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62330B1 -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330B1
KR102162330B1 KR1020180170727A KR20180170727A KR102162330B1 KR 102162330 B1 KR102162330 B1 KR 102162330B1 KR 1020180170727 A KR1020180170727 A KR 1020180170727A KR 20180170727 A KR20180170727 A KR 20180170727A KR 102162330 B1 KR102162330 B1 KR 102162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ral disintegrating
composition
disintegrating film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832A (ko
Inventor
이계원
조영호
정형식
장현상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3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5Asparagus, e.g. garden asparagus or asparagus f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붕해필름 조성물은 추가적인 복잡한 공정없이 천문동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공정상 우수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한 구강붕해필름은 필름에 적합한 물성을 가짐과 동시에 천문동 추출물의 쓴맛과 떫은맛이 효과적으로 차폐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섭취의 편리성 및 휴대의 간편성의 이점을 가지는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oral disintegrating film comprising 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i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강붕해필름 제형의 천문동 추출물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구로 약물 또는 식품의 유용성분을 섭취하기 위한 제형으로는 정제, 츄어블정, 설하정, 캡슐, 액제 등이 있다. 최근 고형제가 구강 내에서 붕괴하거나 녹는 형태의 구강붕해정(Oral Destructive Tablet)이나 구강붕해 필름 제형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구강붕해 필름 제형은 물 없이도 복용할 수 있으므로 정제나 캅셀제를 복용하기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뿐만 아니라, 어린이, 장애자,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 그리고 바쁜 현대인들에게도 매우 유용하며 유용성분들을 붕해한 후 섭취하는 기존의 어떠한 제형보다 계량된 제형으로 평가된다.
구강붕해필름은 휴대와 복용의 편의성, 구강 내에서 빠른 속도로 붕해되어 유효성분의 신속한 흡수가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구강붕해필름은 쉽게 복용할 수 있도록 크기가 작아야 하며 구강 내에서 빠르게 붕해될 수 있도록 두께가 얇아야 하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중량으로는 제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약물과 잘 혼합되고 필름 취급에 적합한 강도와 소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량 이상의 중합체(polymer)가 필름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필름에 포함될 수 있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자들은 구강붕해정 또는 구강붕해필름과 같이 복용과 휴대가 편리한 제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왔다. 그 성과로 이미 구강 붕해성 필름 제형의 인삼류 가공물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809174호)을 발명하여 블루베리 추출물 및/또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삼류 가공물의 쓴맛을 차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섭취의 편리성, 휴대의 간편성 등의 이점을 가지며, 더불어 단맛이 개선되고 향, 텁텁한 정도도 개선되는 효과를 가지는 구강 붕해성 필름 제형의 인삼류 가공물 함유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구강붕해필름의 제조방법은 주성분의 약리효과를 가질 수 있는 원료의 형태와 함량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 표준화가 되지 않는다는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들이 구강붕해형 제형 개발에서 주원료의 성상과 특성에 맞는 제형을 개발하는 방법에 치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강붕해필름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산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구취제거용 구강붕해 필름 및 그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10-1843750호), 진단 약제를 포함하는 구강 붕해 필름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791399호), 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개선된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푸마레이트 합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강 붕해 필름(ODF)제형의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677433호), 고함량의 약물을 함유하는 구강 붕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643572호), 도네페질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한 구강붕해필름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553207호), 쓴맛이 차폐된 온단세트론 구강붕해필름(한국등록특허 제10-1537263호), 분산성이 개선된 실데나필 시트레이트 구강 붕해 필름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516875호), 약리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407922호),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5664호), 고함량의 시메티콘을 함유한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2766호), 안정화된 데스모프레신(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0450와 안정화된 데스모프레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 약학 조성물(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44209호), 타달라필을 함유하는 구강 붕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8671호)와 고체분산체 형태의 타달라필을 함유하는 구강 붕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0-2015-0048409호),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 구강투여용 필름(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4766호)와 다-영역 필름(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5581호) 등이 국내에 발명 성과로 개시되었다. 비특허 문헌으로는 zolmitriptan ODF 개발(황성주, 2014)과 Clomipramine을 함유하는 구강용해필름(OSF)의 개발((주)씨티씨바이오, 2016)가 연구결과로서 보고되었다. 상기 선행연구들은 본 발명자가 기 발명한 인삼 가공품에 대한 적용을 제외하고는 건강기능식품을 위한 제형 개발보다는 약물에 대한 제형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특히 본 발명의 천문동 추출물에 맞는 구강붕해성 필름의 개발은 없었다.
기존에 활발하게 연구되어 오던 약물 시장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도 식품의 유용성분을 섭취하기 위한 제형으로 구강 붕해성 필름을 도입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으로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웰빙 트랜드가 나타남에 따라 국내외에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식품으로 첨가하는 물질과 필름의 성형에 참여하는 화합물들의 물성이 서로 양립할 수 있어야 하므로 기능성 식품을 구강붕해 필름에 봉입하여 만든 제품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러나 현재 건강기능식품 세계시장 동향은 복합성분, 복용 편의성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향후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구강 붕해성 필름의 활용가치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천문동 (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ill)은 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가을에서 겨울 사이에 덩이뿌리를 채취하여 증기로 쪄서 약재로 사용되어왔다. 덩이뿌리의 약 71%는 단당과 분자량이 작은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요성분은 아스파라긴(Asparagine),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5-메톡시-아스파라긴(5-methoxymethylfurfural), 스테로이달사포닌(steroidal saponins) 등이 있다. 동의보감에는 천문동을 오래 복용하면 겨울추위도 이겨내고 원기를 돕는다고 기록되어있으며, 폐를 보호하므로 만성기관지염에도 큰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이 외에도 항암, 항염증, 알러지성 기도염증완화, 항산화, 면역증강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등이 보고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천문동 건근의 항산화, 조골세포 분화촉진 및 파골세포 생성 억제효과, 호흡기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국내외시장의 확장, 소비자 계층의 다양화 등으로 인한 천문동 가공제품 시장의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인삼류 특유의 쓴맛을 은폐한 소비자 기호도 향상 제품 개발, 휴대 및 섭취가 용이한 제형의 개발, 복합 기능성 제품 개발 등이 시장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한국등록특허 제10-1164908호에는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세포이동 및 세포침투를 억제하여 암 전이를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낸다고 기재하고 있어 이에 대한 활용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형 제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구강붕해형 제형에 있어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천연물들의 특성이 다양하여 각각 천연물에 최적화된 제형 개발이 필요함을 인식하였으며, 그 중 천문동은 다당류 함량이 높아 추출물 분말을 만들 경우, 대기 중의 수분을 많이 흡습하여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변질의 위험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천문동의 특성을 고려한 구강붕괴필름 조성물에 있어서, 최적의 필름형성제의 선택, 불용성 미립자의 도입 및 첨가물들의 최적 첨가량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문동 추출물에 최적화된 구강붕해필름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구강붕해필름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문동 추출물, 필름 형성제 및 불용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은 추가적인 복잡한 공정없이 제조할 수 있어 공정상 우수성이 있으며, 필름에 적합한 물성을 가짐과 동시에 천문동 추출물의 쓴맛과 떫은맛이 효과적으로 차폐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최적화된 구강붕해필름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구강붕해필름의 적정성을 평가한 결과, 물성과 구강 붕해 속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내지 3).
본 명세서에서, "구강붕해필름"이란 당 업계에 공지된 바의 의미를 그대로 따르는데, 구체적으로 구강(oral cavity) 내에서 용해, 분산 등 붕해시켜 복용할 수 있는 필름 제형을 말한다. 이러한 필름 제형은 혀 위에 놓아 녹이게 되나, 입천장, 설하, 입안 안뜰(buccal) 등에 부착하여 섭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강붕해필름 조성물"은 천문동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구성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 형태를 의미하며,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건조 공정 전의 혼합물 형태를 제한없이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천문동 추출물"은 건조한 천문동을 분쇄한 분말, 천문동 분말을 유기 또는 무기 용매에 의한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추출 용매가 일부·전부를 제거한 액상 또는 분말상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여기서 추출용매로서의 유기 또는 무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말하며, 추출 방법은 특별한 제한 없이 당업계에 공지된 냉침, 가온, 초음파, 환류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천문동 물 추출액을 50 Brix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Brix로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는 구강붕해필름을 형성하게 하는 수용성 고분자를 의미하고, 풀루란, 젤라틴, 펙틴, 저점도 펙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저점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알긴산, 저점도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카라기난, 변성 전분, 카제인, 유장단백분리물, 콩단백분리물, 제인, 레반, 엘시난, 글루텐, 아카시아검, 카라기난, 아라비아 검, 구아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겔란 검 및 아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천문동 구강붕해필름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풀루란 단독 또는 풀루란과 미량의 겔화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수용성 고분자일 수 있다. 이때, 풀루란과 겔화제는 10: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천문동 추출물과 잘 혼합되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 형성제를 찾고자, 풀루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펙틴, 전분, 잔탄검, 젤라틴, 카보머 940 및 말토덱스트린을 1차로 선정하였으며, 천문동 추출물 분말을 55 Brix가 되도록 조제하여 직접 또는 미리 수화하여 혼합시킨 후, 층분리, 섞임성 유무를 평가하여 풀루란을 잠재적인 필름 형성제 후보로 확인하였다. 풀루란과 다양한 겔화제의 조합으로 이형성과 끈적임 유무를 추가로 평가하여 풀루란과 펙틴의 조합을 최종 필름 형성제로 도출하였다. 이때, 풀루란과 펙틴의 중량비가 10:1이었을 때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천문동 구강붕해필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필름 형성제는 구강붕해필름의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용성 미립자"는 구강붕해필름의 끈적임을 줄이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이온교환수지, 해조칼슘 및 귀리추출 분말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용성 미립자의 입자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50 내지 15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75㎛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붕해필름 조성물은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필름의 유연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수크로스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효소처리레시틴, 폴리소르베이트,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솔비톨, 말티톨, 자일리톨,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수첨물엿, 물엿, 글리세린, 트리아세틴, 글리세롤올레이트,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및 중쇄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문동 구강붕해필름 제조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로 첨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문동 추출물이 식품 소재인 점 등을 고려할 때 통상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붕해필름 제형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천문동 추출물은 그것의 의도한 식품으로서의 기능성을 충분히 나타내고, 물성, 붕해성 등에 있어 필름 제형으로서의 적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붕해성 필름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필요할 경우 첨가제로서 증점제, 유화제, 감미제, 착향제, 소포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전분, 변성 전분, 메틸셀룰로스, 칼슘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젤라틴화전분, 진흙, 셀룰로스, 분말 셀룰로스, 젤라틴화 전분, 알긴산나트륨, 알긴산, 구아검,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폴라크릴린 포타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그 고형분 총 중량 기준 3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SLS),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효소처리레시틴, 폴리소르베이트,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라우릴황산나트륨(SLS) 및/또는 폴리소르베이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는폴리소르베이트 20(모노라우르산), 40(모노팔미트산), 60(모노스테아르산), 65(트리스테아르산), 80(모노올레산)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그 고형분 총 중량 기준 0.1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소르비톨액, 수크랄로스, 염화나트륨, 만니톨, 아스파탐, 아세설팜염, 사카린염, 네오타임, 사이클라메이트염, 타우마틴, 나한과 추출물, 감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그 고형분 총 중량 기준 1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크랄로스, 아스파탐, 자일리톨, 아스코르브산, 모노 암모늄 글리시린산등의 감미제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실험하였을 때 자일리톨과 아스파탐을 2:1의 중량비로 홉착하여 고형분 중량의 1~3%로 첨가하였을 때 떫은 맛이 없어지면서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착향제는 천연 향료, 인공향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물의 잎, 꽃, 열매 등으로부터의 추출물, 식물의 오일 등일 수 있다. 또한 인공 향료로는 레몬, 오렌지, 포도, 라임, 딸기 등의 향을 가지는 인공 합성 과일 향, 바닐라, 초코렛, 커피, 코코아, 솔잎, 인삼, 홍삼, 시트러스 등의 향을 가지는 인공 합성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향료 특히 천연 정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홍화 정유, 캐스터 정유, 코코넛 정유, 면실 정유, 카놀라 정유, 청어 정유, 야자수 열매 정유, 야자정유, 피넛 정유, 대두 정유, 평지씨 정유, 아마씨 정유, 쌀겨 정유, 소나무 정유, 참기름, 해바라기씨 정유, 경화 홍화 정유, 홍삼 정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정유의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추출법 등의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착향제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그 고형분 총 중량 기준 0.1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필름 형성을 제조 단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데카노산(decano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광물유(mineral oil), 규소 수지(silicon resin)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규소 수지이다. 소포제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그 고형분 총 중량 기준 0.1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붕해필름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방부제, pH 조절제, 활택제, 항산화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있다.
상기 방부제는 과산화수소, 차아염소산나트륨, 고도표백분(calcium hypochlorite), 표백분, 벤조산(benzoic acid) 또는 그 나트륨염, 소르브산(sorbic acid) 또는 그 나트륨염이나 칼륨염, 디하이드로아세트산나트륨(sodium dehydroacetate),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또는 그 칼슘염이나 나트륨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포제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그 고형분 총 중량 기준 0.1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인산이수소칼륨, 수산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인산나트륨,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소듐스타네이트, 트라이에타놀아민, 시트르산, 염산, 소듐시트레이트 및 그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산이수소칼륨 및/또는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는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양으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그 고형분 총 중량 기준 0.05 중량% 내지 3중량% 범위로 포함될 것이다.
상기 활택제는 탈크,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및 나트륨스테아릴푸마레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및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활택제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그 고형분 총 중량 기준 0.05 중량% 내지 3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로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 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 아니솔(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팔미트산아스코빌,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고형분 총 중량 기준 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제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산화를 방지하여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천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붕해필름의 제조방법은 1) 천문동 추출물, 불용성 미립자, 첨가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2) 필름형성제를 추가로 투여한 후 교반하여 필름 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필름 조액을 필름 형태로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물, 알코올, 알킬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톤, 아니솔, 아세트산, 부틸메틸 에테르, 에틸 에테르, 에틸 포르메이트, 포름산, 펜탄, 헵탄, 메틸에틸 케톤 및 메틸이소부틸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사용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용제는 상기 용액에 그 용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50 중량% 내지 8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천문동 추출물, 필름 형성제, 불용성 미립자, 첨가제 등의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사용될 수 있는 필름 형성제, 불용성 미립자, 첨가제 등도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1) 단계 및 2) 단계는 아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용액 구성 성분들의 층 분리를 방지하여 균질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내지 5의 실험을 거쳐 확립된 하기 [표 2]의 조성비에 따라 천문동 추출물에 불용성 미립자, 물, 거품제거제, 유연제와 감미료를 첨가하여 4,000 rpm에서 15분간 균질한 후 미리 준비한 필름 형성제를 첨가하고 2,000 내지 3,000 rpm의 속도로 20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필름형성 용액을 조제하였다. 거품을 제거한 후 500 ㎛로 casting 한 다음 9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의 필름 성형은 필름 제형으로서의 적정성을 가지는 한 임의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두께는 용제가 제거된 건조 후를 기준할 때 60㎛ 내지 200㎛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의 성형 후의 건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건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열풍건조 방식, 자연건조 방식, 동결건조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붕해필름 조성물은 추가적인 복잡한 공정없이 천문동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공정상 우수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한 구강붕해필름은 필름에 적합한 물성을 가짐과 동시에 천문동 추출물의 쓴맛과 떫은맛이 효과적으로 차폐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구강붕해필름 조성물에 의하면 섭취의 편리성 및 휴대의 간편성의 이점을 가지는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천문동 추출물과 필름 형성제와의 적합성 평가한 결과이다.
도 2는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구강붕해필름의 기본 혼합비로 제조하였을 때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의 깨짐과 끈적임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불용성 미립자의 입자크기에 따른 구강붕해필름 표면의 매끄러움 정도를 가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가소제의 첨가량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의 깨짐성과 이형성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펙틴의 첨가량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의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실시예의 %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상 중량%이다.
천문동 추출물의 제조
11월경에 수확한 천문동 뿌리(8년근)를 깨끗한 물에 2 번 세척한 후, 통풍이 잘되는 응달에서 풍건하며 건조시켰다. 건조한 천문동은 균질기(Hanil Co, Seoul, Korea)로 세절하고 입자크기 850 μm와 500 μm 두 개의 채로 연이어 걸러 분말 파우더를 얻었다. 얻어진 천문동 분말 각 1 Kg을 20 L의 증류수에 넣고 24시간 중탕 가열한 후, 20℃ 및 12,000 rpm에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맑은 상층액을 여과한 다음, 동결건조해서 천문동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동결건조된 천문동 열수 추출물을 50 내지 70 Brix로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필름 형성제의 선별
필름 형성제로 흔히 쓰이는 풀루란(pullulan),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hyl cellulose; HP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펙틴, 전분, 잔탄검, 젤라틴, 카보머(Carbomer) 940 및 말토덱스트린 등을 천문동 추출물과 직접 또는 미리 수화하여 혼합시킨 후, 층분리 및 섞임성의 유무를 평가하여 적합성(compatibility)을 검토하였다.
HPMC, HPC 및 CMC는 천문동 추출물에 녹지 않아 혼합되지 않거나 층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나서 적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풀루란, 펙틴, 전분, 잔탄검, 카보머(carbomer) 940는 천문동 추출물과 잘 혼합되어 양호한 적합성을 나타내었으나, 펙틴, 전분 및 겔화제는 미리 일정량의 정제수에 충분히 수화시킨 후 천문동 추출물과 혼합해야 응집되어 덩어리가 형성되지 않아 미리 수화시켜 사용하기로 하였다. 잔탄검은 불투명한 상태로 제조되었고 90℃에서 10분간 건조했을 때 과건조가 되어 이형성은 있으나 깨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카보머 940은 천문동 추출물과 섞이지 않아 응집되어 덩어리가 발생되었다. 전분은 이형성은 펙틴과 비슷하였으나 깨짐성이 발생하였다.
풀루란은 가장 양호한 적합성을 보여주었으나, 단독으로 사용하면 천문동과 섞이면서 끈적거려서 이형성이 나쁜 단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다른 필름 형성제로 검토되었던 펙틴, 잔탄검 및 카보머 940을 풀루란과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끈적임이 개선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잔탄검과 카보머 940는 끈적거리는 물성을 전혀 개선하지 못하고 오히려 더 끈적임을 부여하였지만 펙틴은 유연성을 부여하면서 끈적거림을 개선할 수 있었다.
펙틴의 양을 전체 중량비의 0.5~2 %로 변화시키면서 필름의 이형성과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펙틴이 전혀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필름의 유연성이 없어 끈적임이 개선되더라도 이형성이 좋지 않았으나 펙틴의 첨가로 인해 이형성이 더욱 좋아졌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 형성제로 풀루란과 펙틴을 10:1의 비율로 고정하여 가소제 및 불용성 물성 개선제와의 적합성을 검토하기로 하였다.
필름의 두께 및 건조 조건 확립
<실시예 2>에서 선별한 필름 형성제를 이용하여 <표 1>의 처방에 따라 성분을 혼합하여 <도 2>의 방법으로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여 끈적임, 이형성, 크래킹의 여부를 관찰하였다.
천문동 추출물과 가소제, 유화제, 감미제를 균질 혼합 후 고분자를 첨가하여 구강붕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검토하였으나 천문동 추출물 자체의 끈적임과 흡습성으로 인하여 구강붕해필름이 이형이 되지 않고 계속 끈적이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붕해필름 제조를 위한 기본 배합비(비교예)
성분 혼합비 (중량%)
천문동 추출물 75.54
유연제 5.76
유화제 1.43
감미제 2.88
필름 형성제 14.39
합계 100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함에 있어 기본적인 배합비로 제조한 구강붕해필름의 적정성 검사에서 구강붕해필름의 두께 및 건조시간 등 제조 조건에 따라 필름의 물리적 특성 및 외형이 현저히 차이가 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형성을 개선하고자 구강붕해필름의 건조온도와 시간을 각각 조절하여 검토하였다. 건조온도를 80, 90, 100℃로 조절하여 10분간 건조하였다. 낮은 온도에서는 10분동안 건조하였을 때 건조가 완전히 되지 않아 일반적인 필름의 수분함량인 6~8%보다 많아져서 끈적임이 심하여 이형되지 않았으며 90℃를 초과한 온도에서는 과건조되어 크래킹이 발생되어 적당하지 않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끈적거림이 심한 경우에는 필름 도포면을 구부려도 이형이 되지 않았으며 과건조되는 경우에는 가장자리부터 크래킹(cracking)이 발생되면서 깨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필름의 두께를 250, 500 및 1000㎛로 이형성이나 건조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250 ㎛에서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건조가 되어 이형성과 부서짐 모두 양호하였지만 천문동 추출물의 복용량을 함유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필름 1매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단점이 있어 보관과 관리에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1,000 ㎛에서는 10분 이상의 건조시간이 필요하며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과건조나 끈적임이 심하게 나타나서 높은 온도에서는 구강붕해필름의 안쪽은 충분히 건조되지 않고 표면만 건조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균일하게 건조되는 경우에도 신속한 붕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하므로 최종적으로 500㎛의 두께로 조절하여 casting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90℃에서 8, 10, 11, 12분으로 건조시간을 조절하였을 때 8분에서는 건조가 완전하지 않아 8~10%, 10분에서는 6~7.5%의 수분함량을 나타내어 10분이 적당하였다. 또한 11분과 12분에서는 가장자리부터 크래킹이 발생되어 건조시간을 90℃ 10분의 조건으로 고정하였다. 일반적인 구강붕해필름의 수분은 6~8%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에서는 수분의 함량이 7.5%이상 되면 끈적거리는 성질을 개선해도 이형성이 좋지 않고 예민하게 수분의 함량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6.0 내지 7.5%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며 7%에서 가장 효율적이었다. 따라서 천연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에서는 수분의 함량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며 온도와 수분과 같은 환경조건에 따라 보관 등의 방법도 같이 검토해야져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끈적임 개선을 위한 불용성 미립자 적용 시험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의 끈적임과 이형성은 두께와 건조시간만을 조절해서는 해결할 수 없으므로 여러 가지 첨가제를 이용하여 개선여부를 확인하였다.
초기에는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HP-β-CD)와 같이 추출물에 용해되는 첨가제를 이용하여 포접효과에 의해 쓴맛을 제어하면서 끈적임을 제거하는 방법을 검토하였으나 끈적임도 심하거나 과량으로 첨가시 부서지는 현상이 나타나서 추출물을 흡착할 수 있는 불용성 미립자를 검토하였다. 불용성 입자인 이온교환수지, 해조칼슘, 귀리추출 분말를 각각 10, 15 및 20 중량%를 첨가하여 균질 혼합한 구강 붕해필름을 제조하여 이형성과 끈적임의 개선 여부를 관찰하였다.
불용성 입자가 10% 첨가되는 경우 이형성은 다소 개선이 되었지만 끈적임은 남아있는 상태였으며, 15% 첨가된 경우 이형성과 끈적임 모두 약간 개선되었지만 아직은 한 번에 이형 되는 양호한 상태는 아니었다. 불용성 입자가 20%일 때 불용성 입자 모두에서 가장 적절한 이형성과 끈적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만 불용성 입자의 종류에 따라 맛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적절한 맛은 해조칼슘으로 조사되어 해조칼슘을 최종 처방에 넣어 실험에 적용하였다.
제조된 구강붕해필름은 불용성 입자의 흡착이나 포접 현상에 의해서 끈적임과 이형성이 현저히 개선시켰으나 녹지 않는 특징으로 인해 필름 입자 표면이 거칠어졌으며 균질도가 떨어지는 문제점 발생되었다. 따라서, 제조된 필름 표면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불용성 입자의 크기를 적당하게 조절해서 해결할 수 있었다<도 4>. 즉 100mesh(150㎛) 이하의 크기의 입자를 첨가하면 표면의 매끈함과 분산의 균질화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특히 200mesh(75㎛)이하의 미립자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불용성 미립자란 본 발명에서 제시한 것과 동일한 크기의 입자분포를 가지는 불용성 입자를 일컬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synthetic calcium silicate, magnesium aluminosilicate와 colloidal SiO2, synthetic amorphous silica(syloid® 244)도 같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입자를 150㎛이하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리케이트의 종류에 따라 입자의 크기와 흡착되는 정도가 달라져서 해조칼슘에 적용되는 양보다 감소될 수 있다.
구강붕해 필름제조에 있어 유화제의 역할은 보다 우수한 이형성과 각 입자들의 분산, 균질액의 유화 작용에 있지만, 천문동 추출물 구강붕해필름의 제조에서는 다량의 기포 발생을 촉진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일반적인 기포 제거 방법은 원심분리, 소니케이션, 감압에 의한 탈포 과정 등을 고려할 수 있으나 불용성 미립자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원심분리의 방법은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제조과정에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시키면서 필름 조액을 제조한 후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 실제 제조과정에서 균질화시키는 과정의 교반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소니케이션과 감압의 두 가지 탈포과정을 이용하여 각각 10분씩 2회 반복하여 실시해주어야 표면에 기포가 없는 완전한 상태의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필름 조액을 약 40℃정도로 유지하여 점도를 묽게 하여 탈포시키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첨가제 선별 및 첨가량 결정
<5-1> 가소제
구강붕해필름의 이형과 유연성을 결정하는 대표적인 가소제로서 polyethylene glycol 400(PEG 400), glycerin, propylene glycol(PG)를 단독 혹은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구강붕해필름의 이형성과 끈적임의 개선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가소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형성과 끈적임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8 중량%에서는 PEG 400에 비하여 PG에서는 유연성이나 필름 표면의 광택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이형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가소제의 첨가 비율에 따라 필름의 물성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소제의 비율이 낮은 경우 즉 전체 고형분 중량의 3%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이형성은 있으나 건조하고 유연성이 좋지 않아 크래킹이 나타나면서 쉽게 부서졌으며 특히 1% 이하에서는 바로 부서졌다. 또한 10%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끈적임이 증가하고 필름의 미끌거림이 증가되어 인장성은 좋아지나 이형성이 오히려 나빠졌으며 15% 이상의 경우에는 전혀 이형되지 않았다. 따라서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 제조에서 첨가되는 가소제의 적당한 비율은 3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며 외관상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PEG 400이 더 좋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5-2> 감미제
천문동 추출물 특유의 쓴맛과 떫은맛을 차폐시키기 위하여 수크랄로스(sucralose), 아스파탐(aspartame), 자일리톨(xylitol),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monoammonium glycyrrhizinate) 등의 감미제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검토하였다. 관능평가를 통하여 쓴 맛과 떫은 맛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수크랄로스는 소량에서도 단맛이 강하게 입 안에 남아 있고,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은 단맛이 너무 강하여 천문동 추출물과 어울리지 않고 입 안에 오래 남아 있어 불쾌감을 줄 수 있어 부적당하였다. 자일리톨과 아스파탐을 2:1의 중량비로 홉착하여 고형분 중량의 1~3%로 첨가하였을 때 떫은 맛이 없어지면서 효과가 가장 좋았다.
<5-3> 펙틴
펙틴의 양을 전체 중량비의 0.5~2%로 변화시키면서 필름의 이형성과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펙틴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연성이 개선되었지만 쫄깃함이 증가하면서 필름 자체의 인장강도가 높아졌으며, 특히 펙틴이 2 중량% 이상 첨가되면 구강에서 쉽게 붕해되지 않거나 잔류하여 거부감이 들 수 있으므로 적당하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0.5와 1 중량%에서는 모두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었지만 1 중량% 첨가시 유연하게 이형이 더 잘되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천문동 추출물 구강붕해 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내지 5를 통해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천문동 추출물 구강붕해필름의 이형성과 끈적거림은 건조시간과 수분함량, 필름 형성제, 불용성 미립자와 입자크기, 가소제의 양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 필름을 <표 2>의 처방에 따라 <도 1>의 순서에 따라 제조 방법을 확정하였다. 이 때 필름 형성제는 펙틴을 먼저 4%의 수용액 상태로 충분히 수화시킨 후 첨가하여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제조된 천문동 추출물 구강붕해필름 조액의 점도를 점도계(브룩필드, DV3T)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여 필름형성에 적합한 8,000 내지 20,000cp의 범위 내에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제로 필름 조액은 9240.00 ± 190.79cps로서 필름제조에 적당한 점도를 나타내었다.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 필름 최종 조성비
구성성분 조성비(중량%)
유효성분 천문동 추출물 58.33
불용성 미립자 코랄칼슘(Coral calcium) 22.22
가소제 PEG 400 4.44
감미제 아스파탐(Aspartame) 0.56
자일리톨(Xylitol) 1.11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0.56
거품제거제 Foam-Zero 0.56
필름 형성제 풀루란(pullulan) 11.11
펙틴(Pectin) 1.11
합계 100
혼합과정에서 1차적으로 4,000rpm에서 20~30분간 균질화 하였으며, 필름 형성제를 첨가한 이후 2차 균질화는 2,000rpm에서 30~40분간 시간을 증가하여 혼합하였다.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필름 조액을 감압하여 기포를 제거한 후 필름의 캐스팅을 두께 500㎛, 10mm/sec의 속도로 진행하여 90℃에서 10분간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필름의 캐스팅 조건은 필름의 물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미리 검토된 캐스팅 조건대로 두께를 조절한 후 10mm/sec의 캐스팅속도로 진행하였다. 제조된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은 가로 35mm, 세로 25mm로 잘라서 한 매씩 EZ재질의 포장지에 밀봉 포장하고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보관과정에서 EZ 포장지의 수증기 투과성 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리카겔 약 0.2g을 넣고 밀봉한 다음 가속조건(45℃, 75%)에서 5일간 보관한 후 무게의 변화 여부를 관찰하였으나 무게의 변화량이 미미하여 필름 보관 포장재의 견고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천문동 추출물 구강붕해필름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6>에 따라 제조한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제형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평가항목은 필름의 두께, 중량편차, 점도, pH, 내절강도, 수분함량, in vitro / in vivo 붕해시험이었고, 그 결과는 <표 3>에 기재하였다.
필름의 두께는 Digital thickness gauge(0-10mm range, 0.001mm resolution, Mituyoto, Japan)를 이용하여 시료의 중심부와 주변 부위를 5회 이상 측정하였다.
필름의 중량 편차는 미리 제조된 필름 20개를 취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여 범위와 편차를 구하였다.
필름 형성 용액의 점도 및 pH는 점도계(브룩필드, DV3T)를 사용하여 스핀들(spindle) LV4에서 30rpm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25±0.1℃에서 측정하였다.
필름의 내절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필름을 접고 펴주는 과정을 필름이 끊어질 때까지 반복해서 견디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필름의 지수분은 90 ℃에서 12분간 건조하여 제조된 필름의 표면의 수분의 양을 지수분 측정기(HK-300, 한국 케트,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 필름의 이화학적 특성
특성 구강 붕해성 필름
두께(μm) 172.49±5.81
무게편차 (Weight variation, g) 204.14±2.16
점도(Viscosity, cps) 9240.00±190.79
수분함량(Moisture content, %) 7.08±0.44
pH 6.04±0.25
내절강도(Folding endurance, times) 58.67±18.15
(Mean±SD, n=100)
상기 실시예 6에 따라 제조한 구강붕해필름의 두께는 172 μ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점도는 9,240 cps로 필름 형성에 적당한 범위에 속하였으며 pH는 조액에서 6.30, 필름 표면에서 6.04를 나타내었다.
필름의 내절 강도는 약 58회 정도 반복하여 접은 후에 끊어지므로 보관 과정에서 부서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 범위로 판단되었다. 지수분량은 7.1 % 이내의 양을 나타내면서 필름을 성형할 때 사용하는 파우치에서 잘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구강 필름제의 수분 함량과 유사한 결과이다.
[실험예 2]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의 붕해 시간 및 팽윤지수 측정
구강붕해필름의 붕해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스테인레스 스틸 망 위에 넣어 10 ml의 증류수가 들어 있는 페트리 디쉬에 넣고 붕해되는 시간 측정하였다. In vitro 붕해 시험은 대한 약전 10개 정의 붕해 시험법에 따라 시험기를 2분간 50~60회 왕복시키며 붕해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 때, 검체의 잔유물이 유리관 안에 없을 때 구강붕해필름의 붕해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In vivo 붕해 시험은 입안에 넣고 이물감이나 붕해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 붕해성 필름의 붕해 정도
특성
In vitro disintegration time(sec) 50.14±16.86
In vivo disintegration time(sec) 57.06±5.55
(Mean±SD, n=100)
In vitroin vivo 붕해 시험의 결과 모두 60초 이내에 붕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대한 약전 10개정의 붕해 시험법에 따라 붕해 시험을 실시하여 붕해 여부를 관찰한 결과 모두 10초 정도에 붕해되어 잔류물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3분 이내에 붕해되어야 하는 구강붕해필름 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표 4>. 제조된 구강붕해필름은 함량이 균일하면서 이형성이 좋았으며 1분 이내에 신속하게 붕해되었다.
팽윤지수(Swelling Index) 평가는 적당한 크기의 필름을 무게를 측정하여 미리 무게를 측정한 800㎛ mesh의 wire sieve에 넣고, sieve를 500 ㎖의 인공 장액(pH 6.8)에 담근 다음 정해진 시간간격에 따라 mesh를 제거하여 그 후 과량을 물을 조심스럽게 닦아내고 다시 무게를 재고, 증가된 필름의 무게를 무게가 일정해질 때까지 측정하여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팽윤지수를 구하였다.
[수학식 1]
팽윤지수(Swelling index; SI) = Wt - Wo/ Wo
Wt ; 시간 t에서 필름의 무게
Wo ; 시간 0에서 필름의 무게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 필름의 팽윤지수
시간(초, sec) 구강 붕해성 필름
2 0.62±0.74
4 1.03±0.42
6 0.86±0.59
8 0.76±0.51
10 0.61±0.48
12 0.53±0.51
(Mean±SD, n=100)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조된 구강붕해필름은 4초 이내에 최대로 swelling되어 바로 붕해되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저장안정성 평가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을 가속조건(45 ℃, 75% RH)에서 3개월 간 보관하면서 정해진 기간에 따라 꺼내어 외관의 변화 여부, 수분변동 및 붕해 시간의 변화여부를 관찰하였다. 제조된 구강붕해필름의 이형성은 실제 복용하는 방법으로 파우치에서 떨어지는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수분 변화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평가하였다. 이때 이형성의 판단기준은 적은 힘으로 일그러짐과 끈적임 없이 한 번에 잘 이형되면 good, 이형되기는 하지만 끈적거림이 약간 있으면 fair, 필름의 일그러짐이 발생하면서 이형이 잘 되지 않으면서 끈적임이 있으면 bad로 평가하였다.
천문동 추출물 함유 구강붕해필름의 저장안정성
시간
(주)
무게(㎎) 수분 pH In vitro
붕해 시간(초)
Attach
0 204.14±7.05 7.08±0.44 6.04±0.25 50.14±16.86 good
3 202.57±11.51 7.03±0.55 5.92±0.16 56.67±20.26 good
6 200.83±9.36 7.00±0.36 5.73±0.09 60.67±14.29 good
9 205.33±13.52 7.10±0.17 5.77±0.08 57.67±18.94 good
12 200.45±10.84 7.05±0.30 5.77±0.02 57.00±9.85 good
(Mean±SD, n=10)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3개월 동안 가속조건에서 보관한 구강붕해 필름은 수분이나 pH의 큰 변화없이 안정하게 잘 이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천문동 추출물, 필름 형성제 및 불용성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형성제는 풀루란 및 펙틴의 혼합물이며, 상기 불용성 미립자는 해조칼슘인, 구강붕해필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문동 추출물은 50 내지 70 Brix의 천문동 열수 추출물의 농축액인, 구강붕해필름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미립자의 입자크기는 50 내지 150㎛의 직경을 갖는 것인, 구강붕해필름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구강붕해필름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증점제, 유화제, 감미제, 착향제, 소포제, 방부제, pH 조절제, 활택제 및 항산화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의약외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조성물.
  11. 1) 천문동 추출물, 불용성 미립자, 첨가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2) 필름 형성제를 추가로 투여한 후 교반하여 필름 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필름 조액을 필름 형태로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형성제는 풀루란 및 펙틴의 혼합물이며, 상기 불용성 미립자는 해조칼슘인, 구강붕해필름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90±2 ℃에서 10±2 분간 진행하여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것인 구강붕해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80170727A 2018-12-27 2018-12-27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27A KR102162330B1 (ko) 2018-12-27 2018-12-27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27A KR102162330B1 (ko) 2018-12-27 2018-12-27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32A KR20200080832A (ko) 2020-07-07
KR102162330B1 true KR102162330B1 (ko) 2020-10-06

Family

ID=7160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727A KR102162330B1 (ko) 2018-12-27 2018-12-27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384B1 (ko) * 2020-07-16 2022-03-10 주식회사 뉴트래빗 치주질환 및 구취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6989A1 (ja) * 2009-01-29 2010-08-05 日東電工株式会社 口腔内フィルム状基剤及び製剤
KR101207239B1 (ko) * 2010-01-15 2012-12-12 대한민국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32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thpalia et al. An introduction to fast dissolving oral thin film drug delivery systems: a review
CN101043880B (zh) 包含双氯芬酸的药物组合物
WO1999018936A1 (fr) Preparations solides rapidement solubles
JP6086798B2 (ja) 錠剤の製造方法
CN107072952A (zh) 卡多曲颗粒
TWI729476B (zh) 纖維素粉末、其用途及錠劑
KR102162330B1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A2968210A1 (en) A disintegrative particulate composition comprising milled lactose or granulated lactose
KR101809174B1 (ko) 구강 붕해성 필름 제형의 인삼류 가공물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Vaidya et al. Oral fast dissolving drug delivery system: A modern approach for patient compliance
EP2640203B1 (en) Excipient from trigonella foenum-graecum seed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Reddy An Introduction to Fast Dissolving Oral Thin Film Drug Delivery Systems: A Review
EP1697050B1 (en) Fiber rich fraction of trigonella foenum-graceumseeds and its use as a pharmaceutical excipient
US20220313614A1 (en) Encapsulated nicotine granul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US20220313679A1 (en) Controlled-release nicotine chewing gum
US20220312826A1 (en) Liquid mixtures of triglyceride and liquid nicotine
WO2022216325A1 (en) Oral pouch product
KR101546667B1 (ko) 물성 및 쓴맛 차폐효과가 향상된 실데나필 경구용 속용 필름
Waghmar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fast dissolving oral film containing extracts of ocimum sanctum and glycyrrhiza glabra to treat mouth ulcer
Avlani et al. Sweet basil seed mucilage as a gelling agent in nasal drug delivery
US20220313678A1 (en) Spray dried nicotine for inclusion in oral products
US20220312822A1 (en) Encapsulated sweetener granul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JPS59190916A (ja) 親水性物質含有軟カプセル
US9114091B2 (en) Sustained release solid dosage preparations
KR102309593B1 (ko) 알긴산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위건강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