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4362B1 - 의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362B1
KR102284362B1 KR1020150000594A KR20150000594A KR102284362B1 KR 102284362 B1 KR102284362 B1 KR 102284362B1 KR 1020150000594 A KR1020150000594 A KR 1020150000594A KR 20150000594 A KR20150000594 A KR 20150000594A KR 102284362 B1 KR102284362 B1 KR 102284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cabinet
drying drum
drying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105A (ko
Inventor
허선일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362B1/ko
Priority to CN201511021026.5A priority patent/CN105755775B/zh
Priority to EP16150073.1A priority patent/EP3040471B1/en
Priority to US14/987,801 priority patent/US10570559B2/en
Publication of KR2016008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커버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측에 설치되는 건조드럼과,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회수 및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면커버와 같이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형성하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장치{Laundry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장치의 상면에 수납장치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장치는 통상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한다.
의류 건조장치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배기시키는 과정을 거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의류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의류 건조장치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장치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장치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이러한, 의류 건조장치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순환시키는 응축식 의류 건조장치와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식 의류 건조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응축식 의류 건조장치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의류 건조장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배기식 의류 건조장치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의류 건조장치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의 내부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20)과, 캐비닛(20) 내부에 회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건조드럼(30)과, 건조드럼(30)으로 건조 공기를 공급 및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공기공급장치(50)와, 건조드럼(30) 및 공기공급장치(50)에 동력을 공급 및 전달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캐비닛(20)의 전방에는 건조대상물인 의류를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도어(21)가 구비되며, 도어(21)를 통하여 의류를 건조드럼(30)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도어(21)에는 사용자가 건조드럼(30) 내부의 건조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 글라스(22)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어 글라스(22)는 건조드럼(30)에서 건조되는 의류가 도어(21)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건조드럼(3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건조드럼(30)은 내부에 건조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전방에는 의류를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3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기공급장치(50)의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구(32)가 형성된다.
한편, 공기공급장치(50)는 건조드럼(30)이 전방 하부에서 건조드럼(30) 내의 공기를 회수하여 가열 후 건조드럼(30)의 후방을 통하여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50)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건조드럼(30)의 전방에 위치하여 공기를 회수하는 회수덕트(52)와, 회수덕트(52)에 연결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55)와, 가열덕트(55)에 연결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덕트(56)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부(40)는 건조드럼(30)과 공기공급장치(50)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구동부(40)는 모터(41)와, 모터(41)의 회전력을 건조드럼(3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42)(에를 들어 벨트 및 풀리)가 구비되며, 송풍팬(54)은 모터(41)에 직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공기공급장치(50)의 회수덕트(52)에는 건조드럼(30)에서 회수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 하기 위한 린트필터(60)가 구비된다. 여기서 린트필터(60)는 구조적으로 건조드럼(30)의 전방에 위치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린트필터(60)는 필터링된 린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21)를 개방하고 회수덕트(52)에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의류 건조장치(10)의 경우 통상적으로 세탁장치 등과 같이 사용되며 세탁시 필요한 세제/보조세제 등의 경우 세탁장치나 건조장치(10)의 상면에 단순 배치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인 의류 건조장치(10)의 경우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동전/단추 등의 이물질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의 경우 추후 사용 및 보수를 위하여 바로 버리지 않고 별도 수납하여 보관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는 별도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세탁/건조시 필요한 용품 또는 의류에서 발생되는 이물질들을 별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의류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는, 상면커버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측에 설치되는 건조드럼과, 상기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회수 및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상면커버와 같이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형성하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상면커버의 하부로 삽입되어 수납공간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건조드럼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 브라켓과, 상기 수납 브라켓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 브라켓은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양면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 하는 제 1, 2가이드 슬릿을 구비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양측에 상기 제 1, 2가이드 슬릿에 삽입되는 제 1, 2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2가이드 슬릿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하향되는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가이드 슬릿의 경사보다 상기 제 2가이드 슬릿의 경사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전방 모서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 모서리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드럼과 상기 수납부 사이에는 차폐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에 따르면, 별도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세탁/건조시 필요한 용품 또는 의류에서 발생되는 이물질들을 별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의 상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의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에서 수납부의 개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에서 수납부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건조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커버(112), 전면커버(117), 측면커버(118), 후면커버(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건조드럼(120)과, 건조드럼(120)의 내부로 가열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140)와, 건조드럼(120) 및 공기공급장치(140)가 구동되기 위한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30) 및 상면커버(112)와 함께 캐비닛(110)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납부(200)가 구비된다.
캐비닛(110)의 상부는 캐비닛(110)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면커버(112) 및 수납부(200)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부(200)는 캐비닛(110)의 상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캐비닛(110)의 상면 전방 모서리를 형성한다. 수납부(200)에 대해서는 건조장치(100)의 설명 이후에 상세히 하도록 한다.
여기서, 캐비닛(110)의 상면커버(112)의 경우 상면커버(112)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면커버(112)의 내측부가 함입되는 함입면(113)이 형성되며, 상면커버(112)의 양측에는 양 측면커버(118)와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4)이 구비된다(도 4참고).
캐비닛(110)의 전면커버(117)의 상부영역에는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15)의 일측에는 도어(111)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어(111)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건조드럼(12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글라스(116)가 마련되며, 도어글라스(116)는 건조드럼(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전면커버(117)에 설치되는 도어(111)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도어(111)가 설치되는 각도는 도어(111)의 상부가 의류 건조장치(100)의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111)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의류를 투입 또는 인출할 때 도어(111)가 수직으로 설치되었을 때보다 허리를 적게 숙이고 의류를 투입 또는 인출 할 수 있어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도어(111)의 전면 상부에는 세탁 내지 건조 등의 행정을 수행하는 특정 코스를 입력하는 컨트롤 패널(120)이 설치된다. 컨트롤 패널(120)은 사용자가 건조 행정 과정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와, 사용자가 선택한 행정 및 건조장치(100)의 작동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면커버(117)에 설치되는 도어(111)는 별도의 힌지장치(미도시)에 의해 전면커버(117)에 체결되며, 힌지장치는 도어(111)의 개폐에 따라 소정의 반발 탄성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커버(117)에 설치되는 도어(111)의 경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도어(111)의 개방 또는 폐쇄시 도어(111)의 하중에 의해 강제 회전될 수 있으며, 힌지장치의 반발 탄성력을 이용하여 도어(111)가 자중에 의해 강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건조드럼(120)은 캐비닛(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건조드럼(120)의 전방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플레이트(121)와, 건조드럼(120)의 후방에 결합되며 건조드럼(120)의 후방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플레이트(122)를 구비한다.
한편, 건조드럼(120)의 전방플레이트(121)는 건조드럼(120)의 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전면커버(117)의 개구부(115)와 건조드럼(120)을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개구부(115)의 내측 하부에는 후술할 린트필터(125)가 설치되는 린트필터장착부(124)가 형성되며, 개구부(115)의 외측하부에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40)의 회수덕트(141)가 연결된다. 린트필터(125) 및 공기공급장치(140)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린트필터장착부(124)에 장착된 린트필터(125)는 린트필터장착부(124)에 장착됨에 따라 상부가 노출되며 건조드럼(120)의 공기는 린트필터(125)를 거쳐 회수덕트로 이동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가 린트필터(125)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러한 린트필터(125)는 전방플레이트(121)의 린트필터장착부(12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부(115)를 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전방플레이트(121)의 린트필터장착부(124)에 인접한 일면에는 건조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린트필터(125)의 측면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으로 형성된 공기회수부(1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회수부(126)가 구비될 경우 린트필터(125)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있어 린트필터(125)의 필터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전방플레이트(121)의 개구부(115)의 경우 건조드럼(120) 내측에서 볼 때 도어(111) 측으로 함입되는 형상을 갖으며, 도어(111)의 도어글라스(116)의 경우 개구부(115)에서 건조드럼(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건조드럼(120)의 후방플레이트(122)는 건조드럼(120)의 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공기공급장치(14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건조드럼(12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후방플레이트(122)의 소정부에는 다수의 급기홀(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플레이트(122)의 외측에는 급기홀(123)과 연통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140)의 응축덕트(144)가 연결된다.
또한, 전방플레이트(121) 및 후방플레이트(122)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전방플레이트(121)와 후방플레이트(122)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 건조드럼(1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러 형태의 전방서포터(미도시) 및 후방서포터(미도시)가 구빈된다. 정방서포터 및 후방서포터는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30)는 건조드럼(120)과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40)의 송풍팬(132)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31)를 구비한다. 여기서, 모터(131)의 회전축 일측에는 공기공급장치(140)의 송풍팬(132)이 연결되며, 회전축의 타측에는 건조드럼(1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134)가 구비되며, 풀리(134)와 건조드럼(120)은 벨트(135)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131)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이에 구동부(130)의 모터(131)가 회전됨에 따라 건조드럼(120)과, 공기공급장치(140)의 송풍팬(132)이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다르게는 건조드럼(120)과 송풍팬(132)을 각각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부(130)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140)는 건조드럼(120)의 내측의 공기를 회수 및 가열하여 다시 건조드럼(12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140)는 건조드럼(120)의 전방플레이트(121)에 연통되어 건조드럼(120)내의 공기를 회수하는 회수덕트(141)와, 회수덕트(141)에 연결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132)과, 송풍팬(132)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구비되는 가열덕트(142)와, 가열덕트(142)에서 가열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건조한 가열 공기를 만들어 건조드럼(120)으로 안내하는 응축덕트(144)를 구비한다.
여기서 회수덕트(141)는 건조드럼(120)의 전방플레이트(121) 외측 하부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115)에 형성된 린트필터장착부(124) 하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수덕트(141)의 경우 린트필터장착부(124)에 장착되는 린트필터(125)가 설치되는 린트필터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공기공급장치(140)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순환식 공기공급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배기식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히터를 구비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히트펌프와 같이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2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부(200)는 건조장치(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납 브라켓(220)과 수납 브라켓(220)에 의해 이동경로가 안내되며 개방시 상면커버(112)의 하부로 이동되면서 수납 브라켓(220)을 개방하는 슬라이딩 도어(2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납부(200)와 상면커버(112)의 사이에는 수납부(200)의 슬라이딩 도어(210)가 이동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슬라이딩 도어(210)는 건조장치(100)의 전방 상면, 즉 상면커버(112)의 전방에 노출되도록 위치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210)의 외면은 상면커버(112)의 상면에 대하여 연장되는 면을 갖는다. 즉, 상면커버(112)의 상면의 경우 상면커버(112)의 강도 보강을 위한 함입면(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210)의 상면에는 상면커버(112)의 함입면(113)에 대하여 연장되는 함입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100)의 상면은 상면커버(112)의 함입면(113) 및 슬라이딩 도어(210)의 함입면(211)에 의해 하나의 함입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210)의 전방모서리의 경우 캐비닛(110)의 전면커버(117)의 외형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면(212)이 형성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210)의 전방 모서리는 건조장치(100)의 전방 상부 모서리를 형성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도어(210)의 전방 모서리의 경우 소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2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210)의 상면에서 전면커버(117)의 전면은 연결면(212)에 의해 연속되는 곡면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슬라이딩 도어(210)의 연결면(212)의 경우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210)의 전방 모서리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경우 건조장치(100)의 전방 모서리는 슬라이딩 도어(210), 연결면(212), 전면커버(117)로 이루어지는 3개의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210)의 양측에는 후술할 수납 브라켓(220)의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에 의해 안내되는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가 형성된다.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의 경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 1슬라이딩 돌기(213)의 후방에 제 2슬라이딩 돌기(214)가 형성된다.
수납 브라켓(220)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221)와 몸체부(221)의 양측단에 위치하며 슬라이딩 도어(21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3)가 구비된다.
여기서, 몸체부(221)는 사용자가 수납할 물건들이 수납되도록 함입되는 수납홈(222)이 형성된다. 수납홈(222)의 내면에는 수납되는 물건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다수의 리브(222a)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부(223)는 몸체부(221)의 양단에 수직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커버(112)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한편, 각 가이드부(223)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슬라이딩 도어(210)의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은 한 쌍의 가이드부(223)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제 1가이드 슬릿(224)은 제 2가이드 슬릿(225)의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 1가이드 슬릿(224)과 제 2가이드 슬릿(225)은 서로 다른 경사를 갖고 있으며, 제 1,2가이드 슬릿(224)(225)의 경우 상면커버(112) 측으로 이동될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가이드 슬릿(224)보다 제 2가이드 슬릿(225)이 더 큰 경사로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제 1가이드 슬릿(224)에는 제 1슬라이딩 돌기(213)가 삽입되며, 제 2가이드 슬릿(225)에는 제 2슬라이딩 돌기(214)가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210)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는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을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제 1가이드 슬릿(224)과 제 2가이드 슬릿(225)은 각기 다른 경사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의 상단부는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에 결합되는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가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의 상단부에 위치할 경우 슬라이딩 도어(210)가 수납 브라켓(220)의 몸체부(221)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의 하단부는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에 결합되는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가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의 하단부에 위치할 경우 슬라이딩 도어(210)가 수납 브라켓(220)의 몸체부(221)를 개방하고 상면커버(112)의 하부로 이동되는 위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수납부(200)의 슬라이딩 도어(210)의 경우 몸체부(221)의 개방시 상면커버(112)의 하부로 삽입되는 형태이다. 즉, 슬라이딩 도어(210)가 상면커버(112)의 하부로 삽입될 경우 건조드럼(120)의 상부에 매우 근접하게 된다.
여기서 건조드럼(120)의 경우 건조 행정 중 또는 종료 후 일정시간 동안은 매우 고열을 발산하게 되며 건조드럼(120)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은 수납부(200)의 슬라이딩 도어(111) 및 수납 브라켓(220)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수납부(200)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도어(111) 및 수납 브라켓(220)의 경우 대부분 합성수지 재질의 사출물로 형성되며 비교적 열에 강하나 건조드럼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수납부(200)의 수납 브라켓(220) 및 슬라이딩 도어(111)의 하면에는 건조드럼(120)에서 발산되는 열이 직접적으로 수납 브라켓(220) 및 슬라이딩 도어(11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플레이트(2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차폐 플레이트는 수납 브라켓(220) 및 슬라이딩 도어(111)의 하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부착되어 열 전달률을 저하시키는 구조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의류 건조장치(100)의 작동 중 또는 작동 후에 건조드럼(120)에서 발산되는 열이 수납 브라켓(220) 및 슬라이딩 도어(111)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수납 브라켓(220) 및 슬라이딩 도어(111)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폐 플레이트(230)의 경우 의류 건조장치(100)의 고장 또는 이상 작동에 의해 의류 건조장치(100) 내부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의류 건조장치(100)의 내부에서 발생된 화염이 의류 건조장치(10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부(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수납부(200)의 초기 상태는 수납 브라켓(220)의 수납홈(222)을 폐쇄하는 형태이다. 즉, 수납부(200)의 슬라이딩 도어(210)가 상면커버(112)의 하부에서 인출되어 수납 브라켓(220) 상부에 위치하는 형태이다(도 8 참고). 이때 슬라이딩 도어(210)의 양측에 형성된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는 수납 브라켓(220)의 가이드부(223)에 형성된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의 상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딩 도어(210)의 전방 모서리는 건조장치(100)의 전방 상부 모서리를 형성하다.
한편, 수납홈(222)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수납부(200)의 슬라이딩 도어(210)를 상면커버(112) 측으로 가압하면 슬라이딩 도어(210)의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가 수납 브라켓(220)의 가이드부(223)에 형성된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을 따라 이동되면서 슬라이딩 도어(210)가 이동된다.
이때 제 1,2가이드 슬릿(224)(225)의 경우 상면커버(112) 측으로 이동될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도어(210)가 이동됨에 따라 상부커버의 하부 내측이로 삽입되면서 수납 브라켓(220) 및 수납홈(222)이 개방된다(도 9참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0)에 따르면 건조장치(100)의 상면에 수납부(200)가 위치하여 사용자가 보다 물건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건조장치(100)의 건조 작동시 건조드럼(120)에서 발산되는 열이 직접적으로 수납부(200) 및 수납부(200)의 슬라이딩 도어(11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에 의해 수납부(200) 및 수납부(200)의 슬라이딩 도어(1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장치(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커버(112)와 수납부버(200)가 연속되는 형상에 의해 형성됨으로 건조장치(100)의 상면의 형상이 일체감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8)

  1. 상면커버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측에 설치되는 건조드럼과,
    상기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회수 및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상면커버와 같이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형성하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건조드럼 상부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 브라켓과,
    상기 수납 브라켓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면커버의 전방에 위치할 경우 상기 상면커버와 같이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상면커버의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브라켓은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양면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 하는 제 1, 2가이드 슬릿을 구비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양측에 상기 제 1, 2가이드 슬릿에 삽입되는 제 1, 2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가이드 슬릿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하향되는 경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 슬릿의 경사보다 상기 제 2가이드 슬릿의 경사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전방 모서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 모서리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드럼과 상기 수납부 사이에는 차폐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장치
KR1020150000594A 2015-01-05 2015-01-05 의류 건조장치 KR102284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594A KR102284362B1 (ko) 2015-01-05 2015-01-05 의류 건조장치
CN201511021026.5A CN105755775B (zh) 2015-01-05 2015-12-30 衣物烘干装置
EP16150073.1A EP3040471B1 (en) 2015-01-05 2016-01-04 Laundry drying apparatus
US14/987,801 US10570559B2 (en) 2015-01-05 2016-01-05 Laundry dr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594A KR102284362B1 (ko) 2015-01-05 2015-01-05 의류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05A KR20160084105A (ko) 2016-07-13
KR102284362B1 true KR102284362B1 (ko) 2021-08-02

Family

ID=5506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594A KR102284362B1 (ko) 2015-01-05 2015-01-05 의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70559B2 (ko)
EP (1) EP3040471B1 (ko)
KR (1) KR102284362B1 (ko)
CN (1) CN1057557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1586B1 (ko) * 2017-01-02 2024-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건조장치
KR102604561B1 (ko) * 2018-02-23 202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US10876241B2 (en) 2018-03-30 2020-12-29 Midea Group Co., Ltd. Clothes pre-wash compartment for an appliance
CN108691174B (zh) * 2018-06-13 2021-06-1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干衣机和烘干支架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873A (ja) 2011-10-21 2013-05-13 Hitachi Appliances Inc ドラム式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0694A1 (de) * 1988-03-10 1990-06-07 Webasto Ag Fahrzeugtechnik Luefterdach fuer kraftfahrzeuge
ITTO20030276A1 (it) * 2003-04-11 2004-10-12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Macchina lavabiancheria, in particolare a caricamento
KR100556791B1 (ko) * 2003-12-31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제계량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KR101033584B1 (ko) * 2004-04-19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방열판 체결구조
KR101071817B1 (ko) * 2004-04-19 2011-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JP4030523B2 (ja) * 2004-05-12 2008-01-09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EP1860227B1 (en) * 2006-05-26 2011-07-0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ATE517206T1 (de) * 2008-12-17 2011-08-15 Electrolux Home Prod Corp Haushaltsgerät
TR201815641T4 (tr) * 2013-11-28 2018-11-21 Lg Electronics Inc Çamaşır makinesi.
KR20150081602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204039759U (zh) * 2014-07-23 2014-12-2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滚筒洗衣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873A (ja) 2011-10-21 2013-05-13 Hitachi Appliances Inc ドラム式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94815A1 (en) 2016-07-07
US10570559B2 (en) 2020-02-25
EP3040471B1 (en) 2021-03-03
CN105755775B (zh) 2019-01-04
CN105755775A (zh) 2016-07-13
KR20160084105A (ko) 2016-07-13
EP3040471A1 (en)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23310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EP2287385B1 (en) Household appliance
EP3034684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119538B1 (ko) 의류건조기
US7644515B2 (en) Lint filter assembly of laundry dryer
RU2415981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ушильной машиной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омплектом машин для белья
US20160083896A1 (en) Laundry machine
KR102086508B1 (ko) 의류 건조장치
KR10216559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5514135A (ja) ドアと、これを利用したドラム洗濯機及び衣類乾燥機
KR102284362B1 (ko) 의류 건조장치
WO2010076005A1 (en) A household appliance for drying garments
US2014023808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20022364A (ko) 세탁장치
US20080196453A1 (en) Laundry machine
KR20110035028A (ko) 의류 건조기
KR2017008192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156594A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EP2843112B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KR101227515B1 (ko) 건조장치
KR102344059B1 (ko) 세탁장치
KR20090032232A (ko) 건조기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2936B1 (ko) 다림질 기능이 구비된 건조기
DK1710342T3 (da) Husholdningsmaskine til vask og/eller törring af vasketöj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