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8167B1 -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167B1
KR102138167B1 KR1020200005574A KR20200005574A KR102138167B1 KR 102138167 B1 KR102138167 B1 KR 102138167B1 KR 1020200005574 A KR1020200005574 A KR 1020200005574A KR 20200005574 A KR20200005574 A KR 20200005574A KR 102138167 B1 KR102138167 B1 KR 102138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thdrawal
container
body member
dispens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447A (ko
Inventor
이규배
Original Assignee
이규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배 filed Critical 이규배
Priority to KR1020200005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1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는, 인출대상물이 저장된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1 몸체부재;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인출대상물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제2 몸체부재; 및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상면에서 돌출형성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출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인출대상물이 개별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몸체부재가 알약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2 몸체부재의 회전에 따라 인출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알약 용기 내부의 인출대상물이 개별적으로 인출되어 필요한 수량만큼만 인출할 수 있어 손에 닿았던 오염된 알약을 다시 알약 용기 내부로 넣어야 하는 것을 방지하고, 습기가 알약 내부에 생기거나 이물질이 알약 용기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출대상물의 성질이 변질되거나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DISPENSERS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TAKEN OUT ONE-BY-ONE}
본 발명은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있는 인출대상물이 개별적으로 인출되도록 제2 몸체부재의 회전에 따라 적정 크기의 인출구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구용으로 제조된 알약은,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편리하며, 미리 정해진 함량에 의해 크기와 형태가 정해지기 때문에 일일이 계량할 필요가 없고, 체내에서 약효과가 퍼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 등과 같은 이유로 인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정도로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인식 및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알약이 담긴 용기를 대량으로 양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알약을 용기 내로 넣어야 하기 때문에 용기 입구는 알약이 하나씩 인출되도록 작은 크기로 마련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한 손으로는 용기를 잡고 다른 한 손에 약을 덜게 될 때, 알약이 다량인출될 수 있으며, 복용하는 정량의 알약을 제외하고 손에 묻은 수분이나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알약이 용기 내부로 다시 인입되어 용기 내부에 있던 알약까지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8427호(공고일: 2000.02.15)에는 정량 인출 약통이 개시되어 있다. 이 약통은, 뚜껑이 약통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뚜껑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인출입구; 인출입구 외주연에 접힘편으로 일체로 연결된 커버; 인출입구 내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절개부를 갖는 통공이 형성되며, 유연한 탄성재로 이루어진 조절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단지 알약의 인출구를 좁혀 알약을 인출하는 것으로, 알약 뚜껑을 채 닫지 못하면 알약이 산화되어 변질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알약 뚜껑을 이중으로 밀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어지고, 또한, 이미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알약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고, 제작과 조립이 간단한 기술이 요구되어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8427호(공고일: 2000.02.15)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용기에도 사용 가능하고, 용기 입구를 이중으로 밀봉하며, 용기 내부에 있는 인출대상물이 개별적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알약의 변질을 최소화하는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인출대상물이 저장된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1 몸체부재;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인출대상물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제2 몸체부재; 및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상면에서 돌출형성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출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인출대상물이 개별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측면은, 상기 제2 몸체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차폐할 때, 접혀서 상기 용기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상기 개구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제2 몸체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측 상면에 절곡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가, 상기 파지부재를 잡아당기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인출구에 위치하게 되는 제1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재는, '十' 형태나 'ㅅ'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재는,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인출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에서 상부 돌출된 걸림돌기에 의해 인출대상물이 한꺼번에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는, 손가락 걸기가 용이하거나 파지가 용이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파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는, 적은 부피를 차지하도록, 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끈의 자유단에는, 제1 자성체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뚜껑 내측 중앙에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성체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뚜껑을 개방할 때, 상기 제2 몸체부재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인출구가 노출되면서 상기 제1, 2 자성체가 서로 분리되고, 상기 용기의 뚜껑을 닫으면,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2 자성체가 다시 체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몸체부재와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제2 제어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제어부재의 단면이 ‘ㅡ’ 형태, ‘ㅣ’ 형태, ‘十’ 형태, 또는 ‘ㅅ’ 형태로 상기 제2 몸체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제어부재가 ‘ㅣ’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제어부재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제2 제어부재는 상기 인출구를 향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몸체부재가 알약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2 몸체부재의 회전에 따라 인출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알약 용기 내부의 인출대상물이 개별적으로 인출되어 필요한 수량만큼만 인출할 수 있어 손에 닿았던 오염된 알약을 다시 알약 용기 내부로 넣어야 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구부와 제2 몸체부재의 측면이 연결되어 있어 인출구가 노출되지 않고 알약 용기 내부에 위치할 때 용기 내부가 밀폐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지부재가 제2 몸체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파지부재의 자유단에 제1 제어부재가 형성됨으로써 크기가 다른 인출대상물을 선택적으로 인출하거나 인출대상물의 인출을 선택적으로 막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몸체부재의 측면 밑변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안착면이 형성됨으로써 인출대상물이 개별적으로 위치하게 되고, 걸림돌기에 의해 인출대상물이 순차적으로 텀을 가지고 인출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지부재의 자유단에 형성된 제1 자성체가 용기 뚜껑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제2 자성체와 체결됨으로써 뚜껑을 열면 인력에 의해 인출구가 노출됨과 동시에 제1,2 자성체가 분리되고, 뚜껑을 닫으면 인력에 의해 제1,2 자성체가 다시 체결되어, 뚜껑을 열고 닫을 때 인출구가 연동되어 개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 및 일부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변형예 내지 제6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7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8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 및 일부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 변형예 내지 제6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7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8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는, 용기 내부에 있는 인출대상물을 개별적으로 인출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여기서 "인출대상물"이란, 본 발명에서 개별적으로 인출하기 위한 대상물로, 소금, 설탕, 곡식, 알약, 사탕, 영양제, 구슬 등 일정한 형태로 제조된 고체형태면 그 종류가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여기서는 알약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용기"란, '인출대상물'을 담는 그릇을 뜻하고 용기 입구는 원형 및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여기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 뚜껑"이란, '용기'의 입구를 덮는 일반적인 것으로, 안전 뚜껑과 같은 특수 목적으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는, 인출대상물이 저장된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몸체부재(100),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인출대상물이 인출되는 제2 몸체부재(200), 및 파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몸체부재(100)는, 용기 입구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상판부(140), 용기 입구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제1 상판부(140)의 외주연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단턱부(160), 및 일측에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개구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상판부(140)는, 평편하거나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제1 몸체부재(100)가 용기 입구에 결합되고 용기 뚜껑이 완전히 폐쇄될 때 간섭이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파지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간섭이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부(160)의 높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기 입구의 높이와 비슷하거나 짧은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 입구를 제외한 몸체와 단턱부(160) 사이에 인출대상물이 끼지 않게 함과 동시에 습기가 생기거나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개구부(120)는, 용기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로로, 제1 상판부(140)의 가운데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일측에 치우쳐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상판부(140)가 이루는 원호의 한 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개구부(120)의 크기는 인출대상물 하나가 빠져나올 만큼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일정한 수(가령, 복용 정량)의 환(丸)이나 알갱이가 나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구부(120) 모양의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후술할 제2 몸체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개구부(120)는 전술한 직선을 기준으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몸체부재(200)는, 선택적으로 개구부(12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개구부(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220), 제1 상판부(140)와 동일면 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상판부(240), 제2 상판부(240)의 측변에서 하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측면부(260), 및 양 측면부(260)를 연결하되 인출구(282)가 형성되는 전면부(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출구(282)가 용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폐쇄상태(도 1(a) 참조)', 인출구(282)가 용기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개방상태(도 1(b) 참조)'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회전부(220)는, 제2 상판부(240)가 제1 상판부(1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되는 방법에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제1, 2 상판부(140, 240)가 일체로 이루어져 재질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상판부(240)는, 개구부(120)의 개폐 여부를 담당하는 것으로, 제1 상판부(140)와 동일면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부(260)는, 개방상태에서 인출대상물이 인출구(282) 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임시멈춤돌기(264) 및 완전멈춤돌기(2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측면부(260)는, 제2 몸체부재(200)의 양쪽 측면을 일컫는다. 이러한 측면부(260)는, 회전부(220)의 축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로 상호 가변될 때 단턱부(160)에 의한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측면부(260)에는 완전멈춤돌기(262)와 임시멈출돌기(264)가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완전멈춤돌기(262)는, 측면부(260)가 제1 상판부(140) 위로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측면부(260)의 가장 하단 부분에 돌출형성되고 제1 상판부(140)에 의해 걸려 제2 몸체부재(200)가 제1 상판부(14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임시멈춤돌기(264)는, 개방상태에서의 인출구(282)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측면부(260)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 간격을 두고 1mm 이하로 돌출형성된다. 이는 임시멈춤돌기(264)가 제1 상판부(140)에 의해 잠시 멈추되 가압하면 유동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술한 완전멈춤돌기(262)와 임시멈출돌기(264)가 형성되지 않을 때에는, 측면부(260)와 제1 상판부(140)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마찰력에 의해 제2 상판부(24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인출구(282)의 크기를 임시로 설정할 수 있다. 가령, 두 종류 크기의 인출대상물이 용기에 저장되었을 때 인출구(282)의 크기를 조정하여 때에 따라 알맞게 복용할 수 있게 된다.
전면부(280)는, 인출구(282)가 구비되는 면이다.
인출구(282)는, 인출대상물이 최종으로 나오는 구멍으로, 인출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모양이 제조될 수 있고, 전면부(280) 전체가 인출구(282)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2 몸체부재(100, 200)의 재질은 향균, 내열성, 내마모성, 발수성(撥水性; 물을 튀기는 성질) 및 소수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신축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재(300)는, 인출구(282)를 노출시키기 위해 제2 몸체부재(200)를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구비한 것으로, 제2 상판부(240) 표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재(300)는 용기 뚜껑을 닫을 때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지부재(300)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몸제부재(100)의 외주연보다 제2 몸체부재(200)가 1~3mm 정도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을 손톱이나 손가락으로 젖혀서 인출구(282)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를 이용하여 인출대상물을 인출하는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을 개방한다. 뚜껑은 용기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고 끼움결합될 수도 있는데 특별한 한정은 없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160)가 용기 입구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하고, 파지부재(300)를 잡아당겨 제2 몸체부재(200)가 상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그러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구(282)가 노출되고 인출대상물을 손바닥에 덜지 않고 바로 입에 털어 넣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인출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임시멈춤돌기(264) 중 하나에 개구부(120) 쪽 제1 상판부(140)가 걸리게 해 인출구(282)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지부재(30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용기의 뚜껑을 닫을 때 장애가 되지 않고 완전히 닫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의 구조로 인해, 기존 용기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아 재사용 및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출대상물을 꺼내다 용기를 바닥에 떨어뜨려도 본 발명에 의해 이중으로 밀봉되어 인출대상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며 쏟아지더라도 소량만 빠져나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성이 있는 식용 액체(꿀이나 식용유 등)나 액체로 된 화학 약품, 세제, 독성 물질 등의 배출양 조절이 가능하도록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에 대한 기술적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할 다양한 변형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적절한 변형 등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60)가 개구부(120)와 일체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실시예와 구별된다.
즉, 제2 몸체부재(200)의 양 측면인 측면부(260)는, 개구부(120)의 내주연을 따라 연장형성되고, 개방상태일 때에는 위쪽 측면부(260a)와 아래쪽 측면부(260b)가 펴지고(도 2 참조), 폐쇄상태일 때에는 위쪽 측면부(260a)와 아래쪽 측면부(260b)가 접혀져(도 2의 확대도 참조) 제1 몸체부재(100)의 내측에 설치된 지지부(162)에 지지된다.
또한, 전면부(280)는, 위쪽 측면부(260a) 쪽에만 형성되며, 이는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로 가변될 때 전면부(280)가 아래쪽 측면부(260b)와의 인장응력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제1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의 구조로 인해, 폐쇄상태에서 용기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300)가 제2 몸체부재(200)를 관통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실시예와 구별된다.
파지부재(300)는, 제2 상판부(240)에 형성된 관통공(242)을 관통하고, 제2 몸체부재(200)의 내측 상면에 밀접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소재의 절곡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위와 같이, 제2 몸체부재(200)의 내측 상면에 절곡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제1 제어부재(3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상태에서, 개방에 필요한 힘보다 더 큰 힘으로 파지부재(300)를 잡아당기면(도 3(b)의 ① 참조), 절곡부(320)가 관통공(242) 내로 위치하게 되어 관통공(242)에 의해 탄성변형, 즉, 절곡부(320)가 펴지게 되어 제1 제어부재(340)가 인출구(282)에 위치(도 3(b)의 ② 참조)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를 위해 관통공(242)에 인접하여 가이드가 소정높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재(340)는, 'l'형태, '十'형태, 또는 'ㅅ'형태 등 목적에 따라 형태를 달리하여 구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2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의 구조로 인해, 크기가 다른 인출대상물을 선택적으로 인출하거나 인출대상물의 인출은 선택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대상물이 잠시 안착되는 안착면(270)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실시예와 구별된다.
안착면(270)은, 인출대상물이 한꺼번에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돌기(2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안착면(270)은, 제2 몸체부재(200)의 유입부(266)을 통해 유입된 인출대상물이 안착되는 것으로, 제2 상판부(240)와 전면부(280)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바닥면을 일컫는다.
유입부(266)는, 개방된 면일 수 있고, 즉, 양쪽의 측면부(260), 또는 전면부(280)에 대향하는 후면 중 어느 하나 전체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72)는, 인출대상물을 나누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안착면(270)에 돌출형성된다.
한편, 걸림돌기(272)의 역할을 하기 위해, 안착면(270)은, 마찰력을 증가토록 하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엠보싱 가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3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의 구조로 인해, 용기를 뒤집어 흔들면 인출대상물이 안착면(270)에 마련된 걸림돌기(272)에 의해 개별적을 위치하게 된다. 즉, 유입부(266)에 의해 1차로 인출대상물의 유입량이 제한되고, 2차로 안착면(270) 및 걸림돌기(272)에 의해 인출대상물의 유입량이 제한되고, 마지막으로 인출구(282)로 인해 인출대상물의 유입량이 제한된다. 이로써 인출대상물이 한꺼번에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변형예 내지 제6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는, 파지부재(300)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실시예와 구별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300)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반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파지부재(300)가 링형상으로 형성된 때에는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파지부재(300)가 끊어지거나 일부가 오염 및 훼손됐을 때에 바로 교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위와 같은 제4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의 구조로 인해, 손가락 걸기가 용이하여 쉽게 개방상태로 가변될 수 있으며, 반고리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파지부재(300)가 가압력에 의해 끊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300)는,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파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지부재(300)는 인출구(282)가 형성된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고 인출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5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의 구조로 인해, 미끄럼 없이 파지가 용이할 수 있게 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300)는, 끈이나 스트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끈이나 스트랩의 자유단에는 제1 몸체부재(100)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제1 몸체부재(100)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고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제6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의 구조로 인해, 파지가 용이하되 적은 부피를 차지하여 제1, 2 몸체부재(100, 200)와 용기 뚜껑 내측이 이루는 공간이 작아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300)의 자유단에 제1 자성체(302)를 구비하고, 용기 뚜껑 내측에 제2 자성체(304)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6 변형예와 구별된다.
끈으로 된 파지부재(300)의 자유단에는, 제1 자성체(302)가 형성된다.
제1 자성체(302)의 모양은 판모양일 수 있고, 입체도형일 수 있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 뚜껑의 내측 중앙에는 제1 자성체(302)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성체(304)가 홈 안에 형성된다. 제2 자성체(304)가 중앙에 위치하는 이유는, 용기 뚜껑이 용기에 나사결합 되어 뚜껑을 회전하여 개방할 때, 끈으로 된 파지부재(300)에 많은 피로를 주기 않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자성체(302)는 구의 형상을 하고 있고, 제2 자성체(304)는 홈의 형상을 하고 있어, 용기 뚜껑을 회전하여도 피로도가 높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제7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의 구조로 인해, 용기의 뚜껑을 개방할 때(도 6(b) 참조), 제2 몸체부재(200)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인출구(282)가 노출되면서 제1, 2 자성체(302, 304)가 서로 분리되고, 용기의 뚜껑을 닫으면(도 6(a) 참조), 인력에 의해 제1, 2 자성체(302, 304)가 다시 체결되면서 인출구(282)가 제1 몸체부재(10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용기 뚜껑을 열고 닫기만 해도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로 가변 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8 변형예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부재(200)의 내부에 제2 제어부재(29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실시예와 구분된다.
제2 제어부재(290)는, 단면이 ‘ㅣ’ 형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十' 형태, 또는 'ㅅ' 형태로 이루어져 제2 몸체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제어부재(290)가 '十'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에, 작은 통로 4곳이 형성되게 된다.
위와 같은 제2 제어부재(290)의 구조로 인해, 용기 안에서 서로 엉겨 붙은 작은 크기의 인출대상물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베지캡슐 등의 커버 없이 환으로 된 인출대상물은, 표면의 약재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 상태 등에 따라 서로 엉겨붙을 수 있지만,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부재(290)가 마련된 상태에서는, 용기를 흔들어서 제2 제어부재(290)의 격벽에 의해 엉겨붙은 인출대상물이 분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인출구(282)보다 작은 통로로 원활한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재(29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대상물의 인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길이가 달라지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길이가 동일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제어부재(290)가 ‘ㅣ’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2 제어부재(29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제2 제어부재(290)는 인출구(282)를 향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2 제어부재(290)의 구조로 인해, 폐쇄상태에서 용기를 뒤집어서 흔들면 인출대상물이 제2 제어부재(290)들 사이에 끼게 되고, 제2 몸체부재(200)를 완전히 젖힌 후, 껴있는 인출대상물을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제어부재(290)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부재(2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2 몸체부재(200)의 어느 한 내면에 형성되는 홈에 끼울 수 있도록 조립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2 몸체부재(200)에 필요에 따라 임시로 억지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1)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제1 몸체부재(100)는,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지만, 용기 입구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별도로 제작될 경우, 재사용 및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100 : 제1 몸체부재
120 : 개구부
140 : 제1 상판부
160 : 단턱부
162 : 지지부
200 : 제2 몸체부재
220 : 회전부
240 : 제2 상판부
242 : 관통공
260 : 측면부
262 : 완전멈춤돌기
264 : 임시멈춤돌기
266 : 유입부
270 : 안착면
272 : 걸림돌기
280 : 전면부
282 : 인출구
290 : 제2 제어부재
300 : 파지부재
302 : 제1 자성체
304 : 제2 자성체
320 : 절곡부
340 : 제1 제어부재

Claims (8)

  1. 인출대상물이 저장된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1 몸체부재;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에 상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인출대상물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제2 몸체부재; 및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상면에서 돌출형성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제2 몸체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측 상면에 절곡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가, 상기 파지부재를 잡아당기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인출구에 위치하게 되는 제1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재의 당김으로 인한 상기 제2 몸체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출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인출대상물이 개별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1, 2 몸체부재 및 상기 파지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재는,
    'ㅣ' 형태, '十' 형태, 또는 'ㅅ'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손가락 걸기가 용이하거나 파지가 용이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05574A 2020-01-15 2020-01-15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KR10213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74A KR102138167B1 (ko) 2020-01-15 2020-01-15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74A KR102138167B1 (ko) 2020-01-15 2020-01-15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101A Division KR102102597B1 (ko) 2018-12-12 2018-12-12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993A Division KR102151132B1 (ko) 2020-05-08 2020-05-08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KR1020200054997A Division KR102151131B1 (ko) 2020-05-08 2020-05-08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447A KR20200072447A (ko) 2020-06-22
KR102138167B1 true KR102138167B1 (ko) 2020-07-27

Family

ID=7114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574A KR102138167B1 (ko) 2020-01-15 2020-01-15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1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4700A (ja) * 2009-04-22 2012-10-18 オクサナ キフュク, 食品供給用容器への適用を特に意図したディスペンサ蓋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528A (ko) * 1998-12-17 2000-07-15 이정민 상면부에 별도의 당김고리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KR200168427Y1 (ko) 1999-08-05 2000-02-15 우길만 정량 인출 약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4700A (ja) * 2009-04-22 2012-10-18 オクサナ キフュク, 食品供給用容器への適用を特に意図したディスペンサ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447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7132B2 (en) Elevating lift dispenser and container
ES2698229T3 (es) Dispensador autoestabilizador
US8657155B2 (en) Single unit dispensing cap
US4324338A (en) Compartmented container
US5620109A (en) Asymmetrical portable dispenser
JP6514297B2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US2673661A (en) Container
US20100000905A1 (en) Strip vial and cap
US11292657B2 (en) Content dispensing container apparatus
AU676394B2 (en) Improved vial floss dispenser
KR20200072451A (ko)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WO2008017939A1 (en) 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for disposable tissues
KR102138167B1 (ko)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US6273299B1 (en) Multi-chamber breakfast cereal dispenser
KR102102597B1 (ko)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KR20200072450A (ko)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US20110147404A1 (en) Lids for bottles such as vials, and kits with lids
US20110204080A1 (en) Single Stack Wafer Dispenser
US20080093377A1 (en) Dispensing device for containers
EP4204324B1 (en) Dispenser
US20070199831A1 (en) Contact Lens Package and Applicator With Method For Its Use
WO2009102764A2 (en) Wafer dispenser
KR100578035B1 (ko)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CN116917216A (zh) 分配器
ES2328617T3 (es) Dispositivo de division en porciones para un env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