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641B1 - 웨어러블 기기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3641B1 KR102363641B1 KR1020150006852A KR20150006852A KR102363641B1 KR 102363641 B1 KR102363641 B1 KR 102363641B1 KR 1020150006852 A KR1020150006852 A KR 1020150006852A KR 20150006852 A KR20150006852 A KR 20150006852A KR 102363641 B1 KR102363641 B1 KR 1023636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onator
- reception
- strap
- housing
-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91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83 angi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electric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95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H02J5/005—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50/5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the energy repeater being integrated together with the emitter or the receiver
-
- H04B5/003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웨어러블 기기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는 제 1, 2 버클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티리팩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배티리팩은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배티리팩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충전 장치와 배티리팩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로 접촉시킴으로 인하여 충전 장치와 배티리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지만, 이러한 접촉식 충전 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 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티리팩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를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배티리팩이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과,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방식이 있다.
특히, 상기 공진 방식은, 공명(Resonance), 즉 소리 굽쇠를 울리면 옆에 있는 와인잔도 그와 같은 진동수로 울리는 물리학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소리를 공명시키는 대신, 전기 에너지를 담은 전자기파를 공명시킨다. 공명된 전기 에너지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만 직접 전달되고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 중으로 퍼지는 대신 전자장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파와는 달리 주변의 기계나 신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상기 종래의 공진기를 이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는 송, 수신 공진기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 및 스마트폰에 구비될 수 있고, 최근 스마트 폰을 보완 혹은 대체하는 기기로 급부상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에 적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진기를 이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는 기기내의 협소한 공간에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공진기를 삽입해야 한다. 예컨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뒷면에 수신 공진기를 부착해야함으로, 전송거리가 매우 짧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는 외부에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공진기와 가까운 특정 위치에 기기를 위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컨데, 웨이러블 기기의 본체에 상기 송신 공진기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공진기를 실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기기의 공간적인 제약 때문에 수신 공진기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게 된다. 수신 공진기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송신 공진기와의 결합 계수도 작아지고, 이로인해 수신 공진기와 송신 공진기의 전송 거리가 멀어질 경우 전송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더불어, 사이즈가 크고 넓은 외부 충전 패드의 상면에 웨어러블 기기를 올려 놓고 충전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충전 패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 거리가 멀어지거나 틀어져서 충전 효율이 급속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웨이러블 기기가 상기 충전 패드에서 충전이 안될 수도 있다.
결국, 웨어리블 기기의 무선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웨이러블 기기에서 무선 충전 장치를 다양하게 배치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전력 전송 효율의 향상을 고려하여 보다 먼 거리에서의 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웨어러블 기기에 수신 공진기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의 실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웨어러블 기기에 수신 공진기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의 실장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에 수신 공진기를 실장하고, 스트랩부에 추가로 더미 공진기를 실장함으로써, 2D 무선 전송(근거리)뿐만 아니라 3D 무선 전송(먼거리)에서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여 수신기의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2D 무선 전송(근거리)은 충전 패드 위에 웨어러블 기기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무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고, 상기 3D 무선 전송(먼거리)는 웨어러블 기기와 충전 패드를 멀리 떨어뜨린 상태에서의 무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D 무선 전송 거리는 1c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3D 무선 전송 거리는 10cm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는 제 1, 2 버클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스트랩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스트랩부;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스트랩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더미 공진기;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더미 공진기와 격리되고, 상기 더미 공진기에 수신된 전력을 전달받는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와 격리되고,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에 수신된 전력을 전달받는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에 수신 공진기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의 실장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무선 충전 장치의 실장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웨어러블 기기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 가능성을 고려하여 수신 공진기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의 실장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에 수신 공진기를 실장하고, 스트랩부에 추가로 상기 수신 공진기에 전력을 전달하는 더미 공진기를 실장하여 2D 무선 전송(근거리)뿐만 아니라 3D 무선 전송(먼거리)에서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여 수신기의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D 무선 전송(전송 거리 1cm 이하)은 충전 패드 위에 웨어러블 기기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무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고, 상기 3D 무선 전송(전송 거리 10cm 이상)는 웨어러블 기기와 충전 패드를 멀리 떨어뜨린 상태에서의 무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하우징부에 결합된 더미 공진기 및 수신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도 19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차폐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도 19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23은 도 19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도 19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착탈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착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도 25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5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다른 실시예의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공진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하우징부에 결합된 더미 공진기 및 수신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도 19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차폐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도 19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23은 도 19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도 19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착탈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착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도 25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5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 중 다른 실시예의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공진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적용예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1 audio layer-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신체 착용형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신체 착용형 장치는, 스마트 와치,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wearable) 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서버 등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또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연동되는 전자 장치에 전송된 데이터의 저장부터 표시까지 연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는, 후술하는 구성들로 한정되지 않지만, 이동 또는 셀룰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소지역 통신망(Small Area Network: SAN) 등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되는 외부 전자 장치로는, 앞서 살펴보았던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으며, 별도의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 전자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wearable) 기기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기기(10)(200)(300)(400)와 다른 전자 장치(104)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100)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200)(300)(400)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부(150),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10)는 전자 장치(102)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버스(110)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부(150),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부(150),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커널(131), 미들웨어(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널(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미들웨어(132),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31)은 미들웨어(132),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32)는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32)는 어플리케이션(134)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웨어러블 기기(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API(133)는 어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 또는 미들웨어(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34)은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134)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20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200)(300)(400)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200)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활성화/비활성화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34)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어플리케이션(134)은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어플리케이션(134)은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34)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200)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106) 또는 전자 장치(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통신 인터페이스(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예를 들면,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통신 인터페이스(16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오디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200)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셀룰러(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2)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134), API(133), 미들웨어(132), 커널(1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프로세서(120)와 프로세서(120)에 의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전자 장치(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웨어러블 기기를 충전하는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제 1 실시예 ' )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제 1 실시예 ')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수신 공진기(16)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17)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16)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1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1)는 후술하는 수신 공진기(16)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17)를 실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는 사용자의 신체 및 손목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부(11)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2 버클부(14)(15)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를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16)는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미도시 됨)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1)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17)는 상기 수신 공진기(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1)에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17)는 상기 수신 공진기(16)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직류 전력으로 정류시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상기 정류기(351)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는 출력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미도시 됨)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는 전원부의 직류 전력과 고주파 교류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에 집중된 교류 전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 증폭기는 고주파의 교류 파형을 송신 공진기(미도시 됨)로 전송하여 자기장을 유도시킨다.
상기 수신 공진기(16)는 상기 송신 공진기에서 유기된 교류 전력을 수신받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17)로 인가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17)는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의 배티리팩(미도시 됨)에 공급하여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및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에 수신 공진기(16)와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17)를 함께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신 공진기(16)와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17)의 실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더불어, 수신 공진기(16)와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17)를 하우징부(11)에 모두 실장함으로 인해, 제 1, 2 스트랩부(12)(13) 및 제 1, 2 버클부(14)(15)의 디자인 형상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고, 더불어, 웨어러블 기기(10)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다른 실시예(' 제 2 실시예 '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수신 공진기(19)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19)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19)는 외부의 송신 공진기(19)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19)는 상기 제 1 스트립부의 형상을 따라서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는 상기 수신 공진기(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는 상기 제 1 스트립부에 실장된 수신 공진기(19)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에 독립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를 실장함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부(11)를 슬림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수신 공진기(19)는 상기 제 1 스트립부의 형상을 따라 실장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의 디자인 형상을 다양하게 디자인 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또 다른 실시예(' 제 3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수신 공진기(21)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21)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21)는 외부의 송신 공진기(21)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21)는 상기 제 1 스트립부의 형상을 따라서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2)는 상기 수신 공진기(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버클부(14)에 실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2)는 상기 제 1 스트립부에 실장된 수신 공진기(21)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버클부(14)에 독립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2)를 실장함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부(11)를 슬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부(11)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수신 공진기(21)는 상기 제 1 스트립부의 형상을 따라 실장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의 디자인 형상을 다양하게 디자인 할 수 있다.
또한, 도 6는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또 다른 실시예(' 제 4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수신 공진기(23)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23)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23)는 외부의 송신 공진기(23)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23)는 상기 제 1 스트립부의 형상을 따라서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4)는 상기 수신 공진기(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 공진기(23)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4)는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모두 함께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4)는 상기 제 1 스트립부에 실장된 수신 공진기(23)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버클부(14)에 상기 수신 공진기(23)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4)를 함께 실장하여 상기 하우징부(11)를 더욱 슬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하우징부(11) 및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의 디자인 형상을 다양하게 디자인 할 수 있다.
또한, 도 7는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또 다른 실시예(' 제 5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7과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수신 공진기(25)(26)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7)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25)(26)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25)(26)는 외부의 송신 공진기(미도시 됨)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각각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7)는 상기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버클부(14)에 실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 공진기(25)(26)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의 형상을 따라서 각각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수신 공진기(25)는 상기 제 1 버클부(14)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버클부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다른 수신 공신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수신 공신기(26)는 상기 수신 공진기(25)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7)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된다.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26)는 상기 제 2 스트랩부(13)에 실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수신 공진기(26)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비록 상기 수신 공진기(25)(26)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결합계수가 높다. 따라서,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26)는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상기 수신 공진기(25)로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공진기(25)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트립부(12)의 수신 공진기(25)와 상기 제 2 스트랩부(13)의 다른 수신 공진기(26)는 하우징부(11)에 구비된 연결부(미도시 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26)는 외부의 전력을 상기 연결부(미도시 됨)를 통해 상기 수신 공진기(25)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7)는 상기 수신 공진기(25)(26)들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수신 공진기(25)(26)를 각각 실장함으로써, 수신 공진기(25)(26)의 전력 수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버클부(14)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7)를 실장함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부(11)를 더욱 슬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또 다른 실시예(' 제 6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8과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수신 공진기(29)(30)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1)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29)(30)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29)(30)는 외부의 송신 공진기(29)(30)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각각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1)는 상기 수신 공진기(29)(3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 공진기(29)(30)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의 형상을 따라서 각각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수신 공진기(29)는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수신 공진기는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다른 수신 공신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수신 공신기는 상기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된다.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30)는 상기 제 2 스트랩부(13)에 실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수신 공진기(29)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비록 상기 수신 공진기(29)(30)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결합계수가 높다. 따라서,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30)는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상기 수신 공진기(29)로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공진기(29)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1)와 상기 제 2 스트랩부(13)의 다른 수신 공진기(30)는 하우징부(11)에 구비된 연결부(미도시 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30)는 외부의 전력을 상기 연결부(미도시 됨)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1)는 상기 수신 공진기(29)(30)들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1)에 독립적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1)를 실장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11)를 더욱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고,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수신 공진기(29)(30)를 각각 실장함으로써, 수신 공진기(29)(30)의 전력 수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크랩부(13)에 실장된 다른 수신 공진기(30)은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연결부(미도시 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30)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1)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또 다른 실시예(' 제 7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9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수신 공진기(33)(34)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33)(3$)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33)는 외부의 송신 공진기(33)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각각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33)들은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의 형상을 따라서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는 상기 수신 공진기(33)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수신 공진기(33)는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다른 수신 공신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수신 공신기는 상기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된다.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34)는 상기 제 2 스트랩부(13)에 실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수신 공진기(33)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비록 상기 수신 공진기(33)(34)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결합계수가 높다. 따라서,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34)는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상기 수신 공진기(33)로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공진기(33)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트립부(12)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와 상기 제 2 스트랩부(13)의 다른 수신 공진기(34)는 하우징부(11)에 구비된 연결부(미도시 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34)는 외부의 전력을 상기 연결부(미도시 됨)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는 상기 수신 공진기(33)(34)들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상기 수신 공진기(33)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를 실장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다른 상기 수신 공진기(34)를 실장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11)를 더욱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고, 수신 공진기(33)들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의 실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또 다른 실시예(' 제 8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0과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수신 공진기(37)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8)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37)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37)는 외부의 송신 공진기(37)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8)는 상기 수신 공진기(3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1)에는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8)와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수신 공진기(37)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39)가 구비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부(39)의 일단은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39)의 타일단은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수신 공진기(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8)는 상기 수신 공진기(37)들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8)를 독립적으로 실장하고, 상기 하우징부(11)에 수신 공진기(37)를 독립적으로 실장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11) 및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를 더욱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부(11)에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8)와 상기 수신 공진기(37)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39)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8)와 상기 수신 공진기(37)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또 다른 실시예(' 제 9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1과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다수의 수신 공진기(40)(41)(42)(이하 '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 ' 라함)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3)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40)(41)(42)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40)(41)(42)들은 외부의 송신 공진기(40)(41)(42)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1) 및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40)는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3 수신 공진기(41)(42)들은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각각 실장된다.
상기 하우징부(11)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3)와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4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4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44)의 일단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44)의 타일단은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제 3 수신 공신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수신 공신기는 상기 제 1,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된다.
상기 제 3 수신 공진기(42)는 상기 제 2 스트랩부(13)에 실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41)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비록 상기 제 2, 3 수신 공진기(41)(42)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결합계수가 높다. 따라서, 상기 제 3 수신 공진기(42)는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41)로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41)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3)와 상기 제 2 스트랩부(13)의 제 3 수신 공진기(42)는 하우징부(11)에 구비된 또 다른 연결부(미도시 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수신 공진기(42)는 외부의 전력을 상기 또 다른 연결부(미도시 됨)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3)는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40)(41)(42)들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1)와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40)(41)(42)를 독립적으로 실장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11) 및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를 더욱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40)(41)(42)들에 의해 전력 수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력 수신의 향상으로 인해 웨이러블 기기(10)의 무선 충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또 다른 실시예(' 제 10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2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다수의 수신 공진기(46)(47)(48)(이하 '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 ' 라함)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9)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46)(47)(48)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46)(47)(48)들은 외부의 송신 공진기(46)(47)(48)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1) 및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46)는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3 수신 공진기(47)(48)들은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각각 실장된다.
상기 하우징부(11)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9)와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46)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 1 연결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부(50)의 일단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결부(50)의 타일단은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에는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46)와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제 2 수신 공진기(46)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연결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51)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부(51)의 타일단은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제 2 수신 공진기(4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2 연결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제 3 수신 공신기는 상기 하우징의 제 1 수신 공진기,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수신 공신기는 상기 제 1,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된다.
상기 제 3 수신 공진기(48)는 상기 제 2 스트랩부(13)에 실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47)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비록 상기 제 2, 3 수신 공진기(47)(48)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결합계수가 높다. 따라서, 상기 제 3 수신 공진기(48)는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47)로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47)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46)와, 상기 제 2 스트랩부(13)의 제 3 수신 공진기(47)는 하우징부(11)에 구비된 또 다른 연결부(미도시 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9)는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46)(47)(48)들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1)와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46)(47)(48)를 독립적으로 실장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11) 및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를 더욱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46)(47)(48)들에 의해 전력 수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력 수신의 향상으로 인해 웨이러블 기기(10)의 무선 충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은 는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또 다른 실시예(' 제 11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3과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다수의 수신 공진기(53)(54)(55)(이하 '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 ' 라함)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56)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53)(54)(55)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5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53)(54)(55)들은 외부의 송신 공진기(미도시 됨)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1) 및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각각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는 제 2 수신 공진기(54)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56)가 함께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53)는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3 수신 공진기(54)(55)들은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각각 실장된다.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53)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56)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5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57)의 일단은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5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57)의 타일단은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제 3 수신 공신기는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수신 공신기는 상기 제 1,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된다.
상기 제 3 수신 공진기(55)는 상기 제 2 스트랩부(13)에 실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54)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비록 상기 제 2 ,3 수신 공진기(54)(55)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결합계수가 높다. 따라서, 상기 제 3 수신 공진기(55)는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54)로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54)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53)와 상기 제 2 스트랩부(13)의 제 3 수신 공진기(55)는 하우징부(11)에 구비된 또 다른 연결부(미도시 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56)는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53)(54)(55)들을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1)와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53)(54)(55)를 독립적으로 실장하고,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56)를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11)를 더욱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53)(54)(55)들에 의해 전력 수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력 수신의 향상으로 인해 웨이러블 기기(10)의 무선 충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또 다른 실시예('제 12 실시예 ')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4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는 웨어러블 기기(10)의 하우징부(11)와, 제 1, 2 스트랩부(12)(13)와, 제 1, 2 버클부(14)(15)와, 다수의 수신 공진기(59)(60)(61)(이하 '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 ' 라함)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62)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59)(60)(61)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59)(60)(61)들은 외부의 송신 공진기(미도시 됨)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1) 및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각각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62)는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제 2 수신 공진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버클부(14)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59)는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3 수신 공진기(60)(61)들은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각각 실장된다.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59)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제 2 수신 공진기(6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6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63)의 일단은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제 2 수신 공진기(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63)의 타일단은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5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버클부에 실장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제 3 수신 공신기는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수신 공신기는 상기 제 1,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된다.
상기 제 3 수신 공진기(61)는 상기 제 2 스트랩부(13)에 실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스트랩부(12)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6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비록 상기 제 2, 3 수신 공진기(60)(61)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결합계수가 높다. 따라서, 상기 제 3 수신 공진기(61)는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60)로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60)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59)와 상기 제 2 스트랩부(13)의 제 3 수신 공진기(60)는 하우징부(11)에 구비된 또 다른 연결부(미도시 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62)는 상기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59)(60)(61)들을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60)의 일단은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60)의 타일단은 상기 연결부(63)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1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5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부(11)와 상기 제 1, 2 스트랩부(12)(13)에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59)(60)(61)를 독립적으로 실장하고,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62)를 제 1 버클부(14)에 실장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11)를 더욱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2 및 3 수신 공진기(59)(60)(61)들에 의해 전력 수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력 수신의 향상으로 인해 웨이러블 기기(10)의 무선 충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제 13 실시예 ')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200)는 웨어러블 기기(200)의 하우징부(201)와, 스트랩부(202)와, 수신 공진기(203)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4)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203)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201)는 후술하는 수신 공진기(203)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4)를 실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부(202)는 버클부 없이 사용자의 신체 및 손목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부(201)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203)는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201)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4)는 상기 수신 공진기(2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01)에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4)는 상기 수신 공진기(203)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20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미도시 됨)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는 전원부의 직류 전력과 고주파 교류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에 집중된 교류 전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 증폭기는 고주파의 교류 파형을 송신 공진기(미도시 됨)로 전송하여 자기장을 유도시킨다.
상기 수신 공진기(203)는 상기 송신 공진기(미도시 됨)에서 유기된 교류 전력을 수신받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4)로 인가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4)는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200)의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202)는 연성의 스트랩부(2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랩부(202)는 연성의 스트랩부(202)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스트랩부(202)는 연성의 스트랩부(202)이외에 다른 연성의 재질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스트랩부(202)는 탄성 부재, 고무 및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성의 스트랩부(202)는 사용자의 신체 및 손목에 착용시 연성을 이용하여 착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201)에는 상기 수신 공진기(203)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4)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로 스트랩부(202)에 버클부 없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200)의 하우징부(201)에 수신 공진기(203)와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4)를 함께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신 공진기(203)와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4)의 실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더불어, 웨이러블 기기(200)의 디자인 형상을 자유롭게 구현함은 물론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6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제 14 실시예 ')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200)는 웨어러블 기기(200)의 하우징부(201)와, 스트랩부(202)와, 수신 공진기(206)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7)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206)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201)는 후술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7)를 실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부(202)는 버클부 없이 사용자의 신체 및 손목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부(201)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스트랩부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201)의 일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부의 타일단은 상기 하우징부(201)의 타일측면과 연결된다.
상기 수신 공진기(206)는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부(202)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206)는 버클부가 없는 스트랩부(202)의 둘레 형상을 따라서 실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신 공진기(206)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201)의 일측면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부(201)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신 공진기(206)의 타일단은 상기 하우징부(201)의 타일측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하우징부(201)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7)는 상기 수신 공진기(206)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20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상기 스트랩부(202)는 연성의 스트랩부(2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성의 스트랩부(202)는 사용자의 신체 및 손목에 착용시 연성을 이용하여 착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201)에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7) 독립적으로 실장함으로써, 하우징부(201)를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고, 버클부가 없는 스트랩부(202)에 수신 공진기(206)를 독립적으로 실장하여 스트랩부(202)의 디자인 형상을 자유롭게 하여 웨이러블 기기(200)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제 15 실시예 ')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200)는 웨어러블 기기(200)의 하우징부(201)와, 스트랩부(202)와, 수신 공진기(208)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9)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수신 공진기(208)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208)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9)는 버클부가 없는 상기 스트랩부(202)에 모두 실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스트랩부(202)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201)의 일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부(202)의 타일단은 상기 하우징부(201)의 타일측면과 연결된다.
상기 수신 공진기(208)는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미도시 됨)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부(202)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208)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9)는 버클부가 없는 스트랩부(202)의 둘레 형상을 따라서 실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트랩부(202)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9)는 상기 수신 공진기(208)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200)에 구비된 배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상기 스트랩부(202)는 연성의 스트랩부(2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성의 스트랩부(202)는 사용자의 신체 및 손목에 착용시 연성을 이용하여 착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부가 없는 스트랩부(202)에 상기 수신 공진기(208)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09)를 모두 함께 실장함으로써, 하우징부(201)를 더욱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고, 웨이러블 기기(200)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제 16 실시예 ')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200)는 웨어러블 기기(200)의 하우징부(201)와, 스트랩부(202)와, 수신 공진기(210)(210)('이하 제 1, 2 수신 공진기 라함)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11)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제 1, 2 수신 공진기(210)(212)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201)에는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21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11)를 모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202)는 별도로 버클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제 2 수신 공진기(212)를 실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212)는 상기 하우징부(201)에 실장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부(201)에는 상기 하우징부(201)에 실장된 제 1 수신 공진기(21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1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201c)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01c)의 일단은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201c)의 타일단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2 수신 공진기(210)(212)는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미도시 됨)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201) 및 상기 스트랩부(202)내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212)는 버클부가 없는 스트랩부(202)의 둘레 형상을 따라서 실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부(201)에 실장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11)는 상기 제 1, 2 수신 공진기(210)(212)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200)에 구비된 배티리팩(R1; 도 22에 도시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상기 스트랩부(202)는 연성의 스트랩부(2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성의 스트랩부(202)는 사용자의 신체 및 손목에 착용시 연성을 이용하여 착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201)에 제 1 수신 공진기(21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211)를 실장하고, 버클부가 없는 스트랩부(202)에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212)를 실장함으로써, 하우징부(201)를 더욱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고, 웨이러블 기기(200)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제 1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300)의 구성 중 하우징부(310)에 결합된 더미 공진기(330) 및 수신 공진기(340)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300)의 구성 중 차폐 부재(360)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이다.
먼저,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300)는 웨어러블 기기(300)의 하우징부(310)와, 스트랩부(320)와, 더미 공진기(330)와, 수신 공진기(340)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더미 공진기(330)와, 상기 수신 공진기(340)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와 같이, 상기 더미 공진기(330) 및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 L2)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1, C2, C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더미 공진기(330)는 제 1, 2 더미 공진기(331)(3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331)는 상기 수신 공진기(340)와 격리됨과 동시에 상기 수신 공진기(340)의 이웃한 위치에 배치될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310)에 실장된다.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332)는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3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트랩부(320)에 실장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부(310)에는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331)와, 상기 수신 공진기(34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0)를 모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320)는 사용자의 신체 및 손목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부(310)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미도시 됨)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310)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0)는 상기 수신 공진기(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부(310)에 구비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도 19와 같이,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331) 및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331) 및 상기 수신 공진기(340)를 격리시킴과 동시에 근접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면(330a)(34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1과 같이, 상기 제 1, 2 더미 공진기(331)(332) 및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공진기들의 공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차폐 부재(360)가 구비되어 있다.
도 20과 같이, 상기 제 1, 2 더미 공진기(331)(332)는 상기 수신 공진기(340)와 격리됨과 동시에 상기 수신 공진기(34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331) 및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상기 하우징부(310)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332)는 상기 스트랩부(320)에 실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더미 공진기(331)(332)와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물리적으로 격리된다. 비록 상기 제 1, 2 더미 공진기(331)(332)와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결합계수가 높다. 따라서, 상기 제 1, 2 더미 공진기(331)(332)는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상기 수신 공진기(3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과 같이, 상기 제 1, 2 더미 공진기(331)(332)는 상기 수신 공진기(340)로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0)는 상기 수신 공진기(340)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를 통해 직류 전력으로 정류시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300)에 구비된 배티리팩(R1)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도 22와 같이, 상기 제 1, 2 더미 공진기(331)(332) 및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각각 소정 인덕턴스 값과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턱터(L1,L2 )와 커패시터(C1,C2,C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류기(351)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0)는 출력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팩(R1)에 제공하여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미도시 됨)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는 전원부의 직류 전력과 고주파 교류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에 집중된 교류 전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 증폭기는 고주파의 교류 파형을 송신 공진기(미도시 됨)로 전송하여 자기장을 유도시킨다.
상기 제 1, 2 더미 공진기(331)(332)는 상기 송신 공진기에서 유기된 교류 전력을 수신받아 상기 수신 공진기(340)에 전달하고,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0)의 정류기(351)로 인가하고, 상기 정류기(351)는 교류 전력을 변환하여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300)의 배티리팩(R1)에 공급하여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도 24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310)에는 상기 스트랩부(320)에 구비된 홈(321)으로부터 착탈되도록 착탈부(3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착탈부(370)는 착탈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착탈 돌기는 후술하는 상기 스트랩부(320)의 홈(321)에서 착탈되도록 상기 하우징부(310)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착탈부(370)는 착탈 돌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하우징부(310)를 상기 스트랩부(320)로부터 착탈시키는 장치라면, 다양한 변형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370)는 상기 하우징부(310)와 상기 스트랩부(320)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더미 공진기(330)와 상기 수신 공진기(340)를 격리하여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부(310)의 착탈 돌기를 상기 스트랩부(320)의 홈(321)에 삽입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부(310)에 구비된 수신 공진기(340)와 상기 스트랩부(320)에 구비된 더미 공진기(330)는 격리된다. 이때, 상기 더미 공진기(330)는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받고, 수신된 전력은 상기 수신 공진기(340)에 전달한다.
상기 하우징부(310)와 상기 스트랩부(320)를 분리시킬 경우, 즉, 상기 스크랩부의 홈(321)에서 상기 하우징부(310)의 착탈 돌기를 분리하여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310)에 구비된 수신 공진기(340)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부(310)에 구비된 배터리팩(R1)을 충전시킨다.
본 실시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공진기(미도시 됨)를 이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미도시 됨)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미도시 됨)는 사이즈가 크고 넓은 충전 패드(미도시 됨)의 상면에 웨어러블 기기(미도시 됨)를 근접하게 올려 놓고 충전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충전 패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구비된 수신 공진기(미도시 됨)의 충전 거리가 멀어지거나 틀어져서 충전 효율이 급속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충전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300)의 하우징부(310)에 수신 공진기(340)를 실장하고, 상기 스트랩부(320)에는 더미 공진기(330)가 실장되고, 상기 더미 공진기는 먼거리의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받아 상기 수신 공진기(340)에 전달함으로써, 2D 무선 전송(근거리)뿐만 아니라 3D 무선 전송(먼거리)에서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여 수신기의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D 무선 전송(근거리)은 충전 패드 위에 웨어러블 기기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무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고, 상기 3D 무선 전송(먼거리)는 웨어러블 기기와 충전 패드를 멀리 떨어뜨린 상태에서의 무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D 무선 전송 거리는 1c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3D 무선 전송 거리는 10cm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 및 도 23과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 및 키보드의 앞에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기기(300)를 사용시, 상기 컴퓨터의 모니터(380) 또는 키보드(381)에 송신 공진기(380a)(381a)를 내장하고, 상기 송신 공진기(380a)(381a)는 전력을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목에 상기 웨어러블 기기(300)를 착용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300)의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송신 공진기(380a)(381a)의 전력을 수신받는다. 즉,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더미 공진기(330)는 상기 송신 공진기(380a)(381a)의 전력을 수신받아 상기 하우징부(310)에 내장된 수신 공진기(340)에 전달하고, 상기 수신 공진기(340)는 전달받은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0)의 정류기(351)를 통해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350)는 출력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팩(R1)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사용자는 컴퓨터 및 키보드의 앞에서 다른 다양한 업무를 볼 수 있고, 이때,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300)의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배터리팩을 충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충전 위해 사용자의 손목이나 신체에서 웨어러블 기기(300)를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배터리팩을 충전할 수 있으므로, 웨어러블 기기(300)의 무선 충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제 18 실시예 ')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먼저,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400)는 웨어러블 기기(400)의 하우징부(410)와, 제 1, 2 스트랩부(420)(430)와,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와, 수신 공진기(470)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8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와, 상기 수신 공진기(470)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440)는 상기 수신 공진기(470)와 격리됨과 동시에 상기 수신 공진기(470)의 이웃한 위치에 배치될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410)에 실장된다.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는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4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스트랩부(420)에 실장되어 있고, 상기 제 3 더미 공진기(460)는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4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2 스트랩부(430)에 실장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부(410)에는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440)와, 상기 수신 공진기(47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80)를 모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는 사용자의 신체 및 손목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부(410)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신 공진기(470)는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410)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80)는 상기 수신 공진기(4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부(410)에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440) 및 상기 수신 공진기(470)는 상기 하우징부(410)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3 더미 공진기(450)(460)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에 실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와 상기 수신 공진기(470)는 물리적으로 격리된다. 비록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와 상기 수신 공진기(47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결합계수가 높다. 따라서,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는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상기 수신 공진기(4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공진기(470)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와 같이,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는 외부에서 송신된 전력을 수신 받아 상기 수신 공진기(470)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480)는 상기 수신 공진기(470)를 거쳐 유기된 교류 전력을 정류기(351; 도 22에 도시됨)를 통해 정류시켜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직류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400)에 구비된 배티리팩(미도시 됨)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400)의 구성 중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 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400)의 구성 중 다른 실시예의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27과 같이,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에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의 가변되는 체결 위치에 따라 구비되고, 상기 체결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는 제 1, 2 및 3 인덕터(L1a, L2a, L3a)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3 더미 공진기(460)에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가 체결시 상기 제 1, 2 및 3 인덕터(L1a, L2a, L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49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 인덕터(L1a)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인덕터(L1a)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더미 라인(D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라인(D1)은 상기 제 1 인덕터(L1a)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여러 번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인덕터(L2a)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인덕터(L2a)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더미 라인(D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더미 라인(D2)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로부터 상기 제 1 인덕터(L1a)보다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 2 인덕터(L2a)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더미 라인(D1)보다 적게 굴곡시킨다.
또한, 상기 제 3 인덕터(L3a)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의 사이에는 상기 제 3 인덕터(L3a)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3 더미 라인(D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더미 라인(D3)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로부터 상기 제 2 인덕터(L2a)보다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 3 인덕터(L2a)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더미 라인(D2)보다 적게 굴곡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의 체결 위치에 상관 없이 상기 제 1, 2 및 3 더미 라인(D1)(D2)(D3)에 의해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 2 및 3 인덕터(L1a)(L2a)(L3a)의 인덕턴스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400)의 구성 중 인덕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28과 같이, 상기 인덕터는 제 1, 2 및 3 인덕터(L1b) (L2b) (L3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및 3 인덕터(L1b) (L2b) (L3b)는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더미 공진기(460)에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가 체결시 상기 제 1, 2 및 3 인덕터(L1b) (L2b) (L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49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 2 및 3 인덕터(L1b) (L2b) (L3b)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 2 및 3 인덕터(L1b) (L2b) (L3b)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2 및 3 더미 라인(D1a)(D2a)(D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3 더미 라인(D1a)(D2a)(D3a)에는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2 및 3 인덕터(L1b) (L2b) (L3b)의 인덕턴스의 변화에 따라 커패시턴스를 다르게 설정된 제 1, 2 및 3 커패시터(C1a) (C2a) (C2a)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2 및 3 커패시터(C1a) (C2a) (C2a)는 상기 제 1, 2 및 3 인덕터(L1b) (L2b) (L3b)의 위치에 따라 커패시턴스를 기설정하여 상기 제 1, 2 및 3 더미 라인(D1)(D2)(D3)에 구비된다.
예컨데,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가 체결시 상기 제 3 더미 공진기(460)의 커넥터(490)가 상기 제 1 인덕터(L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인덕터(L1b)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라 기설정된 제 1 커패시터(C1a)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의 공진 주파수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가 체결시 상기 제 3 더미 공진기(460)의 커넥터(490)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 상에서 위치가 다른 상기 제 2 인덕터(L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인덕터(L2b) 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라 기설정된 제 2 커패시터(C2a)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의 공진 주파수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가 체결시 상기 제 3 더미 공진기(460)의 커넥터(490)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450) 상에서 위치가 다른 상기 제 3 인덕터(L3b)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 3 인덕터(L3b) 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라 기설정된 제 3 커패시터(C3a)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의 공진 주파수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의 체결시 상기 제 1, 2 및 3 인덕터(L1b) (L2b) (L3b)의 인덕턴스가 위치에 따라 달라질 경우, 상기 각 위치 마다 다르게 설정된 상기 제 1, 2 및 3 커패시터(C1a)(C2a)(C3a)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440)(450)(460)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도 26과 같이, 상기 하우징부(410)에는 분리된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에 구비된 홈(420a)(430a)으로부터 착탈되도록 착탈부(410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착탈부(410a)는 착탈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착탈부(410a)는 상기 하우징부(410)와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더미 공진기(440)(450)(460)와 상기 수신 공진기(470)를 격리하여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부(410)의 착탈 돌기를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의 홈(420a)(430a)에 삽입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부(410)에 구비된 수신 공진기(470)와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에 구비된 더미 공진기(440)(450)(460)는 격리된다. 이때, 상기 더미 공진기(440)(450)(460)는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받고, 수신된 전력은 상기 수신 공진기(470)에 전달한다.
상기 하우징부(410)와 상기 제 1, 2 스트랩부(420)(430)를 분리시킬 경우, 즉, 상기 제 1, 2 스크랩부(420)(430)의 홈(420a)(430a)에서 상기 하우징부(410)의 착탈 돌기(410a)를 분리하여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410)에 구비된 수신 공진기(470)는 독립적으로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부(410)에 구비된 배터리팩을 충전시킨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의 공진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다.
도 29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외부의 송신 공진기의 전송 거리가 10cm에서의 전송 효율을 살펴보면, 더미 공진기가 없는 종래의 무선 충전 장치는 공진 효율이 15%인 반면에 더미 공진기가 포함된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는 공진 효율이 55% 향상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그래프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진 효율은 더미 공진기가 없는 기존의 공진 효율보다 3배 이상 증가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웨어러블 기기 : 10, 200, 300, 400 하우징부 : 11. 201, 310, 410
제 1, 2 스트랩부 : 12, 13, 202 제 1, 2 버클부 : 14, 15
수신 공진기 : 16, 203, 340, 470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 : 17, 204, 350, 480
연결부 : 18 더미 공진기 ; 330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 ; 440, 450, 470
제 1, 2 스트랩부 : 12, 13, 202 제 1, 2 버클부 : 14, 15
수신 공진기 : 16, 203, 340, 470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 : 17, 204, 350, 480
연결부 : 18 더미 공진기 ; 330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 ; 440, 450, 470
Claims (33)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는 제 1, 2 버클부;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는 상기 제 1 버클부에 실장되며,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는 제 1, 2 버클부;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되며,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는 제 1, 2 버클부;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는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삭제
-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는 제 1, 2 버클부;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상기 수신 공진기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는 제 1, 2 버클부;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된 상기 수신 공진기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하우징부에 실장된 상기 수신 공진기와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신 공진기,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는 제 1, 2 버클부;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수신 공진기가 실장되고,
상기 수신 공진기의 일단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는 제 1, 2 버클부;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및 제 2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는 상기 제 1 버클부에 실장되며,
상기 하우징부에는 다른 수신 공진기가 실장되고,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실장된 상기 제 2 수신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의 상기 제 1 수신 공진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다른 수신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 1, 2 스트랩부;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제 1, 2 스트랩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와 격리되고,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에 수신된 전력을 전달받는 수신 공진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신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에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의 가변되는 체결 위치에 따라 구비되고, 상기 체결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가 구비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공진기는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는 상기 제 1 스트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더미 공진기는 상기 제 2 스트랩부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삭제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더미 공진기에는 상기 제 1, 2 스트랩부를 체결시 상기 인덕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제 1, 2 및 3 인덕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인덕터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인덕터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인덕터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여러 번 굴곡되게 형성되는 제 1 더미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인덕터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인덕터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로부터 상기 제 1 인덕터보다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 2 인덕터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더미 라인보다 적게 굴곡되는 제 2 더미 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제 3 인덕터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인덕터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로부터 상기 제 2 인덕터보다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 3 인덕터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더미 라인보다 적게 굴곡되는 제 3 더미 라인이 구비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제 1, 2 및 3 인덕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및 3 인덕터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 2 및 3 인덕터와 상기 제 2 더미 공진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2 및 3 더미 라인이 구비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더미 라인에는 상기 제 1, 2, 및 3 더미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2 및 3 인덕터의 인덕턴스의 변화에 따라 커패시턴스를 다르게 설정시키는 제 1, 2 및 3 커패시터가 더 구비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6852A KR102363641B1 (ko) | 2015-01-14 | 2015-01-14 | 웨어러블 기기 |
CN201680005855.0A CN107112784B (zh) | 2015-01-14 | 2016-01-13 | 可穿戴装置 |
EP16737549.2A EP3238324B1 (en) | 2015-01-14 | 2016-01-13 | Wearable device |
PCT/KR2016/000351 WO2016114585A1 (en) | 2015-01-14 | 2016-01-13 | Wearable device |
US14/996,095 US11063463B2 (en) | 2015-01-14 | 2016-01-14 | Wearab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6852A KR102363641B1 (ko) | 2015-01-14 | 2015-01-14 | 웨어러블 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7636A KR20160087636A (ko) | 2016-07-22 |
KR102363641B1 true KR102363641B1 (ko) | 2022-02-17 |
Family
ID=5636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6852A KR102363641B1 (ko) | 2015-01-14 | 2015-01-14 | 웨어러블 기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063463B2 (ko) |
EP (1) | EP3238324B1 (ko) |
KR (1) | KR102363641B1 (ko) |
CN (1) | CN107112784B (ko) |
WO (1) | WO201611458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59494B2 (en) * | 2016-11-11 | 2019-07-23 | Fluke Corporation | Proving unit for non-contact voltage measurement systems |
US10539643B2 (en) | 2017-09-01 | 2020-01-21 | Fluke Corporation | Proving unit for use with electrical test tools |
GB2571279B (en) | 2018-02-21 | 2022-03-09 | Pet Tech Limited | Antenna arrangement and associated method |
US10948976B1 (en) | 2019-02-06 | 2021-03-16 | Facebook Technologi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discharge-based sensing via wearables donned by users of artificial reality systems |
US11476725B2 (en) | 2020-06-28 | 2022-10-18 | Nucurrent, Inc. |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high fidelity communications and high power transfer |
US11469626B2 (en) | 2020-06-28 | 2022-10-11 | Nucurrent, Inc. | Wireless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high power high frequency transfer |
US11476724B2 (en) | 2020-06-28 | 2022-10-18 | Nucurrent, Inc. | Higher power high frequency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
US11005308B1 (en) | 2020-06-28 | 2021-05-11 | Nucurrent, Inc. |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high fidelity communications and high power transfer |
US11404918B2 (en) | 2020-07-21 | 2022-08-02 | Nucurrent, Inc. | Wireless charging in eyewear with enhanced positional freedom |
US11711112B2 (en) | 2021-01-28 | 2023-07-25 | Nucurrent, Inc.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with selective signal damping active mode |
US11489555B2 (en) | 2021-01-28 | 2022-11-01 | Nucurrent, Inc. |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high fidelity communications with amplitude shift keying |
US11483032B2 (en) | 2021-01-28 | 2022-10-25 | Nucurrent, Inc.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with selective signal damping at periodic active mode windows |
US11722179B2 (en) | 2021-01-28 | 2023-08-08 | Nucurrent, Inc.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signal damping for enhanced communications fidelity |
US11476897B2 (en) | 2021-01-28 | 2022-10-18 | Nucurrent, Inc. |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high fidelity communications at high power transfer |
US11695449B2 (en) | 2021-01-28 | 2023-07-04 | Nucurrent, Inc.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with signal damping operating modes |
TWI825701B (zh) * | 2022-01-18 | 2023-12-11 |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 頸掛式行動電源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422610U (zh) * | 2013-06-25 | 2014-02-05 |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电子手表 |
US20140187157A1 (en) * | 2012-12-28 | 2014-07-03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panding transmission distanc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s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6031138A1 (fr) * | 1995-04-04 | 1996-10-10 | Gay Freres Vente Et Exportation S.A. | Fermoir pour un bracelet |
DE3851664T2 (de) * | 1987-07-10 | 1995-02-16 | Seiko Epson Corp | Ladevorrichtung für elektronisches Gerät. |
JPH0298708U (ko) * | 1988-05-27 | 1990-08-07 | ||
US6265789B1 (en) * | 1997-11-20 | 2001-07-24 | Seiko Epson Corporation | Electronic apparatus |
JP2001231174A (ja) | 2000-02-15 | 2001-08-24 | Alps Electric Co Ltd | 充電機能付き時計 |
KR101196994B1 (ko) * | 2005-10-25 | 2012-1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무접점 배터리 충전 장치 |
US7385498B2 (en) | 2006-05-19 | 2008-06-10 | Delphi Technologies, Inc. | Wristband reader apparatus for human-implant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
US8459825B2 (en) * | 2009-06-04 | 2013-06-11 | Michael Trzecieski | Aesthetic device for providing of electrical power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s |
JP2011160501A (ja) | 2010-01-29 | 2011-08-18 | Casio Computer Co Ltd | 電子機器 |
KR101262556B1 (ko) * | 2011-10-14 | 2013-05-0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전력 송신장치 |
US9496731B2 (en) | 2012-01-20 | 2016-11-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by using resonant coupling and system for the same |
KR101920216B1 (ko) | 2012-05-02 | 2018-1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
US9531441B2 (en) | 2012-02-21 | 2016-12-27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thereof |
JP5942530B2 (ja) | 2012-03-28 | 2016-06-29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非接触充電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
US8827889B2 (en) * | 2012-05-21 | 2014-09-09 |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 Method and system for powering implantable devices |
JP6089330B2 (ja) * | 2012-08-10 | 2017-03-0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小型電気機器およびこれを有する非接触式電力伝送装置 |
EP2892421A1 (en) * | 2012-09-04 | 2015-07-15 | Whoop, Inc.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ntinuous heart rate monitoring and interpretation |
KR101967340B1 (ko) | 2012-11-20 | 2019-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기 |
KR102042020B1 (ko) | 2012-11-26 | 2019-1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기 |
US9357817B2 (en) * | 2013-01-31 | 2016-06-07 | Salutron, Inc. | Reversible wrist strap insert and curved cutout for centering wrist strap |
CN103248094A (zh) * | 2013-05-08 | 2013-08-14 |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 一种增强型无线充电系统 |
WO2014205383A1 (en) * | 2013-06-20 | 2014-12-24 | Sol Cuff Technologies, LLC | Wearable mobile device charger |
US9449754B2 (en) * | 2014-05-30 | 2016-09-20 | Apple Inc. | Coil constructions for improved inductive energy transfer |
-
2015
- 2015-01-14 KR KR1020150006852A patent/KR1023636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1-13 CN CN201680005855.0A patent/CN107112784B/zh active Active
- 2016-01-13 EP EP16737549.2A patent/EP3238324B1/en active Active
- 2016-01-13 WO PCT/KR2016/000351 patent/WO201611458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1-14 US US14/996,095 patent/US1106346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87157A1 (en) * | 2012-12-28 | 2014-07-03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panding transmission distanc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s |
CN203422610U (zh) * | 2013-06-25 | 2014-02-05 |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电子手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14585A1 (en) | 2016-07-21 |
CN107112784A (zh) | 2017-08-29 |
KR20160087636A (ko) | 2016-07-22 |
EP3238324A1 (en) | 2017-11-01 |
EP3238324A4 (en) | 2018-02-28 |
US20160204646A1 (en) | 2016-07-14 |
US11063463B2 (en) | 2021-07-13 |
EP3238324B1 (en) | 2019-09-25 |
CN107112784B (zh) | 2021-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3641B1 (ko) | 웨어러블 기기 | |
EP3335269B1 (en) |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0261541B2 (en) | Curved body and wearable device therewith | |
CN107800456B (zh) | 带构件以及包括该带构件的可穿戴电子装置 | |
CN107851885B (zh) | 天线设备以及包括天线设备的电子设备 | |
EP3446359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 |
CN106575818B (zh) | 天线装置以及具有该天线装置的电子设备 | |
EP3336617A1 (en) | Cradle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applied to same | |
US11502388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antenna | |
EP3504867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 |
KR102258191B1 (ko) | 전자 장치 | |
CN107925152A (zh) | 包括多频带天线的电子设备 | |
KR20150108262A (ko) | 쉴드 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60061070A (ko) | 안테나를 갖는 전자 장치 | |
KR20160052253A (ko) |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20160254692A1 (en) |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 |
KR20150136800A (ko) | 전도체를 이용한 안테나 및 전자 장치 | |
KR102332095B1 (ko) | 무선 충전 장치 | |
KR20150142360A (ko) | 보호 커버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 |
KR20150122951A (ko) | 기판 탑재형 방사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 |
US9728870B2 (en) |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20150194758A1 (en) |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60039999A (ko) | 전자 장치 | |
KR20150082044A (ko) |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150082054A (ko) | 콘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