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6444B1 - 가습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444B1
KR102186444B1 KR1020180133133A KR20180133133A KR102186444B1 KR 102186444 B1 KR102186444 B1 KR 102186444B1 KR 1020180133133 A KR1020180133133 A KR 1020180133133A KR 20180133133 A KR20180133133 A KR 20180133133A KR 102186444 B1 KR102186444 B1 KR 102186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air purifier
humidific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867A (ko
Inventor
김홍석
구명진
김석천
김선미
김태윤
유인문
이건영
이영구
이정우
장준혁
장환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20101587.6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1876216U/zh
Priority to CN201920083369.1U priority patent/CN210107589U/zh
Publication of KR2019008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는, 캐비닛; 상기 케비닛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에어필터 어셈블리 및 수조가 설치되는 도어 어셈블리; 상기 수조에 설치되는 물통; 상기 수조에 설치되며, 상기 물통의 후방에 위치하는 가습필터 어셈블리; 및 상기 수조에 설치되며, 상기 물통의 하방에 위치하는 플로트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플로트 장치는, 상기 물통의 하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이 상기 플로트 장치의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 공기청정기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가습기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한 후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공기 청정기에 가습기능을 추가한 가습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가습 공기청정기의 경우, 위생상 사용자가 필터 및 물통을 주기적으로 청소 또는 교체해야 한다.
또한, 가습 공기청정기의 경우 가습매체를 적시기 위하여 물통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저수하는 수조가 구비된다. 따라서, 가습 공기청정기를 이동시키거나 조작할 때 누수가 방지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JP5370290 B2 (이하, 선행 문헌)에서는 기기가 기울어질 때 누수를 억제할 수 있는 소형가습기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 문헌에서 개시되는 소형가습기는, 저수 용기와 상기 저수 용기에 결합되는 가습 필터, 상기 저수 용기에 물을 공급하도록 밸브가 구비되는 급수 용기 및 상기 저수 용기와 상기 급수 용기 사이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저수 용기에 적층되어, 상기 저수 용기와 상기 급수 용기 또는 상기 가습필터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 문헌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급수 용기(또는 물통)의 하단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사용자가 물을 충전시키거나 또는 급수 용기에 저수된 물이 저수 용기(또는 수조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급수 용기(또는 물통)을 착탈하는 과정에서 상기 급수 용기에 저장된 물이 새어 나올 수 있다.
둘째, 상기 급수 용기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홀로 사용자가 물을 충전시키기에 난이도가 높고 외부로 물이 흐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셋째, 저수 용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급수 용기로부터 물이 새어 나갈 위험이 있다.
넷째, 저수 용기로 제공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저수 용기(또는 수조), 급수 용기(또는 물통) 및 가습필터의 청소, 관리, 교체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여섯째,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 범람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수조, 물통 및 가습필터의 구조가 제시되지 않는다. 특히,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저수부에 저수되는 물이 특정 방향으로 쏠리면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할 수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저수 용기에 잔수에 의하여 저수 용기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공기청정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조에 장착되는 물통의 착탈이 용이하고, 상기 착탈 과정에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물통에 물을 쉽게 충전시킬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통의 이동 과정에서 저장된 물이 새어나갈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수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와 빈수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통, 수조 및 가습필터의 교체 또는 관리가 용이한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조 및 물통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통의 잔수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통, 플로트 장치 및 수조가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플로트 장치가 물통과 수조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쉽게 장착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통에 저장된 물을 용이하게 수조로 제공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이 개구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개구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며, 물통 및 가습필터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수조가 구비되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육면체 형상의 수조케이스, 상기 수조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제 1 거리(d1)만큼 하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물통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1 거리(d1) 보다 긴 제 2 거리(d2)만큼 하방으로 함몰되는 연장베이스, 상기 안착부와 상기 연장베이스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구획가이드, 상기 안착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플로트 수용부 및 상기 플로트 수용부로부터 상기 구획가이드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 베이스로 연장되는 공간으로 규정되는 저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도어 어셈블리의 인출 또는 인입시, 상기 구획가이드는 상기 저수부의 물이 외력에 의해 수조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차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은 수조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의 누수 없이 저수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조와 물통으로부터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은 상기 플로트 수용부의 상측에서 상기 저수부로 저장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수조, 물통 및 가습필터 어셈블리가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비되므로 가습필터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저수부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규정되는 제 1 저수부 및 상기 제 1 저수부와 연통되며, 상기 연장베이스, 상기 구획가이드 및 상기 수조케이스의 내면에 의해 규정되는 제 2 저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 1 저수부와 제 2 저수부의 체적은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는, 상기 제 1 저수부로부터 상기 제 2 저수부를 향할수록 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도어 어셈블리 인출시 물은 체적이 큰 제 2 저수부로 향하게 되므로 유동 속도가 감소하여 누수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저수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은 상기 안착부와 상기 구획가이드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은 안정적으로 수조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가이드는, 상기 수조케이스의 양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 1 구획가이드와 제 2 구획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부는 상기 제 1 구획가이드와 상기 제 2 구획가이드의 사이를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구획가이드의 하측으로 제 1 저수부와 제 2 저수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가이드는 상기 물통이 배치되는 물통 수용공간과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가습필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 수용공간은, 상기 가습필터 수용공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의 수위에 따라 안정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케이스는, 상단에 상기 물통의 뚜껑이 지지되도록 폭이 연장되는 뚜껑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물통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케이스는, 전단 및 후단 상단부를 각각 하향 경사지도록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단 절개단부는 물통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후단 절개단부는 송풍팬과 가습필터의 흡입면적을 최적으로 확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케이스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와 접촉되도록 상기 저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압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가이드는 상기 저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돌기 및 고정돌기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를 전후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수조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상기 저수부에 저수되는 물에 부유되도록 구비되는 부유센서 및 상기 부유센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저수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수위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감지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팬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도어 어셈블리의 인출 또는 인입 과정에 독립적으로 센서 감지부가 고정되기 때문에, 도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유센서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감지부는 홀(hall)센서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일 방향으로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저수부가 형성되는 수조가 구비되는 도어 어셈블리, 상기 수조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부로 물을 제공하는 물통 및 상기 수조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부에 삽입되는 가습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는, 상기 물통이 안착되도록 함몰되는 안착부, 상기 저수부를 규정하며, 상기 안착부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플로트 수용부 및 상기 플로트 수용부에 회전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위치하는 플로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은, 상기 플로트 장치와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플로트 장치와 연통되는 홀을 개폐하는 밸브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물통은 상기 수조에 결합된 경우에만 상기 저수부로 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수조로부터 분리되면 물통의 바닥면에 구비된 밸브장치가 폐쇄 상태로 유지되므로 물 배출이 중단되고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을 상기 밸브장치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물통의 잔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은, 저면으로부터 상기 수조의 안착부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누수방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누수방지벽에 의해 저수부의 물이 범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은, 상기 바닥면의 중심에 하방으로 개방되는 홀을 형성하는 패킹홈 및 상기 플로트 장치와 연통되는 홀로 형성되는 밸브공이 포함되며,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패킹홈 또는 상기 밸브공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은 상기 패킹홈으로부터 상기 저면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유입가이드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장치는, 밸브샤프트, 상기 밸브샤프트를 권취하는 스프링; 및 상기 밸브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패킹홈에 끼워질 수 있는 샤프트패킹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패킹은 상기 플로트 장치와 접촉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장치는, 상기 샤프트패킹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물통이 사용자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 상기 밸브장치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보다 용이하게 홀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물통은 수조로부터 상방으로 쉽게 분리되도록 안착되며, 밸브장치가 물통이 수조에 완전히 안착되기 전까지 물통에 저수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플로트 케이스, 상기 플로트 케이스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밸브장치를 가압하는 밸브지지부 및 상기 플로트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저수부에 부유되는 플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저수부의 적정 수위시 물의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지지부는, 상기 밸브장치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리브 및 상기 가압리브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플로트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게이트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지지부는, 상기 가압리브의 외측에 이격되며, 상기 게이트홀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내측리브, 상기 내측리브의 외측에 이격되며, 상기 게이트홀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측리브 및 상기 내측리브와 상기 외측리브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물통의 저면에 밀착되는 루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물통의 바닥이 편평하게(flat)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트장치와 수조 또는 상기 플로트장치와 물통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리브에는 상기 게이트홀과 연통되며, 상기 물통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플로트 장치는 물통에 저장된 물을 용이하게 수조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 수용부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로트 장치의 결합 또는 분리를 가이드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장치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 홈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 가이드가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플로트 장치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에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 장치는,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하여 상기 플로트 수용부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플로트 장치가 물통과 수조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은,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물통본체; 및 상기 물통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물의 충전과 배출이 구분되는 물통을 구비할 수 있다. 상세히,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물통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을 덮는 뚜껑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뚜껑을 열고 쉽고 안정적으로 물을 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본체는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쉽게 물통을 수조로부터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지지부는, 상기 물통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플로트 장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은, 상기 패킹홈으로 유입되어 상기 밸브공을 통해 상기 플로트 장치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에는, 상기 물통의 하단부와 걸림이 이루지도록 상기 안착부로부터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물통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조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방으로 인출입되는 도어에 필터 및 물통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면 필터와 물통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필터 및 물통의 청소 또는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조에 삽입 또는 안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으로부터 구획되어 상기 수조에 지지되는 가습필터 유닛이 구비되어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수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어 물이 적정 수위까지 차오른 만수 상태 또는 수위가 최저 수위까지 내려온 빈수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유 센서가 저수부에 구비되므로 쉽게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통은 수조에 안착되며,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물통을 도어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물을 보충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수조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 장치가 물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허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수조의 물 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로트 장치에 의해 수조의 적정 수위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로트 장치가 물통과 수조에 쉽게 분리되므로 청소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로트 장치가 물통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물통을 바닥에 세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물통의 사용성이 향상되고, 물통의 세척 등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통, 플로트 장치 및 수조가 분리된 구성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복잡한 내부 구성이 사라져 고장 요인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4는 도 1의 VI-VI'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V-V’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본체를 상방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본체를 하방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A-A'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 및 플로트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플로트 케이스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13의 B-B’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도 17의 C-C’ 단면도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 물통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센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VI-V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및 상기 캐비닛(100)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어셈블리(200)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0)에는, 다수의 패널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패널에는, 하부패널(101)과, 상기 하부패널(101)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패널(103)과, 상기 양측의 측면 패널(103)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면 패널(105) 및 상기 양측의 측면 패널(103)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면 패널(107)이 포함된다. 상기 하부패널(101)과,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과, 상기 상면 패널(105) 및 후면 패널(107)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0)은 전방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패널은 목재 재질로 구성되어 외관상 가구의 심미감을 줄 수 있으므로, 외관이 수려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면 패널(105)은 탁자, 책상, 책장 등과 같은 가구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상기 상면 패널(105)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높이가 일 미터(1m)이내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상면 패널(105)을 탁자, 책상, 책장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침대에 누웠을 경우 사용자의 높이와 비슷한 위치에서 가습 및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므로 사용자를 중심으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송풍팬(480)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및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합하여, "필터 어셈블리"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방되거나, 또는 후방으로 인입하여 닫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210)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도어 패널(210)은 4각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패널(210)은 목재로 구성되어 가구와 같은 심미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10)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패널(101)의 사이에는, 함몰 공간(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 공간(30)의 상측에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25)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0)의 상면 패널(105)의 후측에는, 필터링 및 가습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109)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109)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후방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부품이 설치되는 수용부(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부품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수조(260) 및 물통(27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방될 때, 상기 수용부(220)에 배치되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에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또는 인입을 가이드 하는 레일 가이드(2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수용부(230)의 하부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레일 가이드(230)에 의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캐비닛(100) 내부로 인출 도는 인입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수용부(220)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관리가 용이하도록 서랍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와,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8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0)에는, 공기청정기의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부(112)를 형성하는 바디부(110)가 포함된다.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전방부는 도어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후방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후방부는 팬 하우징(410) 및 하우징 커버(43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상부는 전장부(45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은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에 결합된다. 상기 상면 패널(105)은 상기 전장부(45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후면 패널(107)은 상기 하우징 커버(43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210) 및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용부(220)가 포함된다. 상기 수용부(220)에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도어 전면(221)이 포함된다. 상기 도어 패널(210)과 상기 도어 전면(221)을 합하여 "도어 전면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220)에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측면(222)과, 상기 도어 측면(222)의 하측에 구비되는 도어 하면 및 상기 도어 하면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후면이 포함된다. 상기 도어 전면(221), 도어 하면, 도어 측면(222) 및 상기 도어 후면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220)의 내부에는 수조(260), 물통(270),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및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20)의 전방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에는, 에어필터 케이스(281) 및 상기 필터케이스(281)에 결합되는 에어필터(28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부(220)의 대략 중앙부, 즉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의 후측에는 물통(2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은 수조(26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은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물통(270)을 분리하여 물을 보충하거나 상기 물통(270)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수조(260)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물통(270)을 수용하는 수조케이스(261)가 포함된다. 상기 수조케이스(261)는 내부에 상기 물통(270)이 안착되도록 편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수조케이스(26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플로트 장치(500)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플로트 수용부(262)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며, 일례로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는 물이 저장되는 제 1 저수부(262a)를 형성하며, 상기 플로트 장치(500)는 상기 제 1 저수부(262a)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수부(262a)의 물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플로트 장치(50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통(270)으로부터의 물 유입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내부에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물이 저장되는 제 2 저수부(2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수부(229)는 상기 제 1 저수부(262a)에 연통하며, 상기 제 1 저수부(262a)와 동일한 수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수부(229)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수부(229)로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수부(262a) 및 상기 제 2 저수부(229)는 상기 제 1 저수부(262a)로부터 상기 제 2 저수부(229)를 향할수록 공간의 체적이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20)의 후방부, 즉 상기 물통(270)의 후측에는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수조(260)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 2 저수부(229)에 하부가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에는, 가습필터 케이스(310), 상기 가습필터 케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습필터 유닛(320) 및 상기 가습필터 유닛(320)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260)에 저장되는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330)가 포함된다.
상기 가습필터 유닛(320)은 중심이 상기 송풍팬(48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송풍팬(480)과 상기 가습필터(330)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중첩되는 흡입 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습필터(330)를 통과하는 공기가 최소한의 유동 손실로 상기 송풍팬(48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에는, 상기 수조(260)의 제 2 저수부(229)에 저장되는 물을 퍼올리는 수집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수집부에서 퍼올려지는 물은, 상기 가습필터 유닛(320)에 장착된 가습필터(33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며 다시 하방으로 내려올 때 상기 가습필터(330)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상기 가습필터(330)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가습필터 모터(353) 및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가습필터 구동기어(355)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 및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는 상기 팬 하우징(4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 및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는 팬 하우징(410)의 전면과 가습필터 케이스(31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는 상기 팬 하우징(410)의 전면에 상기 팬 흡입구(415)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는 상기 팬 하우징(410)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브라켓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는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의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는 상기 가습필터 유닛(2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에는,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와 연동하는 필터기어 포함된다.
상기 필터기어는 상기 가습필터(33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와 기어-이(gear-tooth)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기어는 상기 가습필터 유닛(32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기어(338)의 회전을 따라 상기 가습필터 유닛(320) 및 가습필터(330)는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필터(330), 가습필터 유닛(320) 및 수집부는, 가습 수차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가습 수차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습 수차는 "물레방아"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 수차는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는 물의 흡습이 용이한 천, 펠트 또는 스펀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후측에는, 상기 수조(260)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260)의 내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살균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살균장치에는, 자외선 LED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260)의 후측에는, 상기 살균장치로부터 광이 상기 수조(260) 내부에 조사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어셈블리(4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80)과, 상기 송풍팬(480)의 전방에 배치되는 팬 하우징(410) 및 상기 팬 하우징(410)의 후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430)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80)은 상기 팬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 커버(430)에 의하여 정의되는 팬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8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원심팬에는 시로코 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80)의 축 방향은 전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410)에는, 팬 흡입구(415)가 포함된다. 상기 팬 흡입구(415)에는, 방사상 또는 원주형으로 연장되는 흡입가이드 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가이드 리브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이 송풍팬(480)으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453)이 구비되는 전장부(4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장부(450)에는,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전장 플레이트(451)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전장 부품(453)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450)에는, 상기 다수의 전장 부품(453)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전장 커버(45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패널(105)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장 부품(453)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 하는 레일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부(11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 구비되는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하부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조명 브라켓이 더 포함된다. 상기 조명 브라켓은 상기 캐비닛(100)의 하부패널(101)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에는, 조명원이 구비되는 조명 PCB(122) 및 상기 조명 PCB(122)에 결합되는 조명 케이스(124)가 포함된다. 상기 조명원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101)의 전방부 상면에는, 반사판(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조명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은은하게 반사 또는 확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송풍팬(480)이 구동하면, 공기 청정기 외부의 공기는 함몰 공간(30)을 경유하여 공기 흡입부(225)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부(225)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수용부(2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는 에어필터 안착부(226)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의 필터면을 고르게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에서 필터링 된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하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가습되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480)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수조(260) 및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수용부(220)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되므로, 공기의 필터링 및 가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는 상기 송풍팬(480)의 축 방향으로 흡입되며,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80)을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토출부(10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실시예, 도 5에 도시되는 다른 실시예는 제 2 실시예로 이름한다.
상기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에서 수조(260’) 및 물통(270’)이 변형된 실시 예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실시예의 구성 중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물이 저장되는 물통(270’)은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방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물통(270’)은 상기 가습필터(330) 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에는 상기 물통(270’)을 지지하기 위한 물통지지부(9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대응되는 양 측벽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통지지부(900)는 상기 양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물통(270’)이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270’)은 상기 물통지지부(900)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260’)의 저수부(262a)로 연장되는 급수관(6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 내부의 물은 상기 급수관(610)을 통하여 상기 저수부(262a)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610)에는 밸브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플로트 장치(500)는 상기 밸브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에어필터(28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가습필터(330)로 유입되는 흡입 면적을 최대로 확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V-V’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물통(270)은 내부공간(274)에 물을 저장하는 물통본체(271) 및 상기 물통본체(271)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20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본체(271)는 상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물통본체(271)는 장변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단변이 양측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7)은 상기 개방된 물통본체(271)의 상면을 차폐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뚜껑(207)은 상기 물통본체(271)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7)은 상기 물통본체(271)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7)은 상기 물통본체(271)의 상단과 맞닿는 부분에 고무패킹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7)은 중심부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뚜껑손잡이(2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손잡이(208)은 상기 뚜껑(207)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뚜껑손잡이(208)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뚜껑(207)을 상기 물통본체(271)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물통본체(272)의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공간(274)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7)은 상기 뚜껑손잡이(208)가 형성되는 중심부를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은 상기 뚜껑손잡이(208)를 파지할 때 상기 함몰된 중심부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7)은 상기 물통본체(27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저수된 물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압홀(208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압홀(208a)은 상기 함몰된 중심부를 관통하는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본체(271)가 상기 뚜껑(207)과 결합되어 상기 수조(260)에 장착된 경우, 상기 물통(270)에 저수된 물은 상기 기압홀(208a)에 의해 제공되는 대기압에 의해 하방에 위치한 플로트 장치(500) 및 제 1 저수부(262a)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물통본체(271)는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손잡이(27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손잡이(271a)는 사용자가 쉽게 상기 물통본체(271)를 파지하여 다룰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동손잡이(271a)는 상기 물통본체(271)의 상단부 양측에 회동 축이 삽입되고, 상기 물통본체(271)의 상단부를 따라 ‘ㄷ’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손잡이(271a)는 사용자의 파지가 불필요한 경우 상기 물통본체(171)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통본체(271)는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2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본체(271)는 상기 내부공간(274)을 규정하는 하면이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물통본체(271)는 물이 저장된 내부공간(274)을 형성하는 바닥면(272)을 물이 배출되는 홀(hole)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은 후술할 패킹홀(272c)일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면(272)은 밸브장치(276)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또는 상기 밸브장치(276)는 상기 바닥면(272)의 중앙 또는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물통본체(271)의 밑면 또는 바닥면(272)은 경사면(272)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내부공간(274)의 물이 모두 중심부의 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270)은 잔수가 발생되지 않아 오염이 방지되고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경사면(272) 또는 상기 물통본체(271)의 밑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274)을 형성하는 일 면인 내면부(272a) 및 상기 수조(260)를 향하는 타 면인 저면부(272b)로 규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물통본체(272)에는, 상기 내부공간(274)의 바닥면을 규정하는 내면부(272a) 및 상기 내면부(272a)의 반대측 면으로서 상기 물통본체(272) 외측 면을 규정하는 저면부(272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내면부(272a)는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면부(272a)에는 물을 저수되며, 상기 저면부(272b)에는 수조(260)가 맞닿아 물통(27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물통본체(271)는, 외주면의 하부를 단차지도록 함몰시키는 수조안착홈(273) 및 상기 저면부(272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누수방지벽(2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안착홈(273)은 싱기 물통본체(271)의 외주면과 저면부(272b)가 형성하는 모서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조안착홈(273)은 누수방지벽(275)의 외측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안착홈(273)은 상기 누수방지벽(275)과 함께 후술할 수조(260)의 고정가이드(264b)와 안착부(264b)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가이드(264b) 및 안착부(264b)가 ‘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조안착홈(273) 및 상기 누수방지벽(275)은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조안착홈(273)은 상기 수조(260)에 형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수조안착홈(273)은, 상기 물통(270)이 수조(260)와 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물통(27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물통(270)은 상기 수조(260)의 안착부(264a)와 구획가이드(268a,268b)에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누수방지벽(275)은 상기 물통본체(271)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누수방지벽(275)은 상기 물통(270)이 상기 수조(260)의 안착부(264b)에 안착될 때, 상기 안착부(264b)와 접촉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누수방지벽(275)은 상기 저면부(272b)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벽(275)은 상기 저변부(272b)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누수방지벽(275)은 상기 수조안착홈(273)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저면부(272b)의 외둘레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벽(275)와 후술할 유입가이드(275a) 사이에는 플로트 장치(500)가 삽입되는 공간(275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누수방지벽(275)은 상기 수조(260)의 안착부(264b)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물통(270)이 상기 수조(260)와 결합된 경우, 상기 물통(270) 및 상기 수조(260)의 저수부로부터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통본체(271)는 밑면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홀(hole)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본체(271)는 상기 홀을 개폐시키는 밸브장치(2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본체를 상방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본체를 하방에서 바라본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물통(270)은, 상기 물통본체(271)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패킹홈(272c)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장치(2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홈(272c)은 상기 내면부(272a)의 중심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홀(hol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276)는 상기 패킹홈(272c)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274)에 저장된 물은 상기 밸브장치(276)의 동작에 의해 배출 또는 저수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장치(276)는 상기 내부공간(274)에 저장된 물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잇다.
상기 밸브장치(276)는 중심 축을 형성하는 밸브샤프트(277) 및 상기 밸브샤프트(277)에 끼워지는 샤프트패킹(2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276)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물통본체(271)는 상기 패킹홈(272c)의 중심에 위치하는 패킹안착부(277a), 상기 패킹홈(272c)과 상기 패킹안착부(277a) 사이에 위치하여 물이 통과되는 개구인 밸브공(272d) 및 상기 패킹홈(272c)을 따라 상기 저면부(272b)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유입가이드(27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홈(272c)은 상기 내면부(272a)의 중심이 하방으로 개방되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홈(272c)은 상기 밸브장치(276)의 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밀폐)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킹홈(272c)은 상기 밸브장치(276)의 샤프트패킹(278) 외주면과 끼움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밀폐될 수 있다.
상기 패킹홈(272c)이 폐쇄되면, 상기 내부공간(274)에 저장된 물은 하방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저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패킹안착부(277a)는 상기 패킹홈(272c)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안착부(277a)는 상기 패킹홈(272c)의 어느 일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패킹안착부(277a)에는, 상기 밸브장치(276)가 삽입 또는 관통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패킹안착부(277a)는 상기 밸브장치(276)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패킹안착부(277a)에는 상기 밸브장치(276)의 밸브샤프트(277)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심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킹안착부(277a)는, 상기 패킹홈(272c)의 중심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킹안착부(277a)의 중심 홀은, 상기 패킹홈(272c)의 중심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패킹안착부(277a)에는 샤프트패킹(278)의 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에 의해 물통(270)이 들어 올려질 때 밸브샤프트(277)에 결합된 샤프트패킹(278)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샤프트패킹(278)의 저면은 상기 패킹안착부(277a)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샤프트패킹(278)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킹안착부(277a)는 밸브장치(276)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패킹안착부(277a)는 상기 샤프트패킹(278)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샤프트패킹(278)의 외주면은 상기 패킹홈(272c)에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져 내부공간(274)에 저장된 물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밸브공(272d)은 상기 물통(270)의 내부공간(274)이 상기 저면부(272b)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홀(hole)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밸브공(272d)은, 상기 물통(270)의 내부공간(274)에 저장된 물이 상기 물통(27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패킹홈(272c)과 상기 패킹안착부(277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킹안착부(277a)를 지지하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패킹홈(272c)의 중심을 향하여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연장부와 연장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밸브공(272d)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270)의 내부공간(274)에서 상기 패킹홈(272c)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밸브공(272d)에 의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공(272d)은 상기 패킹안착부(277a)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공(272d)은 상기 밸브장치(276)의 상하 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유입가이드(275a)는 상기 패킹홈(272c)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가이드(275a)는 상기 밸브공(272d)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가이드(275a)는 상기 패킹홈(272c)의 하단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가이드(275a)는 하방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홈(272c) 및 유입가이드(275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가이드(275a)는 상기 밸브장치(276)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가이드(275a)는 상기 밸브장치(276)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가이드(275a)와 상기 밸브장치(276)의 사이 공간을 유입로(600)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유입로(600)는 상기 밸브공(272d)을 통과하며 하방으로 배출되는 물이 플로트 장치(500)로 유입되는 유로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가이드(275a)와 상기 누수방지벽(275)의 사이에는 플로트 장치 삽입공간(275e)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로트 장치 삽입공간(275e)은, 상기 유입가이드(275a)의 외측 반경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장치 삽입공간(275e)는 상기 누수방지벽(275)과 상기 유입가이드(275a) 사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장치 삽입공간(275e)에는 플로트 장치(500)의 밸브지지부(530)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장치결합부(275)와 플로트 장치(500)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장치 삽입공간(275e)에 상기 플로트 장치(500)가 놓여지면, 상기 밸브장치(276)는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가압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패킹홈(272c) 및 상기 밸브공(272d)을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장치(500)가 상기 플로트 장치 삽입공간(275e)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밸브장치(276)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패킹홈(272c) 및 상기 밸브공(272d)이 폐쇄될 수 있다.
즉, 상기 물통(270)이 상기 수조(260)에 놓여지면, 상기 물통(270)의 밸브장치(276)는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가압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물통(27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수조(260)의 저수부(262a,229)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276)에는, 밸브샤프트(277), 상기 밸브샤프트(277)에 결합되는 샤프트패킹(278) 및 스프링(279)이 포함된다.
상기 밸브샤프트(277)는 상기 패킹안착부(277a)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킹안착부(277a)의 중심 홀을 관통하는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샤프트(277)의 하단부는 플로트 장치(500)의 가압리브(535)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밸브샤프트(277)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밸브샤프트(277)의 하단부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샤프트(277)의 축부는 상기 하단부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샤프트(277)에는 상기 샤프트패킹(278)이 결합되는 패킹축(277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축(277b)은 상기 밸브샤프트(277)의 축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축(277b)은 상기 밸브샤프트(277)의 축부보다 외경이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패킹(278)은 중심 축이 상기 패킹축(277b)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밸브샤프트(277)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가압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패킹(278)은 상기 패킹홈(272c)의 내주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물통(270)의 물이 상기 패킹홈(272c)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패킹(278)은 상기 밸브샤프트(277)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패킹홈(272c)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물통(270)에 저장된 물이 유입로(600)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패킹(278)은, 상기 패킹안착부(277a)에 저면이 안착될 때 상기 패킹홈(272c)이 폐쇄(밀폐)될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샤프트패킹(278)은 끝이 잘린 원뿔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패킹(278)은 상기 패킹홈(272c)에 끼워지는 경우 실링(seailng)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샤프트패킹(278)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79)은 상기 패킹안착부(277a)의 저면과 상기 밸브샤프트(277)의 하단부의 상면 사이에 상기 밸브샤프트(277)의 축부의 외면을 권취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79)은 상기 플로트 장치(50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밸브장치(276)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압축되므로 상기 밸브장치(276)의 복귀 이동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270)이 상기 수조(26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밸브장치(276)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기 스프링(279)에 의해 하방으로 복귀되어 패킹홈(272c) 및/또는 밸브공(272d)을 밀폐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 및 플로트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수조(260)에는 외관를 형성하는 수조케이스(261) 및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26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64)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수조케이스(261)는 상기 베이스(264)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조케이스(261)에는 뚜껑지지부(261a), 걸림부(261b), 절개단부(261c) 및 압박돌기(261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지지부(261a)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양측 상단부에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뚜껑지지부(261a)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통의 뚜껑(207)이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뚜껑지지부(261a)는 상기 물통(270)이 배치되는 물통 수용공간(260a)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뚜껑지지부(261a)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양측 상단부로부터 구획가이드(268a,268b)를 따라 그어지는 연장선과 교차하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뚜껑지지부(261a)에 의하여, 상기 물통(270)의 상측에 결합된 뚜껑(271)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걸림부(261b)는 상기 뚜껑지지부(261)의 후측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61b)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양측 상단부에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부(261b)는 상기 뚜껑지지부(261a)의 후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61b)는 상기 가습필터 케이스(310)가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61b)에는 상기 가습필터 케이스(310)가 안착되므로, 상기 가습필터 케이스(310)는 최하단 단부가 연장베이스(268)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저수부(262a)와 제 2 저수부(229,260b)의 물의 유동을 용이하게 이뤄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걸림부(261b)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상기 제 2 저수부(229)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절개단부(261c)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전단에 형성되는 절개단부(261c)를 전방 절개단부라 이름하며,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후단에 형성되는 절개단부를 후방 절개단부라 이름한다.
상기 후방 절개단부는 가습필터(3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단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절개단부(261c)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후측 상단부가 상기 가습필터(33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 절개단부(261c)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후측 상단부의 양 측부에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절개단부(261c)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가습필터(330)의 최하단을 지나는 가상의 접선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개단부는 상기 후방 절개단부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박돌기(261d)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후측 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압박돌기(261d)는 상기 후방 절개단부(261c)의 하방에서 상기 후방 절개단부(261c)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수부(229)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후방에서 가압되는 압박돌기(261d)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후방 위치하는 압박돌기(261d) 및 전방에 위치하는 고정돌기(268c,268d)에 의하여 상기 제 2 저수부(229)에 안정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물통(270)을 지지하는 안착부(264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안착부(264a)는 상기 베이스(264)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 1 거리(d1)만큼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64b)는 편평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베이스(26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264a)와 연결되는 고정가이드(264b)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고정가이드(264b)는, 상기 안착부(264a)가 상기 베이스(264)로부터 함몰 형성됨으로써 생기는 단차를 따라 연장되는 둘레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64)와 상기 고정가이드(264b)가 형성하는 모서리 및 상기 고정가이드(264b)와 안착부(264a)가 형성하는 모서리는 라운드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수조(260)에 안착되는 물통(270)의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물통(270)이 안착되는 안착부(264a)의 후방에 제 2 저수부(229)를 형성하는 연장베이스(26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연장베이스(268)는 상기 베이스(264)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 2 거리(d2)만큼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베이스(268)는 편평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거리(d2)는 상기 제 1 거리(d1)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베이스(268)는 상기 안착부(264a)보다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물을 저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물통(270)에 저수된 물은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의 개구 부분을 통해 상기 안착부(264a)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제 1 저수부(262)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저수부(262a)로 유입된 물은 용이하게 상기 제 2 저수부(229)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수조(260)에는 물통 수용공간(260a)과 가습필터 수용공간(260b)을 구획하는 구획가이드(268a, 268b)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는 상기 안착부(264a)와 상기 연장베이스(26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저수부(262a) 및 상기 제 2 저수부(229)는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를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또는 인입 과정에서 저수부(262a,229)의 물이 상기 수조(260)로부터 범람하거나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케이스(261)는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 보다 높게 연장되기 때문에 물통(270) 또는 저수부(262a,229)에 저수된 물이 순간적으로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를 넘쳐도 다시 저수부(262a,229)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는 상기 물통(270)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수조(260)에 물통(270)이 결합된 경우에는 저수부(262a,229)에 저수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벽의 높이가 더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또는 인입 과정에서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구획가이드(268a, 268b)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양 측면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는 상기 안착부(264a)와 연장베이스(26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는 상기 안착부(264a)와 상기 연장베이스(268)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264)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상기 수조(260)의 장변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는 상기 물통(270)이 배치되는 물통 수용공간(260a)과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배치되는 가습필터 수용공간(260b)을 구획하는 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통 수용공간(260a)은 상기 가습필터 수용공간(260b)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의 전단에는 상기 고정가이드(264b)가 연결되며,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의 후단에는 상기 연장베이스(268)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일 면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와 상기 안착부(264a)가 형성하는 단차의 높이는 상기 제 1 거리(d1)이며,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와 상기 연장베이스(268)가 형성하는 단차의 높이는 상기 제 2 거리(d2)이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264a)는 상기 연장베이스(268)보다 제 2 거리와 제 1 거리의 차(d2-d1) 만큼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수용부(262)는 제 1 저수부(262a)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264a)로부터 제 2 거리와 제 1 거리의 차(d2-d1)만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물통 수용공간(260a)은 상기 가습필터 수용공간(260b)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물통 수용공간(260a)에 배치되는 물통(270)은 중력에 의해 하방에 위치하는 제 1 저수부(262a)로 물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 1 저수부(262a)로 유입된 물은 제 2 저수부(229,260b)로 용이하게 유입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저수부(262a)의 저면은 제 2 저수부(229,260b)의 저면과 동일 높이로 위치되므로 물의 유동을 용이하며, 저수부 수위의 저점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 2 저수부(229)에 구비되는 후술할 부유 센서(700)에 의해 판단되는 물 부족(빈수) 여부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가이드(268a, 268b )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양 측면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에는, 제 1 저수부(262a)가 제 2 저수부(229)에 연통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에는 제 1 구획가이드(268a) 및 제 2 구획가이드(268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구획가이드(268a)와 제 2 구획가이드(268b)는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획가이드(268a)는 상기 제 2 구획가이드(268b)와 사이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 공간은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2 저수부(229)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저수부(262a)와 상기 제 2 저수부(229)는 연통될 수 이다.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에는 상기 가습필터 케이스(310)의 전면부를 지지하는 고정돌기(268c,268d)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돌기(268c.268d)는 상기 구획가이드(268a,268b)의 후단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268ca,268d)에는, 상기 제 1 구획가이드(268a)의 후단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고정돌기(268c) 및 상기 제 2 구획가이드(268b)의 후단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고정돌기(268d)가 포함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가습필터 수용공간(260b)으로 삽입 배치되는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방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장베이스(268)가 상기 안착부(264a) 보다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조케이스(261)에는 상기 연장베이스(268)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케이스(26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장케이스(263)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 2 저수부(229)와 연통되는 조사개구(263a) 및 상기 조사개구(263a)의 외측에 살균장치(269)가 설치되는 살균장치 설치부(26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살균장치 설치부(263b)에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을 통해 상기 살균장치(269)는 상기 살균장치 설치부(263b)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살균장치(269)는 상기 조사개구(263a)를 차폐시키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사개구(263a)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사개구(263a)는 상기 살균장치 설치부(263b)의 내측으로 상기 제 2 수부(229)와 연통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사개구(263a)는 상기 살균장치(269)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 2 저수부(229)에 제공되어 살균을 수행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지지부(261a), 고정가이드(264b) 및 안착부(264a)는 상기 물통(27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물통지지부로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261b), 고정돌기(266a,266b) 및 압박돌기(261d)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가습필터 지지부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는 플로트 장치(50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상기 물통지지부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는 상기 물통지지부의 중앙부에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함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는 물이 저장되는 제 1 저수부(262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장치(500)는 상기 제 1 저수부(262a)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물이 저장되는 제 2 저수부(2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수부(229)는 상기 제 1 저수부(262a)에 연통하며, 상기 제 1 저수부(262a)와 동일한 수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에 위치하는 걸림돌기(265,266)가 더 포함된다.
상기 걸림돌기(265,266)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에 상기 플로트 장치(260)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걸림돌기(265,266)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돌기(265,266)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의 중심 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65,266)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65,266)에는 제 1 걸림돌기(265) 및 제 2 걸림돌기(266)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걸림돌기(265)는 상기 제 2 걸림돌기(266)와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걸림돌기(265)와 제 2 걸림돌기(266)는 동일한 형상으로 회전대칭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돌기(265)에는, 상부돌기(265a) 및 상기 상부돌기(265a)의 하방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부돌기(265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265a)는 후술할 걸림돌기 가이드(511)의 내부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돌기(265a)는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가 형성하는 함몰된 공간에 삽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돌기(265b)는 상기 상부돌기(265a)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돌기(265b)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의 바닥면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돌기(265a)는 상기 하부돌기(265b) 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돌기(265a)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하부돌기(265b)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플로트 장치(500)는, 상기 상부돌기(265a)가 플로트 장치(50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돌기 가이드(511)를 따라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삽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상부돌기(265a)보다 크게 형성된 하부돌기(265b)는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의 외측 단부에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로트 장치(500)는 안정적으로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돌기(266)는 상기 제 1 걸림돌기(265)와 마찬가지로 상부돌기(266a) 및 하부돌기(26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돌기(266)의 상부돌기(266a) 및 하부돌기(266b)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걸림돌(265)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즉, 상기 플로트 장치(500)는 상기 수조(26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플로트 장치(500) 및 수조(260)의 청결을 위해 쉽게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 장치(500)는 상기 물통(270)과 분리된 구성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물통(270)의 저면은 편평(flat)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물통(270)의 사용 또는 관리하는 경우 반듯하게 세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플로트 케이스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3의 B-B’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C-C’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플로트 장치(5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로트 장치(5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플로트 케이스(510),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밸브지지부(530) 및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물에 부유되는 플로터(550)가 포함된다.
먼저 도 13 내지 도 16를 참조하면,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에는 중심 축 방향으로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게이트홀(620)이 포함된다.
상기 게이트홀(620)은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상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로(600)를 통하여 하방으로 유동하는 물은, 상기 게이트홀(620)로 유입되어 상기 제 1 저수부(262a)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트홀(620)은 상기 물통(27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제 1 저수부(262a)로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홀(620)을 통하여 상기 제 1 저수부(262a)와 상기 유입로(600)는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홀(620)은 후술할 플로터(55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저수부(262a)의 수위가 만수 상태가 된 경우, 상기 게이트홀(620)에는 플로터(550)의 게이트 마개(555)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게이트홀(620)로 더 이상 물통(270)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트홀(620)은 상기 게이트 마개(555)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지지부(530)는 상기 밸브장치(276)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밸브지지부(530)는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상측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지지부(530)는 상기 게이트홀(620)을 관통하는 중심 축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밸브지지부(530)에는 밸브샤프트(277)의 하측을 가압하는 가압리브(535)가 포함된다.
상기 가압리브(535)는 상기 게이트홀(62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경 방향은 상기 게이트홀(620)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리브(535)는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리브(535)는 상기 게이트홀(620)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리브(535)의 상단부에 상기 밸브샤프트(277)가 안착되면, 상기 가압리브(535)는 상기 밸브샤프트(277)의 하측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밸브장치(276)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리브(535)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리브(535)에는 제 1 가압리브(535a) 및 제 2 가압리브(535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압리브(535a) 및 상기 제 2 가압리브(535b)는,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가압리브(535a)는 상기 게이트홀(620)의 중심으로부터 20°내지 160°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가압리브(535b)는 상기 게이트홀(620)의 중심으로부터 200°내지 340°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압리브(535a) 및 상기 제 2 가압리브(535b)는, 상기 게이트홀(620)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의 자취 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홀(620)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의 자취 방향을 원주 방향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리브(535a) 및 상기 제 2 가압리브(535b)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리브(535)에는 상기 유입로(600)를 통해 유동하는 물이 상기 게이트홀(6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홀(6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홀(610)은, 상기 제 1 가압리브(535a)와 제 2 가압리브(535b)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밸브지지부(530)에는, 상기 플로트 장치 삽입공간(275e)에 삽입되어 상기 저면부(272b)와 접촉하는 외측리브(531), 내측리브(532) 및 보강리브(53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외측리브(531), 내측리브(532) 및 보강리브(533)는, 상기 물통(270)이 상기 수조(260)에 설치된 경우, 상기 플로트 장치 삽입공간(275e)에 삽입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측리브(532)는, 상기 가압리브(535)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리브(532)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리브(532)의 내경은, 상기 유입가이드(275a)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리브(535)의 외측과 상기 내측리브(532)의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유입가이드 삽입공간(538)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가이드 삽입공간(538)에는, 상기 물통(270)이 상기 수조(260)에 설치된 경우, 상기 유입가이드(275a)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가압리브(535)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개방된 패킹홈(272c) 및 밸브공(272d)을 통과해 상기 유입로(600)로 유동하는 물은, 상기 유입홀(610)을 거쳐 상기 게이트홀(6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외측리브(531)는 상기 내측리브(53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측리브(531)는 상기 내측리브(53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리브(531)의 내경은 상기 내측리브(53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리브(531)는 상기 내측리브(54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533)는 상기 외측리브(531)와 내측리브(532)의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533)는 상기 사이 공간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리브(531)와 상기 내측리브(532)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강리브(533)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지지부(530)에는 상기 외측리브(531)와 내측리브(532)의 사이 공간을 실링하는 루버링(520, 도 19 참고)이 더 포함된다.
상기 루버링(520)은, 상기 다수 개의 보강리브(533)의 상단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리브(531)와 내측리브(532)의 사이 공간은, 루버링 설치공간(534)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이 상기 수조(260)에 설치된 경우, 상기 루버링(534)은 상기 장치결합부(275)의 함몰된 저면에 밀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루버링(534)을 통해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루버링 설치공간(534)이 밀봉시킴으로써 상기 루버링 설치공간(534)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에는, 플로터(5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플로터 가이드(517)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는,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는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상면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리브(535)는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의 반대 방향인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상면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는 상기 게이트홀(620)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에는 제 1 플로터 가이드(517a) 및 제 2 플로터 가이드(517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로터 가이드(517a) 및 제 2 플로터 가이드(517b)는,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플로터 가이드(517a)는 상기 게이트홀(620)의 중심으로부터 20°내지 160°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플로터 가이드(517b)는 상기 게이트홀(620)의 중심으로부터 200°내지 340°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로터 가이드(517a) 및 상기 제 2 플로터 가이드(517b)는, 상기 게이트홀(620)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의 자취 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홀(620)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의 자취 방향은 원주 방향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플로터 가이드(517a) 및 상기 제 2 플로터 가이드(517b)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에는 상기 게이트홀(620)를 통과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제 1 저수부(262a)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홀(63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홀(630)은, 상기 제 1 플로터가이드(517a)와 제 2 플로터 가이드(517b)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의 내경은 상기 가압리브(535)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의 내측 공간으로 상기 플로터(550)의 게이트 마개(555)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는 후술할 플로터(550)의 플로터 가이드 삽입공간(557)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 마개(555)는 상기 제 1 저수부(262a)의 수위에 따라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는 상기 플로터 마개(555)가 상기 게이트홀(620)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상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는 상기 제 1 저수부(262a)에 부유되는 플로터(55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는, 전체적으로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측면은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에는 측면부 중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저수개구(51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수개구(515)는 상기 게이트홀(620)을 통과하여 제 1 저수부(262a)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 2 저수부(229)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개구(515)를 통하여 상기 제 1 저수부(262a)와 제 2 저수부(229)는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에 수용되며, 저면이 개방되고 외주면의 일부에 개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저수부(299)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저수부(262a)는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에는 상기 제 1 저수부(262a)의 수위를 따라 부유하는 플로터(550)를 외측에서 가이드하는 고정리브(518)가 더 포함된다.
상기 고정리브(518)는 제 1 저수부(262a)의 수위가 낮아져 플로터(550)가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의 내측에 위치하는 게이트 마개(55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로터(550)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518)는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리브(51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518)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리브(518)는,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중심을 기준으로 90°씩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에는 상기 걸림돌기(265,266)가 삽입되는 걸림돌기 가이드(511)가 더 포함된다.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는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는, 상기 플로트 장치(500)를 쉽게 상기 수조(260)에 설치 또는 상기 수조(260)로부터 분리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는 상기 수조(260)의 걸림돌기(265,266)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는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로트 장치(500)를 설치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는, 상기 걸림돌기(265,266)가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돌기 제한홈(511a) 및 상기 걸림돌기(265,266)가 최초로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는 걸림돌기 이동홈(5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 제한홈(511a)은 상기 걸림돌기(265,266)가 걸림이 이뤄지도록 형성된 걸림돌기 가이드(511)의 연장 방향의 끝 지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 제한홈(511a)은 상기 걸림돌기 이동홈(511b)의 끝 단부 지점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265,266)는 상기 걸림돌기 이동홈(511b)의 가이드에 따라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상기 걸림돌기 제한홈(511a)에서 걸림이 이루어져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홈에는 상기 걸림돌기(265,266)가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나선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설치를 위해 상기 플로트 장치(5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플로트 장치(500)를 설치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방향을 설치 회전 방향(S)으로 정의할 수 잇다.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상기 플로트 장치(500)를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의 설치 회전 방향(S)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65,266)는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65,266)는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걸림돌기(265,266)는,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의 나선형 연장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265,266)는,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5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상의 자취를 남기도록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플로트 장치(500)를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회전된 플로트 장치(500)는 상기 걸림돌기(265,266)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에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플로트 케이스(5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플로터(55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플로터(550)는 물에 부유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550)는 전체적으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550)에는 상기 게이트홀(620)에 삽입되어 상기 게이트홀(620)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게이트 마개(555)가 포함된다.
상기 게이트 마개(555)는 상기 게이트홀(6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마개(555)는 제 1 저수부(262a)의 수위에 따라 상기 게이트홀(620)에 끼워지거나 하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게이트 마개(555)는, 상기 제 1 저수부(262a)의 수위가 최대인 만수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홀(620)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터(550)에는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로터(550)의 상면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플로터 가이드 삽입공간(5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 가이드 삽입공간(557)은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플로터 가이드 삽입공간(557)은, 상기 플로터(550)의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터 가이드 삽입공간(557)은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로터 가이드 삽입공간(557)으로 유입된 물은 하방으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제 1 저수부(262a)에 유입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는 상기 플로터 가이드 삽입공간(557)에 삽입되고,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게이트 마개(555)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저수부(262a)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상기 게이트 마개(555)가 안정적으로 상기 게이트홀(62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물통(270)이 수조(260)에 설치됨으로써 물통의 내부공간(274)에 저장된 물이 수조(260)의 저수부(262a,229)로 유동하게 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통(270)이 상기 안착부(264a)에 놓여짐으로써 상기 밸브장치(276)는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통(270)이 상기 안착부(264a)에 안착되면,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에 설치된 플로트 장치(500)의 가압리브(535)는 상기 밸브샤프트(277)의 하단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리브(535)의 가압에 의해 상기 밸브샤프트(277)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밸브샤프트(277)에 결합된 샤프트패킹(278)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패킹(278)의 이동에 의해 밀폐된 상기 패킹홈(272c) 및 밸브공(272d)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물통(270)에 저장된 물은 상기 패킹홈(272c)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밸브공(272d)의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밸브공(272d)을 통과한 물은, 상기 유입가이드(275a)의 내측으로 형성된 유입로(60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로(600)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상기 유입홀(610)을 통해 상기 플로트 장치(5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입홀(610)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게이트홀(620)을 통과하며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게이트홀(620)을 통과한 물은 상기 유출홀(630) 및 상기 플로터 가이드 삽입공간(557)으로 유동하여 연통된 제 1 저수부(262a)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수부(262a)로 유입된 물은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된 제 2 저수부(229)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제 1 저수부(262a) 및 제 2 저수부(229)의 수위가 점차 오르게 할 수 있다.
도 19에서는 상기 저수부(262a,229)의 수위를 최저 수위(L)로 가정하고, 도 20에서는 상기 저수부(262a,229)의 수위를 최고 수위로(H)로 가정한다.
한편, 상술한 유동 경로를 통해 상기 물통(270)의 물은 상기 저수부(262a,229)로 제공되며, 상기 저수부(262a,229)의 수위는 점점 높아져 최고 수위(H)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저수부(262a,229)의 수위가 올라갈수록 상기 플로터(550)의 위치도 상기 플로터 가이드(517)를 따라 상방으로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가 최고 수위(H)에 도달한 경우, 상기 플로터(550)의 최상단부에 위치한 게이트 마개(555)는 상기 게이트홀(620)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마개(555)가 상기 게이트홀(620)에 삽입되면, 상기 게이트홀(620)은 폐쇄된다. 즉, 상기 유입홀(610)로 물의 유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물이 상기 저수부(262a,229)로 제공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저수부(262a,229)에 저수된 물의 사용, 증발 등의 이유로 수위가 떨어지게 되면, 상기 플로터(55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게이트홀(620)은 다시 개방되어 물을 상기 저수부(262a,229)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개입이 없이 상기 물통(270)에 저장된 물은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상기 저수부(262a,229)에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 물통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센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는 상기 수조(260)의 저수부(262a,229)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부유 센서(700) 및 상기 부유센서(7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감지부(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센서(700)는 상기 수조(260)의 저수부(262a,229)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센서(700)는 부력에 의하여 상기 저수부(262a,229)에 저수되는 물에 부유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유센서(700)는 제 2 저수부(229)에 부유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감지부(710)는 상기 수조(26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 감지부(710)는 상기 팬 하우징(4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상기 캐비닛(10)에 인입된 경우, 상기 센서 감지부(710)는 상기 수조(260)의 저수부에 부유되는 부유센서(7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감지부(710)는 홀(hall)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 감지부(710)는 상기 부유센서(700)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력을 감지하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센서 감지부(710)는 상기 제 2 저수부(229)의 수위가 최저점에 도달하는지 여부 또는 물 부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저수부(229)에 부유되는 상기 부유센서(700)는, 상기 제 2 저수부(229)의 수위가 최저점에 도달하면 최하방으로 내려와 상기 연장베이스(268)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감지부(710)는 상기 부유센서(700)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저수부(262a,229)의 물 부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미도시)에 물 부족 상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조(260)는 상기 부유센서(700)의 부유를 가이드하기 위한 부유센서 걸림돌기(720) 및 부유센서 가이드(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센서 걸림돌기(720)는 상기 수조케이스(261)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저수부(229)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센서 걸림독기(720)는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제 2 저수부(229)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유센서(700)는 제 2 저수부(229)의 수위가 최대인 경우,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이 수행되어도 상기 부유센서 걸림돌기(720)에 의해 상기 제 2 저수부(229)를 이탈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부유센서 가이드(730)는 상기 제 2 저수부(229)의 일 측에 상기 연장베이스(268)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유센서 가이드(730)는 상기 센서 감지부(710)가 부유센서(700)를 정확히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유센서(700)가 상기 제 2 저수부(229)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유센서(700)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부유센서 가이드(730)에 의하여 상기 센서 감지부(710)의 감지 범위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부유센서(700)는, 자성체(701), 물에 부유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유체(702) 및 상기 부유체(702)를 커버하는 부유케이스(7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701)는 상기 부유체(702)의 일 측에 형성된 홈인 자석수용부(702a)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701)는 상기 부유케이스(703)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701)은 페라이트(ferrite)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 감지부(710)는 상기 자성체(701)의 자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부유센서(7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부유체(702)는 물에 부유되도록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부유체(702)는 발포 수지(Expandable Polystyrene.EPS)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702)는 스티로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케이스(703)는 상기 부유체(702)를 상측에서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유케이스(703)는 상기 부유체(702)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유케이스(703)는 플라스틱(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케이스(703)에는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부유체(702)를 고정하기 위한 부유체 고정돌기(703a)가 포함된다.
상기 부유체 고정돌기(703a)는 상기 부유케이스(703)의 양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체 고정돌기(703a)는 상기 부유케이스(703)의 내측면을 관통하도록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유체 고정돌기(703a)는 상기 부유체(702)의 외측을 고정시킬 수 있다.
10 : 가습 공기청정기 100 : 캐비닛
200 : 도어 어셈블리 260 : 수조
270 : 물통 280 : 에어필터 어셈블리
300 : 가습필터 어셈블리 400 : 하우징 어셈블리

Claims (32)

  1. 캐비닛에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도어 어셈블리;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에 삽입되는 가습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수조케이스;
    상기 수조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제 1 거리(d1)만큼 하방으로 함몰되며, 물통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1 거리(d1) 보다 긴 제 2 거리(d2)만큼 하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연장베이스;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연장베이스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구획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안착부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플로트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로부터 상기 구획가이드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 베이스로 연장되는 공간으로 규정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가 위치하는 제 1 저수부; 및
    상기 제 1 저수부와 연통되며, 상기 연장베이스, 상기 구획가이드 및 상기 수조케이스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저수부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저수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안착부와 상기 구획가이드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가이드는, 상기 수조케이스의 양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 1 구획가이드와 제 2 구획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부는 상기 제 1 구획가이드와 상기 제 2 구획가이드의 사이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가이드는 상기 물통이 배치되는 물통 수용공간과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가습필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수용공간은, 상기 가습필터 수용공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케이스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와 접촉되도록 상기 저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압박돌기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가이드는 상기 저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돌기 및 고정돌기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를 전후방향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저수되는 물에 부유되도록 구비되는 부유센서; 및
    상기 부유센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감지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팬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감지부는 홀(hall)센서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7. 외관의 적어도 일 면이 목재로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어셈블리;
    상기 도어 어셈블리에 수용되며, 가습필터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에 안착되며,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가 삽입된 공간으로 물을 제공하는 물통을 포함하며,
    상기 수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물통이 안착되는 공간과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구획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획가이드 보다 높게 연장되는 수조케이스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케이스는,
    양측 상단에 상기 물통의 뚜껑에 대응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뚜껑지지부; 및
    상기 뚜껑지지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물통이 안착되는 공간의 저면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연장베이스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공간에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 베이스는 상기 저수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에어필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인출 방향으로 위치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패널은 목재로 형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80133133A 2018-01-19 2018-11-01 가습 공기청정기 KR102186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101587.6U CN211876216U (zh) 2018-01-19 2019-01-17 加湿空气净化器
CN201920083369.1U CN210107589U (zh) 2018-01-19 2019-01-17 加湿空气净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85 2018-01-19
KR20180007385 2018-01-19
KR1020180019571 2018-02-19
KR20180019571 2018-02-19
KR20180026931 2018-03-07
KR1020180026931 2018-03-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071A Division KR102172485B1 (ko) 2018-01-19 2019-12-20 가습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867A KR20190088867A (ko) 2019-07-29
KR102186444B1 true KR102186444B1 (ko) 2020-12-04

Family

ID=674806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33A KR102186444B1 (ko) 2018-01-19 2018-11-01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190172071A KR102172485B1 (ko) 2018-01-19 2019-12-20 가습 공기청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071A KR102172485B1 (ko) 2018-01-19 2019-12-20 가습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186444B1 (ko)
CN (2) CN21187621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052B1 (ko) * 2019-01-03 2021-12-1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20200144003A (ko) * 2019-06-17 2020-12-2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청정기
KR102717317B1 (ko) * 2019-09-06 202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735127B (zh) * 2020-05-18 2021-12-10 宁波天瑞电器有限公司 一种空气加湿净化器
KR20210154354A (ko) 2020-06-12 2021-12-21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 필터유닛 및 그 제작방법
CN111713786B (zh) * 2020-07-07 2022-02-15 河南亚都实业有限公司 便携式医疗防护服
JP7348537B2 (ja) * 2021-08-31 2023-09-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CN114719364A (zh) * 2022-03-31 2022-07-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加湿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5988A (ja) * 2006-10-06 2008-04-2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器及び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30B1 (ko) * 2007-04-26 2007-10-12 주식회사 노비타 물 보충이 가능한 가습기
KR101777235B1 (ko) * 2010-09-28 2017-09-11 코웨이 주식회사 누수 방지 가습장치
KR101212682B1 (ko) * 2010-12-23 2012-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50146185A (ko) * 2014-06-23 2015-12-31 주식회사 위닉스 에어 워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5988A (ja) * 2006-10-06 2008-04-2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器及び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485B1 (ko) 2020-11-02
KR20190143438A (ko) 2019-12-30
CN210107589U (zh) 2020-02-21
KR20190088867A (ko) 2019-07-29
CN211876216U (zh)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485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2116572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20170051276A (ko) 가습공기청정기
US9423141B2 (en) Console humidifier
KR20100061113A (ko) 가습기
KR20210120518A (ko) 가습기
KR20130099807A (ko) 누수 방지가 가능한 가습 장치
CN219183597U (zh) 自清洁维护站及维护系统
CN219021039U (zh) 自清洁维护站及自清洁维护系统
KR101777235B1 (ko) 누수 방지 가습장치
JP7113186B2 (ja) 加湿装置
KR102213126B1 (ko) 에어워셔의 수위 감지방법
JP2021194630A (ja) 除湿機
KR101801563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댐퍼 프레임 구조
KR101791168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수 안내 구조
KR101852516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KR102186418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2531715B1 (ko) 가습 공기청정기
CN220083213U (zh) 除湿加湿一体机用分箱式储水结构
JP7461403B2 (ja) 加湿器
JP2012067961A (ja) 加湿器
KR101791167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결합 구조
EP4455566A1 (en) Humidifier
CN214223304U (zh) 无雾加湿器
KR20160025979A (ko) 에어워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