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569B1 -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8569B1 KR102318569B1 KR1020190133110A KR20190133110A KR102318569B1 KR 102318569 B1 KR102318569 B1 KR 102318569B1 KR 1020190133110 A KR1020190133110 A KR 1020190133110A KR 20190133110 A KR20190133110 A KR 20190133110A KR 102318569 B1 KR102318569 B1 KR 1023185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ltivation
- control panel
- coupled
- moisture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는 히터가 구비된 건조기 및 물이 보관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건조모듈, 상기 건조모듈 상부에 결합되어 수분과 열을 상부로 전달하는 제어패널, 상기 제어패널 상부에 결합되는 집수판, 상기 집수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식물 재배 공간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재배모듈 및 상기 재배모듈 중 최상단의 재배모듈에 결합되는 커버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패널에는 상기 저수조의 수분을 상부로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팬 및 상기 히터의 열을 상부로 전달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온도조절도어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재배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고 실내에서 버섯 재배가 가능한 모듈화된 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균류 중에서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체를 형성하는 무리의 총칭으로, 총 2만여 종이 있으며 이중 1800여 종이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버섯은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는 한편, 아미노산, 식이섬유, 비타민, 철, 아연 등의 영양분이 풍부하여 장내의 유해물, 노폐물, 발암 물질을 배설하고 혈액을 깨끗하게 하며 칼슘의 흡수를 돕고 면역 기능을 높여 감염이나 암을 예방하는 특성이 있어, 식품·약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 판매되는 버섯의 대부분은 농가에 의해서 재배된 것으로, 농가에서는 습도와 온도가 조절되는 하우스 등의 대규모의 시설에서 버섯 재배 장치를 이용하여 버섯을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인이 가정이나 사무 실내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1인 가족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고,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관심 또한 크게 증가하여, 가정 내에서 소량의 농산물을 재배하여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버섯은 건강에 유익하여 그 수요가 많으나, 일반적으로 1회 소비량이 많지 않고, 버섯이 방사능 등에 쉽게 오염되는 작물이라는 오해로 인해 섭취를 꺼리는 사람도 다수 존재한다.
또한, 버섯은 생으로 이용하는 경우보다 건조 후에 찌개, 국 등의 국물요리 및 나물 요리 등에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냉동실에 보관하여 소량씩 꺼내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냉동실에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신선도에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영양소의 파괴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실내에서 간단하게 버섯을 재배할 수 있고, 또한 간편하게 건조하여 요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버섯 재배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간편하게 필요한 양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고, 또한, 이를 쉽게 건조하여 활용할 수 있는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는 히터가 구비된 건조기 및 물이 보관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건조모듈, 상기 건조모듈 상부에 결합되어 수분과 열을 상부로 전달하는 제어패널, 상기 제어패널 상부에 결합되는 집수판, 상기 집수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식물 재배 공간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재배모듈 및 상기 재배모듈 중 최상단의 재배모듈에 결합되는 커버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패널에는 상기 저수조의 수분을 상부로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팬 및 상기 히터의 열을 상부로 전달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온도조절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모듈에는 상기 히터의 열을 상부로 공급하기 위한 열공급팬이 구비되고, 상기 저수조에는 미세 수분 입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되 외주면이 상부로 돌출된 관형상의 공기흡입통 및 상기 공기흡입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판은 상기 공기흡입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수분공급팬 및 상기 온도조절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통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모듈은 전방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 재배 대상 식물이 놓이는 거치대 및 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부에 구비되는 구획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판의 상부면은 상기 관통홀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판의 하부면은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향수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버섯 재배량 조절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는 버섯이 재배되는 공간의 모듈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모듈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재배량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버섯의 건조가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는 하단에 건조기가 결합되어, 상부에서 재배된 버섯을 손쉽게 건조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조기의 히터를 이용하여 재배장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어, 재배기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버섯의 재배와 건조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실내 습도 조절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는 진동자로 물을 진동시켜 미소 물방울을 공기중에 방출하여 버섯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이를 실내 가습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모듈, 제어패널 및 집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모듈, 제어패널 및 집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는 건조모듈(100), 상기 건조모듈(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어패널(200), 상기 제어패널(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집수판(300), 상기 집수판(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재배 모듈(401 ~ 404) 및 상기 복수의 재배모듈(401 ~ 404) 중 최상부의 재배모듈(404)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판(500)으로 구성된다.
이하 각각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건조모듈(100)은 식품 건조가 가능한 건조기(150)를 포함하되,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150)는 전방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151)를 포함하고, 내부에 건조 공간이 마련되되, 내부에는 건조대상물이 거치되고 고온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건조망(15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150)의 일측면에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건조팬(152)이 구비되고, 상기 건조팬(152)의 후단에는 히터(153)가 위치한다.
상기 건조기(150)에는 상기 히터(153) 및 건조팬(15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온도 센서(미도시), 타이머(미도시) 및 제어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기(150)의 히터(153)가 구비된 외측 상부에는 추가적인 온도조절팬(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팬(110)은 히터(153)의 열을 상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건조기(150)의 후단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저수조(160)가 구비된다. 상기 저수조(160)의 내부에는 한 개 이상의 진동자(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모듈(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어패널(2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제어패널(200)의 하부에는 결합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건조모듈(100)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200)은 공기흡입통(230), 수분공급팬(220) 및 온도조절도어(21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흡입통(230)은 상부로 돌출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저수조(16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통(23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관통홀(23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231)은 이후 설명하게 될 집수판(300)에 의해 수집된 물이 상기 관통홀(231)을 따라 상기 저수조(160)로 모이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패널(200)에는 상기 저수조(160)의 상부 영역에 상기 공기흡입통(23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분공급팬(220)이 구비된다.
상기 수분공급팬(220)은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160) 내부의 진동자에 의해 미세 수분 입자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상기 제어패널(200)의 상부에 구비된 재배모듈(400)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200)에는 상기 온도조절팬(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온도조절도어(210)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조절도어(210)는 상기 온도조절팬(110)의 동작시 개방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히터(153)의 열을 상기 온도조절팬(110)에 의해 상기 재배모듈(4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어패널(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집수판(30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집수판(300)에는 관통공(310)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310)에는 상기 제어패널(200)의 공기흡입통(23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관통공(310)은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패널(200)의 관통홀(231)이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판(300)의 상부면은 상기 관통공(310)을 향해 경사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패널(200)의 수분공급팬(220) 및 온도조절도어(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기홀(320)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홀(320)의 외주면은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집수판(300)에 모인 물이 상기 통기홀(320)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상기 관통공(310)으로 모두 모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수판(300)에 의한 물의 회수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저수조(160) 내부의 진동자에 의해 미세 수분 입자가 발생하고, 상기 제어패널(200)의 수분공급팬(220)에 의해 상기 집수판(300)의 통기홀(320)을 따라 상기 재배모듈(400)로 수분이 공급된다.
상기 재배모듈(400)로 공급된 수분은 내부 온도 및 습도 등에 따라 상기 재배모듈(400)의 벽면에 응결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재배모듈(400)의 상부의 커버판(500)에 응결될 수 있다. 응결된 물은 상기 재배모듈(400)의 측벽을 타고 상기 집수판(300)에 모인 후 상기 집수판(300)의 관통공(310)을 거쳐 상기 제어패널(200)의 관통홀(231)을 지나 저수조(160)로 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판(500)의 하부면은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응결된 물을 상기 재배모듈(400)의 측벽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재배모듈(40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재배모듈(400)은 상기 집수판(3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재배모듈(400)의 하부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재배모듈(400)의 돌출부가 상기 집수판(300)의 외주면 홈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재배모듈(400) 사이의 결합 또한 돌출부와 홈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재배모듈(400)은 한 개 이상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이때 재배모듈(400)의 개수는 다른 가구의 형상과 높이 및 요구되는 버섯의 재배량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재배모듈(400)은 전방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410), 버섯이 위치하는 거치대(420) 및 상기 재배모듈(400)의 상하에 위치하는 구획망(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상단의 재배모듈(400) 상부에는 커버판(500)이 결합된다. 상기 커버판(500)에는 커버홀(510)이 형성되어 내외부의 공기가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커버판(500)의 하부면은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모듈(400)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습도 및 온도 측정 센서(미도시)가 각 재배모듈(400) 및/또는 커버판(500)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센서들과 연결된 제어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기 설정된 온도 및 습도 값을 기준으로 상기 측정 센서 값에 기초하여 진동자, 수분공급팬(220), 온도조절도어(210) 및 히터(153)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배모듈(400)의 습도가 낮은 경우 진동자를 작동시켜 수분을 발생시키고, 수분공급팬(220)을 동작시켜 재배모듈(400) 내부에 수분을 공급한다. 또한, 재배모듈(40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상기 히터(153)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온도조절도어(210)를 개방한 후 온도조절팬(110)을 가동하여 상기 재배모듈(400) 내부로 열을 공급한다. 반대로 재배모듈(400)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는 히터(153)의 작동없이, 온도조절도어(210)를 개방한 후 온도조절팬(110)을 가동하여 내부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건조기(150)에는 별도의 제어기 및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건조기(150)의 동작에 따라 히터(153) 및 건조팬(15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는 버섯의 재배가 용이하고, 재배된 버섯을 손쉽게 건조할 수 있으며, 재배공간의 변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건조모듈
110: 온도조절팬
150: 건조기
151: 도어
152: 건조팬
153: 히터
154: 건조망
160: 저수조
200: 제어패널
210: 온도조절도어
220: 수분공급팬
230: 공기흡입통
231: 관통홀
300: 집수판
310: 관통공
320: 통기홀
400: 재배모듈
410: 도어
420: 거치대
430: 구획망
500: 커버판
510: 커버홀
110: 온도조절팬
150: 건조기
151: 도어
152: 건조팬
153: 히터
154: 건조망
160: 저수조
200: 제어패널
210: 온도조절도어
220: 수분공급팬
230: 공기흡입통
231: 관통홀
300: 집수판
310: 관통공
320: 통기홀
400: 재배모듈
410: 도어
420: 거치대
430: 구획망
500: 커버판
510: 커버홀
Claims (7)
- 히터가 구비된 건조기 및 물이 보관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건조모듈;
상기 건조모듈 상부에 결합되어 수분과 열을 상부로 전달하는 제어패널;
상기 제어패널 상부에 결합되는 집수판;
상기 집수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식물 재배 공간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재배모듈; 및
상기 재배모듈 중 최상단의 재배모듈에 결합되는 커버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패널에는 상기 저수조의 수분을 상부로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팬 및 상기 히터의 열을 상부로 전달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온도조절도어가 구비된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모듈에는 상기 히터의 열을 상부로 공급하기 위한 온도조절팬이 구비되고, 상기 저수조에는 미세 수분 입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자가 더 포함되는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되 외주면이 상부로 돌출된 관형상의 공기흡입통; 및
상기 공기흡입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판은
상기 공기흡입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수분공급팬 및 상기 온도조절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통기홀;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모듈은
전방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
재배 대상 식물이 놓이는 거치대; 및
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부에 구비되는 구획망;을 포함하는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판의 상부면은 상기 관통홀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의 하부면은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110A KR102318569B1 (ko) | 2019-10-24 | 2019-10-24 |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110A KR102318569B1 (ko) | 2019-10-24 | 2019-10-24 |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8878A KR20210048878A (ko) | 2021-05-04 |
KR102318569B1 true KR102318569B1 (ko) | 2021-10-29 |
Family
ID=7591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3110A KR102318569B1 (ko) | 2019-10-24 | 2019-10-24 |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856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5194B1 (ko) | 2012-12-03 | 2014-05-15 | 주식회사 하츠 | 실내용 식물재배기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1624B1 (ko) * | 2010-09-08 | 2013-02-15 | 주식회사 두두비전 | 엘이디를 이용한 가정용 식물배양장치 |
KR101308664B1 (ko) * | 2011-02-18 | 2013-09-13 | 유재섭 | 수경 재배기 |
KR20130049070A (ko) * | 2011-11-03 | 2013-05-13 | 김훈 | 두채류 재배기 |
KR101451343B1 (ko) * | 2013-01-29 | 2014-10-16 | 조수희 | 버섯 및 새싹 재배를 위한 장치 |
KR101687878B1 (ko) * | 2014-12-22 | 2017-01-03 | 이승민 | 식물재배장치 |
JP2017151744A (ja) | 2016-02-25 | 2017-08-31 | シナノケンシ株式会社 | 間取り図作成方法 |
KR101941091B1 (ko) * | 2017-04-24 | 2019-04-12 | 최정심 |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
-
2019
- 2019-10-24 KR KR1020190133110A patent/KR1023185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5194B1 (ko) | 2012-12-03 | 2014-05-15 | 주식회사 하츠 | 실내용 식물재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8878A (ko) | 2021-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3352B1 (ko) | 애벌레 대량 사육 장치 | |
KR101755812B1 (ko) | 식물을 재배하는 다단형 학습용 식물재배장치 | |
KR101820408B1 (ko) | 버섯재배장치 | |
KR101753346B1 (ko) | 애벌레 사육 장치 | |
CN106386269A (zh) | 一种立式室内种植箱 | |
CN106069702A (zh) | 一种芽苗菜智能生产系统 | |
KR102318569B1 (ko) |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 |
RU188785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 |
KR20090126914A (ko) | 가정용 비닐하우스 | |
KR20160054947A (ko) | 버섯 재배 겸용 곤충 사육 키트 | |
CN208798428U (zh) | 一种蝴蝶兰培育的保温加湿装置 | |
KR101486945B1 (ko) | 버섯재배장치 | |
KR101486949B1 (ko) | 버섯재배장치 | |
RU2676316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 |
CN208095495U (zh) | 一种家庭食用菌种植箱 | |
KR102718184B1 (ko) | 두부 폐기물을 처리하는 곤충사육장치 | |
KR20130142753A (ko) | 무동력 버섯 재배기 | |
KR101846618B1 (ko) | 피톤치드 방출을 위한 화분 거치 시스템 | |
CN2847846Y (zh) | 便携式塑料保温蜂箱 | |
CN209268068U (zh) | 一种农业种子培育存放装置 | |
KR101820415B1 (ko) | 버섯재배장치 | |
CN205884071U (zh) | 一种智能家居蘑菇柜 | |
KR101666194B1 (ko) | 피톤치드 향을 발하는 향가습기와 연동되어 적용되는 식물재배기 | |
CN215912997U (zh) | 一种果园越冬瓢虫保护装置 | |
EA036252B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