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7888B1 -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888B1
KR102277888B1 KR1020190169574A KR20190169574A KR102277888B1 KR 102277888 B1 KR102277888 B1 KR 102277888B1 KR 1020190169574 A KR1020190169574 A KR 1020190169574A KR 20190169574 A KR20190169574 A KR 20190169574A KR 102277888 B1 KR102277888 B1 KR 102277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aerosol
reference value
generating device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988A (ko
Inventor
정진철
정민석
고경민
배형진
서장원
장철호
정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16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8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히터의 측정 온도와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의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흡연 시 탄맛이 발현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액상 소진 또는 액상 이송량 저하로 인해 흡연 시 탄맛이 유발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을 극복하는 대체 흡연 물품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아닌 액상 조성물을 기화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액상 기화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상 기화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카트리지의 내에 보관된 액상 조성물을 히터를 통해 기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이때, 카트리지 내의 액상 조성물이 히터 쪽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거나 액상이 거의 소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히터가 계속해서 동작하는 경우, 액상이 타버려 탄맛이 유발될 수 있다.
흡연 과정에서 느껴지는 탄맛은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유발하여 흡연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액상 기화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개발함에 있어서, 탄맛 문제를 완화시키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히터의 온도와 액상 소진 정도를 매우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연 시 탄맛이 유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액상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소진 정도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측정 온도와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퍼프(puff), 과전류와 같은 특정 상황이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값을 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프로세서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로직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ADC의 출력값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측정 온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측정 온도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출력값을 판독하는 시점 간의 간격은 10ms 이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라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인가하거나 증가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상기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정의된 데이터 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데이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액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온도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소진 정도를 추정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히터의 측정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측정 온도와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히터의 측정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측정 온도와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준값에 기반한 피드백 제어가 수행되고, 기준값은 퍼프(puff), 과전류 발생 등의 상황이 발생될 때마다 세밀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에 대한 온도가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흡연 시에 액상(또는 히터)가 타버려 탄맛이 발현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히터의 온도 변화 정도와 사용자의 퍼프 이력 등에 기초하여 액상의 소진 정도가 정확하게 추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값과 히터의 온도 측정치의 비교 결과 데이터에서 검출된 데이터 패턴을 활용하여 히터가 보다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가령, 히터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기준값을 상회하는 경우, 히터의 동작이 중지될 수 있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액상 소진 시점이 신속하게 감지되고, 액상(또는 히터)이 타버려 탄맛이 발현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로직이 구현된 예시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다양한 구현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기준값 설정 단계 S20의 세부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퍼프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제어 신호 출력 단계 S80의 세부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어 신호 출력 단계 S80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고체 또는 액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체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판상엽 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니코틴, 담배 추출물 및/또는 다양한 향미제를 기초로 하는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상기 열거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프로필렌글리콜(PG) 및 글리세린(GL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니코틴, 수분 및 가향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계피, 캡사이신 등의 다양한 첨가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유동성이 큰 액체 물질뿐만 아니라 젤 또는 고형분 형태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조성 성분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그 조성 비율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액상"은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로 직접적으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예를 들어 액상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액상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액상 카트리지와 궐련을 함께 이용하는 하이브리드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이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범위가 상기 열거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몇몇 예시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퍼프(puff)"는 사용자의 흡입(inhalation)을 의미하며, 흡입이란 사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 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센서(10), 배터리(20), 히터(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기화시키는 증기화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히터(30)와 센서(10)는 상기 증기화부의 세부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가 필수 구성요소는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가 센서(10)에 의존하지 않고 히터(30)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 도 1의 구성요소 중 센서(1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센서(1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10)는 유량 센서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10)는 히터(30)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히터(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히터 주위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도 있고, 히터의 전도성 트랙을 이용하여 히터 온도를 판별하는 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히터(30)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40)는 유량 센서를 이용하여 유량의 증감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2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0)는 히터(30)가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가열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4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미도시), 센서(10), 모터(미도시) 등의 전기적 구성요소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히터(30)는 배터리(2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가열시킬 수 있다. 히터(30)의 온도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30)의 온도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이 고체인지 액체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에어로졸 발생 물질이 고체인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두께, 구성 재료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히터(30)는 다양한 모양/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는 관형의 히터일 수도 있고, 판형의 히터일 수 있으며, 코일 형태의 히터일 수도 있다. 히터(30)는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어부(4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배터리(20) 및/또는 히터(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배터리(20)가 공급하는 전력, 히터(30)의 가열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40)는 센서(10)를 통해 히터(30)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고, 현재 온도와 기준값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30)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히터(30)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때 기준이 되는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30)에 대해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가 수행됨으로써, 흡연 시에 히터(30)의 온도가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의 발생량이 증대되고 갑작스러운 고온 가열로 인해 액상이 타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하여서는 추후 도 6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40)의 적어도 일부의 제어 로직(logic)은 전기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히터(30) 제어 로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전기 회로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비교기(14)의 출력값과 스위치(52)를 이용하여 히터(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 회로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의 전기 회로에서, 센서(10)는 히터(30)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앰프(54)는 센서(10)의 출력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앰프(54)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기준값 설정기(12)는 기준값이 저장된 소자로서, 반도체 소자 또는 전압 소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준값 설정기(12)는 기준값을 조정하거나 재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고정된 기준값을 출력하는 소자일 수도 있다. 비교기(14)는 기준값과 히터(30) 온도에 대한 측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e.g. 대소, 차이 등)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비교 결과에 의해 스위치(52)가 제어(e.g. 개폐)되어, 배터리(20)에서 히터(30)로의 전력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히터(30) 제어 로직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전기 회로로 구현되면, 히터(30)에 대한 제어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경우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이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되고, 제어부(40)의 적어도 일부의 제어 로직은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프로세서가 제어 로직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MCU(Micro Controller Unit)가 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40)는 센서(10)와 연결된 ADC의 출력값을 판독하고,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30)의 측정 온도를 결정하며, 측정 온도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히터(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가 ADC의 출력값을 판독하는 시점 간의 간격(또는 판독 주기)은 10ms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판독 간격이 너무 짧으면, 프로세서가 ADC 출력값을 읽는 타이밍이 어긋나기 쉬어 오판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는 스위치 또는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40)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스위치 또는 버튼을 작동시킴에 따라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형태로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는 LED 표시창, LED 램프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터, 스피커, 온도 표시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40)는 출력부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액상의 잔량(액상 소진 정도), 히터 고장, 히터의 온도, 퍼프 횟수,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방식(e.g. LED 램프 블링크), 청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방식(e.g. 스피커 출력) 및/또는 촉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방식(e.g. 모터의 진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제어부(40)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차등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는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방식으로만 전달되고, 액상 소진 등의 정보는 시각적 및 청각적(또는 촉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방식으로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요 정보에 대한 정보 전달성이 보장될 수 있다. 게다가, 액상 소진 시 사용자가 퍼프를 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달성되어, 흡연 중에 탄맛을 느끼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 및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액상형 또는 하이브리드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다양한 구현 형태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액상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1-1)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1)는 배터리(20), 제어부(40), 증기화기(50) 및 마우스피스(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1)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단일 구성 요소가 복수의 세부 기능 요소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에어로졸 발생 장치(1-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마우스피스(6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1)의 일단에 위치하고, 증기화기(50)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기 위해 사용자의 구부와 접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증기화기(50)는 도 1에 도시된 센서(10) 및/또는 히터(30)를 포함하고, 히터(30)를 통해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액상 저장부에 보관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발생된 에어로졸은 기류관을 통해 마우스피스(60)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증기화기(50)는 카토마이저(catomizer) 또는 아토마이저(atomizer)로 칭해질 수도 있다. 증기화기(50)의 세부 구조는 다양하게 설계되고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발생된 에어로졸이 증기화기(50)의 기류관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에어로졸의 온도가 낮아지므로, 사용자는 일반적인 궐련을 흡연할 때와 같은 에어로졸의 온열감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고, 온도가 낮아진 에어로졸이 다시 액화됨에 따라 액적 또는 액넘김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증기화기(50)와 마우스피스(60) 사이에 에어로졸 가열부(미도시)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가열부(미도시)는 에어로졸을 마우스피스(60)로 전달하는 기류관을 포함하고, 기류관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을 다시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이 다시 가열됨에 따라 사용자는 일반적인 궐련을 흡연할 때와 같은 에어로졸의 온열감을 느낄 수 있고, 온도가 낮아진 에어로졸이 다시 액화됨에 따른 액적 또는 액넘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가열부(미도시)는 마우스피스(60)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가열부(미도시)는 마우스피스(60)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을 입에 무는 경우에 온열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을 통한 온열감 뿐만 아니라 마우스피스(60)과의 접촉으로부터 느껴지는 온열감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궐련을 흡연할 때와 같은 흡연 경험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마우스피스(60)는 마우스피스(6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알루미늄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피스(60)의 적어도 일부가 에어로졸 가열부(미도시)에 의해 가열될 때, 에어로졸 가열부(미도시)로부터의 열 전도성이 증가되어, 궐련을 흡연할 때와 같은 온열감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1-2, 1-3)를 도시한다. 도 4는 증기화기(50)와 궐련(70)이 병렬로 배치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2)를 예시하고 있고, 도 5는 증기화기(50)와 궐련(70)이 직렬로 배치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3)를 예시하고 있다. 중복된 설명을 배제하기 위해, 각 장치(1-2, 1-3)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와 그의 다양한 구현예들(1-1 내지 1-3)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 1-1 내지 1-3)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이하에서 설명될 제어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어부(40)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단계 또는 동작의 주체가 생략된 경우, 해당 단계 또는 동작은 제어부(4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방법은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S20에서 시작될 수 있다. 본 단계의 세부 과정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값은 히터(30)의 목표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S22). 상기 목표 온도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데 최적화된 온도로서, 이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종류, 히터(30)의 구조 등과 같이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계 S24 및 S26에서, 특정 상황이 감지됨에 응답하여, 기준값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프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기준값은 목표 온도보다 감소될 수 있다. 퍼프 감지 시 기준값을 감소 조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퍼프 시에는 외부 공기 유입(또는 에어로졸 발생)으로 인해 히터(30)가 냉각되기 때문에, 목표 온도 기준으로 히터(30)를 동작시키면 히터(30)에 과도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갑작스러운 고온 가열이 발생하여 액상이 타버리거나 히터(30)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기준값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준값의 감소치는 적절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소치는 퍼프 강도에 비례하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고, 일정한 값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감소치는 히터(30)의 현재 온도와 목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의 퍼프는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30)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퍼프가 감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가 일어날 때마다 히터(30)의 온도가 떨어지기 때문에(81 내지 83 참조), 히터(30)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퍼프가 감지될 수 있다. 또는, 유량 변화에 기초하여 퍼프가 감지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가 일어날 때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 내의 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91 내지 93 참조), 유량 변화에 기초하여 퍼프가 감지될 수 있다. 유량의 변화는 유량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히터(30)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것이 감지됨에 응답하여, 기준값은 감소 조정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전류의 세기가 세질수록, 배터리(20)의 내부저항 또는 히터(30)의 저항으로 인한 전압 강하가 커져 배터리(20)의 전력 손실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 같은 경우, 목표 온도에 따라 히터(30)를 제어하게 되면, 전압 강하가 지속적으로 심하게 발생하여 배터리(20)의 효율이 매우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기준값을 감소 조정하여 배터리(20)의 전력 공급과 전력 손실을 줄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준값의 감소치는 적절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소치는 전류 세기에 비례하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고 일정한 값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감소치는 배터리(20)의 성능 또는 잔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단계 S40에서, 히터(30)의 현재 온도가 측정된다. 히터(30)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온도 센서(10)를 이용하여 히터(30)의 현재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저항온도계수(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를 이용하여 히터(30)의 현재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30)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의 변화가 측정되면, 해당 저항의 저항온도계수와 저항 변화값을 이용하여 히터의 현재 온도가 산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온도 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제1 온도값과 저항온도계수를 통해 측정된 제2 온도값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히터(30)의 현재 온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값과 이전 측정치와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이 경우, 히터(30)의 현재 온도는 제2 온도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온도값은 이상치(outlier)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제2 온도값과 이전 측정치와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이 경우, 히터(30)의 현재 온도는 제1 온도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두 온도값 모두 이전 측정치와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라면, 히터(30) 온도에 대해 재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1 온도값과 제2 온도값의 가중치합에 기초하여 히터(30)의 현재 온도가 결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측정 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단계 S60에서, 히터(30)의 현재 온도와 기준값이 비교될 수 있다.
단계 S80에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단계의 구체적인 제어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즉각적인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30)의 현재 온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히터(30)에 대한 배터리(20)의 전력 공급을 인가하거나 증가시키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히터(30)에 대한 배터리(20)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비교 결과 데이터에서 나타내는 데이터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부 과정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축적되면, 분석을 통해 데이터 패턴이 검출되고, 검출된 데이터 패턴에 따라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S82 내지 S86). 이때, 데이터 패턴과 그에 따른 제어 동작은 사전에 정의된 것일 수 있는데, 데이터 패턴은 특정 값의 횟수, 변화 정도, 변화 양상 등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데이터 패턴의 정의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도 11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패턴 테이블(91)에 2개 이상의 데이터 패턴(a, b)과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정의되어 있고, 이를 토대로 제어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 비교기(93)는 히터(30)의 측정 온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1"을 출력하고, 반대의 경우 "0"을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 패턴(a)은 기준값을 초과하는 히터(30)의 측정 온도값이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패턴(a)은 일정 시간 내에 "1"이 6회 이상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데이터 패턴(a)은 액상이 거의 소진된 경우에 나타나는 패턴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액상이 거의 소진된 경우에는 히터(30)로 액상이 이송되지 않아, 전력 공급을 차단하더라도 히터(30)의 온도가 잘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액상이 소진된 시점에는, 히터(30)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기준값을 상회하는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40)는 히터(3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e.g. 전원 공급 차단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간(95)에서 데이터 패턴(a)이 검출됨에 응답하여, 제어부(40)는 히터(3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e.g. 전원 공급 차단 등)를 출력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연 시 탄맛이 발현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고, 히터(30)의 고장도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패턴(a)은 액상이 완전히 소진된 경우가 아니라 일시적으로 액상 이송 능력이 저하된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사용자가 퍼프를 지속적으로 행함에도 불구하고 히터(30)의 동작을 정지시키면, 사용자에게 원활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없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패턴(a)이 기준치 이상 반복하여 검출되는 경우에 비로소 액상이 거의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고 히터(3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패턴(b)은 히터(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기준값 미만인 히터(30)의 측정 온도값이 일정 횟수 이상 나타나거나, 측정 온도와 기준값의 차이가 좁혀지지 않거나(e.g. 차이가 일정하게 나타나는 경우) 공급 전력에 비해 상당히 느린 속도로 히터(3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등을 나타내는 패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40)는 히터 고장으로 판단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동작을 정지(e.g. 파워-오프)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히터 고장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는, 머신러닝(machine-learning)을 통해 생성된 이상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액상 소진, 히터 고장 등에 관한 이상 상황이 검출될 수도 있다. 이상 상황 검출을 위해 다양한 피처(feature)가 활용될 수 있는데, 피처의 예로는 공급 전력 대비 히터의 온도 증가치, 히터의 온도 변화 패턴(e.g. 트렌드, 증가폭, 감소폭 등), 히터의 측정 온도와 기준값의 비교 결과, 퍼프 특성(퍼프 횟수, 퍼프 시간의 길이, 퍼프 강도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상기 열거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검출 모델은 사전에 학습되어 제어부(40)에 탑재될 수 있고, 탑재된 이후 제어부(40)에 의해 추가 학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 검출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SVM(support vector machine), 신경망(neural network)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머신러닝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기준값에 기반한 피드백 제어가 수행되고, 기준값은 퍼프, 과전류 발생 등의 특정 상황이 감지될 때마다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에 대한 온도가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흡연 시에 액상(또는 히터)가 타버려 탄맛이 발현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준값과 히터의 온도 측정치의 비교 결과 데이터에서 검출된 데이터 패턴을 활용하여 히터가 보다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가령, 히터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기준값을 상회하는 경우, 히터의 동작이 중지될 수 있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흡연 시에 액상(또는 히터)가 타버려 탄맛이 발현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제어 방법은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령, 히터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해 단계 S40 내지 단계 S80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복 주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프가 감지되는 동안에는 보다 정밀하게 히터(30)를 제어하기 위해 반복 주기가 짧아질 수 있고, 퍼프가 감지되지 않는 동안에는 반복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퍼프 강도가 강해질수록 반복 주기는 더욱 짧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액상의 소진량이 많을수록 반복 주기는 더욱 짧아질 수 있다. 액상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아 액상 이송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히터(30)가 갑작스럽게 고온 가열되어 탄맛이 발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정밀하게 히터(30)를 제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40)는 제어 과정에서 획득된 다양한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액상 소진 정도(또는 액상의 잔량)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히터(30)의 온도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액상의 소진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액상이 많이 소진된 경우 액상 이송 능력이 떨어져 히터(30)의 온도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30)의 온도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액상의 소진 정도가 추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40)는 사용자의 퍼프 이력에 기초하여 액상의 소진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퍼프 이력은 예를 들어 퍼프 횟수, 퍼프 강도 및 퍼프 시간의 길이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의 횟수가 많아질수록, 퍼프의 강도가 강할수록 또는 퍼프 길이가 길어질수록 액상의 소진량은 더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이점을 이용하여 액상의 소진 정도가 추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제어부(40)는 히터(30)의 가열 이력에 기초하여 액상의 소진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가열 이력은 히터(30)의 온도 및 가열 시간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30)가 장시간 가열될수록, 가열 이력에서 히터(30)의 온도 상승 구간이 많인 나타날수록 또는 히터(30)의 온도 상승폭이 클수록 히터(30)에 의해 소모된 전력은 많을 것이고, 소진된 액상의 양 또한 더 많을 것이다. 따라서, 이점을 이용하여 액상의 소진 정도가 추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전술한 예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액상의 소진 정도가 추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히터(30)의 온도 변화, 퍼프 이력 및 가열 이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액상의 소진 정도가 추정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1, 1-2, 1-3: 에어로졸 발생 장치
10: 센서
20: 배터리
30: 히터
40: 제어부
50: 증기화기
60: 마우스피스

Claims (15)

  1.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측정 온도와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하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비교 결과를 축적한 데이터에서 제1 데이터 패턴이 기준치 이상 반복하여 검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턴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기 히터의 측정 온도 값이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나타나는 것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상황이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값을 조정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퍼프(puff)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값을 감소시키되,
    상기 기준값의 감소치는 상기 퍼프의 강도에 비례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에 기준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함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값을 감소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프로세서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로직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ADC의 출력값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측정 온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측정 온도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출력값을 판독하는 시점 간의 간격은 10ms 이상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라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인가하거나 증가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비교 결과를 축적한 데이터에서 제2 데이터 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턴에 기초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되,
    상기 반복의 주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구간에서 짧아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온도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소진 정도를 추정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퍼프(puff) 이력에 더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소진 정도를 추정하되,
    상기 퍼프 이력은 퍼프 횟수, 퍼프 강도 및 퍼프 시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가열 이력에 더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질의 소진 정도를 추정하되,
    상기 가열 이력은 히터의 온도 및 가열 시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3.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액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의 측정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측정 온도와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를 축적한 데이터에서 제1 데이터 패턴이 기준치 이상 반복하여 검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패턴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기 히터의 측정 온도 값이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나타나는 패턴인,
    제어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라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인가하거나 증가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삭제
KR1020190169574A 2019-12-18 2019-12-18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77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74A KR102277888B1 (ko) 2019-12-18 2019-12-18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74A KR102277888B1 (ko) 2019-12-18 2019-12-18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988A KR20210077988A (ko) 2021-06-28
KR102277888B1 true KR102277888B1 (ko) 2021-07-14

Family

ID=7660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574A KR102277888B1 (ko) 2019-12-18 2019-12-18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8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905B1 (ko) * 2011-12-30 2017-11-0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공기 흐름 검출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905B1 (ko) * 2011-12-30 2017-11-0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공기 흐름 검출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988A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1747B2 (en) Charger for an electronic cigarette
CN106455718B (zh) 具有温度感测和限值的电子汽化器
KR10220385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9423152B2 (en) Heating control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KR102485490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46055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히터의 오버슛을 방지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JP7022908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バッテリ寿命推定方法
CN112512355A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230301366A1 (en) E-cigarett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351985B (zh) 电阻检测系统和方法
KR102277888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30056581A (ko) 전자 무화장치 및 이의 가열 제어 장치와 가열 제어 방법
WO2019196003A1 (zh) 烟具设备及用于该烟具设备的测温控温方法
JP2024506219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102318694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온도 측정 방법
JP7250119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263714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온도 제어 방법
KR20210128111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7534537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20230354909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and aerosol provision system
KR20240053849A (ko) 퍼프 행위를 인식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JP2023513703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KR20220161084A (ko) 퍼프인식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63161A (ko) 퍼프인식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