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396B1 -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 Google Patents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1396B1 KR102221396B1 KR1020190038249A KR20190038249A KR102221396B1 KR 102221396 B1 KR102221396 B1 KR 102221396B1 KR 1020190038249 A KR1020190038249 A KR 1020190038249A KR 20190038249 A KR20190038249 A KR 20190038249A KR 102221396 B1 KR102221396 B1 KR 1022213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main body
- opening
- filter
- drin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8000010470 Ageusia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9666 ageusi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21539 instant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279 black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2 herbal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에 대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드립핑을 위해 제1개폐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0는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해 제2개폐부가 음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8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120 : 밀폐부재 130, 230 : 본체
132 : 지지부 133, 233 : 누수 방지단
140, 240 : 제1개폐부 142, 242 : 제1링부재
144, 244 : 제2링부재 150 : 배출부
160 : 필터 162, 262 : 돌출부
163, 263 : 누수 방지부 164 : 거름망
270 : 제2개폐부 272 : 함입부
276 : 걸림부 280 : 음용부
282 : 음용구 284 : 밴트구
290 : 음용 조절부 292 : 밀착부
294 : 지지부 296 : 피걸림부
298 : 돌출부 H1, H2 : 유출구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Claims (11)
- 식품 원료를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이 제공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추출 음료를 제2공간(S2)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H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내벽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32)가 구비되는 본체(130);
상기 제1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개폐부(140);
상기 제1공간(S1)에 배치되되,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164)이 구비되며,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2)가 구비되는 필터(160); 및
상기 본체(130)와 상기 필터(1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개폐부(140)의 장착 시 상기 돌출부(1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부(132)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1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10)는,
내벽의 일 영역에 상기 돌출부(162)가 끼워지는 끼움홈(112)이 구비되는 밀착부(114); 및
상기 돌출부(1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거나 상기 돌출부(1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밀착부(114)의 하부에 돌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132)에 지지되는 탄성 변형부(116);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개폐부(140)와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필터(1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유출구(H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6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개폐부(140)와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필터(1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유출구(H1)를 개폐시키는 밀폐부재(1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60)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부(163);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30)는,
상기 제1개폐부(140)와 결합되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133);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140)는,
상기 본체(130)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부(163)에 접촉하여 상기 필터(16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링부재(142); 및
상기 본체(130)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단(133)에 접촉하여 상기 본체(13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링부재(1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 식품 원료를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과 상기 제1공간(S1)에서 제조되는 추출 음료가 수용되는 제2공간(S2)이 제공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상기 추출 음료를 제1공간(S1)에서 제2공간(S2)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H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내벽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32)가 구비되는 본체(230);
상기 제1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2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개폐부(240);
상기 제1공간(S1)에 배치되되,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264)이 구비되며,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62)가 구비되는 필터(260); 및
상기 본체(230)와 상기 필터(2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개폐부(240)의 장착 시 상기 돌출부(2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부(232)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2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21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10)는,
내벽의 일 영역에 상기 돌출부(262)가 끼워지는 끼움홈(212)이 구비되는 밀착부(214); 및
상기 돌출부(2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거나 상기 돌출부(2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밀착부(214)의 하부에 돌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232)에 지지되는 탄성 변형부(216);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개폐부(240)와 상기 탄성부재(2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필터(2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유출구(H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 삭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6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개폐부(240)와 상기 탄성부재(2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필터(2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유출구(H1)를 개폐시키는 밀폐부재(2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60)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부(263);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30)는,
상기 제1개폐부(240)와 결합되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233);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240)는,
상기 본체(230)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부(263)에 접촉하여 상기 필터(26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링부재(242); 및
상기 본체(230)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단(233)에 접촉하여 상기 본체(23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링부재(2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공간(S2)에 유입된 상기 추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음용구(282) 및 상기 음용구(282)로 상기 추출 음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2공간(S2)의 압력을 조절하는 밴트구(284)를 구비하는 음용부(280); 및
상기 음용부(28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음용조절부(29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음용부(280)에 장착 시,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에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를 폐쇄하는 밀착부(29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240)는,
상기 본체(23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추출 음료가 상기 유출구(H1)를 통해 상기 제2공간(S2)으로 유입되도록 한 후, 상기 본체(230)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구(H1)를 폐쇄하고,
상기 본체(230)는,
상기 제2공간(S2)이 상기 제1공간(S1)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공간에 유입된 상기 추출 음료가 음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8249A KR102221396B1 (ko) | 2019-04-02 | 2019-04-02 |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8249A KR102221396B1 (ko) | 2019-04-02 | 2019-04-02 |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6644A KR20200116644A (ko) | 2020-10-13 |
KR102221396B1 true KR102221396B1 (ko) | 2021-03-02 |
Family
ID=7288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8249A Expired - Fee Related KR102221396B1 (ko) | 2019-04-02 | 2019-04-02 |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139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1377Y1 (ko) * | 2001-07-04 | 2001-11-17 | 황성철 | 농도조절이 가능한 커피추출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0673U (ko) | 2007-07-19 | 2009-01-22 | (주)아모레퍼시픽 |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
KR102062169B1 (ko) * | 2017-09-22 | 2020-01-03 |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
-
2019
- 2019-04-02 KR KR1020190038249A patent/KR10222139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1377Y1 (ko) * | 2001-07-04 | 2001-11-17 | 황성철 | 농도조절이 가능한 커피추출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6644A (ko) | 2020-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64684B2 (en) | Single-serve refill pod | |
KR102071046B1 (ko) |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 |
US6797304B2 (en) |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 |
CN103251269B (zh) | 用于饮料瓶的提篮组件 | |
KR101173173B1 (ko) |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주입 프레스 | |
KR200459398Y1 (ko) |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 |
US20140072684A1 (en) | French press beverage maker | |
CN101258987B (zh) | 具有分放组件的饮料冲泡机 | |
US20100263548A1 (en) | Drink extracting apparatus | |
US8012523B2 (en) | Permanent filtering pod for brewing beverages | |
EP3064100A1 (en) | Hand drip coffee tumbler | |
US20130233177A1 (en) | Single Cup Coffee and Tea Brewing Mug | |
KR200469512Y1 (ko) |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 |
KR101301178B1 (ko) | 필터가 구비된 분리형 음료 용기 | |
CN101411590A (zh) | 咖啡机冲泡盒的互换装置 | |
KR102221396B1 (ko) |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 |
RU2761273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на основе настаивания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 |
KR101919108B1 (ko) | 차 추출용 텀블러 | |
KR102062169B1 (ko) |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 |
CN213993167U (zh) | 一种双饮杯及其杯盖 | |
KR101804326B1 (ko) |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 |
KR102057924B1 (ko) |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 |
KR200458422Y1 (ko) |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 |
KR101259148B1 (ko) | 과즙 원액 추출기 | |
KR102704939B1 (ko) | 차 추출용기,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조립체,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병뚜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