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396B1 -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 Google Patents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5396B1 KR102175396B1 KR1020150036450A KR20150036450A KR102175396B1 KR 102175396 B1 KR102175396 B1 KR 102175396B1 KR 1020150036450 A KR1020150036450 A KR 1020150036450A KR 20150036450 A KR20150036450 A KR 20150036450A KR 102175396 B1 KR102175396 B1 KR 1021753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ring column
- mounting bracket
- curling
- curling plate
- impact energ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incorporating devices for preventing ingress of the steering column into the passengers space in case of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 컬럼을 카울에 고정시키는 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연결되며, 차량의 충돌 시 컬랩스(Collapse)되어 스티어링 컬럼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컬링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컬링 플레이트를 서로 밀착 고정시킴과 아울러,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컬링 플레이트를 컬랩스시켜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컬럼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여 운전자 흉부 변위 상해를 줄일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종래 컬럼 마운팅을 위한 캡슐을 삭제함으로 제조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unit of a steering column, comprising: a mounting bracket for fixing the steering column to a cowl; A curling plate connected to the mounting bracket and collapsing when a vehicle collides to absorb impact energy transmitted to the steering column; By providing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curling plat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y providing a fixing pin for maintaining and adjusting the impact energy of the steering column by collapsing the curling plate when the vehicle collides, It is possible to reduce driver's chest displacement injury by maintaining and adjusting the impact energy, and by removing the capsule for the conventional column mounting, it can be expect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시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 및 조절할 수 있어 흉부 변위 감소를 할 수 있고, 종래 캡슐을 삭제함에 따라 제조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unit of a steering column,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onstantly maintain and adjust the shock energy of the steering column when a vehicle crashes, thereby reducing chest displacement, and by removing the conventional capsule, manufacturing cost and It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capable of reducing weigh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은 수축 가능하도록 상,하측으로 분리 형성되어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이 밀착될 때 그 충격으로 인해 운전자가 부상되는 정도를 약화시켜주는 충격에너지 흡수기능이 기본적으로 구비된다.In general,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is formed separately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as to be retractable, so that when the driver and the steering wheel are in close contact, the shock energy absorption function is basically provided to weaken the degree of injury to the driver due to the impact.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 시 발생된 충격력에 의해 운전자의 흉부가 스티어링 휠에 부딪치게 되면, 어퍼 컬럼이 로어 컬럼쪽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면서 스티어링 컬럼의 전체 길이가 수축되고, 이러한 스티어링 컬럼의 수축 작용이 운전자 상체가 스티어링 휠에 부딪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river's chest hits the steering wheel due to the impact force generated during a vehicle collision, the upper column is quickly moved toward the lower column and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ring column is contracted. By acting to absorb the shock when the upper body hits the steering wheel, the driver can be safely protected.
이러한 스티어링 컬럼의 수축 작용을 이용하는 충격흡수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6552호, 등록특허 10-0706998호 등에 여러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Various types of shock absorbing devices using the contraction action of the steering column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986552, Patent No. 10-0706998, and the like.
상기한 종래의 경우,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울(미도시)측의 로워 컬럼(13)과 스티어링 휠(미도시)측의 어퍼 컬럼(11)이 신축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어퍼 컬럼(11)의 상부에는 마운팅 브라켓(17)이 배치되며, 카울에는 캡슐(15)이 설치되는 동시에 이 캡슐(15)을 매개로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을 고정하여 스티어링 컬럼(10)이 마운팅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as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그리고, 마운팅 볼트(미도시)의 체결을 통해 상기 캡슐(15)이 카울에 설치되며, 이 캡슐(15)에는 실질적으로 어퍼 컬럼(11)의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컬링 플레이트(20)가 연결 설치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차량의 충돌 시 어퍼 컬럼(11)의 틸트 이동으로 상기 캡슐(15)이 파단되면서 연결되어 있던 컬링 플레이트(20)가 컬랩스하여 어퍼 컬럼(11)의 수축 하중을 유지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도 3은 종래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 구조에서 차량의 충돌 시 충격에너지(F)에 따른 컬럼변형량(D)을 도시한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a column deformation amount (D) according to an impact energy (F) when a vehicle crashes in a conventional steering column mounting structure.
그러나, 종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15)의 파단 시 충격에너지(F)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컬링 플레이트(20)의 하중 유지력이 부족하여 조기에 수축 작용함에 따라 차량의 충돌 시 후반부에 들어서 흉부 변위 증가로 운전자의 상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3, when the
또한, 차량의 충돌 시 마운팅 브라켓(17)과 어퍼 컬럼(11)의 이음을 끊기 위해 구비되는 캡슐(15)을 더 구비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제조원가와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are increased accordingly, since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캡슐을 삭제함과 아울러, 마운팅 브라켓에 컬링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구조만으로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을 흡수하는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여 운전자 흉부 변위 상해를 줄일 수 있고, 제조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implementing a method of absorbing the impact of the steering column only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curling plate is arranged on the mounting bracket, while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capsule, the steering colum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ring column shock absorbing unit that can reduce driver's chest displacement injury by maintaining and controlling the impact energy of the driver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을 카울에 고정시키는 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연결되며, 차량의 충돌 시 컬랩스(Collapse)되어 스티어링 컬럼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컬링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컬링 플레이트를 서로 밀착 고정시킴과 아울러,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컬링 플레이트를 컬랩스시켜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bracket for fixing a steering column to a cowl; A curling plate connected to the mounting bracket and collapsing when a vehicle collides to absorb impact energy transmitted to the steering column; An impact absorbing unit of a steering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ing pin that closely fixes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curling plate to each other and maintains and adjusts the impact energy of the steering column by collapsing the curling plate when a vehicle crashes. Provides.
여기서, 상기 컬링 플레이트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되며,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컬링 플레이트의 이동으로 상기 고정핀에 의해 컬랩스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는 컬랩스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urling plate penetrates in a long hole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by the fixing pin. When a vehicle crashes, the curling plate is moved by the fixing pin to collide with the steering colum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apsing hole for maintaining and controlling energy is further formed.
한편, 상기 컬링 플레이트의 한쪽 부분에는 마운팅 볼트의 체결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다른 한 쪽 부분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걸 수 있는 컬링부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a fastening hole that can be fixed to the steering column through fastening of a mounting bolt is formed through one part of the curling plate, and a curling part that can be hooked to the mounting bracket is bent in the other part. .
또한, 상기 컬링 플레이트의 체결홀에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한쪽 부분에는 상기 마운팅 볼트의 의해 상기 컬링 플레이트에 고정됨과 아울러,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컬링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마운팅 볼트와 서로 분리되는 고정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one part of the mounting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curling plate, it is fixed to the curling plate by the mounting bolt, and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olt by movement of the curling plate when a vehicle crashe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urther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여 운전자 흉부 변위 상해를 줄일 수 있다.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vehicle crashes, it is possible to reduce a driver's chest displacement injury by maintaining and adjusting the impact energy of the steering column.
또한,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을 위해 종래에 사용하던 캡슐을 삭제함에 따라 제조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by removing the capsules that have been conventionally used for mounting the steering column.
도 1 및 도 2는 종래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 구조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 구조에서 차량의 충돌 시 컬럼변화량에 따라 충격에너지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을 통해 차량의 충돌 시 컬럼변화량에 따라 충격에너지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teering column.
3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impact energy according to a column change amount when a vehicle crashes in a conventional steering column mounting structur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ption unit of the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impact energy according to a column change amount when a vehicle crashes through a shock absorbing unit of a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은 차량의 충돌 시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 및 조절하여 운전자 흉부 변위 상해를 줄일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캡슐을 삭제함으로 제조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4 and 5, the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can reduce the driver's chest displacement injury by constantly maintaining and adjusting the impact energy of the steering column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 structure is made so that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can be reduced by deleting the.
이를 위하여 스티어링 컬럼(10)의 전방 측에는 카울 등을 포함한 카울 어셈블리에 로워 컬럼(13)을 연결 설치하고, 스티어링 휠(미도시)측과 조립되는 어퍼 컬럼(11)이 길이방향으로 텔레(tele)이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To this end, the
이때, 로워 컬럼(13)과 어퍼 컬럼(11)의 결합구조는 일반적인 기술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마운팅 브라켓(17)은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스티어링 컬럼(10)이 이동할 때, 스티어링 컬럼(10)과 함께 이동되지 않고 카울에 고정되며, 상기 스티어링 컬럼(10)과 마운팅 브라켓(17)의 사이에 구비된 컬링 플레이트(20)가 실질적으로 충격에너지를 감쇠시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 부딪히는 충격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상부에 마운팅 볼트(40)의 체결을 통해 연결되며, 차량의 충돌 시 컬랩스(Collapse)되어 스티어링 컬럼(10)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컬링 플레이트(20)가 구비된다.Here, the
한편, 상기 마운팅 브라켓(17)과 컬링 플레이트(20)의 사이에는 서로 밀착 고정시킴과 아울러,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컬링 플레이트(20)를 컬랩스시켜 스티어링 컬럼(10)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는 고정핀(30)이 더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고정핀(30)에 의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고정되며,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이동으로 상기 고정핀(30)에 의해 컬랩스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10)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는 컬랩스홀(25)이 더 형성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고정핀(30)은 리벳결합을 통해 양단부에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리벳결합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핀(3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그리고,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한쪽 부분에는 마운팅 볼트(40)의 체결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 컬럼(10)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홀(21)이 관통 형성되고, 다른 한 쪽 부분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걸 수 있는 컬링부(23)가 절곡 형성된다.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컬링부(23)를 포함한 컬링 플레이트(20)의 전체적인 재질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verall material of the
한편,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체결홀(21)에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의 한쪽 부분에는 상기 마운팅 볼트(40)의 의해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에 고정됨과 아울러,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마운팅 볼트(40)와 서로 분리되는 고정홈(18)이 더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t one portion of the
이는 종래 캡슐(15)이 파단되면서 마운팅 브라켓(17)과 컬링 플레이트(20)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서 충격에너지가 어느 정도 임계점을 벗어나기 전까지지는 마운팅 볼트(40)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17), 컬링 플레이트(20), 스티어링 컬럼(10)을 모두 구속하고 있다.This is the same principle as releasing the constraints of the
여기서, 상기 마운팅 볼트(40)와 고정홈(18)의 마찰 임계점보다 높은 충격에너지가 작용할 시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은 상기 마운팅 볼트(40)로부토 탈락되면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10) 및 컬링 플레이트(20)가 진행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컬링부(23)를 가압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이다.Here, when an impact energy higher than the frictional critical point between the
또한, 상기 고정핀(30)에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의 다른 한쪽 부분에는 고정핀(30)에 의해 상기 컬링 플레이트(20)가 컬랩스되는 동안,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고정핀(30)이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홈(19)이 더 형성된다.In addition, while the
즉, 충격에너지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이 컬링부(23)를 밀게 되면,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비해 연질인 컬링 플레이트(20)의 컬링부(23)가 변형되면서 상기 컬링 플레이트(20)는 신장되면서 컬링부(23)가 점점 줄어든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컬링부(23)를 관통하는 고정핀(30) 역시 상기 컬링부(23)에 의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의 가이드홈(19)을 따라 컬링부(23)의 진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컬링 플레이트(20)를 컬랩스시켜 충격에너지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pecific operation and operation.
도 6에 의하면, 주행 중에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카울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7)과 스티어링 컬럼(10)에 체결된 컬링 플레이트(20)가 충격에너지에 의해 서롤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한다.According to FIG. 6, when a vehicle collides while driving, the
이때, 상기 스티어링 컬럼(10)과 컬링 플레이트(20)를 체결한 마운팅 볼트(40)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의 고정홈(18)으로부터 이탈되어 더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반대 쪽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을 걸고 있는 컬링부(23)가 마운팅 브라켓(17)의 바깥쪽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상기 컬랩스홀(25)과 가이드홈(19)을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브라켓(17)과 컬링 플레이트(20)를 서로 밀착 고정하는 고정핀(30)을 상기 가이드홈(19)을 따라 상기 컬링부(23)의 땅기는 힘에 의해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핀(30)에 의해 상기 컬랩스홀(25)이 인위적으로 벌어지는 등 컬랩스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고정핀(30)과 컬링 플레이트(20)에 서로 작용하는 마찰저항과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신장력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컬럼(10)에 작용하여 컬럼변형량(D)에 비해 충격에너지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frictional resistance acting on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중에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스티어링 컬럼(10)의 로워 컬럼(13)과 어퍼 컬럼(11)이 상호 텔레이동으로 변형하면서 충격에너지(F, 수축하중)을 동일하게 유지하다가 텔레이동이 끝나는 시점에서 충격에너지가 점차 증가하다가 상기 마운팅 볼트(40)와 마운팅 브라켓(17)의 임계저항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의 고정홈(18)으로부터 마운팅 볼트(40)가 이탈되는 시점이 발생하며 다기 충격에너지가 다시 초기위치에 가깝게 감소한다. As shown in FIG. 7, when a vehicle collides while driving, the
이때, 상기 컬링 플레이트(2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려 하기 때문에 마운팅 브라켓(17)을 걸고 있는 컬링부(23)가 늘어나게 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즉,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비해 상기 컬링 플레이트(20)가 상대적으로 연질의 금속 재질이므로 신장력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compared to the
이때,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의 가이드홈(19)과 컬링 플레이트(20)의 컬랩스홀(25)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핀(30)이 서로의 이음을 고정한 상태이므로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컬랩스홀(25)이 상기 고정핀(30)에 의해 컬랩스되면서 상기 고정핀(30)을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의 가이드홈(19)을 따라 바깥쪽으로 점차 이동시키게 되므로 스티어링 컬럼(10)의 위치가 변경(즉, 흉부 변위)되는 동안 충격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컬럼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여 운전자 흉부 변위 상해를 줄일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종래 컬럼 마운팅을 위한 캡슐을 삭제함으로 제조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driver's chest displacement injury by maintaining and controlling the impact energy of the column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concomitantl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by removing the capsule for conventional column mounting You can expect the possible effect.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present inventors appropriate the concept of terms to describe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컬랩스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xamples of equivalents and collations that exist.
10: 스티어링 컬럼 11: 어퍼 컬럼
13: 로워 컬럼 15: 캡슐
17: 마운팅 브라켓 18: 고정홈
19: 가이드홈 20: 컬링 플레이트
21: 체결홀 23: 컬링부
25: 컬랩스홀 30: 고정핀
40: 마운팅 볼트 F : 충격에너지
D : 컬럼변형량(D)10: steering column 11: upper column
13: lower column 15: capsule
17: mounting bracket 18: fixing groove
19: guide groove 20: curling plate
21: fastening hole 23: curling part
25: collapsing hole 30: fixing pin
40: mounting bolt F: impact energy
D: Column deformation amount (D)
Claims (6)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연결되며, 차량의 충돌 시 컬랩스(Collapse)되어 스티어링 컬럼(10)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컬링 플레이트(20)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17)과 컬링 플레이트(20)를 서로 밀착 고정시킴과 아울러,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컬링 플레이트(20)를 컬랩스시켜 스티어링 컬럼(10)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는 고정핀(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30)에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의 다른 한쪽 부분에는 고정핀(30)에 의해 상기 컬링 플레이트(20)가 컬랩스되는 동안, 상기 컬링 플레이트(20)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고정핀(30)이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홈(19)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A mounting bracket 17 for fixing the steering column 10 to the cowl;
A curling plate 20 connected to the mounting bracket 17 and collapsing when a vehicle collides to absorb impact energy transmitted to the steering column 10;
A fixing pin that closely fixes the mounting bracket 17 and the curling plate 20 to each other, and maintains and controls the impact energy of the steering column 10 by collapsing the curling plate 20 when a vehicle crashes. 30),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17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in 30, while the curling plate 20 is collimated by the fixing pin 30,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rling plate 20 The shock absorption unit of the steering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19)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fixing pin (30) can move.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고정핀(30)에 의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고정되며,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이동으로 상기 고정핀(30)에 의해 컬랩스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10)의 충격에너지를 유지 및 조절하는 컬랩스홀(25)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rling plate 20 penetrates in a long hole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17 by the fixing pin 30, and the fixing pin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curling plate 20 when a vehicle crashes. The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apsing by (30) is further formed with a collapsing hole (25) for maintaining and adjusting the impact energy of the steering column (10).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한쪽 부분에는 마운팅 볼트(40)의 체결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 컬럼(10)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홀(21)이 관통 형성되고, 다른 한 쪽 부분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걸 수 있는 컬링부(23)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portion of the curling plate 20 is formed through a fastening hole 21 that can be fixed to the steering column 10 through fastening of a mounting bolt 40, and the mounting bracket 17 is formed in the other portion. ), the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ling portion 23 is bent formed.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체결홀(21)에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의 한쪽 부분에는 상기 마운팅 볼트(40)의 의해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에 고정됨과 아울러,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마운팅 볼트(40)와 서로 분리되는 고정홈(18)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The method of claim 3,
One part of the mounting bracket 17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21 of the curling plate 20 is fixed to the curling plate 20 by the mounting bolt 40, and the curling A shock absorbing unit of a steering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groove (18)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olt (40) is further 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plate (20).
상기 컬링 플레이트(20)의 재질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terial of the curling plate 20 is a shock absorbing unit of a steering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relatively soft metal material compared to the mounting bracket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450A KR102175396B1 (en) | 2015-03-17 | 2015-03-17 |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450A KR102175396B1 (en) | 2015-03-17 | 2015-03-17 |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1617A KR20160111617A (en) | 2016-09-27 |
KR102175396B1 true KR102175396B1 (en) | 2020-11-06 |
Family
ID=5710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6450A KR102175396B1 (en) | 2015-03-17 | 2015-03-17 |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539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9161B1 (en) * | 2017-11-17 | 2021-12-14 | 주식회사 만도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4149B1 (en) * | 2001-12-06 | 2007-10-05 | 주식회사 만도 | Shock absorb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
JP2012046039A (en) | 2010-08-26 | 2012-03-08 | Nsk Ltd | Shock absorbing type steering device equipped with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US20130014606A1 (en) | 2011-04-14 | 2013-01-17 | Toru Ishii | Steering apparatus |
WO2013022029A1 (en) | 2011-08-09 | 2013-02-14 | 日本精工株式会社 | Energy absorption member and shock absorption steering device |
JP2014177267A (en) | 2013-02-14 | 2014-09-25 | Nsk Ltd | Impact absorption-type steer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09513B2 (en) * | 1995-07-14 | 2003-05-26 | 日本精工株式会社 | Shock absorbing steering device |
JP3644162B2 (en) * | 1996-12-05 | 2005-04-27 | 日本精工株式会社 | Shock absorbing steering device |
KR19980039654U (en) * | 1996-12-20 | 1998-09-15 | 박병재 | Steering Column Fixed Structure with Collapsing Characteristics |
KR20080093274A (en) * | 2007-04-16 | 2008-10-21 | 주식회사 만도 |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 having collision energy absorbing apparatus |
-
2015
- 2015-03-17 KR KR1020150036450A patent/KR10217539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4149B1 (en) * | 2001-12-06 | 2007-10-05 | 주식회사 만도 | Shock absorb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
JP2012046039A (en) | 2010-08-26 | 2012-03-08 | Nsk Ltd | Shock absorbing type steering device equipped with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US20130014606A1 (en) | 2011-04-14 | 2013-01-17 | Toru Ishii | Steering apparatus |
WO2013022029A1 (en) | 2011-08-09 | 2013-02-14 | 日本精工株式会社 | Energy absorption member and shock absorption steering device |
JP2014177267A (en) | 2013-02-14 | 2014-09-25 | Nsk Ltd | Impact absorption-type steer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1617A (en) | 2016-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25576B1 (en) | Steering wheel position adjustment device | |
US10023222B2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n energy absorption assembly | |
KR101469346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US10464592B2 (en) | Steering column motion control assembly | |
US9616914B2 (en) | Telescope and adaptive energy absorption system | |
US7325834B2 (en) | Adaptive strap energy absorber with pin puller | |
US7497470B2 (en) | Energy absorbing apparatus | |
US8764064B2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improved energy absorption system | |
EP1728703A2 (en) | Adaptive energy absorber for steering column | |
KR102076014B1 (en) |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 |
KR102175396B1 (en) | Shock absorbing unit of the steering column | |
CN109562776B (en) | Low initial resistance steering column collision device | |
US9682720B2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 |
KR102445750B1 (en) | Structure for fixing front radar of vehicle | |
KR101718426B1 (en) | Brackets mounted to the cowl cross bar | |
KR102612218B1 (en) |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 |
EP1593580B1 (en) | Adaptive energy absorber | |
KR20110109297A (en) | System for suction impact of steering column | |
KR102350529B1 (en) | Apparatus for suction impact of steering column | |
KR100997095B1 (en) | Shock-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system | |
KR102246687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2321908B1 (en) | Steering Wheel Apparatus for damping collision type of Vehicles | |
KR101702241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20160063472A (en) | Impact-absorb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1575337B1 (en) | Mounting unit of steering colum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