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61937B1 - 난간 브라켓 - Google Patents

난간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937B1
KR102261937B1 KR1020190156784A KR20190156784A KR102261937B1 KR 102261937 B1 KR102261937 B1 KR 102261937B1 KR 1020190156784 A KR1020190156784 A KR 1020190156784A KR 20190156784 A KR20190156784 A KR 20190156784A KR 102261937 B1 KR102261937 B1 KR 102261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ody
bracket
handrail
handrail member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19015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난간 브라켓은 기둥과 교차하는 난간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난간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장공부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몸체부, 상기 장공부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브라켓 몸체부 및 상기 제2 브라켓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와 평행하게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바깥쪽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된 제3 브라켓 몸체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모듈; 및 상기 난간 부재의 외측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내지 제2 브라켓 몸체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한 제1 개구와 상기 후크부가 걸리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커버 몸체부 및 상기 커버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브라켓 몸체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간 브라켓{BALCONY BRACKET}
본 발명은 난간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편의성 및 조립 시간을 크게 단축 시키고 도난 및 손상을 방지한 난간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balcony)은 추락을 방지 또는 미관을 위하여 아파트와 같은 주거 공간의 발코니의 외측 또는 계단에 주로 설치되고 있으며, 난간은 주거 공간 이외에 상업 공간, 산업 시설에도 안전시설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난간은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파이프나 아연도금 파이프 등이 사용되며, 그의 미관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난간은 세로로 세워진 기둥의 상단에 결합 되며, 기둥 및 난간의 경계부는 일반적으로 용접 등에 의하여 상호 결합 된다.
대표적인 난간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6175호, 난간용 브라켓(등록일 : 2000년 7월 5일)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난간용 브라켓에는 용접 대신 브라켓 및 체결 나사를 이용하여 난간을 조립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난간용 브라켓은 용접 대신 브라켓과 체결 나사를 이용하여 난간을 조립하기 때문에 용접 방법에 비하여 조립 공정은 비교적 간단하나 너트부 및 볼트부를 이용하기 때문에 여전히 조립 공정이 많고,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며 특히 볼트부가 외부에 대하여 그대로 노출되어 난간의 분실 및 도난 위험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6175호, 난간용 브라켓(등록일 : 2000년 7월 5일)
본 발명은 난간을 구성하는 조립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를 크게 감소시켜 난간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 및 난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난간의 도난 및 유실을 방지한 난간 브라켓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난간 브라켓은 기둥과 교차하는 난간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난간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장공부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몸체부, 상기 장공부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브라켓 몸체부 및 상기 제2 브라켓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와 평행하게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바깥쪽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된 제3 브라켓 몸체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모듈; 및 상기 난간 부재의 외측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내지 제2 브라켓 몸체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한 제1 개구와 상기 후크부가 걸리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커버 몸체부 및 상기 커버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브라켓 몸체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한다.
난간 브라켓의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는 상기 난간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난간 부재에 결합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한다.
난간 브라켓의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는 상기 난간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난간 부재와 겹치게 배치된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 및 상기 난간 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용접부를 포함한다.
난간 브라켓의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에는 일부가 절개한 후 절곡되어 상기 난간 부재의 단부에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된다.
난간 브라켓의 상기 제1 내지 제3 브라켓 몸체부는 곡면판 형상을 갖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3 브라켓 몸체부와 나란하게 상기 커버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로부터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브라켓 몸체부와 접촉되는 받침부를 포함한다.
난간 브라켓의 제1 브라켓 몸체부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의 일부를 절곡한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일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난간 부재의 내부로 연장된 제1 걸림부 및 상기 절곡부의 타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난간 부재의 내부로 상기 제1 걸림부와 마주하게 연장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브라켓은 난간을 이루는 조립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켜 난간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 및 난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난간의 도난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난간 브라켓이 적용된 난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간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브라켓 모듈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버의 커버 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난간 브라켓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난간 브라켓이 적용된 난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난간(400)은 수직으로 세워진 다수개의 기둥(100)의 상단에 결합된다.
난간(400)은 난간 부재(200) 및 난간 부재(200) 및 기둥(100)을 상호 결합하는 난간 브라켓(300)을 포함한다.
난간(400)을 지지하는 기둥(10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난간 부재(200)는 기둥(100)의 상단에 결합 되며, 난간 브라켓(300)은 난간 부재(200)를 쉽고 빠르게 기둥(10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기둥(100) 및 난간 부재(200)를 상호 결합하는 난간 브라켓(3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간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브라켓 모듈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난간 브라켓(300)은 브라켓 모듈(370) 및 커버(390)를 포함한다.
브라켓 모듈(370)은 도 1에 도시된 기둥(100) 및 기둥(100)과 교차되는 난간 부재(200)를 상호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브라켓 모듈(370)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모듈(370)은 제1 브라켓 몸체부(310), 장공부(320), 제2 브라켓 몸체부(330), 제3 브라켓 몸체부(34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브라켓 모듈(370)은 걸림부(3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몸체부(310)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곡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곡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 브라켓 몸체부(310)의 곡률은, 예를 들어, 난간 부재(200)의 곡면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브라켓 몸체부(310)가 곡면 플레이트 형상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난간 부재(200)가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제1 브라켓 몸체부(310)는 평탄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브라켓 몸체부(310)는 난간 부재(200)에 겹치게 배치되는 부분으로, 제1 브라켓 몸체부(310)는 브라켓 모듈(370)을 난간 부재(200)에 고정한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 몸체부(310)는 난간 부재(200)의 외측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난간 부재(2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11)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 몸체부(310)에 형성된 결합부(311)는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결합부(311)인 체결홀은 제1 브라켓 몸체부(310)에 2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몸체부(310)에 형성된 결합부(311)에는 도 2에 도시된 체결나사(317)가 결합 되며, 체결 나사(317)에 의하여 제1 브라켓 몸체부(310)는 난간 부재(200)를 관통하여 난간 부재(200)에 견고하게 결합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체결 나사(317)가 난간 부재(200)에 결합 되도록 하기 위해 난간 부재(200)에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브라켓 몸체부(310) 및 난간 부재(200)는 나사 체결 방식 이외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용접에 의하여 제1 브라켓 몸체부(310) 및 난간 부재(20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는 난간 부재(200)의 표면에 도장 처리를 하기 이전에 제1 브라켓 몸체부(310) 및 난간 부재(200)를 상호 맞대고 제1 브라켓 몸체부(310) 및 난간 부재(200)를 용접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브라켓 몸체부(310) 및 난간 부재(200)를 견고하게 용접하기 위해서 제1 브라켓 몸체부(310)에는 다수개의 용접용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용접용 돌기들은 용접기에 의하여 녹으면서 난간 부재(200)와 제1 브라켓 몸체부(310)들을 상호 용접한다.
용접에 의하여 제1 브라켓 몸체부(310)를 난간 부재(200)에 견고하게 결합한 후 브라켓 모듈(370) 및 난간 부재(200)의 표면에는 도장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용접에 의하여 제1 브라켓 몸체부(310) 및 난간 부재(200)를 상호 결합할 경우, 제1 브라켓 몸체부(310) 및 난간 부재(200)를 임의로 분리할 수 없게 되어 기둥(100), 난간 부재(200) 및 난간 브라켓(30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몸체부(310) 중 난간 부재(200)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부분에는 장공부(oblong portion, 320)가 형성된다. 장공부(320)는 긴 길이를 갖는 장방형 관통홀로서 장공부(320)를 통해 체결 나사(미도시)가 삽입되고, 체결 나사는 기둥(100)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제1 브라켓 몸체부(310)에 장공부(320)를 형성한 것은 기둥(100)에 형성된 관통홀의 위치가 지정된 위치와 다소 다르더라도 브라켓 모듈(370)이 기둥(100)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브라켓 몸체부(310)에는 체결 나사(317) 이외에 브라켓 모듈(370)을 난간 부재(200)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걸림부(3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319)는 제1 브라켓 몸체부(310)의 일부를 U자 형태로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안쪽으로 밀어 넣은 혀(tongu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부(319) 중 혀 형태로 돌출된 부분이 난간 부재(200)의 단부에 끼워짐으로써 브라켓 모듈(370)을 난간 부재(2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몸체부(330)는 제1 브라켓 몸체부(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브라켓 몸체부(330)는 제1 브라켓 몸체부(310) 중 장공부(320)의 바깥쪽 부분을 안쪽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데, 제2 브라켓 몸체부(330)의 길이는 후술 될 커버의 커버 몸체부의 살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브라켓 몸체부(340)는 제2 브라켓 몸체부(330)의 단부를 바깥쪽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며, 이때, 절곡된 제3 브라켓 몸체부(340)는 제1 브라켓 몸체부(310)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3 브라켓 몸체부(340)에는 후크부(345)가 형성되는데, 후크부(345)는 제3 브라켓 몸체부(340)의 일부를 U자 형상으로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형성된다. 이 후크부(345)는 후술 될 커버 몸체부에 걸려 커버가 브라켓 모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390)는 앞서 설명한 브라켓 모듈(370)과 결합 되어 난간 부재(200)의 단부를 마감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키며, 제1 브라켓 몸체부(310)에 형성된 장공부(320)를 통해 기둥(100)에 체결된 체결 나사를 덮어 기둥(100), 난간 부재(200) 및 브라켓 모듈(37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커버의 커버 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390)는 커버 몸체부(385) 및 이탈 방지부(38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커버 몸체부(385)는 합성수지 소재 또는 금속 소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몸체부(385)는 상판(381) 및 상판(381)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판(382)으로 형성된다.
한편, 커버 몸체부(385)의 측면판(382)의 내측면은 난간 부재(200)의 외측면에 꼭맞게 삽입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커버 몸체부(385)의 측면판(382)이 난간 부재(200)의 외측면에 삽입될 경우, 커버 몸체부(385)의 측면판(382)은 브라켓 모듈(370)의 제1 브라켓 몸체부(310), 제2 브라켓 몸체부(330) 및 제3 브라켓 몸체부(340)와 간섭되어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측면판(382)이 제1 브라켓 몸체부(310), 제2 브라켓 몸체부(330) 및 제3 브라켓 몸체부(34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판(382) 중 제1 브라켓 몸체부(310), 제2 브라켓 몸체부(330)와 대응하는 부분은 절개되어 제거되고 이로 인해 제1 브라켓 몸체부(310), 제2 브라켓 몸체부(33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1 개구(383)가 형성된다.
측면판(382) 중 제1 개구(383)의 위쪽에는 제1 개구(383)와 연결되지 않은 독립된 제2 개구(384)가 형성되는데, 제2 개구(384)는 제3 브라켓 몸체부(340)에 형성된 후크부(34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특히 제2 개구(384)의 폭은 후크부(345)의 사이즈 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제2 개구(384)의 높이는 후크부(345)가 삽입된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제2 개구(38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한편, 측면판(382)의 제2 개구(384)에 브라켓 모듈(370)의 후크부(345)가 걸릴 경우, 제2 개구(384)의 형상에 의하여 후크부(345)는 제2 개구(384)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지만 드라이버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후크부(345)를 누를 경우, 후크부(345)가 제2 개구(384)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둥(100), 난간 부재(200) 및 브라켓 모듈(370)이 순차적으로 쉽게 분리되어 도난이 발생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커버(390)의 상판(381)의 내측면에는 이탈 방지부(388)가 형성된다. 이탈 방지부(388)는 상판(38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탈 방지부(388)는 후크부(345)의 후면에 배치되며 이탈 방지부(388)는 후크부(345) 및 제3 브라켓 몸체부(340)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후크부(345)가 제2 개구(38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 방지부(388)는 기둥부(386) 및 받침부(387)를 포함한다.
기둥부(386)는 기둥 형상으로 커버(390)의 상판(38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기둥부(386)는 큰 힘에 의해서 후크부(345) 및 제3 브라켓 몸체부(34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부(387)는 기둥부(386)에 형성되며, 받침부(387)는 제3 브라켓 몸체부(340)의 오목한 후면에 밀착되는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받침부(387)에 제3 브라켓 몸체부(340)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제3 브라켓 몸체부(340) 또는 후크부(345)가 임의로 제2 개구(38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난간 브라켓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난간 브라켓은 결합부를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난간 브라켓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 모듈(370)은 제1 브라켓 몸체부(350), 장공부(320), 제2 브라켓 몸체부(330) 및 제3 브라켓 몸체부(340)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 몸체부(350)는 결합부(356) 및 장공부(320)를 포함한다.
결합부(356)는 체결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브라켓 모듈(370)을 이용하여 난간 부재(200)를 기둥(1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356)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 브라켓 몸체부(350)의 일부를 절곡한 절곡부(351), 제1 걸림부(352) 및 제2 걸림부(353)를 포함한다.
절곡부(351)는 제1 브라켓 몸체부(350)의 중간 부분을 절곡한 부분으로 정의되며, 절곡부(351)는, 예를 들어, 난간 부재(200)를 가로막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 걸림부(352)는 절곡부(351)의 일측 측면으로부터 난간 부재(2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걸림부(352)의 외측면은 난간 부재(20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제2 걸림부(353)는 절곡부(351)의 타측 측면으로부터 난간 부재(2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걸림부(353)는 제1 걸림부(352)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걸림부(353)의 외측면은 난간 부재(20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제1 및 제2 걸림부(352,353)들은 각각 난간 부재(200)의 내측면에 강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걸림부(352,353)들이 난간 부재(200)에 결합 됨에 따라 체결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난간 브라켓(370)을 이용하여 난간 부재(200)를 기둥(10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56)를 난간 부재(200)의 내부에 수납함에 따라 결합 되는 부분이 난간 부재(2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난간 부재(200)를 기둥(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되어 난간 부재(200) 또는 기둥(10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난간 브라켓은 조립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를 크게 감소시켜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난간의 도난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기둥 200...난간 부재
300...난간 브라켓 370...브라켓 모듈
390...커버 310,350...제1 브라켓 몸체부
320...장공부 330...제2 브라켓 몸체부
340...제3 브라켓 몸체부

Claims (6)

  1. 기둥과 교차하는 난간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난간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장공부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몸체부, 상기 장공부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브라켓 몸체부 및 상기 제2 브라켓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와 평행하게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바깥쪽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된 제3 브라켓 몸체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모듈; 및
    상기 난간 부재의 외측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내지 제2 브라켓 몸체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한 제1 개구와 상기 후크부가 걸리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커버 몸체부 및 상기 커버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브라켓 몸체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는 난간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는 상기 난간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난간 부재에 결합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난간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는 상기 난간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난간 부재와 겹치게 배치된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 및 상기 난간 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난간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에는 일부가 절개한 후 절곡되어 상기 난간 부재의 단부에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된 난간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브라켓 몸체부는 곡면판 형상을 갖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3 브라켓 몸체부와 나란하게 상기 커버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로부터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브라켓 몸체부와 접촉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난간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브라켓 몸체부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브라켓 몸체부의 일부를 절곡한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일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난간 부재의 내부로 연장된 제1 걸림부 및 상기 절곡부의 타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난간 부재의 내부로 상기 제1 걸림부와 마주하게 연장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난간 브라켓.
KR1020190156784A 2019-11-29 2019-11-29 난간 브라켓 KR10226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784A KR102261937B1 (ko) 2019-11-29 2019-11-29 난간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784A KR102261937B1 (ko) 2019-11-29 2019-11-29 난간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937B1 true KR102261937B1 (ko) 2021-06-09

Family

ID=7641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784A KR102261937B1 (ko) 2019-11-29 2019-11-29 난간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9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175Y1 (ko) 2000-03-24 2000-09-15 은성금속주식회사 난간용 브래킷
KR200325872Y1 (ko) * 2003-05-07 2003-09-06 미성칼라창호(주) 난간 고정구조
KR101515819B1 (ko) * 2015-02-23 2015-05-08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175Y1 (ko) 2000-03-24 2000-09-15 은성금속주식회사 난간용 브래킷
KR200325872Y1 (ko) * 2003-05-07 2003-09-06 미성칼라창호(주) 난간 고정구조
KR101515819B1 (ko) * 2015-02-23 2015-05-08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81745A1 (en) Fastener assembly
US7603814B1 (en) Decking system hanger
KR102261937B1 (ko) 난간 브라켓
JP5286525B2 (ja) 円筒支柱連結構造
JP2002112425A (ja) ケーブルラックジョイント方法及びケーブルラック並びに継ぎ金具
JP6430808B2 (ja) フェンス
JP4496008B2 (ja) 建築用金具
JP4663422B2 (ja) 既設フェンスの改装方法および新設フェンス
JP6347483B2 (ja) 床板の固定具
GB2401616A (en) Bracket for fence rail or panel
JPH076254Y2 (ja) 分割式横架材を用いた構造体の組付構造および屋根の取付構造
JPH0630972Y2 (ja) 建築用接合金具
JP7390175B2 (ja)
JP5760211B1 (ja) C形鋼用取付具
JP6383684B2 (ja) 建造物
JP7323188B2 (ja) 柱脚金物
JP5875774B2 (ja) フェンスパネル取り付け用金具及び取り付け構造並びに取り付け方法
JP5776108B2 (ja) 瓦棒葺屋根用取付金具
JP5354285B2 (ja) バンパホルダの取り付け構造
JP2023119060A (ja) 階段用の接続部材
JPH1030295A (ja) 目地板の取付金具
JP2006233495A (ja) 梁勝ちの柱梁架構構造
JP2661501B2 (ja) 起立部材取付構造
JP4628251B2 (ja) フェンス用固定金具
JP2560898B2 (ja) 可動間仕切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