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847B1 -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 고체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 고체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7847B1 KR102237847B1 KR1020207021362A KR20207021362A KR102237847B1 KR 102237847 B1 KR102237847 B1 KR 102237847B1 KR 1020207021362 A KR1020207021362 A KR 1020207021362A KR 20207021362 A KR20207021362 A KR 20207021362A KR 102237847 B1 KR102237847 B1 KR 1022378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lfide
- sulfur
- solid electrolyte
- less
- compound particl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22—Alkali metal sulfides or polysulf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45—Compounds containing sulfur and halogen, with or without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of phosphoru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sulf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8—Inhibitors, e.g. gassing inhibitors, corrosion inhibi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4—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peak-intensities or a ratio thereof on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미립화된 리튬 (Li), 인 (P), 황 (S) 및 할로겐 (Ha) 을 포함하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에 관한 것으로, 대기 중의 수분에 접촉해도 황화수소 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로서, 체적 입도 분포에 의한 D50 이 50 ㎛ 이하이고, 중성자 회절 측정에 의해 산출되는 S3 (4a) 사이트에 있어서의, 황 (S) 및 할로겐 (Ha) 의 점유율이 85 % 이상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 등의 고체 전해질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에 관한 것이다.
황화리튬 (Li2S) 등을 출발 원료로서 사용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전고체형 리튬 이차 전지는, 가연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게다가 제조 비용 및 생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 내에서 직렬로 적층하여 고전압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특징도 갖고 있다. 또, 이런 종류의 고체 전해질에서는, 리튬 이온 이외에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아니온의 이동에 의한 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등, 안전성 및 내구성의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 기대된다.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고, Li7-x-2yPS6-x-yClx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관하여, 새로운 리튬 이온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로서, 조성식 (1) : Li7-x-2yPS6-x-yClx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조성식에 있어서, 0.8 ≤ x ≤ 1.7, 0 < y ≤ ―0.25x + 0.5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의 실시예에는, 리튬, 인, 황 및 할로겐을 포함하고,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으로서, 황화리튬 (Li2S) 분말과, 오황화이인 (P2S5) 분말과, 염화리튬 (LiCl) 분말을 혼합하고, 황화수소 가스를 유통시키면서 300 ℃ 에서 4 시간 가열한 후, 다시 500 ℃ 에서 4 시간 가열하는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단체 (單體) 황의 잔류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Li2S, P2S5 를 포함하는 전해질 원료와, 단체 황을 용기에 투입하는 투입 공정과, 투입 공정 후에, 전해질 원료와 단체 황으로 이루어지는 원료 조성물을 비정질화하여,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합성하는 비정질화 공정과, 비정질화 공정 후에,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단체 황의 융점 이상, 저 Li 이온 전도상의 생성 온도 미만의 온도, 즉 300 ℃ 이하의 온도에서 열 처리하는 열 처리 공정을 갖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재료, 그 중에서도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은, 이온 전도율이 높은 반면, 대기 중의 수분에 접촉하면 황화수소 가스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초저노점의 불활성 가스가 상시 공급되는 드라이 룸과 같은 제한된 환경하에서 취급할 필요가 있다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특히,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입경을, 리튬 이차 전지의 고체 전해질로서 바람직한 50 ㎛ 이하까지 미립화하면, 황화수소 가스의 발생이 현저하게 많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취급이 더한층 곤란해진다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미립화된 리튬 (Li), 인 (P), 황 (S) 및 할로겐 (Ha) 을 포함하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에 관한 것으로, 대기 중의 수분에 접촉해도 황화수소 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튬 (Li), 인 (P), 황 (S) 및 할로겐 (Ha) 을 포함하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로서,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체적 입도 분포에 의한 D50 이 50 ㎛ 이하이고,
중성자 회절 측정에 의해 산출되는 S3 (4a) 사이트에 있어서의, 황 (S) 및 할로겐 (Ha) 의 점유율이 85 % 이상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는, 대기 중의 수분에 접촉해도 황화수소 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의 고체 전해질로서 바람직한 50 ㎛ 이하까지 미립화되었다고 해도, 황화수소 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리튬 이차 전지 등의 고체 전해질로서 공업적으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형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라고 칭한다) 는, 리튬 (Li), 인 (P), 황 (S) 및 할로겐 (Ha) 을 포함하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이다.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온 전도율이 높은 반면, 대기 중의 수분과 접촉하면 황화수소를 발생시키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그러나, 황 사이트에 있어서의 황 결손을 보다 적게 하는, 바꿔 말하면, 황 사이트에 있어서의 황 (S) 및 할로겐 (Ha) 의 점유율을 높임으로써, 황화수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구성하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은, 결정성을 갖는 황화물, 즉 황 함유 화합물이고,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란, 화학식 : Ag8GeS6 으로 나타내는 광물에서 유래하는 화합물군이 갖는 결정 구조이다.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이란, 황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체 전해질의 의미이고, 당해 고체 전해질이란, 전지 제조 후의 초회 충방전 반응 등에서 전극재 계면에 발생하는 막 (소위 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이 아니라, 전지 설계시에, 전해액 및 세퍼레이터의 대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체를 가리킨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는, 리튬 (Li), 인 (P), 황 (S) 및 할로겐 (Ha) 이외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리튬 (Li) 의 일부를 알칼리 금속으로 치환하거나, 인 (P) 의 일부를 프닉토겐 원소로 치환하거나, 황 (S) 의 일부를 칼코겐 원소로 치환하거나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현재의 기술로는, 그와 같은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의 결정상을 갖는 화합물로서, 성능이 우수한 것을 찾아낼 수는 없지만, 그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는, 주상으로서 상기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결정상을 포함하고 있으면, 당해 결정상의 단상 (單相)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이것과는 상이한 상 (相) (이것을「이상」이라고도 칭한다) 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물론, 당해 이상 (異相) 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당해 이상으로는, 예를 들어 Li3PS4, 할로겐화리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주상」이란, 당해 입자를 구성하는 화합물 중, 가장 함유 비율 (㏖ 비율) 이 큰 화합물의 의미이고 (이후도 동일), 주상인지의 여부는, X 선 회절 (XRD) 패턴의 해석에 따라 함유 비율을 산출하여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결정상의 함유 비율은,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구성하는 전결정상에 대해, 6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7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9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가 함유하는 할로겐 (Ha) 원소로는, 불소 (F), 염소 (Cl), 브롬 (Br), 요오드 (I) 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이면 된다. 그 중에서도, 염소 (Cl) 와 비교하여, 브롬 (Br) 및 요오드 (I) 는 이온 반경이 커 결정이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황 결손이 생성되기 쉽다. 그 때문에, Br 또는 I 또는 이들 양방을 사용한 편이 본 발명의 효과를 더한층 향수 (享受) 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구성하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조성식 (1) : Li7-xPS6-xHax (Ha 는 1 종 또는 2 종류 이상의 할로겐 원소, 0.2 < x ≤ 2.0) 를 들 수 있다.
상기 조성식 (1) 에 있어서, 할로겐 원소의 몰비를 나타내는「x」가 0.2 보다 크면, 실온 근방에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가 안정되어, 높은 이온 전도율을 확보할 수 있고, 2.0 이하이면,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의 기본 골격인 PS4 구조를 생성하기 쉬워, 리튬 이온의 전도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x」는 0.2 보다 크고 또한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4 이상 혹은 1.7 이하, 그 중에서도 0.5 이상 혹은 1.6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할로겐을 많이 포함할수록, 황 결손을 더한층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는,「x」는 1.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5 이상, 그 중에서도 1.5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할로겐 (Ha) 이 복수의 원소 (예를 들어 Cl 과 Br) 의 조합인 경우, 상기 조성식 (1) 에 있어서의「x」는, 각 원소의 몰비의 합계값이다.
상기 조성식 (1) 에 있어서, Ha 가 Cl 및 Br 인 경우, Cl 및 Br 의 합계 몰비 x 는, 1.0 < x ≤ 1.8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 의 몰비를 y, Br 의 몰비를 z 로 하고, Cl 및 Br 의 합계 몰비 x (= y + z) 가 1.0 보다 크고 또한 1.8 이하이면, 이온 전도율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x 가 1.8 이하이면, 이상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어, 이온 전도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Ha 가 Cl 및 Br 인 경우, 상기 조성식 (1) 에 있어서의 x 는 1.0 보다 크고 또한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1 이상 혹은 1.7 이하, 그 중에서도 1.2 이상 혹은 1.6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Ha 로서 Cl 및 Br 을 포함하는 경우, Cl 의 몰비 y 에 대한 Br 의 몰비 z 의 비율 (z/y) 은 0.1 ∼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Cl 의 몰비에 대한 Br 의 몰비의 비율 (z/y) 이 0.1 이상이면,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가 저탄성률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한편, 당해 (z/y) 가 10 이하이면, 높은 이온 전도율인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해 (z/y) 는 0.1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2 이상 혹은 5 이하, 그 중에서도 0.3 이상 혹은 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는, 리튬 (Li), 인 (P), 황 (S) 및 할로겐 (Ha) 이외의 물질, 예를 들어 불가피 불순물을 함유해도 된다. 그 함유량은, 성능에 대한 영향이 낮다는 관점에서,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5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미만이다.
(중성자 회절)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구성하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은, 중성자 회절 측정에 의해 산출되는 S3 (4a) 사이트에 있어서의, 황 (S) 및 할로겐 (Ha) 의 점유율이 8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성자 회절 측정에 의하면, 결정 구조 중의 각 사이트 (위치) 에 있어서의 원소의 함유율, 즉 점유율을 측정할 수 있다.
당해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는, 황 사이트, 즉 황이 점유하는 사이트로서, S1 (16e) 사이트, S2 (4c) 사이트, S3 (4a) 사이트라고 칭해지는 사이트를 갖고 있다. S1 사이트는, PS4 유닛을 구성하는 사이트이고, S2 사이트는, PS4 유닛에 위치가 가까운 사이트이고, S3 사이트는 PS4 유닛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사이트이다. 이들 황 사이트 중에서, S3 사이트가 가장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기 쉬워, 황 결손을 발생시키기 쉽다고 생각된다. 사실, 중성자 회절 측정을 실시하여 검토한 바, S1 ∼ S3 사이트 중에서 S3 사이트가 가장 황 결손을 발생시키기 쉽고, 또한, 황 결손과 황화수소 가스 발생의 상관이 관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S3 사이트에 있어서의 결손량을 적게 함으로써, 황화수소 가스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황화물계 화합물에 황 결손이 발생하면, 화학적 안정성이 저하되고, 이온 전도율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기적인 배열 구조를 갖지 않는 비정질과 달리, 황화물계 화합물은 황 결손이 발생하는 것의 영향이 현저하기 때문에, 황 결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S3 사이트를 구성하는 원소 중, 황 (S) 이외에, 황 (S) 의 치환 원소로서 무엇이 어느 정도 점유하는지를 알고 있으면, S3 사이트의 결손량, 요컨대 S3 사이트의 구성 원소 중의 의도하지 않은 원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을 모르고 있는 상황에서는, 당해 결손량을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S3 (4a) 사이트에 있어서의, 황 (S) 및 할로겐 (Ha) 의 점유율을 규정하고, 당해 점유율이 100 % 에 가까울수록, S3 사이트의 황 결손량이 적다고 해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측정해 보면, 당해 점유율과 황화수소 가스 발생의 상관이 관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상기 황화물계 화합물은, 중성자 회절 측정에 의해 산출되는 S3 (4a) 사이트에 있어서의, 황 (S) 및 할로겐 (Ha) 의 점유율이 8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7 % 이상, 그 중에서도 90 % 이상, 그 중에서도 9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은 이상적으로는 100 % 이지만, 실제로는 99 % 정도라고 생각할 수 있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구성하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에 있어서, S3 (4a) 사이트에 있어서의, 황 (S) 및 할로겐 (Ha) 의 점유율을 상기와 같이 높이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고체 전해질 원료에, 단체의 황을 혼합해 두고, 적어도 300 ℃ 보다 고온에서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입경)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는,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체적 입도 분포에 의한 D50 (「평균 입경 (D50)」또는「D50」이라고 칭한다) 이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D50 이 50 ㎛ 이하이면, 활물질과의 간극, 및 조합하여 사용하는 고체 전해질과의 간극 등에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가 들어가기 쉬워져, 접촉점 및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D50 이 0.1 ㎛ 이상이면,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로 이루어지는 분말 전체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에 따른 저항 증대나, 활물질과의 혼합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경 (D50) 은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1 ㎛ 이상, 그 중에서도 0.3 ㎛ 이상 혹은 20 ㎛ 이하, 그 중에서도 0.5 ㎛ 이상 혹은 10 ㎛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0.5 ㎛ 이상 혹은 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전극 내에 첨가하는 경우의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경 (D50) 은, 정극 활물질의 평균 입경 (D50) 또는 부극 활물질의 평균 입경 (D50) 의 1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경 (D50) 이, 활물질의 평균 입경 (D50) 의 1 % 이상이면, 활물질 사이를 간극 없이 메울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100 % 이하이면, 전극의 충전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전지의 고에너지 밀도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경 (D50) 은, 활물질의 평균 입경 (D50) 의 1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 % 이상 혹은 50 % 이하, 그 중에서도 5 % 이상 혹은 3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제조 방법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는, 예를 들어, 고체 전해질 원료에 단체의 황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고 (「혼합 공정」), 얻어진 혼합물을, 불활성 가스 혹은 황화수소 가스 (H2S) 를 유통시키면서, 300 ℃ 보다 고온에서 소성함 (「소성 공정」) 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 공정과 상기 소성 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처리 혹은 다른 공정을 임의로 추가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혼합 공정과 소성 공정 사이에 교반, 해쇄, 분급 등의 처리를 추가하거나, 소성 공정 후에 교반, 해쇄, 분급 등의 처리를 추가하거나 하는 것은 가능하다.
<혼합 공정>
본 공정에서는, 고체 전해질 원료와, 단체의 황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하기 전에, 고체 전해질 원료에, 단체의 황을 혼합함으로써, 소성시에 당해 단체의 황으로부터 황 (S)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어, 설령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소성한 경우라도, 소성 분위기에 있어서 충분한 황 (S) 분압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황화수소 가스를 유통시키지 않더라도, 황화수소 가스를 유통시킨 경우와 동등한 고상 반응 및 결정 성장을 일으키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생성물인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율을 확보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단체의 황은, 승화되는 성질을 갖고 있어, 융점보다 저온이라도 고체-기체의 평형 반응에 기초한 황 (S) 가스의 발생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액체-기체의 평형 반응에 의한 황 (S) 가스의 발생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온도 범위에 있어서 소성 분위기에 있어서의 황 (S) 분압의 저하를 더한층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있어, 황화수소 가스를 유통시키지 않더라도, 황화수소 가스를 유통시킨 경우와 동등한 이온 전도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 원료)
고체 전해질 원료란, 제조하는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구성하는 원소를 포함하는 물질의 원료로 이루어진 것이고, 리튬 (Li) 을 함유하는 물질, 황 (S) 을 함유하는 물질, 인 (P) 을 함유하는 물질, 및 할로겐 (Ha) 을 함유하는 물질이다.
여기서, 상기 리튬 (Li) 을 함유하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황화리튬 (Li2S), 산화리튬 (Li2O), 탄산리튬 (Li2CO3) 등의 리튬 화합물, 및 리튬 금속 단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 (P) 을 함유하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삼황화이인 (P2S3), 오황화이인 (P2S5) 등의 황화인, 인산나트륨 (Na3PO4) 등의 인 화합물, 및 인 단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황 (S) 을 함유하는 물질로는, 상기 황화리튬, 황화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Ha (할로겐) 를 함유하는 물질로는, Ha (할로겐) 로서의 불소 (F), 염소 (Cl), 브롬 (Br) 및 요오드 (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원소와, 나트륨 (Na), 리튬 (Li), 붕소 (B), 알루미늄 (Al), 규소 (Si), 인 (P), 황 (S), 게르마늄 (Ge), 비소 (As), 셀렌 (Se), 주석 (Sn), 안티몬 (Sb), 텔루르 (Te), 납 (Pb) 및 비스무트 (B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원소의 화합물, 또는 당해 화합물에 추가로 산소 또는 황이 결합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LiF, LiCl, LiBr, LiI 등의 할로겐화 리튬, PF3, PF5, PCl3, PCl5, POCl3, PBr3, POBr3, PI3, P2Cl4, P2I4 등의 할로겐화인, SF2, SF4, SF6, S2F10, SCl2, S2Cl2, S2Br2 등의 할로겐화황, NaI, NaF, NaCl, NaBr 등의 할로겐화나트륨, BCl3, BBr3, BI3 등의 할로겐화붕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체의 황)
첨가하는 단체의 황은, 황 화합물이 아닌 황 단체이면 되고, 고체 예를 들어 분체 (粉體) 인 것이 통상적이다.
또, 첨가하는 단체의 황은, α 황 (사방황, 융점 112.8 ℃, 비점 444.6 ℃), β 황 (단사황, 융점 119.6 ℃, 비점 444.6 ℃), γ 황 (단사황, 융점 106.8 ℃, 비점 444.6 ℃), 그 이외에 황 동소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단체의 황은, 황 가스를 발생시킬 목적으로 별도로 첨가하는 것으로, 고체 전해질 원료와는 상이하다.
상기 단체 황은, 고체 전해질 원료에 혼입하여 특성 열화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이면, 수분, 그 이외에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그 때, 상기 단체 황의 불순물의 함유량은, 전형적으로는 3 질량% 이하이면, 특성 열화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체의 황을 첨가하는 양은, 고체 전해질 원료와, 단체의 황을 혼합한 혼합물의 합계량의 5 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의 합계량의 5 wt% 이상의 단체의 황을 첨가함으로써, 특별한 혼합 분산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도, 상기 혼합물 전체에 단체의 황을 배치할 수 있고, 단체의 황이 기화됨으로써 얻어지는 황 (S) 가스의 편재가 억제되어, 소성시에 황화수소 가스를 유통시키지 않더라도, 황화수소 가스를 유통시킨 경우와 동등한 이온 전도율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단체의 황의 혼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얻어지는 고체 전해질의 양이 줄어 경제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휘발된 가스상 황이 배기 가스 등과 함께 배출될 때, 냉각에 의해 재석출되는 양이 많아져, 장치의 폐색의 리스크가 높아진다. 그 때문에, 첨가하는 단체의 황은, 상기 혼합물의 합계량의 20 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단체의 황의 혼합량은, 상기 혼합물의 합계량의 5 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 wt% 이하, 그 중에서도 15 wt% 이하, 그 중에서도 10 wt% 이하인 것이 더한층 바람직하다.
단체의 황을 고체 전해질 원료에 혼합하는 타이밍은, 소성 전이라면 언제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고체 전해질 원료인 황화리튬, 황화인 및 할로겐 화합물을 혼합한 후에, 단체의 황을 혼합해도 되고, 또, 고체 전해질 원료의 혼합과 동시에 단체의 황을 혼합해도 되고, 또, 고체 전해질 원료 중 어느 것, 예를 들어 황화리튬, 황화인 및 할로겐 화합물 중 어느 일부와 단체의 황을 혼합한 후, 고체 전해질 원료의 나머지, 예를 들어 황화리튬, 황화인 및 할로겐 화합물의 나머지를 혼합해도 된다.
단체의 황을 고체 전해질 원료에 혼합할 때, 단체의 황을 고체 전해질 원료에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단체의 황이 혼합물에서 편석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면 되고, 반드시 고체 전해질 원료 중에 균일 혼합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유발에 의한 교반 또는 볼 밀에 의한 혼합 정도로 충분하다. 단체의 황에 대해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은 고체 전해질 원료가 존재하고 있었다고 해도, 단체의 황이 기화되어 황 가스를 발생시키면, 소성 분위기에 있어서의 황 (S) 분압의 저하를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여분의 단체의 황은, 융점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생성 반응에 기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 원료의 혼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볼 밀, 비드 밀, 호모게나이저, 유발 등으로 혼합하면 된다.
단, 메커니컬 밀링법 및 용융 급랭법을 채용하여 혼합하고, 혼합물에 과잉의 운동 에너지를 가하면, 혼합 공정의 단계에서 첨가한 황 혹은 황 화합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기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들 메커니컬 밀링법 및 용융 급랭법은 채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전해질 원료, 예를 들어 황화리튬 및 황화인은, 대기 중에서 매우 불안정하여, 수분과 반응하여 분해되어, 황화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거나, 산화되거나 하기 때문에,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치환한 글로브 박스 내 등에서, 상기 혼합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공정에서 얻어진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 건조, 교반, 세정, 정립, 분급 등의 처리를 실시한 후, 소성 공정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소성 공정>
본 공정에서는, 혼합 공정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300 ℃ 보다 고온에서 소성하면 된다.
단체의 황을 고체 전해질 원료에 혼합하여 300 ℃ 보다 고온에서 소성함으로써, 결정성을 갖는 황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황화수소 가스를 유통시키면서 소성하는 경우에 비해, 소성 시료 근방의 황 분압을 더한층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황 결손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전자 전도성이 높아지는 것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다.
이 때의 소성 온도는, 품온 (品溫) 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소성물 중에 열전쌍을 삽입하여 측정할 수 있다.
소성시에 원료를 넣는 용기는, 뚜껑이 부착된 용기여도 되고, 뚜껑이 없는 용기여도 되지만, 봉관 (封管) 등의 기밀성이 있는 용기가 아니라, 용기 내외의 가스가 유통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한 단체의 황 중, 남은 단체의 황을 보다 용이하게 계외, 즉 당해 용기 밖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성시에 원료를 넣는 용기는, 예를 들어 카본,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SiC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갑발 (匣鉢) 등을 들 수 있다.
소성은, 불활성 가스 혹은 황화수소 가스 (H2S) 를 유통시키면서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단체의 황을 고체 전해질 원료에 혼합하여 소성하는 상기 제조 방법은, 황화수소 가스를 유통시키지 않더라도, 황화수소 가스를 유통시켜 소성한 경우와 동등한 이온 전도율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조 설비에 드는 비용을 고려하여, 황화수소 가스 (H2S) 를 가능한 한 유통시키지 않고, 불활성 가스를 유통시키면서 소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통시키는 가스 전체에 대한 황화수소 가스의 체적 비율은,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0 % 이하, 그 중에서도 20 % 이하, 또한 그 중에서도 10 % 이하인 것이 더한층 바람직하고, 0 % 인 (황화수소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이 때, 불활성 가스로는,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헬륨 가스를 들 수 있다.
소성 온도, 즉, 소성할 때의 품온의 최고 도달 온도는, 300 ℃ 보다 고온이면 되고, 그 중에서도 700 ℃ 이하, 그 중에서도 400 ℃ 이상 혹은 600 ℃ 이하로 하는 것이 원하는 고상 반응 및 결정화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소성 시간, 즉, 300 ℃ 보다 고온으로 가열하는 시간은, 혼합물의 고상 반응 또는 결정화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는 정도이면 되고, 혼합물의 혼합 상태 또는 소성 온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는 1 시간 ∼ 10 시간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 시간 이상 혹은 6 시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소성시의 승온 속도는, 반응 편차를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300 ℃/h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소성 효율을 유지하는 관점을 가미하면, 그 중에서도 50 ℃/hr 이상 혹은 250 ℃/hr 이하, 그 중에서도 100 ℃/hr 이상 혹은 200 ℃/hr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승온과 온도 유지를 반복하는 다단계 소성을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승온 속도 50 ∼ 500 ℃/hr, 바람직하게는 100 ℃/hr 이상 혹은 300 ℃/hr 이하로, 300 ∼ 500 ℃ 까지 승온시키고, 당해 온도를 1 ∼ 20 시간 유지한 후, 승온 속도 50 ∼ 500 ℃/hr, 바람직하게는 100 ℃/hr 이상 혹은 300 ℃/hr 이하로, 첨가한 단체의 황의 융점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350 ∼ 700 ℃ 까지 승온시키고, 당해 온도를 1 ∼ 10 시간 유지하도록 소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단계 소성함으로써, 결정성이 높은 고체 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분의 단체의 황을 계외로 더한층 확실하게 내보낼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잔류를 막아, 이온 전도율을 더한층 높일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소성 후에 있어서의, 단체의 황의 잔량을, 소성 전의 50 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잔량이 50 wt% 이하이면, 첨가한 단체의 황 중, Li 이온 전도에 기여하지 않는 여분의 단체의 황의 대부분을 계외로 내보낼 수 있고, 고체 전해질 중의 불순물량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어, 이온 전도율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해 잔량을 50 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40 wt%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체의 황을 첨가한 경우에, 황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함으로써, 고체 전해질의 소성체의 세공부 등에 트랩된 잉여의 황의 대부분을 내보낼 수 있기 때문에, 그 경우, 당해 잔량은 30 wt% 이하, 그 중에서도 20 wt%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체의 황의 잔량은, 첨가한 단체의 황의 중량 (g) 과 소성 전후의 혼합물의 중량 감소량 (g) 을 측정하고, 100 × (첨가한 단체의 황의 중량 ― 소성 전후의 혼합물의 중량 감소량)/첨가한 단체의 황의 중량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의 제법에 의하면, 소성시에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혼합 공정에 있어서 강한 혼합 에너지를 가하여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발생시키지 않아도 된다. 단, 소성 전의 단계에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발생시키도록 해도 된다.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소성 전의 단계에서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유성 볼 밀, 진동 밀, 전동 밀 등의 분쇄기, 혼련기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 응력을 가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기계적 응력을 가하도록 하면,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의 기본 골격인 PS4 구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소성 후, 필요에 따라 해쇄 분쇄하고, 필요에 따라 분급해도 된다.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용도>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는, 전고체형 리튬 이차 전지의 고체 전해질층, 또는 정극·부극 합재에 혼합하는 고체 전해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극 및 부극 사이에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층을 형성함으로써, 전고체형 리튬 이차 전지를 구성할 수 있다.
전지의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형, 원통형 및 각형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는, 황 결손이 적어, 완전성이 높은 결정이기 때문에, 내습성이 우수하고, 건조 공기 중에서 취급해도 특성 열화가 적기 때문에, 예를 들어 드라이 룸 등에서도 전고체형 리튬 이차 전지의 조립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층은, 예를 들어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와 바인더 및 용제로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기체 상에 적하하고, 닥터 블레이드 등으로 문질러 자르는 방법, 기체와 슬러리를 접촉시킨 후에 에어 나이프로 자르는 방법, 스크린 인쇄법 등으로 도막을 형성하고, 그 후, 가열 건조를 거쳐 용제를 제거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분말을 프레스 등에 의해 압분체로 한 후, 적절히 가공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리튬 이온 전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층은, 공극률을 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0 % 이하, 그 중에서도 20 %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분말을 20 ㎫ 이상으로 프레스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극률은, 예를 들어 액상법 (아르키메데스법) 으로 구한,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층의 진밀도와 외관의 밀도로부터, 하기에 나타내는 관계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공극률 (%) = (진밀도 ― 외관의 밀도) ÷ 진밀도 × 100
또,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층의 두께는, 단락 (短絡) 방지와 체적 용량 밀도의 밸런스로부터, 전형적으로는 5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 ㎛ 이상 혹은 1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와 다른 고체 전해질을 혼합한 고체 전해질층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비정질 (유리), 유리 세라믹스, 결정성 재료 중 어느 것과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로서 구체적으로는, Li2S-P2S5 계, Li4P2S6, Li7P3S11 등을 들 수 있다. 또, 조합하는 고체 전해질은 비황화물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이어도 상관없다.
정극재로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정극 활물질로서 사용되고 있는 정극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을 포함하는 정극 활물질, 구체적으로는 스피넬형 리튬 천이 금속 화합물 및 층상 구조를 구비한 리튬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고전압계 정극재를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정극재는, 정극 활물질 이외에, 도전화재 혹은 추가로 다른 재료를 포함시켜 정극 합재로 해도 된다.
부극재에 대해서도, 리튬 이차 전지의 부극 활물질로서 사용되고 있는 부극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는,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리튬 금속 또는 리튬 금속에 필적하는 비(卑)전위 (약 0.1 V vs Li+/Li) 로 충방전하는 그라파이트, 인조 흑연, 천연 흑연, 난흑연화성 탄소 (하드 카본) 등의 탄소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고체형 리튬 이차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고용량 재료로서 유망한 규소 또는 주석을 활물질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전해액을 사용한 리튬 이차 전지에서는, 충방전에 수반하여 전해액과 활물질이 반응하여, 활물질 표면에 부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지 특성의 열화가 현저하다. 리튬 이차 전지의 전해질로서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사용하고, 부극 활물질에 규소 또는 주석을 사용하면, 이와 같은 부식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전지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부극재에 대해서도, 부극 활물질 이외에, 도전재 혹은 추가로 다른 재료를 포함시켜 부극 합재로 해도 된다.
<본 고체 전해질>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고체 전해질 (「본 고체 전해질」이라고 칭한다) 은, 상기 본 황화물계 화합물을 갖는 고체 전해질이다.
본 고체 전해질은, 상기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또,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와, 다른 화합물 입자를 혼합한 것이어도 된다.
단, 본 고체 전해질에 있어서, 상기 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의 함유 비율은 50 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80 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90 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99 질량% 이상 (100 질량% 를 포함하는)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체 전해질은,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체적 입도 분포에 의한 D50 이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체 전해질의 D50 이 50 ㎛ 이하이면, 활물질과의 간극, 및 조합하여 사용하는 고체 전해질과의 간극 등에 본 고체 전해질이 들어가기 쉬워져, 접촉점 및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D50 이 0.1 ㎛ 이상이면, 본 고체 전해질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에 따른 저항 증대, 및 활물질과의 혼합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고체 전해질의 평균 입경 (D50) 은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1 ㎛ 이상, 그 중에서도 0.3 ㎛ 이상 혹은 20 ㎛ 이하, 그 중에서도 0.5 ㎛ 이상 혹은 10 ㎛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0.5 ㎛ 이상 혹은 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어의 해설>
본 발명에 있어서「X ∼ Y」(X, Y 는 임의의 숫자) 로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X 이상 Y 이하」의 의미와 함께,「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크다」또는「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다」의 의미도 포함한다.
또,「X 이상」또는「X ≤」(x 는 임의의 숫자) 로 기재한 경우,「X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의 의도를 포함하고,「Y 이하」또는「Y ≥」(Y 는 임의의 숫자) 로 기재한 경우,「Y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의 의도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실시예 1>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조성이 Li5.4PS4.4Cl0.8Br0.8 이 되도록, 황화리튬 (Li2S) 분말과, 오황화이인 (P2S5) 분말과, 염화리튬 (LiCl) 분말과, 브롬화리튬 (LiBr) 분말을, 전체량에서 5 g 이 되도록 각각 칭량하여, 볼 밀로 15 시간 분쇄 혼합을 실시한 후, 혼합 분말 전체의 5 wt% 에 상당하는 양의 단체 황 분말 (α 황, 불순물 함유량 0.5 질량%, 융점 112.8 ℃, 비점 444.6 ℃) 0.26 g 을 첨가하고 유발에서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혼합 분말을 카본제의 용기 (40 ㎜ × 30 ㎜ × 20 ㎜, 비기밀성) 의 80 체적% 까지 충전하고, 이것을 관상 전기로에서, Ar 가스 (Ar 100 체적%, 황화수소 가스 0 체적%) 를 1.0 ℓ/min 유통시키면서 300 ℃ (품온) 에서 4 시간 가열한 후, 추가로 500 ℃ (품온) 에서 4 시간 가열하였다. 승강온 속도는 200 ℃/hr 로 하였다. 그 후, 시료를 볼 밀로 해쇄하고, 눈금 간격 53 ㎛ 의 체로 정립하여 분말상의 샘플을 얻었다.
이 때, 상기 칭량, 혼합, 전기로에 대한 세트, 전기로로부터의 취출, 해쇄 및 정립 작업은 모두, 충분히 건조된 Ar 가스 (노점 -60 ℃ 이하) 로 치환된 글로브 박스 내에서 실시하여, 조성식 : Li5.4PS4.4Cl0.8Br0.8 로 나타내는 화합물 분말 (샘플) 을 얻었다. 소성 후에 있어서의 단체 황의 잔량은 0 wt% 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단체 황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점, 및 Ar 가스 대신에 H2S 가스를 유통시키면서 가열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식 : Li5.4PS4.4Cl0.8Br0.8 로 나타내는 화합물 분말 (샘플) 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단체 황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식 : Li5.4PS4.4Cl0.8Br0.8 로 나타내는 화합물 분말 (샘플) 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조성이 Li5.8PS4.8Cl1.2 가 되도록, 황화리튬 (Li2S) 분말과, 오황화이인 (P2S5) 분말과, 염화리튬 (LiCl) 분말을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식 : Li5.8PS4.8Cl1.2 로 나타내는 화합물 분말 (샘플) 을 얻었다.
<원소 조성의 측정>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어진 화합물 분말 (샘플) 을 전부 용해시켜 ICP 발광 분석법에 의해 원소 조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입 원료 화합물의 배합비와 대체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X 선 회절 측정>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어진 화합물 분말 (샘플) 을 X 선 회절법 (XRD, Cu 선원) 으로 분석하고, X 선 회절 패턴을 얻어, 각 위치에 있어서의 피크 강도 (counts) 를 측정하였다. 리가쿠사 제조의 XRD 장치「Smart Lab」을 사용하여, 대기 중에서 주사축 : 2θ/θ, 주사 범위 : 10 ∼ 140 deg, 스텝 폭 0.01 deg, 주사 속도 1 deg/min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내부 표준으로서 Si 분말 (와코 순약 공업 제조, 순도 99.9 %) 을 5 wt% 혼합하여, 각도 보정에 사용하였다.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에서 유래하는 피크 혹은 내부 표준용 Si 분말에 귀속되는 피크 이외의 회절 피크를 이상 피크로 하였다.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에서 유래하는 피크의 동정에는, PDF 번호 00-034-0688 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에서 유래하는 피크 중 회절각 2θ = 24.9°∼ 26.3°의 위치에 출현하는 피크의 강도에 대한, 이상 피크 중, 가장 높은 피크 강도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상 피크가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당해 비율이 0.04 미만인 경우에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의「단상」이라고 판정하고, 당해 비율이 0.04 이상인 경우에는,「이상 있음」이라고 판정하였다.
<X 선 리트벨트 해석>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어진 화합물 분말 (샘플) 의 XRD 데이터를 사용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리트벨트 해석을 실시하였다.
리트벨트 해석은, 상기 조건하에서 측정한 XRD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석 소프트웨어「RIETAN-FP v2.8.3」으로 실시하였다. 이 때, 타당성의 지표는, Rwp < 10, S < 2.0 으로 하였다.
<중성자 회절>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화합물 분말 (샘플) 을, 대강도 양자 가속기 시설 J-PARC 센터의 BL20 으로, 출력 300 ㎾, 더블 프레임 (DF), 2 시간/샘플의 조건에서 중성자 회절 측정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중성자 회절 데이터를, 해석 소프트웨어「Z-Rietveld」로 해석하였다. 이 때, 타당성의 지표는, Rwp < 10, S < 2.0 으로 하였다.
X 선 회절 측정, X 선 리트벨트 해석 및 중성자 회절의 결과를 종합하여, 샘플이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이라고 판단하였다. ICP 발광 분석법에 의해 조성을 정량한 결과, 주입 원료 화합물의 배합비로부터 산출한 조성식 : Li5.4PS4.4Cl0.8Br0.8 또는 Li5.8PS4.8Cl1.2 와 대체로 일치하고 있었다. 표 1 에는,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어진 화합물 분말 (샘플) 의, 주입 원료 화합물의 배합비로부터 산출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의 조성과, S3 사이트의 점유율을 나타내었다.
<D50>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화합물 분말 (샘플) 에 대하여, 레이저 회절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용 자동 시료 공급기 (마이크로트랙·벨 주식회사 제조「Microtorac SDC」) 를 사용하여, 샘플 (분체) 을 수용성 용매에 투입하고, 40 % 의 유속 중, 40 W 의 초음파를 360 초간 복수 회 조사한 후, 마이크로트랙·벨 주식회사 제조 레이저 회절 입도 분포 측정기「MT3000Ⅱ」를 사용하여 입도 분포를 측정하고, 얻어진 체적 기준 입도 분포의 차트로부터 D50 을 측정하였다.
초음파의 조사 횟수는, 초음파 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D50 의 변화율이 8 % 이하가 될 때까지의 횟수로 하였다.
또한, 측정시의 수용성 용매는 60 ㎛ 의 필터를 통과하고, 용매 굴절률을 1.33, 입자 투과성 조건을 투과, 입자 굴절률 2.46, 형상을 비구형으로 하고, 측정 레인지를 0.133 ∼ 704.0 ㎛, 측정 시간을 30 초로 하여, 2 회 측정한 평균값을 각각의 값으로 하였다.
<황화수소 (H2S) 의 발생량의 측정>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화합물 분말 (샘플) 을, 충분히 건조된 Ar 가스 (노점 -60 ℃ 이하) 로 치환된 글로브 박스 내에서 50 ㎎ 씩 칭량하여,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밀폐된 봉투에 넣었다. 그 후, 건조 공기와 대기를 혼합함으로써 조정한 노점 -30 ℃ 분위기에서 실온 (25 ℃) 으로 유지된 항온 항습조 중에, 용량 1500 ㎤ 의 유리제의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넣고, 세퍼러블 플라스크의 내부가 항온 항습조 내의 환경과 동일해질 때까지 유지하고 나서, 샘플이 들어 있는 밀폐 봉투를 항온 항습조 중에서 개봉하여, 재빨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샘플을 배치하였다. 샘플을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배치하고, 상기 플라스크를 밀폐한 직후부터 60 분 경과까지 발생한 황화수소에 대해, 60 분 후에 황화수소 센서 (리켄 계기 제조 GX-2009) 로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60 분 경과 후의 황화수소 농도로부터 황화수소의 체적을 산출하여 황화수소 발생량을 구하였다.
<이온 전도율의 측정>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화합물 분말 (샘플) 을, 충분히 건조된 Ar 가스 (노점 -60 ℃ 이하) 로 치환된 글로브 박스 내에서 1 축 가압 성형하고, 그리고 CIP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 에서 200 ㎫ 로 직경 10 ㎜, 두께 약 4 ∼ 5 ㎜ 의 펠릿을 제작하였다. 또한, 펠릿 상하 양면에 전극으로서의 카본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180 ℃ 에서 30 분간의 열 처리를 실시하여, 이온 전도율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온 전도율 측정은, 실온 (25 ℃) 에서, 토요 테크니카사 제조의 장치인, 솔라트론 1255B 를 사용하여, 측정 주파수 0.1 ㎐ ∼ 1 ㎒ 의 조건하, 교류 임피던스법으로, 이온 전도율 (mS/㎝) 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전고체 전지 셀의 제작과 평가>
실시예 1, 2 에서 각각 얻은 화합물 분말 (샘플) 만을 고체 전해질로서 사용하여 정극 합재, 부극 합재를 조제하고, 전고체 전지를 제작하여, 각각 전지 특성 평가 (초회 충방전 용량) 를 실시하였다.
(재료)
정극 활물질로서, 층상 화합물인 LiNi0.5Co0.2Mn0.3O2 (NCM) 분말 (D50 = 6.7 ㎛) 을 사용하고, 부극 활물질로서 그라파이트 (D50 = 20 ㎛) 를 사용하고, 고체 전해질 분말로서 실시예에서 얻은 샘플을 사용하였다.
(합재 조제)
정극 합재 분말은, 정극 활물질 분말, 고체 전해질 분말 및 도전 보조제 (아세틸렌 블랙) 분말을, 질량비로 60 : 37 : 3 의 비율로 유발 혼합함으로써 조제하고, 20 ㎫ 로 1 축 프레스 성형하여 정극 합재 펠릿을 얻었다.
부극 합재 분말은, 그라파이트 분말과 고체 전해질 분말을, 질량비로 64 : 36 의 비율로 유발 혼합함으로써 조제하였다.
(전고체 전지 셀의 제작)
상하를 개구시킨 폴리프로필렌제의 원통 (개구 직경 10.5 ㎜, 높이 18 ㎜) 의 하측 개구부를 정극 전극 (SUS 제) 으로 폐색하고, 정극 전극 상에 정극 합재 펠릿을 올렸다. 그 위로부터 실시예 1 에서 얻은 분말 고체 전해질을 올려, 180 ㎫ 로 1 축 프레스하여 정극 합재와 고체 전해질층을 형성하였다. 그 위로부터 부극 합재 분말을 올린 후, 부극 전극 (SUS 제) 으로 폐색하여 550 ㎫ 로 1 축 성형하여, 대략 100 ㎛ 두께의 정극 합재, 대략 300 ㎛ 두께의 고체 전해질층, 대략 20 ㎛ 두께의 부극 합재의 3 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고체 전지 셀을 제작하였다. 이 때, 상기 전고체 전지 셀의 제작에 있어서는, 이슬점 온도 -60 ℃ 의 아르곤 가스로 치환된 글로브 박스 내에서 실시하였다.
(전지 특성 평가 (초회 충방전 용량))
전지 특성 측정은, 25 ℃ 로 유지된 환경 시험기 내에 전고체 전지 셀을 넣고 충방전 측정 장치에 접속하여 평가하였다. 1 ㎃ 를 1 C 로 하여 전지의 충방전을 실시하였다. 0.1 C 로 4.5 V 까지 CC-CV 방식으로 충전하여, 초회 충전 용량을 얻었다. 방전은 0.1 C 로 2.5 V 까지 CC 방식으로 실시하여 초회 방전 용량을 얻었다.
0.1 C 로 2.5 V 까지 방전하였을 때의 방전 용량은 모두 160 ㎃h/g 이상이었다. 고체 전해질이 실용 가능한 이온 전도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실용적인 방전 용량을 발현할 수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비교예의 결과 및 지금까지 행해 온 시험 결과로부터, 리튬 (Li), 인 (P), 황 (S) 및 할로겐 (Ha) 을 포함하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이고, 중성자 회절 측정에 의해 산출되는 S3 (4a) 사이트에 있어서의, 황 (S) 및 할로겐 (Ha) 의 점유율이 85 % 이상이면, 대기 중의 수분에 접촉해도 황화수소 가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의 고체 전해질로서 바람직한 50 ㎛ 이하까지 미립화되었다고 해도, 황화수소 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 리튬 (Li), 인 (P), 황 (S) 및 할로겐 (Ha) 을 포함하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로서,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체적 입도 분포에 의한 D50 이 50 ㎛ 이하이고, 중성자 회절 측정에 의해 산출되는 S3 (4a) 사이트에 있어서의, 황 (S) 및 할로겐 (Ha) 의 점유율이 85 % 이상인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 - 제 1 항에 있어서,
할로겐 (Ha) 으로서, 불소 (F), 염소 (Cl), 브롬 (Br) 및 요오드 (I)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고체 전해질.
- 제 3 항에 있어서,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체적 입도 분포에 의한 D50 이 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해질. - 제 3 항에 기재된 고체 전해질과, 정극 활물질 및 부극 활물질 중 어느 일방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의 전극재.
- 제 3 항에 기재된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층을 구비한 리튬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165316 | 2018-09-04 | ||
JPJP-P-2018-165316 | 2018-09-04 | ||
PCT/JP2019/034612 WO2020050269A1 (ja) | 2018-09-04 | 2019-09-03 | 硫化物系化合物粒子、固体電解質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3682A KR20200093682A (ko) | 2020-08-05 |
KR102237847B1 true KR102237847B1 (ko) | 2021-04-07 |
Family
ID=6972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1362A KR102237847B1 (ko) | 2018-09-04 | 2019-09-03 |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 고체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938064B2 (ko) |
EP (1) | EP3754774A4 (ko) |
JP (1) | JP6704098B1 (ko) |
KR (1) | KR102237847B1 (ko) |
CN (2) | CN111448702A (ko) |
WO (1) | WO202005026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754774A4 (en) | 2018-09-04 | 2021-06-16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SULPHIDE COMPOSITE PARTICLES, SOLID ELECTROLYTE AND SECONDARY LITHIUM BATTERY |
KR20230035313A (ko) * | 2020-07-07 | 2023-03-13 |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및 그 제조 방법, 고체 전해질층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 |
CN116171260A (zh) * | 2020-07-31 | 2023-05-26 | Agc株式会社 | 硫化物系固体电解质的制造方法和硫化物系固体电解质 |
CN116057009A (zh) * | 2020-08-28 | 2023-05-02 | 三井金属矿业株式会社 | 活性物质及其制造方法、电极合剂以及电池 |
JP6947321B1 (ja) * | 2021-03-01 | 2021-10-13 | Tdk株式会社 |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
JP7571700B2 (ja) | 2021-09-28 | 2024-10-23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固体電解質部材の製造方法 |
EP4438554A1 (en) | 2021-11-22 | 2024-10-02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Lithium sulfid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ulfide solid electrolyte |
CN114122508B (zh) * | 2021-11-26 | 2024-02-23 | 湖州昆仑先端固态电池科技有限公司 | 一种硫化物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4920271B (zh) * | 2022-05-26 | 2023-03-03 | 福建省龙德新能源有限公司 | 一种干法制备六氟磷酸锂的方法 |
WO2023234358A1 (ja) * | 2022-06-01 | 2023-12-07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全固体二次電池用電極組成物、全固体二次電池用電極シート、及び全固体二次電池、並びに、全固体二次電池用電極シート及び全固体二次電池の製造方法 |
WO2023234359A1 (ja) * | 2022-06-01 | 2023-12-07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全固体二次電池用電極組成物、全固体二次電池用電極シート、及び全固体二次電池、並びに、全固体二次電池用電極シート及び全固体二次電池の製造方法 |
CN115149095B (zh) * | 2022-09-05 | 2023-06-27 |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 一种高纯硫银锗矿相硫化物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 |
WO2024181857A1 (ko) * | 2023-02-28 | 2024-09-06 | 주식회사 엔플로우 |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
CN117613371B (zh) * | 2024-01-18 | 2024-09-13 |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 固态电解质的制备方法、固态电解质及其应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47566A1 (ja) * | 2016-09-12 | 2018-03-15 | 出光興産株式会社 | 硫化物固体電解質 |
JP2018097954A (ja) * | 2016-12-09 | 2018-06-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77315B2 (ja) * | 2011-08-11 | 2013-04-0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硫化物系固体電池 |
JP5873533B2 (ja) | 2014-07-16 | 2016-03-01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硫化物系固体電解質 |
KR101797510B1 (ko) * | 2014-12-26 | 2017-11-14 |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 리튬 이온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및 고체 전해질 화합물 |
JP2015179673A (ja) | 2015-04-28 | 2015-10-08 | 日立造船株式会社 | 固体リチウム電池の製造方法、固体リチウム電池を備えた装置の製造方法、及び固体電解質を含む電解質層の製造方法 |
JP6683363B2 (ja) | 2015-06-17 | 2020-04-22 | 出光興産株式会社 | 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
US11699809B2 (en) | 2016-07-01 | 2023-07-11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
JP6945382B2 (ja) * | 2016-09-08 | 2021-10-06 | 出光興産株式会社 | 硫化物固体電解質 |
JP6477672B2 (ja) | 2016-11-18 | 2019-03-0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
EP3754774A4 (en) | 2018-09-04 | 2021-06-16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SULPHIDE COMPOSITE PARTICLES, SOLID ELECTROLYTE AND SECONDARY LITHIUM BATTERY |
-
2019
- 2019-09-03 EP EP19857081.4A patent/EP3754774A4/en active Pending
- 2019-09-03 CN CN201980006233.3A patent/CN111448702A/zh active Pending
- 2019-09-03 WO PCT/JP2019/034612 patent/WO2020050269A1/ja unknown
- 2019-09-03 KR KR1020207021362A patent/KR1022378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9-03 US US16/982,020 patent/US10938064B2/en active Active
- 2019-09-03 JP JP2020501578A patent/JP6704098B1/ja active Active
- 2019-09-03 CN CN202110599490.1A patent/CN113428880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47566A1 (ja) * | 2016-09-12 | 2018-03-15 | 出光興産株式会社 | 硫化物固体電解質 |
JP2018097954A (ja) * | 2016-12-09 | 2018-06-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428880A (zh) | 2021-09-24 |
JP6704098B1 (ja) | 2020-06-03 |
KR20200093682A (ko) | 2020-08-05 |
US20210020984A1 (en) | 2021-01-21 |
CN111448702A (zh) | 2020-07-24 |
EP3754774A4 (en) | 2021-06-16 |
EP3754774A1 (en) | 2020-12-23 |
WO2020050269A1 (ja) | 2020-03-12 |
JPWO2020050269A1 (ja) | 2020-09-24 |
US10938064B2 (en) | 2021-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7847B1 (ko) | 황화물계 화합물 입자, 고체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 | |
EP3629412B1 (en) | Solid electrolyt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sulfide compound for said solid electrolyte | |
KR102254448B1 (ko) | 황 함유 화합물, 고체 전해질 및 전지 | |
KR102162070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 |
JP6997216B2 (ja) | 固体電解質 | |
KR102236003B1 (ko) | 황화물 고체 전해질 및 전지 | |
JP7105133B2 (ja) | 結晶性硫化物系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 |
TWI839436B (zh) | 硫化物系化合物粒子、固體電解質及鋰二次電池 | |
TW202138288A (zh) | 含硫化合物、固體電解質及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