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462B1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1462B1 KR102261462B1 KR1020190126737A KR20190126737A KR102261462B1 KR 102261462 B1 KR102261462 B1 KR 102261462B1 KR 1020190126737 A KR1020190126737 A KR 1020190126737A KR 20190126737 A KR20190126737 A KR 20190126737A KR 102261462 B1 KR102261462 B1 KR 102261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word
- security
- security code
- door lock
- upd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이 강화된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잠금 해정 수단;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 보안코드가 저장된 사용자 휴대 단말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상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보안코드 리더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 상기 보안코드 리더부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거나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출입문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해정 제어부; 및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가 상기 보안코드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는 사용자 휴대 단말의 중계를 통해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는 주체가 웹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도어락을 열 수 있고, 사용자 휴대 단말을 분실한 경우에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갱신된 비밀번호를 취득하여 도어락을 열 수 있도록 하되 비밀번호에 의한 도어락 개방은 1회성으로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여성 1인 가구에게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는 사용자 휴대 단말의 중계를 통해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는 주체가 웹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도어락을 열 수 있고, 사용자 휴대 단말을 분실한 경우에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갱신된 비밀번호를 취득하여 도어락을 열 수 있도록 하되 비밀번호에 의한 도어락 개방은 1회성으로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여성 1인 가구에게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안이 강화된 보안 강화 도어락과, 사용자 휴대 단말을 통해 도어락에 접근하여 출입문을 개폐할 때 향상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해제하는 장치이다. 통상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읽어들여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의 도어락은 비교적 저가이며, 다른 사람(예를 들어, 친구, 집주인, 택배 기사, 검침원 등과 같은)에게 알려주기 편리하지만, 다양한 경로로 유출되기 쉽다.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읽는 방식은 고가이며, 등록되지 않은 사람의 출입이 불가능하여 세대원이 인증한 다른 사람의 출입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자키나 전자태그에 의해 도어락을 개폐하는 방식이 있지만, 전자키나 전자태그의 도난이나 무단 복제 등에 의해 무력화되기 쉽다.
한편, 2017년 기준으로 1인 여성 가구는 280만 가구를 넘어섰으며, 2045년에는 380만 가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2016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1인 여성 가구의 여성 46%가 사회 안전에 대해 불안하다고 응답했으며, 그 중 37%가 불안 요인으로 범죄 발생을 꼽았다. 형사정책 연구원에 따르면, 1인 여성 가구는 동일한 남성 가구에 비해 주거 침입 피해를 볼 가능성이 1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찰청에 따르면 2014년에서 2017년까지 주거 침입 관련 범죄가 총 7만 1868건에 다다랐으며, 주거침입에 이은 성범죄는 최근 4년간 총 1,310건으로 99.8%는 남성이 가해자였다. 1인 여성 가구를 구성하는 세대원을 위해 보안성을 강화하면서 사용이 편리한 도어락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8744호는 지능형 보안 도어락을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은 인증된 ID를 송출하는 전자키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도어락에 장치된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 도어락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키는 분실되기 쉽고 전자키에 포함되는 ID는 무단으로 복제될 위험성이 높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키를 분실한 경우 도어락을 개방할 수 없어, 특별한 절차를 거쳐 도어락을 강제 개방해야 하며, 여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락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여 특히 여성 1인 가구에 대한 무단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는 사용자 휴대 단말의 중계를 통해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는 주체가 웹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도어락을 열 수 있고, 사용자 휴대 단말을 분실한 경우에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갱신된 비밀번호를 취득하여 도어락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잠금 해정 수단;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 보안코드가 저장된 사용자 휴대 단말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상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보안코드 리더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 상기 보안코드 리더부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거나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출입문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해정 제어부; 및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가 상기 보안코드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는 상기 비밀번호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는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일시 정지시키며, 상기 보안코드의 사용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이후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다시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는 상기 비밀번호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는, 상기 보안코드의 사용에 의해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를 갱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할 때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이력을 포함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에서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광등을 점등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보안코드는 전자적으로 읽기 가능한 데이터이고 상기 비밀번호는 일련의 숫자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상기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전송할 때 암호화 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전송할 때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원격의 보안 관리 서버로 중계한 후 삭제할 것을 명령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보안 강화 도어락 중 어느 하나의 보안 강화 도어락;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사용자 휴대 단말; 및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과 광대역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상기 보안코드,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 관리 서버로 중계하며, 중계 이후에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삭제하며,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다음번의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발급하며, 사용자가 웹을 통해 접속할 경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알려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 관리 DB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비밀번호 관리 DB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의 발급 이력 및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이력 관리 DB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는 사용자 휴대 단말의 중계를 통해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는 주체가 웹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도어락을 열 수 있고, 사용자 휴대 단말을 분실한 경우에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갱신된 비밀번호를 취득하여 도어락을 열 수 있도록 하되 비밀번호에 의한 도어락 개방은 1회성으로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여성 1인 가구에게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보안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동작 예를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동작 예를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방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보안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동작 예를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동작 예를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방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도어락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키패드(110) 및 레버(120)와, 도어락 장치(100) 내부에 설치되는 잠금 해정 수단(130), 경고부(140), 메모리 수단(150), 근거리 통신 모듈(160), 보안코드 리더부(170),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 및 잠금 해정 제어부(190)로 구성된다.
도어락 장치(100)의 전면에는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110)와, 출입문의 개폐 조작을 위한 레버(120)가 설치된다. 키패드(110)는 물리적인 숫자 키패드, 터치키, TUI(Touch User Interface)를 지원하는 숫자 키 아이콘 등이 표시되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의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잠금 해정 제어부(190)에 의해 도어락이 해정되는 순간 해정 상태를 알리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고, 이때 레버(120)의 동작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사용자가 레베(120)를 조작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잠금 해정 수단(130)은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00) 내부에는 솔레노이드나 전동 모터가 구비되며, 출입문에 설치된 걸쇠를 전후진 시켜 문틀에 형성된 걸쇠 홈에 삽입시키거나 후퇴시키는 것으로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시킨다.
경고부(140)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 또는 스피커이거나,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광등,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고부(140)는 잠금 해정 제어부(190)에서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광등을 점등시킨다.
메모리 수단(150)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152)와, 후술하는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에 의해 갱신된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154)를 포함한다. 메모리 수단(150)은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60)은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근거리 통신 모듈(160)은 예컨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보안코드 리더부(17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근거리 통신 모듈(160)의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수단이다.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는 잠금 해정 제어부(190)가 보안코드의 일치로 판단하여 출입문을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에는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갱신된 보안코드를 보안코드 저장부(154)에 저장하고, 갱신된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보안코드는 전자적으로 읽기 가능한 데이터로서, 암호화 된 키 정보이다. 비밀번호는 일련의 숫자 또는 일련의 숫자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에서 갱신되는 신규의 비밀번호는 일련의 숫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한 것이다.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전송할 때 암호화 하여 전송하며,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원격의 보안 관리 서버(500)로 중계한 후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는 삭제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대한 해킹을 통해 보안코드나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안코드의 갱신과 함께 비밀번호를 갱신하며(비록 비밀번호가 사용되지 않더라도), 사용자조차도 갱신된 비밀번호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가 무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잠금 해정 수단(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보안코드 리더부(170)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보안코드 저장부(154)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잠금 해정 수단(130)을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 상에서 보안 관리 앱을 실행시키면, 후술하는 보안 관리 서버(500)에서 신규의 보안코드를 발급받고, 보안코드 리더부(170)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보안코드를 읽어 보안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잠금 해정 수단(130)을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을 분실하거나 지참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보안 관리 서버(5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쳐 신규의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110)의 터치스크린을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면, 잠금 해정 제어부(190)가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잠금 해정 수단(130)을 해정시킨 후에는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일시 정지시킨다. 즉, 비밀번호가 사용된 이후에는 보안코드의 일치 여부만을 판단해서 잠금 해정 수단(130)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보안코드의 사용에 의해 잠금 해정 수단(130)을 해정시킨 이후에는 다시 비밀번호 사용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따라서 비밀번호의 사용을 1회성으로 제한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보안코드 또는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상술한 경고부(140)를 동작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보안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동작 예를 보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동작 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근거리 통신 모듈(160)의 무선 통신 반경 내로 진입했는지를 판단한다(ST1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을 조작하여 전용의 앱(App)을 실행시킬 때 근거리 통신 모듈(160)이 활성화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감지될 때 근거리 통신 모듈(160)이 활성화 될 수도 있다.
이후, 보안코드 리더부(17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인다(ST120). 그리고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보안코드 저장부(154)에 기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130).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경고부(140)를 동작시킨다(ST140).
만약 단계 ST130에서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을 해정한다(ST150). 이때 도어락의 해정 상태를 비프음이나 다른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보안코드 저장부(154) 및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각각 저장한다(ST160). 그리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암호화 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ST170).
여기서, 중요한 점 중 하나는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도어락 자체에서 갱신하며,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가 무선 근거리 통신망(300)을 통해서만 전송된다는 점이다. 만약, 도어락이 웹을 통해 직접 원격의 관리 서버로 보안코드를 전송할 경우, 공용망을 통해 보안코드가 유출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보안 강화 도어락은 보안코드가 사용될 때마다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함으로써, 또한, 후술하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서와 같이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원격의 보안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 후 삭제함으로써,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가 웹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 휴대 단말에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중요한 점은 보안코드만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보안코드의 갱신 시에 비밀번호도 함께 갱신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보안코드가 사용되었을 때, 도어락 자체에서 보안코드와 비밀번호를 함께 갱신함으로써, 미사용 비밀번호가 갱신되지 않고 장시간 유지되어 노출되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키패드(110)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ST210). 만약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다음 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220).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연속적으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소정 횟수(예컨대, 5회)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ST230). 단계 ST230에서 'Yes'로 판단되면 경고부(140)를 동작시킨다(ST240).
만약 단계 ST220에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을 해정한다(ST250). 이때 도어락의 해정 상태를 비프음이나 다른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비밀번호에 의해 도어락이 개방되는 경우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일시 정지시킨다. 즉, 이후에는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도어락이 개방될 수 없다.
다음으로, 보안코드를 사용하여 도어락이 해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260). 보안코드를 사용하여 도어락이 해정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만약, 보안코드를 사용하여 도어락이 해정되었다면, 도 2의 ST160 및 ST170을 진행하며,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전송할 때 이전의 비밀번호 사용이력을 포함하여 전송한다(ST270).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비밀번호의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과,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보안 관리 서버(500)로 구성된다.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3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전용의 단말기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다.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는 보안코드를 관리하기 위한 전용의 앱(App)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에서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원격의 보안 관리 서버(500)로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설치된 보안 관리 앱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으로부터 도 2의 단계 ST170에 의해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 또는, 도 3의 단계 ST270에 의해 갱신된 보안코드, 비밀번호, 및 비밀번호 사용이력을 보안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 후에 자체적으로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삭제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보안 관리 서버(500)는 광대역 이동 통신망(400)을 통해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통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안 관리 서버(500)는 보안 강화 도어락(100)별로 보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코드 관리 DB(510)와, 보안 강화 도어락(100)별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비밀번호 관리 DB(520)와, 보안 강화 도어락(100)별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의 발급 이력과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이력 관리 DB(5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보안 관리 서버(500)는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직접 생성하지 않는다. 단지 사용자 휴대 단말(200)을 통해 중계 받은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보안 강화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갱신된)를 저장하고 관리할 뿐이다.
보안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보안코드 관리 DB(510)에 저장된 최신의 보안코드를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 보안 관리 앱을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보안 관리 서버(500)로 인증 요청이 전송된다. 보안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의 전화번호 또는 Mac address를 인식하여 보안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또한, 보안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을 이용하여 웹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확인하거나 공인인증서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관리 DB(520)에 저장된 최신의 비밀번호를 안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광대역 이동 통신망(600)을 통해 보안 관리 서버(500)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연결되는 경찰청 서버(700), 보호자 휴대 단말(800), 또는 기타 다른 서버나 단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설치된 보안 관리 앱은 사용자가 특정 키, 키 조합, 앱 실행화면 상에 배치되는 비상상황 알림 아이콘 등을 입력할 경우, 보안 관리 서버(500), 경찰청 서버(700), 또는 보호자 휴대 단말(800)로 비상상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 1인 가구의 세대원이 출입문을 열기 위해 대기 중이거나 출입문 앞에서 치한이 접근한 경우 비상상황 메시지가 보안 관리 서버(500) 또는 미리 지정된 서버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300)을 통해 보안 강화 도어락(100)으로 비상상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보안코드에 의한 도어락 해정 기능을 정지시키고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서만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도록 기능이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탈취되어 탈취자에 의해 무단으로 도어락이 해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방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간의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출입문을 개방하고자 사용자 휴대 단말(200) 상에서 보안 관리 앱을 실행시키면,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 보안 관리 서버(500)로 보안코드 발급 요청 신호가 전송된다(단계 ①). 보안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대한 인증 절차를 거쳐 보안코드를 발급한다(단계 ②).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보안 강화 도어락(100)의 근거리 무선 반경 이내로 접근한 후에, 사용자가 앱 화면 상에서 도어 열기 아이콘을 입력하는 경우, 또는, 보안 강화 도어락(100)에서 잠금 해정 제어부(190)가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보안 강화 도어락(100)이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저장된 보안코드를 읽어 들인다(단계 ③).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기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④).
단계 ① 내지 단계 ④를 대체하여 사용자가 보안 강화 도어락(100)에 구비된 키패드(110)를 통해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단계 ⑤).
단계 ① 내지 ④를 통해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어락을 해정하고,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한 후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저장부(154) 및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각각 저장한다(단계 ⑥).
그리고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단계 ⑦). 이때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암호화 하여 전송하며,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서버 측으로 중계한 이후 삭제할 것을 명령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단계 ⑤를 통해 사용자 입력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도어락을 해정한다. 그리고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도어락이 해정되는 경우 비밀번호 사용 기능을 일시 정지시킨다. 이후 도 3의 ST260에 따라 보안코드에 의한 도어락 해정을 판단한 후, 단계 ST270에 따라 단계 ⑦에서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와 함께 이전의 비밀번호 사용이력을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전송한다.
단계 ⑦에 이어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보안 관리 서버(500)로 중계한다(단계 ⑧).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의 명령에 의해, 또는, 보안 관리 앱의 자체적인 기능에 의해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보안 관리 서버(500)로 중계한 후 내부의 일시 저장 메모리에서 삭제한다(단계 ⑨).
보안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와 함께 보안코드/비밀번호 사용 이력 등의 보안이력을 업데이트 한다(단계 ⑩). 보안 관리 서버(500)는 다음번의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보안코드 관리 DB(510)에 저장된 최신의 보안코드를 발급하며, 웹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인증을 거쳐 비밀번호 관리 DB(520)에 저장된 최신의 비밀번호를 안내한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도어락 장치(보안 강화 도어락)
110 : 키패드 120 : 레버
130 : 잠금 해정 수단 140 : 경고부
150 : 메모리 수단 152 : 비밀번호 저장부
154 : 보안코드 저장부 160 : 근거리 통신 모듈
170 : 보안코드 리더부 180 :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
190 : 잠금 해정 제어부 200 : 사용자 휴대 단말
220 : 손가락 300 : 무선 근거리 통신망
400 : 광역 이동 통신망 500 : 보안 관리 서버
510 : 보안코드 관리 DB 520 : 보안이력 관리 DB
600 : 광역 이동 통신망 700 : 경찰청 서버
800 : 보호자 휴대 단말
110 : 키패드 120 : 레버
130 : 잠금 해정 수단 140 : 경고부
150 : 메모리 수단 152 : 비밀번호 저장부
154 : 보안코드 저장부 160 : 근거리 통신 모듈
170 : 보안코드 리더부 180 :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
190 : 잠금 해정 제어부 200 : 사용자 휴대 단말
220 : 손가락 300 : 무선 근거리 통신망
400 : 광역 이동 통신망 500 : 보안 관리 서버
510 : 보안코드 관리 DB 520 : 보안이력 관리 DB
600 : 광역 이동 통신망 700 : 경찰청 서버
800 : 보호자 휴대 단말
Claims (8)
-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잠금 해정 수단;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
보안코드가 저장된 사용자 휴대 단말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상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보안코드 리더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
상기 보안코드 리더부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거나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출입문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해정 제어부; 및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가 상기 보안코드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코드는 전자적으로 읽기 가능한 데이터이고 상기 비밀번호는 일련의 숫자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상기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전송할 때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원격의 보안 관리 서버로 중계한 후 삭제할 것을 명령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암호화 하여 전송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는 상기 비밀번호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는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일시 정지시키며, 상기 보안코드의 사용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이후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다시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는 상기 비밀번호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는, 상기 보안코드의 사용에 의해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를 갱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할 때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이력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에서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광등을 점등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 삭제
- 삭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안 강화 도어락;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사용자 휴대 단말; 및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과 광대역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상기 보안코드,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보안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 관리 서버로 중계하며, 중계 이후에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삭제하며,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다음번의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발급하며, 사용자가 웹을 통해 접속할 경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알려주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 관리 DB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비밀번호 관리 DB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의 발급 이력 및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이력 관리 DB를 구비하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6737A KR102261462B1 (ko) | 2019-10-14 | 2019-10-14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
PCT/KR2020/013966 WO2021075833A1 (ko) | 2019-10-14 | 2020-10-14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
CN202080025495.7A CN113678177B (zh) | 2019-10-14 | 2020-10-14 | 安全性增强门锁及利用该门锁的进出门安全管理系统 |
US17/311,399 US11430280B2 (en) | 2019-10-14 | 2020-10-14 |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g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door 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6737A KR102261462B1 (ko) | 2019-10-14 | 2019-10-14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3875A KR20210043875A (ko) | 2021-04-22 |
KR102261462B1 true KR102261462B1 (ko) | 2021-06-07 |
Family
ID=7573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6737A KR102261462B1 (ko) | 2019-10-14 | 2019-10-14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1462B1 (ko) |
CN (1) | CN113678177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3146B1 (ko) * | 2022-12-29 | 2023-08-04 | (주) 담비기술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 관리 시스템 |
KR20240075327A (ko) | 2022-11-22 | 2024-05-29 | 주식회사 코맥스 |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디지털 출입장치 1회용 출입 비밀번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5874B1 (ko) * | 2022-03-14 | 2024-04-08 | 양건화 | 서로 다른 개인 식별 번호를 이용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
KR102563152B1 (ko) * | 2023-01-30 | 2023-08-04 | (주) 담비기술 | Loto 기반의 보안 관리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9342B1 (ko) * | 2018-03-19 | 2019-09-06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디지털 도어락 관리서버 및 개폐제어 시스템, 이동단말기와 통신하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94851B2 (ja) * | 2004-04-16 | 2010-06-30 |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錠システム、携帯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パスワード無効化方法 |
KR20100056688A (ko) * | 2008-11-20 | 2010-05-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에 기반하여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1208744B1 (ko) | 2010-10-25 | 2012-12-05 | 김일붕 | 지능형 보안 도어락 및 그를 이용한 운용 방법 |
JP2014197761A (ja) * | 2013-03-29 | 2014-10-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
KR101376279B1 (ko) * | 2013-10-30 | 2014-03-20 |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 지상 설비 외함의 전자 보안 잠금 시스템 |
CN205297041U (zh) * | 2015-04-07 | 2016-06-08 | 傅万清 | 一种nfc手机兼容电子密码解锁的电子门锁 |
KR101726356B1 (ko) * | 2015-11-17 | 2017-04-12 |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 모바일 앱을 이용한 도어록 개폐 제어시스템 및 방법 |
CN205348993U (zh) * | 2015-12-17 | 2016-06-29 | 沈晓春 | 蓝牙智能安全门锁 |
KR101829018B1 (ko) * | 2016-04-12 | 2018-02-13 | 주식회사 차후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
CN106131179A (zh) * | 2016-07-05 | 2016-11-16 | 林哲敏 | 一种智能门锁的密码权限管理系统及方法 |
JP6544371B2 (ja) * | 2017-03-09 | 2019-07-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キーユニット、車両 |
CN109754503A (zh) * | 2018-12-12 | 2019-05-14 | 胡渐佳 | 智能门锁开锁方法 |
-
2019
- 2019-10-14 KR KR1020190126737A patent/KR1022614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10-14 CN CN202080025495.7A patent/CN113678177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9342B1 (ko) * | 2018-03-19 | 2019-09-06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디지털 도어락 관리서버 및 개폐제어 시스템, 이동단말기와 통신하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5327A (ko) | 2022-11-22 | 2024-05-29 | 주식회사 코맥스 |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디지털 출입장치 1회용 출입 비밀번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KR102563146B1 (ko) * | 2022-12-29 | 2023-08-04 | (주) 담비기술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 관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678177B (zh) | 2023-04-07 |
CN113678177A (zh) | 2021-11-19 |
KR20210043875A (ko) | 2021-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1462B1 (ko)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 |
KR101296863B1 (ko) |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 |
US1132197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 |
CN107889536B (zh) | 用于冗余接入控制的锁和方法 | |
US967267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 |
KR101623743B1 (ko) |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도어락의 제어방법 | |
TW201706895A (zh) | 基於行動裝置之備援門禁管制系統的系統與方法 | |
CA239935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 |
TWI492191B (zh) | 具有密碼鎖的保全系統 | |
KR101995663B1 (ko) | 키리스 기반의 도어락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CN108712389A (zh) | 一种智能锁系统 | |
KR102239274B1 (ko)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 |
KR20200048418A (ko) | 스마트 도어락 | |
KR101602483B1 (ko) | 서버와 단말기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시스템 및 방법 | |
JP2004120257A (ja) | 錠管理システム及び錠管理方法 | |
KR101236581B1 (ko) | 자가 인증 등록기능을 갖춘 보안 시스템 | |
KR101230369B1 (ko) | 해킹 방지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키 인증 방법 | |
Raju et al. | Smart lock controlled using voice call | |
US11430280B2 (en) |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g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door lock | |
KR102239276B1 (ko)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 |
KR102239273B1 (ko) | 위치 기반 잠금장치 해정 시스템 | |
JP2015176411A (ja) | 入退室管理システム | |
JP6796804B2 (ja) |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 |
TWM491703U (zh) | 具有密碼鎖的保全系統 | |
KR102182152B1 (ko) | 스마트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