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180B1 - Prefabricated blind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li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3180B1 KR102313180B1 KR1020190139854A KR20190139854A KR102313180B1 KR 102313180 B1 KR102313180 B1 KR 102313180B1 KR 1020190139854 A KR1020190139854 A KR 1020190139854A KR 20190139854 A KR20190139854 A KR 20190139854A KR 102313180 B1 KR102313180 B1 KR 1023131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connector
- individual
- blind
- spl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90 leftov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파손 시 손쉽게 블레이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에 끈을 엮어 연결하기 위한 끈 연결공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끈에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창문에 블라인드를 설치한 후에 사용 중 부주위로 일부 블레이드가 파손된 경우에 블라인드를 떼어내지 않고도 현장에서 직접 파손된 블레이드만을 손쉽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보강 리브를 갖춘 압출바 형태의 블레이드 내에 삽입되면서 양쪽의 블레이드를 연결시켜주는 새로운 형태의 블레이드 연결구를 구현함으로써, 제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긴밀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연결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며 블레이드측과의 단차나 갭 없이 매끈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등 외관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조립식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lind that can be used by easily replacing the blade when the blade is damaged.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the blade to the string without forming a string connection hole for tying the string to the blad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only the damaged blade on the spot without having to do it, and in particular,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blade connector that connects both blad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xtruded bar-type blade with reinforcing ribs, it is not only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In spite of its low manufacturing cost and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close bond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very easy to connect and disconnect, and it provides an excellent prefabricated blind in terms of appearance, such as showing a smooth appearance without a step or gap with the blade sid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의 파손 시 손쉽게 블레이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li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blind that can be used by easily replacing the blade when the blade is damaged.
일반적으로 조망과 광량의 조절 및 장식재로서의 블라인드는 사무실, 연구실, 공장, 호텔, 레스토랑, 가정 및 기타 건물의 창 등에서 태양광 조절, 방서, 방한, 방음 및 사생활 보호 등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blinds as decorative materials and control of view and light are used for solar control, room and room, cold protection, soundproofing and privacy protection, etc. in windows of offices, laboratories, factories, hotels, restaurants, homes and other buildings.
현재 커튼(Curtain), 세로형의 수직블라인드(Vertical Blind), 가로형의 수평블라인드(Horizontal Blind 또는 Venetian Blind) 및 일반폭의 원단을 원단권취봉으로 감아 올리거나 내리는 롤블라인드(Roll Blind), 원단을 접어 올리거나 내리는 종래의 로만쉐이드(Roman Shade) 및 투명한 커튼지인 망사(Sheer)와 종래의 수직블라인드, 수평블라인드, 로만쉐이드를 직물형태로 결합하여 포근함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기능성을 갖춘 여러 형태의 각종 블레이드가 사용되고 있다.Currently, curtains, vertical vertical blinds, horizontal horizontal blinds (Horizontal Blind or Venetian Blind), and general width fabrics are wound up or down with a fabric winding rod. Various types of blades with various functions while securing coziness by combining the conventional Roman shade and transparent curtain paper that fold up or down in the form of fabric with the conventional vertical blind, horizontal blind, and Roman shade. is being used
근래에는 버티칼이나 블라인드와 같은 차양막 장치가 커튼과는 달리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 깔끔한 인테리어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사무실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shading devices such as verticals and blinds have been widely used in offices, etc. because of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e a neat interior effect due to the relatively small space occupied unlike curtains.
한편, 블라인드는 창문으로 투과되는 햇빛을 차단하고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blinds are widely used to block sunlight transmitted through windows and to protect privacy.
이러한 블라인드는 창문의 실내측에서 차양부재를 상하로 왕복이동되도록 구성하거나,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여 창문을 통하여 투과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종류로는 통상의 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드, 롤 블라인드 등이 있다.These blinds are configured to selectively block sun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window by configuring the shading member to reciprocate up and down on the indoor side of the window, or to move horizontally to selectively block sunlight passing through the window. Roll blinds, etc.
통상 태양열이 벽체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거나 창문 등을 통하여 태양의 빛과 함께 열이 실내로 유입되어 낮 시간에 실내의 온도 상승의 한 요인이 되며, 창문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의 빛을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실내의 온도 상승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다.In general, solar heat enters the room through the wall or heat flows into the room together with the light of the sun through a window, which is a factor in the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room during the daytime. Just by shutting it off, you can block the temperature rise in the room to some extent.
이를 위해, 블라인드가 창틀이나 천정 등에 설치되어, 창문을 통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고, 창틀에 설치된 블라인드의 직물지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blinds are installed on a window frame or a ceiling, etc., and can easily reflect light com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and heat flowing through the fabric of the blind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can be efficiently blocked.
종래에는 블라인드로서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따뜻하고, 편안하며 세련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천이 널리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a cloth made of fabric or non-woven fabric that can effectively block sunlight as a blind and create a warm, comfortable and sophisticated indoor atmosphere has been widely used.
그러나, 블라인드로서 천을 사용할 경우 디자인의 표현성, 실내분위기 연출성 등의 미적 기능은 우수하나, 쉽게 오염되고 때가 타기 쉬운 단점이 있는 등 내구성 측면이나 유지관리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However, when cloth is used as a blind, aesthetic functions such as design expressiveness and interior atmosphere production are excellent, but there are disadvantages in terms of durability and maintenance, such as being easily polluted and easily burned.
최근에는 실내외의 인테리어를 감안하여 장식미를 갖는 블라인드가 개발되었고, 특히 천연 나무의 질감과 무늬를 블라인드에 접목하여 인테리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천연 목재나 합성 목재 등을 소재로 하는 우드 타입 블라인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decorative blinds have been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indoor and outdoor interiors. In particular, wood-type blinds made of natural wood or synthetic wood are widely used to improve interior properties by grafting the texture and pattern of natural wood to the blinds. have.
그러나, 종래의 우드 타입 블라인드는 블레이드를 각도조절 및 개폐를 위한 끈에 엮어 연결하기 위해 블레이드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끈 연결공이 필요하고, 이러한 끈 연결공은 별도의 타공작업에 의해 달성되며, 타공작업은 별도의 인력투입과 함께 타공기계의 구입 및 설치가 수반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wood-type blind requires at least two or more string connection holes on the blade in order to weave and connect the blade to the string for angle adjustment and opening and closing, and these string connection holes are achieved by a separate drilling operation, perforation work is accompanied by the purchase and installation of a perforated machine along with a separate input of manpower.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밖에 없고, 결국 생산성 저하는 물론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있는 등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며, 인건비와 함께 타공기계의 구입 및 설치에 따른 경제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This inevitably takes a long time to work, and eventually leads to inefficiency of work such as a decrease in productivity as well a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또한, 종래의 우드 타입 블라인드는 부주의 등으로 일부 블레이드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현장에서 직접 파손된 블레이드를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블라인드 전체를 교체하거나, 공장으로 보내어 수리를 해야 하는 등 블라인드 교체 및 수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ome blades are damaged or damaged due to carelessness, etc., in the conventional wood-type blind,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replace the damaged blade on the spo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ime and cost are incurred due to the repair.
그리고, 통상의 블라인드는 주문이 들어오면 현장에 직접 방문해서 치수를 잰 후에 치수에 맞춰 나무판을 절단한 다음, 타공작업을 거쳐 블레이드를 완성하게 되는데, 이때 나무판을 절단하고 남은 조각, 즉 자투리가 발생하게 되고, 자투리는 사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지므로 자재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And, when an order is received, a normal blind visits the site and measures the size, then cuts the wooden board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n completes the blade through perfo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ste of materials occurs because the leftovers cannot be used and are discarded as they are.
이와 같이, 종래의 블라인드는 블레이드에 다양한 색상의 변화를 주는 것이 어렵다. As such, in the conventional blind, it is difficult to give various color changes to the blade.
즉, 색상의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원하는 디자인에 맞추어 각각의 블레이드에 색상을 입히는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고, 색상을 준 각각의 블레이드가 준비되면 치수에 맞추어 절단한 후에 타공작업을 거쳐 원하는 디자인의 형태로 각각의 블레이드를 일일이 끈에 엮어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의 어려움 및 특수 주문제작에 따른 비용상승으로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감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change the color, a separate operation is required to color each blade according to the desired design. Since each blade has to be connected by tying each blade individu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ncreases the economic burden on the consumer due to the difficulty of work and the increase in cost due to special order production.
한편, 국제 공개공보 WO2009/084624에는 연결 부재(80)를 이용하여 양쪽의 슬랫(11)을 연결한 구조의『블라인드』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WO2009/084624 discloses a "bli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both
그러나, 상기『블라인드』는 연결 부재(80)와 슬랫(11)의 결합 시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양옆에 홈(32)을 갖는 오목부(31)에 폭협부(22)를 삽입하는 구조인 관계로 서로 간의 결속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고, 결국 오목부(31)와 폭협부(22) 간의 결합력이 약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오목부(31)에는 감합돌기(33)를, 폭협부(22)에는 감합구멍(23)을 각각 형성하여 이들 감합돌기(33)와 감합구멍(23) 간의 체결력을 통해 결합력을 보완하고 있다. However, the “bli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narrow portion 22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31 having the upper portion open and the grooves 32 on both sides when the connecting member 80 and the
이와 같은『블라인드』의 경우, 감합구멍(23)을 갖춘 폭협부(22)를 포함하는 슬랫(11)의 제작이 매우 어렵고, 감합돌기(33)와 홈(32)을 갖춘 오목부(31)를 포함하는 연결 부재(8)의 경우에도 슬라이드 코어를 필요로 하는 등 금형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such a "blind", it is very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또한, 상기『블라인드』의 경우, 연결 부재(80)와 슬랫(11)을 분리할 경우 견고하게 록킹되어 있는 감합돌기(33)와 감합구멍(23)을 강제로 이탈시켜야 하기 때문에 블레이드 교체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감합돌기(33)나 감합구멍(23)이 훼손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lind", when the connection member 80 and the
또한, 상기『블라인드』의 경우, 연결 부재(80)를 이용하여 양쪽 슬랫(11)을 연결 시 슬랫(11)측과 연결 부재(80)측 간에 단차가 조성됨에 따라 외관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차에 코드가 끼이거나 엉키면서 조작에 어려움을 겪을 때가 종종 있고, 또 먼지 등이 쌓이면서 지저분해지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lind”, when both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블레이드에 끈을 엮어 연결하기 위한 끈 연결공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끈에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창문에 블라인드를 설치한 후에 사용 중 부주위로 일부 블레이드가 파손된 경우에 블라인드를 떼어내지 않고도 현장에서 직접 파손된 블레이드만을 손쉽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보강 리브를 갖춘 압출바 형태의 블레이드 내에 삽입되면서 양쪽의 블레이드를 연결시켜주는 새로운 형태의 블레이드 연결구를 구현함으로써, 제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긴밀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연결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며 블레이드측과의 단차나 갭 없이 매끈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등 외관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조립식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blade to the string without forming a string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the string to the blade, and after installing the blind on the window during use In case some blades are damaged by accident,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only the damaged blades on site without removing the blinds. By implementing the blade connector of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xcellent prefabricated blind in terms of appear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립식 블라인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fabricated blin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상기 조립식 블라인드는 다수의 분할형 블레이드와, 상기 분할형 블레이드의 각 개별 블레이드를 하나의 분할형 블레이드로 만들어주는 블레이드 연결구와, 상기 분할형 블레이드를 접거나 펼쳐주기 위한 끈과 조작부를 포함하는 형태로서, 상기 분할형 블레이드는 내부에 블레이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적어도 1열 이상의 보강 리브를 가지면서 속이 빈 압출바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개별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는 끈 홀을 가지는 연결구 본체와, 상기 연결구 본체의 양쪽 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면서 개별 블레이드의 보강 리브의 사이 공간부 내에 블레이드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복수 개의 연결구 결속체로 구성되어, 양편의 개별 블레이드 사이에 블레이드 연결구가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블레이드 연결구의 연결구 결속체가 양편의 개별 블레이드의 공간부 내에 삽입됨에 따라 각각의 개별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하나의 분할형 블레이드를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The prefabricated blind includes a plurality of split-type blades, a blade connector for making each individual blade of the split-type blade into a single split-type blade, and a string and a manipulation unit for folding or unfolding the split-type blade. , The split blad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blades in the form of a hollow extruded bar while having at least one row or more of reinforcing ribs in parallel along the blad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lade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body having a string hole, It is formed in parallel at both ends of the connector body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 binders inserted along the blad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of the individual blades, and the blade connector is arranged side by side between the individual blades on both sides. As the connector binding body of the blad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individual blades on both sides, each individual blade is connected via the blade connector to form one split blade.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의 연결구 본체의 폭 및 두께는 분할형 블레이드의 개별 블레이드의 폭 및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연결구 결속체는 개별 블레이드의 공간부 내에 형합되는 구조로 삽입함으로써, 양편의 개별 블레이드의 표면과 블레이드 연결구의 연결구 본체의 표면은 동일면으로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connector body of the blade connector are made to be the same as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individual blades of the split blade, and the connector binding body is inserted into a structure to fit into the space of the individual blad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s of the individual blades and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of the blade connector are made on the same plan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립식 블라인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fabricated blin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블레이드에 끈을 엮어 연결하기 위한 끈 연결공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끈에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창문에 블라인드를 설치한 후에 사용 중 부주위로 일부 블레이드가 파손된 경우에 블라인드를 떼어내지 않고도 현장에서 직접 파손된 블레이드만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blade to the string without forming a string connecting hole to connect the string to the blade. There is an effect that only damaged blades can be easily replaced and used in the field without any need.
즉, 창문에 블라인드를 설치한 후 사용하는 중에 부주의 등으로 일부 블레이드가 손상되거나 파손된 경우 현장에서 직접 신규 블레이드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기존에 블라인드 전체를 교체하거나 공장으로 다시 가져가 작업자가 일일이 끈에 연결된 멀쩡한 블라인드까지 끈에서 풀어서 분리한 다음, 다시 교체된 블레이드와 함께 끈에 엮어 연결해야만 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없게 되는 등 교체작업의 신속성과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교체 및 수리에 따른 비용부담이 줄어들게 되어 블라인드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other words, if some blades are damaged or damaged due to negligence during use after installing the blinds on the windows,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m with new blades directly on sit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peed and simplicity of the replacement operation, such as removing the need to untie the blinds that are connected to the string one by one from the string and separate them, then weave them together with the replaced blades to the string and connect them again. And the cost burden due to the repair is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lind can be used economically.
둘째, 압출바 형태의 블레이드 내측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블레이드 보강 리브측과 긴밀하게 끼워져 결속되면서 양쪽의 블레이드를 연결시켜주는 새로운 블레이드 연결구를 적용함으로써, 제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경량인 동시에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블레이드 강도 확보는 물론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연결구 간의 긴밀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연결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블레이드측과의 단차나 갭 없이 매끈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등 외관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Second, by applying a new blade connector that connects both blad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xtruded bar-shaped blade and tightly fitted and bound to the blade reinforcement rib, it is easy to manufacture, inexpensive, and lightweight at the same time Despite its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ecure blade strength as well as close coupling between the blade and the blade connector, and it is very easy to connect and disconnect, and it has excellent appearance in terms of appearance, such as showing a smooth appearance without a step or gap with the blade side. It works.
셋째, 새로운 블레이드 연결구와 조합이 가능한 압출바 형태의 블레이드를 적용함으로써, 무게가 무겁고 중간이 처지는 등의 단점이 있는 기존 속이 꽉 차있는 통짜 블레이드 대비 자체 강도 확보는 물론 자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전체의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by applying a blade in the form of an extruded bar that can be combined with a new blade connec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bending by its own weight as well as securing its own strength compared to the existing full blade, which has disadvantages such as heavy weight and sagging in the midd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and lifespan of the entire blind including the back blade.
넷째, 블라인드 연결구 및 끈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블레이드만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색상별로 구비된 다양한 블레이드를 단순히 블레이드 연결구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게 블레이드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블라인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맞추어 다양하게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urth,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connects only the blades while leaving the blind connector and string as it is, the blade can be assembled simply by simply inserting various blades provided for each color into the blade connector. It has the effect of creating a variety of indoor atmospheres, such as being able to change colors in various ways.
다섯째, 블레이드 연결구의 경우 플라스틱 등으로 사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고, 블레이드 연결구의 성형 시 끈을 삽입할 수 있는 끈 홀 또한 함께 성형할 수 있으므로, 블라인드 조립 시 블레이드 연결구를 끈으로 프레임에 연결한 후, 블레이드 타공없이 직접 블레이드 연결구의 양측에 블라인드를 삽입 및 조립하면 블라인드 조립을 완료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시간 단축 및 생산성 향상은 물론 작업이 간편성으로 작업이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공작업을 위한 인건비 및 타공기계 구입에 따른 비용 절감으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fth, since the blade connector can be injection molded with plastic, etc., mass production is possibl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when the blade connector is molded, the string hole into which the string can be inserted can also be molded together, so blind assembly After connecting the blade connector to the frame with a string, inserting and assembling the blinds on both sides of the blade connector directly without drilling the blade can complete the blind assembly. Not only can the efficiency be further increased, but it also has the effect of securing economic feasibility by reducing the labor cost for drilling and the cost of purchasing a drilling machine.
즉, 기존 제품은 블레이드에 타공을 하여 중간실을 넣어서 사용하는 형태이므로 블레이드를 타공하기 위한 고가의 타공기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은 물론, 타공하는 과정에서 파손이나 흠집이 있을 경우 블레이드 1장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조립식 블라인드의 경우 타공기계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흠집이 있는 제품(개별 블레이드)은 제거 후 사용할 수 있고, 또 재료 절감의 효과가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existing product is a type that uses an intermediate thread by making a hole in the blade, it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n expensive drilling machine to punch the blade, and if there is damage or scratches during the drilling process, the entire blade is remov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fabricated blin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require a punching machine, and the product with scratches (individual blades) can be used after removal, and there is an effect of material saving.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라인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efabricated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fabricated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efabricated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블라인드는 사용 중에 일부 블레이드가 파손된 경우에도 현장에서 직접 파손된 블레이드를 새것으로 손쉽게 갈아 끼울 수 있고, 특히 보강 리브를 갖춘 압출바 형태의 블레이드 내에 삽입되면서 양쪽의 블레이드를 연결시켜주는 새로운 블레이드 연결구를 적용함으로써, 긴밀한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자체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단차나 갭이 없는 매끈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1 to 3, the prefabricated blind can easily replace the damaged blade with a new one directly in the field even if some blades are damaged during use, and in particular, in the extruded bar type blade with reinforcing ribs. By applying a new blade connector that connects both blades while being insert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close binding force, increase its own durability, and have a structure that can show a smooth appearance without steps or gaps.
이를 위하여, 상기 조립식 블라인드는 기본적으로 블라인드를 접거나 펼칠 때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를 내장하고 있는 블라인드 프레임(도 4의 도면부호 20)과, 가장 아래쪽의 블레이드를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내려서 각 블레이드를 접어주거나 펼쳐주는 끈(13) 및 각각의 블레이드를 하나씩 받쳐주는 사다리 끈(21)과, 블라인드를 접거나 펼칠 때, 또 블라인드를 닫거나 열기 위해 블레이드 각도를 조절할 때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14a,14b)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prefabricated blind is basically a blind frame (
따라서, 상기 조립식 블라인드는 일반 블라인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위로 접거나 아래로 펼칠 수 있으며, 또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fabricated blind can be folded up or unfolded down by the user's manipulation like a general blind, and the amount of sunligh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blade.
여기서, 상기 구동부, 끈 및 사다리 끈, 조작부 간의 연결 구조는 물론 블레이드와 끈 및 사다리 끈 간의 연결 구조, 그리고 조립식 블라인드의 접음과 펼침, 각도 조절을 위한 조작 방식 등은 일반 블라인드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drive unit, the string and the ladder string, and the operation unit, as well as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blade and the string and the ladder string, and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prefabricated blind, and the operation method for angle adjustment are the same as the general blind, so the detailed description is to be omitted.
또한, 상기 조립식 블라인드는 창문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다수 개의 분할형 블레이드(1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blind includes a plurality of split-
상기 분할형 블레이드(10)는 다수 개의 개별 블레이드(11)가 블레이드 연결구(12)에 의해 일렬로 나란하게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spl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가운데의 개별 블레이드(11)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양옆의 개별 블레이드(11)를 2개의 블레이드 연결구(12)로 연결하여 하나의 분할형 블레이드(10)를 이루도록 한 형태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특히, 상기 분할형 블레이드(10)의 각 개별 블레이드(11)는 속이 빈 압출바 형태, 예를 들면 압출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18)를 갖도록 한 중공의 압출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In particular, each
여기서, 상기 분할형 블레이드(10)를 이루는 개별 블레이드(11)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친환경 소재인 50% 이상의 목분에 고분자수지를 결합하여 나무무늬로 성형해서 만든 합성목재 소재,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소재, 플라스틱 소재 등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Here, various materials can be applied to the
이러한 개별 블레이드(11)의 내부, 즉 공간부(18)에는 블레이드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블레이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적어도 1열 이상의 보강 리브(15), 예를 들면 2열의 보강 리브(15)가 형성된다. At least one row of reinforcing
이때의 보강 리브(15)는 개별 블레이드(11)의 공간부(18)의 천장면과 바닥면을 잇는 동시에 공간부(18)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해서 이어져 있는 형태로서, 개별 블레이드(11)의 압출 성형 시에 일체 성형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이에 따라, 상기 개별 블레이드(11)는 공간부(18)가 적용됨에 따라 무게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음은 물론, 공간부(18) 내에 보강 리브(15)가 적용됨에 따라 길이가 긴 경우에도 자중에 의해 길이 중간이 쳐지지 않는 등 자체적으로 견고한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되고, 결국 개별 블레이드(11)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전체의 내구성 및 수명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weight of the
또한, 상기 조립식 블라인드는 분할형 블레이드(10)의 각 개별 블레이드(11)를 이어주는 수단으로 블레이드 연결구(1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blind includes a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2)는 분할형 블레이드(10)의 각 개별 블레이드(11) 사이에 연결되면서 각각의 개별 블레이드(11)를 하나의 분할형 블레이드(10)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2)는 연결구 본체(17)와 연결구 결속체(19)의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블레이드 연결구(12)는 플라스틱 소재나 합성목재 소재 등에 의한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상기 연결구 본체(17)는 직사각형의 얇은 띠 모양의 블록 형태로서, 이러한 연결구 본체(17)에는 슬릿 형태의 끈 홀(16)이 관통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끈 홀(16)에는 블레이드를 펼쳐주고 접어주기 위한 끈(13)이 통과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 연결구 결속체(19)는 개별 블레이드(11)의 공간부(18) 내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연결구 본체(17)의 양쪽 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연결구 결속체(19)는 개별 블레이드(11)의 공간부(15), 예를 들면 보강 리브(15)의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부(18) 내에 블레이드 길이방향을 따라 진입하면서 공간부(18) 내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The
여기서, 상기 각각의 연결구 결속체(19)는 개별 블레이드(11)의 각 보강 리브(15)의 살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만큼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각 연결구 결속체(19)는 개별 블레이드(11)의 보강 리브(15)의 사이에 조성되는 각 공간부(18) 내에 꼭 맞게 끼워질 수 있게 된다. Here, the respecti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쪽 각 3개씩의 연결구 결속체(19)가 양편 개별 블레이드(11)에 있는 구획된 3개의 공간부(18) 내에 꼭 맞게 끼워져 긴밀하게 결속되는 구조로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three
즉, 상기 연결구 결속체(19)의 두께와 폭의 치수는 각 공간부(18)의 상하 간격 및 좌우 폭의 치수에 상응하는 치수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구 결속체(19)가 공간부(18) 내에 끼워지게 되면 블레이드 연결구(12)측과 개별 블레이드(11)측이 긴밀하게 결속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the thickness and width dimensions of the
물론, 상기 연결구 결속체(19)의 길이는 공간부(18) 내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적당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the length of the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2)가 양편의 개별 블레이드(11)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블레이드 연결구(12)의 연결구 결속체(19)가 양편의 개별 블레이드(11)의 공간부(18) 내에 삽입됨으로써, 각각의 개별 블레이드(11)는 블레이드 연결구(12)를 매개로 연결되어 하나의 분할형 블레이드(10)를 이룰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특히,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2)의 연결구 본체(17)의 폭 및 두께는 분할형 블레이드(10)의 개별 블레이드(11)의 폭 및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In particular,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2)와 개별 블레이드(11) 간의 연결 시 블레이드 연결구(12)의 연결구 결속체(19)가 개별 블레이드(11)의 공간부(18) 내에 형합되면, 블레이드 연결구(12)의 연결구 본체(17)의 양쪽 단부와 양편의 개별 블레이드(11)의 각 단부가 밀착되고, 그 결과 양편의 개별 블레이드(11)의 표면과 블레이드 연결구(12)의 연결구 본체(17)의 표면은 동일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즉,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2)와 개별 블레이드(11)는 서로 간의 결합 시에 단차없는 매끈한 표면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전체의 외관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라인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fabricated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블라인드(100)는 블라인드 프레임(20)을 이용하여 창문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블레이드 연결구(12)를 매개로 한 개별 블레이드(1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분할형 블레이드(10)는 창문의 앞쪽에 위아래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As shown in FIG. 4 , the prefabricated blind 10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ow using a
그리고, 상기 조립식 블라인드(100)의 블라인드 프레임(20)측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끈 중에서 가운데의 1줄의 끈(13)은 블레이드 연결구(12)의 끈 홀(16)을 통해 아래로 연장됨과 더불어 가장 아래쪽에 위치되는 분할형 블레이드(10)의 저면에 결합되고, 양옆의 2줄의 사다리 끈(21)은 각 분할형 블레이드(10)을 하나씩 받쳐줄 수 있게 된다. And, among the string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14a,14b)를 손으로 조작하면, 예를 들면 도면 좌측에 있는 조작부(14a)를 손으로 돌리거나 도면 우측에 있는 조작부(14b)를 손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각각의 분할형 블레이드(1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되고, 또 각각의 분할형 블레이드(10)가 위로 접혀지거나 아래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특히, 상기 여러 개의 분할형 블레이드(10) 중에서 어느 1개가 파손되는 경우, 블레이드 연결구(12)에서 파손된 분할형 블레이드(10)를 빼낸 후, 재차 새로운 분할형 블레이드(10)를 블레이드 연결구(12)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끈(13)을 풀어서 전체 분할형 블레이드(10)를 해제하지 않고도 파손된 분할형 블레이드(10)만 손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li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분할형 블레이드
11 : 개별 블레이드
12 : 블레이드 연결구
13 : 끈
14a,14b : 조작부
15 : 보강 리브
16 : 끈 홀
17 : 연결구 본체
18 : 공간부
19 : 연결구 결속체
20 : 블라인드 프레임
21 : 사다리 끈10: split blade
11: individual blades
12 : blade connector
13 : string
14a, 14b: control panel
15: reinforcing rib
16: string hole
17: connector body
18: space part
19: connector binding body
20: blind frame
21 : Ladder String
Claims (2)
상기 분할형 블레이드(10)는 내부에 블레이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적어도 1열 이상의 보강 리브(15)를 가지면서 속이 빈 압출바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개별 블레이드(11)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2)는 끈 홀(16)을 가지는 연결구 본체(17)와, 상기 연결구 본체(17)의 양쪽 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면서 개별 블레이드(11)의 보강 리브(15)의 사이 공간부(18) 내에 블레이드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복수 개의 연결구 결속체(19)로 구성되어, 양편의 개별 블레이드(11) 사이에 블레이드 연결구(12)가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블레이드 연결구(12)의 연결구 결속체(19)가 양편의 개별 블레이드(11)의 공간부(18) 내에 삽입됨에 따라 각각의 개별 블레이드(11)는 블레이드 연결구(12)를 매개로 연결되어 하나의 분할형 블레이드(10)를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라인드.
A plurality of split-type blades 10, a blade connector 12 for making each individual blade 11 of the split-type blade 10 into one split blade 10, and the split blade 10 In the prefabricated blind including a string 13 and operation parts 14a and 14b for folding or unfolding,
The split blade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blades 11 in the form of a hollow extruded bar having at least one row or more of reinforcing ribs 15 in parallel along the blad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lade connector ( 12) is formed in the space 18 between the connector body 17 having the string hole 16 and the reinforcing rib 15 of the individual blade 11 while being formed in parallel at both ends of the connector body 17.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 binding bodies 19 inserted along the blad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lade connector 12 is arranged side by side between the individual blades 11 on both sides, and the connector binding body 19 of the blade connector 12 ) is inserted into the space 18 of the individual blades 11 on both sides, so that each individual blade 11 is connected via the blade connector 12 to form one split blade 10 Prefabricated blind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2)의 연결구 본체(17)의 폭 및 두께는 분할형 블레이드(10)의 개별 블레이드(11)의 폭 및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연결구 결속체(19)는 개별 블레이드(11)의 공간부(18) 내에 형합되는 구조로 삽입됨으로써, 양편의 개별 블레이드(11)의 표면과 블레이드 연결구(12)의 연결구 본체(17)의 표면은 동일면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라인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connector body 17 of the blade connector 12 are made to be the same as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individual blade 11 of the split blade 10, and the connector binding body 19 is the individual blade. By inserting into a structure to be fitted into the space 18 of (11), the surfaces of the individual blades 11 on both sides and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17 of the blade connector 12 are made in the same plane, characterized in that Prefab blin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9854A KR102313180B1 (en) | 2019-11-05 | 2019-11-05 | Prefabricated bli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9854A KR102313180B1 (en) | 2019-11-05 | 2019-11-05 | Prefabricated blin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4606A KR20210054606A (en) | 2021-05-14 |
KR102313180B1 true KR102313180B1 (en) | 2021-10-15 |
Family
ID=7591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9854A KR102313180B1 (en) | 2019-11-05 | 2019-11-05 | Prefabricated bli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3180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84624A1 (en) | 2007-12-28 | 2009-07-09 | Ibless, Inc. | Blind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0607B1 (en) | 2009-07-22 | 2016-05-12 |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 wood blind |
KR100972038B1 (en) | 2009-12-15 | 2010-07-23 | 문하영 | Wood blind plate and wood blind using the same |
KR101228951B1 (en) | 2010-05-07 | 2013-02-01 | 이선영 |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wood slat of wood blind |
KR101512425B1 (en) | 2014-10-06 | 2015-04-16 | (주)월드브라인드 | Punching device for wood blind apparatus |
KR20170037712A (en) | 2015-09-25 | 2017-04-05 | 주식회사 편백아트 | Wood blind slats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cypress |
KR102206065B1 (en) * | 2017-06-01 | 2021-01-21 | (주)엘지하우시스 | Blind slat assembly having ability of solar generation |
KR101837665B1 (en) | 2017-09-29 | 2018-03-12 | 박효선 | Woodblind slat having antibiotic function and aromatic function and manufacturing thereof |
KR102037152B1 (en) * | 2018-03-16 | 2019-10-28 | 장현석 | Blinds for easy replacement and cleaning |
-
2019
- 2019-11-05 KR KR1020190139854A patent/KR10231318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84624A1 (en) | 2007-12-28 | 2009-07-09 | Ibless, Inc. | Blin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4606A (en) | 2021-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88373B2 (en) | Architectural covering for windows | |
EP2661528B1 (en) | Cellular shade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US12195888B2 (en) | Light-block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101823850B1 (en) | Slatted roller blind | |
KR101945550B1 (en) | Cellular shade having at least two cellular columns | |
CA2601269A1 (en) | Segmented roman window shade | |
KR102313180B1 (en) | Prefabricated blind | |
US20060249261A1 (en) | Removable vane cover fastened to a conventional vertical blind system | |
KR101318073B1 (en) | Blind type twofold fabric curtain | |
US20100300630A1 (en) | Cellular Shade | |
KR20110126529A (en) | Solid curtain with rear backing and roll blind | |
KR101969760B1 (en) | Large-scale duplex glass for shade device | |
KR20110019971A (en) | blind | |
US20080011430A1 (en) | Shade without threading cords | |
KR101969759B1 (en) | Energy-saving shade device | |
TWI695115B (en) | Blinds | |
KR20110065898A (en) | Vertical type curtain | |
KR20240085029A (en) | Pot with enhanced thermal efficiency | |
KR20110041323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vertical type curtain paper | |
KR20120021343A (en) | Roll up sha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