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844B1 - Assembly type hybrid composite baseplate - Google Patents
Assembly type hybrid composite base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1844B1 KR102261844B1 KR1020200003798A KR20200003798A KR102261844B1 KR 102261844 B1 KR102261844 B1 KR 102261844B1 KR 1020200003798 A KR1020200003798 A KR 1020200003798A KR 20200003798 A KR20200003798 A KR 20200003798A KR 102261844 B1 KR102261844 B1 KR 1022618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mber
- supporter
- concrete
- tendon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포스트의 상측에 구조물의 바닥이나 지붕을 이루는 슬래브의 설치시 상기 직립포스트에 간단한 조립공정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콘크리트슬래브를 지지하는 팀버서포터의 내측에 인장력이 부여되게 설치되는 인장용 텐던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슬래브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 수직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 보다 견고한 콘크리트슬래브을 제공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팀버서포터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복합바닥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 plate, and more particularly, when installing a slab forming the floor or roof of a structure on the upper side of an upright post installed upright on the ground, it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upright post by a simple assembly process. The concrete slab effectively supports the concrete slab by a tensile tendon installed inside the timber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concrete slab, and provides a more robust concrete slab by increasing the response to vertical load, and the concrete slab and the timber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ing that can provide a composite flooring with improved bonding strength of a supporter.
일반적으로 대형 매장이나 공장 등의 긴 경간이 요구되는 대공간 건물을 시공하는 PC공법으로는 더블티 슬래브(Double Tee Slab), HCS(Hollow core Slab) 등을 이용한 PRC 복합화 공법(Precast Reinforced Concrete Layer Construction Method)이 있고 지하주차장과 같이 하중이 많은 중규모 이하의 건물에 적용하는 PC공법으로는 하프 슬래브(Half PC Slab)를 이용한 PRC 복합화 공법 등이 있다.In general, as a PC method for constructing large space buildings that require long spans such as large stores or factories, Precast Reinforced Concrete Layer Construction using Double Tee Slab, Hollow Core Slab, etc. (Precast Reinforced Concrete Layer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C method applied to buildings of medium scale or less with a lot of load, such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includes the PRC complex method using a half PC slab.
이러한 PRC 복합화 공법은 철근 콘크리트 라멘(Rahmen) 구조의 건물을 PC(Precast Concrete)화하는 공법으로 공장에서 제작한 PC기둥, PC보, 하프슬래브 등 PC부재를 현장으로 운송, 양중하여 조립한 후 부재간 접합부와 하프슬래브의 상부에 덧침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구조체를 일체화시키는 공법이다.This PRC composite method is a method of converting a building with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to PC (Precast Concrete), and transports, lifts, and assembles PC members such as PC columns, PC beams, and half slabs manufactured in the factory to the site. It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integrates the structure by pouring concrete over the joint between the joint and the upper part of the half slab on site.
구조부재인 PC단순보 및 PC거더가 증가되어 전체 PC물량이 증가되어 타 공법 대비 경쟁력이 낮아지며, 억지로 1방향 시공을 하려하면 PC물량은 증가되나 슬래브의 두께 및 철근량이 증가되어 공사비 증대를 초래되며, 장스팬(6m 초과)의 경우 구조역학상, 안전상 문제로 추가적인 지지보를 설치해야 하므로 추가 단가 상승 및 층고가 줄어들어 시공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tructural members, PC simple beams and PC girders increase, the overall PC volume increases, which lowers competitiveness compared to other construction methods. , in the case of long spans (over 6m), additional support beams need to be installed for structural mechanics and safety issues, so there is a problem of avoiding construction due to additional unit price increase and reduced floor height.
한편, 최근에는 더블티 슬래브공법이 실시되고 있다. 즉 DTS공법이라고도 하는데 더블티 슬래브는 바닥판에 깊은 보강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리브의 하부에 스트랜드를 삽입하여 인장력을 가한 뒤 일체의 부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바, 이러한 더블티 슬래브는 스트랜드의 인장력으로 인해 더블티 슬래브의 몸판 중앙부가 소폭 치켜올려지도록 형성되어 약 10m 이상의 장스팬으로 지상층 구조물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the double tee slab method has been implemented. That is, it is also called the DTS method, and the double tee slab is formed by installing a deep reinforcing rib on the bottom plate, inserting a strand under the reinforcing rib to apply a tensile force, and then forming an integral member. For this reason, the central part of the body of the double tee slab is formed so that it is raised slightly, and it is mainly applied to above-ground structures with a long span of about 10m or more.
그러나, 상술한 더블티 슬래브공법은 PC보에 걸침시 단순보 형태로 안착됨으로써 연속적인 슬래브 형태(양단고정보)를 이루기 어려운 바, 이는 휨 및 전단력 등 수직횡력에 대해 저항능력이 저하되어 구조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개선하고자 상기 보강리브를 추가로 부설하거나 돌출된 높이를 증가시키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결국 PC기둥 다수 사용 등 제작원가가 상승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며 건설 구조의 층고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double tee slab method,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continuous slab form (both ends fixed information) by being seated in the form of a simple beam when crossing the PC beam. There is a problem of weakening, and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reinforcement rib is additionally installed or the protruding height is increased, which in turn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such as the use of a large number of PC columns, thereby lowering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에 따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4235호의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이 개시되어 있다. As a background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e floor plate in which a floor plate frame and concrete are synthesize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24235.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포스트의 상측에 구조물의 바닥이나 지붕을 이루는 슬래브의 설치시, 상기 직립포스트에 상기 팀버서포터와 텐션유닛, 장착콘크리트블록과 콘크리드슬래브로 이루어진 복합바닥판을 간단한 조립공정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장착콘크리드블록를 지지하는 목재의 팀버서포터의 내측에 인장용 텐던을 설치하고, 상기 인장용 텐던이 텐션유닛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수직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높임은 물론 장착콘크리트블록과 결합되는 목재 팀버서포터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lab forming the floor or roof of a structure on the upper side of an upright post installed upright on the ground, and the timber supporter and tension on the upright post It not only makes it easy to install a composite floor plate made of a unit, a mounting concrete block, and a concrete slab with a simple assembly process, but also installs a tensile tendon inside the timber timber supporter supporting the mounting concrete block, and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ing that not only increases the ability to respond to vertical loads by installing the tendons so that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m by the tension unit but also improves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wooden timber supporters that are combined with the mounted concrete block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서트홀(110)이 형성된 목재의 팀버서포터(100);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인서트홀(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장용 텐던(130)을 인장 고정하는 텐션유닛(200);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콘크리트결속부(400)를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지면에 직립되는 직립포스트(10) 상단에 장착되는 장착콘크리트블록(300);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을 상호 연결하여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슬래브(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텐션유닛(20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콘크리트결속부(4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인서트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중공형 인서트바디(210)와, 상기 인서트바디(2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13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픽싱구(220)로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결속부(400)는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단부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결속플레이트(410)와, 상기 결속플레이트(410)의 일측면에서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마운팅볼트구(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에는 상기 직립포스트(10)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인서트돌출스틱(11)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홀(31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팀버서포터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텐션유닛에 의해 인장되는 인장용 텐던의 강한 긴장력을 통해 팀버서포터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팀버서포터와 텐션유닛, 장착콘크리트블록과 콘크리드슬래브로 이루어진 복합바닥판을 직립포스트에 간단한 조립공정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 개선과 더불어 시공품질의 향상 및 공기단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pport force of the timber supporter through the strong tension force of the tension tendon tensioned by the tension unit while installed inside the timber supporter, so that structural stability can be secured as well as the installation of the timber supporter and the tension unit. Composite floor boards made of concrete blocks and concrete slabs can be easily installed on upright posts with a simple assembly process, which can improve constructability, improve construction quality, and shorten construction peri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이 직립포스트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이 직립포스트에 연결되는 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유닛과 콘크리트결속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유닛과 콘크리트결속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던픽싱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슬래브에 보강부재와 마감부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upright post;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ide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upright pos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a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state of the tension unit and the concrete bin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tension unit and the concrete bin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tendon fix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reinforcing member and a finishing part are installed on a concret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Hereinafter, a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or manufacturer producing the product, and the thickness of the lines shown in the drawing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etc.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이 직립포스트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이 직립포스트에 연결되는 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유닛과 콘크리트결속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유닛과 콘크리트결속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던픽싱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슬래브에 보강부재와 마감부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upright post, and FIG.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upright post, FIG. 3 i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ate of the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state of the tension unit and the concrete bin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tension unit and the concrete bin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tendon fixing sp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reinforcing member and a finishing part are installed on a concret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은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서트홀(110)이 형성된 목재의 팀버서포터(100)와,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서트홀(110)에 설치되는 인장용 텐던(130)을 인장 고정하는 텐션유닛(200)과,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콘크리트결속부(400)를 매개로 고정되어 직립포스트(10) 상단에 장착되는 장착콘크리트블록(300)과,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을 상호 연결하여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슬래브(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7, the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은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포스트(10)의 상측에 구조물의 바닥이나 지붕을 이루는 슬래브의 설치시, 상기 직립포스트(10)에 상기 팀버서포터(100)와 텐션유닛(200), 장착콘크리트블록(300)과 콘크리트슬래브(500)로 이루어진 복합바닥판을 간단한 조립공정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을 지지하는 목재의 팀버서포터(100)의 내측에 인장용 텐던(130)을 설치하고, 상기 인장용 텐던(130)을 텐션유닛(20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수직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 보다 견고한 복합바닥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상기 팀버서포터(100)는 목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서트홀(110)이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길이의 목재부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인서트홀(110)을 천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인서트홀(110)을 일직선상으로 가공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라미나를 상호 집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서트홀(110)이 형성되는 부위의 라미나에 호 형상의 홀 가공을 하여 상호 집성시 상기 호 형상의 홀을 마주하여 집성함으로써 상기 인서트홀(11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거나 라미나의 한 층에 긴장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의 홈을 가공하여 인서트홀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이때,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인서트홀(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심재(1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다수개의 라미나를 상호 집성하여 일정길이의 팀버서포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At this time, the core material 120 may be installed in the
여기서, 상기 팀버서포터는 구조용 집성목재(Glulam), CLT(Cross Laminated Timber), SPCP(Structural Plywood core Composite Panel)등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목재를 접착한 후 구조용재로 사용하는 부재일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Here, it was revealed that the timber supporter may be a member used as a structural material after bonding wood using an adhesive such as structural laminated wood (Glulam), CLT (Cross Laminated Timber), SPCP (Structural Plywood core Composite Panel), etc. it is put
또한, 상기 텐션유닛(200)은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인서트홀(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장용 텐던(130)을 인장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텐션유닛(200)을 매개로 인장고정되는 상기 인장용 텐던(130)의 강한 긴장력 및 고정력을 통해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인장용 텐던(130)을 인장고정하는 상기 텐션유닛(200)의 인장부위가 상기 인서트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바닥판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인장부위의 훼손이나 파손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텐션유닛(200)의 인장부위가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At this time, the tensile portion of the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텐션유닛(200)은 길이방향 일측이 후술되는 상기 콘크리트결속부(4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인서트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중공형 인서트바디(210)와, 상기 인서트바디(2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13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픽싱구(22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이때, 상기 인서트바디(210)는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인서트홀(110)의 내측방향을 삽입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텐던픽싱구(220)의 외주연은 상기 인서트바디(210)의 내주연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텐던픽싱구(220)는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아크분할구(221)와, 상기 아크분할구(221)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랩핑구(222)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아크분할구(221)가 상기 탄성랩핑구(222)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인장용 텐던(130)이 통과하는 텐던통과공(223)이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인장용 텐던(130)은 하나의 강선으로 이루어진 긴장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가닥이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서로 말려가는 꼬임구조의 긴장재를 설치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장용 텐던(130)이 꼬임구조인 경우 낮은 연신율로 인해 상기 팀버서포터(100)에 하중 작용시 용이하게 대응하여 변형량을 줄일 수 있어 후술되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인장용 텐던(130)은 필요에 따라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내측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Here, it is to be noted that one or more of the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은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콘크리트결속부(400)를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지면에 직립되는 직립포스트(10)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의 하측면에는 상기 직립포스트(10)의 상단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인서트돌출스틱(11)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홀(31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바닥판을 상기 직립포스트(10)의 상측에 조립시 상기 인서트돌출스틱(11)이 상기 조립홀(310)에 끼움결합되는 조립공정을 통해 구조물의 바닥이나 지붕이 되는 복합바닥판의 설치를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assembling the composite floor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또한, 상기 콘크리트결속부(400)는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길이방향 단부를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에 견고히 고정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콘크리트결속부(400)는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단부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결속플레이트(410)와, 상기 결속플레이트(410)의 일측면에서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마운팅볼트구(42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crete
즉, 상기 마운팅볼트구(420)는 상기 결속플레이트(4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콘크리트결속부(400)와 텐션유닛(200), 상기 인장용 텐던(13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음에 따라 상기 인장용 텐던(130)이 끊어지거나 상기 마운팅볼트구(420)가 끊어지기 전에는 상기 콘크리트결속부(400)가 상기 팀버서포터(100) 및 장착콘크리트블록(300)에서 탈락되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mounting
또한, 상기 결속플레이트(410)에는 상기 텐션유닛(200)의 길이방향 일측이 일체로 고정되게 형성되거나 걸림되어 고정되거나,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텐션유닛(200)이 상기 결속플레이트(410)에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상기 결속플레이트(410)에는 상기 텐션유닛(2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홀(411)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걸림단(412)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텐션유닛(200)의 인서트바디(210)에는 상기 안착걸림단(412)에 걸림되는 컨택안착구(2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컨택안착구(211)는 상기 안착걸림단(412)에 대응되도록 외주연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텐션유닛(200)이 상기 콘크리트결속부(400)의 결속플레이트(41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텐션유닛(200)이 설치되는 별도의 플레이트가 상기 결속플레이트(410)에 고정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또한, 상기 마운팅볼트구(4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결속플레이트(410)에 고정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스틱(421)과, 상기 연장스틱(4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연장스틱(421)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양생고정헤드(422)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mounting
즉, 상기 마운팅볼트구(420)가 형성된 상기 결속플레이트(410)의 일측에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마운팅볼트구(420)의 양생고정헤드(422)가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의 내측에 묻혀고정됨에 따라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이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견고히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mounting
한편,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0)는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을 상호 연결하여 바닥면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0)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상기 팀버서포터(100)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0)를 지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0)의 내측에는 철근이나 와이어 메쉬와 같은 보강부재(5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0)의 내측에 상기 보강부재(510)가 설치되어 중량이 높아지더라도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내측에 강한 인장력과 고정력을 기반을 설치되는 상기 인장용 텐던(130)으로 인해 고중량의 콘크리트슬래브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0)의 상면에 온돌이나 플로어링보드(Flooring board)와 같은 마감부(520)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At this time, a reinforc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은 팀버서포터의 내측에 강한 긴장력과 고정력을 기반으로 인장되게 설치되는 인장용 텐던에 의해 고중량, 장스판의 콘크리트슬래브를 효과적을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로된 슬래브보다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직립포스트의 상측에 끼움결합하는 간단한 고정으로 시공성이 개선됨은 물론 공기단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floo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upport a heavy-duty, long-span concrete slab by a tensile tendon installed in tension based on a strong tension and fixing force inside the timber suppor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compared to the slab made of steel, and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s well as improving the workability through simple fixing by fitting to the upper side of the upright pos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직립포스트 11: 인서트돌출스틱
100: 팀버서포터 110: 인서트홀
130: 인장용 텐던 200: 텐션유닛
210: 인서트바디 220: 텐던픽싱구
300: 장착콘크리트블록 310: 조립홀
400: 콘크리트결속부 410: 결속플레이트
420: 마운팅볼트구 500: 콘크리트슬래브
510: 보강부재 520: 마감부 10: upright post 11: insert protruding stick
100: Timber supporter 110: Insert hole
130: tension for tension 200: tension unit
210: insert body 220: tendon fixing sphere
300: mounting concrete block 310: assembly hole
400: concrete binding part 410: binding plate
420: mounting bolt sphere 500: concrete slab
510: reinforcing member 520: finishing part
Claims (4)
상기 텐션유닛(20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콘크리트결속부(4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인서트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중공형 인서트바디(210)와, 상기 인서트바디(2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13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픽싱구(220)로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결속부(400)는 상기 팀버서포터(100)의 단부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결속플레이트(410)와, 상기 결속플레이트(410)의 일측면에서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마운팅볼트구(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
Timber supporter 100 of wood having an insert hole 110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ension unit 200 for tensioning and fixing the tension tendon 130 installed inside the insert hole 110 in a state of being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imber supporter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unting concrete block 300 mounted on the top of the upright post 10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mber supporter 100 through the concrete binding part 400 and is erected on the ground; A concrete slab 500 forming a floor surface by interconnecting the mounting concrete blocks 300 in a sta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imber supporter 100;
The tension unit 200 has a hollow insert body 210 in which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 hole 110 while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binding part 400, and the insert body ( 210)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tendon 130 for tensioning while press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endon 130 is composed of a tendon fixing sphere 220, the concrete binding part 400 is at the end of the timber supporter (100). Prefabricated hybrid composi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binding plate 410 that is installed to be seated, and a mounting bolt sphere 420 tha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concrete block 300 from one side of the binding plate 410 floor plate.
상기 장착콘크리트블록(300)에는, 상기 직립포스트(10)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인서트돌출스틱(11)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홀(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
According to claim 1,
Prefabricated hybri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concrete block 300 has an assembly hole 310 so that the insert protruding stick 11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top of the upright post 10 can be fitted. composite floo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3798A KR102261844B1 (en) | 2020-01-10 | 2020-01-10 | Assembly type hybrid composite base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3798A KR102261844B1 (en) | 2020-01-10 | 2020-01-10 | Assembly type hybrid composite basepla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1844B1 true KR102261844B1 (en) | 2021-06-08 |
Family
ID=7639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3798A KR102261844B1 (en) | 2020-01-10 | 2020-01-10 | Assembly type hybrid composite base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184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56737A (en) * | 1991-12-06 | 1993-06-22 | Showa Denko Kk | Concrete construction by use of surface material |
KR20040018808A (en) * | 2002-08-27 | 2004-03-04 | 전찬진 | Deck panel of reinforced concrete slab |
KR20120063129A (en) * | 2010-12-07 | 2012-06-15 | 대림산업 주식회사 | Post-tensioned void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708670B1 (en) * | 2015-10-29 | 2017-02-22 | 휴인 주식회사 | Structure glulam having prestress tendon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
-
2020
- 2020-01-10 KR KR1020200003798A patent/KR10226184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56737A (en) * | 1991-12-06 | 1993-06-22 | Showa Denko Kk | Concrete construction by use of surface material |
KR20040018808A (en) * | 2002-08-27 | 2004-03-04 | 전찬진 | Deck panel of reinforced concrete slab |
KR20120063129A (en) * | 2010-12-07 | 2012-06-15 | 대림산업 주식회사 | Post-tensioned void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708670B1 (en) * | 2015-10-29 | 2017-02-22 | 휴인 주식회사 | Structure glulam having prestress tendon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700653B (en) | Mixed connection post-tensioned prestressing assembled concrete fram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97194B1 (en) |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US10125493B2 (en) | Pre-stressed beams or panels | |
KR101289934B1 (en) | Connection of compressed joint using post-tension between pc-column and pc bea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903398B1 (en) | Precast multi tee fiber and wiremesh slab | |
US2786349A (en) | Prestressed concrete building | |
KR20180012809A (en) | Prefabricated column and beam type structure | |
CN109372107B (en) | Prefabricated assembled beam column cross node of unbonded | |
KR20100106274A (en) | Dry connection for a prefabricated beam-column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by that connection | |
CN107882328B (en) | Construction method of large-span steel truss suspension structure | |
KR20160039855A (en) | Construction methods of precast concrete slab having its connection part being concealed by coupled ribs and, precast concrete slab used therefor | |
KR100343960B1 (en) | Steel concrete structure | |
KR101536659B1 (en) | Prestressed steel composite structure | |
JP5342312B2 (en) | Precast member installation method | |
KR102261844B1 (en) | Assembly type hybrid composite baseplate | |
KR101036177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using PRC integrating method | |
US12065829B2 (en) | Cellulose-based structural flooring panel assembly | |
KR20140100800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segment built-up beam with long span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
CN201981755U (en) | Floor structure of timberwork building | |
KR102403606B1 (en) | Foundation structure for walking way in facility using glude laminated timber | |
CN219241436U (en) | Combined reinforcing structure of existing brick-wood building | |
US20090064615A1 (en) | Building Element and a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the Building Element | |
KR102707466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Deck-Integrated Composite Girder, Deck-Integrated Composite Girder Produced Thereby, and Method of Constructing Bridge Upper Structure | |
KR101387232B1 (en) | Moment framework system | |
KR200166886Y1 (en) | Steel concret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