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1214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214B1
KR102221214B1 KR1020140060209A KR20140060209A KR102221214B1 KR 102221214 B1 KR102221214 B1 KR 102221214B1 KR 1020140060209 A KR1020140060209 A KR 1020140060209A KR 20140060209 A KR20140060209 A KR 20140060209A KR 102221214 B1 KR102221214 B1 KR 10222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trusion
display device
assembl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886A (ko
Inventor
정해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21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다수개의 조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부리거나 펴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표시패널을 고정하고, 상기 표시패널과 같은 움직임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적 유동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동 구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자 입장에서 다양한 각도에서도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Fram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적인 유동성 확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WD: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PD: 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표시장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 디자인과는 차별화된 다양성이 요구되며, 미적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사용상의 다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논의 중에 있다. 종래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유리 등의 기판을 사용한 평판형태의 패널을 포함하여, 디자인의 다양성 확보가 어렵다.
또한, 평판형태의 패널은 주 시청영역에서 중앙영역까지의 거리와 양측 영역까지의 거리가 서로 달라 거리감의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가 실외 광장이나 공항이나 터미널 등의 개방적 공간에 설치되었을 때, 평판표시패널의 시야각 범위 내의 사람들에게는 구현되는 화상이 명확히 인식되나, 시야각 범위 밖의 사람들에게는 구현되는 화상이 제대로 인지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연성 있는 기판을 사용하여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개발되었고, 종래 평판표시장치와 비교하여 다양한 디자인 변형이 가능해졌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휴대용 컴퓨터나 전자신문 또는 스마트카드 그리고 책, 신문, 잡지 등의 인쇄매체를 대체하고 있는 차세대 표시장치로 기대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도 휨 자유도가 확보될 필요가 있다. 종래 프레임의 경우, 내구성을 위해 휘어지지 않는 소재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곡면의 구현은 가능하나 고정방식으로 형성되어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지지하는데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프레임을 적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부리거나 펴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표시패널을 고정하고, 상기 표시패널과 같은 움직임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적 유동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 구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자 입장에서 다양한 각도에서도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다수개의 조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4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다수개의 조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부리거나 펴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표시패널을 고정하고, 상기 표시패널과 같은 움직임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적 유동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동 구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자 입장에서 다양한 각도에서도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제 2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프레임의 평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프레임이 굴곡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프레임이 굴곡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3 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4 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프레임의 평면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사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사시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10)은 제 1 프레임(100), 제 2 프레임(200), 제 3 프레임(300) 및 제 4 프레임(40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프레임(2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과 같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00)과 제 2 프레임(200)은 다수개의 조립부(10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프레임(300)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4 프레임(400)은 상기 제 3 프레임(300)과 같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상기 제 3 프레임(300) 및 제 4 프레임(400)의 상기 제 2 방향의 일 끝 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프레임(200)은 상기 제 3 프레임(300) 및 제 4 프레임(400)의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 끝 단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10)은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 3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프레임(100), 제 2 프레임(200), 제 3 프레임(300) 및 제 4 프레임(400)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1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제 2 프레임(200)을 통해 곡률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100), 제 2 프레임(200), 제 3 프레임(300) 및 제 4 프레임(400)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일 수 있다. 또한, 탄성력을 가진 재질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 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제 2 프레임(200)이 곡률을 갖는 형상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프레임의 평면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상기 다수개의 조립부(1000)로 구성된다. 상기 조립부(1000)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조립부(1000)는 연결부(120),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립부(100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조립부(1000)는 상기 연결부(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프레임(10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는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120)의 양 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10)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1000)의 제 1 돌출부(11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130) 또한 인접한 다른 조립부(1000)의 제 2 돌출부(1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조립부(1000)의 제 1 돌출부(110)가 서로 맞닿으면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120)와 인접한 다른 조립부(1000)의 제 2 돌출부(120)가 서로 맞닿으면서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제 1 변(110a,130a), 제 2 변(110b,130b) 및 제 3 변(110c,130c)으로 둘러싸인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돌출부(110) 또는 제 2 돌출부(130)의 상기 제 2 변(110b,130b)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돌출부(110)의 제 2 변(110b)과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의 제 2 변(110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130)의 제 2 변(130b)과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130)의 제 2 변(130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프레임(100)을 상기 제 2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돌출부(11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돌출부(130) 역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 또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서로 다른 조립부(1000)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110) 또는 제 2 돌출부(130)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2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이처럼 상기 제 1 돌출부(110) 또는 제 2 돌출부(130)의 구조적 특성으로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유동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200)이 상기 제 1 프레임(1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제 2 프레임(200) 역시 유동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제 1 프레임(100) 또는 상기 제 2 프레임(200)의 조립부(1000)를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사시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조립부(100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는 상기 연결부(120)의 양 측에 배치된다. 상기 조립부(10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120)는 제 1 체결부(150)와 제 2 체결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체결부(150)는 상기 연결부(12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체결부(160)는 상기 연결부(120)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150)는 상기 연결부(120) 일단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160)는 상기 연결부(120) 타단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150)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의 제 2 체결부(16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체결부(150)와 상기 제 2 체결부(160)는 볼 베어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20) 타단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 2 체결부(160)와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제 2 체결부(160) 사이에 상기 제 1 체결부(150)와 볼(161)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체결부(150)는 볼(151)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부(160)는 상기 볼(151)과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홈의 형태는 상기 제 1 체결부(150)에 일체로 연결된 볼(151)의 크기 및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볼(151)이 상기 제 2 체결부(160)의 체결홈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조립부(100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프레임(100) 또는 제 2 프레임(2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 1 프레임(100) 또는 제 2 프레임(200)은 상기 볼 베어링으로 연결된 상기 조립부(100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조립부(1000)의 개수를 추가하여 상기 제 1 프레임(100) 또는 제 2 프레임(200)의 길이를 확장 시키거나, 상기 조립부(1000)의 개수를 적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프레임(100) 또는 제 2 프레임(200)의 길이를 축소 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프레임이 굴곡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조립부(1000)에 의해 곡률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고기 등이 구부러지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상기 제 1 돌출부(110)가 형성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110)가 형성된 방향에서 곡률반경이 형성될 수 있다. 곡률이 형성된 상기 제 1 프레임(100)의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거리는, 곡률이 형성되지 않은 플랫한 상태의 상기 제 1 프레임(100)이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 사이(130)의 이격거리는 플랫한 상태보다 곡률이 형성되었을 때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상기 제 2 돌출부(130)가 형성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돌출부(130)가 형성된 방향에서 곡률반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부(1000)의 상기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상기 조립부(1000)의 제 2 돌출부(130)의 이격거리는 플랫한 상태보다 곡률이 형성되었을 때 더 작아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이격거리는 플랫한 상태보다 곡률이 형성되었을 때 더 멀어질 수 있다.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내구성을 위해 휘어지지 않는 소재로 일체로 형성되었다. 또한, 곡면의 구현은 가능하나 고정방식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고정된 프레임의 경우, 다양하게 곡률을 변경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소재의 특성상, 곡률을 변경하고자 할 때, 써멀 스트레스나 물리적 스트레스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상기 다수개의 조립부(1000)를 곡률 반경을 조정하기 때문에, 다양한 곡률 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구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써멀 스트레스나 물리적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프레임(100) 또는 제 2 프레임(200)이 굴곡되는 원리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프레임이 굴곡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프레임(100)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조립부(1000)는 상기 연결부(120)을 통해 인접한 다른 조립부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프레임(100)을 직선형태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조립부(1000)의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조립부(1000)의 제 1 돌출부(110)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돌출부(110) 및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에 각도 A가 정의된다. 즉, 각도 A는 제 1 프레임(100)이 직선 형상으로 플랫하게 형성되는 경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130) 역시 인접한 다른 조립부(1000)의 제 2 돌출부(130)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2 돌출부(130) 및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130) 사이에 동일한 각도 A가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의 형상에 따라, 각도 A는 예각 내지 둔각일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00)이 곡선 형태일 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부(1000)의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가 접하면서 상기 제 1 프레임(100)이 직선형태일 때 정의되었던 각도 A가 소멸하여 각도는 0도가 된다. 이 때, 상기 조립부(1000)의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130) 사이의 각도는 A보다 큰 B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 1 돌출부(110)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 1 프레임(100)이 곡률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각도가 0도 보다 같거나 크고 A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130) 사이의 각도는 A보다 크고, B보다 같거나 작은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130)가 접하면서 각도 A가 소멸하여 0도가 되고,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각도가 B가 되어 곡률을 발생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도 B는 각도 A가 소멸되었을 때, 반대측에 대응되는 돌출부와 인접한 다른 돌출부 사이의 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각도가 0도 일 때,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130)사이의 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각도 또는 상기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130) 사이의 각도는 0도 내지 각도 B 중 어느 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는 모든 영역에서 각도 A가 소멸되어 0도가 되고, 상기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130)는 모든 영역에서 각도 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130)에 정의된 각도 A가 소멸되고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에 각도 B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각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각도가 0도가 되고, 다른 영역에서는 0도보다 크고, 각도 A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형성되는 각도는 일정하게 커질 수 있다.즉,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플랫한 형상 및 일정 각도까지 구부러지는 형상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프레임(200) 역시 상기 제 1 프레임(100)과 동일한 원리로 플랫한 형상 및 일정 곡률까지 구부러진 형상을 모두 구현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3 프레임(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3 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프레임(300)은 바디(310), 상측부(320) 및 하측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310)는 곡률을 갖지 않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310)에는 표시패널 및 커버기판 등을 고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표시패널 및 커버기판 등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방향의 일측이 오픈된 형태이고, 타측이 직선 형태로 닫혀있는 형태인 ‘ㄷ’자 형태로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제 1 방향의 일측이 오픈된 형태이고, 타측이 곡선으로 닫혀있는 'U'자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표시패널 및 커버기판 등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부(320)는 상기 제 1 방향의 일측에 체결부(152)를 포함하는 형상이며, 타측은 직선이나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부(330) 역시 상기 제 1 방향의 일측에 체결부(153)를 포함하고, 타측은 직선이나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측부(320)의 상기 체결부(152)는 상기 제 1 프레임(100)의 상기 제 2 체결부(160)와 연결 되고, 상기 하측부(330)의 상기 체결부(153)는 상기 제 2 프레임(200)의 상기 제 2 체결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프레임(3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상기 제 2 프레임(200)과 볼 베어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프레임(3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상기 제 2 프레임(200)을 지지하고, 상기 표시패널 및 커버기판 등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4 프레임(4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4 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4 프레임(400)은 바디(410), 상측부(420) 및 하측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410)는 곡률을 갖지 않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프레임의 바디(310)와 같이 표시패널 및 커버기판 등을 고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제 1 방향의 일측이 오픈된 형태이고, 타측이 직선 형태로 닫혀있는 형태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제 1 방향의 일측이 오픈된 형태이고, 타측이 곡선으로 닫혀있는 'U'자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표시패널 및 커버기판 등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부(420)는 상기 제 1 방향의 일측에 체결부(162)를 포함하는 형상이며, 타측은 직선이나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부(430) 역시 상기 제 1 방향의 일측에 체결부(163)를 포함하고, 타측은 직선이나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측부(420)의 상기 체결부(162)는 상기 제 1 프레임(100)의 상기 제 1 체결부(150)와 연결 되고, 상기 하측부(430)의 상기 체결부(163)는 상기 제 2 프레임(200)의 상기 제 1 체결부(150)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 4 프레임(4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상기 제 2 프레임(200)과 볼 베어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 프레임(4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상기 제 2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패널 및 커버기판 등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제 2 프레임(2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의 곡률이 구현되는 형상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다수의 조립부(1000)가 연결부(120)에 의해 조립된 상기 제 1 프레임(100) 또는 제 2 프레임(200)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부(1000)의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조립부(1000)의 제 1 돌출부(110) 사이에 정의된 각도 A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소멸되면서 상기 제 1 프레임(100)의 곡률이 구현된다. 이 때, 상기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 사이의 각도는 각도 A보다 크고, 각도 B보다 작거나, B인 상태이다.
상기 제 2 프레임(2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과 동일한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되면서,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이 변형된다. 이 때, 상기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은 상기 제 3 방향의 일측으로 곡률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10)가 형성된 방향으로 곡률 반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프레임(300) 및 상기 제 4 프레임(4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상기 제 2 프레임(200)을 지지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다수의 조립부(1000)가 연결부(120)에 의해 조립된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제 2 프레임(200)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부(1000)의 상기 제 2 돌출부(130)와 인접한 다른 조립부의(1000)의 제 2 돌출부(130) 사이에 정의된 각도 A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소멸되면서 상기 제 1 프레임(100)의 곡률이 구현된다. 이 때, 상기 제 1 돌출부(110)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 사이의 각도는 각도 B보다 작거나 B인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2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과 동일한 방향 및 곡률이 형성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10)이 변형된다. 이 때, 상기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은 상기 제 3 방향의 타측으로 곡률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돌출부(130)가 형성된 방향으로 곡률 반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프레임(300) 및 상기 제 4 프레임(4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상기 제 2 프레임(200)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은 상기 제 3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은 물고기 등과 유사한 유연성을 갖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은 각 돌출부 사이에 정의된 각도에 따라 곡률 반경이 정의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10)은 4000R 내지 6000R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의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프레임의 평면도 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프레임(101)은 다수개의 조립부(1100)로 구성된다. 상기 조립부(1100)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조립부(1100)는 연결부(121), 제 1 돌출부(111) 및 제 2 돌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21)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립부(110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조립부(1100)는 상기 연결부(12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프레임(10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1 돌출부(111) 및 제 2 돌출부(500)는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121)의 양 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11)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1100)의 제 1 돌출부(111)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 돌출부(500)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1100)의 제 2 돌출부(500)와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01)은 상기 제 1 돌출부(111)와 인접한 다른 조립부(1100)의 제 1 돌출부(111)가 서로 맞닿으면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111)는 제 1 변(111a), 제 2 변(111b) 및 제 3 변(111c)으로 둘러 쌓인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돌출부(111)의 상기 제 2 변(111b)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500)는 제 1 변(500a), 제 2 변(500b) 및 제 3 변(500c)으로 둘러 쌓인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돌출부(500)를 제 2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상기 제 1 변(500a)과 상기 제 3 변(500c)은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2 변(500b)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돌출부(111)의 상기 제 2 변(111b)과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1)의 제 2 변(111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출부(500)의 상기 제 2 변(500b)과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500)의 제 2 변(500b)이 서로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프레임(101)을 상기 제 2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돌출부(111)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500)는 서로 접하여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111) 또는 제 2 돌출부(500)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 또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서로 다른 조립부(1100)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111)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면 충분하다.
상기 제 1 프레임(101)은 상기 제 1 돌출부(111)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1)와 서로 접하면서 곡률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111)의 상기 제 2 변(111b)이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1)의 제 2 변(111b)과 서로 접하면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500)의 상기 제 2 변(500b)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500)의 제 2 변(500b)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돌출부(111)는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1) 사이에 정의된 각도 A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소멸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500)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500) 사이에는 0도보다 큰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111)가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1)와 서로 접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 2 돌출부(500)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500)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제 2 돌출부(500)를 통해 곡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111)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제 1 변(111a)과 상기 제 3 변(111c)은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변(111b)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변(111b)은 서로 접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500)의 상기 제 2 변(500b)이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500)의 제 2 변(500b)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프레임(101)은 상기 제 2 돌출부(500)가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500)와 서로 접하면서 곡률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01)의 구조처럼, 상기 제 1 돌출부(101) 및 제 2 돌출부(500) 중 한 측의 돌출부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도 일 방향으로 프레임의 휨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도 상기 제 1 프레임(101)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프레임(101) 및 제 2 프레임을 제외한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제 3 방향 중 어느 한측으로만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플랫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플랫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하는데 유리하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의 조립부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사시도 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조립부의 형상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165)는 조립부(120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는 상기 연결부(165)의 양 측에 배치된다. 상기 조립부(12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165)는 제 1 체결부(170)와 제 2 체결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체결부(170)는 상기 연결부(165)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체결부(180)는 상기 연결부(165)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170)는 상기 연결부(165) 일단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180)는 상기 연결부(165) 타단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170)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1200)의 제 2 체결부(18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핀(190)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핀(190)은 헤드(191)와 몸체(1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170)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제 1 체결부(170)는 체결홀(1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61)의 형태는 핀의 몸체(192)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핀의 몸체(192) 형태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기둥, 사각기둥, 수나사 또는 암나사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체결부(180)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제 2 돌출부(180)는 중앙에 핀(190)과 결합할 수 있는 체결홀(18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홀(181)의 형태는 핀의 헤드(191)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핀의 헤드(191)는 원기둥의 몸체(192)에서 돌출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핀의 헤드(191)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체결부(170)는 상기 연결부(165)의 상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 2 체결부(18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후, 상기 제 1 체결부(170) 및 제 2 체결부(180)를 핀(190)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조립부(1200)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핀의 몸체(192)는 상기 제 1 체결부(170)에 체결되고, 상기 핀의 헤드(191)는 상기 제 2 체결부(180)에 체결되어, 상기 조립부(1200)와 인접한 다른 조립부(12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 또는 제 2 프레임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상기 조립부(1200)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립부(1200)를 이용한 상기 제 1 프레임 또는 제 2 프레임은 별도 구성인 핀을 사용하여 제 1 프레임 또는 제 2 프레임을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의 조립부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사시도 이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조립부의 형상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립부(1300)는 일측에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부(112) 및 타측에 형성된 제 2 돌출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돌출부(112) 및 상기 제 2 돌출부(132)의 끝단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600)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600)는 상기 제 1 돌출부(112) 및 상기 제 2 돌출부(132)의 끝 단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600)는 상면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변(600a)과 제 3 변(600c) 및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변(600b) 및 제 4 변(600d)을 포함하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돌출부(112) 및 제 2 돌출부(132)에 형성된 상기 리브(600) 사이에 표시패널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리브(600)는 표시패널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조립부(1300)가 다수개 연결되어 제 1 프레임 또는 제 2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제외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상기 조립부(130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프레임 또는 제 2 프레임을 구성할 때, 각각의 프레임과 상기 표시패널 및 커버기판 등과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의 형상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20)은 제 1 프레임(100), 제 2 프레임(200), 제 3 프레임(730) 및 제 4 프레임(74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1 프레임(100), 제 2 프레임(200), 제 3 프레임(730) 및 제 4 프레임(740)은 다수개의 조립부(100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프레임(20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과 같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3 프레임(730)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4 프레임(740)은 상기 제 3 프레임(730)과 같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상기 제 3 프레임(730) 및 제 4 프레임(740)의 상기 제 2 방향의 일 끝 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프레임(200)은 상기 제 3 프레임(730) 및 제 4 프레임(740)의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 끝 단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조립부(1000)는 연결부(120),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1000)와 볼 베어링 또는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110)는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11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 돌출부(130)는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130)와 접하거나,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제 2 프레임(200)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프레임(730) 및 제 4 프레임(740)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20)은 상기 제 3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프레임(100), 제 2 프레임(200), 제 3 프레임(730) 및 제 4 프레임(740)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20)은 플랫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20)을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이 모두 곡률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프레임(100)과 제 2 프레임(200)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방향의 일측과 타측으로 굴곡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프레임(730)과 제 4 프레임(740)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방향의 일측과 타측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2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상기 제 2 프레임(200)과 상기 제 3 프레임(730) 및 제 4 프레임(740)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10), 표시패널(2000) 및 커버 기판(2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펴거나 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유연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표시패널(2000)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기판(2100)은 상기 표시패널(2000)에 형성된 굴곡과 동일한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기판(2100)도 상기 표시패널(2000)과 같이 플렉서블 커버기판(2100)일 수 있다.
이 때, 표시패널(2000)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률구현이 가능한 표시패널이면 충분하며, 다양한 표시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표시패널(2000)은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면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적녹청(RGB) 컬러필터층들을 포함하는 상부기판과,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와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하부기판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칼라필터 및 블랙매트릭스를 하부기판에 형성하는 COT(color filter on transistor)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 상에 컬러필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개구율을 향상하고 마스크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블랙매트릭스를 생략하고, 공통 전극이 블랙매트릭스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 배면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배면 또는 측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은 상기 제 3 프레임(300) 또는 4 프레임(400)의 바디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200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은 기판 상에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봉지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000) 및 커버기판(2100) 등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10)에 삽입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은 상기 표시패널(2000) 및 커버기판(2100)과 같이 펴거나 구부러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10), 표시패널(2000) 및 커버기판(2100)등을 적용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플랫한 형상이나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도면상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은 상기 제 1 프레임(100), 제 2 프레임(200), 제 3 프레임(300) 및 제 4 프레임(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제 2 프레임(200)은 다수개의 조립부(1000)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프레임(300) 및 제 4 프레임(400)의 형태는 곡률을 갖지 않는 직선형태의 바디를 포함하는 형태이거나, 다수개의 조립부(1000)로 구성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립부(1000)는 연결부(120),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조립부(1000)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는 상기 연결부(120)의 제 3 방향으로 양 측에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110)는 인접한 다른 제 1 돌출부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130)는 인접한 상기 제 2 돌출부와 이격되거나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조립부(1000)는 상기 연결부(120)를 통해 연결되며, 볼 또는 핀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100), 제 2 프레임(200), 제 3 프레임(300) 및 제 4 프레임(400)은 상기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에 상기 표시패널(2000) 및 커버기판(2100)을 고정할 수 있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브는 상기 제 1 프레임(100) 및 제 2 프레임(200)의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제 1 돌출부(110) 및 제 2 돌출부(130)의 끝단에서 제 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프레임(300) 및 제 4 프레임(400)이 다수개의 조립부로 형성될 때, 상기 3 프레임(300)과 제 4 프레임(400)의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 끝단에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2000) 및 커버기판(2100)은 상기 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1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는, 구부리거나 펴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표시패널을 고정하고, 상기 표시패널과 같은 움직임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적 유동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동 구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자 입장에서 다양한 각도에서도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3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제 1 돌출부
100: 제 1 프레임 120: 연결부
200: 제 2 프레임 130: 제 2 돌출부
300: 제 3 프레임 2000: 표시패널
400: 제 4 프레임 2100: 커버기판

Claims (20)

  1.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다수개의 조립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각각 상기 다수 개의 조립부가 제1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되, 인접한 다른 조립부와 일정 각도로 이격되게 서로 연결되어 형성됨에 따라 각각 곡률을 갖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연결부,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립부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상기 제 1 체결부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의 상기 제 2 체결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상기 제 1 돌출부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의 상기 제 1 돌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상기 제 2 돌출부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의 상기 제 2 돌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상기 제 2 돌출부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의 상기 제 2 돌출부와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프레임과 제 4 프레임은 다수개의 조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제 2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내지 제 4 프레임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11.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4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다수개의 조립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각각 상기 다수 개의 조립부가 제1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되, 인접한 다른 조립부와 일정 각도로 이격되게 서로 연결되어 형성됨에 따라 각각 곡률을 갖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배면에 커버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 배면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배면 또는 측면에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연결부,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립부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제 2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 1 돌출부의 리브와 상기 제 2 돌출부의 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상기 제 1 돌출부는 인접한 다른 조립부의 상기 제 1 돌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프레임과 제 4 프레임은 다수개의 조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60209A 2014-05-20 2014-05-20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209A KR102221214B1 (ko) 2014-05-20 2014-05-20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209A KR102221214B1 (ko) 2014-05-20 2014-05-20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86A KR20150133886A (ko) 2015-12-01
KR102221214B1 true KR102221214B1 (ko) 2021-03-02

Family

ID=5488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209A KR102221214B1 (ko) 2014-05-20 2014-05-20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425B1 (ko) 2018-07-1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83884B1 (ko) * 2020-04-21 2020-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060Y1 (ko) * 2002-04-04 2002-07-19 (주)엘포트 엘씨디 전광판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39B1 (ko) * 2012-11-09 2019-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060Y1 (ko) * 2002-04-04 2002-07-19 (주)엘포트 엘씨디 전광판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86A (ko)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5241B2 (en) Tiled display
US10175792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US9454037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2257549B (zh) 显示装置
US10128458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have many variations in shape and form
KR101672345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057471A1 (en) Display device
US10267954B2 (en) Near ey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10120227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US9690329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4280798B (zh) 棱镜片构件和具有该棱镜片构件的多屏显示设备
US9693422B2 (en) Curved display device
KR102187783B1 (ko) 표시 장치
US10788863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809552B2 (en) Support structure of display device
US9626053B2 (en)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and joint touch control display
JP2017532594A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の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装置
US9829745B2 (en) Curved display device with light source fixed by bottom portion of container containing the light source
CN105556584A (zh)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KR102376431B1 (ko) 표시 장치
US9042000B2 (en)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and flexible fluid display
CN110033703A (zh)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KR2015013631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22121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58328A (ko) 원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