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748B1 -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 Google Patents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8748B1 KR102308748B1 KR1020200018115A KR20200018115A KR102308748B1 KR 102308748 B1 KR102308748 B1 KR 102308748B1 KR 1020200018115 A KR1020200018115 A KR 1020200018115A KR 20200018115 A KR20200018115 A KR 20200018115A KR 102308748 B1 KR102308748 B1 KR 1023087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analysis unit
- analysis
- vulnerability
- index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038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206 sensitivity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621 cluster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2732 spatial analysi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736199 Paeo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84 Paeonia offic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982035 Sparattosyc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분석단위별로 현재 취약성 등급 분석부 및 미래 취약성 등급 분석부로 구분하여 각각의 분석부의 등급 중 더 낮은 등급을 선정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취약성 등급 분석부는 현재 기후노출분석부 및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부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석부의 결과는 1~4등급 중 어느 하나로 두 개의 등급을 평균한 등급으로 산출되며,상기 미래 취약성 등급 분석부는 미래 기후노출분석부 및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부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석부의 결과는 1~4등급 중 어느 하나로 두 개의 등급을 평균한 등급으로 산출되는 것에 특징이 있고
공간 분석 단위를 기존 집계구 단위에서 격자기반 단위로 개선하여 재해 취약성 등급 정보를 연속지적도의 필지 단위로 제공하여 결과의 정확상 및 실효성이 뛰어나고,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의 현재취약성 지표에 지역의 우수유출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도시 민감도 지표인 누적 CN지표 및 상대적 저지대 지표를 적용하여 취약인구와 연계한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and includes an output unit that divides the current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and the future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into a current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and a future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for each analysis unit, and selects and outputs a lower grade among the ratings of each analysis unit, wherein the current vulnerability The rating analysis unit consists of a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and a current urban sensitivity analysis unit, and the result of each analysis unit is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wo grades in any one of 1 to 4 grades, and the future vulnerability grade analysis unit is a future climate exposure It consists of an analysis unit and a future city sensitivity analysis unit, and the result of each analysis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wo grades in any one of 1 to 4 grades.
By improving the spatial analysis unit from the existing aggregate unit unit to the grid-based unit, disaster vulnerability rat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 units of parcels of the continuous cadastral map, resulting in excellent accuracy and effectiveness, and local rainwater runoff in the current vulnerability index of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linking with the vulnerable population by applying the cumulative CN index and the relative lowland index, which are urban sensitivity indexes that can reflect characteristics.
Description
본 발명은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선된 공간분석 단위 및 민감도 지표를 적용한 고도화 시스템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anced system for analyzing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d it is an advanced system to which an improved spatial analysis unit and sensitivity index are applied.
기후변화 등으로 자연재해 위험이 가중되고 있어, 방재시설물 뿐만 아니라 도시계획적 대책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재해 예방형 도시계획적 대책이 제도화되고 있으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20조, 제27조) 개정을 통해 도시/군 기본계획 및 관리계획 수립 시 기초조사의 하나로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수행이 의무화 (2015.01)되고 있다. As the risk of natural disasters is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etc., disaster prevention-type urban planning measures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 not only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but also urban planning measures are being institutionalized. ), as one of the basic surveys when establishing city/gun basic plans and management plans, the 「Urban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has become mandatory (Jan. 2015).
재해취약성분석 대상 재해는 6가지로 폭우, 가뭄, 폭염, 폭설, 강풍, 해수면 상승재해취약성분석은 제도화를 통해 정착되어 있지만, 공간분석 단위의 문제점과 지역 특성 반영이 미흡하고 지자체의 관련 제도 개선미흡 등으로 실효성 있는 재해 예방형 도시방재계획 수립에 한계가 있다. There are six types of disasters targeted for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heavy rain, drought, heatwave, heavy snow, strong wind, and sea level rise. Although the vulnerability analysis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problems in spatial analysis unit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insufficiently reflected, and the related system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is insufficient. There is a limit to the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type urban disaster prevention plan.
기존 공간분석 단위는 약 500명 정도의 거주인을 대상을 크기로 집계구로 결정이 되기 때문에 도심지역의 경우 집계구의 면적이 작은 편이지만, 농촌 및 산간 지역의 경우 거주 인구가 적어 집계구의 면적이 매우 커서 일부 지역의 집계구의 경우 인구가 일정지역에 밀집되어 있어 집계구별로 동일한 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방안을 제시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Because the existing spatial analysis unit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target for about 500 residents, the area of the aggregation district is small in urban areas. In the case of counting districts in some regions,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a certain area, so there is a limit to presenting the same disaster prevention-type urban planning plan for each counting distric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재해취약성 분석의 분석단위를 집계구에서 격자단위(100m)로 고도화하고,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누적 CN 및 상대적 저지대 지표를 개발할 필요성에 기인하고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ysis unit of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s upgraded from the aggregation district to the grid unit (100 m), and it is due to the need to develop the cumulative CN and relative lowland index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본 발명은 폭우에 의한 재해취약성 분석의 공간단위를 거주자의 집계구에서 지역단위인 격자구 개선된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vanced system for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n which the spatial unit of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due to heavy rain is improved from the resident's aggregate to the regional unit.
또한 본 발명은 폭우재해 취약성 분석에 있어서 개선된 도시민감도 지표(누적 CN, 상대적 저지대)를 반영한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that reflects the improved urban sensitivity index (cumulative CN, relative lowlands) in the vulnerability analysis to heavy rain disaste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에 있어서,분석단위별로 현재 취약성 등급 분석부 및 미래 취약성 등급 분석부로 구분하여 각각의 분석부의 등급 중 더 낮은 등급을 선정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취약성 등급 분석부는 현재 기후노출분석부 및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부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석부의 결과는 1~4등급 중 어느 하나로 두 개의 등급을 평균한 등급으로 산출되며,상기 미래 취약성 등급 분석부는 미래 기후노출분석부 및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부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석부의 결과는 1~4등급 중 어느 하나로 두 개의 등급을 평균한 등급으로 산출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divided into a current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and a future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for each analysis unit, and selects and outputs the lower grade among the grades of each analysis unit Including an output unit, wherein the current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is composed of a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and a current urban sensitivity analysis unit, and the result of each analysis unit is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wo grades in any one of 1 to 4 grades, the The future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is composed of a future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and a future city sensitivity analysis unit, and the result of each analysis unit is one of 1 to 4 grades, which is characterized by being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wo grades. An upgrade system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는 상기 현재 기후노출분석부에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관측소별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및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에 대한 관측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측데이터를 공간보간법(Spatial interpolation)을 활용하여 점형 기후자료를 면적형 자료로 변환 및 구역 통계(Zonal statistics) 격자별 지표로 변환하는 자료 변환부;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base in which observation data for the averag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and average time maximum precipitation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re stored in the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Spatial interpolation of the observa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Provides an advanced system for analysis of vulnerability to heavy rains characterized by a dat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point-type climate data into area-type data using
또한 본 발명은상기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부에 잠재취약지역과 도시취약구성요소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를 분석단위로 분석지표 자료를 구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ced system for analysis of vulnerability to heavy rain disasters, which is composed of a potential vulnerable area and urban vulnerable components in the current urban sensitivity analysis unit, and is characterized by constructing analysis index data for each component as an analysis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래 기후노출분석부에기후변화정보센터로부터 기후변화 시나리오 데이터(RCP 8.5)를 활용한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자료를 구분하여 저정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측데이터를 공간보간법(Spatial interpolation)을 활용하여 점형 기후자료를 면적형 자료로 변환 및 구역 통계(Zonal statistics) 격자별 지표로 변환하는 자료 변환부;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base for classifying and storing data on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more than 80 mm/day per annum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RCP 8.5) from the 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in the future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Heavy rain dis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at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point-type climate data into area-type data and zonal statistics grid-specific indicators by using spatial interpolation of the observed data stored in the database.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부에 일정한 기간 시가화 지역, 인구 증가수, 개발지역 예정지구 데이터를 분석단위별로 각각 분석지표 자료로 구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ced system for analysis of vulnerability to heavy 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future city sensitivity analysis unit builds urbanization area, population increase, and development area planned district data for a certain period as analysis index data for each analysis unit.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석단위에 100m × 100m 크기의 격자 면적인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ced system for analysis of vulnerability to heavy 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ysis unit has a grid area of 100 m × 100 m in siz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시민감도 분석부에 개선된 지표인 누적 CN지표 및 상대적 저지대지표를 동일한 가중치로 추가하되, 기존 분석지표와 합산이 가능한 표준지표로 변환하여 평균값 지표로 산출하는 것으로, 상기 누적 CN지표는 기초자료 가공단계 및 상기 가공된 지표자료를 활용하여 소유역 단위로 지표를 가공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기초자료는 수치토지피복도, 수문학적 토양군, 수치표고데이터 및 소유역 경계 데이터이며, 상기 기초자료 가공단계는 자료의 전처리 및 격자별 CN값 산정을 포함하고,소유역별로 CN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CN값을 우수유출방향을 이용하여 누적된 CN을 산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s the cumulative CN index and the relative low land index, which are improved indexes to the urban sensitivity analysis unit, with the same weight, and converts them into standard indexes that can be summed with the existing analysis indexes to calculate the average value index, the cumulative CN The index consists of a basic data processing step and a step of processing the surface in a subwatershed unit using the processed surface data, wherein the basic data are numerical land cover, hydrological soil group, numerical elevation data, and subwatershed boundary data, The basic data processing step includes pre-processing of data and calculation of CN values for each grid, deriving CN values for each sub-watershed, and calculating accumulated CN values using the derived CN values in the direction of stormwater runoff. Vulnerability to heavy rain disasters It provides an analysis advancement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대적 저지대지표에 100m 격자자료로 표고값 산출과 표고군집분석의 결과물로 상대적 고지대(High-Low), 고지대(High-High), 상대적 저지대(Low-High),저지대(Low-Low) 또는 기타(Non Significant) 중 어느하나로,상기 100m 격자 표고값 산출은 ArcMap의 Zonal Statics as Table, Join 기능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상기 표고군집분석은 ArcMap의 Local Moran’s I 기능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elevation value and the analysis of the elevation cluster with 100 m grid data on the relative low land index. Low) or other (Non Significant), the 100m grid elevation value calculation is calculated using ArcMap's Zonal Statics as Table, Join function, and the elevation cluster analysis is analyzed using ArcMap's Local Moran's I function. It provides an advanced system for analysis of vulnerability to heavy rain disasters characterized b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공간 분석 단위를 기존 집계구 단위에서 격자기반 단위로 개선하여 재해 취약성 등급 정보를 연속지적도의 필지 단위로 제공할 수 있어 결과의 정확상 및 실효성이 뛰어나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disaster vulnerability rating information in units of lots of continuous cadastral maps by improving the spatial analysis unit from the existing aggregate unit unit to the grid-based unit, so that the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the results are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은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의 현재취약성 지표에 지역의 우수유출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도시 민감도 지표인 누적 CN지표 및 상대적 저지대 지표를 적용하여 취약인구와 연계한 재해취약성 분석시스템을 고도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cumulative CN index and the relative lowland index, which are urban sensitivity indexes that can reflect the local stormwater runoff characteristics, to the current vulnerability index of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so that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linked with the vulnerable population can be advanced There is a characteristic.
도 1은 현재 기후노출 분석지표 구축과정을 보여준다.
도 2는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면적형 자료이다.
도 3은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격자형 자료이다.
도 4는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 면적형 자료이다.
도 5는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격자형 자료이다.
도 6은 과거피해지역현황도를 보여준다.
도 7은 최근 10년간 피해지역 격자형 자료이다.
도 8은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 현황도이다.
도 9는 격자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면적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분석지표 자료이다.
도 10은 주요 하천변 저지대 현황도이다.
도 11은 하천변 저지대 격자형 자료이고, 도 12는 풍수해위험지구 현황도이며, 도 13은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위험지구 격자형 자료이다.
도 14는 잠재취약지역 격자형 자료이다.
도 15는 취약도시기반시설 현황도(폭우)이다.
도 16은 도로 격자형 자료이고 도 17은 수도공급설비 격자형 자료, 도 18은 전기공급설비 격자형 자료, 도 19는 가스공급설비 격자형 자료, 도 20은 수질오염 격자형 자료, 도 21은 도시기반시설 격자형 자료이다.
도 22는 취약건축물 현황도(폭우)이다.
도 23은 노후단독 격자형 자료, 도 24는 반지하주택 격자형 자료이다.
도 25는 노인인구수 격자형 자료이고 도 26은 시민 인구수 격자형 자료이다.
도 26은 시민 인구수 격자형 자료이다.
도 27은 미래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이다.
도 28은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격자형 자료이다.
도 29는 최근 10년간 시가화·건조지역 현황도이다.
도 30은 최근 10년간 시가화지역 격자형 자료이다.
도 31은 개발사업진행 예정지구 현황도이다.
도 32는 개발사업진행 및 예정지구 격자형 자료이다.
도 33은 인구증가 수 격자형 자료이다.
도 34는 수문학적 토양군 결측지역이고, 도 35는 수치토지피복도 결측 격자이다.
도 36은 격자별 CN값 산정이다.
도 37은 제주도 소유역 구분이다.
도 38은 Flow Direction 분석 예시이다.
도 39는 유출방향 표기 방법이다.
도 40은 Flow accumulation 창 화면 (예시)이다.
도 41은 제주도 누적 CN 지도이다.
도 42는 하천변 저지대 및 침수흔적지역 비교이다.
도 43은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도구 Window 창 예시이다.
도 44는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분석범위(예시)이다.
도 45는 주변지역 범위에 따른 수치표고모델의 군집분석 결과이다.
도 46은 현재 기후노출을 보여준다.
도 47은 현재 도시민감도이다.
도 48은 취약성 등급 매트릭스이다.
도 49는 현재 폭우재해 취약성 분석결과이다.
도 50은 미래 기후노출이다.
도 51은 미래 도시민감도이다.
도 52는 취약성 등급 매트릭스이고 도 53은 미래 폭우재해 취약성 분석결과이다.
도 54는 도시종합재해취약성 등급 매트릭스이고, 도 55는 폭우 관련 도시 종합재해 취약성 분석결과이다.
도 56은 본 발명인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7은 현재 기후노출분석부의 구성도이다.
도 58는 미래 기후노출분석부의 구성도이다. 1 shows the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index construction process.
2 is an area-type data showing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of 80 mm/day or more per year.
3 is a grid-type data showing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over an average of 80 mm/day per year.
4 is an annual average time maximum precipitation area type data.
5 is a grid-type data showing th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of 80 mm/day or more per year.
6 shows a map of the current state of the damaged area in the past.
7 is a grid-type data of damaged areas for the last 10 years.
8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us of a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district.
9 is a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zone analysis index data for each grid area of a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zone.
10 is a diagram of the current state of the main riverside lowlands.
11 is a grid-type data of the riverside low-lying area, FIG. 12 is a diagram of the current state of the storm and flood risk zone, and FIG.
14 is a grid-type data of potential vulnerable areas.
15 is a diagram of the status of vulnerable urban infrastructure (heavy rain).
16 is a road grid type data, FIG. 17 is a water supply facility grid type data, FIG. 18 is an electricity supply facility grid type data, FIG. 19 is a gas supply facility grid type data, FIG. 20 is a water pollution grid type data, FIG. It is an urban infrastructure grid type data.
22 is a diagram of the status of vulnerable buildings (heavy rain).
23 is an aged-only grid type data, and FIG. 24 is a semi-underground housing grid type data.
25 is a grid data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FIG. 26 is a grid data of a citizen population.
26 is a grid-type data of the number of citizens.
27 shows th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of 80 mm/day or more on average in the future.
28 is a grid-type data showing th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of 80 mm/day or more per year.
29 is a diagram showing the current state of urbanization/drying areas for the last 10 years.
30 is a grid-type data of urbanization areas for the last 10 years.
31 is a diagram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district in which the development project is to be carried out.
32 is a grid-type data of development project progress and planned districts.
33 is a data grid for population growth.
34 is a missing area of a hydrological soil group, and FIG. 35 is a grid of missing numerical land cover diagrams.
36 is a CN value calculation for each grid.
37 is a sub-basin division of Jeju Island.
38 is an example of Flow Direction analysis.
39 is a method for indicating an outflow direction.
40 is a flow accumulation window screen (example).
41 is a cumulative CN map of Jeju Island.
42 is a comparison of the riverside lowlands and flooded trace areas.
43 is an example of the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Tool Window window.
44 is a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analysis range (example).
45 is a cluster analysis result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surrounding area.
46 shows the current climate exposure.
47 is a current urban sensitivity.
48 is a vulnerability rating matrix.
49 is a current storm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50 is future climate exposure.
51 is a future city sensitivity.
52 is a vulnerability rating matrix, and FIG. 53 is a future storm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54 is an urban comprehensive disaster vulnerability rating matrix, and FIG. 55 is a heavy rain-related urban comprehensiv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56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or's system for analyzing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57 is a block diagram of the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58 is a block diagram of a future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사용된다.As used herei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a tolerance is given in the stated meaning,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 or absolute Th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scrupulous infringers from taking advantage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석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분석지표의 표준화Standardization of analysis indicators
관측값이 다른 지표를 비교·분석하고 중첩하기 위해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정규분포에 의해 표준화하는 Z-score를 활용 Z-score 값을 구한 후 이를 다시 0과 1 사이의 값으로 표준화한다. 분석지표 표준화 공식은 하기 표1과 같다. In order to compare, analyze, and overlap indicators with different observation values, standardization is required. In general, the Z-score standardized by the normal distribution is used. After obtaining the Z-score value, it is standardized again to a value between 0 and 1. . The analysis index standardization formula is shown in Table 1 below.
현재 재해취약성 분석방법Current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
① 현재 기후노출① Current climate exposure
현재 기후노출은 과거~현재 기상관측자료(유인관측소, AWS)를 활용하여 현재 기후적 요소에 의한 영향 정도를 분석하고,The current climate exposure is analyzed using past-current weather observation data (manned observatories, AWS) to analyze the degree of influence by current climatic factors,
대상 지자체 및 인접 시ㆍ군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공간보간법(interpolation)을 실시한 후 결과를 집계구별 기후노출 값으로 부여하고, ArcGIS의 자연적 구분법(Jenks의 최적화방법)에 의해 등급화(I∼IV)한다. After performing spatial interpolation using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of the target local government and neighboring cities/guns, the results are given as climate exposure values for each aggregate district, and graded (I~ IV).
ArcGIS Spatial Analyst의 Zonal Tool을 활용하여 집계구별 기후노출 평균값 추출한다. Using ArcGIS Spatial Analyst's Zonal Tool, the average value of climate exposure for each aggregate is extracted.
② 현재 도시민감도 ② Current Urban Sensitivity
잠재취약지역은 최근 10년간 피해지역, 대상재해유형별 관련 법령지침 상에 규정되어있는 법정위험지역, 재해피해특성을 고려한 취약지역 등을 종합하여 집계구별 점수 부여하고,Potentially vulnerable areas are aggregated and classified by synthesizing the damage areas over the past 10 years, legal risk areas stipulated in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for each type of target disaster, and vulnerable area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damage.
집계구별 잠재취약지역 점수는 집계구 면적 대비 잠재취약지역 면적 비율로 산정하며, 과거 피해지역 중 2회 이상 반복적으로 피해가 나타난 지역은 중복적으로 고려한다. Potentially vulnerable area score for each counting district i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potential vulnerable area to the area of the aggregated district, and areas that have repeatedly suffered damage twice or more in the past are considered redundantly.
도시취약구성요소는 잠재취약지역을 포함한 최소 공간 범위 내 취약한 인구ㆍ도시기반시설ㆍ건축물을 종합하여 집계구별 점수 부여하고 도시민감도는 잠재취약지역과 도시취약구성요소를 종합하여 ArcGIS의 자연적 구분법(Jenks의 최적화방법)을 통해 등급화(I∼IV등급)한다. The urban vulnerable components are aggregated by synthesizing the vulnerable population, urban infrastructure, and buildings within the minimum spatial range including the potential vulnerable areas, and the city sensitivity is calculated by synthesizing the potential vulnerable areas and the urban vulnerable components and using ArcGIS’s natural classification method (Jenks). optimization method) to grade (I-IV).
도시민감도 점수는 잠재취약지역 점수 및 도시취약구성요소 점수의 평균으로 산정한다. The urban sensitivity score is calculated as the average of the potential vulnerable area score and the urban vulnerable component score.
하기 표2는 현재 도시민감도 산정방법이다. Table 2 below shows the current urban sensitivity calculation method.
③ 현재 재해취약성(등급화)③ Current vulnerability to disasters (grading)
현재 재해취약성은 현재 기후노출(I∼IV등급)과 현재 도시민감도(I∼IV등급)에 대한 재해취약성 등급 매트릭스(Matrix) 상의 매칭 등급으로 등급화(I∼IV등급)하여 현재의 재해취약지역(I, II등급) 등급 도출하며 현재 기후노출, 현재 도시민감도, 현재 재해취약성은 I등급으로 갈수록 취약하다. The current disaster vulnerability is graded (grade I to IV) into a matching grade on the disaster vulnerability rating matrix for the current climate exposure (grade I to IV) and the current urban sensitivity (grade I to IV), and the current disaster vulnerable area (I, II) grades are derived, and the current climate exposure, current urban sensitivity, and current vulnerability to disasters are more vulnerable to I grade.
하기 표 3은 메트릭스에 의한 현재 재해취약성 등급구분표이다. Table 3 below is the current disaster vulnerability classification table by metrics.
미래 재해취약성 분석방법Futur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
① 미래 기후노출① Future climate exposure
미래 기후노출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전망치를 활용하여 미래 기후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분석으로 ArcGIS Spatial Analyst의 Zonal Tool을 활용하여 최소 공간 범위별 기후노출 평균값을 추출하고, 자연적 구분법(Jenks의 최적화방법)으로 등급화(Ⅰ∼Ⅳ등급)한다.For future climate exposure, the impact of future climatic factors is analyzed using forecasts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ArcGIS Spatial Analyst's Zonal Tool, the average value of climate exposure for each minimum spatial range is extracted, and the natural classification method (Jenks' optimization method) is used. ) to grade (grade I to IV).
② 미래 도시민감도② Future city sensitivity
시가화지역, 인구증가수, 개발사업 진행ㆍ예정지구 등 미래 도시개발 전망을 고려하여 미래 도시민감지역을 도출하고, 집계구별 점수 부여하고 집계구별 미래 도시민감지역 점수는 집계구 면적 대비 집계구 내 도시민감지역 면적 비율로 산정한다. 각 지표별 점수를 표준화 후 평균하여 미래 도시민감도 점수 산정한다. In consideration of future urban development prospects such as urbanization areas, population growth, development project progress/planned districts, etc., future urban sensitive areas are derived, and points are given for each counting district. It is calculated as the area ratio of the urban sensitive area. The score for each indicator is standardized and averaged to calculate the future city sensitivity score.
최소 공간 범위별 미래 도시민감지역 점수에 대해 ArcGIS의 자연적 구분법(Jenks의 최적화방법)으로 등급화(I∼IV)한다. 하기 표 4는 미래 도시민감도 산정방법이다. The future urban sensitive area scores for each minimum spatial extent are graded (I-IV) by ArcGIS's natural classification method (Jenks' optimization method). Table 4 below is a method for calculating future city sensitivity.
③ 미래 재해취약성(등급화)③ Vulnerability to future disasters (grading)
미래 재해취약성은 미래 기후노출(I∼IV등급)과 미래 도시민감도(I∼IV등급)에 대한 재해취약성 등급 매트릭스(Matrix) 상의 매칭 등급으로 등급화(I∼IV등급)하여 미래의 재해취약지역(I, II등급) 도출하고 미래 기후노출, 미래 도시민감도, 미래 재해취약성은 I등급으로 갈수록 취약하다. 하기 표5는 매트릭스에 의한 미래 재해취약성 등급구분표이다. Future disaster vulnerability is graded (grade I-IV) by matching grades on the disaster vulnerability rating matrix for future climate exposure (grade I-IV) and sensitivity of future cities (grade I-IV) (Level I, II), and future climate exposure, future city sensitivity, and future disaster vulnerability are more vulnerable to I grade. Table 5 below is a classification table of future disaster vulnerability by matrix.
도시 종합재해취약성Urban Comprehensive Disaster Vulnerability
① 도시 종합재해취약성 산정① Calculation of urban comprehensive disaster vulnerability
현재 재해취약성 분석결과와 미래 재해취약성 분석결과를 중첩하여 등급이 높은 쪽으로 산정하여 도시 종합재해취약성(안)을 작성하고 도시 종합재해취약성 분석 예시는 하기 표 6과 같다. By superimposing the current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and the futur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the urban comprehensive disaster vulnerability (draft) is created by calculating the higher grade, and an example of the urban comprehensiv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s shown in Table 6 below.
현재 취약성 1등급 + 미래 취약성 2등급 = 1등급
현재 취약성 3등급 + 미래 취약성 1등급 = 1등급 Current Vulnerability Level 3 +
미래 기후노출 지표 구축방법How to build future climate exposure indicators
① RCP 시나리오① RCP Scenario
IPCC AR5,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에 의한 해수면 상승을 의미한 것으로 CC 5차 평가보고서(AR5, 2013)에서는 대표농도경로 RCP를 새로운 시나리오로 사용한다. IPCC AR5, which means sea level rise due to the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scenario, uses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as a new scenario in the CC 5th Assessment Report (AR5, 2013).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으로 온실가스 농도를 정하였다. 하나의 대표적인 복사강제력에 대해 사회-경제 시나리오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대표(Representative)'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리고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강조하기 위해 ’경로(Pathways)'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The greenhouse gas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radiation that human activity exerts on the atmosphere. For one representative radiative forcing, the expression ‘representative’ is used in the sense that there can be many socio-economic scenarios. And it includes the meaning of 'Pathways' to highlight changes over time in greenhouse gas emission scenarios.
RCP 시나리오는 최근 온실가스 농도 변화경향을 반영하여 4가지 대표 온실가스 농도 2.6, 4.5, 6.0, 8.5를 사용하였다. 온실가스 농도 산출과정에서 사회경제적 가정을 미래사회 구조 기반(SRES 시나리오)에서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행여부로 변경한다. 하기 표 7은 RCP 시나리오 특징을 보여준다. In the RCP scenario, four representative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of 2.6, 4.5, 6.0, and 8.5 were used to reflect the recent trend of changes in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greenhouse gas concentration, the socioeconomic assumption is changed from the basis of the structure of the future society (SRES scenario) to whether or not to implement the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y. Table 7 below shows the RCP scenario characteristics.
IPCC 5차 평가보고서(AR5, 2013)에 의하면 현재 추세로 저감없이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면(RCP 8.5), 금세기 말(2081~2100년)의 지구 평균기온은 3.7 ℃, 해수면은 63 ㎝ 상승한다고 전망한다. According to the IPCC 5th Assessment Report (AR5, 2013), if greenhouse gases are emitted without reduction at the current trend (RCP 8.5),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is century (2081-2100) will rise by 3.7 ℃ and sea level will rise by 63 cm. do.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되는 경우(RCP 4.5), 금세기말 지구 평균기온은 1.8 ℃, 해수면은 47 cm 상승 전망한다. I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y is substantially realized (RCP 4.5),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by the end of this century is projected to rise by 1.8 °C and sea level by 47 cm.
IPCC(AR4, 2007)에서는 화석연료에 의한 대량소비형 사회(A1FI)가 계속된다면 1980~1999년에 비하여 금세기말(2090~2099년)의 지구 평균기온은 최대 6.4 ℃, 해수면은 59cm 상승한다고 전망한다. The IPCC (AR4, 2007) predicts that if the mass consumption society (A1FI) fueled by fossil fuels continues,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is century (2090-2099) will rise by up to 6.4 °C and sea level by 59 cm compared to 1980 to 1999. do.
IPCC 5차 평가보고서(AR5, 2013)에 의한 해수면 상승량은 전지구적 해수면 상승을 예측한 결과이기 때문에 지역 해수면 상승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분석자료를 지역의 특성 자료로 반영하여 예측해야한다. Since the amount of sea level rise according to the IPCC 5th Assessment Report (AR5, 2013) is the result of predicting global sea level rise, in order to predict regional sea level rise, the analysis data should be reflected as regional characteristic data.
분석단위 개선Analysis unit improvement
본 발명의 분석단위로 예전의 집계구는 잠재취약지역 면적 비율로 산정되기 때문에 집계구 면적으로 인해 분석결과 왜곡이 생긴다. As the unit of analysi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ld aggregation district is calculated as the area ratio of the potential vulnerable area, so the analysis result is distorted due to the aggregate area area.
집계구는 인구센서스 조사 시 인구 약 500명을 기준으로 주변 도로, 하천, 철도, 산능성 등과 같은 준항구적인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구획한 공간단위로 보통 읍면동의 1/23 면적에 해당되고, 해수면 상승 재해취약성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해안선으로부터 1km 이내에 포함되는 해당 시군의 인구센서스 집계구를 의미한다. A census district is a spatial unit divided using semi-permanent topographical features such as surrounding roads, rivers, railroads, and mountain fortresses based on a population of about 500 people during the census survey. The spatial scope of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fers to the census counts of the relevant city and county included within 1 km of the coastline.
집계구 단위 분석 시 인구발달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주도 동서지역에서 면적이 큰 집계구를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잠재취약지역 면적 비율로 산정되기 때문에 집계구 면적으로 인해 분석결과 왜곡을 개선시키기 위해 공간분석 단위를 집계구에서 격자단위(100×100m)로 개선하고 재해취약성분석 결과를 필지단위로 제공하여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수립 시 실질적 활용성 도모하려고 한다. In the unit analysis of aggregate districts, large aggregate districts are included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Jeju Island, where population development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alculated as the area ratio of the potential vulnerable area, in order to improve the distortion of the analysis result due to the area of the aggregation district, the spatial analysis unit is improved from the aggregation district to the grid unit (100 × 100m), and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is converted to the parcel unit. It is intended to promote practical utility when establishing a disaster-preventing urban plan.
도 56은 본 발명인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분석단위별로 현재 취약성 등급 분석부 및 미래 취약성 등급 분석부로 구분하여 각각의 분석부의 등급 중 더 낮은 등급을 선정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취약성 등급 분석부는 현재 기후노출분석부 및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부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석부의 결과는 1~4등급 중 어느 하나로 두 개의 등급을 평균한 등급으로 산출되며,상기 미래 취약성 등급 분석부는 미래 기후노출분석부 및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부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석부의 결과는 1~4등급 중 어느 하나로 두 개의 등급을 평균한 등급으로 산출되는 특징이 있다. 56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or's system for analyzing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and includes an output unit that divides the current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and the future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into a current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and a future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for each analysis unit, and selects and outputs a lower grade among the ratings of each analysis unit, wherein the current The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consists of a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and a current urban sensitivity analysis unit, and the result of each analysis unit is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wo grades in any one of 1 to 4 grades, and the future vulnerability grade analysis unit is the future climate It consists of an exposure analysis unit and a future city sensitivity analysis unit, and the result of each analysis unit is one of 1 to 4 grades, and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wo grades.
1. 현재 기후노출분석부1.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Department
도 57은 현재 기후노출분석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현재 기후노출분석부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관측소별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및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에 대한 관측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측데이터를 공간보간법(Spatial interpolation)을 활용하여 점형 기후자료를 면적형 자료로 변환 및 구역 통계(Zonal statistics) 격자별 지표로 변환하는 자료 변환부;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현재 기후노출 분석지표 구축과정을 보여준다. 57 is a block diagram of the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A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in which observation data on the average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days of 80 mm/day or more and the average annual time maximum precipitation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re stor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dat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point-type climate data into area-type data and zonal statistics grid-specific indicators by using spatial interpolation for the observa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 shows the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index construction process.
제주특별자치도의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 자료를 도출하기 위해 적용된 관측소 현황은 총 40개소(유인 4개소, 무인 36개소)이고, 유인관측소는 개수가 적지만, 자료수집 기간이 길어 통계의 신뢰성이 높다. 무인관측소는 자료수집 기간이 짧지만,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유인관측소의 자료를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주도 폭우재해 취약성에 활용된 무인관측소 지점은 관내 34개, 인근 2개소 등 총 36개의 관측소에서 자료를 획득가능하다. In order to derive data on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over 80 mm/day and the maximum amount of precipitation per year on average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 total of 40 observatories (4 manned, 36 unmanned) were applied, and although the number of manned observatories is small, the data collection period This length makes the statistics more reliable. Although the data collection period of the unmanned observatory is short,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data of the manned observatory because it is located at various points. data can be obtained.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는 기상관측소별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자료구축한다.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가 가장 작은 관측소는 월정 지점으로 약 0.5일, 가장 높은 관측소는 성판악 지점으로 약 15.26일이다.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of 80 mm/day or more per year on average is constructed with data on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of 80 mm/day or more on average per meteorological station. The station with the lowest annual average of 80mm/day or more is about 0.5 days at Woljeong, and the highest station at Seongpanak is about 15.26 days.
관측지점별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점형 자료)를 IDW 공간보간법을 활용하여 면적형 자료로 도출하여 Arcmap (GIS 프로그램)의 IDW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지점들 사이의 관측값을 도출한다. Th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point type data) of 80 mm/day or more per year per observation point is derived as area type data using IDW spatial interpolation, and the observation values between points are derived using the IDW analysis technique of Arcmap (GIS program).
80mm/일 이상 강수일수는 한라산 인근일수록 많은 경향을 보이고, 제주도 남측 (서귀포시 일대)이 비교적 더 높은 값을 가지는 경향을 보인다.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면적형 자료)를 구간통계 방법을 활용하여 100m X 100m 격자별 자료 구축한다. 도 2는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면적형 자료이다.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over 80 mm/day tends to increase near Mt. Halla, and the southern part of Jeju Island (Seogwipo-si area) tends to have a relatively higher value. The averag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area data) of 80mm/day or more is constructed using the section statistical method to construct data for each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은 기상관측소별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 자료구축한 것으로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이 가장 작은 관측소는 오등 지점으로 약 32.25 mm, 가장 높은 관측소는 영실 지점으로 약 92.75 mm이다. 도 3은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격자형 자료이다. The annual average hourly maximum precipitation data was constructed by meteorological station. The observatory with the smallest annual maximum hourly precipitation is about 32.25 mm at Odeung, and the highest is about 92.75 mm at Yeongsil. 3 is a grid-type data showing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over an average of 80 mm/day per year.
관측지점별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 (점형 자료)을 IDW 공간보간법을 활용하여 면적형 자료로 도출한 것으로 Arcmap(GIS 프로그램)의 IDW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지점들 사이의 관측값을 도출한다. 시간 최대강수량은 한라산 인근일수록 많은 경향을 보이고, 제주도 서측은 비교적 낮은 값을 가지고 동측은 비교적 높은 값을 가지는 경향을 보인다. 도 4는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 면적형 자료이다.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 지표(면적형 자료)를 구간통계 방법을 활용하여 100m X 100m 격자별 자료 구축할 수 있으며 도 5는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격자형 자료이다. The average annual time maximum precipitation (point-type data) for each observation point is derived as area-type data using IDW spatial interpolation. Hourly maximum precipitation tends to increase nearer Mt. Halla, and the western side of Jeju Island tends to have a relatively low value and the eastern side tends to have a relatively high value. 4 is an annual average time maximum precipitation area type data. The average annual time maximum precipitation index (area data) can be constructed using the section statistical method to construct data for each
2.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부2. Current Urban Sensitivity Analysis Department
본 발명의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부는 잠재취약지역과 도시취약구성요소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를 분석단위로 분석지표 자료를 구축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urban sensitivity analysis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otential vulnerable area and urban vulnerable components,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mponent is an analysis unit to construct an analysis index data.
도시민감도 관련 분석지표는 크게 잠재취약지역과 도시취약구성요소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별 면적대비 집계구 면적으로 분석지표 자료를 구축하고 잠재취약지역은 최근 10년간 피해지역, 방재지구,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침수, 유실, 취약방재, 붕괴), 산사태취약지역(산사태위험지역), 주요 하천변 저지대(계획홍수위보다 낮은 지역),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위험지구로 구성된다. The analysis index related to urban sensitivity is largely composed of potential vulnerable areas and urban vulnerable components, and the analysis index data is constructed based on the aggregate area of each component compared to the area of each component. It consists of a risk improvement district (flooding, loss, fragility prevention, collapse), a landslide vulnerable area (landslide risk area), a low-lying area along major rivers (a region lower than the planned flood level), and a risk district of the Comprehensive Flood and Flood Reduction Plan.
도시취약구성요소는 시민, 도시기반시설, 건축물로 구성되고 격자의 경우 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격자내 포함되는 면적으로 분석지표 자료를 구축한다. 시민의 경우 국토지리정보원의 100*100m의 인구자료를 활용하여 취약계층 정보를 도출하고 상대적 저지대, 누적 CN, 도시민감도 지표을 추가하여 동일한 가중치로 합산 평균하여 지표를 산출한다. Urban vulnerable components are composed of citizens, urban infrastructure, and buildings, and in the case of the grid, the area is the same, so the analysis index data is constructed with the area included in the grid. In the case of citizens, information on the vulnerable class is derived using the population data of 100*100m from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and the relative low-lying areas, cumulative CN, and urban sensitivity indicators are added and averaged with the same weight to calculate the indicators.
최근 10년간 피해지역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최근 10년간 피해지역 정보는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서 관리되고 있는 침수피해지역과 침수흔적도 등을 바탕으로 구축한다. 도 6은 과거피해지역현황도를 보여준다. 격자별 최근 10년간 피해지역 면적을 최근 10년간 피해지역 분석지표 자료로 구축할 수 있으며 도 7은 최근 10년간 피해지역 격자형 자료이다. Areas affected in the last 10 years Information on areas affected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ver the past 10 years is constructed based on flood damage areas and flood traces manag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NDMS). 6 shows a map of the current state of the damaged area in the past. The area of the damaged area for the last 10 years by grid can be constructed as an analysis index data for the damaged area for the last 10 years, and FIG. 7 is a grid-type data of the damaged area for the last 10 years.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폭우재해와 관련된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침수, 유실, 취약방재, 붕괴)로 지정된 지역은 총 35개 지구이고, 제주시는 14개 지구가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되었으며, 모두 침수위험지구로 지정되며 서귀포시의 경우 21개 지구 중 17개가 침수위험지구, 4개는 붕괴위험지구로 지정된다. 도 8은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 현황도이고 도 9는 격자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면적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분석지표 자료이다.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districts are 35 districts in total designated as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districts (flooding, loss, vulnerable disaster prevention, collapse) related to heavy rain disaster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14 districts in Jeju City are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districts. In the case of Seogwipo City, 17 out of 21 districts are designated as flood risk zones and 4 are designated as collapse risk zones. 8 is a diagram of the status of the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district, and FIG. 9 is the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district analysis index data for each grid area of the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district.
주요 하천변 저지대는 계획홍수위보다 낮은 지역이며, 제주특별자치도의 17개의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 하천변 저지대 분석지표를 도출이다. The low-lying areas along the main rivers are lower than the planned flood level, and the analysis indicators for the low-lying areas along the rivers are derived from 17 major river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제주특별자치도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서는 풍수해위험지구 선정시 17개의 주요 하천에 대해서 계획홍수위보다 낮은 저지대 지역을 도출하며 본 발명에서는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서 도출한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변 저지대 자료를 도출한다. 도 10은 주요 하천변 저지대 현황도이다.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omprehensive Plan for Flood and Flood Damage Reduction, low-lying areas lower than the planned flood level are derived for 17 major rivers when selecting a storm and flood risk zone. 10 is a diagram of the current state of the main riverside lowlands.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풍수해위험지구는 2014년 구축된 제주특별자치도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서 지정된 풍수해위험지구는 총 120개소이며, 폭우와 관련된 위험지구 87개를 대상으로 풍수해위험지구 자료를 구축한다. 하천재해위험지구 42개소, 내수재해 위험지구 38개소, 사면재해 위험지구 7개소, 해안재해 위험지구 33개소이며 해안재해 위험지구의 경우 폭우재해와 관련성이 적어 33개소를 제외한 87개소를 대상으로 자료 구축한다. 도 11은 하천변 저지대 격자형 자료이고, 도 12는 풍수해위험지구 현황도이며, 도 13은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위험지구 격자형 자료이다. As for the storm and flood risk zones in the Comprehensive Flood and Flood Reduction Plan, there are a total of 120 zones designated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omprehensive Plan for Flood and Flood Damage Reduction in 2014. There are 42 river disaster risk zones, 38 inland water disaster risk zones, 7 slope disaster risk zones, and 33 coastal disaster risk zones. In the case of coastal disaster risk zones, there is little relevance to heavy rain disasters, so data were constructed for 87 locations excluding 33 locations. do. 11 is a grid-type data of the riverside low-lying area, FIG. 12 is a diagram of the current state of the storm and flood risk zone, and FIG.
최근 10년간 피해지역,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주요 하천변 저지대,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위험지구 등 잠재취약지역을 종합한 격자자료 구축한 것으로 도 14는 잠재취약지역 격자형 자료이다. The grid data of potential vulnerable areas such as damaged areas,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areas, major riverside lowlands, and risk areas of the Comprehensive Flood and Flood Reduction Plan was constructed.
도시취약구성요소는 크게 시민, 도시기반시설, 건축물로 구성되고 도시기반시설은 폭우재해 취약성분석과 관련된 도시기반시설은 도로, 철도, 수도공급설비, 전기공급설비, 가스공급설비, 열공급설비, 유류저장 및 송유설비, 수질오염 방지시설 등이 포함한다. Urban vulnerable components are largely composed of citizens, urban infrastructure, and buildings. Urban infrastructure related to the vulnerability analysis of heavy rain disasters is roads, railways, water supply facilities, electricity supply facilities, gas supply facilities, heat supply facilities, and oil. It includes storage and oil transmission facilities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각 시설별 집계구내 면적을 도출하고 집계구 면적 대비 시설물 면적 데이터를 분석지표로 활용하며 기반시설 관련 자료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KRAS)에서 추출하여 분석지료를 구축한다. 도 15는 취약도시기반시설 현황도(폭우)이다. The area within the aggregated district for each facility is derived, and the facility area data compared to the aggregated area is used as an analysis index, and the infrastructure-related data is extracted from the Real Estate Comprehensive Study System (KRAS) to construct the analysis data. 15 is a diagram of the status of vulnerable urban infrastructure (heavy rain).
격자별 도시기반시설 면적을 도시기반시설 분석지표 자료로 구축할 수 있고 도 16은 도로 격자형 자료이고 도 17은 수도공급설비 격자형 자료, 도 18은 전기공급설비 격자형 자료, 도 19는 가스공급설비 격자형 자료, 도 20은 수질오염 격자형 자료, 도 21은 도시기반시설 격자형 자료이다. The urban infrastructure area for each grid can be built as an urban infrastructure analysis index data, FIG. 16 is road grid data, FIG. 17 is water supply facility grid data, FIG. Supply facility grid-type data, FIG. 20 is water pollution grid-type data, and FIG. 21 is urban infrastructure grid-type data.
폭우재해 관련 건축물 자료는 집계구 내 노후단독 주택 및 반지하주택을 바탕으로 구축하는 것으로 건축물 관련 정보는 건축물대장을 활용하여 20년 이상(사용승인일이 1999년 이전)의 노후단독주택과 단독 및 다세대 주택 층수가 지하 1층인 반지하주택 정보를 도출하여 자료를 구축한다. 도 22는 취약건축물 현황도(폭우)이다. 격자별 건축물 면적을 건축물 분석지표 자료로 구축가능하며 도 23은 노후단독 격자형 자료, 도 24는 반지하주택 격자형 자료이다. Data on buildings related to heavy rain disasters are built based on old single-family houses and semi-underground houses in the tally. For building-related information, the building register is used to provide information on old single-family houses and single and multi-family houses that are over 20 years old (approval date for use before 1999). Data is constructed by deriving information on semi-underground houses with the number of stories below the ground level. 22 is a diagram of the status of vulnerable buildings (heavy rai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uilding area for each grid as a building analysis index data, and FIG. 23 is a grid-type data for an aging individual, and FIG. 24 is a grid-type data for a semi-underground house.
폭우재해 관련 시민 자료는 국토지리정보원의 자료를 활용하며 국토지리정보원의 100m 격자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및 5세 미만 어린이 인구수를 도출하여 지표로 활용한다. 도 25는 노인인구수 격자형 자료이고 도 26은 시민 인구수 격자형 자료이다. Citizen data related to heavy rain disasters use data from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and the 100-meter grid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is used to derive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over 65 and children under the age of 5 and use it as an index. 25 is a grid data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FIG. 26 is a grid data of a citizen population.
3. 미래 기후노출분석부3. Future Climate Exposure Analysis Department
도 58는 미래 기후노출분석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미래 기후노출분석부는 기후변화정보센터로부터 기후변화 시나리오 데이터(RCP 8.5)를 활용한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자료를 구분하여 저정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측데이터를 공간보간법(Spatial interpolation)을 활용하여 점형 기후자료를 면적형 자료로 변환 및 구역 통계(Zonal statistics) 격자별 지표로 변환하는 자료 변환부;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58 is a block diagram of a future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The future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for classifying and storing data on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over an average of 80 mm/day per year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RCP 8.5) from the 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dat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point-type climate data into area-type data and zonal statistics grid-specific indicators by using spatial interpolation for the observa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폭우재해 관련 미래 기후노출 자료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데이터(RCP 8.5)를 활용한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자료를 활용하여 구축가능하며, 기후변화정보센터의 남한상세자료, RCP 8.5, 제어적분 200년, 일평균 자료를 가공하여 80mm/일 이상 강수일수의 30년 평균 자료를 구축하여 미래 기후노출 자료로 활용하고 관측값의 분석기간은 30년(2018~2047)년까지 설정하였으며, 연평균 값을 산출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한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서귀포시 등 남동쪽은 높게 나온 반면 제주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도 27은 미래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이다. Future climate exposure data related to heavy rain disasters can be constructed using data on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over an average of 80 mm/day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RCP 8.5). , the daily average data were processed to construct a 30-year average data of th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of 80 mm/day or more, and used as future climate exposure data. and calculated as the average value. In the southeastern par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uch as Seogwipo City, it is high, whereas Jeju City is relatively low. 27 shows th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of 80 mm/day or more on average in the future.
격자별 미래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면적을 미래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분석지표 자료로 구축가능하고 도 28은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격자형 자료이다. The area of the future annual average of 80 mm/day or more for each grid can be constructed as an analysis index data for the future average annual average of 80 mm/day or more.
4.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부4. Future City Sensitivity Analysis Department
본 발명의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부는 일정한 기간 시가화 지역, 인구 증가수, 개발지역 예정지구 데이터를 분석단위별로 각각 분석지표 자료로 구축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The future city sensitivity analysis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structing urbanization area, population increase number, and planned district data for each analysis unit as analysis index data for a certain period.
최근 10년간 시가화지역은 환경공간정보서비스의 토지피복도 중분류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10년간 시가화로 변화된 지역을 도출하여 분석지표로 활용된다. Urbanization areas in the last 10 years are used as analysis indicators by deriving areas that have changed due to urbanization in the last 10 years by using the middle classification data of the land cover of the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환경공간정보서비스의 2005년과 2014년 중분류 토지피복도 자료(해상도 5m)를 이용하여 시가화 및 건조지역으로 새롭게 변경된 지역의 자료를 도출한 것으로 한라산 지역을 제외한 제주특별자치도의 거의 대부분 지역에서 시가화 및 건조화 지역으로 변화한다. 도 29는 최근 10년간 시가화·건조지역 현황도이다. Using the 2005 and 2014 medium-class land cover data (resolution 5m) of the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data on areas newly changed to urbanization and dry areas were derived. and dry areas. 29 is a diagram showing the current state of urbanization/drying areas for the last 10 years.
격자별 최근 10년간 시가화 및 건조화 지역 면적을 최근 10년간 시가화 및 건조화 지역 자료로 구축가능하며, 도 30은 최근 10년간 시가화지역 격자형 자료이다.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urbanized and dried area area for the last 10 years by grid as the urbanized and dried area data for the last 10 years, and FIG.
개발사업진행·예정지구로 도시개발사업진행 및 예정지구 자료는 한국토지정보시스템 전산자료 등을 활용하여 도출한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KRAS)에 등재된 도시개발 관련 사업구역 및 예정지구는 5개소이다. 도 37은 개발사업진행 예정지구 현황도이다.Development project progress and planned district Urban development project progress and planned district data are derived using computerized data from the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Currently, there are five urban development-related business areas and planned districts registered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eal Estate Comprehensive Study System (KRAS). 37 is a diagram of the current state of the district in which the development project is to be carried out.
격자별 도시개발사업진행 및 예정지구 면적을 도시개발사업진행 및 예정지구 자료로 구축가능하며, 도 32는 개발사업진행 및 예정지구 격자형 자료이다.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progress and planned district area by grid as urban development project progress and planned district data, and FIG.
최근 10년간 인구증가수는 데이터의 한계로 5년 자료를 활용하여 구축가능하며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격자기반 국토 통계지도 중 인구데이터는 2014년 10월 자료부터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의 한계로 가장 최신자료인 2019년 4월 인구수에서 2014년 10월 인구수의 차이를 계산하여 인구증가수 자료를 구축한다. 도 33은 인구증가 수 격자형 자료이다. The number of population growth in the last 10 years can be constructed using five-year data due to the limitation of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data limitations, the population increase data is construct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the population in October 2014 and the number of the population in April 2019, which is the most recent data. 33 is a data grid for population growth.
5. 도시민감도 분석부에 개선된 지표5. Improved Indicators for Urban Sensitivity Analysis Department
본 발명의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부에 개선된 지표인 누적 CN지표 및 상대적 저지대지표를 동일한 가중치로 추가한다. The cumulative CN index and the relative lowland index, which are improved indexes, are added to the current urban sensitivity analysis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ame weight.
기존 분석지표와 합산이 가능한 표준지표로 변환하여 평균값 지표로 산출하는 것으로, 상기 누적 CN지표는 기초자료 가공단계 및 상기 가공된 지표자료를 활용하여 소유역 단위로 지표를 가공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기초자료는 수치토지피복도, 수문학적 토양군, 수치표고데이터 및 소유역 경계 데이터이며, 상기 기초자료 가공단계는 자료의 전처리 및 격자별 CN값 산정을 포함하고,소유역별로 CN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CN값을 우수유출방향을 이용하여 누적된 CN을 산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It is converted into a standard index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existing analysis index and calculated as an average value index. The basic data are numerical land cover, hydrological soil group, numerical elevation data, and subwatershed boundary data. It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accumulated CN by using the CN value in the direction of the runoff.
(1) 누적 CN 지표 (1) Cumulative CN Indicator
우수유출 특성 반영을 위한 우수유출량 산정방법 선정하는 것으로 강우로부터 손실량을 뺀 직접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에는 크게 일정비법, 일정손실율법, 초기손실-일정손실율법, 침투곡선법, 표준강우-유출관계곡선법이라는 다섯 가지방법이 있다.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irect runoff minus the loss from rainfall is to select a method for calculating stormwater runoff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There are five methods of law.
대상지역의 직접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이미 발생한 강우-유출자료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손실우량을 계산하여야 하고 우리나라는 중소유역에 대한 유출량 실측자료가 부족하여 강우손실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직접유출량을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In order to calculate the direct runoff in the target area,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analyze the rainfall-runoff data that have already occurred and calculate the rainfall los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estimating the direct outflow.
우리나라에서는 미국 자연자원보존국(NRCS)에서 제시한 표준강우-유출관계곡선법의 하나인 NRCS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다만, NRCS방법은 미국 중서부의 소규모 농업지대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된 방법이므로 수문특성이 다른 유역에 적용할 때에는 주의해야 한다. In Korea, the NRCS method, which is one of the standard rainfall-runoff curve methods proposed by the U.S. Bureau of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NRCS), is widely used. Caution should be exercised when applying to watersheds with different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NRCS방법은 강우강도가 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고, 추정된 침투율이 불포화층 흐름이론과 일치하지 않으며, 강우가 장시간 계속될 경우에는 포화상태의 투수계수와 같아지고 따라서 며칠 이상 강우가 지속되면 지표면이 포화되어 사실상 합리식에 의한 유출계수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서 작성 및 검토를 위한 행정안전부의 실무지침에서 NRCS의 적용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으나 직접유출량(유효우량)은 NRCS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The NRCS method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effect of rainfall intensity on the loss, the estimated penetration rate does not match the unsaturated layer flow theory, and if the rainfall continues for a long time, it becomes the same as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in the saturated state. It is judged that the runoff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rational equation can be applied in reality because the surface of the earth is saturated. The practical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or the preparation and review of the pre-disaster impact assessment report stipulates the application method of NRCS as follows, but the direct runoff (effective rainfall) is calculated using the NRCS method.
토양도는 정밀토양도를 이용하되 부득이한 경우에는 개략토양도를 이용한다. For the soil map, use a precise soil map, but use a rough soil map when unavoidable.
유출곡선지수(CN : Curve Number)는 동일토양형-피복형별 면적에 대하여 CN값을 부여한 후, 면적가중평균하여 유역의 평균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한다. For the runoff curve index (CN: Curve Number), the average runoff curve index of the watershed is calculated by assigning a CN value to the area of the same soil type-coverage type and then averaging the area.
선행토양함수조건(AMC :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은 AMC-Ⅲ 조건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AMC) is calculated by applying AMC-Ⅲ conditions.
누적 CN 지표를 구축하기 위한 단계는 크게 기초자료 가공부분과 가공된 지표자료를 활용하여 소유역 단위로 지표를 가공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누적 CN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는 크게 수치토지피복도, 수문학적 토양군, 수치표고데이터 그리고 소유역 경계 데이터가 있다. The steps to construct the cumulative CN index are largely composed of the basic data processing part and the step of processing the index in subwatershed units using the processed index data. There are counties, numerical elevation data, and subwatershed boundary data.
기초자료 가공부분은 자료의 전처리, 격자별 CN값 산정을 포함하고 누적 CN 지표 구축 단계에서는 소유역별로 CN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CN값을 우수유출방향을 고려하여 누적된 CN을 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The basic data processing part includes data pre-processing and calculation of CN values for each grid. In the stage of constructing the cumulative CN indicator, the CN value is derived for each subwatershed, and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accumulated CN by consider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tormwater runoff. include
기초자료 가공의 첫 단계는 토양군과 토지피복도 자료를 검토하여 결측자료를 체크하고 관련 값을 주변값을 고려하여 부여한다. 도 34는 수문학적 토양군 결측지역이고, 도 35는 수치토지피복도 결측 격자이다. The first step of processing the basic data is to check the missing data by examining the soil group and land cover data, and assign the relevant values considering the surrounding values. 34 is a missing area of a hydrological soil group, and FIG. 35 is a grid of missing numerical land cover diagrams.
결측자료를 보완한 후 수치토지피복도, 수문학적 토양군 등의 데이터를 인구데이터의 100m 격자와 동일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CN값 산정을 위한 수치토지피복도, 수문학적 토양군 등의 데이터의 경우 인구 데이터의 100m 격자와 시작점, 크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 After supplementing missing data, data such as numerical land cover and hydrological soil group are converted into the same format as the 100m grid of population data, and in the case of numerical land cover and hydrological soil group data for CN value calculation, the population data Since the 100m grid and the starting point and size are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unify them.
100m 격자 자료로 기초자료 가공시에는 격자 내 면적이 가장 많이 차지하는 특성을 격자의 대표 특성으로 부여하고 이를 위해 ArcMap과 Excel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하며, 주로 활용한 기능은 Intersect, Dissolve, Pivot Table, If 함수 등이 있다. 다음 단계는 수치표고모델의 공간 포맷을 인구데이터의 100m 격자와 동일한 포맷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00m 격자자료 내 평균 표고값을 산출하여 100m 격자에 부여하고 AcrMap의의 Zonal Statics as Table, Join 기능을 활용하여 100m 격자별로 수치표고값을 부여한다. When processing basic data with 100m grid data, the characteristic that takes up the most area in the grid is given a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the grid, and programs such as ArcMap and Excel are used for this. functions, etc. The next step is to process the spatial format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n the same format as the 100m grid of the population data, calculate the average elevation value in the 00m grid data, and assign it to the 100m grid. Assign numerical elevation values to each grid.
수치토지피복도, 수문학적 토양군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격자별 CN값을 산정하고 CN값은 AMC-III 컨디션으로 각 격자별 수치토지피복도와 수문학적 토양군 값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도 36은 격자별 CN값 산정이다. The CN value for each grid is calculated using data such as numerical land cover and hydrological soil group, and the CN valu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numerical land cover and hydrological soil group values for each grid in AMC-III condition. 36 is a CN value calculation for each grid.
누적 CN 지표 지표를 구축하기 위한 단계는 분석자료를 소유역별로 구분, Polygon 격자데이터를 Raster 데이터로 변환, 소유역별 유출방향 분석,누적 CN값 산출, 소유역별 산정된 Raster 데이터 통합, Raster 격자데이터를 Polygon 데이터로 변환한다. The steps to build the cumulative CN indicator index are to classify the analysis data by subwatershed, convert polygon grid data to raster data, analyze the outflow direction for each subwatershed, calculate the cumulative CN value, integrate the calculated raster data for each subwatershed, convert the raster grid data to polygon Convert to data.
제주도 소유역별로 누적 CN을 산정하기 위해 수치표고 모델 데이터를 소유역별로 구분하고 16개의 소유역별로 누적 CN값을 구분하기 위해 소유역 단위 지도와 100m 격자단위 수치표고 모델 데이터를 활용한다. To calculate the cumulative CN for each subwatershed in Jeju Island,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data is divided by subwatershed and the subwatershed unit map and 100m grid unit numerical elevation model data are used to classify the cumulative CN value for each of the 16 subwatersheds.
수치표고 모델 데이터를 소유역별로 구분하기 위해서 AcrMap의 Spatial Join, Split by Attributes 기능을 활용한다. 도 37은 제주도 소유역 구분이다.To classify numerical elevation model data by subwatershed, AcrMap's Spatial Join and Split by Attributes functions are used. 37 is a sub-basin division of Jeju Island.
소유역별로 우수유출방향 분석 등 수문분석이 가능하도록 Polygon 형태로 구축된 CN값, 수치표고 모델 데이터 등을 Raster 데이터로 변환하고 ArcMap의 Polygon to Raster 분석을 활용하여 격자별 CN값과 수치표고 모델 데이터를 Raster 형태로 변환하며 누적 CN 산정을 위해 소유역별 유출방향 분석으로 소유역별 100m 격자 Raster 데이터 16개를 활용하여 소유역별 유출방향을 분석하고 ArcMap의 Flow Direction 기능을 활용하여 소유역별 유출방향을 산정하고, 유출방향은 총 8개 방향임을 알 수 있다. 도 38은 Flow Direction 분석 예시이다. 도 39는 유출방향 표기 방법이다. Convert CN values and numerical elevation model data constructed in polygon form to raster data to enable hydrological analysis such as storm runoff direction analysis for each subwatershed, and CN values and numerical elevation model data for each grid by using ArcMap’s Polygon to Raster analysis. Analyze the outflow direction by subcatchment using 16 100m grid raster data for each subcatchment as an outflow direction analysis for each subwatershed and calculate the runoff direction for each subcatchment by using the Flow Direction function of ArcMap. It can be seen that the outflow direction is a total of 8 directions. 38 is an example of Flow Direction analysis. 39 is a method for indicating an outflow direction.
소유역별 우수유출방향을 고려하여 누적 CN값을 산출은 격자별 유출방향을 고려하여 누적 CN값을 ArcMap의 Flow Accumulation 기능을 활용하여 산출하는 것으로 Flow Accumulation 기능을 활용할 때 Input Weight Raster는 격자별 산정되어 있는 CN 값을 입력한다. 도 40은 Flow accumulation 창 화면 (예시)이다. Calculating the accumulated CN value considering the runoff direction for each subcatchment is to calculate the accumulated CN value by using the Flow Accumulation function of ArcMap considering the runoff direction for each grid. When using the Flow Accumulation function, the Input Weight Raster is calculated for each grid. Enter the CN value. 40 is a flow accumulation window screen (example).
16개 소유역별로 구축된 누적 CN 값을 하나의 Raster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으로 ArcMap의 Mosaic to New Raster 기능을 활용하여 16개의 소유역별로 구축된 누적 CN 값을 하나의 Raster 데이터로 변환한다. 1개의 누적 CN Raster 데이터를 Polygon 데이터로 변환은 재해취약성 분석의 용이성을 위해 Raster 데이터로 구축된 누적 CN값을 Polygon 데이터로 변환과 ArcMap의 Zonal Statistics as Table, Join 기능을 활용한다. It converts the accumulated CN values built for each 16 subwatersheds into one raster data, and uses the Mosaic to New Raster function of ArcMap to convert the accumulated CN values built for each 16 subwatersheds into one raster data. Converting one cumulative CN raster data to polygon data converts the accumulated CN value built from raster data into polygon data for ease of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nd utilizes the Zonal Statistics as Table, Join function of ArcMap.
누적 CN 지표 결과 누적 CN 값은 하천 하류를 따라 값이 높게 산정되고 있으며, 가장 높은 CN값은 209574이다. 도 41은 제주도 누적 CN 지도이다. As a result of the cumulative CN index, the cumulative CN value is calculated to be high along the downstream of the river, and the highest CN value is 209574. 41 is a cumulative CN map of Jeju Island.
(2) 상대적 저지대(2) relative lowlands
본 발명의 상대적 저지대지표는 100m 격자자료로 표고값 산출과 표고군집분석의 결과물로 상대적 고지대(High-Low), 고지대(High-High), 상대적 저지대(Low-High),저지대(Low-Low) 또는 기타(Non Significant) 중 어느하나로, 상기 100m 격자 표고값 산출은 ArcMap의 Zonal Statics as Table, Join 기능을 이용하여 산출하고,상기 표고군집분석은 ArcMap의 Local Moran’s I 기능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The relative low land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ult of the elevation value calculation and elevation cluster analysis using 100 m grid data, and is a result of relative high-low, high-high, low-high, low-low. Alternatively, as any one of the other (Non Significant), the 100m grid elevation value calculation is calculated using the Zonal Statics as Table, Join function of ArcMap, and the elevation cluster analysis is analyzed using ArcMap's Local Moran's I function. There is this.
상대적 저지대 지표 개발 필요성으로 재해취약성 분석에서는 계획홍수위보다 낮은 지역을 하천변 저지대로 지표를 활용할 수 있다. 재해 취약성 분석의 현재 도시민감도 지표 중 잠재취약지역에 주요 하천변 저지대 지표를 활용가능하다. 하지만, 실제로 피해가 발생한 지역을 보면, 하천변 저지대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여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과거 침수흔적도와 하천변 저지대를 비교한 결과 하천변 저지대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서도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단순 표고 수치만 고려하여 저지대를 판단했을 때, 하천변 저지대가 아닌 지역에서 발생하는 침수발생 지역에 대해서는 설명하는 것이 제한된다. Due to the need to develop a relative low-lying index, in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the area lower than the planned flood level can be used as a low-lying area along the river. Among the current urban sensitivity indicators of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t is possible to use major riverside low-lying indicators for potential vulnerable areas. However, when looking at the areas where damage actually occurred, damage frequently occurred not only in the low-lying areas along the rivers, but also in other areas. When judging low-lying areas by considering only numerical values, it is limited to explain areas where flooding occurs in areas other than riverside low-lying area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상대적 저지대 지표”를 개발하여 폭우재해 취약성 분석방법을 개선하고자 하며 상대적 저지대란 주변지역에 비해 표고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을 의미한다. 취약성은 기후노출과 다양한 도시민감도 지표를 활용하기 때문에 침수지역과 정확히 일치할 필요는 없지만, 지형적으로 주변보다 낮은 지역을 도출하여 지표로 활용하면 재해취약성 분석방법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2는 하천변 저지대 및 침수흔적지역 비교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is problem, a “relative low-lying index” is developed to improve the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 for heavy rain disasters, and the relative low-lying area means an area having a relatively low elevation compared to the surrounding area. Vulnerability does not have to exactly match the flooded area because climate exposure and various urban sensitivity indicators are used. 42 is a comparison of the riverside lowlands and flooded trace areas.
상대적 저지대를 구축하기 위해 공간군집 분석(Spatial Clustering Analysis) 기법을 활용하고,Using the Spatial Clustering Analysis technique to build the relative lowlands,
공간군집 분석은 데이터의 공간패턴을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공간 군집을 이루고 있는지 판별하는데 활용하는 분석방법이다. 공간군집 분석에는 크게 전체 지역의 공간적 군집패턴 유무를 판단하는 전역적(Global) 군집패턴과 특정 장소들의 공간적 군집패턴 유무를 판단하는 국지적 군집 패턴이 있고 Hot Spot(Cold Spot)은 특정 장소의 값이 주변지역보다 높음(낮음)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는 국지모란지수(Local Moran’s I) 분석방법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Spatial cluster analysis is an analysis method used to statistically determine whether spatial clusters are formed by analyzing spatial patterns of data. Spatial clustering analysis largely includes a global clustering pattern that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atial clustering pattern in the entire region and a local clustering pattern that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atial clustering pattern in specific places. Higher (lower) than surrounding areas can be analyzed, which can be analyzed using the Local Moran's I analysis method.
격자별로 주변 1km를 대상으로 국지모란지수를 산정하여 상대적 저지대 자료를 구축 분석시에는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격자)와 주변 지역의 범위를 선정해야하며, 주변 지역의 범위가 넓을수록 분석시간이 연장되며, 일정 공간 이상시에는 컴퓨터에 과부하가 발생 가능하다. 제주도의 경우 총 184,973개의 격자로 구성되어 있다. 도 43은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도구 Window 창 예시이다. 도 44는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분석범위(예시)이다. When constructing and analyzing the relative lowland data by calculating the local peony index for the surrounding 1km by grid,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area to be analyzed (the grid) and the range of the surrounding area. The wider the range of the surrounding area, the longer the analysis time. , it is possible to overload the computer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a certain space. In the case of Jeju Island, it is composed of a total of 184,973 grids. 43 is an example of the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tool Window window. 44 is a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analysis range (example).
상대적 저지대 구축방법은 100m 격자자료로 표고값 산출과 표고군집분석으로 구성되고 100m 격자 표고값 산출은 누적 CN 구축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ArcMap의 Zonal Statics as Table, Join 기능을 활용하여 구축한다. The relative lowland construction method consists of calculating the elevation value with 100m grid data and analyzing the elevation cluster. The calculation of the 100m grid elevation value is the same as when constructing the cumulative CN, using ArcMap's Zonal Statics as Table, Join function.
표고 군집분석은 ArcMap의 Local Moran’s I 기능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는 하기 표8과 같이 크게 상대적 고지대(High-Low), 고지대(High-High), 상대적 저지대(Low-High), 저지대(Low-Low), 기타(Non Significant) 등으로 구성한다. 도 45는 주변지역 범위에 따른 수치표고모델의 군집분석 결과이다. Elevation cluster analysis is analyzed using ArcMap's Local Moran's I func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largely as shown in Table 8 below: Relative High-Low, High-High, Relative Low-High, and Low. -Low) and other (Non Significant). 45 is a cluster analysis result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surrounding area.
6.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결과 비교6. Comparison of analysis results of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본 발명에서 개발하는 ‘제주형 재해취약성 분석 시스템’에서는 지표 추가 및 가중치 적용 등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존 폭우재해 취약성 분석지표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누적 CN, 상대적 저지대 지표를 추가하여 폭우재해취약성을 분석하여 결과를 검토한다. In the 'Jeju-typ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 indicators and apply weight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umulated CN and relative low-land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dded to the existing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ndex to add a heavy rain disaster. Analyze the vulnerability and review the results.
(1) 현재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결과(1) Current storm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현재기후노출 분석결과 1, II 등급은 약 32%로 분석되고 현재 기후노출은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와 연평균 시간최대강수량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된다. 도 46은 현재 기후노출을 보여준다. As a result of the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결과 1, II 등급은 약 28%로 분석되고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은 잠재취약지역과 도시취약구성요소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된다. 도 47은 현재 도시민감도이다. As a result of the current urban sensitivity analysis,
현재 폭우재해취약성 분석결과 1, II 등급은 약 8%로 분석이고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은 현재기후노출과 현재도시민감도 자료를 취약성 등급 매트릭스에 의해 분류되고 기후노출은 한라산 지역을 중심으로 I 등급이 분포하고 있지만, 도시민감도는 해안가를 중심으로 I 등급이 분포하고 있어, I 등급으로 분류된 지역은 없다. 도 48은 취약성 등급 매트릭스이다. 도 49는 현재 폭우재해 취약성 분석결과이다. 하기 표 11은 현재 폭우재해 취약성 분석결과이다.As a result of the current vulnerability analysis to heavy rain disasters,
(2) 미래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결과(2) Future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미래 기후노출 분석결과 1, II 등급은 약 25.67%로 분석으로 미래 기후노출은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된다. 도 50은 미래 기후노출이다. 하기 표 12은 미래 기후노출 표이다.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future climate exposure,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결과 1, II 등급은 약 2.6%로 분석되는 것으로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은 개발사업진행·예정지구, 최근 10년간 시가화지역, 최근 5년간 인구증가수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된다. 도 51은 미래 도시민감도이다. 표 13는 그 결과값이다.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future city sensitivity,
미래 폭우재해취약성 분석결과 1, II 등급은 약 10%로 분석으로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은 미래 기후노출과 미래 도시민감도 자료를 취약성 등급 매트릭스에 의해 분류된다. 도 52는 취약성 등급 매트릭스이고 도 53은 미래 폭우재해 취약성 분석결과이다. 표 14은 그 결과값이다. As a result of the vulnerability analysis for future heavy rain disasters,
(3) 폭우 종합재해취약성 분석결과(3) Result of analysis of vulnerability to comprehensive disasters in heavy rain
미래 폭우재해취약성 분석결과 1, II 등급은 약 10%로 분석으로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은 미래 기후노출과 미래 도시민감도 자료를 취약성 등급 매트릭스에 의해 분류된다. 도 54는 도시종합재해취약성 등급 매트릭스이고 도 55는 폭우 관련 도시 종합재해 취약성 분석결과이다. 표 15는 그 결과이다.As a result of the vulnerability analysis for future heavy rain disaster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Claims (8)
분석단위별로 현재 취약성 등급 분석부 및 미래 취약성 등급 분석부로 구분하여 각각의 분석부의 등급 중 더 낮은 등급을 선정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취약성 등급 분석부는 현재 기후노출분석부 및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부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석부의 결과는 1~4등급 중 어느 하나로 두 개의 등급을 평균한 등급으로 산출되며,
상기 미래 취약성 등급 분석부는 미래 기후노출분석부 및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부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석부의 결과는 1~4등급 중 어느 하나로 두 개의 등급을 평균한 등급으로 산출되며,
상기 현재 도시민감도 분석부는 잠재취약지역과 도시취약구성요소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를 분석단위로 분석지표 자료를 구축하고,
상기 도시민감도 분석부에 개선된 지표인 누적 CN지표 및 상대적 저지대지표를 동일한 가중치로 추가하되,
기존 분석지표와 합산이 가능한 표준지표로 변환하여 평균값 지표로 산출하는 것으로,
상기 누적 CN지표는 기초자료 가공단계 및 상기 가공된 지표자료를 활용하여 소유역 단위로 지표를 가공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기초자료는 수치토지피복도, 수문학적 토양군, 수치표고데이터 및 소유역 경계 데이터이며,
상기 기초자료 가공단계는 자료의 전처리 및 격자별 CN값 산정을 포함하고,
소유역별로 CN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CN값을 우수유출방향을 이용하여 누적된 CN을 산정하며,
상기 누적 CN 지표를 구축하기 위한 단계는 기초자료 가공부분과 가공된 지표자료를 활용하여 소유역 단위로 지표를 가공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누적 CN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는 수치토지피복도, 수문학적 토양군, 수치표고데이터 그리고 소유역 경계 데이터가 있고,
상기 기초자료 가공부분은 자료의 전처리, 격자별 CN값 산정을 포함하고 누적 CN 지표 구축 단계에서는 소유역별로 CN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CN값을 우수유출방향을 고려하여 누적된 CN을 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상대적 저지대지표는 100m 격자자료로 표고값 산출과 표고군집분석의 결과물로 상대적 고지대(High-Low), 고지대(High-High), 상대적 저지대(Low-High),저지대(Low-Low) 또는 기타(Non Significant) 중 어느하나로,
상기 100m 격자자료로 표고값 산출은 ArcMap의 Zonal Statics as Table, Join 기능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상기 표고군집분석은 ArcMap의 Local Moran’s I 기능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
In the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Divided into a current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and a future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for each analysis unit, including an output unit that selects and outputs the lower level among the ratings of each analysis unit,
The current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consists of a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and a current urban sensitivity analysis unit, and the result of each analysis unit is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wo grades in any one of 1 to 4 grades,
The future vulnerability rating analysis unit is composed of a future climate exposure analysis unit and a future city sensitivity analysis unit, and the result of each analysis unit is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wo grades in any one of 1 to 4 grades,
The current urban sensitivity analysis unit consists of a potential vulnerable area and urban vulnerable components, and constructs analysis index data for each component as an analysis unit,
The cumulative CN index and the relative lowland index, which are improved indexes, are added to the urban sensitivity analysis unit with the same weight,
It is converted into a standard index that can be summed with the existing analysis index and calculated as an average value index,
The cumulative CN index consists of a basic data processing step and a step of processing the index in a subwatershed unit using the processed index data,
The basic data are numerical land cover, hydrological soil group, numerical elevation data, and subwatershed boundary data,
The basic data processing step includes pre-processing of data and calculation of CN values for each grid,
The CN value is derived for each subwatershed, and the accumulated CN is calculated using the derived CN value using the stormwater runoff direction.
The step for constructing the cumulative CN index consists of processing the index in a subwatershed unit using the basic data processing part and the processed index data. , numerical elevation data and subwatershed boundary data,
The basic data processing part includes data pre-processing and calculation of CN values for each grid, and in the cumulative CN index construction stage, CN values are derived for each subwatershed, and the derived CN values are used to calculate the accumulated CN in consideration of the stormwater runoff direction. includes,
The relative low land indicator is a result of the elevation value calculation and elevation cluster analysis with 100 m grid data. (Non Significant) either,
Elevation value calculation using the 100m grid data is calculated using ArcMap's Zonal Statics as Table, Join function,
The elevation cluster analysis is characterized by analyzing using the Local Moran's I function of ArcMap, a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상기 현재 기후노출분석부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관측소별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및 연평균 시간 최대강수량에 대한 관측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측데이터를 공간보간법(Spatial interpolation)을 활용하여 점형 기후자료를 면적형 자료로 변환 및 구역 통계(Zonal statistics) 격자별 지표로 변환하는 자료 변환부;
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rent climate exposure analysis department
A database for storing observation data on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over 80 mm/day and the average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for each station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 dat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point-type climate data into area-type data and zonal statistics grid-specific indicators by using spatial interpolation for the observa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 advanced system for analysis of vulnerability to heavy rain disaster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상기 미래 기후노출분석부는
기후변화정보센터로부터 기후변화 시나리오 데이터(RCP 8.5)를 활용한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수일수 자료를 구분하여 저정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측데이터를 공간보간법(Spatial interpolation)을 활용하여 점형 기후자료를 면적형 자료로 변환 및 구역 통계(Zonal statistics) 격자별 지표로 변환하는 자료 변환부;
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uture climate exposure analysis department
A database that classifies and stores data on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with an average annual average of 80 mm/day or more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RCP 8.5) from the 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a dat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point-type climate data into area-type data and zonal statistics grid-specific indicators by using spatial interpolation for the observa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 advanced system for analysis of vulnerability to heavy rain disaster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상기 미래 도시민감도 분석부는 일정한 기간 시가화 지역, 인구 증가수, 개발지역 예정지구 데이터를 분석단위별로 각각 분석지표 자료로 구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
2. The method of claim 1
The future city sensitivity analysis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rbanization area, the number of population increase, and the planned district data of the development area for a certain period are constructed as analysis index data for each analysis unit.
상기 분석단위는 100m × 100m 크기의 격자 면적인 것에 특징이 있는 폭우 재해취약성 분석 고도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nalysis unit is a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d area of 100m × 100m siz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8115A KR102308748B1 (en) | 2020-02-14 | 2020-02-14 |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8115A KR102308748B1 (en) | 2020-02-14 | 2020-02-14 |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3678A KR20210103678A (en) | 2021-08-24 |
KR102308748B1 true KR102308748B1 (en) | 2021-10-08 |
Family
ID=7750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8115A KR102308748B1 (en) | 2020-02-14 | 2020-02-14 |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874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3755A (en) | 2021-12-03 | 2023-06-12 | 주식회사 시선아이티 |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ndex data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for urban planning establishment |
CN118396221B (en) * | 2024-04-24 | 2024-09-24 | 北京师范大学 |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determining storm flood disaster loss |
CN118446532B (en) * | 2024-07-05 | 2024-10-11 | 航天宏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 Storm risk early war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vulnerability curve |
-
2020
- 2020-02-14 KR KR1020200018115A patent/KR102308748B1/en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국가도시방재연구센터,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 국토교통부 국토연구원, 2013.08.* |
김승현 이동욱, 제주도 해수면 상승 재해취약성 분석방법 개선방안,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2018.10.* |
양성기 외 4명, 한천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고려한 관측자료 기반 홍수량 산정,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017.12.* |
이상은 외 6명, 도시 침수지역 및 영향권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 정책지원 시스템 구현(II),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20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3678A (en) | 2021-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009158B (en) | Typhoon, rainstorm and flood disaster full life cycl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 |
Dutta et al. | A mathematical model for flood loss estimation | |
Postance et al. | Extending natural hazard impacts: an assessment of landslide disruptions on a national road transportation network | |
KR102308748B1 (en) |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 |
CN113470333A (en) | Risk assessment and monitoring early warning system for shallow landslide of line engineering corridor | |
Tekin et al. | Selection of renewable energy systems sites using the MaxEnt model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region in Turkey | |
Gleason et al. | Developing a representative snow-monitoring network in a forested mountain watershed | |
Wesemann et al. | Hydrological modelling in the anthroposphere: predicting local runoff in a heavily modified high-alpine catchment | |
Song et al. | Elevation influence on rainfall and a parameterization algorithm in the Beijing area | |
Achmad et al. | A study of urban heat island of Banda Aceh City, Indonesia based on land use/cover changes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 |
Wang et al. | Risk assessment of typhoon disaster chains in the Guangdong–Hong Kong–Macau greater bay area, China | |
Badugu et al. | Predicting land surface temperature using data-driven approaches for urban heat island stud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parameters | |
Nagarajan et al. | Review paper for floodplain mapping with applications of HEC-HMS, HEC-RAS, and ArcGIS softwares—a remote sensing and GIS approach | |
CN113191670B (en) | Fine lightning disaster risk evaluation and division method | |
Planchon et al. | Application of the Hess-Brezowsky classific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weather patterns causing heavy winter rainfall in Brittany (France) | |
Xu et al. | A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roof greening priority | |
WAIYASUSRI et al. | FLOOD PRONE RISK AREA ANALYSIS DURING 2005-2019 IN LAM SE BOK WATERSHED, UBON RATCHATHANI PROVINCE, THAILAND. | |
Bang et al. |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catchment flows and assessing its impacts on hydropower in Vietnam’s central highland region | |
Yildirim et al. | A GIS‐based siting technique for automatic weather stations in Trabzon, Turkey | |
Sefry et al. | Flood peak discharge and volume runoff envelope curves for 100-year return period for the arid region: Saudi Arabia | |
KR102286645B1 (en) |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dvanced System and Method by Sea Level Rise | |
Abdelgawad et al. | Flood hazard mapping using a GIS-based morphometric analysis approach in arid regions, a case study in the Red Sea Region, Egypt | |
Kaoje | Applica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Techniques in Urban Flood Risk Assessment and Vulnerability Mapping. A Case Study of Cardiff, Wales | |
Abdul et al. |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of the Kelantan River Basin before and after a major flood event using landscape metrics | |
Madaki | A Comparative Assessment of Flood Hazard Susceptibility Modeling in Niger State, North-Central Nigeri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