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701B1 - the automatic washing apparatus of the net for the shellfish mode - Google Patents
the automatic washing apparatus of the net for the shellfish mo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5701B1 KR102385701B1 KR1020210039344A KR20210039344A KR102385701B1 KR 102385701 B1 KR102385701 B1 KR 102385701B1 KR 1020210039344 A KR1020210039344 A KR 1020210039344A KR 20210039344 A KR20210039344 A KR 20210039344A KR 102385701 B1 KR102385701 B1 KR 1023857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
- brush
- chaerong
- driving
- inter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abstract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37 scallop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270 Allium sibir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03 Pecti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9 Patinopecten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49 growth pla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01K61/55—Basket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 B08B1/002—
-
- B08B1/008—
-
- B08B1/0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굴이나 가리비 등의 패류 양식에서 치패를 담아 낱개로 양성하는 채롱망(양성망)을 회전시키면서 고압의 세척수로서 채롱망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매우 효율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양성 중인 개체굴의 둘레에 불규칙하게 자라나는 서실(성장판)을 갈아 개체굴을 보기 좋은 모양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 패류 양식용 채롱망의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ighly efficient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haerong net us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the chaerong net (positive net), which contains scallops in shellfish culture such as oysters and scallops, and is cultivated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n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chaerong nets for shellfish culture, which grinds the irregularly growing stalks (growth plates) on the periphery of the shell so that the oysters can grow in a good shape.
개체굴은 기존 덩이굴 형태로 양식해 패각을 제거하고 알굴로 판매하는 것과 달리 육상의 수조에서 종패를 키워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치패를 채롱망에 담아 낱개 형태로 키워 패각을 제거하지 않고 개체별로 판매하도록 한 굴로써 알굴 형태로 판매하는 것보다 판매가가 1∼1.5배 높은 고수익의 고부가가치 상품이다.Unlike the existing oysters, which are cultured in the form of tubers to remove the shells and sold as egg oysters, seed oysters grown to a certain size in an onshore tank are grown individually in a chaerong net and sold individually without removing the shells. As a single oyster, it is a high-profit, high-value-added product whose selling price is 1-1.5 times higher than that sold in the form of oysters.
또한, 덩이굴은 껍데기를 제거하고 알굴 상태로 출하하니 패각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컸으나, 개체굴은 망에 넣어 관리하니 해양오염도 없고 패각 처리문제가 해소되니 어민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료나 비료를 주지 않고 자연의 생산력을 최대한 활용한 저탄소 양식산업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hells are removed and the oysters are shipped as eggs, there was a big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shells. However,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low-carbon aquaculture industry that maximizes natural productivity without the use of fertilizers.
상기 덩이굴의 경우 굴 껍데기나 가리비 껍데기와 같은 패각에 굴 유생을 부착시켜 양성하는데 반해, 개체굴은 일정크기로 성장한 치패를 채롱망에 담아 바다에 투입하여 일정기간 동안 바다의 플랑크톤에 의해 자연상태로 양성된다.In the case of the tubers, oyster larvae are attached to shells such as oyster shells or scallop shells to be nurtured, whereas individual oysters are prepared in a natural state by plankton of the sea by putting shellfish grown to a certain size in a chaerong net and putting them into the s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nurtured with
이와 같은 개체굴의 양식은 양식장 원줄에 치패를 담은 일정 크기의 채롱망을 일정 간격으로 목줄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이를 바다에 투입하는 수하식의 양성방식을 주로 사용되는 데 양성 단계에서 채롱망의 표면에 해역의 수질과 수온 등의 영향으로 다양한 수생생물과 이끼 등 각종 이물질이 달라붙어 바닷물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치패의 먹이 생물 공급이 감소되어 개체굴의 성장을 지연시키고 심지어는 폐사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is type of oyster aquaculture, the vertical breeding method is mainly used, in which chaerong nets of a certain size containing chives are connected to the original row of the farm using a leash at regular intervals and put into the sea. Under the influence of the water quality and temperature of the sea area, various aquatic organisms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ss adhered and obstructed the flow of seawater, thereby reducing the supply of food organisms for chives, delaying the growth of burrows and even killing them.
따라서, 채롱망을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인양하여 세척하게 되는 데 종래의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불편과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자동 세척장치가 안출되어 특허 제10-1898551호, 제10-2110467호로 개시되고 있다. Accordingly, an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improving the inconvenience and inefficiency of conventional manual washing has been devised and disclosed as Patent Nos. 10-1898551 and 10-2110467. .
상기 안출된 특허 제10-1898551호는 이격된 두 개의 연직된 회전샤프트에 다수개로 분활된 회전부재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회전부재가 채롱망을 회전시키면서 맞은편의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proposed Patent No. 10-1898551 installs a plurality of divided rotating members on two vertical rotating shafts spaced apart, and the rotating member rotates the chaerong net while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rotating shaft.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is
따라서, 상기 특허는 종래 수동으로 세척하는 작업에 비해 자동으로 세척작업이 이루어져 힘들이지 않고 세척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아래와 같은 이유로서 세척 효율면에서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above pat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conveniently without effort because the cleaning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ual cleaning operation,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xcellent in cleaning efficiency for the following reasons.
첫째, 채롱망은 평면상으로 배치된 두 줄의 회전부재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채롱망이 정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회전부재에 단순히 기대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파도에 의한 선박이나 바지선의 요동에 의해 채롱망이 흔들리게 될 뿐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개체굴의 무게에 의해 중량체의 채롱망이 원활히 회전되지 않아 채롱망의 전체를 고르게 세척할 수 없다. First, since the chaerong net is rotated in contact with two rows of rotating members arranged on a plane, the chaerong net is not fixed in place but simply leaned on the rotating member. Not only does the chaerong net shake, but the heavy chaerong net does not rotate smoothly due to the weight of the individual oyster housed inside, making it impossible to clean the entire chaerong net evenly.
둘째, 채롱망의 표면에는 조개 등의 부착생물이나 이물질이 불규칙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에 밀착되지 않고 경사지거나 비틀어진 상태로 접촉되어 채롱망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다.Second, since attached organisms or foreign substances such as shellfish are irregular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haerong net, it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ng member and is in contact with an inclined or twisted state, so that the rotation of the chaerong net is not smooth.
셋째, 채롱망의 전면에서 분사노즐이 채롱망의 전면에 걸쳐 세척수가 균일하게 분사되므로 고압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채롱망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일부는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채롱망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Third, since the spray nozzle from the front of the chaerong net sprays the washing water uniforml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chaerong net, some of th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haerong net by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do not fall off, but rather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haerong net. there is
넷째, 세척장치가 복잡한 구조의 망회전유닛과 운동변환수단을 가진 노즐승강유닛과 분사유닛 등으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제작비 또한 많이 소요된다. Fourth, the washing device is composed of a mesh rotation unit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a nozzle elevating unit having a motion conversion means, a spray unit, etc., so it is not easy to manufacture and requires a lot of manufacturing cost.
따라서, 상기 특허는 채롱망 세척면에서 비효율적이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어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above patent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is inefficient in terms of cleaning the chaerong net,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making it impractical.
또한, 상기 특허 제10-2110467호는 선박에 개체굴 서실 마모장치를 고정 설치하고 세척할 채롱망 쪽으로 선박을 이동시킨 후 채롱망을 회전프레임에 이격 설치한 한 쌍의 구름롤러에 기댄 상태로 회전프레임을 실린더에 의해 하측을 위로 들어 올려 경사지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구름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채롱망의 뒤쪽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Patent No. 10-2110467, a wear device for the individual den standing room is fixed on a ship, the ship is moved to the chaerong net to be washed, and the chaerong net is rotated while leaning against a pair of rolling roller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rotating frame. It has a structure for washing by spraying washing water on the back of the chaerong net rotated by a rolling roller in a state in which the frame is lifted up by a cylinder and placed at an angle.
따라서, 세척수를 수작업으로 돌려 세척하는 종래의 작업에 비해 편리한 점은 있으나, 이 역시 전기한 선행특허와 같이 평면상으로 배치된 한 쌍의 구름롤러에 의해 채롱망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정위치에서 회전되지 않을 뿐 아니라 쉽게 미끄러지고 또한, 개체굴의 무게 및 표면에 불규칙하게 부착된 이물질 등에 의해 무거운 채롱망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아 세척효율이 높지 않고 고압력의 세척수가 채롱망의 전체에 걸쳐 분사되어 이물질이 채롱망의 내부로 역유입되는 등 여러가지의 폐단이 있었다.Therefore, it is conveni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peration of manually turning the washing water to wash, but this also rotates the chaerong net by a pair of rolling rollers arranged on a plane as in the previous patent, so it is not rotated at the correct position. Not only does it slide easily, but also because it is not easy to rotate the heavy chaerong net smoothly due to the weight of the individual burrow and foreign substances irregularly attached to the surface, the cleaning efficiency is not high, and high-pressure washing water is sprayed over the entire chaerong net. As a result, there were various disadvantages, such as the revers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terior of the Chaerong net.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데 있는 것으로 두 개의 구동브러쉬와 한 개의 연동브러쉬를 삼각형태로 배치시켜 채롱망을 상기 구동브러쉬와 연동브러쉬의 사이에 수용한 상태에서 정확하게 회전시켜 세척할 수 있는 패류 양식용 채롱망의 자동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ior art, by arranging two driving brushes and one interlocking brush in a triangular shape to accurately rotate the chaerong net in a state accommodated between the driving brush and the interlocking brus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chaerong nets for shellfish culture that can be washed b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압세척수을 채롱망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측면에서 분사하여 채롱망의 내부로 세척과정에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패류 양식용 채롱망의 자동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a chaerong net for shellfish culture that sprays high-pressure washing water from the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erong net is rotat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haerong net during the washing proces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박이나 지면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수직으로 일열로 입설되어 회전되는 구동축에 브러쉬를 축삽한 제1구동브러쉬와 제2구동브러쉬, 상기 제1구동브러쉬와 제2구동브러쉬의 근접 위치에 설치된 세척수관으로 이루어져 채롱망에 고압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장치와, 상기 세척장치의 측부에 설치되어 채롱망 양식용 원줄을 안내하는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채롱망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정ㆍ역회전이 가능한 제1구동브러쉬 및 제2구동브러쉬와, 동력 없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연동축에 브러쉬를 관삽한 연동브러쉬를 삼각형태로 배치하여 제1구동브러쉬와 제2구동브러쉬 및 연동브러쉬의 회전으로 채롱망을 인입시켜 둘러싼 상태로 정위치에서 회전시키면서 세척하고, 세척 후 제1구동브러쉬와 제2구동브러쉬 및 연동브러쉬를 역회전시켜 채롱망을 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채롱망의 자동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ain body fixed to a ship or the ground, a first driving brush and a second driving brush in which the brushes are inserted into a driving shaft which is vertically erected and rotated in a row on the main body, the second driving brush A washing device comprising a washing water pipe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brushes and spray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to the chaerong net, and a suppor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device to guide the chaerong net culture line. In the chaerong net cleaning devic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brushes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interlocking brushes in which the brushes are inserted into the interlocking shafts that rotate freely without power, are arranged in a triangle shap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brushes and interlocking brushes, the chaerong net is drawn in and rotated in the surrounding state while rotating at the correct position, and after washing, the 1st and 2nd driving brushes and the interlocking brush are reversely rotated It provides an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chaerong net for shellfish cul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 is drawn out.
또한, 제1구동브러쉬와 연동브러쉬는 채롱망의 진행방향으로 전면에 배치되되 연동브러쉬는 제1구동브러쉬보다 약간 앞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제2구동브러쉬는 상기 제1구동브러쉬와 연동브러쉬의 후방 중간 위치에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brush and the interlocking brush are disposed on the front sid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haerong net, the interlocking brush is installed to protrude slightly forward than the first driving brush, and the second driving brush is the rear of the first driving brush and the interlocking brus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and installed to form a triangular shape in an intermediate position.
또한, 제1구동브러쉬와 제2구동브러쉬는 채롱망의 세척시에는 채롱망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 회전되고, 채롱망의 세척이 끝난 후에는 상기 세척시와는 반대로 역회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brush and the second driving brush are driven and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haerong net when the chaerong net is washed, and after the cleaning of the chaerong net is finished, the chaerong net is configured to be reverse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washing. characterized.
또한, 연동브러쉬는 채롱망의 인입 또는 인출시 제1구동브러쉬와 제2구동브러쉬에 의한 채롱망의 회전으로 제1구동브러쉬 및 제2구동브러쉬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고 채롱망과는 항상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brush rotates interlocking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brush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chaerong net by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brushes when the chaerong net is drawn in or out, and is always opposite to the chaerong n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in the direction.
또한, 세척수관은 채롱망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서 제1구동브러쉬 또는 제2구동브러쉬와 연동브러쉬의 사이의 본체에 입설되어 세척수관의 분사노즐이 채롱망의 외표면 일측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각도 조절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pipe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haerong net, and is installed in the body between the first or second driving brush and the interlocking brush so that the spray nozzle of the washing water pipe sprays the washing water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haerong n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by adjusting the ang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채롱망이 삼각형상으로 배치된 구동브러쉬와 연동브러쉬의 사이에서 협지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선박의 흔들림이나 고압세척수의 분사압력에 의해 채롱망이 흔들리거나 요동되지 않고 정위치에서 회전되면서 세척되므로 세척효율이 매우 높고 특히, 세척수가 채롱망의 내부로 분사되지 않고 회전방향의 측부로 분사되므로 회전되는 채롱망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분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채롱망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게 하는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erong net is rotated in a state sandwiched between the driving brush and the interlocking brush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the chaerong net is not shaken or shaken by the shaking of the ship or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The cleaning efficiency is very high and especially, since the washing water is not sprayed into the inside of the chaerong net and is sprayed on the side in the rotatio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otating chaerong net more easily. It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of allowing foreign substances to flow into the inside.
도 1은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채롱망이 세적장치에 수용되어 세척되는 과정의 정면예시도
도 3은 채롱망이 세척장치에 수용되어 세척되는 과정의 평면개략도
도 4는 구동브러쉬의 회전방향과 세척수의 분사방향을 설명한 평면도
도 5는 채롱망의 인입시 브러쉬와 채롱망의 회전방향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채롱망의 인출시 브러쉬와 채롱망의 회전방향을 나타낸 개략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process in which the chaerong net is accommodated in the washing device and washed;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rocess in which the chaerong net is accommodated in the washing device and washed;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brush and 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and the chaerong net when the chaerong net is drawn i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and the chaerong net when the chaerong net is withdrawn;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패류 양식용 채롱망의 자동 세척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나 지면에 고정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수직으로 일렬로 입설되어 회전되는 두 개의 구동축(20)에 브러쉬(21)를 축삽한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 상기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의 근접 위치에 설치된 세척수관(30)으로 이루어져 채롱망(N)에 고압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장치(40)와, 상기 세척장치(40)의 측부에 설치되어 채롱망(N) 양식용 원줄(L)을 안내하는 지지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채롱망 세척장치(5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정ㆍ역회전이 가능한 제1구동브러쉬(100) 및 제2구동브러쉬(200)와, 동력 없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연동축(60)에 브러쉬(21)를 관삽한 연동브러쉬(300)를 삼각형태로 배치하여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 및 연동브러쉬(300)의 회전으로 채롱망(N)을 인입시켜 둘러싼 상태로 정위치에서 회전시키면서 세척하고, 세척 후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 및 연동브러쉬(300)를 역회전시켜 채롱망(N)을 인출시킴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automatic washing apparatus of the chaerong net for shellfish cul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본체(10)는 마름모꼴로서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으로 상하 이격 설치되고 그 사이에 두 개의 구동축(20)과 한 개의 연동축(60)이 입설된다.The
또한, 채롱망(N)이 입출되는 전면의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에는 채롱망(N)과 이를 연결한 목줄이 제1구동로울러(100)와 연동로울러(300)의 사이로 출입시 걸리지 않도록 요입부(13)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상기 구동축(20)은 정ㆍ역회전이 되는 유압모터(22)에 의해 구동되는 제1구동축(20a)과 제2구동축(20b)으로 이루어지고 채롱망(N)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 외면 전체에 브러쉬(21)가 관삽되어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를 구성한다. The
상기 연동축(60)은 동력이 주어지지 않고 채롱망(N)의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되는 자유회전축으로서 외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브러쉬(21)가 관삽되어 연동브러쉬(300)를 구성한다.The interlocking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 및 연동브러쉬(300)가 삼각형태로 설치되어 내부에 채롱망(N)을 에워싸 정위치에서 회전되도록 한 데 그 특징이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브러쉬(100)와 연동브러쉬(300)는 채롱망(N)의 진행방향으로 전면에 배치되되 연동브러쉬(300)는 제1구동브러쉬(100)보다 약간 앞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제1구동브러쉬(100)는 채롱망(N)의 세척시에는 채롱망(N)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 회전되고 채롱망(N)의 세척이 끝난 후에는 상기 세척시와는 반대로 역회전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4, the
또 제2구동브러쉬(200)는 상기 제1구동브러쉬(100)와 연동브러쉬(300)의 후방 중간 위치에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제1구동브러쉬(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 회전하고 제1구동브러쉬(100)와 같이 채롱망(N)의 세척시에는 채롱망(N)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 회전되고 채롱망(N)의 세척이 끝난 후에는 상기 세척시와는 반대로 역회전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의 정ㆍ역회전은 유압모터(22)의 스윗치를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거나 전환하거나, 또는 세척시 채롱망(N)의 회전수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orward/reverse rotation of the
이러한 유압모터(22)의 정ㆍ역회전 전환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forward/reverse rotation switching of the
연동브러쉬(300)는 자체적으로는 회전되지 않지만, 채롱망(N)의 인입 또는 인출시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에 의해 채롱망(N)이 회전될 때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고 채롱망(N)과는 항상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interlocking
또한, 상기 세척수관(30)은 채롱망(N)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서 제1구동브러쉬(100) 또는 제2구동브러쉬(200)와 연동브러쉬(300)의 사이의 본체(10)에 입설되어지고 전 길이에 걸쳐 다수개의 분사노즐(31)이 조밀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세척수관(30)의 분사노즐(31)이 세척수를 분사하는 각도는 채롱망(N)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떼어내는 데 매우 중요하다. Here, the angle at which the
즉, 본 발명은 세척수관(30)의 분사노즐(31)이 채롱망(N)의 중간이 아닌 외표면 일측부로 고압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각도 조절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이렇게 함으로써 고압세척수가 채롱망(N)의 외표면 일측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채롱망(N)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By doing so,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haerong net (N),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chaerong net (N) and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foreign substances.
또한, 상기 지지구(50)는 상기 세척장치(40)의 전후에 설치되어 채롱망(N)이 결속된 양식용 원줄(L)을 안내하여 채롱망(N)이 세척장치(500)에 원활하게 인입되고 인출되는 것을 보조하게 되며 유압실린더와 같은 승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세척장치(40)는 어선이나 바지선의 가장자리에 고정 설치하여 인양기로 끌어올린 원줄(L)에 목줄로서 간격을 두고 연결된 채롱망(N)을 연속하여 세척하게 되는 데, 양식장 원줄(L)을 지지구(50)에 안내하여 채롱망(N)이 일정한 높이로 유지된 상태에서 세척장치(40)의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를 채롱망(N)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인양기로서 원줄(L)을 당겨 채롱망(N)을 세척장치(4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세척장치(40)의 전방에 대기한 작업자가 채롱망(N)을 살짝 터치하여 제1구동브러쉬(100)와 연동브러쉬(300)의 사이로 밀어 넣게 되면 채롱망(N)은 제1구동브러쉬(100) 및 이보다 약간 돌출된 연동브러쉬(300)에 받치면서 내부로 인입되어 제2구동브러쉬(200)와 함께 형성된 삼각형상의 내부 공간에 제1구동브러쉬(100), 제2구동브러쉬(200) 및 연동브러쉬(300)로서 둘러싸여 안정되게 위치하게 된다. The
즉, 제1구동브러쉬(100)는 채롱망(N)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으므로 채롱망(N)이 제1구동브러쉬(1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이의 회전력에 의해 맞물린 채롱망(N)은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인입되어 제2구동브러쉬(200)와 회전력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연동브러쉬(300)가 채롱망(N)의 회전에 의한 연동으로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와 동일한 방향이면서 채롱망(N)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채롱망(N)은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3개의 제1구동브러쉬(100), 제2구동브러쉬(200), 연동브러쉬(300)의 삼각형 내부에서 안정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That is, since the first driving
이와 같이 채롱망(N)이 3개의 제1구동브러쉬(100), 제2구동브러쉬(200), 연동브러쉬(300)에 의해 정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면 조밀하게 돌출된 브러쉬의 솔이 채롱망(N)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면서 채롱망(N)의 내부를 찌르게 됨과 동시에 표면이 스크래핑되어 이에 부착된 조개를 비롯한 기타 바다생물, 이끼, 해초 등 각종 이물질과 서실등이 분리되어 제거되고 세척수관(30)에 설치된 분사노즐(31)에서 고압의 세척수가 채롱망(N)의 외표면에 분사되므로 브러쉬(21)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과 미처 분리되지 못한 이물질이 고압 세척수의 압력으로 제거되어 세척되는 데, 이때 분 발명은 세척수관(30)의 분사노즐(31)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되는 각도를 채롱망(N)의 외표면 일측부로 조정하여 설치한 것이므로 고압 세척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롱망(N)의 일측에 분사되어 회전되는 채롱망(N)의 외표면을 단계적으로 세척하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chaerong net (N) is rotated in place by the three first driving brushes 100, the
따라서, 고압의 세척수가 채롱망(N)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분사되지 않으므로서 선행특허와 같이 이물질이 채롱망(N)의 내부로 다시 역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않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is not directly spr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erong network (N), the problem that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back into the interior of the chaerong network (N) does not occur as in the prior pat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채롱망(N)을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구동브러쉬(100), 제2구동부러쉬 및 연동브러쉬(300)의 사이에 흔들리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안정된 상태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고 특히 고압의 세척수가 채롱망(N)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분사되지 않으므로 선행기술에서 세척시 채롱망(N)이 흔들리거나 유동되어 효율적인 세척을 할 수 없는 문제와 세척수의 고압력에 의해 이물질이 엉성한 그물망의 내부로 역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prays high-pressure washing water in a stable state so as not to shake or flow between the first driving
특히, 채롱망(N)이 제1구동브러쉬(100), 제2구동부러쉬 및 연동브러쉬(300)의 내부에 둘러싸인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브러쉬를 구성하는 솔이 채롱망(N)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 개체굴에 붙어있고 엉켜있는 각종 이물질들을 분리시키고 흐트러 놓게 되므로 세척수를 분사하지 않고도 그 상태로 바다에 다시 침강되었을 때 이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여기에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되므로서 더욱 이물질의 세척효과가 상승되어 세척효율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chaerong net (N) is rotated in a state surrounded by the inside of the first driving
채롱망(N)이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세척이 완료되면 채롱망(N)을 세척장치(40)로부터 인출하게 되는 데 이때에는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를 상기 인입시와는 반대로 유압모터(22)를 역회전시키면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 및 연동브러쉬(300)가 채롱망(N)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로 회전되면서 채롱망(N)을 삼각형상의 내부에서 외부로 밀어내게 되므로 세척이 완료된 채롱망(N)은 간단하게 인출된다, When the chaerong net (N) is washed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chaerong net (N) is withdrawn from the
도 5와 도 6은 채롱망(N)의 인입과 인출시의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 및 연동브러쉬(300)의 회전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5 and 6 show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driving
이에 따르면 채롱망(N)의 인입시에는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가 채롱망(N)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고 반대로 인출시에는 제1구동브러쉬(100)와 제2구동브러쉬(200)가 채롱망(N)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채롱망(N)은 브러쉬(21)의 회전방향과 항상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chaerong net (N) is drawn in, the first driving
이로 인해 채롱망(N)의 인입과 인출이 매우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진다.Due to this, the drawing in and out of the chaerong network N are very simple and easy.
본 발명에 의한 세척실험에 의하면, 채롱망(N)을 1회전에서 2회전의 범위내에서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채롱망(N)이 세척되므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유압모터(22)를 조작하거나, 리밋트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정ㆍ역회전을 시키는 방법으로 실시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washing exper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erong net (N) is washed by high-pressure washing water within the range of one to two rotations of the chaerong net (N), the operator manually operates th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세척이 완료된 채롱망(N)은 다시 바다에 침강되어 양성되고 이러한 작업은 주기적 또는 수시로 실시하게 되는 데 본 발명은 종래 수동으로 하는 작업에 비해 세척효율의 증가와 간편함은 물론이고 선행특허에서 세척시 채롱망(N)의 흔들림과 유동 및 원활한 회전불가능에 의한 세척 효율의 저하와 고압세척수를 직접적으로 외면 전체에 분사하여 이물질이 역유입되는 등의 문제를 일거에 해소한 점에서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Chaerongmang (N), which has been washed in the same way as described above, is nurtured again by sedimentation in the sea, and this operation is performed periodically or frequently. In the previous patents, the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cleaning efficiency due to shaking and flow of the chaerong net (N) and the impossibility of smooth rotation during washing, and the revers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by directly spray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over the entire surface, were solved at once. This is a very good invention.
10 : 본체 11 : 상부프레임 12 : 하부프레임 20 : 구동축 20a : 제1구동축 20b : 제2구동축 21 : 브러쉬 22 : 유압모터 30 : 세척수관 31 : 분사노즐 40 : 세척장치 50 : 지지구 60 : 연동축 100 : 제1구동브러쉬 200 : 제2구동브러쉬 300 : 연동브러쉬 500 : 채롱망 세척장치 L : 원줄 N : 채롱망10: body 11: upper frame 12: lower frame 20: driv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9344A KR102385701B1 (en) | 2021-03-26 | 2021-03-26 | the automatic washing apparatus of the net for the shellfish mo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9344A KR102385701B1 (en) | 2021-03-26 | 2021-03-26 | the automatic washing apparatus of the net for the shellfish mod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5701B1 true KR102385701B1 (en) | 2022-04-11 |
Family
ID=8121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9344A KR102385701B1 (en) | 2021-03-26 | 2021-03-26 | the automatic washing apparatus of the net for the shellfish mod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570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23483B1 (en) * | 2023-07-05 | 2024-01-09 | 송재영 | Shellfish Farming Net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
KR102723545B1 (en) * | 2024-02-08 | 2024-10-28 | 김동용 | Fishing net clean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0467B1 (en) * | 2019-01-04 | 2020-06-08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Cleaning Machine for Cleaning Collecting Net for Shellfish Culture |
-
2021
- 2021-03-26 KR KR1020210039344A patent/KR10238570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0467B1 (en) * | 2019-01-04 | 2020-06-08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Cleaning Machine for Cleaning Collecting Net for Shellfish Cultur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23483B1 (en) * | 2023-07-05 | 2024-01-09 | 송재영 | Shellfish Farming Net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
KR102723545B1 (en) * | 2024-02-08 | 2024-10-28 | 김동용 | Fishing net clean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85701B1 (en) | the automatic washing apparatus of the net for the shellfish mode | |
KR101750748B1 (en) | Apparatus for cleaning abalone breed tank | |
CN210701330U (en) | Trawl cleaning device for net cage netting | |
CN210630435U (en) | Aquarium fish is bred with fishpond of being convenient for clearance | |
CN205357747U (en) | Aquaculture pond wall belt cleaning device | |
CN203597247U (en) | Fast water changer for breeding water body | |
JP200110386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ivating carnivorous snail | |
CN110800680B (en) | Green type aquaculture device convenient to green aquatic products fish intergrowth of planting | |
KR20170014680A (en) | Device for raising Shellfish | |
KR102623483B1 (en) | Shellfish Farming Net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 |
CN206744311U (en) | A kind of aquaculture tank | |
JP7514529B2 (en) | Aquaculture cage cleaning equipment | |
KR20210051047A (en) | Cockle seed separation and cleaning device | |
JPH0391429A (en) | Water-tank for culture of fish and shellfish | |
CN215073809U (en) | Nano magnetized seed shell breaking catalytic device for seedling culture | |
JP6333671B2 (en) | Cultivation tub cleaning apparatus and culturing tub cleaning method | |
CN215188848U (en) | Ecological fish material equipment of throwing something and feeding for aquaculture | |
CN214206828U (en) | Shrimp nest structure | |
CN214593693U (en) | Bait breeding barrel | |
CN213663148U (en) | Aquatic offspring seed quantity control system | |
CN205596896U (en) | Fixed and easily wash silvery pomfret and breed and to use netting gear | |
TWI609627B (en) | Three-dimensional sea cucumber bree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JP2002191254A (en) | Apparatus for cleaning basket for cultivating scallop | |
CN112825801A (en) | Crayfish breeds hatching collection device | |
CN108575930A (en) | A kind of aquaculture finishing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