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344B1 - Fall safety system for elevator hole - Google Patents
Fall safety system for elevator h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4344B1 KR102274344B1 KR1020210046422A KR20210046422A KR102274344B1 KR 102274344 B1 KR102274344 B1 KR 102274344B1 KR 1020210046422 A KR1020210046422 A KR 1020210046422A KR 20210046422 A KR20210046422 A KR 20210046422A KR 102274344 B1 KR102274344 B1 KR 1022743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module
- camera
- hole
- human body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사중에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홀을 통해 물체가 낙하되었을 때,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인 경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승강홀과 연통된 개구부에 장착되어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승강홀에 장착되어 승강홀로 낙하되는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승강홀의 하부에 장착된 에어백모듈과; 외부로 경고를 알리는 알람부와; 상기 카메라, 에어백모듈,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센서에서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승강홀로 낙하되는 물체를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백모듈을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백모듈 및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oisting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and particularly, when an object falls through an elevator hoisting hole under construction, it relates to an elevator hoisting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that can safely protect the human body when the falling object is a human body will be.
The elevator hoisting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ion sensor mounted on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isting hole of the elevator to detect an object input through the opening; a camera mounted on the elevating hole and photographing an object falling into the elevating hole; an airbag modul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hole; an alarm unit notifying an external warn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the airbag module, and the alarm unit; when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an object input through the opening,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camera to photograph an object falling into the lifting hole, The control unit does not operate the airbag modu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not a human body, and operates the airbag module and the alarm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a human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사중에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홀을 통해 물체가 낙하되었을 때,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인 경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oisting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and particularly, when an object falls through an elevator hoisting hole under construction, it relates to an elevator hoisting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that can safely protect the human body when the falling object is a human body will b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상가,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다층 건축 구조물에 설치되어, 승객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까지 실어나르는 승강기로서, 엘리베이터 설치구조물에 수직되게 마련되어 층마다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기계실 내의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권상로프가 감겨지거나 풀림에 따라 승강하고,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카와, 권상로프의 끝단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시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균형추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레일과,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출입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장도어를 포함한다.In general, an elevator is an elevator that is installed in a multi-story building structure such as a shopping mall, a building or an apartment, and carries passengers or cargo to a desired floor. , installed in the elevator hoistway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n the machine room and ascend and descend as the hoisting rope is wound or unwound, and an elevator car having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a pair of guide rails fixed in the elevator hoistway to guide when the elevator car goes up and down, and a platform door that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hoistway.
한편, 공사장의 작업현장은 추락 및 감전 등에 따른 생명을 위협하는 많은 위험이 존재한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dangers that threaten life due to falls and electric shocks at the work site of construction sites.
작업자, 작업재료, 작업공구 등의 추락은 곧바로 작업자의 생명과 연결되는 문제이다. Falls of workers, work materials, and tools are a problem directly linked to the lives of workers.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홀(승강로)를 통한 작업자 등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safety facility to prevent a worker from falling through the elevator hoistway (hoistwa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구조의 승강홀 내부 막음장치 및 안전장치 등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various structures of internal blocking devices and safet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홀 안전 장치는, 단순히 승강홀을 막기 기능만을 할 뿐, 작업자가 승강홀에 추락하였을 때 이를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vator hoisting hall safety device only functions to block the hoisting hole, and there are cases where it cannot be safely protected when a worker falls into the hoisting hol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홀의 내부로 물체가 낙하되었을 때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인지 아닌지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인체(작업자 등)인 경우에는 에어백모듈을 전개시켜 작업자 등이 큰 사고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an object is dropped into an elevating hole, it is quickly determined whether the falling object is a human body or not, and in the case of a human body (operator, etc.), the airbag module is deployed to the opera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fall in the elevator hoisting hall that can prevent such a serious accid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승강홀과 연통된 개구부에 장착되어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승강홀에 장착되어 승강홀로 낙하되는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승강홀의 하부에 장착된 에어백모듈과; 외부로 경고를 알리는 알람부와; 상기 카메라, 에어백모듈,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센서에서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승강홀로 낙하되는 물체를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백모듈을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백모듈 및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vator hoisting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ion sensor mounted on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isting hole of the elevator to detect an object input through the opening; a camera mounted on the elevating hole and photographing an object falling into the elevating hole; an airbag modul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hole; an alarm unit for notifying an external warn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the airbag module, and the alarm unit. When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an object input through the opening,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camera to photograph an object falling into the elevating hole, The control unit does not operate the airbag modu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not a human body, and operates the airbag module and the alarm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a human body.
상기 카메라는 평상시에 꺼져 있다가, 상기 감지센서가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킨다.The camera is normally turned off, and when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an object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the controller operates the camera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가 아닌 물건으로 판단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홀에 물건이 낙하되었다는 것을 작업자에게 인지시킨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not a human body,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larm unit to notify the operator that the object has fallen into the lifting hole.
상기 승강홀에서 낙하되어 상기 에어백모듈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는 물건제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 및 카메라에 의해 인체가 아닌 물건이 상기 승강홀로 낙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물건제거부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모듈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that is not a human body has fallen into the lifting hole by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camera,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object removal unit for removing objects that have fallen from the lifting hole and have accumul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airbag module. , The object removal unit is operated to remove the object accumul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airbag module.
상기 물건제거부는 상기 에어백모듈을 경사지게 배치시켜 상기 에어백모듈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한다.The object removal unit disposes the airbag module at an angle to remove objects accumulated on the airbag module.
상기 물건제거부는 상기 에어백모듈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에어백모듈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한다.The object removal unit rotates the airbag module in a vertical direction to remove objects accumulated on the airbag modu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levator hoisting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인지 아닌지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인체인 경우에는 에어백모듈을 전개시켜 작업자 등이 큰 사고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a falling object is a human body or not, and if it is a human body, an airbag module is deployed to prevent a serious accident by an operator.
또한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가 아닌 물건인 경우에는 신속하게 에어백모듈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여, 에어백모듈의 전개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alling object is a non-human objec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from occurring when the airbag module is deployed by quickly removing the object accumul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bag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인체가 승강홀에 낙하되었을 때의 작동 과정도,
도 3은 도 1에서 물건이 승강홀에 낙하되었을 때의 작동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에서 물건이 승강홀에 낙하되었을 때의 작동 과정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fall of an elevator hoisting h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peration process when the human body is dropped into the elevating hole in Figure 1;
3 is an operation process diagram when the object in FIG. 1 is dropped into the elevating hole;
4 is an operation process diagram when an object falls into the elevator hall in the elevator elevator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in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1)와, 카메라(2)와, 에어백모듈(3)과, 알람부(미도시)와, 제어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elevator elevator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감지센서(1)는 엘리베이터의 승강홀(10)과 연통된 개구부에 장착되어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체(인체, 물건) 등을 감지한다.The
이때 상기 개구부에는 작업자 등이 승강홀(10)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At this time, various conventionally known devices for preventing a worker or the like from falling into the
상기 카메라(2)는 상기 승강홀(10) 내부에 장착되어 승강홀(10)로 낙하되는 물체를 촬영 또는 센싱한다.The
상기 카메라(2)는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 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낙하되는 물체를 촬영하거나 센싱하게 된다.The
상기 에어백모듈(3)은 상기 승강홀(10)의 하부에 장착된다.The
상기 알람부는 외부로 경고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The alarm unit serves to notify the outside of a warning.
상기 알람부는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인 경우에만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인체가 아닌 물건인 경우에도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may be generated only when the falling object is a human body, or may be generated even when the falling object is a non-human body.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카메라(2), 에어백모듈(3), 알람부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 controls the
상기 감지센서(1)에서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카메라(2)를 작동시켜 승강홀(10)로 낙하되는 물체를 촬영하도록 한다.When the
상기 카메라(2)는 항상 커져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에너지 절감 등을 위해 상기 카메라(2)는 평상시에 꺼져 있다가 상기 감지센서(1)가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가 상기 카메라(2)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카메라(2)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인지 또는 물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에어백모듈(3)의 작동여부를 결정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5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는 상기 승강홀(10)에 인체가 낙하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승강홀(10)에 인체가 아닌 물건 등이 낙하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human body falls into the
먼저,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작업자)인 경우를 설명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1)에서 전방에 있는 인체를 감지한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in which the falling object is a human body (operator). As shown in FIG. 2( a ), the
이러한 상태에서 실수 등에 의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승강홀(10)의 내부로 추락하게 되면, 이를 상기 감지센서(1)에서 감지하게 되고, 이를 제어부(5)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5)를 상기 카메라(2)를 작동시킨다.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falls into the interior of the
이때 상기 승강홀(1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2)는 추락되는 물체를 촬영한다.At this time, the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카메라(2)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카메라(2)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모듈(3)을 작동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5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상기 에어백모듈(3)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모듈(3)이 전개되면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홀(10)의 하부로 낙하하는 인체의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When the
그리고, 상기 알람부는 작업자 등이 승강홀(10)에 낙하되었다는 것을, 소리, 램프, 관리자, 개인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외부로 알리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larm unit informs the outside that the operator or the like has fallen into the
한편,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가 아닌 물건인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1)에서 전방에 있는 물건을 감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alling object is not a human body, the
이러한 상태에서 실수 등에 의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이 승강홀(10)의 내부로 추락하게 되면, 이를 상기 감지센서(1)에서 감지하게 되고, 이를 제어부(5)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5)를 상기 카메라(2)를 작동시킨다.In this state, when an object falls into the interior of the
이때 상기 승강홀(1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2)는 추락되는 물건을 촬영한다.At this time, the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카메라(2)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카메라(2)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가 아닌 물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에어백모듈(3)을 작동시키지 않는다.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5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상기 에어백모듈(3)이 작동하지 않게 되면, 낙하되는 물건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모듈(3)의 상부에 쌓이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카메라(2)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홀(10)에 물체가 낙하되었다는 것을 작업자에게 인지시키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본 발명은 상기 승강홀(10)에서 낙하되어 상기 에어백모듈(3)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는 물건제거부(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감지센서(1) 및 카메라(2)에 의해 인체가 아닌 물건이 상기 승강홀(10)로 낙하되었다고 판단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건제거부(6)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모듈(3)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도록 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other than the human body has fallen into the
상기 물건제거부(6)에 의해 상기 에어백모듈(3)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에어백모듈(3)의 전개시 그 상부에 쌓여 있는 상태에서 비산되게 되는 물건에 의해 인체에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이러한 상기 물건제거부(6)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5)에 의해 신장됨으로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모듈(3)을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에어백모듈(3)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이때, 상기 에어백모듈(3)의 측면에는 상기 에어백모듈(3)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물건이 미끄러지면서 수용되도록 하는 별도의 수납함(7)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또한, 상기 물건제거부(6)는 도 4(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모듈(3)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에어백모듈(3)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c) and (d), the
이때, 상기 에어백모듈(3)의 하부에는 별도의 수납함(7)이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모듈(3)의 회전시 낙하되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인지 아닌지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인체인 경우에는 에어백모듈(3)을 전개시켜 작업자 등이 큰 사고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a falling object is a human body or not, and in the case of a human body, the
또한 낙하되는 물체가 인체가 아닌 물건인 경우에는 신속하게 에어백모듈(3)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여, 에어백모듈(3)의 전개시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alling object is a non-human object, the object accumul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s elevator hoistway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ed.
1 : 감지센서, 2 : 카메라, 3 : 에어백모듈, 5 : 제어부, 6 : 물건제거부, 7 : 수납함, 10 : 승강홀,1: detection sensor, 2: camera, 3: airbag module, 5: control unit, 6: object removal unit, 7: storage box, 10: lifting hole,
Claims (5)
상기 승강홀에 장착되어 승강홀로 낙하되는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승강홀의 하부에 장착된 에어백모듈과;
외부로 경고를 알리는 알람부와;
상기 카메라, 에어백모듈,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승강홀에서 낙하되어 상기 에어백모듈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는 물건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센서에서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승강홀로 낙하되는 물체를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가 아닌 물건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백모듈을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물체가 인체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백모듈 및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 및 카메라에 의해 인체가 아닌 물건이 상기 승강홀로 낙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물건제거부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모듈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a detection sensor mounted on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isting hole of the elevator to detect an object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a camera mounted on the elevating hole and photographing an object falling into the elevating hole;
an airbag modul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hole;
an alarm unit notifying an external warn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the airbag module, and the alarm unit;
and an object removal unit for removing objects that have fallen from the elevating hole and have accumul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bag module.
When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an object input through the opening,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object falling into the lifting hole,
The control unit does not operate the airbag modu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not a human body, and operates the airbag module and the alarm unit when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determined to be a human body;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camera that an object other than a human body has fallen into the lifting hol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object removal unit to remove the object accumul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bag module. system.
상기 카메라는 평상시에 꺼져 있다가,
상기 감지센서가 개구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is normally turned off,
When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an object input through the opening,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camer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물건제거부는 상기 에어백모듈을 경사지게 배치시켜 상기 에어백모듈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or lifting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removal unit disposes the airbag module in an inclined manner to remove the object accumul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bag module.
상기 물건제거부는 상기 에어백모듈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에어백모듈의 상부에 쌓인 물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or lifting hall fall prevention safe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removal unit rotates the airbag modu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emove the objects accumul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bag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6422A KR102274344B1 (en) | 2021-04-09 | 2021-04-09 | Fall safety system for elevator h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6422A KR102274344B1 (en) | 2021-04-09 | 2021-04-09 | Fall safety system for elevator ho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4344B1 true KR102274344B1 (en) | 2021-07-08 |
Family
ID=7689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6422A Active KR102274344B1 (en) | 2021-04-09 | 2021-04-09 | Fall safety system for elevator h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434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5238B1 (en) * | 2023-11-30 | 2024-05-10 | 전혜찬 | Apparatus of notification for preventing manhole fall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2221A (en) * | 2000-06-29 | 2002-01-09 | 윌리엄 이. 갈라스 | Optimized human presence detection through elimination of background interference |
KR20080000200U (en) * | 2008-01-15 | 2008-02-18 | 이찬협 | Elevator safety system |
KR20080004878U (en) | 2007-04-20 | 2008-10-23 | 최정일 | Elevator structure of elevator |
JP2016199944A (en) * | 2015-04-13 | 2016-12-01 | 清水建設株式会社 | Fire compartment formation assist device |
KR102212061B1 (en) | 2020-09-15 | 2021-02-04 | (주)대륜엘리스 | Elevator hoistway fall prevention device |
-
2021
- 2021-04-09 KR KR1020210046422A patent/KR1022743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2221A (en) * | 2000-06-29 | 2002-01-09 | 윌리엄 이. 갈라스 | Optimized human presence detection through elimination of background interference |
KR20080004878U (en) | 2007-04-20 | 2008-10-23 | 최정일 | Elevator structure of elevator |
KR20080000200U (en) * | 2008-01-15 | 2008-02-18 | 이찬협 | Elevator safety system |
JP2016199944A (en) * | 2015-04-13 | 2016-12-01 | 清水建設株式会社 | Fire compartment formation assist device |
KR102212061B1 (en) | 2020-09-15 | 2021-02-04 | (주)대륜엘리스 | Elevator hoistway fall prevention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5238B1 (en) * | 2023-11-30 | 2024-05-10 | 전혜찬 | Apparatus of notification for preventing manhole fal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01861B2 (en) | Elevator with maintenance opening in the car floor | |
CN108217360B (en) |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 |
EP3687929B1 (en) | Safe elevator shaft and car roof access | |
KR102274344B1 (en) | Fall safety system for elevator hole | |
KR101812231B1 (en) | High-Place Worktable Having Over Rising Prevent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of | |
CN214359595U (en) | Hoistway door impact detection device, anti-collision hoistway door and anti-collision elevator | |
JP2003095554A (en) | Safety device on elevator car | |
KR101827410B1 (en) | Automatic eye level detection smoke evacuation guide light combined elevating lifting device | |
JP2014206944A (en) | Safety confirmation system | |
JP4584695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JP2015157680A (en) | Alarm system of landing side door of elevator | |
JP2007254054A (en) | Elevator hoistway protection system | |
KR20170096639A (en) | Hoist safety and fall protection equipment with a way of thinking crash prevention safety features | |
JP4379204B2 (en) | Elevator equipment | |
CN113697629B (en) | Elevator car shearing accident rescue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100656650B1 (en) | Safety device for emergency stop of elevator cabin of machine tool | |
JP4248678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3156181B2 (en) | Garbage truck fall prevention device | |
JP5951683B2 (en) | Luggage elevator | |
CN217126867U (en) | Safe operation system based on elevator | |
JPH0753148A (en) | Elevator safety equipment | |
JP2011063420A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JP3243186B2 (en) | Safety devices for elevators | |
CN116891170A (en) | Safety device for lifter rotating part | |
JP2002235451A (en) | Multi-stage parking facilit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