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039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6039B1 KR102376039B1 KR1020207029885A KR20207029885A KR102376039B1 KR 102376039 B1 KR102376039 B1 KR 102376039B1 KR 1020207029885 A KR1020207029885 A KR 1020207029885A KR 20207029885 A KR20207029885 A KR 20207029885A KR 102376039 B1 KR102376039 B1 KR 102376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receiving groove
- wall
- camera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93 protectiv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100)로서, 지지 어셈블리(1), 디스플레이 스크린(2) 및 이동 시트(3)를 포함한다.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 및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되는 벤더블 부재(13)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에는 돌출부(115)가 설치되며, 돌출부(115) 내에 수용 홈(114)이 정의된다. 제2 하우징(12)에는 오목 홈(124)이 설치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돌출부(115)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 홈(124) 내에 수용된다. 이동 시트(3)에는 카메라(41)가 배치된다. 이동 시트(3)는 수용 홈(114)에 인입 가능하게 장착되고,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3)는 수용 홈(114) 내로 수용되거나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되어 카메라(41)의 촬상면이 노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설명된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더 나은 사용 경험을 얻기 위해 대형 화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 전면에 또한 카메라 등 부품도 배치해야 하며, 이러한 부품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배치 공간을 제한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screen-to-body ratio)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지지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벤더블 부재(bendable member)를 포함한다. 벤더블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된다. 벤더블 부재는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다. 제1 하우징은 제1 내면, 제1 외면 및 제1 둘레면을 구비한다. 제1 외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지한다. 제1 내면은 제1 외면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1 둘레면은 제1 내면과 제1 외면 사이에 연결된다. 제1 하우징에는 돌출부가 설치된다. 돌출부는 제1 내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 홈이 정의된다. 수용 홈은 돌출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수용 홈이 제1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제1 둘레면으로 연장된다. 제2 하우징은 제2 내면 및 제2 외면을 구비한다. 제2 외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지한다. 제2 내면은 제2 외면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2 하우징에는 오목 홈이 설치된다.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2 내면은 제1 내면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 홈에 수용되고, 제1 내면에서의 오목 홈의 투영은 제1 내면에서의 수용 홈의 투영을 커버한다. 이동 시트에는 카메라가 배치된다. 이동 시트는 수용 홈에 인입 가능하게 장착되고, 카메라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는 수용 홈 내로 수용되거나, 수용 홈 밖으로 인출되어 카메라의 촬상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카메라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는 제1 둘레면에 대해 수용 홈 밖으로 인출되거나 수용 홈 내로 인입될 수 있으며, 카메라가 촬영에 필요한 경우, 카메라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는 촬영하기 위해 수용 홈 밖으로 인출되고, 카메라가 촬영에 불필요한 경우, 카메라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가 수용 홈 내로 인입된다. 따라서,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의 제1 외면과 제2 외면의 공간을 차지할 필요가 없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1 외면과 제2 외면에 최대한 배치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된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접힌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펼쳐진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지지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펼쳐진 상태의 또 다른 개략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접힌 상태의 또 다른 개략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일부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펼쳐진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 구조도다.
도 9는 도 4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3의 B-B선을 따른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3의 B-B선을 따른 구조의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4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4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추가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4의 A부분에서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B부분에서의 구조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추가 실시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이동 시트와 카메라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접힌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펼쳐진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지지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펼쳐진 상태의 또 다른 개략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접힌 상태의 또 다른 개략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일부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펼쳐진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 구조도다.
도 9는 도 4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3의 B-B선을 따른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3의 B-B선을 따른 구조의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4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4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추가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4의 A부분에서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B부분에서의 구조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추가 실시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이동 시트와 카메라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서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서 의도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일부만이 포함될 뿐, 모든 실시예가 포함된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상", "하", "전", "후", "좌", "우", "내", "외", "측" 등 용어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방향 및 위치 관계를 참고로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된 이러한 용어들은 본 개시를 간단한 방식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장치 또는 구성요소가 특정 방향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동작된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에서 명시하거나 제한하지 않는 한, "장착", "연결", "결합", "배치" 등 용어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고정 연결, 탈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적 연결일 수 있고, 기계적 또는 전기적 연결 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 또는 중간 구조를 통한 간접 연결 일 수도 있으며, 2 개의 소자의 내부 통신일 수도 있으며, 이는 구체적 상황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설명에서 "복수 개"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2 개 이상을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프로세스"라는 용어가 나타날 경우, 이 용어는 독립적인 프로세스를 의미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의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다른 프로세스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는 프로세스도 본 용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로 표시된 수치 범위는 "~"기호 앞뒤의 값이 각각 최소값과 최대 값으로 포함된 범위를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본 출원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단말기"이라고도 칭함)는 공중 전화망(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연결 같은 유선 연결,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광대역 전송 장치 및/또는 다른 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및/또는 "이동 단말기"라고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예들은 위성 또는 셀룰러 무선 전화;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과 셀룰러 무선 전화를 결합시킬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CS) 단말기;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웹 브라우저, 메모 패드, 캘린더 및/또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및 종래의 랩탑 및/또는 팜탑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수신기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지지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벤더블 부재를 포함한다. 벤더블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된다. 벤더블 부재는 지지 어셈블리를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다. 제1 하우징은 제1 내면, 제1 외면 및 제1 둘레면을 포함한다. 제1 외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지한다. 제1 내면은 제1 외면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1 둘레면은 제1 내면과 제1 외면 사이에 연결된다. 제1 하우징에는 돌출부가 설치된다. 돌출부는 제1 내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 홈이 정의된다. 수용 홈은 돌출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수용 홈이 제1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제1 둘레면으로 연장된다. 제2 하우징은 제2 내면 및 제2 외면을 포함한다. 제2 외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지한다. 제2 내면은 제2 외면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2 하우징에는 오목 홈이 설치된다.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2 내면은 제1 내면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 홈에 수용되고, 제1 내면에서의 오목 홈의 투영은 제1 내면에서의 수용 홈의 투영을 커버한다. 이동 시트에는 카메라가 배치된다. 이동 시트는 수용 홈에 인입 가능하게 장착되고, 카메라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는 수용 홈 내로 수용되거나, 수용 홈 밖으로 인출되어 카메라의 촬상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둘레면은 개구면(open face)을 구비한다. 수용 홈의 개구는 개구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이동 시트는 수용 홈의 개구를 통해 개구면 밖으로 인출 또는 개구면 내부로 인입된다. 제1 둘레면은 제1 상부면, 제1 하부면 및 제1 측면을 구비하고, 제1 상부면은 제1 하부면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제1 측면은 제1 상부면과 제1 하부면 사이에 연결되고, 개구면은 제1 상부면, 제1 하부면 및 제1 측면 중 하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제1 외측벽을 포함하고, 제1 외측벽의 배향은 개구면의 배향과 일치하고, 수용 홈의 개구는 제1 외측벽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외측벽은 개구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제1 외측벽과 개구면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은 제2 둘레면을 더 포함한다. 제2 둘레면은 제2 내면과 제2 외면 사이에 연결되고, 오목 홈은 제2 둘레면으로 연장되며, 오목 홈의 개구의 일부는 제2 둘레면에 형성된다. 지지 어셈블리가 접 힐 때, 오목 홈의 개구는 수용 홈의 개구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제2 외측벽 및 제3 외측벽을 더 포함한다. 제2 외측벽과 제3 외측벽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며, 제1 외측벽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돌출부가 오목 홈 내에 수용 될 때, 제2 외측벽 및 제3 외측벽은 오목 홈의 벽과 억지 끼워 맞춤을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지지 어셈블리는 제1 로킹 부재 및 제2 로킹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1 로킹 부재는 제1 하우징에 배치되며, 제2 로킹 부재는 제2 하우징에 배치된다.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1 로킹 부재는 제2 로킹 부재에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로킹 부재는 제1 영구 자석이며, 제2 로킹 부재는 제2 영구 자석이다.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1 영구 자석과 제2 영구 자석은 서로 자기적으로 흡착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로킹 부재는 돌출부의 외부 측벽에 배치되고, 제2 로킹 부재는 오목 홈의 벽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로킹 부재는 돌출부의 외부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걸림 블록이다. 제2 로킹 부재는 오목 홈의 벽으로부터 함몰된 걸림 홈이다.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걸림 블록은 걸림 홈에 맞물린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로킹 부재는 돌출부의 외부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제1 위치한정 블록이다. 제2 로킹 부재는 오목 홈의 벽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한정 블록이다.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1 위치한정 블록은 제2 위치한정 블록에 접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수용 홈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이동 시트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용 홈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수용 홈의 벽은 호형이고, 이동 시트의 외부 측벽은 호형이며, 이동 시트의 외부 측벽이 수용 홈의 벽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이동 시트는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용 홈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수용 홈은 반원형이고, 이동 시트는 반원형 또는 팬형(fan-shaped)이며, 이동 시트의 회전 중심은 수용 홈의 원의 중심과 일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동 시트에는 홍채 인식 모듈, 사람 얼굴 인식 모듈, 플래시 라이트, 마이크로폰, 이어폰, 광 센서 및 지문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연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제1 외면, 벤더블 부재의 외면 및 제2 외면은 함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지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외면에 배치되며,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2 외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외면의 배향과 일치되거나, 카메라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내면의 배향과 일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외면과 중첩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2 외면과 중첩된다. 카메라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내면의 배향과 일치한다. 이동 단말기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제어기는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제어기는 촬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부;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하는지 배면 촬영을 지시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부;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을 지시할 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할 때,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부; 및 촬영 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를 상기 수용 홈 밖으로 인출시키도록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외면과 중첩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2 외면과 중첩되고; 카메라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외면의 배향과 일치한다. 이동 단말기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제어기는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제어기는 촬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하는지 배면 촬영을 지시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부;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할 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을 지시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부; 및 촬영 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를 수용 홈 밖으로 인출시키도록 구동하며, 카메라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또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지지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벤더블 부재를 포함한다. 벤더블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된다. 제1 하우징은 제1 내면, 제1 외면 및 제1 상면을 포함하고; 제1 외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제1 내면은 제1 외면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제1 상면은 제1 내면과 제1 외면 사이에 연결되고, 제1 하우징에는 돌출부가 설치되며, 돌출부는 제1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정의되고, 수용 공간은 돌출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수용 공간이 제1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제1 상면으로 연장된다. 제2 하우징은 제2 내면 및 제2 외면을 포함하고, 제2 외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제2 내면은 제2 외면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제2 하우징에는 오목 홈이 설치되고; 벤더블 부재가 절곡되어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2 내면은 제1 내면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 홈 내에 수용된다. 카메라는 이동 시트에 의해 운반되고, 이동 시트는 수용 공간에 인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카메라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는 수용 공간 내로 수용되거나, 수용 공간 밖으로 인출되어 카메라의 촬상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는 또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지지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벤더블 부재를 포함하고; 벤더블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고,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지한다. 제1 하우징에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제1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 홈이 정의되고, 수용 홈이 돌출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제2 하우징에는 오목 홈이 설치되고,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 홈 내에 수용된다. 이동 시트에는 카메라가 배치되고, 이동 시트는 수용 홈에 인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카메라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는 수용 홈 내로 수용되거나, 수용 홈 밖으로 인출되어 카메라의 촬상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100)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지지 어셈블리(1), 디스플레이 스크린(2) 및 이동 시트(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지지 어셈블리(1)에 고정된다.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 및 벤더블 부재(13)를 포함한다. 벤더블 부재(13)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된다. 벤더블 부재(13)는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다. 여기서, 벤더블 부재(13)는 탄성 플레이트 구조, 힌지 구조, 축 연결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구현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일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은 120° 내지 180°의 각도를 이룬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180°의 각도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힌 상태일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0° 내지 15°의 각도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의 각도가 0°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은 제1 내면(111), 제1 외면(112) 및 제1 둘레면(113)을 포함한다. 제1 외면(112)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이 탑재된다. 제1 내면(111)은 제1 외면(112)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1 둘레면(113)은 제1 내면(111)과 제1 외면(112) 사이에 연결된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에는 돌출부(115)가 설치된다. 돌출부(115)는 제1 내면(111)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 하우징(11) 내부에 수용 홈(114)이 설치된다. 수용 홈(114)은 돌출부(1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수용 홈(114)이 제1 하우징(11)의 내부로부터 제1 둘레면(113)으로 연장된다. 즉, 수용 홈(114)은 제1 하우징(11)의 내측과 제1 하우징(11)의 외측을 연결하고, 다른 구성 요소가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되거나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2 하우징(12)은 제2 내면(121) 및 제2 외면(122)을 포함한다. 제2 외면(122)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지지한다. 제2 내면(121)과 제2 외면(122)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2 하우징(12)에는 오목 홈(124)이 설치된다. 오목 홈(124)은 제2 내면(121)으로부터 제2 외면(122)을 향해 함몰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2 내면(121) 및 제1 내면(111)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고, 돌출부(115)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 홈(124) 내에 수용된다.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내면(111)에서의 오목 홈(124)의 투영은 제1 내면(111)에서의 수용 홈(114)의 투영을 커버한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이동 시트(3)는 내부에 카메라(41)가 설치된다. 이동 시트(3)는 수용 홈(114)에 인입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3)는 수용 홈(114) 내로 수용될 수 있거나,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되어 카메라(41)의 촬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3)가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되면, 카메라(41)의 촬상면이 가려지게 된다.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3)가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되면, 카메라(41)의 촬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41)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3)는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되거나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될 수 있기 때문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가 촬영에 필요한 경우,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3)는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가 촬영에 불필요한 경우,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3)는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된다. 따라서, 카메라(41)가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외면(112) 및 제2 외면(122)의 공간을 차지할 필요가 없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제1 외면(112) 및 제2 외면(122)에 최대한 배치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screen-to-body ratio)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은 85%, 또는 심지어 95%까지 달할 수 있다.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은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방향으로의 수직면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예: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면적 대 이동 단말기의 전체 투영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즉,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은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2) 대 제1 외면(112) 및 제2 외면(122)의 면적의 비율일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2) 전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가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사용자에 의해 제1 외면(112)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제2 외면(122)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보다 다양한 상호 작용을 구현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도 4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돌출부(115)가 제1 내면(111)으로부터 돌출되고, 수용 홈(114)이 돌출부(1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수용 홈(114)을 위한 상대적으로 큰 공간이 생기고, 수용 홈(114)에 인입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시트(3)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배치될 수 있어, 비교적 두꺼운 소자, 예를 들어 카메라(41)를 이동 시트(3)에 수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돌출부(115)의 일부가 오목 홈(124)에 수용되기 때문에,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힘 때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져, 이동 단말기(100)의 박형 및 경량화 설계에 유리하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내면(111)에서의 오목 홈(124)의 투영(124')은 제1 내면(111)에서의 수용 홈(114)의 투영(114')을 커버하기 때문에,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돌출부(115)가 오목 홈(12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이동 시트(3)는 제1 둘레면(113)에 대해 돌출부(115)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오목 홈(124)의 벽이 이동 시트(3)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밖으로 원활하게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4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동 단말기(100) 내에 수용할 수 있어, 주변 구조물(예: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에 의해 보호받도록 하고, 카메라(41)가 촬영에 필요한 경우, 카메라(41)를 이동 단말기(100) 밖으로 인출시켜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노출로 인한 카메라(41)의 마모를 방지하거나 카메라(41)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카메라(41)의 촬영 품질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의 촬상면은 카메라(41)가 촬영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집광에 사용된다. "카메라(41)의 촬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은 휴대 단말기(100)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부분(예: 디스플레이 스크린(2) 등)에 의해 카메라(41)의 촬상면이 가려지지 않고,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카메라(41)의 촬상면에는 보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촬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투명 렌즈 등이 여전히 허용될 수 있다.
수용 홈(114)은 돌출부(115)에 완전히 정의되거나, 수용 홈(114)이 돌출부(115)에 부분적으로 정의되며 제1 하우징(11)의 다른 부분에 부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의 두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기 위해, 수용 홈(114)은 돌출부(115)에 부분적으로 정의되며, 돌출부(115)와 직접 대향하는 제1 하우징(11)의 다른 영역에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상기 다른 영역은 제1 내면(111)과 제1 외면(112)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둘레면(113)은 개구면(1130)을 구비한다. 수용 홈(114)의 개구(1149)는 개구면(1130)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동 시트(3)는 수용 홈(114)의 개구(1149)를 통해 개구면(1130) 밖으로 인출되거나 개구면(1130) 내로 인입된다.
도 4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둘레면(113)은 제1 상부면(1131), 제1 하부면(1132) 및 제1 측면(1133)을 구비한다. 제1 상부면(1131) 및 제1 하부면(1132)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1 측면(1133)은 제1 상부면(1131)과 제1 하부면(1132) 사이에 연결된다. 개구면(1130)은 제1 상부면(1131), 제1 하부면(1132) 및 제1 측면(1133) 중 하나이다. 즉, 이동 시트(3)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측, 하측 또는 좌우측에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본 출원은 개구면(1130)이 제1 상부면(1131)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돌출부(115)는 제1 외측벽(즉, 상부 단면)(1151)을 포함한다. 제1 외측벽(1151)의 배향은 개구면(1130)의 배향과 일치된다. 수용 홈(114)의 개구(1149)는 제1 외측벽(1151)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수용 홈(114)이 돌출부(115)에 부분적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수용 홈(114)의 개구(1149)는 제1 외측벽(1151)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 또는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되는 것에 유리하다.
제1 외측벽(1151)은 개구면(1130)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이 경우 돌출부(115)는 개구면(1130)에 직접 인접되게 배치되고, 이동 시트(3)는 단지 비교적 짧은 거리를 이동함으로써 카메라(41)가 수용 홈 밖으로 인출되며, 개구면(1130)에 대해 인출되어, 카메라(41)의 촬상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수용 홈(114)의 개구(1149)의 두 부분은 서로 동일 평면을 이루고,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될 때, 이동 시트(3)의 외면은 대체적으로 개구면(1130) 및 제1 외측벽(1151)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어, 수용홈(114)의 개구(1149)를 대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 균일 성을 높이고, 먼지나 물이 이동 단말기(100)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외측벽(1151)과 개구면(1130)은 또한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15)와 개구면(1130)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존재한다. 개구면(1130)은 이동 단말기(100)의 그립감(grip feeling)을 향상시키기 위해 호형 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제2 하우징(12)은 제2 둘레면(123)을 더 포함한다. 제2 둘레면(123)은 제2 내면(121)과 제2 외면(122) 사이에 연결된다. 오목 홈(124)은 제2 내면(121)으로부터 제2 외면(122)을 향해 함몰된다. 오목 홈(124)은 제2 둘레면(123)으로 연장된다. 오목 홈(124)의 개구의 일부는 제2 둘레면(123)에 형성된다. 오목 홈(124)의 개구의 다른 일부는 제2 내면(121)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두 부분이 서로 연통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오목 홈(124)의 개구는 수용 홈(114)의 개구(1149)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본 출원에서, 수용 홈(114)은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제2 하우징(12)은 오목 홈(124)의 설계를 통해 수용 홈(114)의 회피를 구현함으로써, 이동 시트(3)가 원활하게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되거나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12)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돌출부(115)는 제2 외측벽(1152) 및 제3 외측벽(1153)을 더 포함한다. 제2 외측벽(1152) 및 제3 외측벽(1153)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고, 제1 외측벽(1151)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돌출부(115)가 오목 홈(124) 내에 수용 될 때, 제2 외측벽(1152) 및 제3 외측벽(1153)은 오목 홈(124)의 벽과 억지 끼워 맞춤을 형성한다.
본 출원에서, 돌출부(115)의 외측벽(제2 외측벽(1152) 및 제3 외측벽(1153))과 오목 홈(124)의 벽 사이의 억지 끼워 맞춤은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돌출부(115)와 오목 홈(124) 사이의 결합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한정 및 고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로킹 부재(151) 및 제2 로킹 부재(152)를 더 포함한다. 제1 로킹 부재(151)는 제1 하우징(11)에 배치된다. 제2 로킹 부재(152)는 제2 하우징(12)에 배치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로킹 부재(151)는 제2 로킹 부재(152)에 결합된다. 제1 로킹 부재(151)는 제1 로킹 부재(151)와 제2 로킹 부재(152) 사이의 결합은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1 로킹 부재(151)는 제1 영구 자석이다. 제2 로킹 부재(152)는 제2 영구 자석이다. 서로 대향하는 제1 영구 자석의 단부와 제2 영구 자석의 단부는 서로 반대되는 자극으로 구성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영구 자석과 제2 영구 자석은 자기적으로 흡착된다.
또한, 제1 로킹 부재(151)는 돌출부(115)의 외부 측벽에 배치되고, 제2 로킹 부재(152)는 오목 홈(124)의 벽에 배치된다. 제1 로킹 부재(151)는 돌출부(115)의 외부 측벽의 적어도 일 측벽에 배치되고, 제2 로킹 부재(152)는 제1 로킹 부재(151)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115)의 외측벽은 제2 외측벽(1152), 제3 외측벽(1153) 및 제2 외측벽(1152)과 제3 외측벽(1153)에 연결되는 제4 외측벽(1154)을 구비하고, 오목 홈(124)의 벽은 제2 외측벽(1152)에 대응되는 제1 벽(1241), 제3 외측벽(1153)에 대응되는 제2 벽(1242) 및 제4 외측벽(1154)에 대응되는 제3 벽(1243)을 구비한다. 제1 로킹 부재(151) 및 제2 로킹 부재(152)는, 서로 대응되는 제2 외측벽(1152)과 제1 벽(1241), 제3 외측벽(1153)과 제2 벽(1242), 및 제4 외측벽(1154)과 제3 벽(1243) 중 적어도 하나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로킹 부재(151)는 돌출부(115)의 모든 외부 측벽에 배치되고, 제2 로킹 부재(152)는 오목 홈(124)의 모든 벽에 배치되어, 제1 로킹 부재(151)와 제2 로킹 부재(152) 사이의 흡착 면적을 넓히고 로킹력(locking force)을 강화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로킹 부재(151)는 또한 제1 내면(111)에 배치 될 수 있고, 제2 로킹 부재는 또한 제2 내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로킹 부재(151)는 돌출부(115)의 외측벽으로부터 돌출된 걸림 블록이다. 제2 로킹 부재(152)는 오목 홈(124)의 벽으로부터 함몰된 걸림 홈이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걸림 블록이 걸림 홈과 맞물린다. 걸림 블록과 걸림 홈 사이의 맞물림은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로킹 부재(151)는 돌출부(115)의 외부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제1 위치한정 블록이다. 제2 로킹 부재(152)는 오목 홈(124)의 벽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한정 블록이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위치한정 블록은 제2 위치한정 블록에 접한다. 제1 위치한정 블록이 제2 위치한정 블록에 접하게 되면,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은 서로 위치 한정되어 서로 고정되게 한다.
본 출원에서, 이동 시트(3)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되거나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수용 홈(114)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을 포함한다. 제1 측벽(1141)은 제2 측벽(1142)에 대체적으로 평행된다. 이동 시트(3)는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용 홈(114)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시트(3)는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외측벽(33) 및 제2 외측벽(34)을 포함한다. 제1 외측벽(33)은 제1 측벽(1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외측벽(34)은 제2 측벽(1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은 이동 시트(3)에 대한 가이드 기능을 구비하고, 이동 시트(3)의 이동 방향은 대체적으로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의 연장 방향과 일치된다.
수용 홈(114)은 제3 측벽(1143)을 더 포함한다. 제3 측벽(1143)은 제1 측벽(1141)과 제2 측벽(1142) 사이에 연결되고, 제3 측벽(1143)과 개구면(1130)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동 시트(3)는 제3 외측벽(35)을 더 포함한다. 제3 외측벽(35)은 제1 외측벽(33)과 제2 외측벽(34) 사이에 연결된다.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될 때, 제3 외측벽(35)은 제3 측벽(1143)에 접할 수 있어, 제3 측벽(1143)이 이동 시트(3)의 위치를 한정하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1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제1 구동 어셈블리는 이동 시트(3)를 구동하여 수용 홈(114)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구동 어셈블리의 일부는 이동 시트(3)에 고정 연결되고, 제1 구동 어셈블리의 일부는 제1 하우징(11) 내부에 수용된다. 제1 구동 어셈블리는 다양한 실시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예들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구동 어셈블리는 영구 자석(141) 및 전자석(142)을 포함한다. 영구 자석(141)은 이동 시트(3)에 고정된다. 영구 자석(141)은 제3 외측벽(35)에 삽입될 수 있다. 전자석(142)은 제1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전자석(142)은 제3 측벽(1143)에 인접되게 배치, 예로 제3 측벽(1143)에 삽입될 수 있다. 전자석(142)에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석(142)과 영구 자석(141)은 서로 반발 또는 흡착됨으로써,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된다. 전자석(142)은 철심 및 철심을 둘러싸여 감기는 코일을 포함한다. 전자석(142)의 자기장은 코일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변화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어셈블리는 슬라이더, 스크류 로드 및 모터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는 이동 시트(3)에 고정 연결된다. 스크류 로드와 모터는 제1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스크류 로드의 둘레측에는 나선형 홈이 설치된다. 슬라이더는 나선형 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스크류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더는 대체적으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더의 일단은 이동 시트(3)에 고정되고 슬라이더의 타단은 나선형 홈에 삽입된다. 모터는 스크류 로드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동 시트(3)를 운반하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모터가 스크류 로드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이동 시트(3)를 운반하는 슬라이더는 스크류 로드에 의해 구동되어 제3 측벽(11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된다. 모터가 스크류 로드를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이동 시트(3)를 운반하는 슬라이더는 스크류 로드에 의해 구동되어 제3 측벽(114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된다. 모터의 동작(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각도 등을 포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어셈블리는 슬리브, 구동로드 및 모터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이동 시트(3)에 고정 연결된다. 구동로드와 모터는 제1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슬리브는 구동로드의 외측에 끼워 안착(nested)되고 나사 연결을 통해 구동로드에 연결된다. 슬리브는 구동로드에 대해 회전하고 제1 하우징(11)에 대해 이동한다. 모터는 구동로드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동 시트(3)를 운반하는 슬리브가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모터가 구동로드를 제3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이동 시트(3)를 운반하는 슬리브가 구동로드에 의해 구동되어 제3 측벽(11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된다. 모터가 구동로드를 제3 방향과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이동 시트(3)를 운반하는 슬리브는 구동로드에 의해 구동되어 제3 측벽(114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된다. 모터의 동작(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각도 등을 포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어셈블리는 랙, 기어 및 모터를 포함한다. 랙은 이동 시트(3)에 고정 연결된다. 기어와 모터는 제1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기어는 랙에 맞물린다. 기어는 제1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모터는 제1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모터는 기어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동 시트(3)를 운반하는 랙이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모터가 기어를 제5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이동 시트(3)를 운반하는 랙이 기어에 의해 구동되어 제3 측벽(11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이동 시트(3)가 수용 홈 밖으로 인출된다. 모터가 기어를 제5 방향과 반대되는 제6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이동 시트(3)를 운반하는 랙이 기어에 의해 구동되어 제3 측벽(114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이동 시트(3)가 수용 홈 내로 인입된다. 모터의 동작(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각도 등을 포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제1 구동 어셈블리는 복수 개 그룹일 수 있고, 복수 개 그룹의 제1 구동 어셈블리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이동 시트(3)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5 및 도 16을 함께 참조하면, 수용 홈(114)의 벽은 호형이다. 이동 시트(3)의 외측벽은 호형이다. 이동 시트(3)의 외측벽은 수용 홈(114)의 벽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이동 시트(3)의 외측벽과 수용 홈(114)의 벽은 서로 인접되며 서로 대향된다. 이동 시트(3)는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용 홈(114)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시트(3)는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용 홈(114)의 벽의 궤적은 이동 시트(3)의 회전 궤적에 매칭된다. 수용 홈(114)의 벽은 호형이며, 이동 시트(3)의 외부 측벽은 호형이고, 상기 수용 홈(114)의 벽과 이동 시트(3)의 외부 측벽의 두 형상은 모두 이동 시트(3)의 회전 궤적에 매칭되어, 이동 시트(3)가 원활하게 수용 홈(114)에 회전 인입 또는 회전 인출될 수 있다.
수용 홈(114)은 반원형이다. 이동 시트(3)는 반원형 또는 팬형(fan-shaped)이다. 이동 시트(3)의 회전 중심(30)은 수용 홈(114)의 원(1140)의 중심과 일치된다. 이 경우, 이동 시트(3)는 제1 하우징(11)에 대해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반원형일 경우, 이동 시트(3)는 외부 측벽을 연결하는 상부 측벽을 더 포함한다.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내로 회전 인입 시, 상부 측벽은 제1 하우징(11)의 개구면(1130)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이동 시트(3)가 팬형일 경우, 이동 시트(3)는 제1 측벽 및 제1 측벽을 연결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한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각각 이동 시트(3)의 외측 측벽의 두 단부에 연결된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 180° 미만의 각도가 형성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2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제2 구동 어셈블리는 이동 시트(3)를 구동하여 수용 홈(114)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구동 어셈블리는 모터,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포함한다. 모터는 제1 기어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 기어는 제1 기어에 맞물린다. 제2 기어는 이동 시트(3)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제2 기어의 회전 중심은 이동 시트(3)의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 일치된다. 모터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통해 이동 시트(3)를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내면(111)에서의 오목 홈(124)의 투영(124')은 제1 내면(111)에서의 돌출부(115)의 투영(115')을 완전히 커버하므로, 돌출부(115)가 오목 홈(124)으로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다. 제1 내면(111)에서의 오목 홈(124)의 투영(124')의 형상은 제1 내면(111)에서의 수용 홈(114)의 투영(114')의 형상과 동일하고,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상이 직사각형이며 제2 형상이 직사각형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형상이 반원형이며, 제2 형상이 반원형이다.
본 출원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다양한 실시방식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연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제1 외면(112), 벤더블 부재(13)의 외면 및 제2 외면(122)은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탑재한다. 벤더블 부재(13)의 외면의 대향되는 양측은 제1 외면(112) 및 제2 외면(122)에 각각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은 서로 독립적인 2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은 제1 외면(112)에 배치된다.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은 제2 외면(122)에 배치된다. 벤더블 부재(13)의 외면에는 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에 연결되는 연성인 제3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3)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벤더블 부재(13)의 외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는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제3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3)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시트(3)에는 홍채 인식 모듈, 사람 얼굴 인식 모듈, 플래시 라이트, 마이크로폰(송화기라고도 함), 이어폰(42)(수화기라고도 함), 광 센서 및 지문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 장치(예: 이어폰(42), 광 센서, 지문 모듈 등)는 이동 시트(3)에 배치되어, 필요 시 제1 하우징(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펼쳐지거나, 불필요 시 제1 하우징(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힘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에 큰 디스플레이 면적을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비율을 증가시킨다. 이동 시트(3)에 수용된 기능 장치는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어, 중첩 배열로 인해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가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동 시트(3) 내의 카메라(41)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의 개수는 2 개이다. 2 개의 카메라(41)의 촬영 방향은 동일할 수 있고(모두 전면 또는 배면),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하나는 전면, 다른 하나는 배면).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18을 함께 참조하면,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외면(112)의 배향과 일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내면(111)의 배향과 일치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동 시트(3)는 박스(3a) 및 커버 플레이트(3b)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3b)는 박스(3a)를 커버한다. 이동 시트(3) 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카메라(41)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커버 플레이트(3b) 상에는 신호 투과 영역(3c)이 설치된다. 신호 투과 영역(3c)은 통공일 수 있고, 통공에 투명 렌즈가 삽입될 수도 있다. 카메라(41)의 촬상면은 신호 투과 영역(3c)과 직접 대향되어, 신호 투과 영역(3c)을 통해 집광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기(5)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5)는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내에 수용된다. 제어기(5)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기(5)는 또한 이동 시트(3) 내에 수용되는 기능 장치, 예로 카메라(41)에 추가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5)는 이동 시트(3)의 이동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어셈블리 또는 제2 구동 어셈블리에 추가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동 시트(3)가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되거나 수용 홈(114) 내로 인입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의 제1 둘레면(113) 또는 제2 하우징(12)의 제2 둘레면(123)에는 트리거링 키(6)가 설치된다. 트리거링 키(6)는 제어기(5)에 연결(전기적 연결 및 신호 연결 포함)된다. 사용자가 트리거링 키(6)를 누르거나 터치 시, 트리거링 키(6)는 제어기(5)에 트리거링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기(5)는 필요 시 제1 구동 어셈블리 또는 제2 구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이동 시트(3)가 제1 구동 어셈블리 또는 제2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수용 홈(114) 밖으로 이동되거나 수용 홈(114) 내로 이동되도록 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둘레면(113) 및 제2 둘레면(123)에는 모두 트리거링 키가 설치된다. 트리거링 신호는 촬영 신호, 촬영 종료 신호, 착신 신호, 착신 종료 신호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리거링 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에 배치되는 터치 아이콘일 수 있다. 터치 아이콘이 클릭되면, 트리거링 신호가 제어기(5)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기(5)는 트리거링 신호에 따라 제1 구동 어셈블리 또는 제2 구동 어셈블리가 이동 시트(3)의 이동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도 6 및 도 20을 함께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은 제1 외면(112)과 중첩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은 제2 외면(122)과 중첩된다.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내면(111)의 배향과 일치된다. 제어기(5)는 수신부(511), 판단부(512), 스위칭부(513) 및 구동부(514)를 포함한다.
수신부(511)는 촬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판단부(512)는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하는지 배면 촬영을 지시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칭부(513)는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을 지시할 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할 때,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514)는 촬영 신호에 따라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3)를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시키도록 구동하고,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촬영 요구 사항에 따라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자유롭게 스위칭하여, 사용자의 촬영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신부(511)는 또한 촬영 종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514)는 또한 촬영 종료 신호에 따라 이동 시트(3)를 수용 홈(114) 내로 인입시키도록 구동하고, 카메라(41)의 촬영을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 도 18 및 도 21을 함께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은 제1 외면(112)과 중첩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은 제2 외면(122)과 중첩된다.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외면(112)의 배향과 일치된다. 제어기(5)는 수신부(521), 판단부(522), 스위칭부(523) 및 구동부(524)를 포함한다.
수신부(521)는 촬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판단부(522)는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하는지 배면 촬영을 지시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칭부(523)는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할 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을 지시할 때,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524)는 촬영 신호에 따라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이동 시트(3)를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시키도록 구동하고,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촬영 요구 사항에 따라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자유롭게 스위칭할 수 있어, 사용자의 촬영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신부(521)는 또한 촬영 종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524)는 또한 촬영 종료 신호에 따라 이동 시트(3)를 수용 홈(114) 내로 인입시키도록 구동하고, 카메라(41)의 촬영을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본 개시의 원리 및 실시방식은 구체적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었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방법 및 핵심 사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아울러,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사상에 따라 구체적 실시예 및 적용 범위에 대한 변형을 얻을 수 있다. 종합하면, 상술한 설명은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5)
- 지지 어셈블리(1), 디스플레이 스크린(2) 및 이동 시트(3)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로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 및 벤더블 부재(13)를 포함하고, 상기 벤더블 부재(13)는 상기 제1 하우징(11)과 상기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벤더블 부재(13)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11)은 제1 내면(111), 제1 외면(112) 및 제1 둘레면(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면(112)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지지하고, 상기 제1 내면(111)은 상기 제1 외면(112)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둘레면(113)은 상기 제1 내면(111)과 상기 제1 외면(11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에는 돌출부(115)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115)는 상기 제1 내면(111)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은 내부에 수용 홈(114)이 정의되며, 상기 수용 홈(114)은 상기 돌출부(1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상기 수용 홈(114)이 상기 제1 하우징(11)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1 둘레면(113)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하우징(12)은 제2 내면(121) 및 제2 외면(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면(122)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지지하고, 상기 제2 내면(121)은 상기 제2 외면(122)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12)에는 오목 홈(124)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상기 제2 내면(121)은 상기 제1 내면(111)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11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목 홈(124)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내면(111)에서의 상기 오목 홈(124)의 투영은 상기 제1 내면(111)에서의 상기 수용 홈(114)의 투영을 커버하고;
상기 이동 시트(3)에는 카메라(41)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시트(3)가 상기 수용 홈(114)에 인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상기 이동 시트(3)는 수용 홈(114) 내로 수용되거나, 상기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되어 상기 카메라(41)의 촬상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둘레면(113)은 개구면(1130)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홈(114)의 개구(1149)는 상기 개구면(1130)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시트(3)는 상기 수용 홈(114)의 개구(1149)를 통해 상기 개구면(1130) 밖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개구면(1130)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제1 둘레면(113)은 제1 상부면(1131), 제1 하부면(1132) 및 제1 측면(1133)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상부면(1131)은 상기 제1 하부면(1132)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1133)은 상기 제1 상부면(1131)과 상기 제1 하부면(113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면(1130)은 상기 제1 상부면(1131), 제1 하부면(1132) 및 제1 측면(1133) 중 하나인, 이동 단말기(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5)는 제1 외측벽(115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벽(1151)의 배향은 상기 개구면(1130)의 배향과 일치되고, 상기 수용 홈(114)의 개구(1149)는 제1 외측벽(1151)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10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벽(1151)은 상기 개구면(1130)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상기 제1 외측벽(1151) 및 상기 개구면(1130)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12)은 제2 둘레면(12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둘레면(123)은 상기 제2 내면(121)과 상기 제2 외면(12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오목 홈(124)은 상기 제2 둘레면(123)으로 연장되며, 상기 오목 홈(124)의 개구의 일부가 상기 제2 둘레면(123)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상기 오목 홈(124)의 개구는 상기 수용 홈(114)의 개구(1149)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이동 단말기(10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5)는 제2 외측벽(1152) 및 제3 외측벽(115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벽(1152)과 상기 제3 외측벽(1153)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측벽(115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115)가 상기 오목 홈(124) 내에 수용 될 때, 상기 제2 외측벽(1152) 및 제3 외측벽(1153)은 상기 오목 홈(124)의 벽과 억지 끼워 맞춤을 형성하는, 이동 단말기(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로킹 부재(151) 및 제2 로킹 부재(1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킹 부재(151)는 상기 제1 하우징(11)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로킹 부재(152)는 상기 제2 하우징(12)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상기 제1 로킹 부재(151)가 상기 제2 로킹 부재(152)에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100).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부재(151)는 제1 영구 자석이며, 상기 제2 로킹 부재(152)는 제2 영구 자석이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상기 제1 영구 자석과 상기 제2 영구 자석은 서로 자기적으로 흡착되며; 또는
상기 제1 로킹 부재(151)는 상기 돌출부(115)의 외부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걸림 블록이며, 상기 제2 로킹 부재(152)는 상기 오목 홈(124)의 벽으로부터 함몰된 걸림 홈이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상기 걸림 블록이 상기 걸림 홈에 맞물리고; 또는
상기 제1 로킹 부재(151)는 상기 돌출부(115)의 외부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제1 위치한정 블록이며, 상기 제2 로킹 부재(152)는 상기 오목 홈(124)의 벽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한정 블록이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상기 제1 위치한정 블록이 상기 제2 위치한정 블록에 접하는, 이동 단말기(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114)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시트 (3)는 상기 제1 측벽(1141) 및 상기 제2 측벽(1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 홈(114)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114)의 벽은 호형이고, 상기 이동 시트(3)의 외부 측벽은 호형이며, 상기 이동 시트(3)의 외부 측벽이 상기 수용 홈(114)의 벽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동 시트(3)는 상기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 홈(114)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시트(3)에는 홍채 인식 모듈, 사람 얼굴 인식 모듈, 플래시 라이트, 마이크로폰, 이어폰(42), 광 센서 및 지문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설치되는, 이동 단말기(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연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고, 상기 제1 외면(112), 상기 벤더블 부재(13)의 외면 및 상기 제2 외면(122)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지지하고;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은 상기 제1 외면(112)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은 상기 제2 외면(122)에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상기 제1 외면(112)의 배향과 일치되고, 또는 상기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상기 제1 내면(111)의 배향과 일치되는, 이동 단말기(100).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은 상기 제1 외면(112)과 중첩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은 상기 제2 외면(122)과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이 상기 제1 내면(111)의 배향과 일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기(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5)는 상기 제1 하우징(11) 또는 상기 제2 하우징(12)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기(5)는,
촬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부(511);
상기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하는지 배면 촬영을 지시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부(512);
상기 촬영 신호가 상기 배면 촬영을 지시 할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 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부(513); 및
상기 촬영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상기 이동 시트(3)를 상기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시키도록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514)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은 상기 제1 외면(112)과 중첩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은 제2 외면(122)과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이 상기 제1 외면(112)의 배향과 일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기(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5)는 상기 제1 하우징(11) 또는 상기 제2 하우징(12)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기(5)는,
촬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부(521);
상기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하는지 배면 촬영을 지시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부(522);
상기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을 지시 할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을 지시 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부(523); 및
상기 촬영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41)를 운반하는 상기 이동 시트(3)를 상기 수용 홈(114) 밖으로 인출시키도록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524)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820676697.8 | 2018-05-04 | ||
CN201810421762.7 | 2018-05-04 | ||
CN201820676697.8U CN208128324U (zh) | 2018-05-04 | 2018-05-04 | 移动终端 |
CN201810421762.7A CN110445903B (zh) | 2018-05-04 | 2018-05-04 | 移动终端 |
PCT/CN2019/075086 WO2019210727A1 (en) | 2018-05-04 | 2019-02-14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2971A KR20200132971A (ko) | 2020-11-25 |
KR102376039B1 true KR102376039B1 (ko) | 2022-03-18 |
Family
ID=6535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9885A KR102376039B1 (ko) | 2018-05-04 | 2019-02-14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609190B2 (ko) |
EP (1) | EP3565224B1 (ko) |
JP (1) | JP7048817B2 (ko) |
KR (1) | KR102376039B1 (ko) |
DK (1) | DK3565224T3 (ko) |
ES (1) | ES2811548T3 (ko) |
PT (1) | PT3565224T (ko) |
WO (1) | WO201921072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77921B1 (en) * | 2017-10-31 | 2020-07-15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Functio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WO2019210728A1 (en) * | 2018-05-04 | 2019-11-07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Mobile terminal |
USD968390S1 (en) * | 2018-06-04 | 2022-11-01 | Compal Electronics, Inc. | Electronic device |
USD902900S1 (en) | 2018-08-01 | 2020-11-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phone |
USD904367S1 (en) * | 2018-08-01 | 2020-12-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phone |
USD904368S1 (en) * | 2018-08-01 | 2020-12-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phone |
USD905029S1 (en) | 2018-08-01 | 2020-12-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phone |
USD902168S1 (en) * | 2018-10-24 | 2020-11-17 |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 Mobile terminal |
CN111182175B (zh) * | 2018-11-13 | 2022-02-15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
USD901419S1 (en) * | 2019-01-28 | 2020-11-10 |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 Foldable mobile phone |
USD894144S1 (en) * | 2019-01-28 | 2020-08-25 |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 Foldable mobile phone |
USD894145S1 (en) * | 2019-01-28 | 2020-08-25 |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 Foldable mobile phone |
USD941791S1 (en) * | 2019-01-29 | 2022-01-25 |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 Foldable mobile phone |
USD921601S1 (en) * | 2019-03-22 | 2021-06-08 |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 Foldable mobile phone |
TWI696913B (zh) * | 2019-09-26 | 2020-06-21 |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及其移動模組 |
CN113055508B (zh) * | 2019-12-27 | 2022-10-28 | 华为技术有限公司 | 折叠式终端设备 |
CN111314516B (zh) * | 2020-03-03 | 2021-04-0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USD943543S1 (en) * | 2020-04-08 | 2022-02-15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Mobile phone |
US20220109782A1 (en) * | 2020-10-01 | 2022-04-07 | Lenovo (Singapore) Pte. Ltd. | World-facing camera on electronic device |
USD1043598S1 (en) * | 2020-12-11 | 2024-09-2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D1043599S1 (en) * | 2020-12-11 | 2024-09-2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KR20220101495A (ko) * | 2021-01-11 | 2022-07-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N114200816B (zh) * | 2021-12-09 | 2023-01-20 | 歌尔科技有限公司 | 一种拍照系统及智能腕戴设备 |
CN116804420A (zh) * | 2022-03-14 | 2023-09-26 | 王希哲 | 一种折页结构、折叠架、显示器、键盘及电子设备 |
WO2023191320A1 (ko) * | 2022-03-31 | 2023-10-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의 가변에 대응하는 지문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50896A (zh) * | 2017-03-07 | 2017-06-13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终端 |
CN107528940A (zh) * | 2017-08-08 | 2017-12-29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折叠式移动终端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14527A1 (en) * | 2003-07-18 | 2005-01-20 | Agere Systems Incorporated |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JP4327737B2 (ja) * | 2004-01-20 | 2009-09-0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 |
JP4503395B2 (ja) * | 2004-08-16 | 2010-07-1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携帯端末 |
JP2006279260A (ja) * | 2005-03-28 | 2006-10-12 | Nec Saitama Ltd | 携帯端末 |
TWI260906B (en) * | 2005-05-17 | 2006-08-21 | Jin-Chiuan Huang | Lens turning device for mobile phone with camera function |
CN1941793B (zh) * | 2005-09-30 | 2010-05-05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具摄像头的便携式电子装置 |
JP4102834B2 (ja) * | 2006-01-30 | 2008-06-18 |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 携帯電子機器 |
CN101465891B (zh) * | 2007-12-19 | 2012-05-30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移动通讯装置 |
JP5340974B2 (ja) * | 2010-01-26 | 2013-11-13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電子機器 |
JP5327119B2 (ja) * | 2010-03-26 | 2013-10-30 | 富士通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 |
KR20140046327A (ko) * | 2012-10-10 | 2014-04-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
KR102083597B1 (ko) * | 2014-03-10 | 2020-03-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2398836B1 (ko) * | 2016-01-18 | 2022-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CN105554200A (zh) * | 2016-02-16 | 2016-05-04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移动终端 |
US10044920B2 (en) * | 2016-09-28 | 2018-08-07 | Intel Corporation | Retractable image capture devices and methods to protect such retractable image capture devices |
CN106790801A (zh) * | 2016-12-15 | 2017-05-31 | 卢春宁 | 一种具有模块化可伸缩的移动通讯设备 |
CN106817450A (zh) * | 2017-01-24 | 2017-06-0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电子设备 |
CN107864242A (zh) * | 2017-11-28 | 2018-03-30 | 上海量科电子科技有限公司 | 全屏手机及其活动式摄像装置 |
-
2019
- 2019-02-05 ES ES19155454T patent/ES2811548T3/es active Active
- 2019-02-05 DK DK19155454.2T patent/DK3565224T3/da active
- 2019-02-05 PT PT191554542T patent/PT3565224T/pt unknown
- 2019-02-05 EP EP19155454.2A patent/EP3565224B1/en active Active
- 2019-02-14 KR KR1020207029885A patent/KR1023760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2-14 JP JP2021504558A patent/JP7048817B2/ja active Active
- 2019-02-14 WO PCT/CN2019/075086 patent/WO201921072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2-21 US US16/281,871 patent/US1060919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50896A (zh) * | 2017-03-07 | 2017-06-13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终端 |
CN107528940A (zh) * | 2017-08-08 | 2017-12-29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折叠式移动终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342432A1 (en) | 2019-11-07 |
EP3565224B1 (en) | 2020-07-15 |
PT3565224T (pt) | 2020-07-31 |
JP7048817B2 (ja) | 2022-04-05 |
DK3565224T3 (da) | 2020-08-24 |
US10609190B2 (en) | 2020-03-31 |
JP2021520171A (ja) | 2021-08-12 |
EP3565224A1 (en) | 2019-11-06 |
WO2019210727A1 (en) | 2019-11-07 |
ES2811548T3 (es) | 2021-03-12 |
KR20200132971A (ko) | 2020-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6039B1 (ko) | 이동 단말기 | |
EP3525433B1 (en) | Mobile terminal | |
US10917507B2 (en) | Mobile terminal with movable camera | |
EP3565226B1 (en) | Mobile terminal | |
CN208128325U (zh) | 移动终端 | |
CN111294427B (zh) | 电子设备 | |
CN209105229U (zh) | 折叠式移动终端 | |
CN110445898B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CN111294428B (zh) | 电子设备 | |
EP3620891B1 (en) | Mobile terminal with rotatable camera module | |
CN110445897B (zh) | 移动终端 | |
CN110445902B (zh) | 移动终端 | |
CN110445903B (zh) | 移动终端 | |
WO2019210812A1 (zh) | 移动终端和可折叠的移动终端 | |
CN112437214B (zh) | 电子设备及其摄像头单元 | |
CN110445901B (zh) | 移动终端 | |
CN110445900B (zh) | 移动终端 | |
CN110445908B (zh) | 移动终端 | |
CN110417958B (zh) | 移动终端 | |
KR100548424B1 (ko) |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줌카메라 | |
JP2005294959A (ja) |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