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976B1 - 마대 자동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마대 자동 포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1976B1 KR102321976B1 KR1020190103951A KR20190103951A KR102321976B1 KR 102321976 B1 KR102321976 B1 KR 102321976B1 KR 1020190103951 A KR1020190103951 A KR 1020190103951A KR 20190103951 A KR20190103951 A KR 20190103951A KR 102321976 B1 KR102321976 B1 KR 1023219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ck
- unit
- inlet
- contents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agitators or vib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대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내용물을 투입하는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방향으로 마대를 이송하는 마대 이송부, 마대의 투입구를 탈착하는 탈착부, 마대를 개방하는 개방부 및 개방된 마대의 투입구로 내용물을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대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내용물을 투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사무실에서 마대(자루, 포대, 부대 등을 포함한 용어)에 내용물을 담아서 포장할 때에는 1명 또는 2명 이상의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절개된 마대의 상부를 잡아 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른 한 작업자가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담고자 할 경우에 마대를 들고 있는 작업자와 상기 마대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작업자 등이 2인 1조로 이루어져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인력과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마대의 내부에 물건을 포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용물을 마대의 내부에 수납하는 작업자와 마대의 개방된 상단을 잡는 작업자, 내용물이 수납된 마대를 이동하기 위한 여러 작업자 등 인력이 다수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시간 내에 많은 물량을 포장하거나 부피가 있는 물건을 포장해야 하는 긴급한 경우에는 더 많은 인력이 일시에 투입되어야 함으로써 작업시간과 경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인력소모 및 생산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마대의 내부 개방부터 내용물 수납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마대의 절단 과정에서 열융착에 의해 점착된 마대의 투입구를 자동으로 탈착하는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투입구가 탈착된 마대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자동으로 투입하는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종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력을 최소화하여 마대의 제공부터 내용물의 포장까지 하나의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 마대를 이송하는 마대 이송부, 마대의 투입구를 탈착하는 탈착부, 마대를 개방하는 개방부 및 개방된 마대의 투입구로 내용물을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부가 보관된 복수의 마대 중 하나의 마대를 일 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자동으로 마대가 하나씩 이송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된 마대의 점착된 투입구를 마찰이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된 마대를 회전시킨 후, 투입구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미리 지정된 소정 수량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 시, 받침부에 의해 마대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최종적으로, 인력의 투입 없이도 마대의 이송부터 포장까지 하나의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완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간 및 인력 소모가 절감됨으로써 최종 포장 단가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7a 내지 도7e의 b1 내지 b5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투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7a 내지 도7e의 b1 내지 b5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투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상 도 1을 기준으로 마대의 진행방향인 우측 방향을 일 방향, 반대방향인 좌측 방향을 타 방향으로 설명하며, 마대의 표식라인(12)이 인쇄된 면을 일면, 반대면을 타면이라고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대 자동 포장장치는 이송부(100), 탈착부(200), 개방부(300) 및 투입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00)는 가공이 완료되어 보관된 복수의 마대(10) 중 어느 하나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구성이다. 이송부에 의해 보관된 마대(10)는 탈착부(200)로 이송될 수 있다. 탈착부(200)는 마대(10)의 가공 과정에서 열융착에 의해 점착되어 있는 투입구(11)를 탈착시키는 구성이다. 탈착부(200)에 의해 마대(10)의 투입구(11)가 탈착되면, 마대(10)는 다음 구성인 개방부(300)로 이동될 수 있다. 개방부(300)는 내용물(20)이 내측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탈착된 마대(10)의 투입구(11)를 개방하는 구성이다. 개방부(300)에 의해 마대(10)의 투입구(11)가 개방되면, 개방된 마대(10)의 투입구(11)로 투입부(400)에 의해 내용물(20)이 투입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대(10)는 내용물(20)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11) 및 표식라인(1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표식라인(12)은 품명, 규격, 수량, 제조일자 등을 기록하는 표로, 마대(10) 포장 과정에서 마대(10)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점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 2의 <A>는 상술한 이송부(100)에 보관되어 이송되는 가공이 완료된 마대(1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마대(10)는 열에 의한 절단 방식으로 가공됨에 따라, 마대(10)의 투입구(11)가 가공과정에서 열융착에 의해 점착될 수 있다. 도 2의 <B>는 점착된 투입구(11)를 탈착하고, 내용물(20)이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00), 탈착부(200), 개방부(300) 및 투입부(400)를 각각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부(100)는 일 방향으로 마대를 이송하는 구성으로 마대 보관부(110) 및 이송레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마대 보관부(110)는 마대(10)의 길이 방향 또는 진행 방향을 따라 가공이 완료된 복수의 마대(10)를 포개어 보관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마대 보관부(110)는 마대(10)의 규격에 맞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마대(10)가 보관되어 있다가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하나씩 이동되어 이송레일(1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대 보관부(110) 보관된 복수의 마대(10) 중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 어느 하나의 마대(10)는 이송레일(1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세하게, 여기서 보관 및 이송되는 마대(10)는 도 2의 <A>와 같이 가공이 완료되어 투입구(11)가 점착된 상태의 마대(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레일(120)은 하나의 마대(10)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켜 탈착부(200)로 이송하는 구성으로, 롤러, 컨베이어벨트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송레일(120)은 도 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송레일(120)에 안착된 마대(10)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 방향은 마대(10)의 자동 포장을 위한 진행 방향으로 탈착부(200)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송레일(120)이 이송부(100)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탈착부(200)에서 개방부(300)로 이송되기 위해서 탈착부(200)의 하면에도 이송레일(1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탈착부(2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탈착부(200)의 작동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200)는 제1 고정부(210), 제1 회전축(211), 제1 마찰이동부(221), 제2 마찰이동부(222), 누름판(230), 제1 교정부(241), 제2 교정부(242), 제3 교정부(243), 감지부(250), 이동판(260) 및 가이드레일(261)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10)는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된 마대(10)의 투입구(11) 방향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고정부(210)는 집게 형상 또는 그리퍼 형상으로 구비되어 마대(10)가 움직이지 않도록 양 끝단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고정부(210)는 이동판(260)과 연결되어 가이드레일(261)을 따라 수평이동 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90도 회전될 수 있다.
제1 마찰이동부(221) 및 제2 마찰이동부(222)는 점착된 마대(10)의 투입구를 탈착하는 구성으로, 상하 수직이동을 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대(10)가 정 위치로 위치된 이후, 제1 마찰이동부(221)는 하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여 마대(10)의 투입구측 일면에 접하고, 제2 마찰이동부(222)는 상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여 마대(10)의 투입구(11) 측 타면에 접할 수 있다. 각각 마대(10)의 일면 및 타면에 접한 제1 마찰이동부(221) 및 제2 마찰이동부(222)는 수평 방향으로 좌우 반복 움직이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을 반복함으로써 점착된 마대(10)의 투입구(11)를 탈착할 수 있다.
제1 교정부(241), 한 쌍의 제2 교정부(242), 제3 교정부(243) 및 감지부(250)는 마대(10)의 위치를 교정 및 검사하는 구성이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마대(10)가 이송부(100)로부터 이송되기 전에 탈착부(200)의 제1 교정부(241)가 먼저 상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어 마대(10)의 투입구(11)가 접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하게, 마대(10)가 이송부(100)로부터 이송시, 제1 교정부(241)를 넘어가지 않도록 미리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이송부(100)로부터 이송되는 마대(10)는 표식라인(12)이 위치한 일면이 상측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4b를 참조하면, 제1 교정부(241)에 투입구(11)가 접하도록 이송된 마대(10)는 좌우 틀어짐을 교정하는 제2 교정부(242)에 의해 교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2 교정부(242)는 마대(10)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마대(10)가 탈착부(200)로 이송된 후, 각 측의 제2 교정부(242)가 마대(10) 방향으로 수평이동 됨으로써 마대(10)의 틀어짐을 교정할 수 있다. 이때, 마대(1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던 제3 교정부(243)가 상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후, 도 4c을 참조하면, 돌출된 제3 교정부(243)가 마대(10)의 하측 방향을 가이드 가이드하도록 일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마대(10)를 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c에서와 같이 이송된 마대(10)는 제1 교정부(241), 제2 교정부(242) 및 제3 교정부(243)에 의해 정 위치로 교정될 수 있다.
이후, 도 4c를 참조하면, 마대(10)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 위치되어 있던 감지부(25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250)는 마대(10)의 일면에 미리 표기된 표식라인(12)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 적외선센서, 카메라 등 라인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 감지부(250)는 도 4d에서와 같이 표식라인(12)을 따라 수평 이동하며, 마대(10)의 일면에 미리 인쇄된 표식라인(12)을 스캔함으로써, 마대(10)의 위치를 검사할 수 있다. 이때, 도 4e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식라인(12)은 4칸의 표로 이루어 짐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2줄의 표식라인(12)을 검사한 감지부(250)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반대 방향으로 표식라인(12)을 따라 다음 2줄을 검사함으로써 표식라인(12) 전체를 검사할 수 있다. 검사가 완료되어 정 위치로 교정된 마대(10)는 제1 고정부(210)에 의해 마대(10) 투입구(11)의 양 끝단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누름판(230)에 의해 투입구(11)가 고정되고, 제1 마찰이동부(221) 및 제2 마찰이동부(222)에 의해 점착된 투입구(11)가 탈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4f를 참조하면, 제1 마찰이동부(221)의 양 측면에 구비된 누름판(230)이 제1 마찰이동부(221)와 함께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마대(10) 투입구(11)측의 일면을 누름으로써 투입구(11)의 탈착 시 마대(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10) 및 누름판(230)에 의해 고정된 마대(10)는 투입구(11)측의 일면에 접한 제1 마찰이동부(221) 및 타면에 접한 제2 마찰이동부(222)의 마찰이동에 의해 투입구(11)의 점착면이 탈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교정부(241)에 투입구(11)가 접하도록 이송된 마대(10)는 양 끝단이 제1 고정부(2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1과 같이, 이송된 마대(10)는 마대(10)의 두께보다 넓게 벌어진 제1 고정부(21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고정부(210)사이로 이송된 마대(10)는 상술한 각 교정부 및 감지부(250)에 의해 위치 교정이 완료된 후, 도 6의 a2와 같이 제1 고정부(210)가 서로 방향으로 상하 이동되어 접함으로써 마대(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210)의 접하는 면은 볼록부 및 오목부가 서로 교차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부(210)에 의해 마대(10)의 양 끝단 일면 및 타면이 접하도록 고정되면, 도 5와 같이 제1 마찰이동부(221) 및 제2 마찰이동부(222)가 서로 방향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마찰이동부(221)는 하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어 마대(10)의 일면에 접할 수 있으며, 제2 마찰이동부(222)는 상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어 마대(10)의 타면에 접할 수 있다. 이때, 마대(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각각 접하는 제1 마찰이동부(221) 및 제2 마찰이동부(222)는 마대(10)와 접하는 면이 마찰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거칠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거친 사포의 면과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볼록부를 복수개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마대(10)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접한 제1 마찰이동부(221) 및 제2 마찰이동부는 각각 마대(10)의 이송방향인 일 방향 또는 반대방향인 타 방향으로 소정거리 반복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마찰이동부(221) 및 제2 마찰이동부(222)는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소정거리 수평 반복 이동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반복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마찰이동부(221)가 일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 제2 마찰이동부(222)는 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하고, 제1 마찰이동부(221)가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 제 2 마찰이동부(22)는 타 방향에서 일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대(10)의 일면 및 타면과 각각 접한 상태에서 제1 마찰이동부(221) 및 제2 마찰이동부(22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을 반복함으로써, 마대(10)의 점착된 투입구(11)가 탈착될 수 있다. 이후, 투입구(11)가 탈착된 마대(10)는 탈착부(200)의 일 방향에 위치한 개방부(30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개방부(300)로 이송전, 마대(10)의 양 끝단을 고정하고 있던 한 쌍의 제1 고정부(210)가 제1 회전축(211)을 기준으로 마대(10)의 진행방향인 일 방향으로 90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210)의 회전에 의해 마대(10)는 타면이 일 방향으로, 일면이 타 방향으로 위치하고, 투입구(11)가 상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수직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회전된 마대(10)는 이동판(260)이 가이드레일(261)을 따라 일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도 7a과 같이 개방부(300)로 이송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8e를 참조하여 개방부(3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7a 내지 도7e의 b1 내지 b5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면, 개방부(300)는 제2 고정부(310), 흡착부(320) 및 받침부(33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7a을 참조하면, 제2 고정부(310)는 제1 고정부(210)와 동일한 형상인 집게 형상 또는 그리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90도 회전된 제1 고정부(210)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부(310)에 의해 투입구(11)가 탈착된 마대(10)의 양 끝단이 고정되면, 도 7b와 같이 제1 고정부(210)는 고정을 중단하고 본래의 자리인 탈착부(220)로 이동판(260)의 수평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7c에서와 같이 제 2 고정부(31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마대(10) 방향으로, 흡착부(320)가 이동될 수 있다. 동시에 마대(10)의 내측으로 내용물(20) 투입 시, 내용물(20)의 무게에 의해 마대(10)가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받침부(330)가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여 마대(10)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7d를 참조하면, 흡착부(320)는 흡착판(321) 및 그립부(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흡착판(321)의 진공 흡착에 의해 마대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흡착판(321)이 흡착되고, 그립부(322)가 투입구(11)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7e와 같이 그립부(322)가 투입구(11)에 고정된 후, 각각의 흡착부(320)는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투입구(11)를 개방할 수 있다. 상세하게, 마대(10)의 타면에 접하도록 고정된 흡착부(320)는 일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고, 마대(10)의 일면에 접하도록 고정된 흡착부(320)는 타 방향으로 수평 이동됨으로써 투입구(11)가 개방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e의 b1 내지 b5를 확대한 도면인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과 같이 제1 고정부(210)에 의해 개방부(300)로 이송된 마대(10)는 제1 고정부(210)와 동일 형상인 제2 고정부(3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부(310)는 제1 고정부(210)의 하측에 위치되어 마대(10)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부(310)가 마대(10)의 일면 및 타면을 접하도록 고정을 완료하면, 도 8b와 같이 제1 고정부(210)의 고정은 중단되고, 제1 고정부(210)는 탈착부(200) 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8c을 참조하면, 흡착판(321) 및 그립부(322)를 포함하는 한 쌍의 흡착부(320)가 각각 마대(10)의 투입구(11)측 일면 및 타면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흡착판(321)은 마대(10)의 일면 및 타면의 중심 각각에 면으로 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8d를 참조하면, 그립부(322)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마대(10)의 투입구(11)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부(322)가 마대(10)의 투입구(11)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도 8e에서와 같이, 마대(10)의 일면 및 타면 각각에 흡착된 흡착판(321) 및, 투입구(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하고 있는 그립부(322)를 포함하는 흡착부(320)는 각각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투입구(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투입구(11)가 개방될 수 있도록 마대(10)의 양 끝단을 고정하고 있는 제2 고정부(310)도 마대(10)의 중심 방향 즉, 한 쌍의 제2 고정부(310)가 서로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어 투입구(11)의 개방을 도울 수 있다.
이하,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투입부(4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투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투입부(400)는 내용물(20)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410), 보관된 내용물(20)을 미리 지정된 소정 수량 도어부(430)로 이동시키는 진동판(420) 및 소정 수량 이동된 내용물(20)이 마대(10)의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입구를 개방하는 도어부(430) 및 도어부(430)가 개방됨에 따라 투입된 내용물(20)을 마대(10)의 내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4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용물 보관부(410)는 마대(10)에 투입하기 위한 내용물(20)을 보관하는 구성이며, 내용물 보관부(410)로부터 이동된 소정 수량의 내용물(20)은 진동판(420)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진동판(420)에 위치된 소정 수량의 내용물(20)은 진동판(420)의 진동에 의해 미리 지정된 수량만큼 닫혀진 도어부(430)로 이동되어 대기할 수 있다. 이후, 개방부(300)에 의해 마대(10)의 투입구(11)가 가이드부(440) 하측으로 개방되면, 도 9b와 같이 도어부(430)가 개방됨으로써 마대(10)의 내측으로 내용물(20)이 투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은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마대 20: 내용물
100: 이송부 200: 탈착부
300: 개방부 400: 투입부
100: 이송부 200: 탈착부
300: 개방부 400: 투입부
Claims (7)
-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마대(10)를 이송하는 이송부(100);
상기 마대(10)의 점착된 투입구(11)를 탈착하는 탈착부(200);
상기 투입구(11)가 탈착된 마대(10)를 개방하는 개방부(300); 및
개방된 상기 마대(10)의 투입구(11)로 내용물(20)을 투입하는 투입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200)는,
이송된 상기 마대(10)의 투입구(11) 양 끝단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210);
상기 마대(10)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접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점착된 상기 마대(10)의 투입구(11)를 탈착하는 제1 마찰이동부(221); 및 제2 마찰이동부(222);
상기 마대(10)의 위치를 교정하는 제1 교정부(241); 제2 교정부(242); 및 제3 교정부(243); 및
상기 마대(10)에 미리 인쇄된 표식라인(12)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마대(10)의 위치를 검사하는 감지부(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방부(300)는,
탈착된 상기 마대(10)의 투입구(11) 양 끝단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310); 및
상기 투입구(11)의 일면 및 타면을 각각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으로 벌리는 흡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320)는, 상기 투입구(11)의 일면에 및 타면에 각각 흡착되는 흡착판(321) 및 상기 투입구(11)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하는 그립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400)는,
내용물(20)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410);
보관된 상기 내용물(20)을 미리 지정된 소정 수량 이동시키는 진동판(420);
소정 수량 이동된 상기 내용물(20)이 마대(10)의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입구를 개방하는 도어부(430); 및
상기 내용물(20)을 상기 마대(10)의 내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 자동 포장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는,
복수의 마대(10)를 포개어 보관하는 마대 보관부(110);
보관된 복수의 상기 마대(10)중 어느 하나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120);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레일(120)에 의해 상기 마대(10)는 탈착부(200)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 자동 포장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300)는,
상기 내용물(20)이 상기 마대(10)의 내측으로 투입 시,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마대(1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 자동 포장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3951A KR102321976B1 (ko) | 2019-08-23 | 2019-08-23 | 마대 자동 포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3951A KR102321976B1 (ko) | 2019-08-23 | 2019-08-23 | 마대 자동 포장장치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3574A KR20210023574A (ko) | 2021-03-04 |
KR102321976B1 true KR102321976B1 (ko) | 2021-11-04 |
KR102321976B9 KR102321976B9 (ko) | 2022-08-16 |
Family
ID=7517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3951A KR102321976B1 (ko) | 2019-08-23 | 2019-08-23 | 마대 자동 포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197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37510A1 (en) * | 2001-03-02 | 2003-02-27 | Optima Machinery Corporation | Bag manipulating method and assembly for a bag filling sta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93816A (ja) * | 1984-03-12 | 1985-10-02 |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 自動充填装置 |
KR100953709B1 (ko) | 2010-01-25 | 2010-04-19 | 이장순 | 마대 포장장치 |
KR101281557B1 (ko) * | 2011-10-06 | 2013-07-03 | 세진테크 주식회사 | 고속 고정도 계량기 |
KR20160139972A (ko) * | 2015-05-29 | 2016-12-07 | (주)위시코 | 사료 자동 포장 장치 |
-
2019
- 2019-08-23 KR KR1020190103951A patent/KR1023219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37510A1 (en) * | 2001-03-02 | 2003-02-27 | Optima Machinery Corporation | Bag manipulating method and assembly for a bag filling st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1976B9 (ko) | 2022-08-16 |
KR20210023574A (ko) | 2021-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583262B (zh) | 全自动镜片检测、分拣、分类储存系统 | |
CN210364519U (zh) | 一种新型的玻璃面板自动打包机 | |
KR102156351B1 (ko) | 포장 박스로부터 인출되는 물품을 정렬하는 정렬 시스템 | |
KR102134337B1 (ko) | 포장 박스로부터 물품을 인출하는 인출 시스템 | |
GB2234963A (en) | Feeding packaging machines with sheet stacks | |
JP2019517963A (ja) | カートンに緩衝要素を梱包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
KR102321976B1 (ko) | 마대 자동 포장장치 | |
JPH08217236A (ja) | 袋自動解荷供給方法並びにその装置、及び該装置で使用される袋輸送コンテナ、解束装置、トレー | |
CN110654600A (zh) | 电饭煲包装生产线 | |
KR101987628B1 (ko) | 운송장 자동 투입 장치 | |
JP2007297063A (ja) | 積層平海苔束結束方法及び積層平海苔束結束装置 | |
US5862649A (en) |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cans or tubes | |
KR101271456B1 (ko) | 랩 어라운드 포장기의 자동 급지 장치 | |
CN111114926A (zh) | 一种全自动触摸屏检测包装设备及其控制方法 | |
KR102321591B1 (ko) | 번들백 수동 포장장치 | |
KR200475721Y1 (ko) | 자동차용 유리의 포장 장치 | |
JPH08295301A (ja) | 物品包装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JP2001357428A (ja) | 紙葉類処理装置 | |
JP2006273521A (ja) | 容器溝へのガラス板の挿入方法および装置 | |
JPH072481B2 (ja) | 化粧料等の充填・包装装置 | |
CN208683179U (zh) | 一种手机包装线 | |
JP7474531B1 (ja) | 包装用袋の束揃え方法 | |
JP2012232768A (ja) | 選果システム | |
RU2676962C2 (ru) |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мешков машины для наполнения мешков | |
JPH1016910A (ja) | 袋自動梱包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袋積み付け用ロボットのロボットハン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