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766B1 -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7766B1 KR102357766B1 KR1020170028283A KR20170028283A KR102357766B1 KR 102357766 B1 KR102357766 B1 KR 102357766B1 KR 1020170028283 A KR1020170028283 A KR 1020170028283A KR 20170028283 A KR20170028283 A KR 20170028283A KR 102357766 B1 KR102357766 B1 KR 1023577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wireless power
- coils
- disposed
- shielding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radiation-sensitiv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30/00
-
- H01L27/30—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6—Coo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는, 제1 내지 제3 코일; 상기 제1 코일을 수납하는 상부 수납부,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을 수납하는 하부 수납부를 포함하는 코일 프레임;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의 하단에 배치되는 차폐재; 및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차폐재의 하단에 배치되며 구리 재질인 방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는, 제1 내지 제3 코일; 상기 제1 코일을 수납하는 상부 수납부,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을 수납하는 하부 수납부를 포함하는 코일 프레임;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의 하단에 배치되는 차폐재; 및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차폐재의 하단에 배치되며 구리 재질인 방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단말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의 배터리가 충전되려면,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와 배터리 간의 전기적 연결방식의 일 예로,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공급방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은 물리적인 케이블(cable) 또는 전선의 사용이 동반된다. 따라서 단자공급방식의 장비들을 많이 취급하는 경우, 많은 케이블들이 상당한 작업 공간을 차지하고 정리가 곤란하며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단자공급방식은 단자들간의 서로 다른 전위차로 인한 순간방전현상, 이물질에 의한 소손 및 화재 발생, 자연방전, 배터리의 수명 및 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한 충전시스템(이하 "무선 충전 시스템"이라 칭함.)과 제어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시스템이 과거에는 일부 휴대용 단말에 기본 장착되지 않고 소비자가 별도 무선 충전 수신기 액세서리를 별도로 구매해야 했기에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낮았으나 무선 충전 사용자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단말 제조사에서도 무선충전 기능을 기본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 구성된다.
한편, 무선 전력을 송신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송신 코일을 구비하고,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 코일을 구비한다. 그러나, 무선 전력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무선 전력의 출력량이 증가하면서 송수신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이 증가하였다. 송수신 코일에 열이 증가하면 무선 전력의 전송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확산을 효율적으로 하는 방열부재를 구비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확산을 효율적으로 하는 코일 프레임을 구비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제1 내지 제3 코일; 상기 제1 코일을 수납하는 상부 수납부,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을 수납하는 하부 수납부를 포함하는 코일 프레임;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의 하단에 배치되는 차폐재; 및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차폐재의 하단에 배치되며 구리 재질인 방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방열부재는 구리 시트 또는 구리 테이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제1 내지 제3 코일; 외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과 대응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외상부와 외측부를 포함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일을 수납하는 상부 수납부 및 상기 외상부와 상기 외측부에 의해 형성된 하부 수납부를 포함하는 코일 프레임; 및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부와 접촉하는 차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외측부의 하단에 배치된 복수의 연장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복수의 연장 날개부와 상기 제2 영역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복수의 연장 날개부는 상기 외측부의 하단에서 상기 차폐재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제1 내지 제3 코일, 외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과 대응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외상부와 외측부를 포함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일을 수납하는 상부 수납부 및 상기 외상부와 상기 외측부에 의해 형성된 하부 수납부를 포함하는 코일 프레임 및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부와 접촉하는 차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금속 재질인 코일 장치;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차폐재의 하단에 배치되며 구리 재질인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제1 내지 제3 코일, 외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과 대응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외상부와 외측부를 포함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일을 수납하는 상부 수납부 및 상기 외상부와 상기 외측부에 의해 형성된 하부 수납부를 포함하는 코일 프레임 및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부와 접촉하는 차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금속 재질인 코일 장치;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에 연결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상기 하부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차폐재의 하단에 배치되며 구리 재질인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율적인 열 개선이 가능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형의 방열부재를 이용하여 코일 장치의 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코일 프레임을 이용하여 코일 장치의 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이 증가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 개선이 되어 무선 전력 충전 효율을 증가시키는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차폐재에 방열부재가 배치된 모습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에서 방열부재의 종류에 따른 방열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가 설치되는 코일 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코일 장치가 도 9의 마운트에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코일 장치가 설치되는 코일 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코일 장치가 도 12의 마운트에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차폐재에 방열부재가 배치된 모습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에서 방열부재의 종류에 따른 방열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가 설치되는 코일 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코일 장치가 도 9의 마운트에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코일 장치가 설치되는 코일 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코일 장치가 도 12의 마운트에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 "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 "전(앞) 또는 후(뒤) "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상에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기, 송신단, 송신기, 송신 장치, 송신측,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전송기, 무선충전장치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대한 표현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수신 단말기, 수신측, 수신 장치, 수신기 단말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패드 형태, 거치대 형태, AP(Access Point) 형태, 소형 기지국 형태, 스텐드 형태, 천장 매립 형태, 벽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통상적으로 책상이나 탁자 위 등에서 놓여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으로도 개발되어 적용되어 차량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player, 전동 칫솔, 전자 태그, 조명 장치, 리모콘, 낚시찌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장착되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 기기(이하, "디바이스"라 칭함.)라면 족하고, 단말 또는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차량, 무인 항공기, 에어 드론 등에도 탑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구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 전자기 공진 방식,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Air Fuel Alliance(구 PMA, 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Air Fuel Alliance(구 A4WP, 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 기구에서 정의된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밴드 통신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인밴드 통신, BLE 통신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주파수 변조 방식, 위상 변조 방식, 진폭 변조 방식, 진폭 및 위상 변조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 코일을 통해 유도된 전류를 소정 패턴으로 ON/OFF 스위칭하여 궤환 신호(feedback signal)를 생성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기에 각종 제어 신호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수신 전력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수신 전력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효율 또는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은 크게 무선으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 전력 송신단(10), 상기 송출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단(20) 및 수신된 전력을 공급 받는 전자기기(3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상이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대역외(Out-of-band)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는 서로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단 사이에 교환되는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는 후술할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인밴드 통신 및 대역외 통신은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방향 통신 또는 반이중 방식의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방향 통신은 무선 전력 수신단(20)이 무선 전력 송신단(10)으로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송신단(10)이 무선 전력 수신단(20)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반이중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수신단(20)과 무선 전력 송신단(1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은 가능하나, 어느 한 시점에 어느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만 정보 전송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전자 기기(3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기기(30)의 상태 정보는 현재 전력 사용량 정보, 실행중인 응용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CPU 사용량 정보,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배터리 출력 전압/전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 기기(30)로부터 획득 가능하고, 무선 전력 제어에 활용 가능한 정보이면 족하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크게, 전력 변환부(210), 전력 전송부(220), 통신부(230), 제어부(240), 센싱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구성은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변환부(210)는 전원부(26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이를 소정 세기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210)는 DC/DC 변환부(211), 증폭기(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C/DC 변환부(211)는 전원부(260)로부터 공급된 DC 전력을 제어부(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세기의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250)는 DC 변환된 전력의 전압/전류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50)는 과열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240)는 센싱부(250)에 의해 측정된 전압/전류 값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전원부(25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증폭기(212)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210)의 일측에는 전원부(2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증폭기(212)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소정 전력 차단 회로가 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증폭기(212)는 DC/DC 변환된 전력의 세기를 제어부(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40)는 통신부(230)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 정보 또는(및) 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전력 수신 상태 정보 또는(및) 전력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증폭기(212)의 증폭률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수신 상태 정보는 정류기 출력 전압의 세기 정보, 수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력 제어 신호는 전력 증가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 전력 감소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송부(220)는 다중화기(221)(또는 멀티플렉서), 송신 코일(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부(220)는 전력 전송을 위한 특정 동작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반송파 생성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반송파 생성기는 다중화기(221)를 통해 전달 받은 증폭기(212)의 출력 DC 전력을 특정 주파수를 갖는 AC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특정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반송파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교류 신호가 다중화기(221)의 출력단에 믹싱되어 교류 전력이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예는 증폭기(212) 이전단 또는 이후단에 믹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전송부(220)는 증폭기(212)의 출력 전력이 송신 코일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다중화기(221)와 복수의 송신 코일(222)-즉,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연결된 경우, 송신 코일 별 시분할 다중화를 통해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200)에 3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즉, 제1 내지 3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각각 3개의 서로 다른 송신 코일-즉, 제1 내지 3 송신 코일-을 통해 식별된 경우, 제어부(240)는 다중화기(221)를 제어하여, 특정 타임 슬롯에 특정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이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송신 코일 별 할당된 타임 슬롯의 길이에 따라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되는 전력의 양이 제어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예는 송신 코일 별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의 증폭기(212) 증폭률을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222)을 통해 감지 신호가 순차적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다중화기(22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감지 신호가 전송될 시점을 타이머(255)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감지 신호 전송 시점이 도래하면, 다중화기(221)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감지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타이머(250)는 핑 전송 단계 동안 소정 주기로 특정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240)에 송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240)는 해당 이벤트 신호가 감지되면, 다중화기(221)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디지털 핑이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복조부(232)로부터 어느 송신 코일을 통해 신호 세기 지시자(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수신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 및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연이어, 제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에서 제어부(2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들)을 통해서만 감지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다중화기(2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제어부(2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이 복수개인 경우, 가장 큰 값을 갖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을 제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에서 감지 신호를 가장 먼저 송출할 송신 코일로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다중화기(2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변조부(231)는 제어부(24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다중화기(221)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방식은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 맨체스터 코딩(Manchester Coding) 변조 방식, PSK(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차등 2단계(Differential bi-phase) 변조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조부(232)는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2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조된 신호에는 신호 세기 지시자, 무선 전력 전송 중 전력 제어를 위한 오류 정정(EC: Error Correction) 지시자, 충전 완료(EOC: End Of Charge) 지시자, 과전압/과전류/과열 지시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각종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조부(232)는 복조된 신호가 어느 송신 코일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송신 코일에 상응하는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를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 세기 지시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송신 코일(222)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송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 코일(222)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와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송신 코일(222)-즉,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에 각각 대응되는 별도의 코일을 추가로 구비하고,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상이 도 2의 설명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와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양방향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RFID 통신, UWB 통신, 지그비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송신 코일(222)은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14의 코일 장치일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300)는 수신 코일(310), 정류기(320),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330), 부하(340), 센싱부(350), 통신부(360), 주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60)는 복조부(361) 및 변조부(36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도 3의 예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300)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60)는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코일(310)을 통해 수신되는 AC 전력은 정류부(320)에 전달할 수 있다. 정류기(320)는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직류 변환기(330)에 전송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330)는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부하(340)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세기로 변환한 후 부하(3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은 복수의 수신 코일(미도시)-즉, 제1 내지 제n 수신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수신 코일(미도시)에 전달되는 AC 전력의 주파수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다른 일 실시예는 LC 공진 특성을 수신 코일마다 상이하게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 주파수 제어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수신 코일 별 공진주파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특히, 수신 코일(310)은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14의 코일 장치일 수 있다.
센싱부(350)는 정류기(320)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주제어부(37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350)는 무선 전력 수신에 따라 수신 코일(3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주제어부(37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350)는 무선 전력 수신기(3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값을 주제어부(37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제어부(370)는 측정된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가 소정 기준치와 비교하여 과전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과전압이 발생된 경우, 과전압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패킷을 생성하여 변조부(362)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362)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수신 코일(310) 또는 별도의 코일(미도시)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370)는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 신호 수신 시, 해당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변조부(362)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복조부(361)는 수신 코일(310)과 정류기(320) 사이의 AC 전력 신호 또는 정류기(320) 출력 DC 전력 신호를 복조하여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식별한 후 식별 결과를 주제어부(37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주제어부(370)는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변조부(36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차폐재에 방열부재가 배치된 모습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송신 코일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코일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도되는 기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코일을 이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코일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복수의 송신 코일이거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복수의 수신 코일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은 동일한 턴 수로 감겨 있을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턴 수로 감겨 있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은 동일한 인덕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코일은 제1 코일(410) 내지 제3 코일(4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제2 코일(420)과 제3 코일(430)은 동일한 층에 배치된 제1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410)은 제2 코일(420)과 제3 코일(430)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복수의 코일을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하여 무선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충전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은 각각 교류신호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은 피복으로 코팅된 전선 또는 케이블일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부는 수커넥터(800)의 연결핀(820)과 솔더링 공정(a)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410)은 제1-1 연결부(411) 및 제1-2 연결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연결부(411)는 제1 코일(410)의 외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2 연결부(412)는 제1 코일(410)의 내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1 연결부(411)가 제1 코일(410)의 내측 코일선에서 연장되고, 제1-2 연결부(412)가 제1 코일(410)의 외측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코일(420)은 제2-1 연결부(421) 및 제2-2 연결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연결부(421)는 제2 코일(420)의 외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2 연결부(422)는 제2 코일(420)의 내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1 연결부(421)가 제2 코일(420)의 내측 코일선에서 연장되고, 제2-2 연결부(422)가 제2 코일(420)의 외측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코일(430)은 제3-1 연결부(431) 및 제3-2 연결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연결부(431)는 제3 코일(430)의 내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2 연결부(432)는 제3 코일(430)의 외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3-1 연결부(431)가 제3 코일(430)의 외측 코일선에서 연장되고, 제3-2 연결부(432)가 제3 코일(430)의 내측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의 각 제1 및 제2 연결선은 코일장치의 일 측면의 동일한 방향으로 각 코일에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코일의 각 제1 및 제2 연결선은 코일 프레임(500)의 일측에 배치된 케이블 출입부(550)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출입홀(551)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410)의 제1-1 연결부(411) 및 제1-2 연결부(412), 제2 코일(420)의 제2-1 연결부(421) 및 제2-2 연결부(422) 및 제3 코일(430)의 제3-1 연결부(431) 및 제3-2 연결부(432)는 각각이 코일 프레임(500)의 일측에 배치된 케이블 출입부(550)의 복수의 출입홀(551) 각각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는 코일 프레임(50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 프레임(500)은 코일이 배치되는 상부 수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수납부(520)는 코일 프레임(500)의 외상부(5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수납부(520)는 개구, 부분적인 개구 또는 리세스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부분적인 개구 형상의 상부 수납부(520)는 제1 코일(4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납부(520)가 부분적인 개구 형상일 경우, 상부 수납부(520)는 개구되지 않는 영역에 코일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 지지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 형상의 상부 수납부(520)에 삽입 배치된 제1 코일(410)은 코일 지지부(521)의 상면에 접촉하고 지지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500)은 하부 수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수납부(530)는 코일 프레임(500)의 외상부(510)와 외측부(5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수납부(520)는 하나 이상의 코일, 차폐재(600), 방열부재(700) 또는 수커넥터(800)를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하부 수납부(530)는 제2 코일(420)과 제3 코일(430)이 동일 층에 배치되고, 차폐재(600)가 제2 코일(420) 및 제3 코일(430)의 하층에 배치되고, 방열부재(700)와 수커넥터(700)가 차폐재(600)의 하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500)은 코일 프레임 고정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프레임 고정부(54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코일 프레임 고정부(540)는 코일 프레임(50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 프레임 고정부(540)는 코일이 배치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코일 마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코일 프레임 고정홀(54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일 장치를 코일 마운트에 실장 또는 설치하기 위하여 나사, 볼트와 너트 또는 고정 막대기 등을 코일 프레임 고정홀(541)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500)은 케이블 출입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출입부(550)는 코일 프레임(500)의 외측부(51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출입부(550)는 복수의 출입홀(55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출입홀(551)은 복수의 코일의 연결부와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코일의 연결부가 통과하여 수커넥터(800)의 연결핀(820)에 연결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차폐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재(600)는 코일 프레임(500)의 하부 수납부(530)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600)는 복수의 코일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600)는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코일에서 발생된 무선 전력을 충전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고, 코일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각종 회로들을 전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방열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재(700)는 코일 프레임(500)의 하부 수납부(530)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700)는 차폐재(6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700)는 복수의 코일에서 발생된 열이 차폐재(600)를 통해 전달되면 코일장치의 외부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방열부재(700)는 열 전도율 또는 열 방사율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열부재(700)는 알루미늄(Al) 시트, 구리(Cu) 시트 및 구리(Cu)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방열부재(700)가 알루미늄(Al) 시트일 경우, 방열부재(700)는 두께가 0.9mm이상에서 1.1mm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과 같이 방열부재(700)는 구리(Cu) 시트일 수 있다. 구리(Cu) 시트의 방열부재(700)는 두께가 0.4mm이상에서 0.6mm이하일 수 있다. 즉, 구리(Cu) 시트의 방열부재(700)는 알루미늄(Al) 시트의 방열부재(700)보다 두께가 얇으므로 코일장치를 보다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방열부재(700)는 구리(Cu) 테이프일 수 있다. 구리(Cu) 테이프의 방열부재(700)는 두께가 0.09mm이상 0.11mm이하일 수 있다. 즉, 구리(Cu) 테이프의 방열부재(700)는 구리(Cu) 시트의 방열부재(700)보다 두께가 더욱 얇을 수 있다. 그러나, 구리(Cu) 테이프의 방열부재(700)는 구리(Cu) 시트의 방열부재(700)보다 열방출 효율이 저조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재(700)는 차폐재(600)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재(700)는 차폐재(600)의 형상과 대응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구리(Cu) 시트의 방열 부재(700)가 차폐재에 배치된 모습이다. 구리(Cu) 시트의 방열 부재(700)는 차폐재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방열부재(700)는 복수의 코일에서 차폐재(600)로 전달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수커넥터(8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커넥터(800)는 기판(810)과 복수의 연결핀(8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810)는 코일 프레임(500)의 하부 수납부(53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810)은 차폐재(600) 하단에 배치되고, 방열부재(700)와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810)은 코일 프레임(500)의 케이블 출입부(55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기판(810)은 리지드할 수 있다. 리지드한 기판(810)은 연결핀(820)을 외부장치와 연결할 때 연결핀(820)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핀(820)은 각각이 기판(810)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핀(820)은 코일 프레임(500)의 케이블 출입부(550)의 복수의 출입홀(551)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핀(820)은 일측 각각이 복수의 코일의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측 각각이 기판(81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에서 방열부재의 종류에 따른 방열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코일 장치의 충전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점선의 경우, 방열부재(700)가 알루미늄(Al) 시트일 경우의 온도변화이다. 실선의 경우, 방열부재(700)가 구리(Cu) 시트일 경우의 온도변화이다. 알루미늄(Al) 시트와 구리(Cu) 시트를 비교하면, 구리(Cu) 시트가 온도가 더 낮으므로 구리(Cu) 시트의 열 방출효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리(Cu) 시트는 알루미늄(Al) 시트보다 두께가 얇고 열 개선 효율이 더 높다.
따라서, 일 실시예는 효율적인 열개선이 가능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박형의 방열부재를 이용하여 코일 장치의 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열 개선이 되어 무선 전력 충전 효율을 증가시키는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송신 코일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코일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도되는 기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코일을 이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코일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복수의 송신 코일이거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복수의 수신 코일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은 동일한 턴 수로 감겨 있을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턴 수로 감겨 있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은 동일한 인덕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코일은 제1 코일(410) 내지 제3 코일(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420)과 제3 코일(430)은 동일한 층에 배치된 제1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410)은 제2 코일(420)과 제3 코일(430)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복수의 코일을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하여 무선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충전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은 각각 교류신호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은 피복으로 코팅된 전선 또는 케이블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는 수커넥터(800)의 연결핀(820)과 솔더링 공정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410)은 제1-1 연결부(411) 및 제1-2 연결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연결부(411)는 제1 코일(410)의 외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2 연결부(412)는 제1 코일(410)의 내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1 연결부(411)가 제1 코일(410)의 내측 코일선에서 연장되고, 제1-2 연결부(412)가 제1 코일(410)의 외측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코일(420)은 제2-1 연결부(421) 및 제2-2 연결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연결부(421)는 제2 코일(420)의 외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2 연결부(422)는 제2 코일(420)의 내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1 연결부(421)가 제2 코일(420)의 내측 코일선에서 연장되고, 제2-2 연결부(422)가 제2 코일(420)의 외측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코일(430)은 제3-1 연결부(431) 및 제3-2 연결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연결부(431)는 제3 코일(430)의 내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2 연결부(432)는 제3 코일(430)의 외측에 배치된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3-1 연결부(431)가 제3 코일(430)의 외측 코일선에서 연장되고, 제3-2 연결부(432)가 제3 코일(430)의 내측 코일선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의 각 제1 및 제2 연결선은 코일장치의 일 측면의 동일한 방향으로 각 코일에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코일의 각 제1 및 제2 연결선은 코일 프레임(1500)의 일측에 배치된 케이블 출입부(1550)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출입홀(1551)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410)의 제1-1 연결부(411) 및 제1-2 연결부(412), 제2 코일(420)의 제2-1 연결부(421) 및 제2-2 연결부(422) 및 제3 코일(430)의 제3-1 연결부(431) 및 제3-2 연결부(432)는 각각이 코일 프레임(1500)의 일측에 배치된 케이블 출입부(1550)의 복수의 출입홀(1551) 각각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는 코일 프레임(150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 프레임(1500)은 제1 영역(1511)과 제2 영역(1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511)은 외상부(510)의 일부 영역이고, 복수의 코일과 대응한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1511)은 하부 수납부(1530)에 배치된 복수의 코일의 자기장 신호가 통과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511)의 재질은 PET일 수 있다. 제2 영역(1513)은 제1 영역(1512)을 제외한 외상부(510)의 일부 영역과 외측부(512)일 수 있다. 제2 영역(1513)은 하부 수납부(1530)에 배치된 차폐재(60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영역(1511)은 복수의 코일(410 내지 430)에서 발생된 열이 차폐재(600)로 전달되면 차폐재(600)의 열을 코일 장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1513)은 코일 장치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열을 방출하여 코일 장치의 열 개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1512)은 열 전도율 또는 열 방사율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1513)은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질 또는 열전도율이 높은 일 수 있다. 즉, 제1 영역(1511)과 제2 영역(1513)은 서로 다른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511)과 제2 영역(151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511)과 제2 영역(1513)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1500)은 복수의 연장 날개부(156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날개부(1560)는 외측부(1512)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 날개부(1560)는 외측부(1512)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날개부(1560)은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질 또는 열전도율이 높은 일 수 있다. 연장 날개부(1560)는 외측부(15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장 날개부(1560)는 제1 내지 제3 연장 날개부(1561 내지 15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 날개부(1561)와 제2 연장 날개부(1562)는 각각 코일 프레임(1500)의 외측부(1512)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장 날개부(1563)는 케이블 출입부(1550)의 맞은편에 있는 외측부(151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연장 날개부(1563)은 제1 및 제2 연장 날개부(1561, 1562), 케이블 출입부(1550)가 배치되지 않는 외측부(1512)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장 날개부(1560)는 외측부(1512)에 전달된 열을 코일장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장 날개부(1560)는 차폐재(600)에서 외측부(1512)로 전달된 열을 외부 장치 또는 코일 마운트로 전달하여 코일 장치의 연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날개부(1560)는 코일 마운트의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코일 장치의 그라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연장 날개부(1560)는 코일 마운트와 결합하여 코일 장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날개부(1560)는 외측부(1512)와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고, 연장 날개부(1560)는 외측부(1512)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날개부(1560)의 형상은 사각, 삼각, 반원형, 타원, 사다리꼴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연장 날개부(156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부(1561 내지 1563)는 형상이 서로 동일할 수 잇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연장 날개부(1561 내지 1563)는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부(1560)는 크기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배치된 위치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1500)은 코일이 배치되는 상부 수납부(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수납부(1520)는 코일 프레임(1500)의 외상부(1510)의 제1 영역(15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수납부(1520)는 개구, 부분적인 개구 또는 리세스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부분적인 개구 형상의 상부 수납부(1520)는 제1 코일(4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납부(1520)가 부분적인 개구 형상일 경우, 상부 수납부(1520)는 개구되지 않는 영역에 코일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 지지부(15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 형상의 상부 수납부(1520)에 삽입 배치된 제1 코일(410)은 코일 지지부(1521)의 상면에 접촉하고 지지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1500)은 하부 수납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수납부(1530)는 코일 프레임(1500)의 외상부(1510)와 외측부(15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수납부(1520)는 하나 이상의 코일, 차폐재(600) 또는 수커넥터(800)를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하부 수납부(1530)는 제2 코일(420)과 제3 코일(430)이 동일 층에 배치되고, 차폐재(600)가 제2 코일(420) 및 제3 코일(430)의 하층에 배치되고, 수커넥터(700)가 차폐재(600)의 하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1500)은 코일 프레임 고정부(154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프레임 고정부(154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코일 프레임 고정부(1540)는 코일 프레임(150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 프레임 고정부(1540)는 제2 영역(1513)과 외측부(151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프레임 고정부(1540)는 제2 영역(1513)과 외측부(15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 고정부(1540)는 코일이 배치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코일 마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코일 프레임 고정홀(154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일 장치를 코일 마운트에 실장 또는 설치하기 위하여 나사, 볼트와 너트 또는 고정 막대기 등을 코일 프레임 고정홀(1541)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1500)은 케이블 출입부(15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출입부(1550)는 코일 프레임(1500)의 외측부(151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출입부(1550)는 복수의 출입홀(155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출입홀(1551)은 복수의 코일의 연결부와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코일의 연결부가 통과하여 수커넥터(800)의 연결핀(820)에 연결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차폐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재(600)는 코일 프레임(1500)의 하부 수납부(1530)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600)는 복수의 코일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600)는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코일에서 발생된 무선 전력을 충전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고, 코일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각종 회로들을 전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수커넥터(8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커넥터(800)는 기판(810)과 복수의 연결핀(8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810)는 코일 프레임(1500)의 하부 수납부(153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810)은 차폐재(600)의 하단에 배치 될 수 있다. 또한, 기판(810)은 코일 프레임(1500)의 케이블 출입부(155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기판(810)은 리지드할 수 있다. 리지드한 기판(810)은 연결핀(820)을 외부장치와 연결할 때 연결핀(820)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핀(820)은 각각이 기판(810)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핀(820)은 코일 프레임(1500)의 케이블 출입부(1550)의 복수의 출입홀(1551)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핀(820)은 일측 각각이 복수의 코일의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측 각각이 기판(81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는 효율적인 열 개선이 가능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의 코일 프레임을 이용하여 코일 장치의 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내구성이 증가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열 개선이 되어 무선 전력 충전 효율을 증가시키는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가 설치되는 코일 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코일 장치가 도 9의 마운트에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코일 마운트(2000)는 코일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코일 마운트(2000)는 코일 장치의 외부 구성일 수 있다. 코일 마운트(2000)는 코일 장치가 실장 또는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코일 마운트(2000)는 복수의 연장 날개 결합부(2011 내지 2013) 또는 암커넥터(20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마운트(2000)는 리지드한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마운트(2000)는 PCB일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날개 결합부(2011 내지 2013)은 연장 날개부(156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 결합부(2011 내지 2013)은 슬릿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 결합부(2011 내지 2013)는 홈, 홀 또는 리세스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 결합부(2011 내지 2013)는 도 8의 코일 프레임(1500)의 복수의 연장 날개부(1560)와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날개 결합부(2011 내지 2013)는 복수의 연장 날개부(1561 내지 1563)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 결합부(2011 내지 2013)는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 결합부(2011 내지 2013)은 연장 날개부(1560)에서 전달된 열을 냉각 시킬 수 있다.
암커넥터(2020)는 도 8의 수커넥터(800)와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암커넥터(2020)는 수커넥터(800)의 복수의 연결핀(820)과 각각 대응한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가 코일 마운트(2000)에 설치된 모습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장 날개부(1561)는 제1 연장 날개 결합부(2011)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제2 연장 날개부(1562)는 제2 연장 날개 결합부(2012)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제3 연장 날개부(1563)는 제3 연장 날개 결합부(2013)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수커넥터(800)의 복수의 연결핀(820)이 암커넥터(2020)의 복수의 연결홈(2021)에 대응하여 삽입되어 결합한다. 이에, 암커넥터(2020)와 연결된 전원 구성을 수커넥터(800)와 연결할 수 있다.
코일 프레임 고정부(1540)의 고정홀(1541)에 고정나사를 삽입하여 코일 장치를 코일 마운트(2000)에 일체화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하부 평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송신 코일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코일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도되는 기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코일을 이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8의 다른 실시예의 연장 날개부(1560)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다. 이하 도 8의 다른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장 날개부(1570)는 외측부(1512)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날개부(1570)은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질 또는 열전도율이 높은 일 수 있다. 연장 날개부(1570)는 외측부(15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장 날개부(1570)는 제1 내지 제3 연장 날개부(1571 내지 15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 날개부(1571)와 제2 연장 날개부(1572)는 각각 코일 프레임의 외측부(1512)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장 날개부(1573)는 수커넥터(800)가 배치되는 외측부(1512)의 맞은편에 있는 외측부(151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연장 날개부(1573)은 제1 및 제2 연장 날개부(1571, 1562), 수커넥터(800)가 배치되지 않는 외측부(1512)배치될 수 있다.
연장 날개부(1570)는 차폐재(6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장 날개부(1570)는 차폐재(600)의 하단에 접촉하고 차폐재(6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연장 날개부(1570)는 차폐재(600)의 열을 전달 받아 열을 방출 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날개부(1570)는 코일 프레임의 상부 수납부 내에 있는 구성인 복수의 코일과 차폐재(6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장 날개부(1570)에 의하여 코일장치의 내구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제1 연장 날개부(1571)는 일 외측부(512)의 하단에서 차폐재(6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차폐재(600)의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연장 날개부(1572)는 다른 외측부(512)의 하단에서 차폐재(6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차폐재(600)의 다른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영역 날개부(1573)은 또 다른 외측부(512)의 하단에서 차폐재(6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차폐재(600)의 또 다른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날개부(1570)는 코일 마운트의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코일 장치의 그라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연장 날개부(1560)는 외측부(1512)와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고, 연장 날개부(1560)는 외측부(1512)보다 두께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연장 날개부(1570)의 형상은 사각, 삼각, 반원형, 타원, 사다리꼴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연장 날개부(156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부(1571 내지 1573)는 형상이 서로 동일할 수 잇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연장 날개부(1571 내지 1573)는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부(1570)는 크기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배치된 위치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코일 장치가 설치되는 코일 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코일 장치가 도 12의 마운트에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코일 마운트(3000)는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코일 마운트(3000)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외부 구성일 수 있다. 코일 마운트(3000)는 코일 장치가 실장 또는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코일 마운트(3000)는 복수의 연장 날개 단자부(3011 내지 3013) 또는 암커넥터(30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마운트(3000)는 리지드한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마운트(3000)는 PCB일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날개 단자부(3011 내지 3013)는 도 11의 코일 프레임의 복수의 연장 날개부(1570)와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 날개 단자부(3011 내지 3013)는 복수의 연장 날개부(1571 내지 1573)가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 단자부(3011 내지 3013)은 효율적인 열 전달 또는 신호 전달을 위하여 복수의 연장날개부(1571 내지 1573)에 각각 대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 단자부(3011 내지 3013)는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 날개 단자부(3011 내지 3013)은 복수의 연장 날개부(1570)에서 전달된 열을 냉각 시킬 수 있다.
암커넥터(3020)는 도 11의 수커넥터(800)와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암커넥터(3020)는 수커넥터(800)의 복수의 연결핀(820)과 각각 대응한 연결홈(30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가 코일 마운트(3000)에 설치된 모습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장 날개부(1571)는 제1 연장 날개 단자부(3011)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제2 연장 날개부(1572)는 제2 연장 날개 단자부(3012)에 접촉하여 배치한다. 제3 연장 날개부(1573)는 제3 연장 날개 단자부(3013)에 접촉하여 배치한다.
수커넥터(800)의 복수의 연결핀(820)이 암커넥터(3020)의 복수의 연결홈(3021)에 대응하여 삽입되어 결합한다. 이에, 암커넥터(3020)와 연결된 전원 구성을 수커넥터(800)와 연결할 수 있다.
코일 프레임 고정부(1540)의 고정홀(1541)에 고정나사를 삽입하여 코일 장치를 코일 마운트(3000)에 일체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는 효율적인 열 개선이 가능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의 코일 프레임을 이용하여 코일 장치의 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내구성이 증가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열 개선이 되어 무선 전력 충전 효율을 증가시키는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송신 코일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코일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도되는 기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코일을 이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8의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된 방열 부재를 제외하고 구성이 동일하다. 이하 도 8의 다른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방열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재(700)는 코일 프레임(1500)의 하부 수납부(1530)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700)는 차폐재(6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700)는 복수의 코일에서 발생된 열이 차폐재(600)를 통해 전달되면 코일장치의 외부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방열부재(700)는 열 전도율 또는 열 방사율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열부재(700)는 알루미늄(Al) 시트, 구리(Cu) 시트 및 구리(Cu)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방열부재(700)가 알루미늄(Al) 시트일 경우, 방열부재(700)는 두께가 0.9mm이상에서 1.1mm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방열부재(700)는 구리(Cu) 시트일 수 있다. 구리(Cu) 시트의 방열부재(700)는 두께가 0.4mm이상에서 0.6mm이하일 수 있다. 즉, 구리(Cu) 시트의 방열부재(700)는 알루미늄(Al) 시트의 방열부재(700)보다 두께가 얇으므로 코일장치를 보다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방열부재(700)는 구리(Cu) 테이프일 수 있다. 구리(Cu) 테이프의 방열부재(700)는 두께가 0.09mm이상 0.11mm이하일 수 있다. 즉, 구리(Cu) 테이프의 방열부재(700)는 구리(Cu) 시트의 방열부재(700)보다 두께가 더욱 얇을 수 있다. 그러나, 구리(Cu) 테이프의 방열부재(700)는 구리(Cu) 시트의 방열부재(700)보다 열방출 효율이 저조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재(700)는 차폐재(600)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재(700)는 차폐재(600)의 형상과 대응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Cu) 시트의 방열 부재(700)가 차폐재에 배치된 모습이다. 구리(Cu) 시트의 방열 부재(700)는 차폐재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방열부재(700)는 복수의 코일에서 차폐재(600)로 전달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는 효율적인 열 개선이 가능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 실시예는 박형의 방열부재를 이용하여 코일 장치의 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의 코일 프레임을 이용하여 코일 장치의 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내구성이 증가된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열 개선이 되어 무선 전력 충전 효율을 증가시키는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무선 전력 송신기
20 무선 전력 수신기
410 제1 코일
420 제2 코일
430 제3 코일
500 1500 코일 프레임
550 1550 케이블 출입부
1560 연장 날개부
600 차폐재
700 방열부재
800 수커넥터
2000 3000 코일 마운트
20 무선 전력 수신기
410 제1 코일
420 제2 코일
430 제3 코일
500 1500 코일 프레임
550 1550 케이블 출입부
1560 연장 날개부
600 차폐재
700 방열부재
800 수커넥터
2000 3000 코일 마운트
Claims (10)
- 복수의 코일;
상기 복수의 코일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코일에 대응하는 제1 재질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재질과 다른 제2 재질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코일 프레임; 및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 아래에 배치되는 차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재질은 금속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차폐재와 접촉하는 코일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차폐재 아래에 배치된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코일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프레임은,
상기 코일 프레임의 외측부의 하단에서 하측 방향 또는 상기 차폐재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 날개부를 포함하는, 코일 장치 - 차폐재;
상기 차폐재 상에 배치된 제1 코일;
상기 차폐재와 상기 제1 코일 사이에 배치된 제2 코일과 제3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을 수납하는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을 수납하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는 코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프레임은 측부에 배치된 복수의 연장 날개부를 포함하는 코일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 날개부와 상기 제2 영역은 동일한 재질인 코일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 날개부는
상기 코일 프레임의 서로 다른 외측부의 하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코일 장치. - 제1 내지 제3 코일, 상기 제1 코일을 수납하는 제1 수납부와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을 수납하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는 코일 프레임, 및 상기 코일 프레임의 제2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2 및 제3 코일 아래에 배치되는 차폐재를 포함하는 코일 장치;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장치는,
상기 코일 프레임의 외측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차폐재와 접촉하는 금속 물질의 복수의 연장 날개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차폐재 아래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장치가 실장되는 코일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장 날개부는,
상기 코일 프레임의 외측부의 하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코일 마운트는,
상기 복수의 연장 날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장치가 실장되는 코일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장 날개부는,
상기 코일 프레임의 외측부의 하단에서 상기 차폐재와 수직으로 중첩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코일 마운트는,
상기 복수의 연장 날개부와 접촉하는 복수의 연장 날개 단자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8283A KR102357766B1 (ko) | 2017-03-06 | 2017-03-06 |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
PCT/KR2018/002579 WO2018164430A1 (ko) | 2017-03-06 | 2018-03-05 | 코일 장치 |
CN201880028918.3A CN110603641B (zh) | 2017-03-06 | 2018-03-05 | 线圈装置 |
US16/491,443 US11532423B2 (en) | 2017-03-06 | 2018-03-05 | Coi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8283A KR102357766B1 (ko) | 2017-03-06 | 2017-03-06 |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1842A KR20180101842A (ko) | 2018-09-14 |
KR102357766B1 true KR102357766B1 (ko) | 2022-02-04 |
Family
ID=6359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8283A KR102357766B1 (ko) | 2017-03-06 | 2017-03-06 |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7766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8771B1 (ko) * | 2012-08-07 | 2014-03-03 | (주)디팜스 | 무선충전기용 tx 3코일 덮개 |
KR101690500B1 (ko) * | 2015-07-20 | 2016-12-28 | 주식회사 아모센스 | 무선전력 송신모듈 |
-
2017
- 2017-03-06 KR KR1020170028283A patent/KR10235776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1842A (ko) | 2018-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17382B2 (en) | Coil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same | |
KR102225425B1 (ko) |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
KR20190115573A (ko) | 무선충전장치 | |
KR20200118993A (ko) |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 | |
KR102357766B1 (ko) |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 |
KR20190007321A (ko) |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
KR20190017145A (ko) | 무선충전장치 케이스 | |
KR102338933B1 (ko) | 코일 장치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 |
KR20190035068A (ko) |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송신기 | |
US11532423B2 (en) | Coil device | |
KR20200125130A (ko) | 무선충전장치 | |
KR20190074767A (ko) | 무선통신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
KR20190114090A (ko) |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
KR102420942B1 (ko) |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
KR20190076462A (ko) | 무선충전장치 | |
KR20190061617A (ko) | 무선통신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
KR20190118000A (ko) |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
KR20190001161A (ko) |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
KR20190118297A (ko) |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
KR20190015777A (ko) | 무선충전장치 케이스 | |
KR20200076304A (ko) |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 | |
KR20180099233A (ko) | 무선 충전 장치 | |
KR20190044280A (ko) | 코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
KR20180011606A (ko) |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 |
KR20190113347A (ko) |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