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4433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433B1
KR102224433B1 KR1020140188394A KR20140188394A KR102224433B1 KR 102224433 B1 KR102224433 B1 KR 102224433B1 KR 1020140188394 A KR1020140188394 A KR 1020140188394A KR 20140188394 A KR20140188394 A KR 20140188394A KR 102224433 B1 KR102224433 B1 KR 102224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module
beam pattern
heat sink
inn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900A (ko
Inventor
장주진
정명관
조진호
이희민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4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 모듈, 제2 광원 모듈, 상기 제1 광원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제1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제1 히트 싱크, 상기 제2 광원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제2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제2 히트 싱크, 상기 제1 히트 싱크 및 상기 제2 히트 싱크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일측은 상기 히트 싱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에이밍 조절부 및 상기 제1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1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며, 일측은 상기 제1 히트 싱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에이밍 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광원 모듈, 상기 제1 히트 싱크 및 상기 이너 렌즈가 일체로 틸팅되며 상기 제1 빔 패턴 및 상기 제2 빔 패턴의 조사 방향이 조절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에이밍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로우빔/하이빔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방향 지시 램프(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지션 라이트(Position Light)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각종의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광도, 빛의 색상, 배광 범위 등이 법규화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로우빔 램프에서 출사되는 로우빔은 대항 차량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하기 위해 소정의 컷오프 라인을 넘어서지 않도록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로우빔 램프의 경우 헤드 램프 내에 장착된 후에 로우빔 램프에서 출사되는 로우빔이 컷오프 라인을 넘지 않도록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에이밍이 요구된다.
또는, 차량을 운행하는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로우빔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원래 설정한 광의 조사 방향으로 조정하는 에이밍이 요구된다.
또는, 도로 주행 상황에 따라 로우빔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에이밍이 요구되기도 한다.
에이밍은 직접 수동으로 에이밍 스크류를 조작하여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여 수행되거나, 모터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여 수행된다.
종래의 에이밍이 가능한 램프 구조는, 이너 렌즈는 고정된 상태에서 에이밍 스크류가 조작됨에 따라 광원 및 리플렉터만이 구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에이밍 이후에 광원 및 리플렉터의 위치가 이너 렌즈의 초점과 틀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의 조작에 따라 이너 렌즈까지 구동되도록 하는 경우에도 에이밍에 의해 이너 렌즈가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면발광하도록 출사시키는 이너 렌즈는 일반적으로 일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데, 장방형의 이너 렌즈에서 이와 같은 현상은 두드러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램프 내 광학계의 초점을 유지하며 에이밍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에이밍 과정에서 면발광이 가능한 이너 렌즈가 변형되지 않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 모듈, 제2 광원 모듈, 상기 제1 광원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제1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제1 히트 싱크, 상기 제2 광원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제2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제2 히트 싱크; 상기 제1 히트 싱크 및 상기 제2 히트 싱크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일측은 상기 제1 히트 싱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에이밍 조절부 및 상기 제1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1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며, 일측은 상기 제1 히트 싱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에이밍 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광원 모듈, 상기 제1 히트 싱크 및 상기 이너 렌즈가 일체로 틸팅되며 상기 제1 빔 패턴 및 상기 제2 빔 패턴의 조사 방향이 조절된다.
상기 에이밍 조절부의 조작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제1 빔 패턴의 조사방향의 변동폭이 상기 제2 빔 패턴의 조사 방향의 변동폭보다 크도록, 상기 제1 히트 싱크는 상기 이너 렌즈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 렌즈와 결합되고, 상기 제2 히트 싱크는 상기 이너 렌즈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 패턴은 차량 전방의 원거리에 조사되는 원방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상기 차량 전방의 근거리에 조사되는 근방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 패턴 및 상기 제2 빔 패턴은 상기 차량 전방에 조사되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렌즈는 상기 제1 빔 패턴을 투과시켜 상기 원방 패턴을 형성하는 비구면 렌즈부와 상기 제2 빔 패턴을 투과시키며 상기 근방 패턴을 형성하는 옵틱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구면 렌즈부는 프레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틱 렌즈부는 상기 제2 빔 패턴을 면발광 형태로 출사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 렌즈는 상기 이너 렌즈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 돌기를 상기 관통홀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에이밍 이후에도 광학계의 초점이 유지되므로 최초 설계에서 의도한 선명한 빔 패턴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이밍 과정에서 이너 렌즈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에이밍에 의한 이너 렌즈의 파손 및 변형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베이스 프레임와 히트 싱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베이스 램프, 히트 싱크 및 제1 이너 렌즈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이너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이너 렌즈와 베이스 프레임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베이스 프레임(10), 제1 이너 렌즈(30) 및 제2 이너 렌즈(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의 양단에는 제2 이너 렌즈(20)를 고정하기 위한 제1 설치단(14) 및 제2 설치단(15)이 형성된다. 제1 설치단(14)은 제2 이너 렌즈(20)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레그(22)와 결합되고, 제2 설치단(15)은 제2 이너 렌즈(20)의 타단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레그(23)와 결합된다.
제2 이너 렌즈(20)의 출사면(21)은 대략 'ㄱ'자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출사면(21)에는 복수의 옵틱들이 형성되어 출사면(21)을 통해 출사되는 빛이 면발광의 형태로 출사되도록 한다. 제2 이너 렌즈(20)를 통해 출사되는 빛은 로우빔, DRL(daytime running light), 포지션 등, 방향 지시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의 타측에는 제3 설치단(13)이 제2 설치단(15)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3 설치단(13)은 제1 이너 렌즈(30)의 타측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이너 렌즈(30)는 체결 부재(90)를 이용해 제3 설치단(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너 렌즈(30)의 출사면은 대략 'ㄴ'자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 이너 렌즈(30)의 출사면의 일측은 비구면 렌즈부(31, 32)로 구성되고, 제1 이너 렌즈(30)의 출사면의 타측은 옵틱 렌즈부(33)로 구성될 수 있다.
비구면 렌즈부(31, 32)는 프레넬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구면 렌즈부(31, 32)를 통해 출사되는 빛을 로우빔의 원방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원방 패턴은 로우빔의 중앙에 형성되어 차량 전방의 원거리에 조사되는 빔 패턴(제1 빔 패턴)이다.
옵틱 렌즈부(33)를 통해 출사되는 빛이 면발광의 형태로 출사되도록 옵틱 렌즈부(33)에는 복수의 옵틱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옵틱 렌즈부(33)를 통해 면발광의 형태로 출사되는 빛은 로우빔의 근방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근방 패턴은 로우빔의 컷오프 라인의 하부에 넓게 펴지도록 형성되어 차량 전방의 근거리에 조사되는 빔 패턴(제2 빔 패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이너 렌즈(30)와,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장착되는 제1 광원 모듈(40), 제1 히트 싱크(50) 및 에이밍 조절부(61, 62)를 포함한다.
제1 광원 모듈(40)은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광원(41, 42)으로 사용되고, 반도체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기판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 모듈(40)의 광원(41, 42)들은 각각 비구면 렌즈부(31, 32)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광원 모듈(40)로부터 출사된 빛은 비구면 렌즈부(31, 32)를 통과하며 굴절되어 로우빔의 원방 패턴(제1 빔 패턴)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 모듈(40)은 별도의 리플렉터를 포함하지 않고 제1 광원 모듈(40)로부터 출사된 빛이 직접 비구면 렌즈부(31, 32)로 향하는 직광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광원 모듈(40)은 별도의 리플렉터를 포함하여, 제1 광원 모듈(40)로부터 출사된 빛이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어 비구면 렌즈부(31, 32)로 향하는 반사형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히트 싱크(50)는 제1 광원 모듈(40)이 일면 상에 설치되는 플레이트(51)과 플레이트(51)의 이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핀(52)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방열핀(52)들은 제1 광원 모듈(40)의 발광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플레이트(51)를 통해 전달받아 방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베이스 프레임와 히트 싱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은 제1 히트 싱크(50)를 고정하기 위한 제4 설치단(11, 12)이 형성된다.
제1 히트 싱크(50)의 플레이트(51)의 이면에는 제4 설치단(11, 12)과 결합되기 위한 레그(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플레이트(51)의 이면에 형성된 복수의 방열핀(52) 중 일부가 제4 설치단(11, 12)과 결합되어 제1 히트 싱크(50)를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히트 싱크(50)의 플레이트(51)의 일측 중앙부에는 지지암(53)이 플레이트(51)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다. 지지암(53)의 단부에는 에이밍 조절부(61, 62)의 일측을 형성하는 에이밍 스크류(61)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스크류 홀더(54)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스크류 홀더(5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5 설치단(16)이 형성된다.
제5 설치단(16)에는 너트 설치용 관통홀(16a)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밍 조절부(61, 62)의 타측을 형성하는 에이밍 너트(62)는 너트 설치용 관통홀(16a)은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 히트 싱크(50) 측에 설치되는 에이밍 스크류(61)과 결합된다.
에이밍 조절부(61, 62)를 구성하는 에이밍 너트(62)와 에이밍 스크류(61)는 나사 결합되며, 에이밍 스크류(61)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시킴에 따라 제1 히트 싱크(50)를 베이스 프레임(10)에 대해 미세하게 틸팅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이너 렌즈(30)와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장착되는 제2 광원 모듈(70) 및 제2 히트 싱크(81, 82)를 포함한다.
제2 광원 모듈(70)은, 광원들(71, 72)과 각 광원들(71, 72)에 대응하는 리플렉터들(73, 74)을 포함한다. 리플렉터들(73, 74)은 광원들(71, 72)로부터 출사된 빛을 제1 이너 렌즈(30)의 옵틱 렌즈부(33)를 향해 반사한다.
제2 광원 모듈(70)의 광원들(71, 72)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광원 모듈(70)은 각 광원들(71, 72)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원 모듈(70)은 제1 이너 렌즈(30)의 옵틱 렌즈부(33)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제2 광원 모듈(70)로부터 출사된 빛은 옵틱 렌즈부(33)를 통과하며 굴절되어 로우빔의 근방 패턴(제2 빔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제2 광원 모듈(70)로부터 출사된 빛은 옵틱 렌즈부(33)에 형성된 복수의 옵틱들에 의해 면발광의 형태로 옵틱 렌즈부(33)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제2 히트 싱크(81, 82)는 제2 광원 모듈(70)의 광원들(71, 72)과 리플렉터들(73, 74)들을 지지하며 베이스 프레임(10) 또는 제1 이너 렌즈(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2 히트 싱크(81, 82)는 제2 광원 모듈(70)의 광원들(71, 72)이 발광하면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2 이너 렌즈(20)와 결합되는 제3 광원 모듈(24, 25)을 포함한다.
제3 광원 모듈(24, 25)은 제2 이너 렌즈(20)의 출사면(21) 형상을 따라 배치되는 광원(24a, 24b)들과 각 광원(24a, 24b)들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 이너 렌즈(20)를 향해 반사하는 리플렉터(25a, 25b)들을 포함한다.
제3 광원 모듈(24, 25)의 광원들(24a, 24b)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광원 모듈(24, 25)은 각 광원들(24a, 24b)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광원 모듈(24, 25)로부터 출사된 빛은 제2 이너 렌즈(20)에 형성된 복수의 옵틱들에 의해 면발광의 형태로 제2 이너 렌즈(20)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베이스 램프, 히트 싱크 및 제1 이너 렌즈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이너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너 렌즈(30)의 일측에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후크(34)가 형성된다. 복수의 후크(34)는 제1 이너 렌즈(3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후크(34a, 34b, 도 4 참고)들과 제1 이너 렌즈(3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후크(34c, 34d)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후크(34)들은 베이스 프레임(10)에 결합된 제1 히트 싱크(50)의 플레이트(51)를 협지하여, 제1 이너 렌즈(30)의 일측을 제1 히트 싱크(50)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에이밍 스크류(61)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시킴에 따라 제1 이너 렌즈(30)는 제1 히트 싱크(50)와 일체로 틸팅되게 된다.
제1 광원 모듈(40)은 제1 히트 싱크(50)의 플레이트(51) 상에 설치되므로, 에이밍 스크류(61)를 이용하여 로우빔의 원방 패턴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경우에, 로우빔의 원방 패턴을 형성하는 제1 광원 모듈(40)과 제1 이너 렌즈(30)가 제1 히트 싱크(50)와 일체로 틸팅되게 된다.
따라서, 로우빔의 원방 패턴을 형성하는 광학계의 초점이 원래의 설계 의도대로 유지되어 선명한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이너 렌즈와 베이스 프레임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너 렌즈(30)는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돌기(35)를 포함한다.
회전 돌기(35)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제3 설치단(13)에 형성된 관통홀(13a)으로 삽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3a)로 삽입된 회전 돌기(35)는 회전 돌기(35)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관통홀(13a)로 삽입되는 체결 부재(90)와 결합된다.
체결 부재(90)는 회전 돌기(35)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단(92)과 돌기 수용단(92)과 단차를 형성하는 헤드(91)를 포함한다.
돌기 수용단(92)의 내경은 회전 돌기(35)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 돌기(35)의 외경과 억지 끼움 공차 또는 중간 끼움 공차로 형성된다.
관통홀(13a)의 직경은 돌기 수용단(92)이 관통홀(13a)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할 수 있도록 돌기 수용단(92)의 외경에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91)의 외경은 관통홀(13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돌기 수용단(92)이 관통홀(13a)을 통과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이너 렌즈(30)의 일측이 제1 히트 싱크(50)에 결합되므로, 에이밍 스크류(61)를 이용하여 로우빔의 원방 패턴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경우에, 제1 이너 렌즈(30)가 제1 히트 싱크(50)와 일체로 틸팅된다.
그리고, 제1 이너 렌즈(30)의 타측은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1 이너 렌즈(30)가 제1 히트 싱크(50)와 일체로 틸팅되더라도 제1 이너 렌즈(30)가 휘어지지 않고 본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너 렌즈(20)와는 별도로 제1 이너 렌즈(30)만을 틸팅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너 렌즈(20)로부터 생성되는 빔 패턴은 동일하게 유지한 채, 제1 이너 렌즈(30)로부터 생성되는 빔 패턴만을 별도로 에이밍할 수 있다.
또한, 비구면 렌즈부(31, 32)는 제1 히트 싱크(50)와 결합되는 제1 이너 렌즈(30)의 일측에 위치시키고, 옵틱 렌즈부(33)는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이너 렌즈(30)의 타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 이너 렌즈(30)의 에이밍 시에 비구면 렌즈부(31, 32)에 의해 조사되는 로우빔의 원방 패턴의 조사 방향 변동폭이 옵틱 렌즈부(33)에 의해 조사되는 로우빔의 근방 패턴의 조사 방향 변동폭보다 크게 구성한다.
로우빔의 원방 패턴이 근방 패턴에 비해 컷오프 라인에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로우빔의 에이밍 시에 원방 패턴의 조사 방향 변동폭을 근방 패턴의 조사 방향 변동폭보다 크게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로우빔 패턴의 에이밍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량용 램프 10: 베이스 프레임
11, 12: 제4 설치단 13: 제3 설치단
13a: 관통홀 14: 제1 설치단
15: 제2 설치단 16: 제5 설치단
16a: 너트 설치용 관통홀 20: 제2 이너 렌즈
21: 출사면 22: 제1 레그
23: 제2 레그 24, 24a, 24b, 41, 42, 71, 72: 광원
25, 25a, 25b, 73, 74: 리플렉터 30: 제1 이너 렌즈
31, 32: 비구면 렌즈부 33: 옵틱 렌즈부
34: 후크 35: 회전 돌기
40: 제1 광원 모듈 50: 제1 히트 싱크
51: 플레이트 52: 방열핀
53: 지지암 54: 스크류 홀더
61: 에이밍 스크류 62: 에이밍 너트
70: 제2 광원 모듈 81, 82: 제2 히트 싱크
90: 체결 부재 91: 헤드
92: 돌기 수용단

Claims (8)

  1. 제1 광원 모듈 및 제2 광원 모듈;
    상기 제1 광원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제1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제1 히트 싱크;
    상기 제2 광원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제2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제2 히트 싱크;
    상기 제1 히트 싱크 및 상기 제2 히트 싱크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일측은 상기 제1 히트 싱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에이밍 조절부; 및
    상기 제1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1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며, 일측은 상기 제1 히트 싱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에이밍 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광원 모듈, 상기 제1 히트 싱크 및 상기 이너 렌즈가 일체로 틸팅되며 상기 제1 빔 패턴 및 상기 제2 빔 패턴의 조사 방향이 조절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조절부의 조작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제1 빔 패턴의 조사방향의 변동폭이 상기 제2 빔 패턴의 조사 방향의 변동폭보다 크도록,
    상기 제1 히트 싱크는 상기 이너 렌즈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 렌즈와 결합되고, 상기 제2 히트 싱크는 상기 이너 렌즈의 타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은 차량 전방의 원거리에 조사되는 원방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상기 차량 전방의 근거리에 조사되는 근방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 및 상기 제2 빔 패턴은 상기 차량 전방에 조사되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렌즈는 상기 제1 빔 패턴을 투과시켜 상기 원방 패턴을 형성하는 비구면 렌즈부와 상기 제2 빔 패턴을 투과시키며 상기 근방 패턴을 형성하는 옵틱 렌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 렌즈부는 프레넬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 렌즈부는 상기 제2 빔 패턴을 면발광 형태로 출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렌즈는 상기 이너 렌즈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 돌기를 상기 관통홀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40188394A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램프 KR102224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94A KR102224433B1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94A KR102224433B1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900A KR20160077900A (ko) 2016-07-04
KR102224433B1 true KR102224433B1 (ko) 2021-03-08

Family

ID=5650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394A KR102224433B1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6076A (zh) * 2019-01-25 2019-04-02 浙江嘀视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随动转向功能的车用透镜总成及其工作模式
CN109958970B (zh) * 2019-04-10 2024-04-12 浙江嘉利(丽水)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转轴式车灯调节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81B1 (ko) 2006-11-13 2009-07-06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JP2010238605A (ja) 2009-03-31 2010-10-21 Koito Mfg Co Ltd 灯具ユニット
JP5955110B2 (ja) 2012-06-05 2016-07-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3053B2 (en) * 2004-02-27 2006-04-25 Guide Corporation High/low beam adjuster bracket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81B1 (ko) 2006-11-13 2009-07-06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JP2010238605A (ja) 2009-03-31 2010-10-21 Koito Mfg Co Ltd 灯具ユニット
JP5955110B2 (ja) 2012-06-05 2016-07-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900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0757B2 (ja) 自動車のリヤ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用の側方取付け型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
EP3040601B1 (en) Light emitting diode vehicle headlight
JP5460223B2 (ja) 車両用灯具
US9447941B2 (en) Lamp for vehicle
JP2013016327A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WO2017104679A1 (ja) 車両用灯具
US10605427B1 (en) Light source module and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5874901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2013175391A (ja) 車両用前照灯
KR200494435Y1 (ko) 차량용 램프
KR102224433B1 (ko) 차량용 램프
KR10137524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6244614B2 (ja) 車両用前照灯
JP6465940B2 (ja) 照明構造とその配光方法
KR20160077724A (ko) 차량용 램프 모듈
KR102441920B1 (ko) 차량용 램프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863787B1 (ko) 차량용 램프
KR101463594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209926250U (zh) 用于车辆的前照灯
EP2587123B1 (en) Automotive headlamp
JP7285362B2 (ja) 車両用前照灯
KR101608349B1 (ko) 차량용 전조등
KR20140013359A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200495392Y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