 피압하부(4b)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terlocking mechanism 4 places the regulating body 4a at the regulating position RP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ortion 4b is pressed down on the container W, and the lower portion 4b is pushed down on the container W. It is comprised so that the regulating body 4a may be located in the retracted position SP in the state where it is not. In addition, the regulating body 4a is compris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come a standing posture along the up-down direction in the regulating position RP and the retracted position SP. And the interlocking mechanism 4 is comprised so that the restraining body 4a and the to-be-pressed part 4b may be interlocked, maintaining the standing posture with the restricting body 4a.

다음으로, 용기(W)가 수납부(21)에 수납될 때의 연동 기구(4)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Next, operation|movement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4 when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is demonstrated based on FIGS.

반송 장치(3)의 슬라이드 조작 기구(33S)에 의해 용기(W)를 돌출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는, 승강 조작 기구(34S)에 의해 수납부(21)를 향하여 용기(W)를 강하시킨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W)를 수납할 때까지는, 피압하부(4b)는 용기(W)의 바닥부에 의해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하부 링크체(4d)는, 하부 링크체(4d)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부 링크체(4c)와 함께 상방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시점에서는, 규제체(4a)는 퇴피 위치(SP)에 위치하고 있다(도 6도 참조). 따라서, 규제체(4a)는, 용기(W)의 수납의 방해는 되지 않는다. 용기(W)를 강하시켜 가면, 용기(W)의 바닥부가, 피압하부(4b)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After the container W is positioned at the protruding position by the slide operation mechanism 33S of the conveying device 3 , the container W is lowered toward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by the lifting operation mechanism 34S. As shown in Fig. 5, until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the lower portion 4b is not pressed down by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W, so the lower link body 4d is the lower link body. It is in the attitude|position inclined upward together with the upper link body 4c by the spring (not shown) which presses (4d) upward. Accordingly, at this point in time, the regulating body 4a is positioned at the retracted position SP (see Fig. 6 also). Therefore, the regulating body 4a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torage of the container W. When the container W is lowered, the bottom part of the container W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art 4b from above.

도 5의 상태로부터, 용기(W)를 더욱 강하시켜 가면, 용기(W)의 바닥부는 피압하부(4b)를 더욱 압하하여 도 7 및 도 8의 상태가 된다. 용기(W)가 승강 조작 기구(34S)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라 강하해 가는 한편, 하부 링크체(4d)는 브래킷(97)에 지지된 단부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 동작에 의해, 하부 링크체(4d)에 지지되어 있는 규제체(4a)는, 하방으로 변위하는 동시에 제1 Y 방향(Y1)로 변위한다. 이로써, 규제체(4a)는, 퇴피 위치(SP)로부터 규제 위치(RP)에 위치 전환하게 된다. 또한, 용기(W)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강하하는 한편, 이것에 압하되는 피압하부(4b)는 회전 운동에 의해 하방 및 제1 Y 방향(Y1)으로 변위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피압하부(4b)는 롤러로 구성되어 있고 X 방향축 주위로 자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피압하부(4b)가 용기(W)의 바닥부와 상대적으로 이동(제1 Y 방향(Y1)으로 변위)해도, 피압하부(4b)가 X 방향을 따르는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생기는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W)의 바닥부가 피압하부(4b)에 의해 문질러지는 것 등에 의한 파티클(particle)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위치(RP)에 위치하는 규제체(4a)가 점유하는 영역과 퇴피 위치(SP)에 위치하는 규제체(4a)가 점유하는 영역이, X 방향(출납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규제체(4a)가 퇴피 위치(SP)와 규제 위치(RP)에 걸쳐 이동할 경우의 규제체(4a)의 통과 영역에 대한, X 방향의 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규제체(4a)를 설치하기 위해 확보해야 할 공간이 작아도 되므로, 설치 스페이스의 점에서 유리하게 된다.From the state of Fig. 5, when the container W is further lowere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 further lowers the lower part 4b to be pressed, and the state shown in Figs. 7 and 8 is obtained. While the container W descends along the up-down direction by the raising/lowering operation mechanism 34S, the lower link body 4d uses the edge part supported by the bracket 97 as a fulcrum, and rotates downward. Accordingly, by this operation, the regulating body 4a supported by the lower link body 4d is displaced downward and displaced in the first Y direction Y1. Thereby, the regulating body 4a is switched from the retracted position SP to the regulating position RP. Moreover, while the container W descends along the up-down direction, the to-be-pressed part 4b pushed down by this is displaced downward and 1st Y-direction Y1 by rotational mo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under-pressure portion 4b is constituted by a roller and is rotatable about the X-direction axis. Accordingly, even if the part under pressure 4b moves relative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 (displaces in the first Y direction Y1), the part under pressure 4b rotates around the axis of rotation along the X direction, Friction between them can be reduced. Therefore, it is rare that particles are generated due to the bottom part of the container W being rubbed by the under-pressure part 4b or the like. 6 and 8,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gion occupied by the regulating body 4a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RP and the regulating body 4a positioned at the retracted position SP are occupie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area|region to carry out may have overlapping parts in the X direction (out-and-out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ssage region of the regulating body 4a when the regulating body 4a moves between the retracted position SP and the regulating position RP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Thereby, since the space to be ensured in order to install the regulating body 4a may be small, it becomes advantageous in the point of installation space.

이와 같이, 도 5∼도 8에 나타내는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반송 장치(3)에 설치된 낙하 방지체(35S)는, 용기(W)가 수납부(21)에 완전히 수납될 때까지, 용기(W)의 개구부(Wa)에 근접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송 장치(3)에 의한 반송 시 및 용기(W)가 완전히 수납될 때까지의 기간은, 낙하 방지체(35S)에 의해, 반도체 트레이(T)가 용기(W)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W)가 수납부(21)에 완전히 수납된 후에는, 규제체(4a)에 의해, 반도체 트레이(T)가 용기(W)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3)가 용기(W)를 수납부(21)에 수납할 때, 낙하 방지체(35S)의 위치가, 규제 위치(RP)에 위치하는 규제체(4a)와 X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기(W)를 수납부(21)에 수납할 때의, 수납부(21)에서의 낙하 방지체(35S)와 규제체(4a)가 차지하는 X 방향에서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X 방향에 있어서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this way, in a series of operations shown in FIGS. 5 to 8 ,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provided in the conveying device 3 is disposed until the container W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21 until the container ( It is located in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opening part Wa of W). Thereby, during the time of conveyance by the conveying apparatus 3 and the period until the container W is completely accommodated, the semiconductor tray T is prevented from falling from the container W by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can be prevented And after the container W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protrusion of the semiconductor tray T from the container W can be controlled by the regulating body 4a. As shown in FIG. 8,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onveying apparatus 3 accommodates the container W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the position of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is located in the regulating position RP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come the position which has the part which overlaps in the X direction with the restricting body 4a which is said.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area in the X direction occupied by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and the regulating body 4a in the storage part 21 when the container W is stored in the storage part 21 is can be made small As a result, space saving can be achieved in the X direction.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수납 설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서 연동 기구의 구성이 상이하게 되어 있고,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Next,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2nd Embodiment, compared with 1s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an interlocking mechanism is different, and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1st Embodiment. Below,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e point different from 1st Embodiment. The points not specifically described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수납 설비는, 수납부(21)에 용기(W)가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W)의 개구부(Wa)로부터의 반도체 트레이(T)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부(5a)와, 수납부(21)에 용기(W)가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W)의 바닥부에 의해 압하되는 피압하부(5b)와, 규제부(5a)와 피압하부(5b)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동 기구(5)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기구(이하, 지레 기구라고 한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 in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tray T from the opening Wa of the container W in the state where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art 21 . A regulating part 5a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a lower part 5b pressed down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and a regulating part 5a and an interlocking mechanism 5 for interlocking the lower part 5b with the lower part 5b.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is constituted by a mechanism using the principle of a le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ever mechanism).

연동 기구(5)는, 규제부(5a)와 피압하부(5b)를 연결하는 연결부(5d)와, 이들 규제부(5a), 피압하부(5b), 및 연결부(5d)의 회전 중심이 되는 지점축(5c)을 가지고 있다. 피압하부(5b) 및 지점축(5c)은, X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피압하부(5b) 및 지점축(5c)에서의 X 방향의 단부에서, 규제부(5a) 및 연결부(5d)가 배치되어 있다.The interlocking mechanism 5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5d connecting the regulating portion 5a and the under-pressured portion 5b, and the regulating portion 5a, the under-pressured portion 5b, and the connecting portion 5d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It has a fulcrum axis 5c. The part to be pressed 5b and the fulcrum axis 5c are arranged along the X direction. And the control part 5a and the connection part 5d are arrange|positioned at the X-direction edge part of these to-be-pressed part 5b and the fulcrum axis 5c.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동 기구(5)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 규제부(5a)와 연결부(5d)가 L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5a)는, 연결부(5d)에 비해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동 기구(5)의 자중(自重)에 의한 지점축(5c) 주변의 모멘트(moment)에 대하여, 제1 X 방향(X1)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이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동일함), 규제부(5a)에 의한 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연결부(5d)에 의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보다 커진다. 따라서, 피압하부(5b)가 용기(W)에 의해 압하되어 있지 않을 때는, 연동 기구(5)는 전체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지점축(5c) 주위에 설치하여 규제부(5a)를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피압하부(5b)가 용기(W)에 의해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동 기구(5)의 전체가 경사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그리고, 지점축(5c)은, 도면 중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계선보다 제1 Y 방향(Y1)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gulating portion 5a and the connecting portion 5d form an L-shape when viewed from the X direction. Moreover, in 2nd Embodiment, the restriction|regulation part 5a is formed long enough compared with the connection part 5d.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0 and 11 , with respect to a moment around the fulcrum axis 5c due to the weight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 in the direction along the first X direction X1 When viewed (hereinafter, the same applies to the rotational direction), the clockwise moment by the regulating portion 5a becomes larger than the counterclockwise moment by the connecting portion 5d. Therefore, when the lower part 5b is not pushed down by the container W,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tends to rotate clockwise as a whole. In the second embodiment, a first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around the fulcrum shaft 5c to press the regulating portion 5a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lower portion 5b is pressed down by the container W. In the non-existent state, the entire interlocking mechanism 5 is configured to maintain an inclined posture (refer to FIG. 10 ). And the fulcrum axis 5c is arrange|positioned at the position which set the distance in the 1st Y direction Y1 from the boundary line shown by the broken line in the figure.

용기(W)가 수납부(21)에 수납될 때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하하는 용기(W)의 바닥부가, 퇴피 위치(SP)에 위치하고 있는 피압하부(5b)에 접촉한다. 이 때, 규제부(5a)에서의 용기(W)의 하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경계선보다 제2 Y 방향(Y2)으로 위치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이 상태가, 규제부(5a)가 퇴피 위치(SP)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When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as shown in FIG. 10, the bottom part of the descending container W contacts the to-be-pressed part 5b located in the retracted position SP. At this time, the part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W in the regulating part 5a is located in the 2nd Y direction Y2 rather than a boundary line. In 2nd Embodiment, 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regulating part 5a is located in the retracted position SP.

용기(W)의 바닥부가 피압하부(5b)를 더욱 압하하면, 연동 기구(5)는, 도 11의 상태가 된다. 용기(W)가 피압하부(5b)를 압하하는 것에 의해, 지점축(5c)을 중심으로 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걸려서, 연동 기구(5)는 지점축(5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규제부(5a)는, 경사 자세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른 기립 자세가 된다. 연결부(5d)는, 탑재대(99)의 상면에 따른 수평 자세가 된다. 이 때, 규제부(5a)의 전체는, 경계선보다 제1 Y 방향(Y1)의 위치으로 배치되는 지점축(5c)과 Y 방향에서 중복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W)가 피압하부(5b)를 압하하는 것에 의해, 규제부(5a)는, 퇴피 위치(SP)로부터 규제 위치(RP)로 위치 전환하게 된다. 규제 위치(RP)에 위치한 규제부(5a)는, 개구부(Wa)에 대하여 X 방향에서 근접하고, 반도체 트레이(T)가 용기(W)의 개구부(Wa)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규제한다. 그리고, 지점축(5c) 주위에는, 규제부(5a)를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 외에, 연결부(5d)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도시하지 않음)도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W)가 수납부(21)에 수납된 후, 피압하부(5b)가 용기(W)에 의해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되었을 때는, 제2 스프링에 의해 연동 기구(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규제부(5a)는 기립 자세로부터 제2 Y 방향(Y2)으로 경사진 자세가 된다. 즉, 규제부(5a)에 의한 시계 방향의 모멘트, 연결부(5d)에 의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 제1 스프링에 의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 및 제2 스프링에 의한 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서로 작용하여 밸런스를 유지하여, 연동 기구(5)는 도 10에 나타내는 경사 자세로 유지된다. 그리고, 제1 스프링에 의해 연동 기구(5)를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구성 대신, 경사 자세의 연동 기구(5)가 자중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지점축(5c)에 설치하여, 연동 기구(5)를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스프링에 의해 연동 기구(5)를 기립 자세로부터 제2 Y 방향(Y2)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도록 가압하는 구성 대신, 연동 기구(5)의 자중에 의해 연동 기구(5)를 기립 자세로부터 제2 Y 방향(Y2)에 경사진 자세로 되도록 가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규제부(5a)가 규제 위치(RP)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Y 방향(Y2)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도록, 규제부(5a)와 연결부(5d)를 연결하는 각도가 조정된다.When the bottom part of the container W further presses down the to-be-pressed part 5b, the linkage mechanism 5 will be in the state of FIG. When the container W presses down the part to be pressed 5b, a counterclockwise moment about the fulcrum axis 5c is applied, and the linkage mechanism 5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fulcrum axis 5c. rotate to Thereby, the regulating part 5a turns into the standing posture along the up-down direction from the inclination posture. The connecting portion 5d is in a horizontal postur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table 99 . At this time, the whole of the regulating part 5a is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in the Y direction with the fulcrum axis 5c arranged at a position in the first Y direction Y1 rather than the boundary line.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W presses down the to-be-pressed part 5b, the regulating part 5a will change the position from the retracted position SP to the regulating position RP. The regulating part 5a located in the regulating position RP approaches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art Wa, and regulates that the semiconductor tray T protrudes from the opening part Wa of the container W. And, around the fulcrum axis 5c, in addition to the first spring for biasing the regulating part 5a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second spring (not shown) for biasing the connecting part 5d in a clockwise direction is also provided. Accordingly, after the container W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art 21, when the lower part 5b is not pushed down by the container W,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is activated by the second spring. rotate clockwise. Therefore, the regulating part 5a becomes an attitude|position inclined in the 2nd Y direction Y2 from a standing posture. That is, the clockwise moment by the regulating part 5a, the counterclockwise moment by the connecting part 5d, the counterclockwise moment by the first spring, and the clockwise moment by the second spring act with each other. Thus, the balance is maintained, and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is maintained in the inclined posture shown in FIG. 10 . And, instead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is held in the inclined posture by the first spring, a rotation regulating part for regulating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in the inclined posture by its own weight is attached to the fulcrum shaft 5c. It is installed and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hold|maintains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in an inclination attitude|position. In addition, instead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spring urges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from the standing posture to the inclined posture in the second Y direction Y2,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is raised by the weight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presses so that it may become an attitude|position inclined to the 2nd Y direction Y2 from an attitude|position. In this case, the angle connecting the regulating part 5a and the connecting part 5d is adjusted so that the regulating part 5a is inclined in the second Y direction Y2 in a state where it is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RP. do.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

(1)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퇴피 위치(SP)가, 개구부(Wa)가 Y 방향에 있어서 점유하는 영역보다 제2 Y 방향(Y2)으로 이격된 위치로서, 상기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위치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퇴피 위치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퇴피 위치는, 규제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면 된다. 예를 들면, 퇴피 위치는, 개구부(Wa)가 Y 방향에 있어서 점유하는 영역과 중복되면서도, 규제 위치(RP)에 대하여 X 방향(X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tracted position SP is a position spaced apart in the second Y direction Y2 from the area occupied by the opening Wa in the Y direction, and is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area. An example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evacu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at is, the retracted position should just be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For example, while overlapping with the area|region occupied by the opening part Wa in the Y direction, the retraction position may be spaced apart in the X direction (outside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gulation position RP.

(2)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위치(RP)에 위치하는 규제체(4a)가 점유하는 영역과 퇴피 위치(SP)에 위치하는 규제체(4a)가 점유하는 영역이, X 방향(출납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또한, 반송 장치(3)가 용기(W)를 수납부(21)에 수납할 때, 낙하 방지체(35S)의 위치가, 규제 위치(RP)에 위치하는 규제체(4a)와 X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여기서 말하는 「중복」은, 대상 요소 모두가 중복하고 있는 경우 외에, 일부 중복하고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규제 위치(RP)의 모두와 퇴피 위치(SP)의 모두가, X 방향(출납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는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규제 위치(RP)에 위치하는 규제체(4a)의 X 방향의 배치 영역과, 퇴피 위치(SP)에 위치하는 규제체(4a)의 X 방향의 배치 영역이, 완전히 중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한 대상 요소가 점유하는 X 방향의 영역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설치 스페이스의 점에서 더욱 유리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반송 장치(3)가 용기(W)를 수납부(21)에 수납할 때의 낙하 방지체(35S)의 위치와 규제 위치(RP)에 위치하는 규제체(4a)가, X 방향에 있어서 전부 중복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송 장치(3)가 용기(W)를 수납부(21)에 수납할 때의 낙하 방지체(35S)의 X 방향의 배치 영역과, 규제 위치(RP)에 위치하는 규제체(4a)의 X 방향의 배치 영역이, 완전히 중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gion occupied by the regulating body 4a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RP and the region occupied by the regulating body 4a positioned at the retracted position SP are in the X direction (in and out) direction), an example configured to have overlapping portions has been described. Moreover, when the conveying apparatus 3 accommodates the container W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the position of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is in the X direction with the regulating body 4a located in the regulating position RP. The example comprised so that it might become a position which has overlapping parts in this was demonstrated. "Duplicate" as used herein includes the case where all of the target elements overlap,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y partially overlap. Howev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all of the regulating positions RP and all of the retracted positions SP are constituted so as to overlap positions in the X-direction (in/out direction). That is, the arrangement area in the X direction of the regulating body 4a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RP and the arrangement area in the X direction of the regulating body 4a positioned at the retracted position SP are configured to completely overlap. more preferably. In this case, the area in the X direction occupied by the target element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which is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installation space. Similarly, the position of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when the conveying apparatus 3 accommodates the container W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and the regulating body 4a locat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RP are in the X direc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ll of them are overlapped. That is, when the conveying apparatus 3 accommodates the container W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the arrangement area|region of the X direction of the fall prevention body 35S, and the restrictor 4a located at the restriction position RP. It is preferable that the arrangement region in the X direction is configured so as to completely overlap.

(3)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위치(RP)에 위치하는 규제체(4a)(5a)가, 상하 방향을 따른 기립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규제체의 자세는 기립 자세가 아니라도 된다. 즉,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규제체는, 용기의 개구부에서의 상하 방향의 영역 모두에 중복하고 있으면 되고, 그러한 경우에는, 규제체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큰 폭으로 경사진 자세라도 된다. 이 경우라도, 규제체에 의해,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 모두가 용기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다.(3)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regulating bodies 4a and 5a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RP are configured to be in a standing postur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osture of the regulating body does not need to be a standing posture. That is, the regulating body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may overlap all of the vertical regions in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gulate by the regulating body so that all of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do not protrude out of the container.

(4)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용기 수납 선반(2)에 대하여 2개의 수납부(21)가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납부(21)는, 1개의 용기 수납 선반(2)에 대하여 X 방향으로 나란히 3개 이상 배치되고 있어도 된다. 본 공개에 따른 기술에 의하면, 규제체를 설치하기 위해 확보할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수납 선반이 많은 수납부를 가지는 것일수록, 공간 절약화의 효과가 복수의 수납부의 각각에 대하여 발휘되기 때문에, 설비 전체로서 수납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two storage parts 21 are arrange|positioned side by side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ne container storage shelf 2 was demonstrat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Three or more storage parts 21 may be arrange|positioned side by side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container storage shelf 2 . According to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pace to be secured for installing the regulating body can be made small, whereby space saving can be achieved. Thereby, since the effect of space saving is exhibited with respect to each of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the more the container storage shelf has many accommodating parts, the storage efficiency as a whole facility can be improved significantly.

(5)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연동 기구가, 링크 기구 또는 지레 기구를 구비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연동 기구는, 규제체와 피압하부를 연동시켜서, 규제 위치와 퇴피 위치에, 규제체를 위치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5)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locking mechanism includes a link mechanism or a lever mechanism has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interlocking mechanism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egulating body and the part to be pressed are interlocked, and the regulating body can be switched between the regula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6)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용기(W)가 반송 장치(3)에 의해 반송되어 용기 수납 선반(2)의 수납부(21)에 수납되도록 구성된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용기 수납 선반은, 바닥면을 주행하는 반송차에 의해 용기가 수납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용기 수납 선반은, 사람의 손에 의해 인위적으로 용기가 수납되는 것이라도 된다.(6)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example comprised so that the container W might be conveyed by the conveyance apparatus 3 and it might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art 21 of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was demonstrat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the container storage shelf may be a container in which containers are accommodated by a transport vehicle traveling on the floor. In additio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may be a container in which a container is artificially accommodated by a human hand.

(7)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수납 선반(2)이 천장으로부터 현수 지지되어 구성된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용기 수납 선반은, 바닥면 상에 설치되는 것이라도 된다.(7)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container storage shelf 2 was suspended and supported from the ceiling was demonstrat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The container storage shelf may be provided on a floor surface.

(8) 상기한 실시형태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공개는 상기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는, 모순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조합할 수 있다.(8)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an illustration. This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thereof.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contradiction.

(9)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연동 기구(5)의 경사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스프링을 규제부(5a)에 설치하고, 규제부(5a)에 의한 시계 방향의 모멘트, 연결부(5d)에 의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 제1 스프링에 의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 및 제2 스프링에 의한 시계 방향의 모멘트를 서로 작용시켜서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1개의 스프링에 의해 밸런스를 유지하여, 연동 기구의 경사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상기 스프링이, 규제부가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규제부가 기립하는 방향(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고, 규제부가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규제부가 도복(倒伏)하는 방향(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9) In the second embodiment, in order to maintain the inclined posture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5,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are provided in the regulating part 5a, and the clockwise moment by the regulating part 5a is , the counterclockwise moment by the connecting portion 5d, the counterclockwise moment by the first spring, and the clockwise moment by the second spring act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balanc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the balance may be maintained by one spring, and the inclined attitude|position of the linkage mechanism may be maintained. That is, the spring applies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gulating part stands up (a direction in which the regulating part is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egulating part is located in the retracted position, and in a state in which the regulating part is positioned in the regulating position, the regulating part is placed in the regulating position. ) may be configured to apply a force in the direction (direction positioned at the retracted position).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Summary of the above embodiment]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용기 수납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utline|summary of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demonstrated in the above is demonstrated.

용기 수납 설비는, 용기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는 용기 수납 선반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는, 측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수납 설비는,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로부터의 상기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체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압하되는 피압하부와, 상기 규제체와 상기 피압하부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체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상기 내용물의 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이격된 퇴피 위치로 위치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피압하부가 상기 용기에 압하된 상태에서 상기 규제체를 상기 규제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피압하부가 상기 용기에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규제체를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includes a container storage shelf having a storage unit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the container has an opening on a side surfac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ut contents in and out of the opening, wherein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includes the storage unit a regulating body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stored in the container; and an interlocking mechanism for interlocking the regulating body and the under-pressured part, wherein the regulating body is disposed outside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ents are put in and out, and the contents a regulating position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regulating unit and a retractabl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so that the position can be switched, wherein the interlocking mechanism moves the regulating body to the regulating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nder-pressured part is pressed down to the container. It is configured to position the regulating body in the retracted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nder-pressed portion is not pressed down on the container.

본 구성에 의하면, 규제체와 피압하부가 연동 기구에 의해 연동한다. 이 연동 기구는,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피압하부가 압하되어 있는 상태와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따라, 규제 위치와, 규제 위치로부터 이격된 퇴피 위치의 사이에 규제체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피압하부가 압하되어 있지 않을 때, 즉 용기가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지 않을 때는, 규제체는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피압하부가 압하되어 있을 때, 즉 용기가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을 때는, 규제체는 규제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용기가 수납되기 전에는, 규제체는 퇴피 위치에 있으므로, 용기가 수납되는 것을 규제체가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용기가 수납될 때는,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피압하부가 압하되고, 피압하부가 압하되는 것에 연동하여 규제체가 규제 위치로 위치 전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 수단에 관계없이 용기를 수납하는 동작 및 꺼내는 동작에 의해, 규제체를 규제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gulating body and the under-pressured portion are interlocked by the interlocking mechanism. This interlocking mechanism can switch the position of the regulating body between the regula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to be pressed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is not depressed. . When the part to be pressed is not depressed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at is, when the container is no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he regulating body is located in the retracted position, and when the part to be pressed is depressed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at is, When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the regulating body is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Therefore, before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the restraining body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so that the restraining body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ntainer being accommod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the lower part is pushed down b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regulating body is moved to the regulating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pushing down of the lower part. In this way, regardless of the driving means, the regulating body can be switched between the regula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by the operation to accommodate the container and the operation to take it out.

규제 위치는,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용기 개구부에 대하여 내용물의 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예를 들면, 개구부에 대하여 출납 방향으로 근접하여)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위치이므로, 용기가 수납부에 수납된 후에는, 규제 위치에 있는 규제체에 의해 용기의 내용물은 출납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따라서, 용기에 진동이 생긴 경우라도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regulating position is a position that is disposed outside the container opening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for example, close to the opening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to regulate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After being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in the withdrawing and unloading direction is regulated by the regulating body at the regulating position. Therefore, even when vibration occurs in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ntents from jumping out of the container.

구동 수단을 채용하지 않는 만큼, 모터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원을 설치할 필요로 없기 때문에, 설치 스페이스의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구동원에 대하여 구동용의 전력이나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나 배관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installation space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driving source such as a motor or an air cylinder as much as the driving means is not employed. Further, since wiring or piping for supplying driving electric power or air to the driving source is unnecessary,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설치 스페이스의 점에서 유리하면서 간소한 구조에 의해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 가능한 용기 수납 설비를 얻을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advantageous in the point of installation space, and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which can regulate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 from a container with a simple structure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규제체가 점유하는 영역과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규제체가 점유하는 영역이, 상기 출납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region occupied by the said regulating body located in the said regulating position and the area|region occupied by the said restrictor located at the said retracted position may be comprised so that it may have an overlapping part in the said withdrawing-in-and-out direction.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체가 퇴피 위치와 규제 위치에 걸쳐서 이동할 경우의 규제체의 통과 영역에 대한, 출납 방향의 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규제체를 설치하기 위해 확보할 공간이 작아도 되므로, 설치 스페이스의 점에서 유리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regulating body in the passage region of the regulating body in the case of moving between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regulating position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Thereby, since the space to be secured for installing the regulating body may be small,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installation space.

또한, 상기 용기를 상기 수납부에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용기의 반송 시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상기 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방지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container to the accommodating unit, wherein, when the container is conveyed, the conveying device is disposed outside the opening in the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opening in the container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falling. It is preferable to have a fall prevention body to prevent.

이 구성에 의하면, 반송 장치는, 용기의 개구부에 대하여 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예를 들면, 개구부에 대하여 출납 방향으로 근접하는) 낙하 방지체를 가지고 있으므로, 용기의 반송 시에 반송 장치가 진동하는 경우라도,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튀어나와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장치에 의해 용기를 수납부로 반송하여 상기 용기를 수납부에 수납한 후에는, 용기 수납 선반이 구비하는 규제체에 의해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의 튀어나옴이 규제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용기의 반송 시 및 용기의 수납 후에 있어서,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onveying device has a drop preventing member disposed outside the opening in the container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for example, close to the opening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the conveying device is Even in the case of vib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jumping out of the container and falling. Further, after the container is transported to the accommodating unit by the conveying device and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is regulated by the regulating body provided in the container accommodating shelf. 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jumping out of the container during transport of the container and after storage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용기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 상기 낙하 방지체의 위치가, 상기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규제체와 상기 출납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he conveying device accommodates the container in the storage unit, the position of the fall prevention body is configured to be a position having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control body located at the control position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이 구성에 의하면, 반송 장치가 용기를 수납부에 수납할 때의 낙하 방지체는,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규제체와 출납 방향으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용기를 수납부에 수납할 때의, 낙하 방지체와 규제체가 차지하는 출납 방향에서의 영역을 출납 방향에 있어서 작게 할 수 있어, 공간 이용 효율이 양호하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fall prevention body when the conveying apparatus accommodates the container in the accommodating part has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regulating body locat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when storing the container in the accommodating part, The area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occupied by the fall prevention body and the regulating body can be made small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so that th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is good.

또한, 상기 규제체는, 장척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규제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그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기립 자세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규제체에 상기 기립 자세를 유지시킨 채, 상기 규제체와 상기 피압하부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gulating body is formed in a long shape, and is configured such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is in a standing posture along an up-down direction in the regula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interlock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be in the standing posture to the regulating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regulating body and the lower part to be pressed are configured to interlock while maintaining the .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체는, 규제 위치 및 퇴피 위치의 양쪽 위치에서 기립 자세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평면에서 볼 때의 용기 수납 선반에서의 규제체가 차지하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공간 이용 효율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regulating body maintains the standing posture at both the regula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the area occupied by the regulating body o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in a plan view can be made small. Therefor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can be made further more favorable.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용기에서의 상기 출납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규제체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the said opening part is formed in the state mutually opposing in the said input/removal direction in the said container, and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the said regulating body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aid opening part.

이 구성에 의하면, 내용물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출납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개구부가 한 쌍 형성된 사용에 편리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각각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규제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느 쪽의 개구부로부터도 내용물이 튀어나오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n the case of using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contents, which has a pair of openings facing each other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which is convenient for use, since a restrictor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pening, which opening It is also possible to regulate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from the

또한, 상기 용기 수납 선반은, 상기 출납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수납부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수납부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규제체와 상기 피압하부와 상기 연동 기구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ainer storage shelf has a plurality of the accommodating part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withdrawing and withdrawing direction, an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the regulating body, the under-pressed part, and the interlocking mechanism are separately provided. desirable.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수납부의 각각에 대하여, 구동 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간소한 구조에 의해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체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수납부에 대한 각각의 규제체를 구동 수단에 의해 위치 전환하는 구성에 비해, 설비 전체로서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을 설치하지 않는 것에 의한 공간 절약화의 효과가, 복수의 수납부의 각각에 대하여 발휘되기 때문에, 설비 전체로서 공간 이용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gulating body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with a simple structure that does not use a driving mean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ortions. Thereby,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switches the positions of each regulating body with respect to a some accommodating part by a drive means, it can be set as the structure simple as a whole facility. Moreover, since the effect of space saving by not providing a drive means is exhibited with respect to each of a some accommodating part, th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as a whole installation can be improved significantly.

1: 용기 수납 설비
2: 용기 수납 선반
3: 반송 장치
3R: 주행 구동부
4: 연동 기구
4a: 규제체
4b: 피압하부
21: 수납부
35S: 낙하 방지체
90: 주행 레일
RP: 규제 위치
SP: 퇴피 위치
T: 반도체 트레이(내용물)
W: 용기
Wa: 개구부
X: X 방향(출납 방향)
1: Container storage facility
2: container storage shelf
3: conveying device
3R: drive drive
4: peristaltic mechanism
4a: Regulatory bodies
4b: under pressure
21: storage unit
35S: fall prevention body
90: running rail
RP: Regulatory Position
SP: Evacuation position
T: semiconductor tray (contents)
W: courage
Wa: opening
X: X direction (in/out direction)

Claims (8)

용기 수납 설비로서,
용기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는 용기 수납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측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수납 설비는,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로부터의 상기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체;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압하(押下)되는 피압하부(被押下部); 및
상기 규제체와 상기 피압하부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機構)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규제체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내용물의 출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상기 내용물의 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이격된 퇴피 위치로 위치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피압하부가 상기 용기에 압하된 상태에서 상기 규제체를 상기 규제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피압하부가 상기 용기에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규제체를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 수납 설비.
A container storage facility comprising:
It includes a container storage shelf having a storage unit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The container has an opening on the sid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ut the contents in and out from the opening,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a regulating body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 lower part to be pressed by the bottom part of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and
Interlocking mechanism for interlocking the regulating body and the under-pressured part
further comprising,
The regulating body mov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of the contents in a plan view, and is disposed outside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of the contents. A regulating position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and a position switchable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to a evacuation position spaced apart,
The interlocking mechanism places the regulating body in the regulating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nder-pressured part is pressed down on the container, and places the regulating body in the retracted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nder-pressured part is not pressed down on the container. consisting of a list,
container storage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에 대한 상기 용기의 수납 방향인 선반 안쪽 길이 방향으로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향한 상태로, 상기 용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 수납 설비.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ainer in a state fac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a direction orthogonal in plan view in a shelf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a storage direction of the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storage uni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규제체가 점유하는 영역과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규제체가 점유하는 영역이, 상기 출납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 수납 설비.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is configured such that a region occupied by the regulating body positioned in the regulating position and an region occupied by the regulating body positioned in the retracted position have overlapping portions in the withdrawing and receiving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상기 수납부에 반송(搬送)하는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용기의 반송 시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상기 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방지체를 포함하는, 용기 수납 설비.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Containing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container to the accommodating unit,
Container storage equipment, wherein the conveying device includes a drop preventing member disposed outside the opening in the container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falling when the container is conveyed.
용기 수납 설비로서,
용기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는 용기 수납 선반; 및
상기 용기를 상기 수납부에 반송하는 반송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측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수납 설비는,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로부터의 상기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체;
상기 수납부에 상기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의해 압하(押下)되는 피압하부(被押下部); 및
상기 규제체와 상기 피압하부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機構)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규제체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상기 내용물의 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의 튀어나옴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이격된 퇴피 위치로 위치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피압하부가 상기 용기에 압하된 상태에서 상기 규제체를 상기 규제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피압하부가 상기 용기에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규제체를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용기의 반송 시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상기 출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방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용기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상기 낙하 방지체의 위치가, 상기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규제체와 상기 출납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는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 수납 설비.
A container storage facility comprising:
a container storage shelf having a storage unit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and
a conveying device conveying the container to the accommodating unit;
including,
The container has an opening on the sid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ut the contents in and out from the opening,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a regulating body for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 lower part to be pressed by the bottom part of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and
Interlocking mechanism for interlocking the regulating body and the under-pressured part
further comprising,
The regulating body includes a regulating position disposed outside the opening in the container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ents are put in and out and reg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contents, and a retraction spaced apart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switched by position,
The interlocking mechanism places the regulating body in the regulating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nder-pressured part is pressed down on the container, and places the regulating body in the retracted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nder-pressured part is not pressed down on the container. is composed of
The conveying device includes a drop preventing member disposed outside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falling when the container is transported,
When the transport device accommodates the container in the accommodating unit, the position of the fall prevention body is configured to overlap with the regulating body positioned at the regulating position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container storage equipm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체는, 장척형(長尺形)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규제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상기 규제체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기립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규제체에 상기 기립 자세를 유지시킨 채로, 상기 규제체와 상기 피압하부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 수납 설비.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regulating body is formed in a long shape,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gulating body becomes a standing postur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gula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interlock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interlock the regulating body and the under-pressured part with the regulating body maintaining the standing post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용기에서의 상기 출납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규제체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는, 용기 수납 설비.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pair of the openings are formed in a stat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loading/unloading direction in the container,
A container storage facility in which a pair of the regulating body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납 선반은, 상기 출납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수납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수납부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규제체와 상기 피압하부와 상기 연동 기구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용기 수납 설비.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container storage shelf includes a plurality of the storage unit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ading and unloading direction,
The container storage facility in which the said regulating body, the said under-pressured part, and the said interlocking mechanism are respectively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of the said several storage part.
KR1020170115001A 2016-09-09 2017-09-08 Container storage facility KR1023900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6975A JP6690479B2 (en) 2016-09-09 2016-09-09 Container storage equipment
JPJP-P-2016-176975 2016-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970A KR20180028970A (en) 2018-03-19
KR102390054B1 true KR102390054B1 (en) 2022-04-22

Family

ID=6157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001A KR102390054B1 (en) 2016-09-09 2017-09-08 Container storage facilit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90479B2 (en)
KR (1) KR102390054B1 (en)
CN (1) CN107808846B (en)
TW (1) TWI73666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6592B2 (en) * 2018-10-12 2022-05-13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ment system
KR102252735B1 (en) * 2019-07-29 2021-05-17 세메스 주식회사 Hand uni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2264860B1 (en) * 2019-08-27 2021-06-14 세메스 주식회사 Hand unit,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ixing object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2063B2 (en) 2001-12-20 2008-06-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Automated guided vehicle
JP2009073580A (en) * 2007-09-19 2009-04-09 Toyota Industries Corp Cargo fall preventive device in storage shelf
JP2015222738A (en) * 2014-05-22 2015-12-10 株式会社ダイフク Carri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1925B2 (en) * 1997-01-09 2004-12-15 アシスト シンコー株式会社 Cassette transport cart
JP4276810B2 (en) 2002-02-15 2009-06-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Automated guided vehicle
JP4760919B2 (en) * 2009-01-23 2011-08-3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Coating and developing equipment
JP3166374U (en) * 2010-12-20 2011-03-03 旭硝子株式会社 Plate-shaped body storage container
JP6455239B2 (en) * 2015-03-06 2019-01-23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Door ope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2063B2 (en) 2001-12-20 2008-06-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Automated guided vehicle
JP2009073580A (en) * 2007-09-19 2009-04-09 Toyota Industries Corp Cargo fall preventive device in storage shelf
JP2015222738A (en) * 2014-05-22 2015-12-10 株式会社ダイフク Carri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08846A (en) 2018-03-16
CN107808846B (en) 2023-04-18
KR20180028970A (en) 2018-03-19
TW201812961A (en) 2018-04-01
TWI736662B (en) 2021-08-21
JP6690479B2 (en) 2020-04-28
JP2018039656A (en)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987B1 (en) Transport vehicles and transport equipment
KR102636990B1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equipment
JP6191543B2 (en) Transport device
JP6191544B2 (en) Transport device
KR102279602B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RU2555083C2 (en) Suspended robot-aided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076630B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and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2390054B1 (en) Container storage facility
JP6477439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KR20160056826A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JP2017088279A (en)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ethod
KR20210042379A (en) Ceiling hanging shelf
KR20190009371A (en) Return system
KR20120029325A (en) Transport device
KR102293463B1 (en) Transportation apparatus
CN111741911B (en) Conveying device
JP2023126681A (en) Article transfer facility
JP5342510B2 (en) Game board packing line
JP6848676B2 (en) Picking system
KR101844314B1 (en)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Plural of Materials to Each Processing Machine Automatically
JP2019104536A (en) Carrying device and carrying method
KR20190013199A (en) Packing Robot System
JP2024008689A (en) Article conveyance vehicle
KR20220060485A (en) Transport vehicle
JP2021042060A (en) Convey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