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148B1 - Multi heaping type pallett having entry guidance and impact attenua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Multi heaping type pallett having entry guidance and impact attenuat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0148B1 KR102190148B1 KR1020200029470A KR20200029470A KR102190148B1 KR 102190148 B1 KR102190148 B1 KR 102190148B1 KR 1020200029470 A KR1020200029470 A KR 1020200029470A KR 20200029470 A KR20200029470 A KR 20200029470A KR 102190148 B1 KR102190148 B1 KR 1021901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ortion
- inclined surfaces
- vertical
- adjacent
- portio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96—Guiding means for fork-li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3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 B65D2519/0095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 B65D2519/0096—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when emp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간대(10-1)와 횡간대(10-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격자 모양 구조를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부분(10);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후방측의 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양측 종간대(10-1)의 외면에 용접된 간격유지판(13)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측과 중간측에 수평한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된 상측 지지부(21a, 22a)를 각각 구비한 후방측 수직 기둥(21, 22);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두 모서리로부터 측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외면에 수직하게 연결된 전방측 수직 기둥(23, 24);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자유단부에 양단부의 인접부가 연결되고 양측 자유단부가 상기 양측 종간대(10-1)의 길이방향의 가상 수직연장선까지 연장된 상부 수평기둥(33); 상기 상측 지지부(21a, 22a)의 상면과 상기 상부 수평기둥(33)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부분의 상면을 연결하는 삿갓 모양 단면의 상측 레일(31, 32); 및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종간대(10-1) 중 양측의 종간대(10-1)의 아래에서 상측 레일(31, 32)과 동일한 수직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삿갓 모양 단면에 대응하는 삿갓 모양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수직 기둥(21, 22)과 복수의 연결판을 통해 상기 베이스 부분(10)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부분(10)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 기둥(23, 24)의 전면에 평행한 위치까지 연장된 하측 레일(11, 12)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레일(11, 12)은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의 외면(10b)에 인접하되 상기 외면(10b) 상, 상기 하측 레일(11, 12) 위, 및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측면 상에 배치 및 연결되어 상기 외면(10b)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연결판(10c, 10d)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서 삿갓 모양으로 서로 경사진 내측 경사면(11a, 12a)과 외측 경사면(11b, 12b)을 가지되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에 일단이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이고,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의 직사각형 판의 상측 변부에 인접한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부분(11c, 12c)이 커팅에 의해 제거되거나, 수평면에 대해 90° 이상 위로 절곡되거나, 또는 수평면에 대해 180°로 위로 절곡되어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tangular base portion 10 forming a lattice-like structure composed of a longitudinal zone 10-1 and a transverse zone 10-2; It is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gap holding plate 13 weld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longitudinal zones 10-1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10 adjacent to the two corners of the rear side of the base portion 1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middle sides. Rear vertical pillars 21 and 22 each having upper support portions 21a and 22a extending to face each other in a horizontal position; A front-side vertical column (23, 24) vertically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base portion 10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laterally from the two corners of the front side of the base portion 10; An upper horizontal column (33) in which adjacent portions of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free ends of the front vertical columns (23, 24), and both free ends are extended to a virtual vertical extension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h longitudinal zones (10-1); Upper rails 31 and 32 having a hatchet shap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s of the upper support portions 21a and 22a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portions adjacent to the free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illars 33; And in the state of being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plane as the upper rails 31 and 32 under the longitudinal belts 10-1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belts 10-1 of the base portion 10, It is formed to have a corresponding hatchet-shaped cross s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0 at intervals through the rear vertical pillars 21 and 22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to support the base portion 10 and the vertical Includes lower rails (11, 12) extending to a position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posts (23, 24), the lower rails (11, 12)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10b) of the front of the base portion (10) However, a connecting plate having a higher height than the outer surface 10b by being disposed and connected on the outer surface 10b, on the lower rails 11, 12, an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vertical pillars 23 and 24 It has inner inclined surfaces 11a, 12a and outer inclined surfaces 11b, 12b that are inclined to each other in a hat shape at the protruding portion from (10c, 10d), but the outer inclined surfaces 11b and 12b are the inner inclined surfaces 11a, 12a ), one end is connect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inner inclined surfaces 11a and 12a ar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nd the outer inclined surfaces 11b and 12b ar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nd the inner inclined surfaces 11a and 12a are The triangular portions (11c, 12c) having a vertex adjacent to the upper edge of the rectangular plate are removed by cutting, bent upward by 90° or mor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r bent upward by 18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compressed. It relates to a multi-level stackable pallet having an entrance guidance and shock relief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종간대(10-1)와 횡간대(10-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격자 모양 구조를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부분(10);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후방측의 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양측 종간대(10-1)의 외면에 용접된 간격유지판(13)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측과 중간측에 수평한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된 상측 지지부(21a, 22a)를 각각 구비한 후방측 수직 기둥(21, 22);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두 모서리로부터 측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외면에 수직하게 연결된 전방측 수직 기둥(23, 24);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자유단부에 양단부의 인접부가 연결되고 양측 자유단부가 상기 양측 종간대(10-1)의 길이방향의 가상 수직연장선까지 연장된 상부 수평기둥(33); 상기 상측 지지부(21a, 22a)의 상면과 상기 상부 수평기둥(33)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부분의 상면을 연결하는 삿갓 모양 단면의 상측 레일(31, 32); 및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종간대(10-1) 중 양측의 종간대(10-1)의 아래에서 상측 레일(31, 32)과 동일한 수직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삿갓 모양 단면에 대응하는 삿갓 모양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수직 기둥(21, 22)과 복수의 연결판을 통해 상기 베이스 부분(10)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부분(10)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 기둥(23, 24)의 전면에 평행한 위치까지 연장된 하측 레일(11, 12)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레일(11, 12)은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의 외면(10b)에 인접하되 상기 외면(10b) 상, 상기 하측 레일(11, 12) 위, 및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측면 상에 배치 및 연결되어 상기 외면(10b)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연결판(10c, 10d)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서 삿갓 모양으로 서로 경사진 내측 경사면(11a, 12a)과 외측 경사면(11b, 12b)을 가지되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에 일단이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이고,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의 직사각형 판의 상측 변부에 인접한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부분(11c, 12c)이 커팅에 의해 제거되거나, 또는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의 평면에 대해 180°로 위로 절곡되어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일반적으로, 파레트는 많은 물건을 적치하여 운송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서, 양파나, 고구마, 및 감자 등과 같은 농산물이나 기타 다른 산업상의 물품을 운반하는 등 산업이나 농업 전반에 있어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pallets are widely used in industry and agriculture, such as transporting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onions, sweet potatoes, and potatoes, or other industrial goods, as being used for transporting a lot of goods.
위와 같은 파레트의 종류로는 그 형태에 따라서 박스형과 플레이트형이 있다.There are two types of pallets, box-type and plate-type, depending on their shape.
상기 박스형 파레트는 복수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단에 수직으로 각각 입설되고 파레트의 4면을 구성하게 되는 측벽들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박스형 파레트는 상기 측벽들이 적치된 농산물이나 기타 산업상의 물품의 이탈 및 낙하를 방지하여 줌으로써 플레이트형 파레트에 비하여 적치된 농산물이나 기타 산업상의 물품을 더욱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상기 측벽때문에 파레트 전체의 부피가 증대되어 플레이트형 파레트에 비하여 보관이나 운송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The box-type palle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se plates and sidewalls that ar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ase plate and constitute four sides of the pallet.As such, the box-type pallet is an agricultural product or other industrial product on which the sidewalls are stacked. It has the advantage of safer transportation of stacked agricultural products or other industrial goods compared to plate-type pallets by preventing separation and fall of the product, but storage or transportation compared to plate-type pallets due to the increased volume of the pallet due to the sidewall. There wer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위와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다단 적재식 파레트에 있어서, 외곽 모서리를 따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 적재공간을 형성시키는 수직포스트; 상기 수직포스트의 하단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수직포스트들 중에서 앞쪽과 뒤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수직포스트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하부지지앵글; 상기 하부지지앵글에 얹혀지며 상기 수직포스트의 내부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물품을 받쳐주는 베이스부재; 상기 수직포스트 상단 양측에 각각 위피하며 상기 수직포스트들 중에서 앞쪽과 뒤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수직포스트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상부지지앵글; 상기 각 수직포스트의 중앙부에 부착 고정되는 중앙부 지지앵글; 및 상기 중앙부 지지앵글에 얹혀짐며 상기 수직포스트 내부에 형성된 적재공간을 상, 하부 적재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구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는 공개특허 제10-2015-0008689호가 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fficulties, "in a multi-stage loading pallet, vertical posts installed vertically along the outer edge and forming a loading space insid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vertical post and the vertical posts. A lower support angle connected and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wo vertical posts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support angle, a base member mounted on the lower support angle and supporting an article loaded in the internal loading space of the vertical post; Upper support angl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sts and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two vertical posts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rtical posts; a central part attached and fixed to the center of each vertical post A support angle; and a multi-stage stacking pallet comprising a partition member that is mounted on the central support angle and divides the stacking space formed inside the vertical post into upper and lower stacking spaces. -2015-0008689 has been proposed.
상기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물품이 적재되어지는 적재공간을 상하로 구획시켜 상기 적재공간이 가지는 높이 반 이하의 낮은 부피의 물품을 적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구획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공간을 상하부 적재공간으로 각각 구획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적재공간에 각각 적재토록 함으로써 적재공간 확보를 통한 물품의 적재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는 가진다.The multi-stage loading pallet divides the loading space in which the goods are to be loaded up and down, and when a low volume of less than half the height of the loading space is to be loaded, the loading space is converted into upper and lower loading spaces using the partition member. By allowing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oading spaces to be loaded in each partitioned stat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oading amount of goods through securing the loading space.
하지만, 상기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그 도면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앵글이 삿갓 모양으로 경사진 기다란 직사각형의 내측 경사면, 및 상기 내측 경사면)에 일단이 인접하여 연결된 기다란 직사각형의 외측 경사면을 가지되, 상기 외측경사면의 전방측 단부의 외측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장변측 외면과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 종간대의 외면과 상기 수직 포스트 사이의 간격이 1cm보다 짧은 간격(예,0.7cm∼0.9cm)으로 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간격을 1.1cm∼2cm로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이 경우 상기 하부지지앵글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측 종간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측 종간대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지지앵글들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상부지지앵글의 간격도 조정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조정 시에는 상기 두개의 수직포스트로부터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상부지지앵글을 아래에서 받혀 지지해주는 지지판(도면에서 미도시)의 길이도 길어질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상부지지앵글의 위에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하부지지앵글이 끼워져 적층되었을 때 상기 지지판은 길어진 길이로 인해 하중을 지탱할 수 없어 굴곡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s 1 and 3, the multi-tiered pallet has an elongated rectangular inner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lower support angle is inclined in a hat shape, and an elongated rectangular outer inclined surface connected with one end adjacent to the inner inclined surface). However, the outer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outer inclined surface is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long side out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In addition,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the longitudinal zones on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and the vertical post is shorter than 1 cm (eg, 0.7 cm to 0.9 cm). It can be considered a case where the interval is 1.1cm to 2cm, but in this case, the lower support angle is disposed under both longitudinal zones of the base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longitudinal zones of the base member. The spacing of the upper support angle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ngles, and in such an adjustment, a support plate protruding from the two vertical posts toward each other to support and support the upper support angle from below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case, when the lower support angle of the other multi-level stackable pallet is inserted and stacked on top of the upper support angle of one multi-level stackable pallet, the support plate cannot support the load due to the longer length. A phenomenon of bending deformation may occur.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다단 적재식 파래트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보관하기 위해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진입시키려고 할 때에 왠만한 지게차 숙련자가 아니라면 상기 하부지지앵글의 외측경사면의 전방측 단부의 외측부가 후방의 두 수직포스트의 안으로 정확하게 진입되게 하는 것이 어렵고 조금만 각도가 비틀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하부지지앵글의 외측경사면의 전방측 단부의 외측부가 후방의 두 수직포스트에 부딪혀 진입이 어렵고, 진입 과정에서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상대편 다단 적재식 파레트에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ulti-stage stacking pallet as described above, some skilled forklift truck when trying to enter the other multi-stage stacking pallet into one multi-stage stacking pallet to store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vertically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ensure that the outer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outer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angle enters into the rear two vertical posts accurately, and even if the angle is slightly twisted, the outer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outer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angle It is difficult to enter due to hitting the two vertical posts at the rea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 to the multi-stage stacked pallet on the other side is caused by the impact of the collision during the entry proces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진입하려고 하는 경우에 지게차 비숙련자라도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진입 과정에서 충돌에 의한 충격 발생 시에 충격을 저감할 수 있는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case of attempting to enter another multistage stacking pallet into one multistage stacking pallet, to facilitate entry even by an unskilled forklift and collide during the entry process. It is to provide a multi-level stackable pallet having an entrance guide and shock relief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impact when an impact occurs b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부재의 양측 종간대의 외면과 수직 포스트 사이의 간격을 1cm로 유지하여 상부지지앵글을 아래에서 받혀 지지해주는 지지판의 굴곡변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trance guide and impact relief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upper support angle from below by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post and the outer surface of both longitudinal zones of the base member at 1 cm It is to provide a multi-stage stackable pallet with
본 발명에 의한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ulti-stage stackable pallet having an entrance guidance and shock relie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종간대(10-1)와 횡간대(10-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격자 모양 구조를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부분(10);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후방측의 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양측 종간대(10-1)의 외면에 용접된 간격유지판(13)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측과 중간측에 수평한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된 상측 지지부(21a, 22a)를 각각 구비한 후방측 수직 기둥(21, 22);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두 모서리로부터 측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외면에 수직하게 연결된 전방측 수직 기둥(23, 24);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자유단부에 양단부의 인접부가 연결되고 양측 자유단부가 상기 양측 종간대(10-1)의 길이방향의 가상 수직연장선까지 연장된 상부 수평기둥(33); 상기 상측 지지부(21a, 22a)의 상면과 상기 상부 수평기둥(33)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부분의 상면을 연결하는 삿갓 모양 단면의 상측 레일(31, 32); 및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종간대(10-1) 중 양측의 종간대(10-1)의 아래에서 상측 레일(31, 32)과 동일한 수직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삿갓 모양 단면에 대응하는 삿갓 모양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수직 기둥(21, 22)과 복수의 연결판을 통해 상기 베이스 부분(10)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부분(10)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 기둥(23, 24)의 전면에 평행한 위치까지 연장된 하측 레일(11, 12)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레일(11, 12)은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의 외면(10b)에 인접하되 상기 외면(10b) 상, 상기 하측 레일(11, 12) 위, 및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측면 상에 배치 및 연결되어 상기 외면(10b)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연결판(10c, 10d)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서 삿갓 모양으로 서로 경사진 내측 경사면(11a, 12a)과 외측 경사면(11b, 12b)을 가지되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에 일단이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이고,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의 직사각형 판의 상측 변부에 인접한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부분(11c, 12c)이 커팅에 의해 제거되거나, 또는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의 평면에 대해 180°로 위로 절곡되어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원호형으로 절곡된 원호형 절곡 강판(51), 및 복수의 홀(53)을 가지며 상기 원호형 절곡 강판(51)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양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52)로 구성되는 충격저감판(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저감판(50)은 외측 단부가 상기 연결판(10c, 10d)의 외측 단부와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홀(53)을 관통하여 체결작업을 수행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판(10c, 10d)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having an entrance guide and impact relie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rc-shap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원호형으로 절곡된 철부(51')와 요부(51")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어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 및 복수의 홀(53)을 가지며 상기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52)로 구성되는 주름형 충격저감판(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형 충격저감판(50')은 외측 단부가 상기 연결판(10c, 10d)의 외측 단부와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홀(53)을 관통하여 체결작업을 수행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판(10c, 10d)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having an entry guide and impact relie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lternating
본 발명은,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진입하려고 하는 경우에 지게차 비숙련자라도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진입 과정에서 충돌에 의한 충격 발생 시에 충격을 저감할 수 있는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entry even for a forklift unskilled person when attempting to enter another multi-stage stackable pallet into one stacked stackable pallet, and can reduce the impact when an impact occurs due to a collision during the entry proces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multi-stage stackable pallet with entry guidance and shock relief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의 양측 종간대의 외면과 수직 포스트 사이의 간격을 1cm로 유지하여 상부지지앵글을 아래에서 받혀 지지해주는 지지판의 굴곡변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ntrance guide and impact relief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upper support angle from below by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le and the vertical post of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at 1 cm.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ulti-level stackable palle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가 하물이 실려 있지 않은 상태로 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서 하측 레일의 상측에 위치하는 양측 연결면에 설치된 충격저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정면의 좌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충격저감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 7의 충격저감판과는 달리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형 충격저감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양측 연결면으로부터 돌출된 도 2의 하측 레일 부분에 끼워져 양측 연결면에 고정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외피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stage stacking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of FIG. 1 viewed from the front side.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of FIG. 1 is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in a state where no load is loaded.
6 is a left side view of the front side of a multi-stage loading pal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urther includes impact reduction plates installed on both connecting surface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rail in the embodiment of FIG. 1 It is a drawin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pact reduction plate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rugated impact reduc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orrugated structure unlike the impact reducing plates of FIGS. 6 and 7.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shell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fitted to the lower rail portion of FIG. 2 protruding from both connecting surfaces and fixed to both connecting surfaces.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qu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re included.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elements.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and the like used in this document can modify various elements regardless of their order and/or importance, an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It is used only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the'first part' and the'second part' may represent different part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named to a first component.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a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s as thos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가 하물이 실려 있지 않은 상태로 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stage loading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stage loading pallet of FIG. 1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2,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of FIG. 1 is stacked on each other in a state where a load is not loaded.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베이스 부분(10), 후방측 수직 기둥(21, 22), 전방측 수직 기둥(23, 24), 상부 수평기둥(33), 삿갓 모양 단면의 상측 레일(31, 32), 및 하측 레일(11, 1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베이스 부분(10)은 종간대(10-1)와 횡간대(10-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격자 모양 구조를 형성한 것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양측에 위치하는 종간대(10-1)의 아래에 후술하는 하측 레일(11, 12)이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부분(10)을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부분(10)에는 적재를 위한 물품이 올려지게 된다. 이에 따르면, 베이스 부분(10)에 물품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상기 후방측 수직 기둥(21, 22)은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후방측의 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양측 종간대(10-1)의 외면에 용접된 간격유지판(13)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측과 중간측에 수평한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된 상측 지지부(21a, 22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의 두께는 1cm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관을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재식 파레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적층시키려 할 때,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면측 폭이 상기 후방측 수직 기둥(21, 22) 사이의 간격보다는 짧기 때문에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베이스 부분(10)이 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rear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은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두 모서리로부터 측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외면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이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외면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어 베이스 부분(10)의 폭 범위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베이스 부분(10)과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이 진입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베이스 부분(10)에 물품 적재 시 물품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front
상기 상부 수평기둥(33)은,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자유단부에 양단부의 인접부가 연결되고 양측 자유단부가 상기 양측 종간대(10-1)의 길이방향의 가상 수직연장선까지 연장되어 있고, 삿갓 모양 단면의 상측 레일(31, 32)이 상기 상측 지지부(21a, 22a)의 상면과 상기 상부 수평기둥(33)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부분의 상면을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삿갓 모양 단면의 상측 레일(31, 32)이 상기 양측 종간대(10-1)와 수직으로 평행한 수직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상기 하측 레일(11, 12)은,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종간대(10-1) 중 양측의 종간대(10-1)의 아래에서 상측 레일(31, 32)과 동일한 수직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삿갓 모양 단면에 대응하는 삿갓 모양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수직 기둥(21, 22)과 복수의 연결판을 통해 상기 베이스 부분(10)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부분(10)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 기둥(23, 24)의 전면에 평행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측 레일(11, 12)에 의해 물품이 적재되는 베이스 부분(10)이 지지됨과 동시에 하측 레일(11, 12)이 상측 레일(31, 32)과 동일한 수직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상측 레일(31, 32)에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하측 레일(11, 12)이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물품이 적재된 복수 개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를 적층할 수 있다. The lower rails (11, 12) are on the same vertical plane as the upper rails (31, 32) under the longitudinal bands (10-1)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bands (10-1) of the base portion (10). It is formed so as to have a hatchet-shaped cross-section corresponding to the hatchet-shaped cross-section in a positioned state, and is connected to the
상기 하측 레일(11, 12)은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의 외면(10b)에 인접하되 상기 외면(10b) 상, 상기 하측 레일(11, 12) 위, 및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측면 상에 배치 및 연결되어 상기 외면(10b)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연결판(10c, 10d)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서 삿갓 모양으로 서로 경사진 내측 경사면(11a, 12a)과 외측 경사면(11b, 12b)을 가지되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에 일단이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이고,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의 직사각형 판의 상측 변부에 인접한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부분(11c, 12c)이 커팅에 의해 제거되어 있다. The lower rails (11, 12) are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10b) of the front of the base portion (10), but above the outer surface (10b), the lower rails (11, 12), and the front vertical pillar (23). , The inn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이 삼각형 부분(11c, 12c)이 커팅에 의해 제거된 사각형의 판의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베이스 부분(10)이 진입할 때, 외측 경사면(11b, 12b)은 삼각형 부분(11c, 12c)이 제거된 부분까지는 지게차 비숙련자라하더라도 후방측 수직 기둥(21, 22)과의 충돌없이 진입이 용이하고 이후에는 외측 경사면(11b, 12b)의 경사진 빗변에 의해 안내되면서 완전한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2 to 4, since the outer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이고,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의 직사각형 판의 상측 변부에 인접한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부분(11c, 12c)이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의 평면에 대해 180°로 위로 절곡되어 압착(도시하지 않음)되어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inn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상기 삼각형 부분(11c, 12c)이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의 평면에 대해 180°로 위로 절곡되어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베이스 부분(10)이 진입할 때, 설령 충돌이 있더라도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과 절곡된 상기 삼각형 부분(11c, 12c)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의 외면이 상기 절곡에 의해 각진 부분이 없이 매끄럽고 원활한 곡선을 이루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외측 경사면(11b, 12b)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후방측 수직 기둥(21, 22)에 흠집을 내지 않게 하거나 종래보다 적게 내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lthough not shown, the outer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베이스 부분(10)이 진입하여 적층되고 다시 적층된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베이스 부분(10)이 진입하여 적층되는 식으로 여러개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가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상측 레일(31, 32)의 위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하측 레일(11, 12)이 배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 위에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가 적층되고 이러한 적층 상태에서 각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에 물품이 적재되어 운반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제2 실시예의 중간측 지지부(21b, 22b)와 'ㄴ'자 모양의 앵글(34, 35)이 생략되어 있는 구성이다.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제2 실시예)(Example 2)
도 1,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상기 후방측 수직 기둥(21, 22)은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중간측 지지부(21b, 22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은 상기 중간측 지지부(21b, 22b)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상기 중간 지지부(23a, 24a)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측 지지부(21b, 22b)의 상면과 상기 중간 지지부(23a, 24a)의 상면의 사이에는 각각 'ㄴ'자 앵글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중간측 지지부(21b, 22b)의 상면과 상기 중간 지지부(23a, 24a)의 상면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 'ㄴ'자 모양의 앵글(34, 35) 상에 배치 및 분리될 수 있는 구획판(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cond embodiment is a multi-level stackable pallet having an entrance guide and shock relie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상기 구성에 따르면, 'ㄴ'자 모양의 앵글(34, 35)들의 사이에 구획판이 배치될 수 있어 필요 시 'ㄴ'자 앵글들의 사이에 구획판을 배치하여 본 발명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내부 적재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필요한 물품을 상하로 각각 따로 적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artition plate may be disposed between the'b'-shaped
(제3 실시예)(Third Example)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방측 중간 수직기둥(25, 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2 실시예 중 하나와 구성이 동일하다.In a third embodiment, a multi-stage stackable pallet having an entry guide and shock relie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ront intermediate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에 적층되었을 때 내부에 물품을 적재하고 이동 시에 상기 물품의 폭이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 사이의 간격보다 짧아서 상기 간격을 통해 상기 물품이 이탈될 수 있던 것을 전방측 중간 수직기둥(25, 26)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having the entry guidance and impact relie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lone or when stacked on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having the entry guidance and impact relax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duct is loaded and moved, the width of the article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제4 실시예)(Example 4)
제4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원호형으로 절곡된 원호형 절곡 강판(51), 및 복수의 홀(53)을 가지며 상기 원호형 절곡 강판(51)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양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52)로 구성되는 충격저감판(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저감판(50)은 외측 단부가 상기 연결판(10c, 10d)의 외측 단부와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홀(53)을 관통하여 체결작업을 수행하는 체결수단(예, 스크류, 못,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에 의해 상기 하측 레일(11, 1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판(10c, 10d)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내지 3 실시예 중 하나와 구성이 동일하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having an entrance guide and shock relie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rc-shaped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베이스 부분(10)이 진입할 때, 외측 경사면(11b, 12b)의 경사진 빗변에 의해 안내되어 1차로 충격을 줄어드는 것 외에, 상기 충격저감판(50)의 원호형 절곡 강판(51)의 탄력에 의해 충격을 2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제5 실시예)(Fifth Example)
제5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원호형으로 절곡된 철부(51')와 요부(51")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어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 및 복수의 홀(53)을 가지며 상기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52)로 구성되는 주름형 충격저감판(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형 충격저감판(50')은 외측 단부가 상기 연결판(10c, 10d)의 외측 단부와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홀(53)을 관통하여 체결작업을 수행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판(10c, 10d)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내지 3 실시예 중 하나와 구성이 동일하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multi-stage stacking pallet having an entry guide and shock relie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rugated arc-shaped bent steel plate in which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베이스 부분(10)이 진입할 때, 외측 경사면(11b, 12b)의 경사진 빗변에 의해 안내되어 1차로 충격이 줄어드는 것 외에, 상기 주름형 충격저감판(50')의 원호형으로 절곡된 철부(51')와 요부(51")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어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의 탄력에 의해 충격을 2차적으로 더욱 완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제6 실시예)(Example 6)
제6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는, 상기 연결판(10c, 10d)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공간(64)을 형성하고, 후방 상면의 단부에는 복수의 간격을 둔 홀(63h)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 상면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플랜지(63)를 구비한 탄성재료로 구성된 탄성 외피(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외피(60)는 상기 복수의 홀(63h)을 관통하여 체결작업을 수행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판(10c, 10d)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내지 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sixth embodiment, the multi-stage stackable pallet having an entry guide and shock relie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다단 적재식 파레트의 베이스 부분(10)이 진입할 때, 상기 연결판(10c, 10d)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인 삿갓 모양으로 서로 경사진 내측 경사면(11a, 12a)과 외측 경사면(11b, 12b)이 공간(64)에 들어가게 하여 탄성 외피(60)를 연결판(10c, 10d)에 고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측 경사면(11b, 12b)의 경사진 빗변에 해당되는 탄성 외피(60)의 경사진 부분에 의해 안내되어 1차로 충격이 완화되면서 탄성 외피(60)의 탄성에 의해 2차로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상기 주름형 충격저감판(50')의 원호형으로 절곡된 철부(51')와 요부(51")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어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의 탄력에 의해 충격을 2차적으로 더욱 완화시킬 수 있다.The convex portions 51' and the concave portions 51' bent in an arc shape of the corrugated impact reduction plate 50' are formed alternately so that the impact can be further reduced secondaryly by the elasticity of the corrugated arc-shaped bending steel plate. have.
도면 중 미설명부호 41, 42는 각각 후방측 수직 기둥(21, 22)의 후방측 외면과 베이스 부분(10)의 후방측 횡간대(10-2)의 후방측 외면(10a)에 연결되는 연결판을 나타내며, 상기 연결판(41, 42)의 하측으로부터 삿갓형 요입부(41a, 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삿갓형 요입부(41a, 42a)는 서로 경사진 내측 경사면(11a, 12a)과 외측 경사면(11b, 12b)의 단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채 연접해 있다.In the drawings,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example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xamples,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who have acquired ordinary knowledge in this technical field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베이스 부분
10b : 외면
10c, 10d : 연결판
10-1 : 종간대
10-2 : 횡간대
11, 12 : 하측 레일
11a, 12a : 내측 경사면
11b, 12b : 외측 경사면
11c, 12c : 삼각형 부분
13 : 간격유지판
21, 22 : 후방측 수직 기둥
21a, 22a : 상측 지지부
23, 24 : 전방측 수직 기둥
31, 32 : 상측 레일
33 : 상부 수평기둥
41, 42 : 연결판
41a, 42a : 삿갓형 요입부
50 : 충격저감판
50' : 주름형 충격저감판
51 : 강판
51' : 철부
51" : 요부
52 : 플랜지
53 : 홀
60 : 탄성 외피
63 : 플랜지
63h : 홀
64 : 공간10: base part
10b: exterior
10c, 10d: connecting plate
10-1: Interspecies
10-2: transverse zone
11, 12: lower rail
11a, 12a: inner slope
11b, 12b: outer slope
11c, 12c: triangular part
13: Gap maintaining plate
21, 22: rear vertical column
21a, 22a: upper support
23, 24: front vertical column
31, 32: upper rail
33: upper horizontal column
41, 42: connecting plate
41a, 42a: hat-shaped concave portion
50: impact reduction plate
50': Corrugated impact reduction plate
51: steel plate
51': iron part
51": waist
52: flange
53: Hall
60: elastic sheath
63: flange
63h: Hall
64: space
Claims (3)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후방측의 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양측 종간대(10-1)의 외면에 용접된 간격유지판(13)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측과 중간측에 수평한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된 상측 지지부(21a, 22a) 및 중간측 지지부(21b, 22b)를 각각 구비한 후방측 수직 기둥(21, 22);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두 모서리로부터 측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측의 외면에 수직하게 연결된 전방측 수직 기둥(23, 24);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자유단부에 양단부의 인접부가 연결되고 양측 자유단부가 상기 양측 종간대(10-1)의 길이방향의 가상 수직연장선까지 연장된 상부 수평기둥(33);
상기 상측 지지부(21a, 22a)의 상면과 상기 상부 수평기둥(33)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부분의 상면을 연결하는 삿갓 모양 단면의 상측 레일(31, 32); 및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종간대(10-1) 중 양측의 종간대(10-1)의 아래에서 상측 레일(31, 32)과 동일한 수직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삿갓 모양 단면에 대응하는 삿갓 모양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수직 기둥(21, 22)과 복수의 연결판을 통해 상기 베이스 부분(10)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부분(10)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 기둥(23, 24)의 전면에 평행한 위치까지 연장된 하측 레일(11, 12)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레일(11, 12)은 상기 베이스 부분(10)의 전방의 외면(10b)에 인접하되 상기 외면(10b) 상, 상기 하측 레일(11, 12) 위, 및 상기 전방측 수직 기둥(23, 24)의 측면 상에 배치 및 연결되어 상기 외면(10b)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연결판(10c, 10d)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서 삿갓 모양으로 서로 경사진 내측 경사면(11a, 12a)과 외측 경사면(11b, 12b)을 가지되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에 일단이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이고,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면(11a, 12a)의 직사각형 판의 상측 변부에 인접한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부분(11c, 12c)이 커팅에 의해 제거되거나, 또는 상기 외측 경사면(11b, 12b)의 평면에 대해 180°로 위로 절곡되어 압착되어 있으며,
원호형으로 절곡된 철부(51')와 요부(51")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어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 및 복수의 홀(53)을 가지며 상기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름진 원호형 절곡 강판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52)로 구성되는 주름형 충격저감판(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형 충격저감판(50')은 외측 단부가 상기 연결판(10c, 10d)의 외측 단부와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홀(53)을 관통하여 체결작업을 수행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판(10c, 10d)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
A rectangular base portion 10 forming a lattice-like structure formed by the longitudinal zone 10-1 and the transverse zone 10-2;
It is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gap holding plate 13 weld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longitudinal zones 10-1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10 adjacent to the two corners of the rear side of the base portion 1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middle sides. Rear vertical pillars 21 and 22 each having upper support portions 21a and 22a and intermediate support portions 21b and 22b extending to face each other in a horizontal position;
A front-side vertical column (23, 24)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base portion 10 spaced apart from two corners of the front side of the base portion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upper horizontal column (33) in which adjacent portions of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free ends of the front vertical columns (23, 24), and both free ends are extended to a virtual vertical extension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h longitudinal zones (10-1);
Upper rails 31 and 32 having a hatchet shap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s of the upper support portions 21a and 22a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portions adjacent to the free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illars 33; And
Corresponds to the cross section of the hatchet shape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plane as the upper rails 31 and 32 under the longitudinal belts 10-1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belts 10-1 of the base portion 10 It is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hatchet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0 at intervals through the rear vertical pillars 21 and 22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to support the base portion 10 and the vertical pillars It includes a lower rail (11, 12) extending to a position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23, 24),
The lower rails (11, 12) are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10b) of the front of the base portion (10), but above the outer surface (10b), the lower rails (11, 12), and the front vertical pillar (23). , The inner inclined surfaces 11a, 12a and the outer inclined surfaces inclined to each other in a hat shape at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plates 10c, 10d having a higher height than the outer surface 10b, arranged and connected on the side of the 24) (11b, 12b), but the outer inclined surfaces (11b, 12b) are connected to one end adjacent to the inner inclined surfaces (11a, 12a),
The inner inclined surfaces 11a and 12a ar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The outer inclined surfaces 11b and 12b are removed from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plate by cutting the triangular portions 11c and 12c having a point adjacent to the upper edge of the rectangular plate of the inner inclined surfaces 11a and 12a as a vertex or , Or is bent and compressed upward at 180°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outer inclined surfaces 11b and 12b,
Convex portions 51 ′ and concave portions 51 ″ bent in an arc shape are formed alternately to have a corrugated arc-shaped bent steel plate, and a plurality of holes 53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rrugated arc-shaped bent steel plate, and the corrugated circle Further comprising a corrugated impact reduction plate (50') composed of a flange (52) formed by bending from both ends of the arc-shaped bent steel plate,
The corrugated impact reduction plate 50 ′ is formed by a fastening means for performing a fastening opera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53 while the outer end thereof is aligned with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on plate 10c, 10d. Multi-stage loading pallet having an entry guide and shock relief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connection plates (10c, 10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470A KR102190148B1 (en) | 2020-03-10 | 2020-03-10 | Multi heaping type pallett having entry guidance and impact attenuat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470A KR102190148B1 (en) | 2020-03-10 | 2020-03-10 | Multi heaping type pallett having entry guidance and impact attenuating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0148B1 true KR102190148B1 (en) | 2020-12-11 |
Family
ID=7378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9470A Active KR102190148B1 (en) | 2020-03-10 | 2020-03-10 | Multi heaping type pallett having entry guidance and impact attenuat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014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3970Y1 (en) * | 2020-12-31 | 2021-07-08 | 거창피엘티 주식회사 | Pallete |
KR102672217B1 (en) * | 2023-07-14 | 2024-06-04 | 최정훈 | Pallet for agicultural product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6948A (en) * | 1993-11-30 | 1995-06-20 | Nippon Nesutauei Kk |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
KR960009336U (en) * | 1994-08-31 | 1996-03-16 | Power Plug Adapter | |
KR200333232Y1 (en) | 2003-09-01 | 2003-11-12 | 대흥기공주식회사 | pallet for car parts |
JP3103199U (en) * | 2004-02-05 | 2004-07-29 | 清男 及川 | Portable rack |
KR200469751Y1 (en) * | 2013-04-10 | 2013-11-05 | 거창물류 주식회사 | Pallet |
-
2020
- 2020-03-10 KR KR1020200029470A patent/KR1021901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6948A (en) * | 1993-11-30 | 1995-06-20 | Nippon Nesutauei Kk |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
KR960009336U (en) * | 1994-08-31 | 1996-03-16 | Power Plug Adapter | |
KR200333232Y1 (en) | 2003-09-01 | 2003-11-12 | 대흥기공주식회사 | pallet for car parts |
JP3103199U (en) * | 2004-02-05 | 2004-07-29 | 清男 及川 | Portable rack |
KR200469751Y1 (en) * | 2013-04-10 | 2013-11-05 | 거창물류 주식회사 | Palle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3970Y1 (en) * | 2020-12-31 | 2021-07-08 | 거창피엘티 주식회사 | Pallete |
KR102672217B1 (en) * | 2023-07-14 | 2024-06-04 | 최정훈 | Pallet for agicultural produc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40360A (en) | Stackable flat pallet | |
US20030205877A1 (en) | Stackable dolly for supporting stackable trays having prestressed sections | |
US6966449B2 (en) | Bulk box | |
KR102190148B1 (en) | Multi heaping type pallett having entry guidance and impact attenuating structure | |
EP2390198B1 (en) | Transport pallet system | |
EP2580136B1 (en) | Pallet for bulk bags | |
JP7357937B2 (en) | Shipping pallets and/or decks useful for shipping | |
JP7277364B2 (en) | Pallet shelving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items on the pallet shelving system | |
US9120596B2 (en) | Pallet | |
US5687653A (en) | Modular metal pallet | |
US6953116B2 (en) | Stackable tray having prestressed sections | |
JP2022540644A (en) | Convenient shipping pallet or deck | |
US20130206780A1 (en) | Bulk bin | |
KR100694203B1 (en) | Prefab Pallet Box with Shelf Function | |
US3442231A (en) | Material handling container | |
CA2918556A1 (en) | Loading pallet for transporting long object | |
WO2022009183A1 (en) | Modular goods-carrying system | |
EP3098113B1 (en) | Cargo space with pallet guide | |
US3447490A (en) | Frames for stacking pallets | |
CN101203437A (en) | Synthetic resin tray | |
RU222088U1 (en) | POLYMER TRAY | |
CN217321187U (en) | Crash-proof plastic tray | |
KR20200127318A (en) | A assembly type pallet | |
EP3015391B1 (en) | Improved crate for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e | |
KR200494750Y1 (en) | Film roll pad fixing plate for the pall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4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6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1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0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7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