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802B1 - 도킹에 의한 기능 확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도킹에 의한 기능 확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9802B1 KR102319802B1 KR1020150056181A KR20150056181A KR102319802B1 KR 102319802 B1 KR102319802 B1 KR 102319802B1 KR 1020150056181 A KR1020150056181 A KR 1020150056181A KR 20150056181 A KR20150056181 A KR 20150056181A KR 102319802 B1 KR102319802 B1 KR 1023198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performance
- function
- extended
- control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1—Live connection to bus, e.g. hot-plugg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1—Pc I-O input output
- G05B2219/21015—Easy expansion, extension of I-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킹에 의한 기능 확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발명은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판단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기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은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판단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기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킹에 의한 기능 확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군사 분야의 정찰용으로만 활용되던 드론(Drone)이 방송 촬영장비나 환경 보호, 재난 방재 등으로 활용 영역을 넓히는가 싶더니 물류 운송을 넘어 개인 취미용으로까지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용으로 소형화된 드론은 단순 장난감에서 셀프 카메라의 기능이나, 게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동시에 다수의 드론이 집합하여 역할을 분담하여 복잡한 협력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또한, 드론은 사용자가 직접 무선 조종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율적(Autonomous)으로 비행이 제어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드론에는 각종 센서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압력 센서, 초음파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여 더욱 복잡한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소형화된 드론은 손바닥만한 크기로 배터리의 대부분을 비행에 소모하게 되어 많은 연산량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산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고사양의 프로세서와 각종 센서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이를 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전자 장치에 의지할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에 의한 지연 시간이 소요되어 오작동이나 비행에 실패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전자 장치는 태블릿(tablet) 컴퓨터,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이 사용자가 소지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전자 시계(예: smart watch),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 display, HMD)(예: 전자 안경), 전자 신발, 전자 의복 또는 전자 문신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또는 이식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device)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고사양의 프로세서와, 카메라, 메모리,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을 갖추고 있다. 특히 각종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압력 센서, 초음파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무선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휴대형 전자 장치와 연계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종의 전자 장치 간의 도킹에 의해 고성능의 전자 장치가 저성능의 전자 장치의 일부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중복을 제거하여 하드웨어 구성이나 프로세서의 성능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형태의 저가형 전자 장치를 제작할 수 있고, 이를 고성능의 전자 장치와 도킹에 의한 연결로 하드웨어 구성이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도킹에 의한 기능 확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판단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기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와의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가 제1 및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공유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제2 전자 장치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부;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기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을 판단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제1 전자 장치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부;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와의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부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전자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와 통신 세션을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의 전자 장치 간의 도킹에 의해 고성능의 전자 장치가 저성능의 전자 장치의 일부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중복을 제거하여 하드웨어 구성이나 프로세서의 성능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형태의 저가형 전자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저가형 전자 장치에 도킹에 의해 연결되는 고성능의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이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1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제1 전자 장치가 제3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1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제1 전자 장치가 제3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어플리케이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143)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16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164)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상기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210), 통신 모듈(220), 가입자 식별 모듈(224),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 장치(250), 디스플레이(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모듈(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 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및 모터(2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GNSS 모듈(227), NFC 모듈(2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229)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프로세서(2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223), BT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9)는,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9)는,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2) 또는 외장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가속도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컬러(color) 센서(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1)는 AP(2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AP(2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0)은,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2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254), 키(key)(2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2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201)에서 마이크(예: 마이크(2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예: 디스플레이(160))은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도 1의 디스플레이(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60)은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272), USB(universal serial bus)(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6), 또는 D-sub(D-subminiature)(2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전자 장치(201) 혹은 그 일부(예: 프로세서(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2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10)(예: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operation system(OS))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은 커널(320), 미들웨어(33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36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3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서버(예: 서버 106 등)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가능하다.
커널(320)(예: 도 1의 커널(141))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3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3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예: 미들웨어(143))는 런타임 라이브러리(3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3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3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3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3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346),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3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3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3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3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351), 또는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3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344)는 상기 어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345)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는 어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3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348)는,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3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350)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35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3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기능의 조합을 형성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3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360)(예: API(145))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은, 예를 들면, 홈(371), 다이얼러(372), SMS/MMS 373, IM(instant message)(374), 브라우저(375), 카메라(376), 알람(377), 컨택트(378), 음성 다이얼(379), 이메일(380), 달력(381), 미디어 플레이어(382), 앨범(383), 또는 시계(384),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 상,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106 또는 전자 장치(102, 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310)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 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10)는 사용자의 일 부분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419)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42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410)와 도킹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자 장치(410)로부터 제어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될 수 있는 손목시계형이 대표될 수 있으며, 손목시계 스트랩과 같은 액세서리 형태의 보조 구조체(401)로부터 분리 가능한 몸체부(411)를 가지고, 분리된 몸체부(411)를 제2 전자 장치(420)에 도킹하여 연결할 수 있는 도킹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10)는 분리 가능한 몸체부와 도킹부가 포함된 형태의 글래스형, HMD(head-mounted display, HMD)형, 이어폰형, 목걸이형, 신발형, 허리벨트형, 발목 밴드형, 밴드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410)는 제2 전자 장치(42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제공된 몸체부(411)와, 상기 몸체부(411)가 제2 전자 장치(420)와 체결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단자부를 구비하는 도킹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410)는 몸체부(411)의 측면에 카메라(416)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10)의 몸체부(411)는 스트랩 형태의 보조 구조체(401)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보조 구조체(401)로부터 탈착되어 제2 전자 장치(4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구조체(401)는 상기 제1 전자 장치(410)의 몸체부(411)가 도킹될 수 있는 도킹 공간(402)이 마련되고, 도킹 공간(402)의 양 측에 상기 몸체부(411)의 도킹부(412)의 도킹 홈(413)에 체결되는 도킹 돌기(403)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411)와의 분리를 위해 상기 도킹 돌기(403)를 후퇴시키는 분리 버튼(404)이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구조체(401)는 목걸이와 같은 액세서리 형태를 가지고, 목걸이 상에 상기 몸체부(411)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킹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를 가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자 장치(410)의 몸체부(411)와 상기 보조 구조체(401)의 형태나 도킹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4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로터(rotor)(428)가 구비되고, 로터(428)의 구동에 의해 공중에 부유할 수 있는 쿼드콥터(Quad copter) 형태의 드론(Drone)이 대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자 장치(410)보다 더 적은 연산력을 갖고, 더 제한된 인터페이스들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저성능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420)는 저성능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구동 가능한 비행기형, 자동차형, 선박형, 잠수함형, 특정 동물의 형태와 움직임 구현된 동물형 등의 드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420)는 몸체부(421)와, 상기 몸체부(421)의 상측부에 상기 제1 전자 장치(410)의 몸체부(411)가 도킹될 수 있는 도킹 공간(422)과, 상기 도킹 공간(422)의 양 측에 상기 몸체부(411)의 도킹부(412)의 도킹 홈(413)에 체결되는 도킹 돌기(423)와, 상기 도킹 공간(422)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410)가 도킹되었을 때 상기 제1 전자 장치(410)의 단자부와 맞닿아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420)는 제2 전자 장치(420)의 구동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만이 포함될 수 있다.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는 상기 제1 전자 장치(410)보다 더 적은 연산력을 갖고, 더 제한된 인터페이스들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저성능을 가진 제어 모듈과, 구동 모듈,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420)의 단자부(425)는 마이크로 USB 방식에 기초하여 구비되는 단자, 또는 Pogo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구비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420)의 단자부(425)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직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510) 및 제2 전자 장치(520)는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10) 및 제2 전자 장치(4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5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될 수 있는 손목시계형일 수 있으며,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10)와는 디자인적 측면에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510)는 손목시계 스트랩과 같은 액세서리 형태의 보조 구조체(501)로부터 분리 가능한 몸체부(511)를 가지고, 분리된 몸체부(511)를 제2 전자 장치(520)에 도킹하여 연결할 수 있는 도킹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510)는 제2 전자 장치(52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제공된 몸체부(511)와, 상기 몸체부(511)가 제2 전자 장치(520)와 체결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단자부를 구비하는 도킹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510)는 몸체부(511)에 별도의 카메라가 구비되는 않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510)의 몸체부(511)는 스트랩 형태의 보조 구조체(501)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보조 구조체(501)로부터 탈착되어 제2 전자 장치(5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구조체(501)는 상기 제1 전자 장치(510)의 몸체부(511)가 도킹될 수 있는 도킹 공간(502)이 마련되고, 도킹 공단(502)의 양 측에 상기 몸체부(511)의 도킹부(512)의 도킹 홈(513)에 체결되는 도킹 돌기(503)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511)와의 분리를 위해 상기 도킹 돌기(503)를 후퇴시키는 분리 버튼(504)이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자 장치(510)의 몸체부(511)와 상기 보조 구조체(501)의 형태나 도킹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4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로터(rotor)(528)가 구비되고, 로터(528)의 구동에 의해 공중에 부유할 수 있는 쿼드콥터(Quad copter) 형태의 드론(Drone)일 수 있으며,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410)와는 디자인적 측면에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20)는 몸체부(521)와, 상기 몸체부(521)의 상측부에 상기 제1 전자 장치(510)의 몸체부(511)가 도킹될 수 있는 도킹 공간(522)과, 상기 도킹 공간(522)의 양 측에 상기 몸체부(511)의 도킹부(512)의 도킹 홈(513)에 체결되는 도킹 돌기(523)와, 상기 도킹 공간(522)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510)가 도킹되었을 때 상기 제1 전자 장치(510)의 단자부와 맞닿아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20)는 제2 전자 장치(520)의 구동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에 추가적으로 몸체부(521)의 측면에 카메라(526)가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20)의 카메라(526)는 3D 촬영이 가능한 듀얼(Dual) 카메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520)의 단자부(525)는 마이크로 USB 방식에 기초하여 구비되는 단자, 또는 Pogo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구비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20)의 단자부(525)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직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610), 통신부(620), 메모리(630), 센서부(640), 디스플레이부(660), 연결부(670), 스피커(682), 카메라부(691), 전원부(695) 및 제어부(6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 요소가 2 이상의 구성 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10)는 제1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다른 구성 요소들(예: 상기 통신부(620), 상기 메모리(630), 상기 센서부(640), 상기 디스플레이부(660), 상기 연결부(670), 상기 스피커(682), 상기 카메라부(691), 상기 전원부(695) 및 상기 제어부(6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620)는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 세션을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620)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셀룰러 통신(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20)는 상기 연결부(670)를 통한 물리적 접촉 단자에 의한 포고 핀(Pogo Pin)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이나,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30)는 상기 제어부(60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4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압력 센서, 초음파 센서, 이미지 센서, 제스처 센서,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생체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UV(ultra violet) 센서,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60)는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부(691) 또는 통신부(62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30)에 저장되거나, 도킹에 의해 연결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60)는 제1 전자 장치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660)는 도킹에 의해 연결된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70)는 도킹에 의해 연결된 제2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대응 연결부와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670)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부(601)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601)는 상기 연결부(670)의 단자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제2 전자 장치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682)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682)는 도킹에 의해 연결된 제2 전자 장치와 연계한 응용 기능의 소리를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691)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부(691)는 도킹에 의해 연결된 제2 전자 장치와 연계한 응용 기능의 촬영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95)는 제1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695)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여 충전을 진행할 수 있는 충전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프로세서(610)와는 별도로 제공되거나, 프로세서에 전체 또는 일부가 통합될 수 있으며, 제1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 또는 명령을 제공하고, 제1 전자 장치의 구동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제공하고, 또는 제1 전자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1)는 도킹에 의한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기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을 판단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1)는 도킹에 의한 제2 전자 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상기 연결부(670)의 단자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타입 정보, 식별 정보,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구성 요소의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1)는 제2 전자 장치의 결합이 확인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제2 전자 장치가 다른 사용자들과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킹에 의해 연결된 제2 전자 장치와 연계한 응용 기능이 방범용으로 사용되어 보안이 요구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1)는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1)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의 타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입 정보는 제2 전자 장치가 비행기형, 자동차형, 선박형, 잠수함형 및 특정 동물의 형태와 움직임이 구현된 동물형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구분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타입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모델명이나 시리얼 넘버와 같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거나 대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01)는 상기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1)는 상기 메모리(630)에 미리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부(620)를 통해 외부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타입 정보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 종류 및 구성 요소의 성능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601)는 상기 데이터에 제2 전자 장치의 타입 정보와 함께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구성 요소의 성능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1)는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이 판단되면, 상기 판단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기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01)는 상기 판단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상기 메모리(630)에 미리 저장된 제1 전자 장치의 성능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추가 성능 및 대체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확장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가 구동 모듈만으로 구성되었을 경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추가 성능으로 통신부(620)에 의한 기능, 센서부(640)에 의한 기능, 카메라부(691)에 의한 기능 등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가 구동 모듈과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었을 경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대체 성능으로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부의 성능과 제2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부의 성능이 우수하면,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부가 대체 성능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1)는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이 판단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1)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01)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1)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에 따른 타입이 비행기형 드론이면, 비행기형 드론 이외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배제하고 비행기형 드론에서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탐색 결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601)는 상기 통신부(620)를 통해 외부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을 외부 서버에 쿼리(Query)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탐색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601)는 상기 메모리(6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탐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탐색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660)에 아이콘 형태 또는 URL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1)는 상기 탐색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66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관한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601)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옵션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기본 옵션이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옵션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옵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660)의 온오프 여부의 설정이나, 카메라부(691)의 세부 설정으로 플래쉬 기능의 온오프 여부의 설정이나, 제1 전자 장치로 발생하는 전화, 문자, 메시지, 알림 등과 같은 이벤트 기능의 온오프 여부의 설정이나, 상기 디스플레이부(660)에 특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설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1)는 상기 통신부(620)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제3 전자 장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601)는 상기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관한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1)는 상기 제1 전자 장치 또는 제2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3 전자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전자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형태의 응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비행 구동과 상기 제1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프 카메라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비행 구동과 상기 제1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AR(Augmented Reality) 게임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스트림에 게임 요소를 가미한 게임 영상을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게임 사운드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스피커(68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비행 구동과 상기 제1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방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외부의 제3 전자 장치를 통해 실내에 위치한 제2 전자 장치의 비행 구동에 의해 다양한 위치의 실내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실내의 방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3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는 기본 구성 요소로 제어 모듈(701), 스위칭 모듈(702), 배전 모듈(704), 구동 제어 모듈(705), 구동 모듈(706), 메모리(730), 전원 모듈(795) 및 연결 모듈(7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구성 요소는 상기 제1 전자 장치보다 더 적은 연산력을 갖고, 더 제한된 인터페이스들 및 메모리(730)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저성능을 가진 제어 모듈(70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770)은 도킹에 의해 연결된 제1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대응 연결부와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모듈(770)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모듈(702)는 도킹에 의해 제1 전자 장치와 연결되었을 때, 제2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1 전자 장치의 기능으로 대체될 수 있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칭 모듈(702)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도킹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 RC 모듈(703)을 선택하여 상기 RC 모듈(703)을 통해 비행 구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모듈(702)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도킹되어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통해 비행 구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전 모듈(704)는 전원 모듈(795)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구동 모듈(706)의 구동에 적합한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고, 상기 구동 제어 모듈(705)는 구동 모듈(70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모듈(706)은 상기 구동 제어 모듈(705)의 제어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기본 구성 요소에 추가적으로 통신 모듈(720), 센서 모듈(740) 및 카메라 모듈(79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720)은 상기 연결 모듈(770)을 통한 물리적 접촉 단자에 의한 포고 핀(Pogo Pin)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이나,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720)은 블루투스, NFC, RFID, BLE, Wifi-Direct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 모듈(740)은 제2 전자 장치의 자율(Autonomous) 비행 제어에 필요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압력 센서, 초음파 센서, 이미지 센서, IR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740)은 거리에 대한 정밀 측정을 위한 레이저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7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3D 촬영이 가능한 듀얼(Dual) 카메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1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제1 전자 장치가 제3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801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802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도킹에 의한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도킹에 의한 제2 전자 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803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도킹에 의한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에 따라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타입 정보, 식별 정보,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구성 요소의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804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제2 전자 장치가 다른 사용자들과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킹에 의해 연결된 제2 전자 장치와 연계한 응용 기능이 방범용으로 사용되어 보안이 요구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805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의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거나,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타입 정보에 따른 제2 장치의 구성 요소 종류 및 구성 요소의 성능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데이터에 제2 전자 장치의 타입 정보와 함께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구성 요소의 성능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806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기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판단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제1 전자 장치의 성능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추가 성능 및 대체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확장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가 구동 모듈만으로 구성되었을 경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추가 성능으로, 통신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센싱 기능 등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가 구동 모듈과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었을 경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대체 성능으로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 성능과 제2 전자 장치의 카메라 성능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의 카메라 기능이 대체 성능으로 판단될 수 있다.
807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가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901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확장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탐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에 따른 타입이 비행기형 드론이면, 비행기형 드론 이외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배제하고 비행기형 드론에서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탐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전자 장치는 외부 서버와 통신 접속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을 외부 서버에 퀴리(Query)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탐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전자 장치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확장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탐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902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탐색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903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확장 성능에 관한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옵션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기본 옵션이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옵션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옵션은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여부의 설정이나, 카메라부(691)의 세부 설정으로 플래쉬 기능의 온오프 여부의 설정이나, 제1 전자 장치로 발생하는 전화, 문자, 메시지, 알림 등과 같은 이벤트 기능의 온오프 여부의 설정이나, 상기 디스플레이부(660)에 특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설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가 도킹 결합된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10001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제3 전자 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1002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확장 성능에 관한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 또는 제2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3 전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시계형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1a)의 전체 내지 일부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제2 전자 장치의 비행 구동 과정에서 촬영되는 영상 스트림을 표시하는 영상뷰(1110a)와,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1120a)하고, 제2 전자 장치의 제어의 옵션 사항을 표시(1130a)하고, 제2 전자 장치의 속도가 표시(1140a)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잔량 표시(1120a)는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중 보다 적은 배터리 잔량을 표시할 수 있고, 이때의 잔량은 배터리 잔량에 따른 사용 가능 시간에 따른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옵션 사항 표시(1130a)는 카메라의 상태 설정 예컨대, 듀얼 카메라인지 싱글 카메라인지를 설정하거나, 카메라와 연동되는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속도 표시(1140a)는 제1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3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부(1101b)의 전체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영상뷰(1110b), 배터리 잔량 표시(1120b), 옵션 사항 표시(1130b), 속도 표시(1140b)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표시는 도 11의 (a)에서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10, 510: 제1 전자 장치 420, 520: 제2 전자 장치
411, 511: 몸체부 421, 521: 몸체부
412, 512: 도킹부 422, 522: 도킹 공간
413, 513: 도킹 홈 423, 523: 도킹 돌기
411, 511: 몸체부 421, 521: 몸체부
412, 512: 도킹부 422, 522: 도킹 공간
413, 513: 도킹 홈 423, 523: 도킹 돌기
Claims (26)
-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성능과 비교하는 동작과,
상기 비교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을 판단하는 동작과-상기 확장 성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능과 연관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기능이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센서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비행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타입 정보, 식별 정보,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구성 요소의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성능을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성능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추가 성능 및 대체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확장 성능을 판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탐색하는 동작과,
상기 탐색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동작과,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제3 전자 장치를 설정하는 동작과,
상기 설정된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성능에 관한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방법.
-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와의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성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되고, 상기 확장 성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능과 연관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기능이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센서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비행 기능을 포함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타입 정보, 식별 정보,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구성 요소의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3 전자 장치가 제1 및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공유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결합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성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되고, 상기 확장 성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능과 연관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기능이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센서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비행 기능을 포함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성능에 관한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방법.
-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제2 전자 장치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부;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판단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성능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을 판단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성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능과 연관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기능이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센서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비행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타입 정보, 식별 정보,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구성 요소의 성능을 적어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성능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추가 성능 및 대체 성능 증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확장 성능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제3 전자 장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3 전자 장치에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성능에 관한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전자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제공된 보조 구조체와, 상기 보조 구조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와의 결합을 위한 도킹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이고,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드론 장치인 전자 장치.
- 제2 전자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제1 전자 장치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부;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와의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부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전자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성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되고, 상기 확장 성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능과 연관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기능이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센서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비행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타입 정보, 식별 정보,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구성 요소의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3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와 통신 세션을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결합된 제2 전자 장치의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확장 성능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성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되고, 상기 확장 성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기능과 연관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기능이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센서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비행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기본 성능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상기 확장 성능에 관한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181A KR102319802B1 (ko) | 2015-04-21 | 2015-04-21 | 도킹에 의한 기능 확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CN201610251055.9A CN106066611B (zh) | 2015-04-21 | 2016-04-21 | 通过对接对功能进行扩展的方法及其电子装置 |
EP16166463.6A EP3093731B1 (en) | 2015-04-21 | 2016-04-21 | Method for extending function by dock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US15/135,314 US10268239B2 (en) | 2015-04-21 | 2016-04-21 | First electronic device, a second electronic device, a thir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xtension of function by dock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181A KR102319802B1 (ko) | 2015-04-21 | 2015-04-21 | 도킹에 의한 기능 확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5248A KR20160125248A (ko) | 2016-10-31 |
KR102319802B1 true KR102319802B1 (ko) | 2021-11-01 |
Family
ID=5586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6181A KR102319802B1 (ko) | 2015-04-21 | 2015-04-21 | 도킹에 의한 기능 확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268239B2 (ko) |
EP (1) | EP3093731B1 (ko) |
KR (1) | KR102319802B1 (ko) |
CN (1) | CN10606661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1964B1 (ko) * | 2014-11-04 | 2021-05-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CN110474788B (zh) * | 2018-05-11 | 2022-04-15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数据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KR102509071B1 (ko) * | 2018-08-29 | 2023-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CN110244620A (zh) * | 2019-06-18 | 2019-09-17 | 北京控制与电子技术研究所 | 一种基于fpga的集成化数字配电控制器 |
CN110989457A (zh) * | 2019-12-23 | 2020-04-10 | 广东速美达自动化股份有限公司 | 一种io点数的扩展方法 |
CN117499928A (zh) * | 2022-07-26 | 2024-02-0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设备安全处理方法及电子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40689A (ja) * | 2005-11-15 | 2007-06-07 | Canon Inc | Usbホスト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02756B2 (en) * | 2000-02-14 | 2010-09-28 | Aerovironment Inc. | Aircraft control system |
FR2817631B1 (fr) * | 2000-12-05 | 2003-08-01 | Philippe Waquet | Systeme de telecommande d'un vehicule sans pilote |
US7280100B2 (en) * | 2001-10-11 | 2007-10-09 | Palm, Inc. | Accessory module for handheld devices |
US20140254896A1 (en) * | 2011-07-18 | 2014-09-11 | Tiger T G Zhou | Unmanned drone, robot system for delivering mail, goods, humanoid security, crisis negotiation, mobile payments, smart humanoid mailbox and wearable personal exoskeleton heavy load flying machine |
DE10328359A1 (de) * | 2003-06-24 | 2005-01-20 | Infineon Technologies Ag | Modular aufgebautes Mikroelektronik-System zum Gebrauch in "wearable electronics" |
EP2074822A4 (en) * | 2006-10-13 | 2010-07-21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INTERFACE SYSTEMS FOR PORTABLE DEVICE FOR STORING AND PLAYING DIGITAL MEDIA |
CN101282462B (zh) * | 2008-05-07 | 2010-06-16 | 上海芜津消防设备有限公司 | 便携式多功能音视频搜索仪 |
FR2938774A1 (fr) * | 2008-11-27 | 2010-05-28 | Parrot | Dispositif de pilotage d'un drone |
CN101833286A (zh) * | 2009-03-13 | 2010-09-15 | 王俊锋 | 一种智能家居控制器 |
US20100251243A1 (en) * | 2009-03-27 | 2010-09-30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he execution of applications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
GB2479739A (en) * | 2010-04-20 | 2011-10-26 | Tomasz Baryiski | Docking Apparatus for a Touch-Screen Computer |
WO2011153341A1 (en) * | 2010-06-03 | 2011-12-08 | Alesis, L.P. | Audio input and output dock for a tablet computer |
TWI594128B (zh) * | 2010-07-10 | 2017-08-01 | 鄭尚澈 | 可更換智慧核心元件之智慧平台 |
CN201780533U (zh) * | 2010-09-17 | 2011-03-30 | 航天恒星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飞行器的手持控制显示终端 |
US8787006B2 (en) * | 2011-01-31 | 2014-07-22 | Apple Inc. |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
US8601195B2 (en) * | 2011-06-25 | 2013-12-03 |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 Primary display with selectively autonomous secondary display modules |
US9250630B2 (en) | 2011-08-16 | 2016-02-02 | Unmanned Innovation, Inc. | Modular flight management system incorporating an autopilot |
CN103121516B (zh) * | 2011-11-18 | 2015-04-22 | 上海宇航系统工程研究所 | 一种可更换模块对接装置 |
CN102520656A (zh) * | 2011-12-16 | 2012-06-27 | 新时代集团国防科技研究中心 | 一种用于无人飞行器智能总线伺服电机的实现方法 |
US20130163195A1 (en) * | 2011-12-22 | 2013-06-27 | Nvidia Corporatio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operations on data utilizing a computation module |
KR101980643B1 (ko) * | 2012-01-27 | 2019-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FR2988618B1 (fr) * | 2012-03-30 | 2014-05-09 | Parrot | Estimateur d'altitude pour drone a voilure tournante a rotors multiples |
GB2501676A (en) | 2012-03-30 | 2013-11-06 | Torquing Technology Ltd | Autonomous cell control system |
CN102662904B (zh) * | 2012-04-06 | 2015-01-21 | 哈尔滨工业大学 | 一种基于can总线的即插即用系统及其设计方法 |
US9436220B2 (en) * | 2012-05-04 | 2016-09-06 | Jpmorgan Chase Bank, N.A. |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
US20140008496A1 (en) | 2012-07-05 | 2014-01-09 | Zhou Ye | Using handheld device to control flying object |
KR102019130B1 (ko) * | 2012-07-22 | 2019-09-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9518821B2 (en) * | 2012-08-02 | 2016-12-13 | Benjamin Malay | Vehicle control system |
US20140282103A1 (en) * | 2013-03-16 | 2014-09-18 | Jerry Alan Crandall | Data sharing |
CN103235599A (zh) * | 2013-04-10 | 2013-08-07 | 东南大学 | 基于智能手机的飞行控制系统 |
CN103217984B (zh) * | 2013-04-22 | 2016-01-20 | 杨建军 | 基于手持终端的无人飞行器控制指令发送/接收方法及设备 |
US9629220B2 (en) * | 2013-08-05 | 2017-04-18 | Peter Panopoulos | Sensor-based controllable LED lighting system with repositionable components and method |
KR102088018B1 (ko) * | 2013-09-03 | 2020-05-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기기간 연동 방법 및 장치 |
CN204216958U (zh) * | 2014-10-22 | 2015-03-18 | 广东美嘉欣玩具有限公司 | 一种与玩具遥控器相匹配的手机支架 |
CN104326083B (zh) * | 2014-11-24 | 2016-04-13 | 宁波达鹏无人机科技有限公司 | 一种支持添加扩展模块的无人机 |
US20160282915A1 (en) * | 2015-03-23 | 2016-09-29 | Motorola Mobility Llc | Thermal mitigation for modula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2015
- 2015-04-21 KR KR1020150056181A patent/KR10231980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4-21 EP EP16166463.6A patent/EP3093731B1/en active Active
- 2016-04-21 CN CN201610251055.9A patent/CN106066611B/zh active Active
- 2016-04-21 US US15/135,314 patent/US1026823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40689A (ja) * | 2005-11-15 | 2007-06-07 | Canon Inc | Usbホスト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268239B2 (en) | 2019-04-23 |
CN106066611A (zh) | 2016-11-02 |
CN106066611B (zh) | 2021-04-06 |
EP3093731B1 (en) | 2020-06-17 |
EP3093731A2 (en) | 2016-11-16 |
KR20160125248A (ko) | 2016-10-31 |
US20160313764A1 (en) | 2016-10-27 |
EP3093731A3 (en) | 2017-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2353B1 (ko) |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 |
KR102415898B1 (ko) | 외부장치 연결에 따른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102264806B1 (ko) |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
KR102493721B1 (ko) |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US10812418B2 (en) | Message generation method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 |
US11159782B2 (en) | Electronic device and gaze track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
US10437357B2 (en) | Electronic device,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f electronic device | |
KR102458532B1 (ko) | 위치 판단 방법 및 장치 | |
US10916049B2 (en) | Device and method for rendering image | |
KR102391487B1 (ko) | 충전 및 데이터 통신 경로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 |
KR102319802B1 (ko) | 도킹에 의한 기능 확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
ES2789273T3 (es) | Dispositivo electrónico y sistema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ón que incluye el mismo | |
US1100604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omnidirectional video | |
KR20160114930A (ko) | 모듈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KR102373469B1 (ko) |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 |
KR20180064717A (ko) | 콘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317831B1 (ko) | 다중 데이터의 배칭 처리 방법 및 장치 | |
US10931322B2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US9949064B2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1072556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ontrolling accessory | |
KR102514730B1 (ko) | 데이터와 시간 정보를 연관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KR102328449B1 (ko)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70028703A (ko) | 영상 촬영 및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US11210828B2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guide | |
EP3407671B1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network conn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