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45151B1 - 화장재 - Google Patents

화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151B1
KR102345151B1 KR1020187034371A KR20187034371A KR102345151B1 KR 102345151 B1 KR102345151 B1 KR 102345151B1 KR 1020187034371 A KR1020187034371 A KR 1020187034371A KR 20187034371 A KR20187034371 A KR 20187034371A KR 102345151 B1 KR102345151 B1 KR 102345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ss
layer
adjusting layer
glossiness
mat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780A (ko
Inventor
에이이치 히가시카와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4114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3451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5/00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05D5/061Special surface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2Gloss-re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38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 D21H19/40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80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 D21H19/82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superpose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80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 D21H19/82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superposed
    • D21H19/822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superposed two superposed coatings, both being pigmente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5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orm
    • D21H21/52Additives of definite length or shap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10T428/24876Intermediate layer contains particulate material [e.g., pigment,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로부터 관찰하여도, 광택의 차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감이 변화되기 어려운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장재(1)에서는, 제1 광택 조정층(5)과 제2 광택 조정층(6) 중,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에, 입경이 층 두께의 1.0배 이상인 소광제를 첨가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광택 조정층의 표면에 충분한 요철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도 광택도가 상승하지 않아, 저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경사로부터 관찰하여도, 광택의 차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감이 변화되기 어려운 화장재(1)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 창호, 가구 등의 표면 화장 등에 사용하기 위한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의 광택차에 의해 요철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건축물의 내외장, 창호, 가구 등의 표면 화장 등에 사용되는 화장재에는, 나뭇결 무늬나 돌결 무늬 등의 원하는 무늬 모양이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간단히 나뭇결 무늬나 돌결 무늬 등의 무늬 모양을 평면적으로 표현할 뿐만 아니라, 천연의 목재나 석재가 갖는 표면의 요철감을 함께 입체적으로 표현한 화장재도, 고급감이 원해지는 용도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화장재의 표면에 평면적인 무늬 모양과 함께 입체적인 요철감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각종 방법이 고안되어, 목적에 따라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화장재의 표면에 실제로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의 표면의 광택 상태(구체적으로는 광택도)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인간의 눈의 착각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요철의 입체감을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실제로는 요철 형상이 존재하지 않아도, 인간의 눈에는 상대적으로 광택이 높은 부분은 볼록부, 광택이 낮은 부분은 오목부로서 인식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오목부 모양을 포함하는 적당한 모양이 인쇄된 기재의 인쇄면의 전체면에, 광택이 낮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 도료층을 형성한 후, 형성한 합성 도료층의 표면의 오목부 모양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광택이 높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 도료층을 형성한다. 물론, 광택의 고저의 관계를 역전시키면, 요철의 관계를 역전시킨 화장재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특수한 약제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광택이 다른 2종류의 도료를 준비하는 것만으로, 어떠한 기재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입체적인 요철감을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광택이 다른 합성 도료층의 형성은, 무늬 모양(무늬 잉크층)의 형성에 이어서 그라비아 인쇄법 등의 관용의 인쇄법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특수 설비는 일절 불필요하여 생산 능률도 높고, 무늬 모양과의 동조도 용이하다. 또한, 합성 도료층의 두께는 표현하고자 하는 요철의 고저차와 비교하면 매우 얇게 되므로, 수지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는 것 외에도, 가요성의 면에서도 유리하여, 절곡 가공 적성이 우수한 화장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화장재의 표면에 큰 요철이 없으므로, 오목부에 오염물이 머무르는 일도 없다는 이점도 있다.
이러한 많은 이점을 감안하여, 이 방법을 채용한 화장재는 이미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고급감의 점에서는 아직 실제로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을 능가하는 데에 이르지는 못한 것이 실정이다. 그 이유를 고찰하기 위해, 예를 들어 기계식 엠보싱법에 의하면, 천연목의 도관 등의 요철 형상을, 도관 등의 단면 형상까지 포함하여 충실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광택이 다른 2종류의 도료를 사용한 이 방법에서는, 표면의 광택의 단계는 2종류이기 때문에, 표현할 수 있는 요철의 단계도 2종류가 된다. 따라서, 천연목의 도관 등과 같이, 깊이(높이)가 연속적으로 변화된 경사면부를 갖는 요철 형상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근년, 깊이가 연속적으로 변화된 경사면부를 갖는 요철 형상을 표현하는 합성 도료층(이하, 「광택 조정층」이라고도 칭함)을 설치함으로써, 천연목의 도관 등과 같이, 경사면부를 갖는 요철 형상을 표현 가능한 화장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3629964호 공보
여기서, 광택 조정층의 광택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바인더로서의 투명 수지 중에 광택 조정제(소광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광택 조정제로서는, 무기 재료 또는 유기 재료의 미립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무기 재료의 미립자(특히 실리카 미립자)는 소광능이 높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광택 조정제를 첨가함으로써, 광택 조정제가 광택 조정층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고, 이 요철이 광을 산란함으로써 소광 효과가 얻어진다. 이들 광택 조정제의 종류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요구되는 광택을 자유 자재로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나, 광택 조정제에 의해 부여되는 요철은, 광택 조정층의 두께에 비해 작고, 또한 기계식 엠보싱법에 의해 부여되는 요철에 비교하면 매우 작다. 그 때문에, 화장재 표면을 정면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는 충분한 광택의 차에 의한 요철감이 얻어졌다고 하여도, 경사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부분의 광택도가 상승해버려, 광택의 차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감이 적어져버리는 것이 문제였다. 실제로 화장재가 건축물의 내외장이나 창호, 가구 등에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로부터 화장재 표면을 관찰하게 되기 때문에, 이렇게 요철감에 각도 의존성이 발생해버림으로써, 화장재의 고급감이 크게 손상되어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경사로부터 관찰하여도, 광택의 차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감이 변화되기 어려운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의 층 두께와 첨가되는 소광제의 입경을 최적인 범위로 함으로써, 경사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의 광택 조정층의 광택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모든 각도로부터 관찰하여도, 광택의 차에 의한 요철감이 손상되지 않는 것을 알아내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 화장재는, 기재 상에 설치된 제1 광택 조정층과, 제1 광택 조정층 상에 부분적으로 설치되며, 제1 광택 조정층의 광택과 다른 광택을 갖는 제2 광택 조정층을 구비하고, 제1 광택 조정층과 제2 광택 조정층 중,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에, 입경이 그 층 두께의 1.0배 이상의 소광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화장재에 의하면,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의 층 두께와 첨가되는 소광제의 입경을 최적인 범위로 함으로써, 경사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의 광택 조정층의 광택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경사로부터 관찰하여도, 광택의 차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감이 변화되기 어려운 화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화장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변형예의 화장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장재(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각 층의 두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하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및 구조 등을 하기 것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이 규정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화장재(1)는, 기재(2) 상에 설치된 제1 광택 조정층(5)과, 제1 광택 조정층(5) 상에 부분적으로 설치되며, 제1 광택 조정층(5)의 광택과 다른 광택을 갖는 제2 광택 조정층(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 중,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에, 입경이 층 두께의 1.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배 이상의 소광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의해, 광택 조정층의 표면에 충분한 요철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광택도가 상승하지 않아, 저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재(2)와 제1 광택 조정층(5)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지 잉크층(3), 무늬 잉크층(4) 및 투명 수지층(도시하지 않음) 등, 다른 층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하지 잉크층(3)은, 예를 들어 기재(2) 상에 잉크를 솔리드 도포하여 형성한 층이어도 된다.
여기서, 층 두께란,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의 단면을 관찰하였을 때에 소광제끼리의 사이를 채우는 수지 부분의 두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광제의 입경이 층 두께의 1.1배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광제는 광택 조정층에 매립되는 일이 없고, 일부가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층 두께의 측정은, 소광제 사이의 수지 부분을 복수 개소 측장하여, 얻어진 값을 평균화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입경에 대해서는, 입자 형상이 구상이 아닌 경우에는, 입자의 단면을 타원 형상으로 하여, 그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의 평균값을 입경으로 하면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입경이란, 입자의 단면 형상을 원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가정한 경우의 평균 입경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광제의 입경을 층 두께의 1.1배 이상으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소광제의 입경이 층 두께의 1.0배여도, 소광제는 광택 조정층에 매립되는 일이 없고, 일부가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소광제의 표면이 광택 조정층을 형성하는 수지에 대하여 「습윤성」이 낮은 경우도 있고, 그 경우에는, 광택 조정층 형성 시에 당해 수지가 소광제의 표면 일부에서 튕기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소광제의 입경의 상한값은, 입경이 커짐으로써 수지 성분으로부터 탈락이 발생하기 쉬워져, 화장재에 요구되는 내마모성이나 내찰상성이 악화되어버리는 것, 또한 입경이 커짐으로써 표면 요철이 커지고, 오염 성분의 닦임성이 나빠지는 것에 의한 내오염성의 악화를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의 층 두께의 3.0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층 두께와 소광제의 입경의 관계로서는, 소광제의 입경이 층 두께의 1.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배 이상인 것이 중요하지만, 구체적인 크기에 대해서는 임의의 수치로서 상관없다. 예를 들어, 층 두께를 5㎛로 설정한 경우, 소광제의 입경은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으로 하면 된다.
소광제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공지된 소광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카, 유리, 알루미나, 탄산칼슘, 황산바륨, 아크릴 등의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은, 투명성이 높은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높은 실리카, 유리, 아크릴 등의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리카 미립자 중에서도 중실의 진구 형상 입자가 아니라, 미세한 1차 입자가 2차 응집되어 이루어지는 벌크 밀도가 낮은 소광제는 첨가량에 대한 소광 효과가 높다. 그 때문에, 이러한 소광제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광택 조정층(5)과 제2 광택 조정층(6)의 광택차를 크게 할 수 있어, 얻어지는 요철감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깊이가 있는 우수한 의장 표현이 가능해진다.
소광제의 입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수치를 선택할 수 있지만, 공지된 소광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 이상 1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 12㎛ 이하로 한다. 입경이 2㎛ 미만인 소광제는 소광 효과가 낮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요철감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입경이 15㎛보다 큰 소광제는 광의 산란이 커져버리기 때문에,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의 백탁을 초래하거나, 눈으로 보아 입자감이 커지거나 하여,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요철감이 손상되어버린다.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을 구성하는 수지 부분(수지 조성물)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아크릴실리콘계, 불소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멜라민계, 아미노알키드계, 요소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형태는 수성, 에멀션, 용제계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경화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1액 타입, 2액 타입, 자외선 경화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수지 조성물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우레탄계의 것이, 작업성, 가격, 수지 자체의 응집력 등의 관점으로부터 적합하다.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L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메틸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HTDI),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HXDI),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DI) 등의 유도체인 어덕트체, 뷰렛체 및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등의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내후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직쇄형의 분자 구조를 갖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경도가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의 이점을 조합하기 위해,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 밖에도, 표면 경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에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으로 경화되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수지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에는, 각종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등의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를 첨가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안정화제로서는 힌더드 아민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염 방지 성능이나 셀로판테이프(등록 상표) 이형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실리콘 골격을 갖는 이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형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말단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 이형제를 사용함으로써, 오염 방지 성능이나 셀로판테이프 이형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은 서로 다른 광택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광택 조정층(5)은 기재(2)의 제1 광택 조정층(5)측의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고 있으며, 제2 광택 조정층(6)은 제1 광택 조정층(5) 상의 제2 광택 조정층(6)측의 면을 부분적으로 피복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의 광택차에 의해 요철 형상이 표현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광택 조정층(5)이 기재(2)의 제1 광택 조정층(5)측의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택 조정층(5)이 기재(2)의 제1 광택 조정층(5)측의 면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 중,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에는, 소광제가 첨가되어 있다. 소광제의 첨가량은,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상 4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 30질량부 이하로 한다. 5질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소광 효과가 부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광택이 높은 광택 조정층과의 광택의 차가 작아져, 요철감이 부족해져버린다. 또한, 40질량부보다 큰 경우에는, 소광제에 대하여 수지 조성물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소광제의 탈락이나, 탈락에 의한 내찰상성의 저하를 초래해버려, 화장재(1)에 요구되는 내구성이 크게 손상되어버린다.
또한, 상대적으로 광택이 높은 광택 조정층에 있어서도, 임의의 소광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은 최종적인 요철감이나 의장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에 사용되는 소광제 및 수지 조성물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이들은 요철감 및 각종 요구 특성으로부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의 층 두께는, 임의의 수치를 선택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소광제의 입경은 2㎛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동등 정도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상 13.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은, 화장재(1)의 최표면이 되는 층이기 때문에, 화장재(1)로서 필요한 내마모성, 내찰상성, 내용제성, 내오염성 등의 표면 물성이 요구된다. 그 중에서도, 내마모성이나 내찰상성은 층 두께에 의한 영향이 있고, 층 두께가 두꺼운 쪽이 유리해진다. 따라서,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의 더욱 바람직한 층 두께는 2㎛ 이상 12㎛ 이하가 된다. 1.8㎛ 미만의 경우, 내마모성 및 내찰상성이 대폭으로 나빠지기 때문에, 화장재(1)로서의 용도가 한정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13.6㎛보다 큰 경우,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 자체의 가요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화장재(1)로서의 가공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기재(2)는 화장재(1)의 원지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박엽지, 수지 혼초지, 티타늄지, 수지 함침지, 난연지, 무기질지 등의 종이류,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 호모 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몰퍼스 상태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계 기재, 목재 단판, 돌판, 합판, 집성재, 파티클 보드, 중밀도 섬유판 등의 목질계 기재, 석고판, 시멘트판, 규산칼슘판, 도자기판 등의 무기계 기재, 철,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계 기재 또는 이들의 복합재, 적층체 등, 종래 공지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2)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필름상, 시트상, 판상, 이형 성형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2)와 제1 광택 조정층(5) 사이에는, 화장재(1)에 무늬 모양을 부가하기 위한 무늬 잉크층(4)을 설치할 수 있다. 무늬 모양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뭇결 모양, 돌결 모양, 모래결 모양, 타일 부착 모양, 벽돌 적층 모양, 옷감결 모양, 가죽결 모양, 기하학 도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무늬 잉크층(4)은 제2 광택 조정층(6)의 바로 아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광택 조정층(6)이 무늬 잉크층(4)과 겹치는 부분에만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무늬 잉크층(4)의 무늬 모양은, 제2 광택 조정층(6)의 광택과 동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무늬 잉크층(4)에 의한 의장성에, 제2 광택 조정층(6)에 의한 의장성을 부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천연목이나 천연석에 가까운 고급감이 있는 의장 표현을 가진 화장재(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광택 조정층(6)이 무늬 잉크층(4)과 겹치는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는, 즉, 무늬 잉크층(4)의 바로 윗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늬 잉크층(4)과 겹치는 부분이면 되고, 무늬 잉크층(4)의 바로 윗 부분에 더하여, 바로 위 이외의 부분의 일부에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기재(2)와 무늬 잉크층(4) 사이에는, 요구되는 의장에 따라서, 기재(2)의 제1 광택 조정층(5)측의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는 하지 잉크층(3)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하지 잉크층(3)은 은폐성 등, 필요에 따라서 2층 이상의 다층으로 해도 된다. 또한, 무늬 잉크층(4)은, 요구되는 의장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분판의 수만큼 적층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무늬 잉크층(4)과 하지 잉크층(3)은, 요구되는 의장, 즉, 표현하고자 하는 의장에 따라서 각종 조합으로 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 잉크층(3) 및 무늬 잉크층(4)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와,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를 용제 중에 용해,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인쇄 잉크나 코팅제를 사용할 수 있다. 매트릭스로서는, 예를 들어 유성의 질화면 수지, 2액 우레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알키드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고무계 수지 등의 각종 합성 수지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티타늄백, 아연화, 벵갈라, 황연, 감청, 카드뮴 레드 등의 무기 안료나, 아조 안료, 레이크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등의 유기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물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지 잉크층(3) 및 무늬 잉크층(4)에는, 각종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체질 안료, 가소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점착 부여제, 접착 보조제, 건조제, 경화제, 경화 촉진제 및 경화 지연제 등의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하지 잉크층(3), 무늬 잉크층(4) 및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의 각 층은,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정전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의 각종 인쇄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지 잉크층(3) 및 제1 광택 조정층(5)은 기재(2)의 제1 광택 조정층(5)측의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롤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다이 코팅법 등의 각종 코팅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인쇄 방법, 코팅 방법은, 형성하는 층에 따라서 개별로 선택해도 되고, 동일한 방법을 선택하여 일괄 가공해도 된다.
제1, 제2 광택 조정층(5, 6)의 층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인쇄 방법 및 코팅 방법에 있어서 도포량을 조정하면 된다. 도포량은, 각종 인쇄 방법 및 코팅 방법에 있어서, 기재(2)에 광택 조정층을 형성한 것과,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작하여, 질량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도포량과 층 두께의 관계는 단면 관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무늬 잉크층(4)과 제1 광택 조정층(5) 사이에 투명 수지층(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다. 투명 수지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등 이외에, α-올레핀(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트리데센, 1-테트라데센, 1-펜타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노나데센, 1-에이코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9-메틸-1-데센, 11-메틸-1-도데센, 12-에틸-1-테트라데센 등)을 단독 중합 또는 2종류 이상 공중합시킨 것이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이, 에틸렌 또는 α-올레핀과 그 이외의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표면 강도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에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층에는, 예를 들어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블로킹 방지제, 촉매 포착제 및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공지된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층은, 예를 들어 열압을 응용한 방법, 압출 라미네이트 방법,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법 등의 각종 적층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작용 기타)
(1)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화장재(1)에서는, 제1 광택 조정층(5)과 제2 광택 조정층(6) 중,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에, 입경이 그 층 두께의 1.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배 이상의 소광제를 첨가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광택 조정층의 표면에 충분한 요철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도 광택도가 상승하지 않아, 저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경사로부터 관찰하여도, 광택의 차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감이 변화되기 어려운 화장재(1)를 제공할 수 있다.
(2)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재(1)에서는, 무늬 잉크층(4)의 무늬 모양과 제2 광택 조정층(6)의 광택이 동조되어 있기 때문에, 무늬 잉크층(4)에 의한 의장성에, 제2 광택 조정층(6)에 의한 의장성을 부가할 수 있어, 천연목이나 천연석에 가까운 고급감이 있는 의장 표현을 가진 화장재(1)를 형성할 수 있다.
(3)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재(1)에서는, 소광 효과가 높은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사용한다. 그 때문에, 첨가되는 광택 조정층의 광택을 크게 낮출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광택 조정층(5)의 광택과 제2 광택 조정층(6)의 광택의 차를 크게 할 수 있어, 얻어지는 요철감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깊이가 있는 우수한 의장 표현이 가능해진다.
(4)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재(1)에서는,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광제를 5질량부 이상 40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광택 조정층의 표면에 충분한 요철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도 광택도가 상승하지 않아, 저광택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경사로부터 관찰하여도, 광택의 차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감이 변화되기 어려운 화장재(1)를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다.
(5)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재(1)에서는, 상대적으로 광택이 높은 광택 조정층에도 소광제를 첨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형태라도, 광택 조정층의 표면에 충분한 요철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도 광택도가 상승하지 않아, 저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경사로부터 관찰하여도, 광택의 차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감이 변화되기 어려운 화장재(1)를 제공할 수 있다.
(6)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재(1)에서는, 소광제의 입경이 2㎛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광택 조정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요철감이 충분히 얻어진다.
(7)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재(1)에서는, 소광제의 입경이,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의 층 두께의 3.0배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소광제의 낙하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마모성이나 내찰상성이 우수하고, 또한 오염 성분의 닦임성이 우수한 화장재(1)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광택 조정층(6)이 무늬 잉크층(4)과 겹치는 부분에 형성되고, 무늬 잉크층(4)의 무늬 모양과 제2 광택 조정층(6)의 광택이 동조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광택 조정층(6)이 무늬 잉크층(4)의 바로 위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고, 무늬 잉크층(4)의 무늬 모양과 제1 광택 조정층(5)의 광택이 동조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무늬 잉크층(4)의 무늬 모양에, 노출되어 있는 제1 광택 조정층(5)의 광택이 부여되어, 무늬 잉크층(4)에 의한 의장성에 제1 광택 조정층(5)에 의한 의장성을 부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천연목이나 천연석에 가까운 고급감이 있는 의장 표현을 갖는 화장재(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화장재(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평량 50g/m2의 함침지(GFR-506: 고우진(주)제)를 기재(2)로서 사용하였다. 그리고, 기재(2)의 한쪽 면에, 유성 질화면 수지계 그라비아 인쇄 잉크(PCNT(PCRNT) 각 색: 도요 잉크(주)제)를 사용하여, 하지 잉크층(3)과 무늬 잉크층(4)을 이 순서대로 형성하였다. 무늬 잉크층(4)의 무늬 모양은 나뭇결 무늬로 하였다.
계속해서, 무늬 잉크층(4)을 형성한 기재(2) 상에, 제1 광택 조정층(5)용 잉크를 기재(2)의 한쪽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도록 도포하고, 제1 광택 조정층(5)을 형성하였다. 잉크는, 아크릴폴리올(6KW-700: 다이세이 파인 케미컬(주)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카계 소광제(미즈카실 310P: 후지 시리시아 가가꾸(주)제) 8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UR190B 경화제: 도요 잉크(주)제) 10질량부로 구성하였다. 잉크 도포량은 2.5g/m2로 하였다. 층 두께는 단면 관찰의 결과, 2.1㎛였다. 실리카계 소광제의 평균 입경은 2.7㎛로 하였다. 이어서, 제2 광택 조정층(6)용 잉크를, 제1 광택 조정층(5) 상의, 무늬 잉크층(4)의 바로 윗 부분에 도포함으로써, 제2 광택 조정층(6)을 형성하였다. 잉크는, 아크릴폴리올(6KW-700: 다이세이 파인 케미컬(주)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카계 소광제(미즈카실 310P: 후지 시리시아 가가꾸(주)제) 3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UR190B 경화제: 도요 잉크(주)제) 10질량부로 구성하였다. 실리카계 소광제의 평균 입경은 2.7㎛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무늬 잉크층(4)을 형성한 기재(2) 상에, 제1 광택 조정층(5)용 잉크를 기재(2)의 한쪽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도록 도포하고, 제1 광택 조정층(5)을 형성하였다. 잉크는, 아크릴폴리올(6KW-700: 다이세이 파인 케미컬(주)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카계 소광제(ACEMATT OK900: 에보닉사제) 8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UR190B 경화제: 도요 잉크(주)제) 10질량부로 구성하였다. 실리카계 소광제의 평균 입경은 7.5㎛로 하였다. 또한, 잉크의 도포량은 7g/m2로 하였다. 층 두께는 단면 관찰의 결과, 6.5㎛였다. 이어서, 제2 광택 조정층(6)용 잉크를, 제1 광택 조정층(5) 상이며, 무늬 잉크층(4)의 바로 위가 되는 부분에만 도포함으로써, 제2 광택 조정층(6)을 형성하였다. 잉크는, 아크릴폴리올(6KW-700: 다이세이 파인 케미컬(주)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평균 입경 7.5㎛의 실리카계 소광제(ACEMATT OK900: 에보닉사제) 3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UR190B 경화제: 도요 잉크(주)제) 10질량부로 구성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무늬 잉크층(4)을 형성한 기재(2) 상에, 제1 광택 조정층(5)용 잉크를 기재(2)의 한쪽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도록 도포하고, 제1 광택 조정층(5)을 형성하였다. 잉크는, 아크릴폴리올(6KW-700: 다이세이 파인 케미컬(주)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카계 소광제(ACEMATT810: 에보닉사제) 8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UR190B 경화제: 도요 잉크(주)제) 10질량부로 구성하였다. 실리카계 소광제의 평균 입경은 10.5㎛로 하였다. 또한, 잉크의 도포량은 9.5g/m2로 하였다. 층 두께는 단면 관찰의 결과, 9.3㎛였다. 이어서, 제2 광택 조정층(6)용 잉크를, 제1 광택 조정층(5) 상이며, 무늬 잉크층(4)의 바로 위가 되는 부분에만 도포함으로써, 제2 광택 조정층(6)을 형성하였다. 잉크는, 아크릴폴리올(6KW-700: 다이세이 파인 케미컬(주)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평균 입경 10.5㎛의 실리카계 소광제(ACEMATT810: 에보닉사제) 3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UR190B 경화제: 도요 잉크(주)제) 10질량부로 구성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무늬 잉크층(4)을 형성한 기재(2)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의 제1 광택 조정층(5)용 잉크를 도포량 3.5g/m2가 되게 기재(2)의 한쪽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도록 도포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1 광택 조정층(5) 및 제2 광택 조정층(6)을 형성하고, 화장재(1)를 얻었다. 또한, 이 때의 제1 광택 조정층(5)의 층 두께는, 단면 관찰의 결과, 3.3㎛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무늬 잉크층(4)을 형성한 기재(2) 상에,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성의 제1 광택 조정층(5)용 잉크를 도포량 8.5g/m2가 되게 기재(2)의 한쪽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도록 도포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1 광택 조정층(5) 및 제2 광택 조정층(6)을 형성하고, 화장재(1)를 얻었다. 또한, 이 때의 제1 광택 조정층(5)의 층 두께는, 단면 관찰의 결과, 8.4㎛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서는, 무늬 잉크층(4)을 형성한 기재(2) 상에, 실시예 3과 동일한 조성의 제1 광택 조정층(5)용 잉크를 도포량 11.5g/m2가 되게 기재(2)의 한쪽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도록 도포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1 광택 조정층(5) 및 제2 광택 조정층(6)을 형성하고, 화장재(1)를 얻었다. 또한, 이 때의 제1 광택 조정층(5)의 층 두께는, 단면 관찰의 결과, 11.2㎛였다.
<평가>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의장성과 광택도의 평가를 행하였다.
<의장성>
정면 및 경사로부터 화장재(1)의 의장성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모든 각도로부터 요철감이 보이는 경우를 「○」, 경사로부터의 관찰에서 요철감이 감소되는 경우를 「△」, 경사로부터의 관찰에서 요철감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를 「×」라 하였다.
<광택도>
제1 광택 조정층(5), 즉,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에 있어서의 20°, 60°, 85°의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118327960-pct00001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재(1)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로부터 관찰해도 요철감이 유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재(1)에서는, 경사로부터의 관찰에 의해 요철감이 감소되거나 보이지 않게 되거나 하였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광택도의 측정 결과에도 나타나 있다.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경사 관찰에 해당하는 85°의 광택도(광택)가 높아져버려, 제1 광택 조정층(5)의 광택도(광택)과 제2 광택 조정층(6)의 광택도(광택)의 차가 작아짐으로써, 광택의 차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감이 감소되어버렸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재는, 모든 각도로부터 관찰하여도, 광택의 차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감이 일정하여, 우수한 의장의 화장재(1)인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재는 상기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화장재
2: 기재
3: 하지 잉크층
4: 무늬 잉크층
5: 제1 광택 조정층
6: 제2 광택 조정층

Claims (8)

  1. 기재 상에 설치된 제1 광택 조정층으로서, 상기 기재의 상기 제1 광택 조정층 측의 면의 전체면을 피복하고 있는 제1 광택 조정층과;
    상기 기재와 상기 제1 광택 조정층 사이에 설치된 무늬 잉크층과;
    상기 제1 광택 조정층 상에 부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광택 조정층의 광택과 다른 광택을 갖는 제2 광택 조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광택 조정층과 상기 제2 광택 조정층 중,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은 광택 조정층에, 입경이 2㎛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이고, 층 두께의 1.0배 이상인 소광제가 첨가되어 있고,
    상기 소광제는, 상기 소광제가 첨가된 상기 광택 조정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상 첨가되어 있고,
    상기 제2 광택 조정층은 상기 무늬 잉크층의 바로 위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무늬 잉크층의 무늬 모양과 상기 제1 광택 조정층의 광택이 동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상기 소광제가 첨가된 상기 광택 조정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40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에서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상대적으로 광택이 높은 광택 조정층에도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의 입경은 상기 소광제가 첨가된 상기 광택 조정층의 층 두께의 3.0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KR1020187034371A 2016-05-26 2017-05-26 화장재 KR102345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5260 2016-05-26
JP2016105260 2016-05-26
PCT/JP2017/019815 WO2017204361A1 (ja) 2016-05-26 2017-05-26 化粧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780A KR20190013780A (ko) 2019-02-11
KR102345151B1 true KR102345151B1 (ko) 2022-01-03

Family

ID=6041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371A KR102345151B1 (ko) 2016-05-26 2017-05-26 화장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46610B2 (ko)
EP (1) EP3466677A4 (ko)
JP (1) JP6958550B2 (ko)
KR (1) KR102345151B1 (ko)
CN (1) CN109153241B (ko)
WO (1) WO2017204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361A1 (ja) * 2016-05-26 2017-11-30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材
DE102017113035B4 (de) * 2017-06-13 2019-10-31 Hymmen GmbH Maschinen- und Anlagen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dekorativen Oberfläche
PT3415316T (pt) 2017-06-13 2020-05-06 Hymmen Gmbh Maschinen & Anlagenbau Processo e dispositivo de fabrico de uma superfície estruturada
PL3415317T5 (pl) 2017-06-13 2023-11-27 Hymmen GmbH Maschinen- und Anlagenbau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arzania powierzchni dekoracyjnej
JP7003667B2 (ja) 2018-01-05 2022-02-10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材
DE102019206431A1 (de) 2019-05-03 2020-11-05 Hymmen GmbH Maschinen- und Anlagenbau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ruktur auf einer Oberfläche
CN110920200B (zh) * 2019-12-27 2022-11-22 重庆巧琢工贸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局部哑光效果的食品包装复合膜
WO2022202113A1 (ja) * 2021-03-26 2022-09-29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発泡紙積層体
WO2024201349A1 (en) * 2023-03-31 2024-10-03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Decorated article with surface areas having different gloss lev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286A (ja) * 2000-05-11 2001-11-13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材
JP2015182353A (ja) * 2014-03-25 2015-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5717A (en) 1981-01-09 1982-07-19 Furukawa Electric Co Ltd Method of producing metallic coated wire strand
JPH08300595A (ja) * 1995-05-11 1996-11-19 Nissha Printing Co Ltd 木目柄装飾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木目柄ラミネート製品の製造方法
JP3629964B2 (ja) 1998-07-29 2005-03-16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材
JP2001138470A (ja) * 1999-11-17 2001-05-22 Dainippon Printing Co Ltd 耐摩耗性を有する化粧材
JP3388437B2 (ja) * 2000-02-18 2003-03-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4289548B2 (ja) * 2003-07-28 2009-07-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接触適性を付与した化粧材
CN100528558C (zh) * 2003-09-30 2009-08-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装饰材料
JP5003086B2 (ja) * 2006-09-29 2012-08-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WO2010001867A1 (ja) 2008-06-30 2010-01-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6064495B2 (ja) * 2012-09-28 2017-0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型品
JP6171459B2 (ja) * 2013-03-26 2017-08-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2017065261A (ja) * 2015-09-28 2017-04-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化粧板及び加飾樹脂成形品
WO2017204361A1 (ja) * 2016-05-26 2017-11-30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材
PL3536497T3 (pl) * 2016-11-02 2021-05-04 Toppan Printing Co., Ltd. Materiał dekoracyjn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286A (ja) * 2000-05-11 2001-11-13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材
JP2015182353A (ja) * 2014-03-25 2015-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6677A1 (en) 2019-04-10
US20190085507A1 (en) 2019-03-21
WO2017204361A1 (ja) 2017-11-30
CN109153241A (zh) 2019-01-04
CN109153241B (zh) 2021-10-26
JP6958550B2 (ja) 2021-11-02
KR20190013780A (ko) 2019-02-11
US10946610B2 (en) 2021-03-16
EP3466677A4 (en) 2019-12-11
JPWO2017204361A1 (ja)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151B1 (ko) 화장재
KR102444750B1 (ko) 화장재
CN111556805B (zh) 装饰材料
KR102426530B1 (ko) 화장재
JP7327618B2 (ja) 化粧材
KR102550515B1 (ko) 화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