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819B1 -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6819B1 KR102146819B1 KR1020200072159A KR20200072159A KR102146819B1 KR 102146819 B1 KR102146819 B1 KR 102146819B1 KR 1020200072159 A KR1020200072159 A KR 1020200072159A KR 20200072159 A KR20200072159 A KR 20200072159A KR 102146819 B1 KR102146819 B1 KR 102146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fire extinguishing
- extinguishing water
- reel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도형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필수 불가결한 여러 종류의 소방시설물(소화기, 고압살수기 등)을 적소에 비치하고, 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여 초기 진화에 기여함으로써 대형 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도형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필수 불가결한 여러 종류의 소방시설물(소화기, 고압살수기 등)을 적소에 비치하고, 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여 초기 진화에 기여함으로써 대형 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인명손상과 막대한 재산피해를 일으키게 되므로 항상 유의하면서 화재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화재발생시 초기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적재적소에 진화 및 비상기구를 갖추어 놓아야 한다.
이와 같이 화재에 대비하여 갖추어 놓은 소방기구 중 업무용 빌딩이나 공동 주택의 경우에는 소방호스와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안전시설과 함께 잘 알려진 소화기가 규정에 의해 비치되고 주기적인 점검을 받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이나 공연장 또는 기타 작업장 등에는 대부분 이러한 소방안전시설이 미비한 실정이며, 곳에 따라서는 최소한의 진화에 필요한 소화기조차도 비치되지 않고 있다.
이는 화재에 대한 안전의식과 홍보 부족에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겠지만, 통상적으로 건설현장 등에 비치되는 간이소화기나 기타 소방용품들은 따로 관리하기가 사실상 어려워 쉽게 유실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고, 대부분 창고 같은 장소에 소방안전시설물을 무방비 상태로 별도 보관하게 되어 급작스럽게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해당 물품의 위치 파악이 어려워 효과적인 사용이 어렵게 된다.
근래 국내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2015년 개정)에 따르면 화재위험 공사장에 임시소방시설의 설치를 의무화하였다.
화재위험 작업이란 인화성, 가연성, 폭발성 물질을 취급하거나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작업을 말하며 용접이나 용단 등 불꽃을 발생시키거나 화기를 취급하는 작업도 포함된다.
임시소방시설의 설치대상 공사장은 건축허가동의 대상이 되는 특정소방대상물 모두가 포함되며 규모에 따라 관련법에서 규정하는 간이소화설비 등을 설치해야 한다.
간이소화설비란 옥내 소화전 또는 소화기와 같은 소화장치로 면적이나 규모에 따라 별도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간이소화설비는 화재위험 작업영역으로부터 5m 이내에 구비할 것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위치를 시일에 따라 달리하는 화재위험 작업시 계속적으로 함께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비상 상황시 응급 대처할 수 있는 간이소화설비를 구비하여 안전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이동식 소화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연립주택,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에도 화재로 인해 커다란 재산 피해와 인명사고가 유발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복도형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필수 불가결한 여러 종류의 소방시설물(소화기, 고압살수기 등)을 적소에 비치하고, 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여 초기 진화에 기여함으로써 대형 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각틀 형태를 갖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소화수가 채워진 소화수탱크(200)와; 상기 소화수탱크(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다수의 캐스터(21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다수의 분말소화기(11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수탱크(200)로부터 소화수를 흡입하여 펌핑하는 펌프(120)와; 상기 펌프(120)의 토출단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바닥면에 거치되는 릴형 소화수분사기(13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소방용구를 고정하는 소방용구고정대(14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일단에는 복도형 공동주택에서 복도(PASS)의 창문쪽 벽에 설치된 소화수관(700)의 연통접속부(710)에 접속되는 접속구(40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연소화수 분사기(600)가 장착된 접속릴(300);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양측면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펌프(120)의 배출단과 분기 연결된 제1,2분기관(900,910)을 마련하고, 상기 제1,2분기관(900,910)에 각각 다수의 소화수분사노즐(1300)을 설치하되,
상기 소화수분사노즐(1300)은 원통형상의 노즐본체(1310)와, 상기 즐본체(1310)의 둘레 일부에 경사 형성되어 양액을 분사할 수 있는 상방경사공(1312)과, 상기 상방경사공(1312) 반대쪽에 형성되어 제1 또는 제2분기관(900,910)이 접속되는 호스접속단(1360)과, 상기 노즐본체(1310)의 일단면에서 돌출되어 본체프레임(100)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부(1320)와, 상기 고정나사부(1320) 반대단에 형성된 개방부(1330)와, 상기 개방부(1330)에 체결되어 밀폐하며 전방분사공(1342)을 갖는 전방마개(1340)와, 상기 노즐본체(1310) 속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호스접속단(1360)과 단속적으로 연통되는 맞춤그루브(G1)를 둘레면에 구비한 유동자(1350)와, 상기 맞춤그루브(G1)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방경사공(1312)과 단속적으로 연통되는 연장그루브(G2)와, 상기 유동자(1350)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인 챔버(1352)와, 상기 맞춤그루브(G1) 및 챔버(1352)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L1)와, 상기 챔버(1352) 및 상기 전방분사공(1342)을 연통시키는 제2유로(L2)와, 상기 전방마개(1340)와 유동자(135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SPR)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수탱크(200)의 외표면에는 전원공급용 전기릴(2300)이 설치되되, 상기 전기릴(2300)은 오각형상의 릴함(2310)과, 오각중 상부측과 하부측의 각진 부위에 형성된 수공(2314a,2314b)과, 상기 릴함(2310) 내부 중심에 고정되고 축공(2322)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축(2320)과, 상기 축(2320)에 고정된 축기어(2324)와, 상기 축(232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되 태엽식으로 원위치되게 구비된 드럼(2330)과, 상기 드럼(23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축기어(2324)와 맞물려 전기선(L)의 인출거리를 측정하는 포텐샤미터(2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도형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필수 불가결한 여러 종류의 소방시설물(소화기, 고압살수기 등)을 적소에 비치하고, 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여 초기 진화에 기여함으로써 대형 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에 설치되는 접속릴의 구성중 접속구 및 접속구가 접속되는 연통접속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수분사노즐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수분사노즐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에 설치된 전기릴이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전기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에 설치되는 접속릴의 구성중 접속구 및 접속구가 접속되는 연통접속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수분사노즐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수분사노즐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에 설치된 전기릴이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전기릴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와 같이, 사각틀 형태를 갖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소화수가 채워진 소화수탱크(200)와, 상기 소화수탱크(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다수의 캐스터(21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다수의 분말소화기(11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수탱크(200)로부터 소화수를 흡입하여 펌핑하는 펌프(120)와, 상기 펌프(120)의 토출단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바닥면에 거치되는 릴형 소화수분사기(13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소방용구를 고정하는 소방용구고정대(14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일단에는 복도형 공동주택에서 복도(PASS)의 창문쪽 벽에 설치된 소화수관(700)의 연통접속부(710)에 접속되는 접속구(40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연소화수 분사기(600)가 장착된 접속릴(3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프레임(10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을 자유롭게 하면서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발전기 및 연료통이 더 구비된다. 이 경우, 설치 위치는 본체프레임(10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공지된 것으로 도시를 생략하였을 뿐이다.
또한, 상기 제연소화수 분사기(600) 대신 분사건(50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분사건(500)은 단순히 소화수를 분사하는 용도 이외에 특이점은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분사건(500)이 아닌 제연소화수 분사기(600)를 사용하는데 있는 바,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분말소화기(110)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반드시 분말소화기일 필요는 없고 휴대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 종류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400)와 연통접속부(710)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서로 조립가능하게 구비된다.
먼저, 연통접속부(710)를 설명하자면, 상기 연통접속부(710)는 길이 일부가 분절되어 상부관(712)과 하부관(714)으로 나뉘고, 상기 하부관(714)이 상기 상부관(712)의 하단에 나사체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착탈 가능한 형태이며, 하부관(714)의 내부에는 도시상 하단인 개방단부를 밀폐할 수 있는 밀폐부재(7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720)는 원판형태의 씰링부재이며, 밀폐부재(720)가 걸릴 수 있도록 하부관(714)의 하단 내주면에는 걸림턱(7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관(714)의 상단 내부에는 원판 형태의 고정판(716)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716)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분사구멍(WH)이 천공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밀폐부재(720)의 상면 중앙에는 안내봉(724)이 수직하게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안내봉(724)의 상단은 상기 고정판(716)의 원중심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며, 고정판(716)의 하단면과 상기 밀폐부재(720)의 상단면 사이에는 스프링(SP)이 개재되는데 상기 스프링(SP)은 상기 안내봉(724)에 끼워진 상태로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내봉(724)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밀폐부재(720)의 원중심은 일정반경에 걸쳐 상하 양면에 스틸재의 판이 일체로 고정되고, 이를 관통하여 안내봉(724)이 스틸재의 판에 견고히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관(714)의 내경 일부에는 걸림턱(722)의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밀폐부재(720)의 두께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내경이 조금 확경된 단차면(726)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면(726)이 형성된 이유는 상기 밀폐부재(720)가 상승했을 때 밀폐부재(720)의 외주면과 유격이 생기도록 하여 물이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평상시에는 밀폐부재(720)가 걸림턱(722)에 안착된 상태로 그 상부를 가압하는 수압에 의해 하부관(714)의 하단인 개방단부를 완전히 밀폐하고 있어 누수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접속구(400)의 상단이 하부관(714)의 개방단부를 통해 상승하면서 상기 밀폐부재(720)를 밀어 올리게 되면 스프링(SP)이 압축되면서 밀폐부재(720)가 밀려 올라가게 되고 이때 단차면(726)을 통해 하강한 소화수가 접속구(400)을 타고 배출되면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접속구(400)는 그 상단에 상기 연통접속부(710)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접속구(400) 몸체 보다 작은 직경의 삽입단(412)이 형성되고, 삽입단(412)의 상단면 및 둘레면에는 관통공(414)이 형성되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삽입단(412)의 둘레와 간격을 두고 상기 하부관(714)의 외경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4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접속구(400)를 연통접속부(710)에 끼운 후 나사체결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도킹되면서 소화수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접속릴(300)의 토출단에는 분사건(500)이 아닌 도 3과 같은 제연소화수 분사기(60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복도형 공동주택의 경우 강한 소화수 분사압을 갖도록 하여 소화능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복도(PASS)의 창문측 벽면에는 소화수관(700)이 배관되고, 상기 소화수관(70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연통접속부(710)가 배치되며, 상기 연통접속부(710)에는 접속릴(300)의 접속구(400)를 도킹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상기 접속구(400)를 원하는 위치에 접속하기만 하면 아주 쉽게 소화수를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연소화수 분사기(600)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원통형상의 분사기하우징(610)과,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트리거(TRI)를 갖춘 권총손잡이(HAN)와,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에 내장되고 트리거(TRI)에 의해 구동되는 제연팬(620)과,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의 선단에 고정된 깔대기 형태의 분사가이드(630)와, 상기 분사가이드(63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고 접속릴(30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분사홀(650)과, 상기 분사홀(650)에 조립되어 소화수를 안개 형태로 분사하여 제연팬(620)의 송풍압에 의해 전방으로 토출되면서 제연 냉각시키도록 안내하는 분사니뿔(66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의 후단은 개방된 상태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제연팬(620)에 의해 송풍시 공기를 빨아 당겨 내뿜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분사가이드(630)에는 반경방향으로 소화수공급관로(640)가 형성되고, 상기 소화수공급관로(640)는 상기 접속릴(300)의 토출단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토출단에는 상기 트리거(TRI)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는 일종의 솔레노이드밸브인 개폐밸브(미도시)가 더 설치되며, 이들의 개폐에 사용되는 전기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설치된 발전기로부터 얻을 수 있다. 즉, 권총손잡이(HAN) 내부에는 제어판(미도시)이 내장되고, 트리거(TRI)의 동작에 따라 제연팬(620) 및 개폐밸브의 구동 신호를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사홀(650)은 상기 소화수공급관로(640) 상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분사니뿔(660)은 직관 형태의 니뿔몸체(662)와, 상기 니뿔몸체(662)의 일단에서 축관되고 상기 분사홀(65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664)와, 상기 니뿔몸체(662)의 타단에 단턱져 확관된 형태로 형성된 반구형상의 니뿔헤드(666)와, 상기 니뿔헤드(666)의 내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정류챔버(668)와, 상기 분사홀(650)과 연통되도록 상기 니뿔몸체(662)에 형성되고 상기 정류챔버(668)와 연결된 공급유로(P1)와, 상기 공급유로(P1)와 연통되고 상기 니뿔몸체(662)와 니뿔헤드(666) 사이의 단턱을 통해 분출가능하게 형성된 분사유로(P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재시 도킹완료 한 후 트리거(TRI)를 당기면 제연팬(620)이 가동됨과 동시에 접속릴(300)의 토출단에 설치된 개폐밸브(미도시)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소화수는 니뿔몸체(662)의 정류챔버(668)에서 머물면서 압이 높아진 상태로 분사유로(P2)를 통해 미스트 형태로 분사 혹은 분사된다.
그러면, 이 미스트 형태의 분사는 분사가이드(630) 전방을 향해 이루어지며, 그와 동시에 제연팬(620)이 가동되면서 강한 송풍압이 토출되어 미스트 형태의 분사를 전방으로 토출시킨다.
이것은 복도에 퍼지는 고온의 연기를 불어내어 배출시킴과 동시에 온도를 떨어뜨려 대피자가 뜨거운 열기에 의해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여 주며, 특히 소화수가 분사됨으로 인해 냉각기능이 향상되므로 제연 효과도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중 삼중으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4의 예시와 같이, 본체프레임(100)의 양측면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펌프(120)의 배출단과 분기 연결된 제1,2분기관(900,910)을 마련하고, 상기 제1,2분기관(900,910)에 각각 다수의 소화수분사노즐(1300)을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 제어함으로써 본체프레임(100)을 이동시키면서 그 도중에 좌측 혹은 우측으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더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밸브는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화수분사노즐(1300)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원통형상의 노즐본체(1310)와, 상기 즐본체(1310)의 둘레 일부에 경사 형성되어 양액을 분사할 수 있는 상방경사공(1312)과, 상기 상방경사공(1312) 반대쪽에 형성되어 제1 또는 제2분기관(900,910)이 접속되는 호스접속단(1360)과, 상기 노즐본체(1310)의 일단면에서 돌출되어 본체프레임(100)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부(1320)와, 상기 고정나사부(1320) 반대단에 형성된 개방부(1330)와, 상기 개방부(1330)에 체결되어 밀폐하며 전방분사공(1342)을 갖는 전방마개(1340)와, 상기 노즐본체(1310) 속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호스접속단(1360)과 단속적으로 연통되는 맞춤그루브(G1)를 둘레면에 구비한 유동자(1350)와, 상기 맞춤그루브(G1)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방경사공(1312)과 단속적으로 연통되는 연장그루브(G2)와, 상기 유동자(1350)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인 챔버(1352)와, 상기 맞춤그루브(G1) 및 챔버(1352)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L1)와, 상기 챔버(1352) 및 상기 전방분사공(1342)을 연통시키는 제2유로(L2)와, 상기 전방마개(1340)와 유동자(135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SPR)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소화수가 공급되기 전에는 스프링(SPR)에 의해 유동자(1350)가 최대로 후퇴한 상태이므로 이때에는 맞춤그루브(G1)와 호스접속단(1360)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소화수는 먼저 이 맞춤그루브(G1)로 유입된다.
소화수가 채워질수록 수압이 증가하고, 증가된 수압은 스프링(SPR)의 탄성반발력을 이기고 스프링(SPR)을 압축하면서 유동자(1350)를 이동시킨다.
물론, 이때 제1유로(L1)를 통해 소화수의 일부는 챔버(1352)에 채워지는데, 이 경우에도 제1유로(L1)는 매우 가늘기 때문에 대부분의 소화수, 바람직하게는 2/3의 소화수가 맞춤그루브(G1)로 유입되고, 나머지 1/3의 소화수만 챔버(1352)로 공급된다.
그리고, 챔버(1352)에 공급된 소화수는 제2유로(L2)를 통해 전방분사공(1342)으로 분사되어 소화작업을 수행한다. 이대, 펌프(120)는 펌핑하면서 맥동하기 때문에 분사는 푹푹푹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때문에, 유동자(1350)가 전진하면 연장그루브(G2)가 상방경사공(1312)과 연통되게 되므로 이때 소화수는 상방 경사를 향해 분사된다.
즉, 소화수가 공급될 때는 그 압에 의해 스프링(SPR)을 누르고 전진하여 분사되지만, 맥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소화수 공급이 멈추는 인터벌이 생기면 스프링(SPR)의 탄성반발력 때문에 다시 후퇴하여 소화수 분사가 중단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아주 짧은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소화수 분사작업이 일어나 소화수의 비산거리를 늘리고, 분사 반경을 넓히게 된다.
한편, 공동주택의 각 층마다 구비된 콘센트에 접속하여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6의 예시와 같이, 소화수탱크(200)의 외표면에는 전기릴(2300)이 설치된다.
상기 전기릴(2300)은 전선이 인출입되면서 실장된 전기부품(펌프를 포함한 여러 기구)을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오각형상의 릴함(2310)을 포함한다.
이때, 릴함(2310)을 오각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릴함(2310)을 설치할 때 좌측은 물론, 우측 어디에 어떻게 부착하더라도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원형으로 설치할 경우라면 설치하는 과정에서 수공의 위치가 달라져 배수불량이 생김으로써 추후 녹이 생기는 문제, 합선 문제 등 복잡한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릴함(2310)은 오각형상의 부재 일측에 고정브라켓(2312)이 구비되어 이를 기준으로 설치하게 되면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그냥 설치하면 되는 편리함이 있다.
즉, 오각중 상부측과 하부측의 각진 부위에 수공(2314a,2314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비가 오더라도 유입된 물은 항상 하부 수공(水孔)(2314b)을 통해 배수되게 된다.
또한, 상부 수공(2314a)이 필요한 이유는 릴함(2310)을 뒤집어 설치하게 되면 상부 수공(2314a)이 하부 수공으로 바뀌게 되므로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수공(2314a,2314b)을 설치하는 이유는 비가 들이치거나 혹은 불측의 이유로 물이 들어 왔을 때 이를 배수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릴함(2310) 내부 중심에는 축(2320)이 고정되고, 상기 축(2320)은 축공(2322)을 갖는 관형상의 축이며, 상기 축(2320)에는 축기어(2324)가 고정되어 일체를 이룬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축(2320)에는 드럼(233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태엽식으로 회전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드럼(2330)의 일측에는 포텐샤미터(2340, 도 8 참조)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포텐샤미터(2340)는 컨트롤러(2200, 도 6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포텐샤미터(2340)가 검출한 거리정보는 상기 컨트롤러(2200)의 표시부(2210)에 표시되도록 제어된다.
아울러, 상기 드럼(2330)은 공지된 스파이어럴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되어 있어 인출된 전기선(L)을 자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릴함(2310)의 일측은 개구되어 전기선(L)을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기선(L)은 축공(2322)을 통해 축방향으로 인입된 후 드럼(2330) 표면에 감기게 되고, 인출은 반시계방향, 인입은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포텐샤미터(2340)는 힌지축(2342)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한 포텐샤바디(2344)와, 상기 포텐샤바디(2344)의 일단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축기어(2324)와 기어결합하여 전기선(L)의 인출길이를 계측하는 포텐샤기어(2346)와, 상기 포텐샤바디(2344)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당겨 상기 포텐샤기어(2346)가 축기어(2324)에 기어결합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2348)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포텐샤바디(2344)는 힌지축(2342)을 통해 드럼(2330) 내부에 일정각도 스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2348)도 마찬가지로 드럼(2330) 내부에 고정된다.
즉, 드럼(2330)은 원형통(2332)과, 상기 원형통(2332)의 양측단에 고정되며 원형통(2332)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원판(23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축(2342)과 스프링(2348)은 이들 원판(2334)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2348)을 설치한 이유는 포텐샤미터(2340)의 영점 조정을 정확히하여 전기선(L)이 끊어지거나 포텐샤미터(2340)가 깨지는 등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정확한 거리측정, 즉 인출길이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때문에, 원하는 위치까지 전기선(L)을 인출하여 필요시 쉽게 전원을 얻을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인입시켜 보관할 수 있다.
100: 본체프레임
200: 소화수탱크
300: 접속릴
200: 소화수탱크
300: 접속릴
Claims (1)
- 사각틀 형태를 갖는 본체프레임; 본체프레임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소화수가 채워진 소화수탱크; 소화수탱크의 하면에 설치되어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다수의 캐스터; 본체프레임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다수의 분말소화기; 본체프레임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소화수탱크로부터 소화수를 흡입하여 펌핑하는 펌프; 펌프의 토출단에 연결되고 본체프레임의 바닥면에 거치되는 릴형 소화수분사기; 본체프레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소방용구를 고정하는 소방용구고정대; 본체프레임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일단에는 복도형 공동주택에서 복도의 창문쪽 벽에 설치된 소화수관의 연통접속부에 접속되는 접속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연소화수 분사기가 장착된 접속릴;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면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펌프의 배출단과 분기연결된 제1,2분기관을 마련하고 제1,2분기관에 각각 다수의 소화수분사노즐을 설치하되,
상기 소화수분사노즐은 원통형상의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둘레 일부에 경사 형성되어 양액을 분사할 수 있는 상방경사공과, 상기 상방경사공 반대쪽에 형성되어 제1 또는 제2분기관이 접속되는 호스접속단과, 상기 노즐본체의 일단면에서 돌출되어 본체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부와, 상기 고정나사부 반대단에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에 체결되어 밀폐하며 전방분사공을 갖는 전방마개와, 상기 노즐본체 속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호스접속단과 단속적으로 연통되는 맞춤그루브를 둘레면에 구비한 유동자와, 상기 맞춤그루브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방경사공과 단속적으로 연통되는 연장그루브와, 상기 유동자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인 챔버와, 상기 맞춤그루브 및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와, 상기 챔버 및 상기 전방분사공을 연통시키는 제2유로와, 상기 전방마개와 유동자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수탱크의 외표면에는 전원공급용 전기릴이 설치되되 전기릴은 오각형상의 릴함과, 오각중 상부측과 하부측의 각진 부위에 형성된 수공과, 릴함 내부 중심에 고정되고 축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축과, 축에 고정된 축기어와, 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되 태엽식으로 원위치되게 구비된 드럼과, 드럼의 일측에 설치되어 축기어와 맞물려 전기선의 인출거리를 측정하는 포텐샤미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2159A KR102146819B1 (ko) | 2020-06-15 | 2020-06-15 |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2159A KR102146819B1 (ko) | 2020-06-15 | 2020-06-15 |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6819B1 true KR102146819B1 (ko) | 2020-08-21 |
Family
ID=7223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2159A KR102146819B1 (ko) | 2020-06-15 | 2020-06-15 |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681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8034B1 (ko) | 2022-04-18 | 2023-04-06 | (주)서전종합전기 | 공동주택의 이동식 소방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방법 |
KR102518640B1 (ko) | 2022-04-18 | 2023-04-10 | (주)서전종합전기 | 공동주택의 이동식 소방장치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5733Y1 (ko) * | 2004-11-30 | 2005-03-08 | 디에이치엠(주) | 이동식 소화장치 |
KR20110129786A (ko) * | 2010-05-26 | 2011-12-02 | 류지황 | 이동식 소방용구함 |
KR20110011688U (ko) * | 2010-06-11 | 2011-12-19 | 유산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 디 | 수무화 소화기 |
KR101343779B1 (ko) * | 2013-07-02 | 2013-12-20 | 정우진 | 이동식 건축물용 소방장치 |
CN107412985A (zh) * | 2017-07-25 | 2017-12-01 | 张健 | 一种可移动围挡式灭火设备 |
KR102064947B1 (ko) * | 2018-06-14 | 2020-01-10 | 김재일 |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
KR102073908B1 (ko) | 2017-09-28 | 2020-02-05 | 동림기술 주식회사 | 이동식 소화장치 |
-
2020
- 2020-06-15 KR KR1020200072159A patent/KR1021468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5733Y1 (ko) * | 2004-11-30 | 2005-03-08 | 디에이치엠(주) | 이동식 소화장치 |
KR20110129786A (ko) * | 2010-05-26 | 2011-12-02 | 류지황 | 이동식 소방용구함 |
KR20110011688U (ko) * | 2010-06-11 | 2011-12-19 | 유산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 디 | 수무화 소화기 |
KR101343779B1 (ko) * | 2013-07-02 | 2013-12-20 | 정우진 | 이동식 건축물용 소방장치 |
CN107412985A (zh) * | 2017-07-25 | 2017-12-01 | 张健 | 一种可移动围挡式灭火设备 |
KR102073908B1 (ko) | 2017-09-28 | 2020-02-05 | 동림기술 주식회사 | 이동식 소화장치 |
KR102064947B1 (ko) * | 2018-06-14 | 2020-01-10 | 김재일 |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8034B1 (ko) | 2022-04-18 | 2023-04-06 | (주)서전종합전기 | 공동주택의 이동식 소방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방법 |
KR102518640B1 (ko) | 2022-04-18 | 2023-04-10 | (주)서전종합전기 | 공동주택의 이동식 소방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6819B1 (ko) |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 |
KR101161952B1 (ko) |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 |
CN207186956U (zh) | 一种海上平台专用高压细水雾自动灭火系统 | |
KR101853291B1 (ko) |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 |
KR101761721B1 (ko) |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 |
CZ263896A3 (en) | Fire extinguishing system | |
KR102402164B1 (ko) |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 |
KR102234900B1 (ko) | 화재 진압용 고압 소화건 | |
KR101279525B1 (ko) |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 |
KR102176066B1 (ko) |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 |
KR102156266B1 (ko) |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 |
RU2482924C1 (ru) |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одяной завесой | |
KR102187037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 |
KR102146818B1 (ko) |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기구함 장치 | |
KR20200001396U (ko) | 이동식 소화장치 | |
RU2523333C1 (ru) |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 |
KR102621184B1 (ko) |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화재 진압 방법 | |
KR101993606B1 (ko) |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 |
KR20210000596A (ko) | 패키지형 호스릴 스프링클러장치 | |
CN215231812U (zh) | 一种用于实验室喷淋灭火装置 | |
KR102307555B1 (ko) | 건축물의 소방 배관 설치 구조물 | |
KR200375733Y1 (ko) | 이동식 소화장치 | |
KR20090070090A (ko) | 사찰 문화재 보호를 위한 상향방수형 소방장치 | |
CN220175937U (zh) | 一种楼宇消防安全用自动化灭火装置 | |
RU2550841C1 (ru) |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кочетова пенного тип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