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9329B1 -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329B1
KR102229329B1 KR1020140010674A KR20140010674A KR102229329B1 KR 102229329 B1 KR102229329 B1 KR 102229329B1 KR 1020140010674 A KR1020140010674 A KR 1020140010674A KR 20140010674 A KR20140010674 A KR 20140010674A KR 102229329 B1 KR102229329 B1 KR 102229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s
information
monitor devic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373A (ko
Inventor
윤홍철
공희석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3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모니터 장치는 차량의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단말이 장착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동일 그룹에 속하지 않는 두 차량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지 판단하며,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의 근접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일정 기간 이상 근접된 상태로 유지되다면, 동일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들이 동일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의 그룹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다양한 장비가 같이 작업하는 환경에서 운영자 및 운전자가 전체 장비에 대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 편의성 및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VEHICLE MONITORING}
본 명세서는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건설현장 및 광산 등과 같은 작업환경에서는 굴삭기, 휠로더, 트럭 등 다양하고 많은 장비들이 함께 작업을 한다. 또한 굴삭기가 돌을 파내고 분쇄한 뒤, 휠로더가 분쇄된 돌을 옮기고 다시 굴삭기가 옮겨진 분쇄물을 트럭에 상차한 뒤 트럭이 이를 이동시키는 등 각 장비가 서로 연계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러 대의 장비가 함께 움직이므로, 장비들이 동시에 움직이면 부주의나 시야제한으로 인하여 한 장비의 운전자가 다른 장비의 위치를 놓칠 수 있다. 또한 장비 운전자는 한 번의 작업이 끝난 뒤 다음 작업을 준비하기 위한 시간을 정확히 알기 힘들기 때문에 작업 간격 조절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차량 장비 운전자는 육안으로 주변의 위험을 감지하고 수동으로 차량 장비를 제어하여 위험을 회피하거나 경적, 육성으로 다른 차량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린다. 또한 한 주기의 작업 시간은 운전자가 스스로 기록하거나 운전자 스스로의 추측에 의존하여 판단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대규모 작업장에서 차량의 위험을 회피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모니터 장치는 차량의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단말이 장착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동일 그룹에 속하지 않는 두 차량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지 판단하며,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의 근접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일정 기간 이상 근접된 상태로 유지되다면, 동일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들이 동일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의 그룹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단말들과 연결된 모니터 장치에 의한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모니터 장치의 저장부에 의해 차량의 그룹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모니터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단말이 장착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동일 그룹에 속하지 않는 두 차량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두 차량이 동일 그룹에 속하도록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의 그룹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의 그룹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니터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지 판단하며,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의 근접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일정 기간 이상 근접된 상태로 유지되다면, 동일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들이 동일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의 그룹 정보를 갱신한다.
삭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장비가 같이 작업하는 환경에서 운영자 및 운전자가 전체 장비에 대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 편의성 및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모니터 장치(2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단말(3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완료 메시지 전달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그룹 갱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 장치(200), 통신망(110) 및 차량 단말(300)을 포함한다. 차량 단말(300)은 예를 들어 제1 차량 단말(132) 및 제2 차량 단말(134)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200) 및 차량 단말들(300)은 통신망(110)을 통해 연결된다. 통신망(110)은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망,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망, 인터넷 프로토콜(IP) 통신망, 기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일부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단말들(300)은 차량에 장착/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차량 단말(132)은 굴삭기에 장착되고, 제2 차량 단말(134)은 덤프트럭에 장착될 수 있다. 차량 단말(300)은 센서를 구비하거나 외부의 센서로부터 차량 단말(300)이 장착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의 위치, 속도, 소모 연료, 이동 거리, 이동 속도 중 적어도 일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단말(300)은 획득된 상태 정보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송신한다. 또한 차량 단말(300)은 모니터 장치로부터 가공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표시부나 다른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모니터 장치(200)는 차량 단말들(300)로부터 각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한다. 모니터 장치(200)는 수집한 상태 정보를 토대로 가공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공된 정보는 예를 들어 통계 정보, 차량 배치 정보 및/또는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200)는 수집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통계 처리를 수행하여 연료 소모량, 예상 작업 소요시간, 과거의 작업량 등의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200)는 차량 단말들(30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전체 차량의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모니터 장치(200)는 차량 단말들(300)의 배치나 이동 패턴을 기초로 동일한 작업에 관여하는 차량 단말들(300)을 묶어서 그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의 구체적인 동작 방식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모니터 장치(200)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모니터 장치(200)는 입력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표시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입력부(210)는 예를 들어 키보드, 키 패드, 마우스 및 터치 스크린 기타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운영자의 운영 명령이나 운영자가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210)는 표시부(240)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방식의 표시부(240)는 그룹 내의 각 차량의 위치, 작업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대상 차량에 대한 작업 완료 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면 작업 완료 정보가 통신망(110)을 통해서 모니터 장치(200)에게 전달되고, 모니터 장치(200)는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했음을 대상 차량에게 전달한다.
통신부(220)는 모니터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20)는 통신망(110)을 통해 차량 단말(300)과 신호를 주고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별도의 통신망을 통하지 않고 직접 차량 단말(300)과 신호를 주고받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별도의 통신망을 통하지 않고 장치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장치 간 통신이라고 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망은 차량 단말(300)과 모니터 장치(200) 사이의 신호 전달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 통신만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의 경우에도 통신망에 대한 언급을 생략하고 차량 단말(300)과 모니터 장치(200) 사이에 신호 전달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할 것이다.
통신부(220)는 차량 단말(300)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50)에게 전달한다. 제어부(250)는 수신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아울러 차량의 상태 정보를 가공하여 가공된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통신부(220)는 차량 단말(300)로부터 가공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통신부(220)는 요청 메시지를 제어부(250)에게 전달한다. 제어부(250)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저장부(230)로부터 가공된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부(220)에게 전달한다. 통신부(220)는 제어부(250)로부터 수신한 가공된 정보를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차량 단말(300)에게 전송한다.
저장부(230)는 모니터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230)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기타 전자기적 저장 매체 중 적어도 일부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가공한 가공 정보, 예를 들어 통계 정보 및/또는 각 차량의 그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의 표시부(240)는 차량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예를 들어 현재 차량의 배치 상황을 지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40)는 각 작업의 진행 상태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사고 위험에 대한 경고나 사고 발생 사실의 통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부(240)는 운영자가 입력한 조건에 맞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발광다이오드(LED), 기타 현재 알려졌거나 미래에 알려질 표시 방식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모니터 장치(2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특히 각 차량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상태 정보를 가공하여 가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각 차량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 예를 들어 가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차량 단말(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200)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나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 및 표시부(240)는 생략되고 별도의 조회 단말을 통해 모니터 장치(200)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출력 화면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별도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대체될 수도 있다.
모니터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단말(3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단말(300)은 입력부(310), 통신부(320), 저장부(330), 표시부(340), 제어부(350), 스피커(360) 및 센서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350)에 전달한다. 입력부(310)는 예를 들어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및 터치 스크린 기타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차량 운전자의 조작 명령이나 차량 운전자가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내는 메시지, 또는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했다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통신부(320)는 차량 단말(300)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부(320)는 통신망(110)을 통해 모니터 장치(200)와 신호를 주고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별도의 통신망을 통하지 않고 직접 모니터 장치(200)와 신호를 주고받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모니터 장치(200)에게 가공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20)는 모니터 장치(200)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가공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320)는 차량 운전자의 입력 메시지 및/또는 차량 운전자의 작업 완료 정보의 입력에 따라 차량 운전자의 입력에 상응하는 신호를 다른 차량 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는 모니터 장치(200)를 거쳐서 전달될 수도 있고 직접 다른 차량 단말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저장부(330)는 차량 단말(3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330)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기타 전자기적 저장 매체 중 적어도 일부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수집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30)는 모니터 장치(200) 또는 다른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340)는 모니터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공 정보 및 차량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340)는 예를 들어 현재 차량의 배치 상황을 지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40)는 차량 단말(300)이 장착된 차량의 진행 상태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40)는 사고 위험에 대한 경고나 사고 발생 사실의 통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부(340)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발광다이오드(LED), 기타 현재 알려졌거나 미래에 알려질 표시 방식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340)는 차량 단말(300)이 속하는 동일 그룹 내 다른 차량 단말들의 위치, 이동, 작업 상황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차량 단말들의 위치, 이동, 작업 상황에 관한 정보는 모니터 장치(200)가 차량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한 차량을 선택하면 표시부(340)는 선택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선택된 차량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의 위치, 속도, 소모 연료, 이동 거리, 이동 속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또는 그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가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차량 단말(3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차량의 제어 유닛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차량의 제어 유닛과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50)는 센서부(37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부(320)를 통해 모니터 장치(200)에게 송신한다. 제어부(3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320)를 통해 모니터 장치(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한 제어부(350)는 모니터 장치(200)로부터 통신부(320)를 통해 수신한 가공된 정보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340) 및/또는 스피커(3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360)는 청각적 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스피커(360)는 사고 위험이나 사고 발생에 대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20)가 다른 차량 단말로부터 작업 완료 정보의 신호를 수신하면 스피커(360)가 작업 완료 정보를 알리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370)는 차량 단말(300)이 장착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350)에게 전달한다. 차량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 위치 정보, 연료 소비량, 기타 수집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수신한 상태 정보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전달하거나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한다. 표시부(340)는 계기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차량 단말(300)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나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단말(300)은 직접 센서부(370)를 포함하지 않고 차량의 센서부 및/또는 차량의 제어 유닛으로부터 센싱 결과 신호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단말(300)은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310), 표시부(340), 스피커(360)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 단말(300)의 입력/시각출력/청각출력 기능은 일부 제한될 수 있다.
차량 단말(300)은 예를 들어 TMS(traffic management system) 단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다른 형태의 단말로도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단말(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제1 차량 단말(132)이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는 상태 정보 중 차량의 위치 정보만을 언급한다. 하지만 상태 정보는 차량의 속도, 연료량, 연료 소비량, 작업량, 차량의 속성, 차량의 종류, 차량 사이의 거리, 차량 사용 모드, 부품 이상 여부, 기타 수집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정보는 센서부(370)를 통해 획득/감지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속도 정보는 차량의 속도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연료량 및/또는 연료소비량은 차량 연료 탱크의 연료 센서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차량의 속성, 종류 등의 정보는 운전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차량의 작업량 정보는 운전자의 입력(작업 완료 정보의 입력, 또는 작업량 입력)이나 거치 부재의 중량 센서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부품 이상 여부 정보는 부품 이상을 점검하는 모듈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단계 415에서 제1 차량 단말(132)은 획득한 상태 정보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20에서 모니터 장치(200)는 수신한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단말에 상응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상태 정보의 송수신 및 수집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25에서 모니터 장치(200)는 수집된 상태 정보에 따라 가공 정보를 갱신한다. 가공 정보는 예를 들어 전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이동에 따라 제1 차량 단말(132)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가 변경된 경우 가공 정보도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제2 차량 단말(134)이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는 상태 정보 중 차량의 위치 정보만을 언급한다. 상태정보는 센서부(370)를 통해 획득/감지될 수 있다.
단계 435에서 제2 차량 단말(134)은 획득한 상태 정보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40에서 모니터 장치(200)는 수신한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 장치(400)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단말에 상응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상태 정보의 송수신 및 수집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45에서 모니터 장치(200)는 수집된 상태 정보에 따라 가공 정보를 갱신한다. 가공 정보는 예를 들어 전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이동에 따라 제2 차량 단말(134)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가 변경된 경우 가공 정보도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단계 410 내지 단계 445의 과정은 시스템 내에서 활동 상태인 모든 차량 단말(300)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차량 단말(300)은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모니터 장치(200)에게 전달한다. 모니터 장치(200)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토대로 가공 정보를 갱신한다. 이를 통해 모니터 장치(200)는 각 차량의 상태 정보 및 가공 정보를 최신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단계 450에서 제1 차량 단말(132)이 모니터 장치(200)에게 가공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가공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예를 들어 가공 정보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하는 가공 정보가 통계 정보인 경우 가공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표본의 식별 정보(그룹, 차량, 기간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가 제1 차량 단말(132)을 통해 현재 차량의 배치 상태를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1 차량 단말(132)은 차량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455에서 모니터 장치(200)는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가공 정보를 제1 차량 단말(132)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 장치(200)는 현재 차량 위치 정보를 제1 차량 단말(132)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제1 차량 단말(132)은 수신한 차량 위치 정보를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차량의 위치 정보는 시스템 내의 활동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표시부(340)는 각 차량의 위치를 지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1 차량 단말(132)에 가장 가까운 차량이 다른 차량과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차량의 종류(굴삭기/트럭 등)에 따라 아이콘, 텍스트 등이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룹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 제1 차량 단말(132)의 차량과 같은 그룹의 차량은 다른 그룹의 차량과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는 1회적 위치 정보의 전달의 예를 들었으나, 차량 단말(300)이 반복적 위치 정보 전달을 요청하는 경우 모니터 장치(200)는 이후 별도의 다른 요청이 있기 전까지는 반복적으로 시스템 내 차량들의 위치 정보를 해당 차량 단말(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제2 차량 단말(134)의 운전자는 특정 기간 동안 제2 차량 단말(134)에 상응하는 차량의 이동거리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차량 단말(134)은 운전자가 입력한 기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전달한다. 모니터 장치(200)는 해당 기간 동안의 각 날짜의 제2 차량 단말(134)의 이동 거리(즉 대응 차량의 이동 거리)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차량의 총 이동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하루, 한달 1년 등 특별한 단위의 통계 정보는 모니터 장치(200)가 별도의 요청 없이도 생성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임의의 기간에 대한 통계 정보는 차량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모니터 장치(200)가 계산/생성하여 차량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단말(300)은 요청된 가공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요청하고, 차량 단말(300)은 수신한 기초 정보를 토대로 가공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차량 단말(300)은 해당 기간 동안의 각 날짜의 이동 거리 정보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요청하고 차량 단말(300)이 각 날짜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합하여 해당 기간 동안의 총 이동 거리 정보를 생성해 낼 수 있다.
모니터 장치(200)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현재위치 및 속도, 과거의 작업 소요시간 통계를 이용하여 특정 차량의 다음 작업까지의 남은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상차용 굴삭기 한대, 이동용 트럭 한대가 같은 그룹에 속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차용 굴삭기가 트럭에 상차를 완료한 후 트럭은 상차된 흙이나 부하물을 적재 위치에 옮긴다. 이때 트럭이 적재위치까지의 이동거리 및 속도, 적재 위치에서 적재 시작 시각 및 적재 종료 시각 등 데이터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송신한다. 모니터 장치(200)는 트럭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트럭의 속도를 이용해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200)는 과거의 트럭이 적재 시작으로부터 적재 종료까지 소요한 작업시간을 이용하여 이후 트럭이 적재에 소요할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200)는 이동에 소요되는 이동 시간 및 작업 시간을 추정하고 이를 더하여 굴삭기가 다음 작업 전까지 남은 여유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여유 시간 정보는 굴삭기에 장착된 차량 단말에게 제공되고 차량 단말은 표시부를 통해 여유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차량 운전자는 여유 시간 정보를 참고하여 급한 용무를 처리하거나 적절히 휴식을 취하면서 대기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차용 굴삭기 한대, 이동용 트럭 여러 대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고 있다고 가정한다. 모니터 장치(200)는 이동하고 있는 트럭의 패턴을 알 수 있으며, 이때 적재를 위한 이동인지 혹은 상차를 위한 이동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장의 경우 해당 순번의 트럭 위치 및 상태 확인을 통하여 각 트럭 및 굴삭기의 다음 작업까지의 남은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가공 정보는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차량이 서로 그룹을 이루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굴삭기가 흙을 파내어 트럭에 실으면, 트럭이 흙을 다른 곳으로 옮겨놓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굴삭기와 트럭은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돼야 한다. 이와 같은 그룹 정보는 운전자 및/또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하여 수동 입력되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6과 같은 방식으로 그룹 정보가 생성/변경될 수도 있다.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그룹 정보가 이미 생성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완료 메시지 전달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의 예에서 두 차량 단말(132, 134)은 하나의 그룹에 속한다. 두 차량 단말(132, 134)은 같은 작업을 수행하므로, 서로 간의 의사 소통이 필요하다. 두 차량 단말(132, 134) 사이에 복잡한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도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특정한 작업 단계의 완료를 알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굴삭기가 트럭에 흙을 가득 실은 이후 작업이 완료됐음을 알리면 트럭이 흙을 운반할 목적지로 출발할 수 있다. 휴대전화를 이용하거나 사람이 소리를 지르는 방식, 경적을 울리는 방식 등이 활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시끄러운 건설 현장 등에서 휴대전화의 사용은 불편하고 사람의 음성은 잘 들리지 않을 위험이 있다. 또한 경적은 위험을 알리는 신호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다른 용도로 혼용될 경우 위험 방지 기능을 상실하거나 위험 방지 기능이 감소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제1 차량 단말(132)이 작업 완료 정보의 입력을 수신한다. 제1 차량 단말(132)의 차량 운전자는 터치 스크린 또는 기타 버튼을 이용해 작업 완료 정보의 입력을 명령할 수 있다. 제1 차량 단말(132)은 작업 완료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면 단계 520에서 제2 차량 단말(134)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제2 차량 단말(134)은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530에서 작업 완료 알람을 출력한다. 제2 차량 단말(134)은 예를 들어 표시부(340)를 통해 작업 완료 알람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스피커(360)를 통해 작업 완료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램프나 기타 다른 출력장치가 활용될 수도 있다. 스피커(360)가 운전실 내에 위치하는 경우 운전자가 외부의 시끄러운 소리에 방해 받지 않고 작업 완료 알람을 확실히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룹 내에 두 차량 단말(132, 134)만이 있는 경우 제1 차량 단말(132)이 작업 완료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차량 단말(132)은 그룹 내의 다른 단말(134)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룹 내에 여러 차량 단말이 있는 경우 제1 차량 단말(132)이 작업 완료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차량 단말(132)은 그룹 내의 다른 모든 단말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차량 단말(132)이 작업 완료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차량 단말(132)은 그룹 내의 다른 차량 단말 중 제1 차량 단말(132)과 가장 가까운 차량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량 단말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접 작업을 함께 수행 중인 차량 단말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르면 제1 차량 단말(132)이 작업 완료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차량 단말(132)은 그룹 내의 다른 차량 단말 중 제1 차량 단말(132)과 가장 가까운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복수)의 차량 단말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량 단말들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차량 단말들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현재 작업에 관여하고 있는 차량 단말 및 다음 차례를 위해 대기하는 단말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르면 제1 차량 단말(132)은 그룹 내의 다른 차량 단말(차량)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어느 한 차량 단말을 선택하면, 제1 차량 단말(132)은 선택된 차량 단말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 예에서 두 차량 단말(132, 134)이 직접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모니터 장치(200)를 통해 메시지가 전달되어도 무방하다. 차량 단말(132, 134) 사이의 직접 통신 방식의 구현이 곤란한 경우 이러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단말은 단순히 송신할 메시지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전달하고 모니터 장치(200)가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과 같은 그룹의 단말을 식별하여 식별된 단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200)는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과 가장 가까운 단말 하나, 또는 가장 가까운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복수)의 차량 단말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량 단말들에게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200)가 차량 단말 간의 메시지 송수신에 관여하는 경우 메시지 수신자의 식별에도 관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그룹 갱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단계 610에서 모니터 장치(200)는 두 차량(차량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10미터) 이내인지 판단한다. 두 차량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가 아닌 경우 과정은 다시 단계 610으로 돌아간다. 두 차량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과정은 단계 620으로 진행한다.
단계 620에서 모니터 장치(200)는 두 차량 단말이 동일 그룹에 속하는 차량 단말인지 판단한다. 두 차량 단말이 동일 그룹에 속하는 차량 단말인 경우 과정은 단계 610으로 돌아간다. 두 차량 단말이 동일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우 과정은 단계 630으로 진행한다.
단계 630에서 모니터 장치(200)는 두 차량 단말의 근접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분)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근접 기간은 두 차량 단말이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연속하여 위치한 기간이다. 두 차량 단말의 근접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과정은 단계 650으로 진행한다. 단계 650에서 모니터 장치(200)는 근접한 두 차량 단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신한다.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 단말들은 표시부(340) 및/또는 스피커(360)를 통해 알람을 출력한다. 운전자는 이를 통해 위험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두 차량 단말의 근접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면 과정은 단계 640으로 진행한다. 두 차량 단말이 일정 기간 이상 근접된 상태로 유지된다면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들에 연관된 차량 단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니터 장치(200)는 두 차량 단말이 동일한 그룹에 속하도록 그룹 정보를 조정한다. 단계 610 내지 단계 650의 과정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며, 두 차량이 접근한 상태로 시간이 지나는 경우 먼저 위험 알람이 제공된 후 동일 그룹에 속하여 알람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그룹 정보가 갱신되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완료 메시지 및 기타 메시지를 두 차량 단말이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차량 단말이 직접 자신이 속한 그룹에게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모니터 장치(200)는 그룹이 갱신되면 갱신된 그룹 정보를 해당 그룹의 소속 차량 단말에게 통지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 단말이 메시지를 모니터 장치(200)에게 전달하고 모니터 장치(200)가 그룹 정보를 이용해 해당 차량 단말의 소속 그룹에게 전달하는 경우 모니터 장치(200)는 그룹 정보를 차량 단말에게 전달할 필요가 없다.
모니터 장치(200)는 수신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각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고, 각 그룹의 1회 작업 시간, 연료 소모량, 작업량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일일 작업 시간 및 작업량에 대하여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시스템 운영자 및 차량 운전자는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해 작업장 운영 및 운전에 참고할 수 있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300: 차량 단말

Claims (17)

  1. 차량의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단말이 장착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동일 그룹에 속하지 않는 두 차량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지 판단하며,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의 근접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일정 기간 이상 근접된 상태로 유지되다면, 동일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들이 동일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의 그룹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동일 그룹에 속한 어느 한 상기 차량의 과거 작업 패턴 및 이동 패턴을 통해 이후 상기 동일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상기 차량의 작업 소요 시간 및 이동 시간을 추정하며,
    상기 차량의 상기 작업 소요 시간 및 상기 이동 소요 시간을 더하여 다음 작업 전까지의 여유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두 차량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알람 신호를 상기 두 차량들의 차량 단말들에게 송신하는 모니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한 차량의 차량 단말로부터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어느 한 차량과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다른 차량의 차량 단말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전달하는 모니터 장치.
  4. 통신망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단말들과 연결된 모니터 장치에 의한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모니터 장치의 저장부에 의해 차량의 그룹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모니터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단말이 장착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동일 그룹에 속하지 않는 두 차량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두 차량이 동일 그룹에 속하도록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의 그룹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의 그룹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니터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지 판단하며,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의 근접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두 차량에 설치된 상기 단말이 일정 기간 이상 근접된 상태로 유지되다면, 동일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들이 동일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의 그룹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동일 그룹에 속한 어느 한 상기 차량의 과거 작업 패턴 및 이동 패턴을 통해 이후 상기 동일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상기 차량의 작업 소요 시간 및 이동 시간을 추정하며,
    상기 차량의 상기 작업 소요 시간 및 상기 이동 소요 시간을 더하여 다음 작업 전까지의 여유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차량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알람 신호를 상기 두 차량들의 차량 단말들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차량 중 어느 한 차량의 차량 단말로부터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어느 한 차량과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다른 차량의 차량 단말에게 작업 완료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기간은 두 차량 단말이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연속하여 위치한 기간인 모니터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기간은 두 차량 단말이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연속하여 위치한 기간인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010674A 2014-01-28 2014-01-28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29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674A KR102229329B1 (ko) 2014-01-28 2014-01-28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674A KR102229329B1 (ko) 2014-01-28 2014-01-28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373A KR20150090373A (ko) 2015-08-06
KR102229329B1 true KR102229329B1 (ko) 2021-03-18

Family

ID=5388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674A KR102229329B1 (ko) 2014-01-28 2014-01-28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3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9029A (ja) 1999-05-31 2000-12-08 Komatsu Ltd 車両の干渉防止装置
JP2008065480A (ja) * 2006-09-05 2008-03-21 Mazda Motor Corp 車両用運転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36B1 (ko) * 2006-10-25 2008-06-13 김정현 그룹별 근접거리 측정을 통한 위기 및 작업 상황 관리시스템
KR20120071649A (ko) * 2010-12-23 2012-07-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원격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9029A (ja) 1999-05-31 2000-12-08 Komatsu Ltd 車両の干渉防止装置
JP2008065480A (ja) * 2006-09-05 2008-03-21 Mazda Motor Corp 車両用運転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373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9871B2 (en) Processing device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dustrial vehicle
US11148593B2 (en) Construction machine safety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apparatus
EP32703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aste services
US11505919B2 (en) Method for remote operation of machines using a mobile device
US11898330B2 (en) Heavy equipment hazard warn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9582979B2 (en) Improving safety on sites with movable objects
US11687852B2 (en) Management devic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20160048795A1 (en) Work cycle management
KR20230042363A (ko)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및 보수 지원 시스템
CN103389709B (zh) 工程机械车载信息服务系统和车载终端
AU2022256218A1 (en) Construction management devic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US20140214187A1 (en) RC/Autonomous Machine Mode Indication
JP6814714B2 (ja) 施工管理システム
KR102229329B1 (ko) 차량 모니터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WO2014045395A1 (ja) 自走式鉱山機械の稼動管理装置
US10430057B2 (en) Operator interface for wireless sensing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4105505A (ja) 作業車のオペレータのための作業支援システム
JP6433705B2 (ja) 物品管理装置及び物品管理システム
JP6723886B2 (ja) 第1車載装置、第2車載装置、および運行管理システム
KR102015056B1 (ko)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6081311A (ja) 道路現場状況報告システム
JP2021163402A (ja) 作業管理システム
KR20090002307A (ko) 네비게이션과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카풀 활성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