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5500B1 -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500B1
KR102255500B1 KR1020190155382A KR20190155382A KR102255500B1 KR 102255500 B1 KR102255500 B1 KR 102255500B1 KR 1020190155382 A KR1020190155382 A KR 1020190155382A KR 20190155382 A KR20190155382 A KR 20190155382A KR 102255500 B1 KR102255500 B1 KR 10225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ide wall
protrusion
connector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삽입물 해제가 용이한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 레버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 평탄부의 상면과 대향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속부, 평탄부 및 제1 접속부 사이에, 평탄부와 제1 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1 접속부의 측면과 대향되는 제어측벽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돌출면을 포함하고, 제어측벽부는 제1 돌출면과 제1 방향에서 대향되는 버팀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 LEVER AND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레버의 지지점을 일부 절단하여 탄성연결부의 탄성을 이용하는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레버는 2개의 지지점을 포함하여 2중으로 커넥터 레버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로 설명하면, 종래에는 제1 돌출부와 탄성 연결부가 커넥터 레버의 지지점 역할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가 제어측벽부 및 연결측벽부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커넥터 레버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탄성연결부의 탄성을 이용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커넥터 레버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커넥터 레버의 로크 강도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커넥터 레버의 파손 없이 쉽게 삽입물을 해제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지지점을 절단하여 제어측벽부의 버팀면으로 커넥터 레버의 강도를 유지하고, 커넥터 레버의 파손 없이 사용자가 인쇄회로기판 등의 삽입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커넥터 레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지지점을 절단하여 제어측벽부의 버팀면으로 커넥터 레버의 강도를 유지하고, 커넥터 레버의 파손 없이 사용자가 인쇄회로기판 등의 삽입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커넥터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커넥터 레버의 일 태양(aspect)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 평탄부의 상면과 대향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속부, 평탄부 및 제1 접속부 사이에, 평탄부와 제1 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1 접속부의 측면과 대향되는 제어측벽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돌출면을 포함하고, 제어측벽부는 제1 돌출면과 제1 방향에서 대향되는 버팀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커넥터 레버의 다른 태양(aspect)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 평탄부의 상면과 대향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속부, 평탄부 및 제1 접속부 사이에, 평탄부와 제1 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1 접속부의 측면과 대향되는 제어측벽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돌출면을 포함하고, 제어측벽부는 제1 돌출면과 제1 방향에서 대향되는 버팀면을 포함하고, 탄성연결부는 전단부 및 후단부를 포함하고, 후단부는 전단부보다 제1 접속부와 인접하고, 전단부는 후단부보다 평탄부와 인접한 커넥터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커넥터 레버의 또 다른 태양(aspect)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 평탄부의 상면과 대향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속부, 평탄부 및 제1 접속부 사이에, 평탄부와 제1 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1 접속부의 측면과 대향되는 제어측벽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돌출면을 포함하고, 제어측벽부는 제1 돌출면과 제1 방향에서 대향되는 버팀면을 포함하고, 제어측벽부와 연결되며 제1 접속부의 상면을 덮고, 제1 접속부의 상면으로부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4 방향으로 돌출되는 들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커넥터의 일 태양은, 주변부와 커넥터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레버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상면과 대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속부, 상기 평탄부와 상기 제1 접속부 사이에, 상기 평탄부와 상기 제1 접속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연결부, 상기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어측벽부 및 상기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어측벽부에 대해 가동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측벽부는 버팀면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면이 상기 제1 돌출부가 가동되는 한계를 정의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로 설명한다.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는 연결측벽부와 제어측벽부와 이격됨으로써, 탄성력이 있는 탄성지지부의 거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탄성지지부의 거동이 용이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삽입물을 보다 적은 힘을 들여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고, 제어측벽부의 버팀면이 제1 돌출부의 가동되는 한계를 정의하여 로크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 레버의 2중 고정 구조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의해 로크 강도를 유지하되, 사용자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삽입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발명의 효과는 이에 제한되는것은 아니고, 다양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의 정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Z1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Z2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커넥터의 정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시도 관점에서 단면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커넥터(400)는 커넥터 레버(302)와 주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레버(302)는, 서로 간에 이격되는 주변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레버(302)는 주변부(30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대칭 형태일 수 있다.
커넥터 레버(302)는 평탄부(100), 제1 접속부(200), 탄성연결부(150), 제어측벽부(240), 들림방지부(220) 및 외력작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10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평탄부(100)는 커넥터(400)의 주변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부(100)는 2개의 주변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넥터(400)의 전단과 후단을 구별하기 위해, 후단에서 전단으로 진행되는 방향을 제1 방향(X)으로 정의하고, 주변부(300)가 커넥터 레버(302)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을 제2 방향(Y)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3 방향(Z)은 전술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즉,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방향(Y)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평탄부(100)의 전단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평탄부(100)의 상면과 경사면은 연결될 수 있고, 평탄부(100)의 상면과 경사면 간에 이루는 각은 둔각에 해당할 수 있다. 평탄부(100)의 전단에 경사면이 존재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등의 삽입물이 보다 용이하게 커넥터 레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접속부(200)는 평탄부(100)와 마찬가지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속부(200)는, 커넥터 레버(302)의 양 측에 배치된 주변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속부(200)는 평탄부(100)의 상면과 대향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부(200)의 전단은 제1 방향(X)으로 볼록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물은 평탄부(100) 및 제1 접속부(200) 사이에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물은 인쇄회로기판에 해당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이 해제되는 방향은 제1 방향(X)일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이 삽입되는 방향은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접속부(200)의 후단에 제1 접속부(2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외력작용부(210)와 제1 접속부(200)를 덮는 들림방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력작용부(210)는 제1 접속부(200) 상에 배치되어, 제1 접속부(200)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력작용부(210)는 제1 접속부(200)의 상면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외력작용부(210)는 제3 방향(Z)으로 돌출되는 계단식 형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력작용부(210)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갈수록, 제1 접속부(200)의 상면으로부터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작용부(210)는 3개의 계단식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의 외력작용부(210)가 존재할 수 있다.
외력작용부(210)는 사용자가 커넥터 레버(302)를 이용하여 삽입물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물을 해제하기 위한 외력은 제3 방향(Z)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외력작용부(210)에 제3 방향(Z)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하면, 제1 접속부(200)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들릴 수 있다. 제1 접속부(200)가 들림에 따라, 평탄부(100) 및 제1 접속부(200) 사이의 공간이 커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들림방지부(220)는 외력작용부(210)와 인접하고, 제1 접속부(20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들림방지부(220)는 제1 접속부(200)의 상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틈은 들림방지부(220)와 외력작용부(210)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들림방지부(220) 및 외력작용부(210)는 제1 방향(X)으로 서로 간에 이격될 수 있다. 틈이 존재함으로써, 외력작용부(210)와 들림방지부(220)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들림방지부(220)는 제1 돌출부(도 3에서 후술)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220h)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의 제1 개구부(220h)는 들림방지부(220)의 측에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제1 개구부(220h)는 제2 방향(Y)으로 서로 간에 이격될 수 있다.
들림방지부(220)는 제1 접속부(200)가 들리는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외력작용부(210)에 제3 방향(Z)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하여 제1 접속부(200)가 들리게 될 때, 들림방지부(220)는 제1 접속부(200)가 들리는 범위를 정할 수 있다. 즉, 들림방지부(220)는 제1 접속부(200)가 외력에 의해 과도하게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측벽부(240)는 커넥터 레버(302) 및 주변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측벽부(240)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 관계나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한다.
주변부(300)는 상부몰딩부(310)와 하부몰딩부(320) 및 몰딩연결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변부(300)는 커넥터 레버(302)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부(300)의 일부는 커넥터 레버(302)의 일측으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고, 주변부(300)의 다른 일부는 커넥터 레버(302)의 타측으로부터 제2 방향(Y)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몰딩부(320)는 주변부(300)의 하부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몰딩부(320)는 제2 방향(Y)으로 평탄부(100)와 서로 간에 이격될 수 있다.
상부몰딩부(310)는 주변부(300)의 상부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부몰딩부(310)는 제1 접속부(200)와 제2 방향(Y)으로 서로 간에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몰딩부(310)는 제1 접속부(200)와 제어측벽부(24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몰딩부(310)의 상면에는 하부몰딩부(320)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 개구부(310h)를 포함할 수 있다.
몰딩연결부(315)는 상부몰딩부(310) 및 하부몰딩부(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몰딩연결부(315)는 상부몰딩부(310) 및 하부몰딩부(320)를 연결시키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몰딩연결부(315)는 하부몰딩부(320) 및 상부몰딩부(310) 사이에서, 하부몰딩부(320)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어측벽부(240)는 상부몰딩부(310) 와 제1 접속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측벽부(240)의 하부는 하부몰딩부(320) 및 평탄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들림방지부(220)는 제어측벽부(240)의 상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접속부(200) 및 평탄부(100) 사이에 평탄부(100)와 제1 접속부(200)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400)의 배면 관점에서 탄성연결부(150)는 후단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연결부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Z1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A-A 단면은 탄성연결부와 돌출부를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해 커넥터 레버의 안쪽 단면을 자른 도면이고, B-B 단면은 커넥터 레버의 제1 개구부를 지나가도록 자른 단면으로 제어측벽부와 받침부를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3을 참고하면, 탄성연결부(150)는 탄성연결부(150)의 전단부(150f) 와 후단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연결부(150)의 전단부(150f)는, 후단부(150b)보다 평탄부(100)와 인접할 수 있다. 탄성연결부(150)의 후단부(150b)는 전단부(150f)보다 제1 접속부(200)와 인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연결부(150)의 전단부(150f)는, 후단부(150b)보다 평탄부(100)의 상면과 인접할 수 있고, 후단부(150b)는 전단부(150f)보다 제1 접속부(200)의 하면과 인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연결부(150)는 전단부(150f)에서 후단부 후단부(150b)로 갈수록 평탄부(100)의 상면으로부터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탄성연결부(150)의 후단부(150b)는 제1 접속부(200)의 하면과 연결될 수 있고, 탄성연결부(150)의 전단부(150f)는 평탄부(100)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연결부(150)는 탄성연결부(150)의 후단부(150b)에서 전단부(150f)로 즉,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60)는 제1 접속부(200)의 측면(200S)으로부터 제2 방향(Y)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60)는 볼록면(260C)과 제1 돌출면(260P)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 돌출부(260)는 제1 접속부(200)의 측면(200S)으로부터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60)는 제1 돌출면(260P), 볼록면(260C), 제1 돌출부(260)의 하면(260l) 및 제1 돌출부(260)의 제1 측벽(260SW)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면(260P)은 제1 접속부(200)의 측면(200S)으로부터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면에 해당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면(260P)은 제1 접속부(200)의 측면(200S)과 이루는 각은 수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면(260P)은 제1 방향(X)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면(260P)은 사용자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볼록한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돌출면(260P)은 평면 또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260)의 제1 돌출면(260P)은 볼록면(260C)과 반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록면(260C)은 제1 돌출면(260P)과 반대되고, 제1 접속부(200)의 측면(200S)으로부터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면일 수 있다. 볼록면(260C)은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면(260C)은 자동차 스펙 상 사용자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볼록한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볼록면(260C)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어측벽부(240)는 버팀면(240S)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측벽부(240)는 제1 접속부(200)의 측면(200S)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팀면(240S)은, 제1 돌출면(260P)과 대향될 수 있고, 볼록면(260C)과 반대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어측벽부(240)의 일부는 들림방지부(220)의 일부분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버팀면(240S)은 사용자가 제1 방향(X)으로 삽입물을 해제할 때, 제1 돌출부(260)의 가동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방향(X)으로 힘을 작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버팀면(240S)은 제1 돌출부(260)가 제1 방향(X)으로 가동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삽입물을 해제할 때, 제1 돌출부(260)가 제어측벽부(240)와 분리됨으로써 탄성연결부(150)의 탄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삽입물을 보다 적은 힘을 들여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 레버의 파손의 위험은 감소될 수 있다.
받침부(250)는, 제1 돌출부(260)의 하면(260l)과 대향되는 받침면(250S)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면(250S)은 버팀면(240S)과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면(250S)과 버팀면(240S) 간에 이루는 각은 수직일 수 있다.
받침부(250)는 제1 접속부(200)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받침부(250)는 사용자가 외력을 외력작용부(210)에 작용함에 따라 제1 돌출부(260)는 내려갈 수 있다. 즉, 받침부(250)는 제1 돌출부(260)를 받침에 따라, 제1 돌출부(260)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커넥터 레버의 로크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면(250S)은 제1 돌출부(260)가 내려갈 때, 제1 돌출부(260)의 하면(260l)을 받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을 제1 방향(X)으로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는 외력작용부(210)에 제3 방향(Z)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부(260)의 하면(260l)은 내려갈 수 있다. 즉, 받침면(250S)은, 가동되는 제1 돌출부(260)의 하면(260l)과 접촉하여 제1 돌출부(260)가 내려가는 가동 범위의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60)는, 전술한 제어측벽부(240)의 버팀면(240S) 및 받침부(250)의 받침면(250S)에 의해 가동되는 한계가 정의되어 커넥터 레버의 로크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외에도 여러가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연결측벽부를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된 부분은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연결측벽부(242)는 제1 돌출부(260)의 제1 측벽(260SW)과 대향될 수 있다. 또한, 연결측벽부(242)는 들림방지부(220)와 받침부(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들림방지부(220)의 양 측에 배치된 일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에에서, 연결측벽부(242)는 제1 돌출부(260)의 제1 측벽(260SW)과 대향되는 연결측벽면(242SW)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측벽면(242SW)은 제어측벽부(240)의 버팀면(240S)과 받침부(250)의 받침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측벽면(242SW)은 버팀면(240S) 간에 이루는 각은 수직일 수 있다. 또한 연결측벽면(242SW)은 받침면(250S) 간에 이루는 각은 수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연결측벽부(242)는 제어측벽부(240)와 연결되어 버팀면(240S)과 교차하는 일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측벽부(242)는 받침부(250)와 연결되어 받침면(250S)과 교차하는 일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측벽부(242)는 제1 돌출부(260)와 제2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60)와 연결측벽부(242)가 이격됨에 따라, 사용자는 탄성연결부(150)의 탄성을 이용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인쇄회로기판 등의 삽입물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레버의 파손의 위험은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60)의 제1 측벽(260SW)은, 연결측벽부(242) 와 연결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탄성연결부(150)의 탄성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커넥터 레버의 파손의 위험은 감소될 수 있다,
연결측벽부(242)는 몰딩연결부(315)와 제2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측벽부(242)와 상부몰딩부(310)는 연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돌출부(260)는 제2 방향(Y)으로 연결측벽부(242)와 분리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60)는 제1 방향(X)으로 제어측벽부(240)와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260)는 제어측벽부(240) 및 연결측벽부(242)와 일체로 연결되지 아니하여, 지지점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Z2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된 부분은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260)는 제2 방향(Y)으로 연결측벽부(242)와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260)는 제1 방향(X)으로 제어측벽부(24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버랩"(overlap)의 의미는 두 실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겹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측벽면(242SW)은 제1 돌출부(260)의 제1 측벽(260SW)과 대향될 수 있다. 또한, 연결측벽면(242SW)은 제1 접속부(200)의 측면(200S)과 대향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거리(D1)는 제1 접속부(200)의 측면(200S)으로부터 제1 돌출부(260)의 제1 측벽(260SW)까지의 이격된 거리이다. 반면, 제2 거리(D2)는 제1 접속부(200)의 측면(200S)으로부터 연결측벽부(242)의 연결측벽면(242SW)까지의 이격된 거리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260)는 연결측벽부(242)와 분리되므로,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평탄부
200: 제1 접속부
240: 제어측벽부
260: 제1 돌출부
300: 주변부
302: 커넥터 레버
400: 커넥터
D1: 제1 거리
D2: 제2 거리
X: 제1 방향, Y: 제2 방향, Z: 제3 방향

Claims (17)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상면과 대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속부;
    상기 평탄부 및 상기 제1 접속부 사이에, 상기 평탄부와 상기 제1 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
    상기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접속부의 측면과 대향되는 제어측벽부; 및
    상기 제어측벽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속부의 상면을 덮고, 상기 제1 접속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4 방향으로 돌출되는 들림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돌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측벽부는 상기 제1 돌출면과 상기 제1 방향에서 대향되는 버팀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레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의 상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속부 상에 배치되는 외력작용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레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작용부는 상기 제1 접속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레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면과 대향되며, 받침면을 포함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면은 상기 버팀면과 수직인 커넥터 레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는 전단부 및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전단부보다 상기 제1 접속부와 인접하고,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부보다 상기 평탄부와 인접한 커넥터 레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면과 반대되는 볼록면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면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커넥터 레버.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커넥터 레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들림방지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레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측면과 나란한 제1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대향되고, 상기 제어측벽부와 연결되는 연결측벽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레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측벽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커넥터 레버.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 및 상기 제1 접속부 사이에 인쇄회로기판이 삽입 또는 해제되는 커넥터 레버.
  13. 주변부와 커넥터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레버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상면과 대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속부;
    상기 평탄부와 상기 제1 접속부 사이에, 상기 평탄부와 상기 제1 접속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연결부;
    상기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어측벽부;
    상기 제1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어측벽부에 대해 가동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어측벽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속부의 상면을 덮고, 상기 제1 접속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들림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측벽부는 버팀면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면이 상기 제1 돌출부가 가동되는 한계를 정의하는 커넥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는 전단부 및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전단부보다 상기 제1 접속부와 인접하고,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부보다 상기 평탄부와 인접한 커넥터.
  15. 삭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면과 대향되며, 받침면을 포함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면은 상기 버팀면과 수직인 커넥터.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몰딩부와,
    상기 하부 몰딩부의 상면과 대향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몰딩부와,
    상기 상부 몰딩부 및 상기 하부 몰딩부 사이에, 상기 하부 몰딩부 및 상기 상부 몰딩부를 연결시키는 몰딩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의 일부는 상기 커넥터 레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변부의 다른 일부는 상기 커넥터 레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KR1020190155382A 2019-11-28 2019-11-28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25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82A KR102255500B1 (ko) 2019-11-28 2019-11-28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82A KR102255500B1 (ko) 2019-11-28 2019-11-28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500B1 true KR102255500B1 (ko) 2021-05-24

Family

ID=7615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82A KR102255500B1 (ko) 2019-11-28 2019-11-28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5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811U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연호전자 전기 커넥터
KR101290314B1 (ko) * 2012-04-03 2013-07-26 주식회사 신화콘텍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JP2014029769A (ja) * 2012-07-31 2014-02-13 Daiichi Seiko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9192615A (ja) * 2018-04-27 2019-10-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811U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연호전자 전기 커넥터
KR101290314B1 (ko) * 2012-04-03 2013-07-26 주식회사 신화콘텍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JP2014029769A (ja) * 2012-07-31 2014-02-13 Daiichi Seiko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9192615A (ja) * 2018-04-27 2019-10-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93921A3 (en) Vertical cable manager
TWI678031B (zh) 具有電纜連接器與安裝連接器之連接器裝置、及使用於該連接器裝置的連接器
US8110764B2 (en) Key structure
KR102255500B1 (ko)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472680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US20200136306A1 (en) Circuit board connector device
JP2003522399A (ja) プリント配線基板
US11469581B2 (en) Resin structure
CN1645677B (zh) 连接器
JP5044471B2 (ja) コネクタ
KR20130042293A (ko) 에스에스디용 케이스
CN106402105B (zh) 卡扣和使用该卡扣的连接结构
CN107181130B (zh) 连接器及连接器结构
JP4421471B2 (ja) スナップ
KR102329356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JP7334944B2 (ja) 敷板同士の連結構造
USD1004130S1 (en) Microfluidic slab
USD1004129S1 (en) Microfluidic slab
JP4084870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US9709762B2 (en) Retention member for positioning optical module
JPH0842533A (ja) 部品の取付構造
JP2008226485A (ja) バルブソケット
KR200267080Y1 (ko) 테이블 상판의 연결구조
KR200486091Y1 (ko) 블록 지지용 러그
KR20050003777A (ko)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