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972B1 -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9972B1 KR102229972B1 KR1020130091393A KR20130091393A KR102229972B1 KR 102229972 B1 KR102229972 B1 KR 102229972B1 KR 1020130091393 A KR1020130091393 A KR 1020130091393A KR 20130091393 A KR20130091393 A KR 20130091393A KR 102229972 B1 KR102229972 B1 KR 102229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word
- voice
- input
- signal
- voice recogni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6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219470 Mirabil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058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음성 인식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음성 인식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인식이 시작된 후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시키기 위한 보류키워드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보류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인식 도중 소정의 보류키워드로 음성을 보류시키기 위한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가정 또는 업무를 위한 사무실 등에는 급속한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유/무선 단말기와 각종 가정용 기기들인 TV, VCR, 오디오, 전자렌지, 세탁기, 냉장고, 네비게이션, 로봇 청소기 등 각종 전자기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터치/자판 입력을 하지 않아도 단순히 사용자의 음성만으로 전자기기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음성 인식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기능은 사용자가 음성을 발화 하면, 전자기기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고유의 주파수 특정을 분석하여 어떤 말을 한 것인지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성 인식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가 널리 사용됨으로써,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하게 하기 위하여 음성 인식 기능에 대한 개선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음성 인식이 수행 되는 동안 음성 인식을 보류하여 음성 명령을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최소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이 수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식되고 있는 음성의 내용을 언제라도 수정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방법은, 음성 인식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음성 인식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인식이 시작된 후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시키기 위한 보류키워드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보류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보류키워드는 종료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하는 단계는, 상기 종료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이 종료되는 경우, 새로운 음성 인식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음성 인식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보류키워드는 수정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정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키워드 및 상기 수정키워드에 연속한 음성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와 상기 수정키워드 이후에 입력된 상기 연속한 음성신호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정키워드 및 입력된 음성신호의 단어 간의 유사도, 오타여부, 문법 및 단어의 의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정키워드 이후에 입력된 상기 연속한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 중 대응하는 단어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정키워드 및 상기 연속한 음성신호는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에 연속하여 인식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와; 음성 인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의 음성 인식을 시작하며, 상기 음성 인식이 시작된 후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시키기 위한 보류키워드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류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하는 음성 인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경우, 상기 보류키워드는 종료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종료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을 종료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성 인식이 종료되는 경우, 새로운 음성 인식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음성 인식을 중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경우, 상기 보류키워드는 수정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수정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수정키워드 및 상기 수정키워드에 연속한 음성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수정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와 상기 수정키워드 이후에 입력된 상기 연속한 음성신호를 비교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정키워드 이후에 입력된 상기 연속한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 중 대응하는 단어를 대체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정키워드 및 상기 연속한 음성신호는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에 연속하여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은 음성 인식이 진행되는 동안 소정의 종료키워드에 의해 음성 인식을 언제라도 중단시키고 새로운 음성인식을 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이 진행되는 동안 소정의 수정키워드에 의해 언제라도 음성 인식을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인식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 인식 결과를 조속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이 진행되는 동안, 음성 인식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음성 인식이 완료되기 전이라도 사용자가 음성 인식에 오류가 있음을 인식하면 수정키워드에 의해 음성 인식을 수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인식이 진행되는 동안 음성 인식을 언제라도 중단 및/또는 수정 시킬 수 있으므로 명령을 변경하는데 필요한 사용자의 조작 횟수 및 시간이 감소됨으로써 인식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음성 인식 장치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가 디스플레이기기인 경우, 디스플레이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보류키워드가 종료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류키워드가 종료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보류키워드가 수정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류키워드가 수정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가 디스플레이기기인 경우, 디스플레이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보류키워드가 종료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류키워드가 종료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보류키워드가 수정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류키워드가 수정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서술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음성인식부를 갖는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는 이동 단말기, 텔레비전등의 디스플레이기기, 냉장고, 세탁기, 네비게이션 등 음성 인식 기능을 갖는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다른 음성 인식 장치는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음성 입력부(35) 및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고 처리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15)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33), 음성 인식부(15)를 포함하여 비디오신호 등 각종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10) 및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35)는 사용자의 음성 등 외부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마이크를 포함한다. 음성 출력부(33)는 신호 처리부(1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10)는 음성 인식부(15)를 포함하며, 음성 인식 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각종 신호를 처리한다. 예들 들어,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부(15)에서 처리한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소정의 음성신호 관련 정보가 표시부(50)에 표시되는 경우, 신호 처리부(10)는 해당 음성 신호를 표시부(50)에서 표시 가능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음성 인식부(15)에서 처리한 음성 신호가 음성 출력부(33)를 통해 외부에 출력되는 경우, 신호 처리부(10)는 음성 출력부(33)에서 출력 가능한 신호로 변환한다.
음성 인식부(15)는 자연어 처리기술에 의하여 음성을 인식하게 된다. 음성 인식부(15)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받는 단계와 수신된 음성, 즉 자연어를 처리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 단계를 거쳐서 음성을 인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가 발성한 음성을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의 시작과 종료시점을 검출하여, 입력된 음성 음성 구간에서 특징 데이터를 추출한 후, 실시간으로 벡터 양자화할 수 있다. 이후,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도시된 메모리에 등록된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유사도가 가장 유사한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한다. 그 후, 신호 처리부(10) 내의 미도시된 제어부는 선택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명령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음성 명령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명령을 통해 인터넷, 채널 등의 각종 검색기능, 음성 인식 기능을 갖는 음성인식 장치, 즉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것은 물론이고, 메모 등의 기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5)의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가 이동 단말기 안에 포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신호 처리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모듈(1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모듈(130)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모듈(130)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모듈(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모듈(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출력 모듈(152)은 도 1의 음성 출력부(33)에 대응하는 구성이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표시부(50)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또한, 출력부(150)는 도 1의 음성 입력부(35)에 대응하는 미도시된 음성 입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모듈(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사용자 입력모듈(130)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신호 처리부(180)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모듈(153)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모듈(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신호 처리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15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신호 처리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60)에는 음성 인식에 사용되기 위한 보류 키워드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모듈(170)은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모듈(170)은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모듈(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모듈(170)은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신호 처리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신호 처리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151)의 대기화면 상에 나타나는 그래픽 도구 또는 대기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그래픽 효과를 제어하는 그래픽 모듈(182)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간에 상호작용에 따라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연동되거나 상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모듈(181), 그래픽 모듈(182)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신호 처리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80)는 음성 인식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음성 인식부(185)는 도 1에 도시된 음성 인식부(15)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로서 음성 입력부(185)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신호 처리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신호 처리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신호 처리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신호 처리부(180)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을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이 외부 디스플레이기기(200)에 출력 되도록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표시 명령을 인터페이스모듈(17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80)는 외부 디스플레이기기(200)가 연결된 경우, 외부스피커출력모드가 선택되면, 외부 디스플레이기기(200)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도록 오디오신호를 이동 단말기(200)의 인터페이스모듈(170)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기기(200)로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모듈(17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음성 인식 장치가 디스플레이기기(200)에 해당하는 경우, 디스플레이기기(2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기기(200)는 영상/음성 처리부(201), 디스플레이부(270) 및 음성 입력부(293) 및 음성 출력부(29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 저장부(260), 디스플레이부(270), 음성입출력부(29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201)는 디스플레이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270) 및 음성출력부(291)로, 영상 또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음성 처리부(201)는 신호입력부(210), 복조부(220), 신호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입력부(210)는 튜너부(211), A/V 입력부(212), USB 입력부(213), 무선신호 입력부(2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2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향 신호로 변환한다. 튜너부(2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향 신호(CVBS SIF)는 신호처리부(23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복조부(220)는 튜너부(2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220)는 복조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한다. 그리고, 복조부(220)에서 출력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23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30)는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2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291)로 음성을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9)는 스피커 등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30)는 마이크 등 음성 입력부(293)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입력부(210)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기기(200)를 연결할 수 있다. 신호입력부(21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입력 영상 신호, 외부 입력 음성 신호, 및 외부 입력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기기(200) 내의 신호처리부(230)로 전달한다. 또한, 디스플레이기기(200) 내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입력부(210)의 A/V 입력부(212)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기기(2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230)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 없이 신호 처리부(230)로 입력될 수 있다.
USB 입력부(213)는, USB 단자를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무선신호 입력부(214)는, 디스플레이기기(200)를 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200)는 무선신호 입력부(214)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신호 입력부(214)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입력부(210)는 디스플레이기기(200)와 셋탑 박스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 TV용 셋탑 박스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23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 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230)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예를 들어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향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23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23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신호처리부(23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23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230)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70)의 화면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신호처리부(230)는 디스플레이기기(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음성 인식부(235)는 도 1에 도시된 음성 인식부(15)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로서 음성 입력부(235)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신호처리부(2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60)는 신호입력부(21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200)는, 저장부(2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부(2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60)에는 음성 인식에 사용되기 위한 보류 키워드 값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는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음성 인식 명령을 수신하고, 음성 인식부(15)가 수신된 음성 인식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특히,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인식이 시작된 후,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소정의 음성이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인식을 보류시키기 위한 보류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음성 인식을 보류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인식부(15)는 보류키워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음성 인식을 완료하고, 신호처리부(10)는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보류 키워드는 음성 인식을 일시 중단 또는 영구 중단시키기 위한 종료키워드와 수신된 음성신호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보류키워드가 종료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인식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음성 입력부(35)를 통하여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라는 특정 음성 인식 명령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인식 모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음성 인식 명령 키워드는 "음성 인식 시작", "시작"과 같은 음성키워드, 음성 인식 장치에 해당하는 전자기기가 TV인 경우 "TV, 냉장고인경우 "냉장고" 등과 같은 음성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음성 인식 장치의 특정 키버튼을 선택하거나 어플이 실행되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인식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특헝 키버튼의 입력 또는 어플 시작 명령이 음성 인식 명령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한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소정 음성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소정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S430). 여기서, 음성 인식 동작을 시작한 후, 특정 보류키워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음성인식을 수행 및 완료(S470)하게 된다. 한편, 음성 인식 동작을 시작한 후 특정 종료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S450),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인식을 종료한다(S490). 그리고, 음성 인식부(15)는 새로운 음성이 음성 입력부(35)를 통해서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기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이때, 소정 시간 동안 새로운 음성이 입력되지 않거나 음성 인식 모드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인식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상태에서 소정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다시 음성 인식을 시작할 수 있다(S430).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류키워드가 종료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가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한 경우, 음성 인식 장치의 표시부(50)에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같은 음성 인식 대기상태임을 알리는 상태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소정의 음성 명령을 내리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해당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음성의 인식이 시작되고 음성 인식이 완료 되기 전에 표시부(50)에 인식중임을 알리는 소정의 알림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성 인식 모드에 소정의 음성 명령, 예를 들어 "가까운 전철역이 어디야?" 라는 음성을 발화할 수 있으며, 이 음성은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음성 인식부(15)에서 인식되게 된다. 이때, 음성 인식부(15)가 해당 음성을 인식하는 동안 사용자가 소정의 종료키워드, 예를 들어 "잠깐", "그만", "정지", "종료" 등 기설정된 종료키워드를 발화하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해당 종료 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수행하던 음성 명령에 대한 인식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가 TV인 것을 일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는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명령이 "TV" 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TV" 라고 말하는 경우, 음성 인식 장치는 "TV" 라는 음성에 의하여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한 후, 음성 인식부(15)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이 발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명령이 발화되고,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소정의 음성 명령, 예를 들어 "최근 인기있는 영화 검색해줘" 라는 음성이 입력될 수 있으며, 이 음성은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음성 인식부(15)에서 인식되게 된다. 이때, 음성 인식부(15)가 해당 음성을 인식하는 동안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소정의 종료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인식을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음성이 발화되어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새로운 음성 명령, 예를 들어, "뉴스 보여줘" 와 같은 음성이 수신되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새로운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음성 인식부(15)는 "뉴스 보여줘" 라는 새로운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TV의 채널을 뉴스를 방영하는 채널로 변경시키거나, 복수의 뉴스 채널을 사용자에게 보여준 후 사용자가 이를 고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보류키워드가 수정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인식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10).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한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소정 음성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소정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S730). 여기에서, 음성 인식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음성 인식을 시작하는 단계는 각각 도 4의 S410 및 S710 단계에 대응한다.
음성 인식 동작을 시작한 후, 특정 보류키워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음성인식을 수행 및 완료(S770)하게 된다. 한편, 음성 인식 동작을 시작한 후 음성 인식부(15)는 기설정된 특정 수정키워드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50). 이때, 음성 인식부(15)는 특정 수정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력된 수정키워드가 수정의도를 갖는 수정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수정키워드가 입력되기 이전의 음성신호, 수정키워드 및 수정키워드에 연속한 음성신호를 인식한다. 그리고, 수정 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와 수정키워드 이후에 입력된 음성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수정키워드가 수정의도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수정 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단어와 수정키워드 이후에 입력된 단어가 서로 대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수정 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단어와 이후에 입력된 단어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거나 이전에 입력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거나 오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음성신호를 인식한 후 문법상 잘못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수정키워드가 수정의도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5)는 입력된 수정키워드가 수정의도를 갖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정키워드를 수정의미가 아니라 키워드 자체의 의미로 해석하여 음성 인식을 진행 및 완료한다(S770).
한편, 음성 인식부(15)는 입력된 수정키워드가 수정의도를 갖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정될 단어와 수정할 단어를 사용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수정하고(S780) 수정된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진행 및 완료한다(S770).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류키워드가 수정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가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한 경우, 음성 인식 장치의 표시부(50)에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같은 음성 인식 대기상태임을 알리는 상태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S710). 즉, 사용자는 음성 인식 모드에 소정의 음성 명령, 예를 들어 "홍길동한테 여섯시..." 라는 음성을 발화할 수 있으며, 이 음성은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음성 인식부(15)에서 인식되게 된다. 이때, 음성 인식부(15)가 해당 음성을 인식하는 동안 사용자가 소정의 수정키워드, 예를 들어 아니, 다시, 수정 등 기설정된 수정키워드를 발화하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해당 수정 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수행하던 음성 명령에 대한 인식과정을 보류하고 수정 키워드가 수정의도로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음성 인식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홍길동한테 여섯시..." 라는 음성을 발화하면 음성 인식부(15)는 음성 인식을 시작하게 된다(S730). 이때, 사용자가 이어서 "아니 네시에 만나자고 해" 라고 음성을 발화할 수 있다. 여기서, "아니" 라는 음성이 기설정된 수정키워드인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아니" 라는 음성이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아니" 이후에 입력되는 음성도 이어서 수신한다. 그리고, "아니라는 음성 전후의 음성신호를 비교하여 아니에 해당하는 수정키워드가 수정의도로 쓰인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760). 이때, 음성 인식부(15)는 수정키워드 이전의 단어와 이후의 단어를 비교할 수 있다. 즉, 도 8에 대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은 "홍길동한테 여섯시 아니 네시에 만나자고 해" 이고, 수정키워드 전후의 음성신호를 비교한 결과 음성 인식부(15)는 여섯시와 네시에 해당하는 단어가 서로 대응하거 수정 가능한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인식부(15)는 네시로 여섯시를 대체하는 수정을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홍길동한테 네시에 만나자고 해" 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S780).
도 9에 따르는 실시예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는 음성 인식 대기상태에서(S710),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S730). 즉, 사용자는 음성 인식 모드에 소정의 음성 명령, 예를 들어 "홍길동한테 오늘은 만나기로 한 날이 아니라고 해" 음성을 발화할 수 있으며, 이 음성은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음성 인식부(15)에서 인식되게 된다. 이때, 음성 인식부(15)는 소정의 수정키워드 "아니" 가 입력되므로(S750), 수정키워드가 수정의도로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60) 수정의도로 사용되지 않았으며 수정키워드의 그 의미 자체로 사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별도의 수정 없이 입력된 음성신호 그 자체에 대한 인식 과정을 수행하고 완료하게 된다(S77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음성 인식 장치가 디스플레이기기인 것을 일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도 10은 도 6과 같이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명령이 "TV"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TV" 라고 말하는 경우, 음성 인식 장치는 "TV"라는 음성에 의하여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S710).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한 후, 음성 인식부(15)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이 발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 예를 들어 "채널 3" 이라는 음성이 발화되는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시작한다(S730). 그리고, 음성 인식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아니, 채널 7" 이라는 음성이 더 입력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5)는 수정키워드에 해당하는 "아니" 라는 음성이 인식되면, "아니" 라는 수정키워드가 수정의 의도로 쓰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60). 판단 결과, 수정의도로 사용되었다면 음성 인식부(15)는 채널 3 대신 채널 7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따라 채널 7로 TV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S770).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가 이동 모바일 등 메모 기능이 있는 전자장치인 경우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오늘은 2013년 2월 21일..." 이라는 음성을 발화한 경우, 음성 인식부(15)는 입력된 음성에 따라 음성 인식을 시작하고(S730), 인식된 음성을 표시부(50)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미 음성 인식이 시작되어 음성이 표시부(50)에 표시된 후에도 사용자에 의해 수정키워드가 입력된 경우(S750), 음성 인식부(15)는 수정키워드 및 이후에 입력된 음성신호를 기초로 수정키워드가 수정의도의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60).
즉, 도면과 같이, 사용자가 "오늘은 2013년 2월 21..." 이라고 발화했는데, 음성 인식부에서 "21"을 "22"로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음성 입력부(35)를 통해 다시 "아니, 오늘은 2013년 2월 21일.."이라고 음성이 입력되면, 음성 인식부(15)는 "아니" 전후의 음성을 다시 비교한 후, 수정 키워드에 연이어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다시 인식하여 수정된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완료할 수 있다(S780, S770).
종래에는 음성 인식이 시작된 후에는 음성 인식이 완료될 때까지 음성 인식을 보류시킬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음성 인식이 완료 되기 전에 음성 인식을 보류 시킴으로써 음성 명령을 변경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인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 음성 인식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성 인식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음성 인식이 시작된 후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시키기 위한 보류키워드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보류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하는 단계; 및 상기 보류키워드는 수정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제 1 음성신호와 상기 수정키워드 이후에 입력된 제 2 음성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제 1 음성신호와 상기 제 2 음성신호가 서로 수정 가능한 관계인 경우, 상기 제 1 음성 신호를 상기 제 2 음성 신호로 수정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키워드는 종료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하는 단계는, 상기 종료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이 종료되는 경우, 새로운 음성 인식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음성 인식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키워드 및 입력된 음성신호의 단어 간의 유사도, 오타여부, 문법 및 단어의 의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정키워드 이후에 입력된 연속한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 중 대응하는 단어를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정키워드 및 연속한 음성신호는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에 연속하여 인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방법. -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 및
음성 인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의 음성 인식을 시작하며,
상기 음성 인식이 시작된 후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시키기 위한 보류키워드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류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을 보류하고, 상기 보류키워드는 수정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제 1 음성신호와 상기 수정키워드 이후에 입력된 제 2 음성신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제 1 음성신호와 상기 제 2 음성신호가 서로 수정 가능한 관계인 경우, 상기 제 1 음성 신호를 상기 제 2 음성 신호로 수정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키워드는 종료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종료키워드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성 인식이 종료되는 경우, 새로운 음성 인식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음성 인식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정키워드 이후에 입력된 연속한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 중 대응하는 단어를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수정키워드가 수정을 위한 키워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정키워드 및 연속한 음성신호는 상기 수정키워드 이전에 입력된 음성신호에 연속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393A KR102229972B1 (ko) | 2013-08-01 | 2013-08-01 |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393A KR102229972B1 (ko) | 2013-08-01 | 2013-08-01 |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703A KR20150015703A (ko) | 2015-02-11 |
KR102229972B1 true KR102229972B1 (ko) | 2021-03-19 |
Family
ID=5257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1393A KR102229972B1 (ko) | 2013-08-01 | 2013-08-01 |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99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74563A (zh) * | 2016-11-09 | 2018-05-2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时钟应用的控制方法及装置 |
KR20180084394A (ko) | 2017-01-17 | 2018-07-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발화 완료 감지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
KR102170844B1 (ko) * | 2018-03-14 | 2020-10-27 | 주식회사 산타 | 강의 관련 키워드를 기반으로 하는 강의 음성파일 텍스트 변환 시스템 |
CN112243526A (zh) * | 2018-06-05 | 2021-01-19 | 三星电子株式会社 | 语音辅助设备及其方法 |
KR102722595B1 (ko) | 2018-10-31 | 2024-10-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677288B1 (ko) * | 2019-06-03 | 2024-06-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음성인식 방법 |
KR20230127783A (ko) * | 2022-02-25 | 2023-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1754A (ja) * | 2002-07-26 | 2004-02-26 | Denso Corp | 音声制御装置 |
JP2006146008A (ja) * | 2004-11-22 | 2006-06-08 |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 音声認識装置及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2932B1 (ko) * | 2008-05-28 | 2014-1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수정방법 |
KR101197010B1 (ko) * | 2011-03-30 | 2012-11-05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
-
2013
- 2013-08-01 KR KR1020130091393A patent/KR1022299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1754A (ja) * | 2002-07-26 | 2004-02-26 | Denso Corp | 音声制御装置 |
JP2006146008A (ja) * | 2004-11-22 | 2006-06-08 |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 音声認識装置及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703A (ko) | 2015-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9972B1 (ko) |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
JP5746111B2 (ja) |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5819269B2 (ja) |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6111030B2 (ja) |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RU2677396C2 (ru) |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реч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речи | |
KR101961139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음성 인식 방법 | |
US10228904B2 (en) | Gaze triggered voice recognition incorporating device velocity | |
EP3719631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JP5754368B2 (ja) | 車両の統合操作装置による携帯端末の遠隔的な操作方法、および車両の統合操作装置 | |
US20130072251A1 (en) |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mobile terminal and system | |
US20140136213A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13037689A (ja) |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2014532933A (ja) |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AU2012293060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 |
KR101688145B1 (ko) |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
JP7210745B2 (ja) | 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れによるディスプレイ装置 | |
US20150340031A1 (en) |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11178280B2 (en) | Input during conversational session | |
US8737819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dia contents reproducing method thereof | |
US9779124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524100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by the electronic apparatus | |
CN113132668A (zh) | 显示设备、移动设备、由显示设备执行的视频呼叫方法以及由移动设备执行的视频呼叫方法 | |
CN111434117B (zh) | 图像显示装置及操作图像显示装置的方法 | |
KR20130080380A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102024590B1 (ko) | 음성 인식 엔진을 탑재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