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7534B1 -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534B1
KR102337534B1 KR1020200140036A KR20200140036A KR102337534B1 KR 102337534 B1 KR102337534 B1 KR 102337534B1 KR 1020200140036 A KR1020200140036 A KR 1020200140036A KR 20200140036 A KR20200140036 A KR 20200140036A KR 102337534 B1 KR102337534 B1 KR 10233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se
floor
floor mat
car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박준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4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어 카펫에 고정하여 플로어 매트를 걸어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제작할 때, 실질적으로 플로어 매트를 걸어주는 훅 부재가 베이스 안으로 들어가거나 돌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훅이 필요 없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베이스 안으로 훅이 수납되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훅 부재를 계속해서 누름에 따라 이 훅 부재가 베이스에서 돌출하여 플로어 매트를 걸 수 있게 하거나 플로어 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베이스 안에 수납하게 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FIXTURE FOR FLOOR MA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페트 매트를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훅킹 수단이 카펫 매트를 걸지 않았을 때는 베이스 밖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고 사용할 때만 위로 베이스 위로 돌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생산 과정에서 작업자의 발이나 출고 후 이용자의 발이 훅킹 수단에 걸려 다치거나 훅킹 수단이 파손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실내 바닥에는 헤드 라이너와 함께 가장 큰 흡차음재로 사용되는 플로어 카펫이 장착된다. 그리고 플로어 카펫 위에는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거나 이물 등이 떨어져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려고 플로어 매트를 장착한다. 이때, 플로어 매트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플로어 카펫에 장착한 고정구에 걸어서 고정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447637호
윙부를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 타이 형태로 바로 클립을 카펫에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클립을 쉽고 신속하게 카펫에 장착하여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카펫에 장착한 클립은 다시 빠지지 않게 하여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게 한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카펫을 매트 위에서 누름에 따라 케이블 타이 방식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더욱 클립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클립을 카펫에 고정하는 결합력을 더욱 강화하여 카펫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클립의 결합력이 약화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회전 고정부와 텅부를 연결하는 부분에 걸림턱을 통해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타이 결합 방식과 이 걸림턱을 통한 결합 작용을 통해 클립을 이중으로 더욱 견고하게 카펫에 장착할 수 있게 한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447634호
케이블 타이 형태로 클립을 카펫에 고정함으로써, 한번 카펫에 장착한 클립은 다시 빠지지 않게 하여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게 한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카펫을 매트 위에서 누름에 따라 텅부가 신장하면서 더욱 클립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클립을 카펫에 고정하는 결합력을 더욱 강화하여 카펫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클립의 결합력이 약화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447630호
하나의 고정구로 클립을 카펫에 고정한 다음 다른 고정구로 미리 고정한 고정구를 덮으면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고, 이들 고정구를 이용하여 클립을 2중으로 카펫에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클립을 쉽고 신속하게 카펫에 장착하여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번에 걸쳐 클립을 고정하여 한번 장착한 클립이 카펫에서 빠지지 않게 하여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게 한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2개의 고정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카펫을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결합하는 부위에서의 결합력을 상호 보완할 수 있게 하여 클립의 결합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게 한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원터치 방식으로 2개의 고정구를 카펫에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클립을 쉽고 신속하게 장착하고 필요에 따라 클립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 쉽게 탈거할 수 있게 한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런 기존의 플로어 매트 고정구(F)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지되, 한쪽 면에는 플로어 매트(M)를 걸어서 고정하는 훅(110)을 돌출 성형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플로어 카펫(C)을 관통하여 끼울 수 있게 형성한 연약 부분(130)과 탄성 돌기(140)를 일체로 형성한 베이스(100); 및 한쪽이 상기 연약 부분(130)에 일체로 형성하여 회전할 수 있게 형성하고, 다른 한쪽이 상기 탄성 돌기(140)를 변형하여 걸림 작용을 할 수 있게 고정 구멍(151)을 형성한 압착 부분(150);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100)와 압착 부분(150)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플로어 카펫(C)에 박히도록 가압 돌기(120, 152)가 돌출 형성된다.
하지만, 이처럼 훅이 돌출 형성된 기존의 플로어 매트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플로어 카펫에 기존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장착하면 플로어 카펫에서 훅이 실내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2) 이에, 훅에 플로어 매트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발에 훅이 걸려 작업자가 넘어지면서 상처를 입거나, 부품을 옮기는 중에는 옮기던 부품이 떨어지게 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3) 또한, 이처럼 작업자의 발인 훅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이처럼 훅이 파손되면 플로어 매트를 장착할 수 없게 되어 플로어 카펫에서 파손된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분리한 다음 새로운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다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4) 이러한 문제는 자동차를 출고한 다음 운전자에 의해서도 일어나게 된다. 즉, 플로어 매트는 청소 등을 위해 플로어 카펫에서 분리될 수 있게 훅에 걸어서 이용한다. 이에, 청소 등을 위해 플로어 매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발에 훅이 걸려 파손될 우려가 있다.
(5) 한편, 운전자에 따라 플로어 카펫에 플로어 매트를 장착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처럼 플로어 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플로어 매트 고정구가 걸리적 거리게 되어 불편함을 가중시킨다.
한국등록특허 제1447637호 (등록일 : 2014.09.29) 한국등록특허 제1447634호 (등록일 :2014.09.29) 한국등록특허 제1447630호 (등록일 :2014.09.2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플로어 카펫에 고정하여 플로어 매트를 걸어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제작할 때, 실질적으로 플로어 매트를 걸어주는 훅 부재가 베이스 안으로 들어가거나 돌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훅이 필요 없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베이스 안으로 훅이 수납되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훅 부재를 계속해서 누름에 따라 이 훅 부재가 베이스에서 돌출하여 플로어 매트를 걸 수 있게 하거나 플로어 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베이스 안에 수납하게 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는, 플로어 카펫(C)에 고정되어 매트를 걸 수 있게 구성된 베이스(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에서; 상기 베이스(100)에는, 플로어 카펫(C)에 관통하게 끼워지되, 한쪽이 상기 베이스(100)에 회전할 수 있게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고정 구멍(151)이 형성된 압착 부분(150); 상기 압착 부분(150)에서 상기 베이스(100)와 틈새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플로어 카펫이 끼워지게 안내하는 안내 부재(130); 플로어 카펫(C)에 관통하게 끼워지되 상기 압착 부분(150)이 회전하여 플로어 카펫(C)을 압착할 때 상기 고정 구멍(151)에 탄성 변형하면서 끼워져서 걸림 작용하는 탄성 돌기(140); 및 상기 압착 부분(150)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밖으로 돌출할 수 있게 장착된 훅킹 수단(200);이 포함되되;, 상기 훅킹 수단(20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격벽(211)에 의해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가 반복해서 형성되되 제1가이드(211a)가 제2가이드(211b)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상기 압착 부재(150)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210); 상기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하는 제1슬라이더(221)와 상기 가이드 부재(210)에 끼워진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산부(222)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 가능한 훅 부재(220); 상기 훅 부재(220)와 마주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210)에 장착하되, 상기 제1 산부(222)와 마주하여 제2 산부(231)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에 상기 제1가이드(211a)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제2슬라이더(232)를 갖추되, 상기 제2슬라이더(232)는 상기 훅 부재(220)가 계속해서 눌림에 따라 차례로 격벽(211)을 타고넘으면서 상기 제1가이드(211a)의 안내를 받거나 상기 제2가이드(211b)에 걸리는 작동 부재(230); 및 상기 가이드 부재(210)에 장착해서 상기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할 수 있게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100)에는, 미리 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압착 돌기(120)가 돌출 성형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더(221)는, 상기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에 각각 하나씩 끼워져서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산부(222)는, 상기 훅 부재(220)의 가장자리 전체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슬라이더(232)는, 상기 제1가이드(211a) 또는 제2가이드(211b)의 개수와 같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슬라이더(232)는, 상기 제1가이드(211a)의 깊이보다 짧게 돌출되고, 상기 제2가이드(211b)의 깊이보다 길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훅 부재가 베이스 위로 돌출되거나 베이스 안에 수납되게 구성함으로써, 플로어 매트를 걸 때만 훅 부재가 밖으로 돌출하게 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나 운전자는 플로어 매트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훅 부재에 발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상기 훅 부재는 돌출된 상태에서 한 번 눌러서 베이스 안에 수납되게 하고, 반대로 수납된 상태에서 한 번 눌러서 베이스 밖으로 돌출되게 하여 플로어 매트를 걸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누구든지 훅 부재를 눌러서 베이스 밖으로 튀어나오게 하거나 베이스 안에 수납하게 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플로어 카펫에 장착된 플로어 매트 고정구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플로어 카펫에 장착된 플로어 매트 고정구에 플로어 매트를 걸어서 고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매트 고정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훅킹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가이드 부재를 전단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훅킹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가이드 부재를 전단면해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전단면한 사시도이고, (b)는 안에 훅 부재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는 저면도와 가이드 부재를 펼친 형태에서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c)는 안에 작동 부재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는 저면도와 가이드 부재를 펼친 형태에서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훅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며, (c)는 가이드 부재의 제1가이드에 끼워져서 직선 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d)는 가이드 부재의 제1가이드에 이탈하여 회전한 상태를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훅 부재가 베이스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베이스 안으로 수납되는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는, [도 3] 내지 [도 9]와 같이, 베이스(100)에 압착 부분(150), 안내 부재(130), 탄성 돌기(140), 그리고 훅킹 수단(20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특히, 상기 훅킹 수단(200)은 훅 부재(220)를 누르면 이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에서 밖으로 돌출하게 해서 플로어 매트를 걸 수 있게 하고, 다시 훅 부재(220)를 누르면 이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안에 수납되게 구성함으로써,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나 장착되지 않았을 때는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안에 수납되게 해서 파손되거나 작업에 방해되지 않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C"는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는 플로어 카펫을 나타낸다.
가. 베이스
베이스(100)는, [도 3]과 같이, 한쪽 면이 플로어 카펫(C)에 밀착하게 장착되고, 밀착되는 면에는 플로어 카펫(C)에 관통되게 끼워져서 다시 베이스(100)와 마주하게 회전시켜서 조립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베이스(100)에는, 압착 부분(150), 탄성 돌기(140), 그리고 안내 부재(1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베이스(100)에는 압착 돌기(120)가 더 추가되어 결합력을 높여주게 된다.
1. 압착 돌기
압착 돌기(120)는, [도 3]과 같이, 플로어 카펫(C)과 마주하는 베이스(100) 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이때, 압착 돌기(120)는 상기 베이스(100)와 후술할 압착 부분(150) 사이에 플로어 카펫(C)에 놓여서 하나로 조립될 때, 이 플로어 카펫(C)에 파고들게 해서 장착력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한 돌기이다. 이러한 압착 돌기(120)는 후술할 압착 부분(150)에도 추가하여 플로어 카펫(C)의 양쪽에서 압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 안내 부재
안내 부재(130)는, [도 3]과 같이, 후술할 압착 부재(150)에서 돌출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100) 면과 소정의 틈새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는, 안내 부재(130)와 베이스(100) 사이에 플로어 카펫(C)이 끼여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안내 부재(130)는 바깥으로 돌출한 안쪽 가장자리가 압착 부분(150)에서 밖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하여 플로어 카펫(C)이 쉽게 끼워지게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3. 탄성 돌기
탄성 돌기(140)는, [도 3]과 같이, 플로어 카펫(C)과 마주하는 베이스(100) 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 돌기(140)는 후술할 압착 부분(150)을 회전시켰을 때 바깥쪽 끝 부분에 형성된 고정 구멍(151)에 간섭을 받아 탄성 변형하면서 걸림 작용을 하게 하는 돌기이다. 이러한 탄성 돌기(140)는 플로어 카펫(C)에 관통할 수 있게 베이스(100)에 형성함으로써, 플로어 카펫(C)을 사이에 두고 이 탄성 돌기(140)에 후술할 압착 부분(150)을 고정하여 플로어 카펫(C)에 플로어 매트 고정구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4. 압착 부분
압착 부분(150)은, [도 3]과 같이, 플로어 카펫(C)과 마주하는 베이스(100)에서 돌출 형성되어 플로어 카펫(C)을 관통하게 한 다음, 회전시켜서 상술한 탄성 돌기(150)에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압착 부분(150)은 베이스(100)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연약 부분(152)을 형성하여 이 연약 부분(152)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제작한다. 또한, 상기 압착 부분(150)은 다른 한쪽에 이처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술한 탄성 돌기(140)와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 구멍(151)을 형성함으로써, 플로어 카펫(C)에 탄성 돌기(140)와 압착 부분(150)이 관통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이 압착 돌기(150)를 회전시켜서 고정 구멍(151)이 탄성 돌기(140)가 끼워지게 조립하면 플로어 카펫(C)에 베이스(100)를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이루어진 베이스(100)에는, [도 3]과 같이, 상술한 압착 부분(150)에 후술할 훅킹 수단(200)을 탑재하고, 이 훅킹 수단(200)의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에 형성된 수납 구멍(110)을 통해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하게 하거나 베이스(100) 안으로 수납되게 한다.
나. 훅킹 수단
훅킹 수단(200)은, [도 3] 내지 [도 9]와 같이, 트러스 디바이스(Thrust Device)와 트러스트 튜브(Thrust Tube)로도 잘 알려진 기술을 이용해서 한 번 누르면 베이스(100)에 튀어나오게 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베이스(100) 안에 수납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트러스 디바이스(Thrust Device)와 트러스트 튜브(Thrust Tube)를 이용하는 기술로는, 예시적으로, 볼펜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훅킹 수단(200)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가이드 부재(210), 훅 부재(220), 작동 부재(230), 그리고 스프링(240)을 포함한다.
1. 가이드 부재
가이드 부재(210)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내부에 장착되는 다른 구성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고, 특히 후술할 작동 부재(230)는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과 함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게 해서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하게 하거나 돌출된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안에 수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210)에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격벽(211), 제1가이드(211a), 그리고 제2가이드(211b)가 포함된다.
격벽
격벽(211)은, [도 6]과 같이,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21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211)은 여러 개가 형성되게 하여 이웃한 두 개의 격벽(211) 사이에 후술할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가 반복해서 형성될 수 있게 구성한다. 도면에서, 상기 격벽(211)은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가 각각 3개씩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할 훅 부재(220)와 작동 부재(230)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면 이보다 더 많거나 작게 형성하더라도 상관이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211)은, [도 6]과 같이, 가이드 부재(210)의 안쪽에 돌출 형성된 끝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작동 부재(230)가 가이드 부재(210) 안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 부재(230)에 형성된 후술할 제2슬라이더(232)가 회전하면서 쉽게 제2가이드(211b)에 걸릴 수 있게 하고 걸린 제2슬라이더(232)가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는, [도 6] 및 [도 9]와 같이, 상술한 격벽(211)에 의해 형성되며, 특히 이들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가 격벽(211)을 사이에 두고 반복해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211a)는 [도 8(a)]와 같이, 후술할 제2슬라이더(232)가 끼워져서 제1가이드(211a)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를 받을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211b)는 [도 8(b)]와 같이 이 제2슬라이더(232)가 끼워지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슬라이더(232)가 제1가이드(211a)에 있으면 제1가이드(211a)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훅 부재(220) 일부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할 수 있게 하나, 제2가이드(211b) 위치에 있으면 제2슬라이더(232)가 더는 움직일 수 없게 하여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에 수납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2. 훅 부재
훅 부재(220)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가이드 부재(210)에 끼워져서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훅 부재(220)는 제자리에서 회전하지 않게 하면서도 후술할 작동 부재(230)와 맞물림에 따라 이 작동 부재(230)를 회전시켜서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되지 않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훅 부재(22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슬라이더(221)와 제1 산부(2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훅 부재(220)는 중공의 용기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작동 부재(230)와 맞물릴 때 서로 간섭이 생기지 않고 쉽게 맞물릴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슬라이더
제1슬라이더(221)는, [도 6]·[도 7] 및 [도 9]와 같이, 훅 부재(220) 외주에 형성되어 상술한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더(221)는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되어 플로어 매트를 걸 수 있게 하나 빠지지 않게 하고 또한, 이 훅 부재(22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지 않고 가이드 부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를 받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슬라이더(221)는, [도 6] 및 [도 9]와 같이, 상술한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에 각각 하나씩 6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이드 부재(210) 안에서 안내를 받는 훅 부재(220)가 어느 한쪽으로 쏠림이 발생하지 않게 힘을 분산시켜 주고 또한, 이 훅 부재(220)에 작동 부재(230)가 맞물림에 따라 비틀림이 발생할 때도 안정적으로 지지가 되어 회전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슬라이더(221)는, 3개씩 형성된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에 각각 하나씩 끼워져서 슬라이딩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6개가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제1 산부
제1 산부(222)는, [도 7]과 같이, 상기 훅 부재(220)를 상술한 가이드 부재(210)에 장착할 때 후술할 작동 부재(230)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산부(222)는 후술할 작동 부재(230)의 제2 산부(231)와 마주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210)에 상기 훅 부재(220)와 작동 부재(230)가 제1가이드(211a)의 안내를 받아서 움직일 때([도 9(a)]와 [도 9(b)])는 산 끝이 서로 마주하여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나, 작동 부재(230)의 제2슬라이더(232)가 제1가이드(211a)에서 이탈하면 [도 9(c)]와 같이 제1 산부(222)와 제2 산부(231)가 맞물림에 따라 작동 부재(230)가 회전하면서 이 작동 부재(230)가 제2가이드(211b)에 걸려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안에 수납된 상태가 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산부(222)는, [도 7]과 같이, 상기 훅 부재(220)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상기 훅 부재(220)를 반복해서 누름에 따라 작동 부재(230)가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이들 제1 산부(222)와 제2 산부(231)의 맞물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작동 부재
작동 부재(230)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8]과 같이, 상술한 가이드 부재(210)에 끼워져서 후술할 스프링(240)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훅 부재(220)를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하게 한다. 특히, 상기 작동 부재(230)는 상기 훅 부재(220)를 반복해서 누름에 따라 이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되거나 반대로 베이스(100) 안으로 수납되게 한다.
이러한 작동 부재(230)는, [도 5]·[도 6]·[도 8] 및 [도 9]와 같이, 제2 산부(231), 제2슬라이더(232)를 포함한다.
제2슬라이더
제2슬라이더(232)는, [도 6] 및 [도 8]과 같이, 상기 작동 부재(230)를 가이드 부재(210)에 장착했을 때 상술한 제1가이드(211a)에 끼워져서 작동 부재(230)가 가이드 부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2슬라이더(232)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작동 부재(230)에서 돌출된 길이가 깊이가 깊게 형성된 제1가이드(211a)에는 끼워져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으나, 깊이가 깊지 않은 제2가이드(211b)에는 걸려서 슬라이딩할 수 없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9(a)] 및 [도 9(b)]와 같이, 상기 제2슬라이더(232)가 제1가이드(221)에 끼워졌을 때는 후술할 스프링(240)의 탄성 지지를 받아 훅 부재(220) 일부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되게 해서 플로어 매트를 걸 수 있게 하나, 훅 부재(220)를 누름에 따라 제2슬라이더(232)가 제1가이드(211b)를 따라 움직이다가 [도 9(c)]와 같이 완전히 빠짐에 따라 상기 제1 산부(222)에 제2 산부(231)가 맞물리면서 작동 부재(230)가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회전된 작동 부재(230)는 제2가이드(211b)에 걸려 더는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해서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2슬라이더(232)는, [도 8]과 같이, 상술한 제1가이드(211a)이나 제2가이드(211b)와 같이 3개가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슬라이더(232)는 작동 부재(230)가 제1가이드(211a)의 안내를 받아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 제1가이드(211a)를 벗어나면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할 수만 있다면 이 제2슬라이더(232)의 개수를 더 많게 구성하거나 더 적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산부
제2 산부(231)는, [도 5]·[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작동 부재(230)를 가이드 부재(210)에 장착함에 따라 상술한 제1 산부(222)와 마주하여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산부(231)는, [도 9(a)] 및 [도 9(b)]와 같이 상기 제2슬라이더(232)가 제1가이드(211a)에 끼워져서 안내를 받을 때는 제1 산부(222)와 서로 마주하여 맞물리지 않게 하고, 상기 제2슬라이더(232)가 제1가이드(211a)에서 이탈하면 상기 제1 산부(222)에 맞물리면서 상기 작동 부재(230)가 회전하여 이 제2슬라이더(232)가 제2가이드(211b)에 걸려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에 수납된 상태가 되게 구성한다.
4. 스프링
스프링(24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가이드 부재(210) 안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240)은 상술한 작동 부재(230)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훅 부재(220) 일부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될 수 있게 지지한다. 이러한 스프링(240)은 지지대(241)를 통해 작동 부재(230)에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훅 부재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베이스에서 훅 부재가 돌출되게 하거나 베이스 안에 수납되게 해서 플로어 매트를 깔지 않고 작업할 때 훅 부재가 발에 걸려 부서지거나 작업자나 운전자가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베이스
120: 압착 돌기
130: 안내 부재
140: 탄성 돌기
150: 압착 부분
200: 훅킹 수단
210: 가이드 부재
211: 격벽
211a, 211b: 제1, 제2가이드
220: 훅 부재
221, 232: 제1, 제2슬라이더
222, 231: 제1, 제2 산부
230: 작동 부재
240: 스프링

Claims (6)

  1. 플로어 카펫(C)에 고정되어 매트를 걸 수 있게 구성된 베이스(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에서,
    상기 베이스(100)에는, 플로어 카펫(C)에 관통하게 끼워지되, 한쪽이 상기 베이스(100)에 회전할 수 있게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고정 구멍(151)이 형성된 압착 부분(150); 상기 압착 부분(150)에서 상기 베이스(100)와 틈새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플로어 카펫이 끼워지게 안내하는 안내 부재(130); 플로어 카펫(C)에 관통하게 끼워지되 상기 압착 부분(150)이 회전하여 플로어 카펫(C)을 압착할 때 상기 고정 구멍(151)에 탄성 변형하면서 끼워져서 걸림 작용하는 탄성 돌기(140); 및 상기 압착 부분(150)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밖으로 돌출할 수 있게 장착된 훅킹 수단(200);이 포함되되,
    상기 훅킹 수단(20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격벽(211)에 의해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가 반복해서 형성되되 제1가이드(211a)가 제2가이드(211b)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상기 압착 부분(150)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210);
    상기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하는 제1슬라이더(221)와 상기 가이드 부재(210)에 끼워진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산부(222)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 가능한 훅 부재(220);
    상기 훅 부재(220)와 마주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210)에 장착하되, 상기 제1 산부(222)와 마주하여 제2 산부(231)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에 상기 제1가이드(211a)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제2슬라이더(232)를 갖추되, 상기 제2슬라이더(232)는 상기 훅 부재(220)가 계속해서 눌림에 따라 차례로 격벽(211)을 타고 넘으면서 상기 제1가이드(211a)의 안내를 받거나 상기 제2가이드(211b)에 걸리는 작동 부재(230); 및
    상기 가이드 부재(210)에 장착해서 상기 훅 부재(220)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할 수 있게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2. 제1 항에서,
    상기 베이스(100)에는,
    미리 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압착 돌기(120)가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3. 제1항에서,
    상기 제1슬라이더(221)는,
    상기 제1가이드(211a)와 제2가이드(211b)에 각각 하나씩 끼워져서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4. 제1항에서,
    상기 제1 산부(222)는,
    상기 훅 부재(220)의 가장자리 전체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5. 제1항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232)는,
    상기 제1가이드(211a) 또는 제2가이드(211b)의 개수와 같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6. 제1항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232)는,
    상기 제1가이드(211a)의 깊이보다 짧게 돌출되고, 상기 제2가이드(211b)의 깊이보다 길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KR1020200140036A 2020-10-27 2020-10-27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KR10233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036A KR102337534B1 (ko) 2020-10-27 2020-10-27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036A KR102337534B1 (ko) 2020-10-27 2020-10-27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534B1 true KR102337534B1 (ko) 2021-12-10

Family

ID=7886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036A KR102337534B1 (ko) 2020-10-27 2020-10-27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5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634B1 (ko) 2013-11-14 2014-10-07 (주)대한솔루션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KR101447637B1 (ko) 2013-11-14 2014-10-07 (주)대한솔루션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KR101447630B1 (ko) 2013-11-14 2014-10-07 (주)대한솔루션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KR101894360B1 (ko) * 2017-07-26 2018-09-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KR101908027B1 (ko) * 2017-05-30 2018-10-1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634B1 (ko) 2013-11-14 2014-10-07 (주)대한솔루션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KR101447637B1 (ko) 2013-11-14 2014-10-07 (주)대한솔루션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KR101447630B1 (ko) 2013-11-14 2014-10-07 (주)대한솔루션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KR101908027B1 (ko) * 2017-05-30 2018-10-1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KR101894360B1 (ko) * 2017-07-26 2018-09-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386B2 (en) Holding device and cleaning tool with the holding device
US9526302B2 (en) Cover-material fastening clip
US7226023B2 (en) Clip
US20160167554A1 (en) Cover material fastening clip
US20110260025A1 (en) Carpet clamp
JP2012092971A (ja) 長尺物用取付け具
WO2007047304A1 (en) Method for fixing elongate body, structure for fixing elongate body, and elongate body holder
JPH0923909A (ja) 紐締め具
JP6116396B2 (ja) 取付具
WO2015041103A1 (ja) クリップ
KR102337534B1 (ko)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WO2010061450A1 (ja) 紐固定具
JP2009228882A (ja) モールの固定具
JPH0211569Y2 (ko)
JP6576670B2 (ja) 点検口装置
JP6308872B2 (ja) 保持装置
JP2616861B2 (ja) 自動車用マットのズレ防止具
JPH082487Y2 (ja) スクリユゥグロメット
JP7033682B2 (ja) ペダルカバーおよびその支持体ならびに部品キットおよびペダルカバーをペダルのヘッド部に挿嵌する方法
JPH0636327Y2 (ja) ロッドホルダ
KR100521558B1 (ko) 케이블 고정용 케이블 클립
JP2001001758A (ja) 自動車サンバイザーの保持構造
JPH0542049Y2 (ko)
JP5019667B2 (ja) 化粧材の取付構造
JPH04331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