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5851B1 -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851B1
KR102285851B1 KR1020200089130A KR20200089130A KR102285851B1 KR 102285851 B1 KR102285851 B1 KR 102285851B1 KR 1020200089130 A KR1020200089130 A KR 1020200089130A KR 20200089130 A KR20200089130 A KR 20200089130A KR 102285851 B1 KR102285851 B1 KR 10228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obile device
cushion member
unit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정
차윤아
Original Assignee
김수정
차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정, 차윤아 filed Critical 김수정
Priority to KR102020008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851B1/ko
Priority to KR1020210053121A priority patent/KR102464694B1/ko
Priority to JP2023503081A priority patent/JP7518964B2/ja
Priority to PCT/KR2021/009015 priority patent/WO20220150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5/00Other dwell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을 다양한 자세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을 위하여,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모바일기기를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고정하는, 거치부 및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제1쿠션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을 다양한 자세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기기는 손에 들거나 몸에 간편하게 지니고 다닐 수 있는 정보 통신 기기이다. 모바일기기의 일례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현재는 각 개인이 필수적으로 이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중에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음악이나 동영상 감상과 같은 콘텐츠 감상이나 게임 등을 즐기기 위한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널리 활용되면서 평균 사용시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자세로 인하여 신체 일부에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직접 팔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장시간동안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의 화면을 보기 위해 목을 숙이고 있는 자세를 장시간 유지함으로써, 팔, 손목, 목, 허리 등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폰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받침의 역할을 하는 다양한 거치대들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치대들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획일적인 외형으로 인해 거치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하면서 사용자가 사용 중 쉽게 싫증을 내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을 다양한 자세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개성있는 외형을 가짐으로써 심미적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모바일기기를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고정하는, 거치부 및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제1쿠션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위치하는 투명필름부재 및 상기 투명필름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가 개재되도록 상기 모바일기기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필름부재는, 상기 모바일기기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중 상기 투명필름부재와 중첩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은,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면과 중첩하도록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제3면 및 상기 제3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의 외측면의 형태는 상기 제1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3면의 일부와 중첩하도록 상기 제3면 상에 위치하는 제4면 및 상기 제4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제2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상기 제3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쿠션부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쿠션부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쿠션부재의 외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와이어 또는 사전 설정된 중량을 갖는 무게추물질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손으로 직접 휴대하지 않고 다양한 자세에서 편리하게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기기 사용자의 자세 및 시선의 위치에 따라 거치된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효과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모바일기기가 거치된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쿠션부가 포함하는 제1쿠션부재 및 제2쿠션부재가 분리된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은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또는/및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및/또는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는 편의상 거치부(200)의 세부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즉, 도 1 및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거치부(200)는 모바일기기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었을 때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거치부(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쿠션부(100) 및 거치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쿠션부(100)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전반적인 외형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쿠션부(100)는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쿠션부(100)를 구비함으로써, 모바일기기 거치 기능뿐만 아니라 심미적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쿠션부(100)가 갖는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형상의 예시로서 직육면체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로, 쿠션부(100)는 각기둥, 각뿔, 각뿔대, 정다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 또는 구, 원기둥, 원뿔 등과 같은 비다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쿠션부(100)는 가로, 세로, 높이가 있는 3차원 도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다른 예로, 쿠션부(100)는 곰, 사자, 호랑이,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다양한 동물 형상, 나무, 꽃 등의 식물 형상, 그 밖의 캐릭터 형상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쿠션부(100)의 형상이 갖는 팔, 다리, 꼬리 등은 쿠션부(100)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거치부(200)는 모바일기기를 쿠션부(100)의 일측면 상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거치부(200)는 쿠션부(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즉, 쿠션부(100)의 외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기기를 거치부(200)에 거치하여 고정시킨 상태로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콘텐츠를 감상하기 위하여 해당 모바일기기를 손으로 직접 들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모바일기기를 장시간 이용하더라도 팔, 손목 등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회전부(20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는 편의상 회전부(201)의 세부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즉,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회전부(201)는 회전부(201)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부(200)는 쿠션부(100)의 일측면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치부(200)의 쿠션부(100) 방향의 하면과 쿠션부(100) 사이에는 회전부(201)가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회전부(201)는 거치부(200)의 쿠션부(100) 방향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1회전부재(미도시) 및 쿠션부(100)의 일측면 중 거치부(200)와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회전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는 서로 매칭하여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임의의 부재일 수 있다.
예컨대, 제1회전부재는 중심에 개구를 포함하는 링 형상의 부재 및 상기 링 형상의 부재 상에 중첩하도록 위치하며 복수개의 패터닝된 홀들을 갖는 제1원판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부재의 제1원판 형상의 부재는 링 형상 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회전부재는 제2원판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제2원판 형상의 부재 상에는 원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회전부재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패터닝된 홀에 매칭되는 복수개의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는 제2회전부재의 돌출부들이 제1회전부재의 패터닝된 홀들에 매칭하여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의 제1원판 형상의 부재가 링 형상 부재 상에서 회전함으로써 제1회전부재가 위치하는 거치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제1회전부재가 쿠션부(100)의 일측면 상에 위치하고, 제2회전부재가 거치부(200)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회전부(201)는 쿠션부(100)의 외측면의 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쿠션부(100)가 동물의 얼굴 형상을 갖는 경우 회전부(201)는 동물의 눈, 코, 입 등과 같이 주변영역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는 부분에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3에서는 편의상 거치부(200)의 세부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즉,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거치부(200)는 모바일기기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었을 때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거치부(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쿠션부(100), 거치부(200) 및 결합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지지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쿠션부(100)는 복수의 쿠션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쿠션부재들은 서로 결합하여 쿠션부(1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쿠션부(100)가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쿠션부(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쿠션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쿠션부재들 각각은 디자인적 요소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쿠션부재들 각각은 다면체, 비다면체와 같은 입체도형 형상 또는 동물 형상, 식물 형상, 캐릭터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쿠션부재들 각각의 형상은, 쿠션부재들이 서로 결합하였을 때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쿠션부재들이 결합하여 쿠션부(100)를 구성하였을 때, 쿠션부재들 각각이 갖는 형상은 서로 조화되어 특정한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0)는 동물의 머리 형상을 갖는 제1쿠션부재(110) 및 해당 동물의 몸체 형상을 갖는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가 서로 결합하였을 때, 동물의 머리 및 몸체가 연결되어 하나의 완전한 동물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쿠션부(100)는 나무의 잎사귀 형상을 갖는 제1쿠션부재(110) 및 나무의 줄기 형상을 갖는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거나, 꽃잎 형상을 갖는 제1쿠션부재(110) 및 꽃의 줄기 형상을 갖는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복수개의 쿠션부재들 중 일부를 다르게 조합하여 쿠션부(10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쿠션부(100)가 사자의 머리 형상을 갖는 제1쿠션부재(110) 및 사자의 몸체 형상을 갖는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는 경우, 다른 동물(예컨대, 호랑이)의 머리 형상을 갖는 쿠션부재를 제2쿠션부재(120)에 결합함으로써 쿠션부(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자와 호랑이의 몸체부의 형상은 유사하므로 제1쿠션부재(110)만 변경하고, 동일한 제2쿠션부재(120)를 이용하여 상이한 형상을 갖는 쿠션부(10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쿠션부(100)가 갖는 형상에 싫증이 난 경우,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전체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형상의 쿠션부(100)를 조합하여 색다른 디자인 요소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쿠션부(100)의 내부는 쿠션감있는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예컨대, 쿠션부(100)의 내부는 퀄팅솜, 방울솜, 구름솜, 와플솜, 실크솜, 에어론솜, 마이크로화이바솜, 구스솜, 양모솜 등과 같은 솜 또는 스펀지 등의 물질로 채워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쿠션부(100)는 푹신한 쿠션감을 제공하고, 쿠션부(100)의 일부가 외력으로 인해 눌리더라도 복원되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거치부(200)는 모바일기기를 쿠션부(100)의 일측면 상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0)는 제1쿠션부재(1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쿠션부(100)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쿠션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의 장변이 두 눈 사이를 연결하는 선과 평행하도록 고정하여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를 감상하는 점을 고려하여, 거치부(200)가 x방향의 장변 및 z방향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영역을 가지며 쿠션부(10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거치부(200)는 x방향의 단변 및 z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영역을 가지며 쿠션부(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바일기기의 단변이 두 눈 사이를 연결하는 선과 평행하도록 고정하여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하지만, 두 경우 중 어떠한 경우라도 후술하는 결합부(300)를 통해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모바일기기의 장변 또는 단변이 두 눈 사이를 연결하는 선과 평행하도록 고정하여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를 감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합부(300)는 쿠션부(100)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쿠션부재들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결합부(300)는 결합된 복수개의 쿠션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00)는 결합된 복수개의 쿠션부재들 중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를 거치부(200)에 수직한 가상의 축(AX)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0)가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고 거치부(200)가 제1쿠션부재(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경우, 결합부(300)는 제1쿠션부재(110)를 거치부(200)에 수직한 가상의 축(AX)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각도 및 회전방향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결합부(300)는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가 0도(degree) 내지 360도 범위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자세에서 모바일기기를 통해 콘텐츠 감상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의 시선의 각도에 대응하여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앉은 자세에서의 사용자의 두 눈을 연결하는 직선과 모바일기기의 장변(또는 단변)이 평행하도록 모바일기기를 거치하고, 앉은 자세에서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재생되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자세를 바꿀 시, 사용자는 누운 자세의 사용자의 두 눈을 연결하는 직선과 모바일기기의 장변(또는 단변)이 평행하도록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예컨대, 제1쿠션부재(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거치부(200)에 거치된 모바일기기의 각도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자세와 상관없이 거치된 모바일기기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기기의 화면을 보기 위해 목을 숙이거나 꺾는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결합부(3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지지부(400)는 쿠션부(100)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지지부(400)는 쿠션부(100)가 포함하는 쿠션부재들 중 거치부(200)가 위치하지 않는 쿠션부재 내부에 위치하며, 해당 쿠션부재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모바일기기를 거치하는 과정 또는 모바일기기를 거치한 후 콘텐츠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이 모바일기기의 무게 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고 원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지지부(4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모바일기기가 거치된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참고로 도 5에서는 모바일기기(500)의 일례로 스마트폰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모바일기기(500)는 휴대가 가능한 정보 통신 기기로서, 스마트패드, 태블릿 PC, 이북(e-book) 또는 PMP 등의 다양한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 통신기기 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일 수 있다. 또한, 거치하려는 모바일기기(500) 종류에 따라 쿠션부(100)의 크기 및 거치부(200)의 크기를 설계 및 디자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이 구비하는 거치부(200)는 투명필름부재(210) 및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필름부재(210)는 쿠션부(100)가 포함하는 쿠션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 상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투명필름부재(210)는 투명한 재질의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투명필름부재(210)로 덮인 영역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시각적으로 노출시킨다"는 것은 투명필름부재(210)로 덮인 영역이 육안으로 인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투명필름부재(210)로 덮인 영역은 투명필름부재(210)가 덮였을 때와 덮이지 않았을 때가 시각적으로 동일하게 인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기기(5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지 않았을 때, 즉, 모바일기기(500)가 투명필름부재(210) 하부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 투명필름부재(210)는 쿠션부재의 외측면 중 투명필름부재(210)와 중첩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킨다. 즉, 모바일기기(500)가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거치되지 않았을 때, 투명필름부재(210)로 덮인 영역의 형태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바, 거치부(200)가 쿠션부(100)의 전체적인 외형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모바일기기(500)가 거치되지 않았을 때, 거치부(20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심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모바일기기(5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었을 때, 즉, 모바일기기(500)가 투명필름부재(210) 하부에 삽입되었을 때, 투명필름부재(210)는 삽입된 모바일기기(500)의 디스플레이부를 시각적으로 노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기기(500)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거치하지 않았을 때와 동일하게 모바일기기(5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투명필름부재(210)는 모바일기기(500)의 스피커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홀은 모바일기기(5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었을 때 모바일기기(500)의 스피커부에 매칭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콘텐츠가 소리를 포함하는 경우, 거치된 모바일기기의 스피커부로부터 출력된 소리는 투명필름부재(210)에 영향받지 않고 직접 외부로 전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출력된 소리가 투명필름부재(210)로 인해 사용자에게 온전히 전달되지 못 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개구부는 투명필름부재(210)와 쿠션부재의 외측면 사이에 모바일기기(500)가 개재되도록 모바일기기(500)를 삽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투명필름부재(210)는 단일 필름으로서,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어느 세 개의 모서리들이 쿠션부(10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한 개의 모서리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모서리는 개구부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기기(500)를 개방된 모서리를 통해 삽입하여 투명필름부재(210) 및 쿠션부(100)의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500)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투명필름부재(210)는 이중 필름으로서,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필름은 네 개의 모서리 전부가 쿠션부(10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필름은 하부 필름 상에 중첩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은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어느 세 개의 모서리들이 결합되어 있고, 나머지 한 개의 모서리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모서리는 개구부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기기(500)를 개방된 모서리를 통해 삽입하여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 사이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500)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필름과 하부 필름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는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전면과 반대인 후면에 핸드그립 액세서리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핸드그립 액세서리는 원형의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디를 포함하는 그립톡(Griptok) 등과 같은 핸드그립을 위한 액세서리일 수 있다. 이 경우, 핸드그립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예컨대, 원형의 상판 부분의 일부)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삽입함으로써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의 외측면은 제1면(P1) 및 제2면(P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00)는 제2면(P2)과 중첩하도록 제2면(P2)상에 위치하는 제3면(P3) 및 제3면(P3)의 일측에 형성된 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면(P1)은 거치부(200)가 거치되는 쿠션부재의 외측면 중 거치부(200)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면을 의미하고, 제2면(P2)은 거치부(200)가 거치되는 쿠션부재의 외측면 중 거치부(200)와 중첩하는 영역의 면을 의미한다. 또한, 제3면(P3)은 제2면(P2)을 덮으며 제2면(P2) 상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한다.
제2면(P2)과 제3면(P3)은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지 않음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2면(P2)과 제3면(P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220)이 위치하는 제3면(P3)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하부의 제2면(P2)과 부착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를 홈(220)을 통해 거치부(200)에 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면(P2) 및 제3면(P3) 사이에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함으로써, 모바일기기를 거치부(200)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3면(P3)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내부에는 고무줄 등과 같은 탄력있는 재질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3면(P3)의 외측면의 형태는 제1면(P1)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도 상에서 제2면(P2)은 제3면(P3)으로 덮여서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제1면(P1)은 제3면(P3)으로 덮이지 않으므로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쿠션부재의 외형의 통일성을 위하여 제1면(P1)의 형태와 제3면(P3)의 형태는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가 정면도 상에서 동물의 얼굴 형상을 갖는 경우, 제3면(P3)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윗부분에 위치한 제1면(P1)의 외측면의 형태와 제3면(P3)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제3면(P3)의 외측면의 형태는 서로 조화를 이루며 하나의 동물의 얼굴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200)가 쿠션부(100)의 전체적인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이 거치부(20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심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에서는 거치부(200)가 하나의 홈(220)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거치부(200)가 갖는 홈(220)의 개수 및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도 7의 거치부(200)가 세 개의 홈(220)들을 갖는 것과 같이, 거치부(200)는 복수개의 홈(220)들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200)가 복수개의 홈(220)들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높이 또는 기호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다양한 위치에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거치부(200)가 제3면(P3)만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거치부(200)가 갖는 면의 개수 및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0)는 제3면(P3)의 일부와 중첩하도록 제3면(P3) 상에 위치하는 제4면(P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면(P4)의 일측에는 별도의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면(P3)과 제4면(P4)은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지 않음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3면(P3)과 제4면(P4)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220)이 위치하는 제4면(P4)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하부의 제3면(P3)과 부착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를 홈(220)을 통해 거치부(200)에 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면(P3) 및 제4면(P4) 사이에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함으로써, 모바일기기를 거치부(200)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4면(P4)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내부에는 고무줄 등과 같은 탄력있는 재질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4면(P4)의 외측면의 형태는 제3면(P3)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도 상에서 제2면(P2)은 제3면(P3)으로 덮여서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제1면(P1)은 제3면(P3)으로 덮이지 않으므로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또한, 제3면(P3)은 제4면(P4)으로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만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쿠션부재의 외형의 통일성을 위하여 제1면(P1)의 형태, 제3면(P3)에서 제4면(P4)으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형태 및 제4면(P4)의 형태는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가 정면도 상에서 동물의 얼굴 형상을 갖는 경우, 제3면(P3)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윗부분에 위치한 제1면(P1)의 외측면의 형태와 제3면(P3)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제3면(P3)의 외측면의 형태는 서로 조화를 이루고, 제4면(P4)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윗부분에 위치한 제3면(P3)의 외측면의 형태와 제4면(P4)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제4면(P4)의 외측면의 형태는 서로 조화를 이루며 하나의 동물의 얼굴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200)가 쿠션부(100)의 전체적인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이 거치부(20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심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200)가 각각 별도의 홈을 갖는 복수개의 면들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높이 또는 기호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다양한 위치에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거치부(200)가 위치하지 않는 쿠션부재 내부에 위치하고, 쿠션부(100)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부(40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0)는 쿠션부재의 외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와이어일 수 있다. 와이어는 특정 수준 이상의 무게를 가지며, 쿠션부(100)의 무게중심이 거치부(200)가 위치하지 않는 쿠션부재 쪽으로 편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와이어는 철, 등, 구리 등의 금속이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지지부(400)는 사전 설정된 중량을 갖는 무게추물질(미도시)일 수 있다. 무게추물질은 거치부(200)가 위치하지 않는 쿠션부재 내부에 위치하며 쿠션부(100)의 무게중심이 거치부(200)가 위치하지 않는 쿠션부재 쪽으로 편중되도록 한다. 한편, 무게추물질은 쿠션부재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무게중심이 거치부(200)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게추물질은 복수개의 알갱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게추물질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쿠션부가 포함하는 제1쿠션부재 및 제2쿠션부재가 분리된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쿠션부재들을 결합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0)가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는 경우, 결합부(300)는 제1쿠션부재(110)에 형성된 오목부와 제2쿠션부재(120)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가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제1쿠션부재(110)와 제2쿠션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의 단면 및 오목부의 단면은 원형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쿠션부재(110)와 제2쿠션부재(120)가 결합된 후, 제1쿠션부재(1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돌출부의 외측면 및 오목부의 내측면은 매끄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제1쿠션부재(110)의 회전이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결합부(300)는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쿠션부재(110)에는 제1결합부재가 위치하고, 제2쿠션부재(120)에는 제2결합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는 서로 매칭하여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임의의 부재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결합부재는 중심에 개구를 포함하는 링 형상의 부재 및 상기 링 형상의 부재 상에 중첩하도록 위치하며 복수개의 패터닝된 홀들을 갖는 제1원판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의 제1원판 형상의 부재는 링 형상 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결합부재는 제2원판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제2원판 형상의 부재 상에는 원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결합부재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패터닝된 홀에 매칭되는 복수개의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는 제2결합부재의 돌출부들이 제1결합부재의 패터닝된 홀들에 매칭하여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재의 제1원판 형상의 부재가 링 형상 부재 상에서 회전함으로써 제1결합부재가 위치하는 제1쿠션부재(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제1결합부재가 제2쿠션부재(120)에 위치하고, 제2결합부재가 제1쿠션부재(110)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금까지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러한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을 제조하기 위한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제조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00 : 쿠션부
110 : 제1쿠션부재
120 : 제2쿠션부재
200 : 거치부
201 : 회전부
210 : 투명필름부재
220 : 홀
300 : 결합부
400 : 지지부
500 : 모바일기기

Claims (6)

  1. 삭제
  2.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모바일기기를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고정하는, 거치부; 및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제1쿠션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위치하는 투명필름부재; 및
    상기 투명필름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가 개재되도록 상기 모바일기기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필름부재는, 상기 모바일기기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중 상기 투명필름부재와 중첩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3.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모바일기기를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고정하는, 거치부; 및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제1쿠션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은,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면과 중첩하도록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제3면; 및
    상기 제3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제1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의 외측면의 형태는 상기 제1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3면의 일부와 중첩하도록 상기 제3면 상에 위치하는 제4면; 및
    상기 제4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제2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상기 제3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5.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모바일기기를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고정하는, 거치부;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제1쿠션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제2쿠션부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쿠션부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쿠션부재의 외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와이어 또는 사전 설정된 중량을 갖는 무게추물질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KR1020200089130A 2020-07-17 2020-07-17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KR10228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130A KR102285851B1 (ko) 2020-07-17 2020-07-17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KR1020210053121A KR102464694B1 (ko) 2020-07-17 2021-04-23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JP2023503081A JP7518964B2 (ja) 2020-07-17 2021-07-14 モバイル機器据置用クッション
PCT/KR2021/009015 WO2022015038A1 (ko) 2020-07-17 2021-07-14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130A KR102285851B1 (ko) 2020-07-17 2020-07-17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121A Division KR102464694B1 (ko) 2020-07-17 2021-04-23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851B1 true KR102285851B1 (ko) 2021-08-04

Family

ID=7731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130A KR102285851B1 (ko) 2020-07-17 2020-07-17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8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933A (ko) * 2011-05-09 2012-11-19 오치완 휴대폰 거치대를 구비한 차량용 방향제/재떨이
KR20130026856A (ko) * 2011-09-06 2013-03-14 차병미 완구형 모바일 장치 거치대
KR20150082756A (ko) * 2014-01-07 2015-07-16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80080832A (ko) * 2017-01-05 2018-07-13 한상택 완구, 이를 이용한 유아용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80091155A (ko) * 2017-02-06 2018-08-16 정해윤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933A (ko) * 2011-05-09 2012-11-19 오치완 휴대폰 거치대를 구비한 차량용 방향제/재떨이
KR20130026856A (ko) * 2011-09-06 2013-03-14 차병미 완구형 모바일 장치 거치대
KR20150082756A (ko) * 2014-01-07 2015-07-16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80080832A (ko) * 2017-01-05 2018-07-13 한상택 완구, 이를 이용한 유아용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80091155A (ko) * 2017-02-06 2018-08-16 정해윤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amazon.ca/PopSockets-PopMount-Windshield-Mount-White/dp/B07YBH5T9D (2019.10.01) *
https://www.amazon.co.uk/UVKLAEE-Visible-Cushion-Transparent-Dropshipping/dp/B089K7PYN2 (2020.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039B2 (en) Audio headphones for virtual reality head-mounted display
US5892564A (en) Eyeglass headphone combination
US8150090B2 (en) Headphone and ear pad
CN107003523A (zh) 基于微显示器的沉浸式头戴视图器
CN105340293B (zh) 头戴式耳机
JP2963690B1 (ja) 組合せ式イヤホン・マイクロホンおよび耳カバー
US20220117104A1 (en)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US20220369023A1 (en) Virtual reality headset with foldable head straps
EP3005724B1 (en) Audio headset accommodating ear geometry variations
WO2018168462A1 (ja) ヘッドホン
US6369958B1 (en) Sports binocular assembly
KR102285851B1 (ko)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US20120036643A1 (en) Pillow having speakers
KR102464694B1 (ko)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US11294430B1 (en)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JP2000316198A (ja) ヘッドホン
US11740691B1 (en) Sensor assembly for head-mountable device
US12035095B2 (en) Headphone adapter
EP3874768A1 (en) Cartilage transducer
KR102138473B1 (ko) 넥밴드 헤드폰형 스피커
CN209526750U (zh) 终端保护壳
JP3234340U (ja) ハンドヘルド通信機器スタンド
EP4421983A1 (en) Antenna desig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N213403424U (zh) 一种头戴式耳机吊挂及电子产品组合基座
TWM621730U (zh) 具有音響功能的手機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