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6486B1 -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486B1
KR102316486B1 KR1020180148371A KR20180148371A KR102316486B1 KR 102316486 B1 KR102316486 B1 KR 102316486B1 KR 1020180148371 A KR1020180148371 A KR 1020180148371A KR 20180148371 A KR20180148371 A KR 20180148371A KR 102316486 B1 KR102316486 B1 KR 102316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ath
overvoltage
st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687A (ko
Inventor
홍성주
김정욱
남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4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486B1/ko
Priority to EP19890914.5A priority patent/EP3708405B1/en
Priority to CN201980006831.0A priority patent/CN111527004B/zh
Priority to JP2020533598A priority patent/JP7062172B2/ja
Priority to US16/958,941 priority patent/US11437837B2/en
Priority to PCT/KR2019/012462 priority patent/WO2020111481A1/ko
Publication of KR2020006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용 배터리의 전압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류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서로 다른 그라운드(GND) 위치를 가지는 두 개의 ADC에서 계측하는 전압 값 간의 차이 발생 유무에 따라 과전압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를 인식하여 다음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Driving system of starting battery and method of recognizing off-state of external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동용 배터리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전류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온난화 등과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환경 문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필요성과 요구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전기로 동력을 얻어 구동하는 전기자동차나 전기이륜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시동용 배터리는 엔진 시동을 위한 배터리로서, 시동 이후에는 엔진에 의해 충전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동용 배터리는 전기자동차나 전기이륜차에 탑재되어 엔진시동을 가능케 하고, 시동 이후에는 엔진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엔진이 비안정 상태(Unregulated status)인 경우 시동용 배터리를 안전전압 이상까지 충전시키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리튬 이온 전지로 이루어진 시동용 배터리의 경우 안전전압 이상으로 충전되면 폭발 등과 같은 위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이용하여 안전전압 이상으로 충전되지 못하게 하는 제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은 전류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통해 충/방전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여 시동용 배터리가 안전전압 이상으로 충전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전류센서를 구비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허문헌 1) KR10-2009-0047181 A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류센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여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들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배터리 셀들의 과전압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과전압 판단부; 상기 배터리 셀들과 외부 시스템 간의 충전전류가 흐르는 메인 경로인 제1 경로 상에 구성되어, 충전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충전 FET;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 셀들로 충전전류가 흐르며 상기 제1 경로와 병렬로 형성되는 제2 경로 상에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 셀들의 충전전류를 소비하는 제1, 2 전류 제한부;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의 변화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들이 연결되는 외부 시스템의 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시스템 오프 판단부; 상기 과전압 판단부 및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충전 FET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압 측정부는, 제1 전압 측정부 및 제2 전압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전압 측정부 및 제2 전압 측정부의 그라운드(GND)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압 측정부의 그라운드(GND)는, 상기 제1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전압 측정부의 그라운드(GND)는, 상기 제2 경로 상에 구성되는 제1, 2 전류 제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전압 판단부는, 상기 제1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 셀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충전 FET 제어부로 과전압 판단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충전 FET 제어부는, 상기 과전압 판단부로부터 과전압 판단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충전 FET를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충전 FET 제어부에 의해 충전 FET가 오프(Off)됨에 따라, 상기 제1 경로를 통해 배터리 셀들로 흐르던 충전전류가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경로 상에 구성되는 제1, 2 전류 제한부는,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소비하여 배터리 셀들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배터리 셀들의 충전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에 의해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부는, 상기 과전압 판단부로부터 과전압 판단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배터리 셀들의 과전압 상태를 인식하고, 과전압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전압 상태 인식부; 상기 과전압 상태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과전압 상태 신호에 의해 배터리 셀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인식되면, 그 시점부터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 간의 차이 발생 유무를 감지하여 외부 시스템의 오프(Off) 상태를 판단하는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는,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 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변화한 것으로 감지되면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충전 FET 제어부로 시스템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 FET 제어부는, 상기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로부터 시스템 오프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충전 FET를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는, 각각 바이패스 저항(By Pass resistor)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에 따른 시동용 배터리 구동 시스템에서 배터리 셀들의 과전압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 오프(Off)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은,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배터리 셀들의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전압 측정단계; 상기 과전압 판단부에서, 상기 전압 측정단계를 통해 제1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배터리 셀들이 과전압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전압 판단단계; 상기 충전 FET 제어부에서, 상기 과전압 판단단계를 통해 배터리 셀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를 오프(Off) 시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 셀들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부에서, 상기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에 의해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가 오프 됨에 따라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되는 전압 값이 동일한 상태가 되는지를 감지하는 전압 값 동일여부 감지단계; 상기 전압 값 동일여부 감지단계에서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된 전압 값이 동일한 값인 상태가 된 것으로 감지되면,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시스템 오프 판단단계; 상기 충전 FET 제어부에서,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단계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를 온(On) 시키는 충전 FET 온 제어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에서,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가 오프 됨에 따라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충전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경로 상에 구비된 제1, 2 전류 제한부에 의해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이 서로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전류센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배터리의 과전압 상태에서 시스템 오프 상태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배터리의 과전압 상태에서 시스템 오프 상태를 인식함으로써 다음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제 회로도이다.
도 3 내지 5는 상기 도 2에서 나타나는 각 충전전류 흐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2 ADC 간의 전압 차 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제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동용 배터리의 전압 인식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1. 배터리 셀(100)
본 발명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00)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셀(100)들은, 전기자동차나 전기이륜차의 엔진 시동을 위한 충전전류를 공급하며, 시동 이후에는 엔진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진다.
1.2. 전압 측정부(200)
전압 측정부는, 상기 배터리 셀(100)들의 전압을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제1 전압 측정부(200a) 및 제2 전압 측정부(20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전압 측정부(200a) 및 제2 전압 측정부(200b)는 같은 전압을 측정하되, 그라운드(GND)가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전압 측정부(200a, 200b)는 각각 ADC(Analog-to-Digital)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압 측정부(200a)의 그라운드(GND)는 셀 그라운드(GND)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압 측정부(200b)의 그라운드(GND)는 후술할 바이패스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 측정부(200a) 및 제2 전압 측정부(200b)의 그라운드(GND)를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하는 것은, 이러한 연결을 통해 나타나는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 간의 전압 차 발생 유무에 따라 배터리 셀(100)들의 과전압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후술할 시스템 오프 판단부(170) 설명 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3. 과전압 판단부(300)
과전압 판단부는, 상기 전압 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배터리 셀(100)들의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배터리 셀(100)들의 과전압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비교 결과, 상기 전압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배터리 셀(100)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후술하는 충전 FET 제어부(600) 및 과전압 상태 인식부(71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과전압 판단부는, 배터리 셀(100)들의 과전압 상태 판단을 위해 상기 제1 전압 측정부(200a)에서 계측하는 전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그라운드(GND)의 위치를 가지는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각각 계측하는 전압 값이 달라지는 것은 과전압 판단에 의해 충전 FET(400)가 오프(Off)됨에 따라 충전전류가 제2 경로로 흐르는 경우이기 때문에, 과전압 상태를 판단하기 전에는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각각 계측하는 전압 값이 같지만, 과전압 상태 판단 후 정상 상태를 판단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그라운드(GND)의 위치가 셀 그라운드(GND)인 제1 전압 측정부(200a)에서 계측하는 전압을 이용하는 것이 배터리 셀(100)들의 전압 상태를 판단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1.4. 충전 FET(400)
충전 FET는, 전기자동차나 전기이륜차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의 엔진으로부터 배터리 셀(100)들로 또는 배터리 셀(100)들로부터 외부 시스템으로 의 충전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충전 FET 제어부(60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나 전기이륜차와 같은 외부 시스템의 엔진 시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시동용 배터리이기 때문에, 엔진 시동 시에는 도 3과 같이 배터리 셀(100)들로부터 외부 시스템으로 충전전류가 흘러 엔진 시동을 위한 충전전류가 흐르고, 엔진 시동 후에는 도 4와 같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 셀(100)들로 충전전류가 흐르게 되어 엔진에 의해 배터리 셀(100)들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 FET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메인 충전 경로인 제1 경로 상에 구성되어, 후술하는 충전 FET 제어부(600)에 의해 온/오프 되어 충전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1.5. 전류 제한부(500)
전류 제한부는,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충전 FET(400)가 구성되는 제1 경로와는 다른 제2 경로 상에 구성되어, 배터리 셀(100)들의 충전전류를 소비해줌으로써 배터리 셀(100)들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가 구성되는 제2 경로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 셀(100)들로 충전전류가 흐르는 메인 경로인 제1 경로와 병렬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400) 오프(Off) 시 상기 충전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전압 판단부(300)에서 배터리 셀(100)이 과전압인 것으로 판단 시, 후술할 충전 FET 제어부(600)에 의해 충전 FET(400)가 오프(Off)되면, 상기 충전전류가 제2 경로로 흐르게 된다. 이 때, 제2 경로에 구성된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100)들에 흐르는 충전전류를 소비해주어 배터리 셀(100)들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는 바이패스 저항(By Pass resistor)으로 구성된다. 즉, 바이패스 저항으로 이루어진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가 해당 저항 값만큼 배터리 셀(100)들의 충전전류를 소비해줌으로써 배터리 셀(100)들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하면, 제1 경로는 충전전류가 흐르는 메인 경로이고, 제2 경로는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400)가 오프(Off)됨에 따라 상기 충전전류가 흐르는 경로이며, 여기서 제2 경로 상에 바이패스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를 구성하여 배터리 셀(100)들의 충전전류를 소비해주어 배터리 셀(100)들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에서 설명한 전압 측정부(200)의 제2 전압 측정부(200a)의 그라운드(GND)가, 바이패스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1.6. 충전 FET 제어부(160)
충전 FET 제어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과전압 판단부(3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충전 FET(400)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FET 제어부는, 상기 과전압 판단부(300)로부터 과전압 판단 신호가 출력되면 배터리 셀(100)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제1 경로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충전 FET(400)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과전압 판단부(300)로부터 과전압 판단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상태, 즉 정상 상태에서는 충전 FET(400)를 온 시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충전전류가 메인 경로인 제1 경로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FET 제어부는, 후술할 시스템 오프 판단부(700)로부터 시스템 오프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충전 FET(400)를 온(On) 시킬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부(700)로부터 시스템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다는 것은, 배터리 셀(100)들의 과전압 상태 판단에 의해 충전 FET(400)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다시 충전 FET(400)를 온(On)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 엔진 시동 시 배터리 셀(100)들로부터 외부 시스템의 엔진으로 충전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엔진 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시스템 오프 판단부(700)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1.7. 시스템 오프 판단부(700)
시스템 오프 판단부는, 상기 과전압 판단부(300)에 의해 배터리 셀(100)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200)의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차 발생 유무를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인 것을 판단하는 구성이다.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부는, 하기와 같은 세부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 과전압 상태 인식부(710)
과전압 상태 인식부는, 상기 과전압 판단부(300)로부터의 과전압 판단 신호 출력을 감지하여 배터리 셀(100)들의 과전압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과전압 판단부(300)로부터 과전압 판단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과전압 상태 인식부는 배터리 셀(100)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과전압 상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나.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720)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는, 상기 과전압 상태 인식부(710)에 의해 배터리 셀(100)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인식된 상태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200)의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는, 상기 과전압 상태 인식부(710)로부터 출력되는 과전압 상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과전압 상태 신호를 입력 받으면, 그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부터 상기 전압 측정부(200)의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여 두 전압 간의 차이 발생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동일 여부 비교 결과,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의 전압 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배터리 셀(100)들의 과전압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 FET 제어부(600)로 시스템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 오프 신호를 입력 받은 충전 FET 제어부(600)는, 충전 FET(400)를 온 시킴으로써 다음 외부 시스템 전원을 온(On) 하고자 할 때 배터리 셀(100)들로부터 엔진으로 충전전류가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엔진 시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에서 과전압 상태 신호를 입력 받은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부터 상기 전압 측정부(200)의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 간의 전압 차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것은,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충전 FET(400)가 오프(Off)되어 제1 경로로 흐르던 충전전류가 제2 경로로 흐르게 되어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이 달라지게 되는 시간을 고려한 것으로서, 이에 따라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에서는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의 전압 값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동일해지는, 즉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과전압 상태에서 시스템이 오프(Off)된 것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되었다는 것은, 전기자동차, 전기이륜차 등의 시동이 꺼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고, 외부 시스템 전원을 온(On)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은,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다음 시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전기이륜차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에 장착되어 엔진 시동을 위한 충전전류를 공급하고, 시동이 걸린 이후에는 엔진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시동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충전 FET(400)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경우(시동이 꺼진 경우) 다음 엔진 시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충전 FET(400)를 다시 온(On)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부(700)는 배터리 셀(100)들의 과전압 상태, 즉 충전 FET(400)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200)의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계측하는 전압 값 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시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충전 FET 제어부(600)로 충전 FET(400)를 온(On) 제어하기 위하여 시스템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터리 셀(100)들의 과전압 상태에서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서로 동일한 전압 값을 계측하게 되는 것을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로 판단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도 3과 같이 제1 경로 상에 온(On)되어 있는 충전 FET(400)를 통해 배터리 셀(100)들로부터 외부 시스템의 엔진으로 충전전류가 공급되어 엔진 시동 후, 상기 도 4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배터리 셀(100)들로 충전전류가 공급되어 배터리 셀(100)들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3 및 4 상태에서는, 충전전류가 메인 경로인 제1 경로로 흐르기 때문에 저항에 의한 제한이 거의 없는 상태의 충전전류가 흐르고,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는 같은 전압 값을 계측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과전압 판단부(300)에 의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충전 FET(400)가 오프(Off)되면, 제1 경로로 흐르던 충전전류가 배터리 셀(100)들의 과충전 방지를 위하여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저항으로 이루어진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가 구성되어 있는 제2 경로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전류가 제2 경로로만 흐르게 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압 측정부(200a)의 그라운드(GND)는 셀 그라운드(GND)이지만, 제2 전압 측정부(200b)의 그라운드(GND)는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에 충전전류가 흐르면서 전압이 걸리고, +, -로 역전이 되면서 그라운드(GND)가 플로팅(Floating)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ADC(200a)와 제2 ADC(200b)가 실제로는 같은 전압을 측정하고는 있지만, 상기 제2 ADC(200b)의 그라운드(GND)가 플로팅(Floating)됨에 따라 플로팅(Floating)된 정도만큼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제1 전압 측정부(200a)에서 읽어 들이는 전압 값과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의 전압 값 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3 및 4와 같이 제1 경로로 충전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는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계측하는 전압 값이 동일하고, 상기 도 5와 같이 충전 FET(400)가 오프(Off)됨에 따라 제2 경로로 충전전류가 흐르는 상태, 즉 과전압 상태에서는 상기 제2 경로에 구성된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에 의해 제2 전압 측정부(200b)의 그라운드(GND)가 플로팅(Floating)되어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계측하는 전압 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시스템의 출력에 따라 전류가 달라지므로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에 걸리는 전압 또한 달라져 제2 전압 측정부(200b)의 그라운드(GND)에 발생하는 플로팅(Floating)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되면,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계측하는 전압 값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원리를 이용하여, 과전압 상태에서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의 전압 값 간의 차이가 없는 동일한 상태가 되는 것을 감지하여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라 함은, 엔진 시동이 꺼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류센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바이패스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가 구성되는 경로를 구비하고,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의 그라운드(GND)를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하여, 이러한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계측하는 전압 값 간의 차이 발생 유무에 따라 과전압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를 인식할 수 있어 다음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후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과 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의 분배 저항(a, b, c, d) 값과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의 저항 값을 충분히 큰 차이를 두어 설계되어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술한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가 계측하는 전압 값이 거의 동일한 값이어야 하는데, 각 전압 측정부의 분배저항들의 단위는 10의 6승 옴 단위이고, 바이패스 저항인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는 10의 0승 옴 단위로 만 배의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상기 각각 ADC로 구성된 전압 측정부들의 분배저항(a, b, c, d) 값과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의 값이 충분히 큰 차이를 갖도록 설계하여야 상술한 원리를 이용하여 과전압 상태에서의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2.1. 전압 측정단계(S100)
전압 측정단계는, 배터리 셀(100)들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ADC(Analog-to-Digital)로 구성된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2.2. 과전압 판단단계(S200)
과전압 판단단계는, 상기 전압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되는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배터리 셀(100)들의 과전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압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배터리 셀(100)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과전압 판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전압 판단단계는, 상술한 과전압 판단부(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2.3.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S300)
상기 과전압 판단단계(S200)에서 배터리 셀(100)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어 과전압 판단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전기자동차나 전기이륜차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제1 경로를 통해 배터리 셀(100)들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메인 충전경로인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400)를 오프 제어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통해, 도 4와 같이 제1 경로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 셀(100)들로 흐르던 충전전류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가 구성된 제2 경로로 흐르게 되어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에 의해 전류가 제한되어 배터리 셀(100)들의 충전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과충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는, 상술한 과전압 판단부(300)로부터 과전압 판단 신호를 입력 받은 충전 FET 제어부(6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2.4. 전압 값 동일여부 감지단계(S400)
전압 값 동일여부 감지단계는, 상기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S300)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 셀(100)들로의 충전전류가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가 구성된 제2 경로로 흐름에 따라, 상기 전압 측정단계(S100)를 통해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여, 두 전압 값이 동일한 상태가 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S300)를 통해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400)가 차단되면, 도 5와 같이 충전전류가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가 구성된 제2 경로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압 측정부(200a)는 셀 그라운드(GND), 제2 전압 측정부(200b)의 그라운드(GND)는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5와 같이 제2 경로로 충전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500a, 500b)에 의해 제2 전압 측정부(200b)의 그라운드(GND)에 플로팅(floating)이 발생하여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각각 계측하는 전압 값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되면, 즉 엔진 시동이 꺼지면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의 전압 값이 동일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S300)에 의해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에서 계측하는 전압 값이 서로 다른 상태이고, 상기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단계는, 이러한 상태에서 두 전압 값 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러한 원리는 시스템 구성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전압 값 동일여부 감지단계는, 상술한 시스템 오프 판단부(7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2.5. 시스템 오프 판단단계(S500)
상기 전압 값 동일여부 감지단계(S400)의 전압 차 발생 유무 감지 결과에 따라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압 값 동일여부 감지단계(S400)를 통해 제1, 2 전압 측정부(200a, 200b)가 각각 계측하는 전압 값이 동일한 값인 상태가 된 것으로 감지되면,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S300)에 의해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400)가 오프(Off)된 과전압 상태에서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에, 다음 엔진 시동을 위해 배터리 셀(100)들로부터 외부 시스템으로 충전전류를 공급해줄 수 있도록 오프(Off)된 충전 FET(400)를 온(On)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술한 시스템 오프 판단부(700)에 의해 수행되는 시스템 오프 판단단계에서는, 시스템이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되면, 후술하는 충전 FET 온 제어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 FET 제어부(600)로 시스템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2.6. 충전 FET 온 제어단계(S600)
충전 FET 온 제어단계는,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단계(S500)에서 시스템이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되어 시스템 오프 판단부(700)로부터 시스템 오프 신호를 입력 받은 충전 FET 제어부(600)에서,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오프(Off)된 상태의 충전 FET(400)를 온(On) 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충전 FET 온 제어단계를 통해 충전 FET(400)를 온(On) 시킴에 따라, 다음 엔진 시동 시 제1 경로를 통해 배터리 셀(100)들로부터 외부 시스템으로 충전전류를 공급해줄 수 있어 엔진 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전류센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배터리의 과전압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 즉 엔진 시동이 꺼진 상태를 인식할 수 있어 다음 엔진 시동이 가능하게 하는 제어가 가능하므로, 전류센서 구비로 인해 발생하였던 비용 절감 효과가 발휘되어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터리 셀
200: 전압 측정부
200a, b: 제1, 2 전압 측정부
300: 과전압 판단부
400: 충전 FET
500: 전류 제한부
500a, b: 제1, 2 전류 제한부
600: 충전 FET 제어부
700: 시스템 오프 판단부
710: 과전압 상태 인식부
720: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일정 주기 간격으로, 상기 배터리 셀들과 외부 시스템 간의 충전전류가 흐르는 메인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들로의 충전전류가 흐르며 상기 제1 경로와 병렬로 형성되는 제2 경로 상의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1 경로 상의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배터리 셀들의 과전압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과전압 판단부;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되어, 충전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충전 FET;
    상기 제2 경로 상에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 셀들의 충전전류를 소비하는 제1, 2 전류 제한부;
    상기 과전압 판단부에 의해 배터리 셀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판단된 시점 이후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1 경로 상의 전압 값과 상기 제2 경로 상의 전압 값 간의 차이 발생 유무에 따라 상기 외부 시스템의 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시스템 오프 판단부;
    상기 과전압 판단부 및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충전 FET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부는, 상기 제1 경로 상의 전압을 측정하는 제1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제2 경로 상의 전압을 측정하는 제2 전압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전압 측정부 및 제2 전압 측정부의 그라운드(GND)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측정부의 그라운드(GND)는, 상기 제1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전압 측정부의 그라운드(GND)는, 상기 제2 경로 상에 구성되는 제1, 2 전류 제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판단부는, 상기 제1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 셀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충전 FET 제어부로 과전압 판단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충전 FET 제어부는, 상기 과전압 판단부로부터 과전압 판단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충전 FET를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FET 제어부에 의해 충전 FET가 오프(Off)됨에 따라, 상기 제1 경로를 통해 배터리 셀들로 흐르던 충전전류가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 상에 구성되는 제1, 2 전류 제한부는,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소비하여 배터리 셀들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배터리 셀들의 충전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에 의해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부는,
    상기 과전압 판단부로부터 과전압 판단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배터리 셀들의 과전압 상태를 인식하고, 과전압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전압 상태 인식부;
    상기 과전압 상태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과전압 상태 신호에 의해 배터리 셀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인식되면, 그 시점부터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 간의 차이 발생 유무를 감지하여 외부 시스템의 오프(Off) 상태를 판단하는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는,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 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변화한 것으로 감지되면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충전 FET 제어부로 시스템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FET 제어부는,
    상기 전압 차 발생유무 감지부로부터 시스템 오프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충전 FET를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전류 제한부는, 각각 바이패스 저항(By Pass resistor)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에서 배터리 셀들의 과전압 상태에서 외부 시스템 오프(Off)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배터리 셀들의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전압 측정단계;
    상기 과전압 판단부에서, 상기 전압 측정단계를 통해 제1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배터리 셀들이 과전압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전압 판단단계;
    상기 충전 FET 제어부에서, 상기 과전압 판단단계를 통해 배터리 셀들이 과전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를 오프(Off) 시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 셀들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부에서, 상기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에 의해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가 오프 됨에 따라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되는 전압 값이 동일한 상태가 되는지를 감지하는 전압 값 동일여부 감지단계;
    상기 전압 값 동일여부 감지단계에서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된 전압 값이 동일한 값인 상태가 된 것으로 감지되면,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시스템 오프 판단단계;
    상기 충전 FET 제어부에서, 상기 시스템 오프 판단단계에서 외부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를 온(On) 시키는 충전 FET 온 제어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FET 오프 제어단계에서, 상기 제1 경로 상에 구성된 충전 FET가 오프 됨에 따라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충전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경로 상에 구비된 제1, 2 전류 제한부에 의해 상기 제1, 2 전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하는 전압 값이 서로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KR1020180148371A 2018-11-27 2018-11-27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KR102316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371A KR102316486B1 (ko) 2018-11-27 2018-11-27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EP19890914.5A EP3708405B1 (en) 2018-11-27 2019-09-25 Starting battery driving system and external system off-state recognition method using same
CN201980006831.0A CN111527004B (zh) 2018-11-27 2019-09-25 启动电池驱动系统和使用其识别外部系统关闭状态的方法
JP2020533598A JP7062172B2 (ja) 2018-11-27 2019-09-25 始動用バッテリーの駆動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外部システムのオフ状態の認識方法
US16/958,941 US11437837B2 (en) 2018-11-27 2019-09-25 Starting battery driving system and external system off-state recognition method using same
PCT/KR2019/012462 WO2020111481A1 (ko) 2018-11-27 2019-09-25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371A KR102316486B1 (ko) 2018-11-27 2018-11-27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687A KR20200062687A (ko) 2020-06-04
KR102316486B1 true KR102316486B1 (ko) 2021-10-22

Family

ID=7085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371A KR102316486B1 (ko) 2018-11-27 2018-11-27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37837B2 (ko)
EP (1) EP3708405B1 (ko)
JP (1) JP7062172B2 (ko)
KR (1) KR102316486B1 (ko)
CN (1) CN111527004B (ko)
WO (1) WO2020111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15175A1 (en) * 2022-03-10 2023-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power control for an electronic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001A (ja) * 2000-05-11 2001-11-22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におけるシステムリレーの診断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621072B1 (ko) * 2004-08-09 2006-09-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과전류 보호모듈
US20070080661A1 (en) * 2005-10-12 2007-04-12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US20090115378A1 (en) * 2007-11-07 2009-05-07 Sung Suk Ko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 vehicle
JP2010193558A (ja) * 2009-02-16 2010-09-02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の制御装置
US20180123449A1 (en) * 2016-11-02 2018-05-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400A (ja) 1992-07-17 1994-02-10 Hitachi Ltd 小型情報処理装置のバッテリ装置
JPH06305126A (ja) 1993-04-22 1994-11-01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方式の印刷装置
US5557188A (en) * 1994-02-01 1996-09-17 Sun Microsystems, Inc. Smart battery system and interface
JP3539598B2 (ja) * 1995-11-10 2004-07-07 株式会社デンソー 搭載用電源システム
JPH1062102A (ja) 1996-08-20 1998-03-06 Eitaro Sakaguchi 内径を計る巻尺
JPH10271705A (ja) 1997-03-28 1998-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源回路
JP2001345699A (ja) 2000-06-02 2001-12-14 Nec Microsystems Ltd A/d変換器の試験回路及びその試験方法
JP4539431B2 (ja) 2005-05-11 2010-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
KR100839382B1 (ko) * 2006-10-16 2008-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406542B1 (ko) 2007-08-10 201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E를 이용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과 그 전원장치 및전원제어방법
CN101557118B (zh) * 2008-04-09 2012-05-30 鹏智科技(深圳)有限公司 二次电池的充电控制电路
JP2010246225A (ja) * 2009-04-03 2010-10-28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充電方法
JP2011101517A (ja) 2009-11-06 2011-05-19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JP2011135657A (ja) * 2009-12-22 2011-07-07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バッテリシステムの電流制限状態検出方法
JP5544923B2 (ja) * 2010-02-24 2014-07-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保護回路および電子機器
KR101413251B1 (ko) * 2010-08-13 2014-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 전지 관리 장치
TWM402554U (en) * 2010-11-10 2011-04-21 Richtek Technology Corp Charger circuit
US8541981B2 (en) * 2010-11-10 2013-09-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voltage dual-power-path management architecture for rechargeable battery monitoring solutions
JP5683372B2 (ja) * 2011-04-27 2015-03-1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充放電制御装置、バッテリパック、電気機器、及び、充放電制御方法
CN102810882A (zh) * 2011-06-02 2012-12-05 魏培伦 一种量测电池电压的电路和方法
JP6068192B2 (ja) 2013-02-28 2017-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状態推定装置及び車両の制御システム
JP6305126B2 (ja) * 2014-03-12 2018-04-04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予備充放電機能を有する電池パック
KR20160099357A (ko) * 2015-02-12 2016-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US10566827B2 (en) * 2016-02-05 2020-02-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dapter and charging control method
JP6741211B2 (ja) 2016-08-05 2020-08-1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車両、及び蓄電装置の充電制御方法
KR102222119B1 (ko) 2016-08-11 2021-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6683819B2 (ja) * 2016-09-21 2020-04-22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電源システム
CN106379188A (zh) * 2016-09-30 2017-02-08 华南理工大学 一种电动汽车动力电池能量管理系统及安全防护方法
CN106537720B (zh) * 2016-10-21 2020-06-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方法及电子设备
KR20180045954A (ko) * 2016-10-26 201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656976B (zh) * 2017-04-01 2021-04-13 北京海博思创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001A (ja) * 2000-05-11 2001-11-22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におけるシステムリレーの診断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621072B1 (ko) * 2004-08-09 2006-09-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과전류 보호모듈
US20070080661A1 (en) * 2005-10-12 2007-04-12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US20090115378A1 (en) * 2007-11-07 2009-05-07 Sung Suk Ko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 vehicle
JP2010193558A (ja) * 2009-02-16 2010-09-02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の制御装置
US20180123449A1 (en) * 2016-11-02 2018-05-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27004A (zh) 2020-08-11
CN111527004B (zh) 2023-06-27
EP3708405A4 (en) 2020-09-16
EP3708405A1 (en) 2020-09-16
EP3708405B1 (en) 2022-06-15
US20200343759A1 (en) 2020-10-29
JP2021510055A (ja) 2021-04-08
JP7062172B2 (ja) 2022-05-06
US11437837B2 (en) 2022-09-06
KR20200062687A (ko) 2020-06-04
WO2020111481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7438B2 (en) Battery voltage measurement apparatus
KR101953121B1 (ko) 배터리 시스템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방법
US7345450B2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booster apparatus with polarity protection
US7570017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for a power tool including over-discharge protection
JP4707638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CN104950174B (zh) 接触器电阻故障的诊断方法
JP4398432B2 (ja)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充電式電源装置
KR102204099B1 (ko) Pra의 상태 감지방법
JP2012052857A (ja) 二次電池の異常検出回路、及び電池電源装置
US20120106013A1 (en) Current sense circuit and battery over-current protection controller
WO2008029820A1 (fr) Accumulateur
JP2010066038A (ja) 電圧検出装置
EP3139461A1 (en)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KR102316486B1 (ko) 시동용 배터리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시스템 오프 상태 인식 방법
JP2014091495A (ja) 短絡検知回路
US11742686B2 (en) Battery device and battery charging system
KR20100043413A (ko) 절연저항 측정회로
US20040012372A1 (en) Battery charger
EP1485979B1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booster apparatus with polarity protection
JPH09218233A (ja) 車両における負荷の断線検出装置
KR102637310B1 (ko) 배터리 셀 열화 상태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US20160167520A1 (en) Battery control device
JP4381365B2 (ja) 充電器の電池装着の判定方法
US11764590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djusting cell balancing current
JP5663156B2 (ja) 二次電池の充電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