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4036B1 - vehicle toys used safely indoors. - Google Patents

vehicle toys used safely ind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036B1
KR102134036B1 KR1020170093903A KR20170093903A KR102134036B1 KR 102134036 B1 KR102134036 B1 KR 102134036B1 KR 1020170093903 A KR1020170093903 A KR 1020170093903A KR 20170093903 A KR20170093903 A KR 20170093903A KR 102134036 B1 KR102134036 B1 KR 102134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oving
vehicle
childre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1407A (en
Inventor
문성원
Original Assignee
문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원 filed Critical 문성원
Priority to KR102017009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036B1/en
Publication of KR2019001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4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42Automatic stopping or brak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5Trucks; Lor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형 차량 완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 완구에 복수 개의 근접센서를 설치하여 아이들의 모션에 따라 그 움직임이 컨트롤되어 향상된 재미를 유발하면서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실내에서 안전하게 사용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onsive vehicle toy,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are installed on a vehicle toy to control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children's motions, thereby inducing improved fun and inexpensive even without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It became safe to use indoors at a cost.

Figure R1020170093903
Figure R1020170093903

Description

실내에서 안전하게 사용되는 반응형 차량 완구.{vehicle toys used safely indoors.}Responsive vehicle toys used safely indoors.{vehicle toys used safely indoors.}

본 발명은 반응형 차량 완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 완구에 복수 개의 근접센서를 설치하여 아이들의 모션에 따라 그 움직임이 컨트롤되면서 향상된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면서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실내에서 안전하게 사용되는 반응형 차량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onsive vehicle toy,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is installed on a vehicle toy to control the movements according to children's motions, thereby improving fun and interest while not having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If not, it is about a responsive vehicle toy that is safely used indoors.

일반적으로 차량완구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하부에 회전 가능한 복수개의 이동바퀴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바퀴를 구동모터와 연결하여 스위치가 온(ON)되었을 때 배터리의 전원이 구동모터에 인가되면서 차량완구가 전진 이동하는 완구이다.In general, a vehicle to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table moving wheels under a case made of a polygon, and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by connecting the moving wheel with a driving motor, the battery power is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and the vehicle toy is It is a toy that moves forward.

참고로 이러한 차량완구는 스위치가 오프(OFF)될 때까지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아이들이 차량완구를 잡아 멈춰 세우기 전에 이미 실내공간의 벽면이나 주변에 위치한 옷장 등에 부딪치는 일들이 많았고,For reference, these vehicle toys often move at high speeds until the switch is turned off, and children often hit the walls of the interior space or closets located around them before they stop and stop the vehicle toys.

이러한 차량완구가 딱딱한 벽면이나 옷장 등과 부딪쳐 멈춰 서게 되면서 차량완구의 케이스나 내장된 부품 등이 일부 손상되는 일들이 많아 오래 사용하지 못하고 고장나게 되는 일들이 많았다.As the vehicle toys stopped by hitting a hard wall or a close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case of the vehicle toy or the built-in parts were damaged, and many of them were not used for a long time and fail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완구가 딱딱한 벽면이나 옷장에 부딪치기 전에 그 움직임을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등장하게 되었지만,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remote controller has appeared that can easily control the movement of a vehicle before it hits a hard wall or closet.

이럴 경우 차량완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고가의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ler)의 가격이 더 포함되어지면서 차량완구의 가격 상승을 불러오게 되었던 것이다.In this case, the vehicle toy can be safely used, but the price of the expensive remote controller has been further included,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price of the vehicle toy.

더불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차량완구의 움직임이 무선으로 컨트롤되는 만큼 항상 수신부가 온(On) 상태로 놓여져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차량완구의 배터리 교체 주기도 빨라져 잦은 배터리 교환에 의해 관리비 상승이 상승되기도 하였던 것이다.In addition, a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oy is wirelessly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the reception part must always be placed in the ON state, so the battery replacement cycle of the vehicle toy is also quickened, and the maintenance cost is increased by frequent battery exchange.

KRKR 10-2017-005523610-2017-0055236 AA KRKR 20-037508520-0375085 Y1Y1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리모트 콘트롤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실내에서 안전하게 사용되는 차량완구를 목적으로 하고, 특히 상기 차량완구가 아이들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다양하게 조작되면서 보다 더 향상된 재미와 흥미를 이끌어 내기 위한 차량완구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remote controller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purpose is to use a vehicle toy that is safely used indoors, and in particular, a vehicle toy for bringing out more improved fun and interest as the vehicle toy is operated in various ways in response to children's movements. It is abou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 케이스의 상부에 아이들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감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차량 케이스 내측에는 이동바퀴를 움직여주기 위한 구동부와 연결된 컨트롤부를 감지부와 연결하여, 상기 컨트롤부가 감지부를 통해 아이들이 접근사실을 보고받게 되면 구동부를 컨트롤하여 이동바퀴를 움직여 주고, 상기 이동바퀴가 일정횟수만큼 회전하거나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게되면 멈춰 서게 컨트롤됨으로써,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case is installed a detec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the approach of children, the inside of the vehicle cas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wheel Whe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moving wheel when children are reported to the access unit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he moving wheel rotates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stops when the specified time has elapsed. By being controlled,

아이들의 움직임에 따라 용이하게 차량완구의 움직임이 컨트롤되면서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져렴한 비용으로 실내에서 안전하게 사용되는 반응형 차량완구이다.It is a responsive vehicle toy that can be safely used indoors at low cost even if a separate remote control is not provided a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oy is easi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children.

또한, 본 발명의 감지부는 복수 개의 센서를 전후 방향으로 배치하고 이를 컨트틀부와 연결하여,In addition, the sen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a plurality of sensor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nect it with the control unit,

아이들의 신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부가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를 통해 보고받은 순서를 토대로 차량완구를 전진이동시켜주거나 후진이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hildren's body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toy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based on the order reported through the respective sensor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또한, 본 발명의 감지부는 복수 개의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고 이를 컨트틀부와 연결하여,In addition, the sen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a plurality of sensor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connect it with the control unit,

아이들의 신체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부가 좌측과 우측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를 통해 보고받은 순서를 토대로 차량완구를 우회전시켜 주거나 좌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hildren's body mov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toy is turned right or left based on the order reported through the respective sensor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본 발명은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전후방향으로 혹은 좌우방향으로 배치한 감지부를 설치하고, 이를 컨트롤부와 연결하여 아이들의 움직임에 따라 차량완구의 움직임이 전진 또는 후진 또는 좌회전 또는 우회전 되면서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access is installed in a front-rear direction or a left-right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move the vehicle to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ildren, such as moving forward or backward or turning left or right.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하게 차량완구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모션(Motion)에 따라 차량완구의 움직임이 컨트롤되면서 보다 더 큰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되었고,Even if you don't have a separate remote control, you can safely use the toy at low cost, and the movement of the to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ildren's motion, which can lead to greater fun and interest.

이로 인해 제조회사는 확대된 수익과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더 향상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이다.As a result, manufacturers can secure better price competitiveness with expanded profits and lower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완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완구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완구의 사용상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차량완구의 사용상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차량완구의 사용상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방으로 움직이는 차량완구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완구의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vehicle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state diagram of a vehicle toy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s a use state diagram of a vehicle toy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the vehicle toy moving in all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use state diagram of a vehicle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완구의 모습을 간략하게 예를 들어 보여준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완구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완구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brief example showing a state of a vehicle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resent invention It is a use state diagram of a vehicle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다각형으로 케이스(2) 일측에 On/Off 스위치 및 버튼(3)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복수의 이동바퀴(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안쪽에는 배터리(4) 및, 이의 전원에 의해 회전모터(32a)가 이동바퀴(5)를 회전시켜 전진 이동하는 차량완구(1)에 있어서, Referring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gon, the On/Off switch and the button 3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2,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5 are installed at the bottom, and a battery is provided inside the case. (4) And in the vehicle toy (1) in which the rotating motor (32a) rotates and moves forward by rotating the moving wheel (5) by its power source,

상기 차량완구(1)의 케이스(2) 상부에는 아이들의 접근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감지부(10)를 설치하고,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2) of the vehicle toy (1), a detection unit (1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children are approaching,

상기 차량 케이스(2) 내측에는 회전모터(32a) 및 맞물림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이동바퀴(5)를 움직여 주는 구동부(30)를 설치하고, Inside the vehicle case 2, a driving unit 30 including a rotating motor 32a and an engaging gear to move the moving wheel 5 is installed,

상기 구동부(30)는 감지부(10)와 함께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부(20)와 연결하여,The driving unit 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to take a specified operation with the detection unit 10,

아이들이 차량완구에 접근하게 되면, 감지부(10)가 이를 컨트롤부(20)에 보고하고, 상기 컨트롤부(20)는 이를 토대로 구동부(30)를 움직여 차량완구(1)가 아이들로부터 멀어지는 움직임을 취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children approach the vehicle toy, the sensing unit 10 reports it to the control unit 20, and the control unit 20 moves the driving unit 30 based on this to move the vehicle toy 1 away from the children Is to take it.

이때의 컨트롤부(20)는 차량완구(1)가 아이들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멀어져 있거나 지정된 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구동부(30)의 회전모터를 컨트롤하여 멈춰 세워줌으로써,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 automatically stops the vehicle toy 1 by controlling the rotating motor of the driving unit 30 when the vehicle toy 1 is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hildren or when a specified time has elapsed.

아이들의 움직임에 따라 차량완구의 움직임이 조정되면서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실내에서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A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o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hildren's movement, it is safely used indoors at a low cost even without a separate remote control.

참고로 상기 감지부(10)는 아이들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써,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아이들의 근접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 근접센서나,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로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유도형 근접센서나, 초음파를 출력한 후 반사된 초음파에 의해 아이들의 접근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근접센서나, 적외선 등을 출력한 후 반사된 빛을 통해 아이들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포토 근접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For reference, the sensing unit 10 i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children are approaching, and a proximit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proximity of children according to a change in capacitance or a change in current flowing through a coil. An inductive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or an ultrasonic proximity sensor that can detect whether children are approached by reflected ultrasound after outputting ultrasound, or whether children are approached through reflected light after outputting infrared rays, etc. It consists of one of the photo proximity sensors to detect.

그리고 이러한 감지부(10)는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한 개의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And although this detection unit 10 may be made of one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approach.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의 센서(11,12)를 이격되게 설치하고, 이를 컨트롤부(20)와 연결하여 아이들의 신체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을 취하였을 때,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센서(11,12)들이 근접한 순서대로 감지하게 되면서 아이들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게 구축할 수도 있는 것이다.4 and 5, when a plurality of sensors 11 and 12 are installed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the children's body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each of the sensors 11 and 12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sensed in the order of proximity, it may be constructed to detect children's motion.

즉,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아이들의 신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움직일 경우에는 전방에 배치된 센서(11)부터 순서대로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부(20)에 보고하는 것이다. 반대로 아이들의 신체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움직일 경우에는 후방에 배치된 센서(12)부터 순서대로 감지한 결과를 컨트롤부에 보고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의 센서(11,12)는 아이들의 신체 접근시 이웃한 센서들이 서로 오인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차량 케이스(2)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in more detail, when the children's body moves from front to rear, it is detected in order from the sensor 11 disposed in front and reported to the control unit 20. Conversely, when the children's body mov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control unit reports the results detected in order from the sensors 12 arranged in the rear. For reference, the sensors 11 and 12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vehicle case 2, if possible, so that neighboring sensors are not mistaken for each other when the children approach the body.

또한, 상기 감지부(1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의 센서(12,13)를 거리 차가 나도록 이격되게 설치하고, 이를 컨트틀부(20)와 연결하여 아이들의 신체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때 각각의 센서(12, 13)들이 근접한 순서대로 감지한 결과를 컨트롤부에 보고하도록 구축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0, as shown in Figures 6 and 7, a plurality of sensors (12,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spaced apart so as to make a distance difference, and this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When the children's body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each sensor 12 and 13 may be constructed to report the result detected in the proximity order to the control unit.

즉, 아이들의 신체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움직일 경우에는 좌측에 배치된 센서(12)부터 순서대로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부에 보고하는 것이다. 반대로 아이들의 신체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움직일 경우에는 우측에 배치된 센서(13)부터 순서대로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부(20)에 보고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의 센서(12,13)들은 오인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차량 케이스(2)의 좌측 단과 우측 단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hildren's body moves from left to right, the sensors 12 arranged on the left are sequentially detected and reported to the control unit. Conversely, when the children's body moves from right to left, the sensors 13 arranged on the right are sequentially detected and reported to the control unit 20. For reference, the sensors 12 and 13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vehicle case 2, respectively, in order to avoid misrecognition.

또한, 상기 감지부(10)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전,후,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아이들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삼각형 혹은 역 삼각형 형태로 복수의 센서를 이격되게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10, as shown in Figures 8 to 11, in order to recognize the movement of children moving in all directions (front, rear, left, right), a plurality of triangles or inverted triangles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sensors spaced apart.

이때의 감지부(10)는 앞 열의 센서(11)와 뒷 열의 센서(12,13)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아이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더불어 삼각형의 좌측 모서리에 배치된 센서(12)와 우측 모서리에 배치된 센서(13)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아이들의 움직임도 감지할 수 있게 구축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10 senses the movement of children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rough the sensors 11 and 13 in the front row, and the sensors 12 and the right side, which are disposed in the left corner of the triangle.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to detect the movement of children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rough the sensor 13 disposed at the corner.

또한, 컨트롤부(2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에 IC소자 및 마이컴을 설치되어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is for controlling to take a specified operation by installing an IC element and a microcomputer on a printed circuit board made of polygons,

이때의 컨트롤부(20)는 감지부와 연결되어 아이들의 모션을 판단하는 판단모듈(21)과, 상기 판단모듈(21)을 통해 확인된 결과를 토대로 대응하는 동작을 취하도록 지시하는 전진이동모듈(22) / 후진이동모듈(23) / 좌회전 모듈(24) / 우회전 모듈(25) 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의 각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unit, the determination module 21 for determining the motion of the children, and a forward movement module instructing to take a corresponding action based on the result confirmed through the determination module 21 (22) / backward movement module 23 / left turn module 24 / right turn module 25 is made to include any one or more of. Each module at this time means a functional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order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판단모듈(21)은 전후방향으로 혹은 좌우방향으로 혹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센서(11,12,13)들로부터 보고받은 사실을 토대로 신호의 세기나 감지된 순서에 따라 아이들의 신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였는지 아니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였는지 아니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였는지 아니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였는지 판단하는 모듈이다.For reference, the determination module 21 is based on the facts repor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1, 12, 13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r triangular shape,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signal or the detected order of the children's body It is a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is moved from front to rear or from rear to front or from left to right or from right to left.

또한, 전진이동모듈(22)은 판단모듈을 통해 확인된 결과를 토대로 차량완구를 전진 이동시키 위한 모듈로써, In addition, the forward movement module 22 is a module for moving the vehicle toy forward based on the result confirmed through the determination module,

상기 판단모듈(21)이 후방에서 배치된 센서(12)가 동작하고 전방에 배치된 센서(11)가 동작한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아이들의 손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When the determination module 21 confirms that the sensor 12 disposed at the rear operates and the sensor 11 disposed at the front operates, it is determined that the children's hands are moved from rear to front,

상기 전진이동모듈(22)이 회전모터를 정 회전시켜 전진 이동되게 컨트롤하는 것이다. 이때 전진이동모듈(22)은 실시 예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역회전시키도록 지시하는 명령과 함께 차량완구가 전진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효과음(예, 시동음)을 출력하도록 지시하거나 엘이디(예, 라이트 또는 사이렌 등등)을 발광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forward movement module 22 is to control the forward movement by rotating the rotary motor forward. In this case, the forward movement module 22 instructs to output an effect sound (for example, a startup sound) generated when the vehicle toy moves forward along with a command for instructing the motor to forward/reve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r an LED (eg, light) Or siren, etc.).

또한, 후진이동모듈(23)은 아이들의 모션에 대응하여 후진이동하는 동작을 취하도록 컨트롤하는 모듈로써, In addition, the backward movement module 23 is a module that controls to take a backward movement in response to children's motion,

상기 판단모듈(21)이 전방에 배치된 센서(11)가 동작하고, 이후 후방에 배치된 센서(12)가 동작한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아이들의 손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nsor 11 in which the determination module 21 is disposed in front operates, and then the sensor 12 disposed in the rear operates, it is determined that the children's hands are moved from front to rear. ,

이에 대응하여 후진이동모듈(23)이 회전모터를 역 회전시켜 차량완구를 후진이동시켜 주는 것이다. 이때 후진이동모듈(23)은 실시 예에 따라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명령과 함께 차량완구가 후진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효과음을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나 엘이디를 발광토록 지시하는 명령을 저장하고 있다가 구동부로 출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response to this, the reverse movement module 23 reversely rotates the rotating motor to move the vehicle toy backward. At this time, the backward movement module 23 stores a command for outputting an effect sound generated while the vehicle toy moves backward or a command for emitting an LED, along with a command for reversing the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can also be printed.

또한, 좌회전모듈(24)은 아이들의 모션에 대응하여 좌회전하는 동작을 취하도록 컨트롤하는 모듈로써, In addition, the left turn module 24 is a module that controls to take an action of turning left in response to children's motion,

상기 판단모듈(21)이 우측에 배치된 센서(13)가 동작하고 이후 좌측에 배치된 센서(13)가 동작하게 되면, 아이들의 손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모션을 취한 것으로 판단하고,When the sensor 13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etermination module 21 operates, and then the sensor 13 placed on the left side operates, it is determined that the children's hands have taken motion moving from right to left,

이에 대응하여 좌회전모듈(24)이 모터를 정 회전시키면서 조향부(31)를 좌측으로 움직이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구동부(30)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좌회전모듈은 실시 예에 따라 조향부를 죄측/우측으로 움직이도록 지시하는 명령과 함께 지정된 효과음(예, 시동음)을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나 엘이디(예, 방향등, 사이렌)를 발광토록 지시하는 명령을 구동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In response to this, the left rotation module 24 outputs a command to the driving unit 30 to instruct the steering unit 31 to move to the left while rotating the motor forward. At this time, the left tur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mands to output the designated sound effect (e.g., starting sound) or a command to instruct the LED to emit light (e.g., direction lights, sirens) along with a command to move the steering part to the right/left It may be output to the driving unit.

또한, 우회전모듈(25)은 아이들의 모션에 대응하여 우회전하는 동작을 취하도록 컨트롤하는 모듈로써, In addition, the right turn module 25 is a module that controls to take a right turn action in response to children's motion,

상기 판단모듈(21)이 좌측에 배치된 센서(12)가 동작하고 이후 우측에 배치된 센서(13)가 동작하게 되면, 아이들의 손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모션을 취한 것으로 판단하고, When the determination module 21 operates the sensor 12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n the sensor 13 disposed on the right side operates, it is determined that the children's hands have taken motion moving from left to right,

이에 대응하여 우회전모듈(25)이 모터를 정 회전시키면서 조향부(31)를 우측으로 움직이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구동부(30)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의 우회전모듈은 실시 예에 따라 우측/좌측으로 움직이도록 지시하는 명령과 함께 지정된 효과음을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나 엘이디(예, 방향등, 사이렌)를 발광토록 지시하는 명령을 구동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In response to this, the right rotation module 25 outputs a command to the driving unit 30 to instruct the steering unit 31 to move to the right while rotating the motor forward. In this case, the right turn module may output a command to output a designated sound effect or a command to instruct an LED (eg, direction light, siren) to emit light, along with a command to move to the right/l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e.

참고로 상기 컨트롤부는 실시 예에 따라 정지모듈(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의 정지모듈은 일정시간 동안 계속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 센서가 동시에 인식될 경우 차량완구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것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동작중인 차량완구를 정지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For referenc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stop module 26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this time, the stop module keeps the vehicle toy in a stopped state when sensors placed in the front and rear are recognized at the same ti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may stop the vehicle toy i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또한, 구동부(30)는 하나 이상의 기어들을 포함하고 있는 기어 박스(32a)와 상기 기어박스에 결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32b)를 포함하고 있는 이동부(32)와,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0 includes a gear box 32a including one or more gears and a moving part 32 including a motor 32b coupled to the gear box and rotatabl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차량 케이스(2)의 상부나 선단 혹은 후단에 설치되어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엘이디(34)와, LED 34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or front or rear end of the vehicle case 2 and emits light in one or more colors,

차량 출발시 발생하는 시동음과. 정지시 발생하는 소음과. 소방차 또는 구급차 또는 경찰차의 사이렌 음을 출력하는 음향부(33)와, Start-up noise when the vehicle starts. And noise generated when stopping. And sound unit 33 for outputting the siren sound of a fire engine or ambulance or police car,

차량완구의 이동바퀴를 좌측으로 혹은 우측으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조향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comprises a steering unit 31 for rotating the wheel of the vehicle toy to the left or right.

참고로 상기 이동부(3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기어가 맞물려 있는 기어박스(32a)를 구비한 상태에서, For reference, as shown in FIG. 12, the moving part 32 has a gear box 32a in which a plurality of gears are engaged,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회전모터(32b)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박스의 타측에는 이동바퀴(5)의 회전축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모터(32b)가 동작하였을 때 기어박스의 타측에 연결된 이동바퀴(5)를 정 회전시켜 주거나 혹은 역 회전시켜주면서 차량완구를 이동시켜 주는 것이다.A rotating motor 32b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earbox, and a rotating shaft of a moving wheel 5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gearbox, so that the moving wheel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gearbox when the rotating motor 32b is operated (5) The vehicle toy is moved by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이때 기어박스(32a)에는 회전체(32c)가 기어박스의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32c)는 기어박스 안쪽에 내장되어 있는 기어의 축에 결합되어 내측에 위치한 기어가 회전하게 되면 외측에 위치한 회전체(32c) 역시 같이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gearbox 32a is provided so that the rotating body 32c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earbox, and the rotating body 32c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gear embedded inside the gearbox, and the gear located inside rotates. When doing so, the rotating body 32c located on the outside is also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그리고 이러한 회전체(32c)의 테두리에는 구동핀(32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핀(32d)은 기어박스(32a)의 일측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립대(32e)의 개구부 안쪽에 설치되어,And a driving pin (32d) is formed on the rim of the rotating body (32c), the driving pin (32d) is an opening of the assembly table (32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t one lower portion of the gear box (32a) Installed inside,

상기 회전모터(32b)와 맞물려 있는 기어들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기어박스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체(32c)도 같이 회전하고, When the gears engaged with the rotating motor 32b start to rotate, the rotating body 32c installed outside the gear box also rotates,

이때 상기 회전체(32c)는 일측으로 연속하여 회전할 때, 구동핀(32d)이 조립대(32e)의 개구부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조립대(32e)가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rotating body 32c is configured to make the assembly table 32e reciproc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the driving pin 32d reciprocates along the opening of the assembly table 32e when continuously rotating to one side.

그리고 이러한 조립대(32e)는 케이스(2)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구조물(6)의 하단과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는 조립대에 의해 밀거나 당겨지면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하나의 회전모터로 이동바퀴를 움직여 주면서 구조물(6)을 움직여 주는 것이다.And this assembly (32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ructure (6) rotatably installed left and right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2), while being pushed or pulled by the assembly repeatedly reciproc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be repeatedly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the range of.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structure 6 while moving the moving wheel with one rotating motor.

따라서 본 발명은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전후방향으로 혹은 좌우방향으로 배치한 감지부를 설치하고, 이를 컨트롤부와 연결하여 아이들의 움직임에 따라 차량완구의 움직임이 전진 또는 후진 또는 좌회전 또는 우회전됨으로써,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detection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access is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move the vehicle to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ild forward or backward or turn left or right. By being,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하게 차량완구를 사용할 수 있으면서 아이들의 모션에 따라 차량완구가 동작하면서 보다 더 큰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Even if a separate remote control is not provided, the vehicle toy can be safely used at a low cost and the vehicle toy operates according to the children's motion, thereby inducing greater fun and interest.

1:차량완구 2:케이스
3:스위치 4:배터리
5:이동바퀴 6:상부 구조물
10:감지부 11:센서1
12:센서2 13:센서3
20:컨트롤부 21:판단모듈
22:전진이동모듈 23:후진이동모듈
24:좌회전모듈 25:우회전모듈
30:구동부 31:조향부
32:이동부 32a:기어박스
32b:회전모터 32c:회전체
32d:구동핀 32e:조립대
33:음향부 34:엘이디
1: Vehicle toy 2: Case
3: Switch 4: Battery
5: movable wheel 6: upper structure
10: detection unit 11: sensor 1
12: sensor 2 13: sensor 3
20: control unit 21: judgment module
22: forward movement module 23: backward movement module
24: left turn module 25: right turn module
30: driving unit 31: steering unit
32: moving part 32a: gear box
32b: rotating motor 32c: rotating body
32d: Drive pin 32e: Assembly table
33: sound field 34: LED

Claims (8)

복수의 이동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 케이스의 상부에 아이들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감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차량 케이스 내측에는 이동바퀴를 움직여주기 위한 구동부와 연결된 컨트롤부를 상기 감지부와 연결하여, 상기 컨트롤부가 감지부를 통해 아이들이 접근사실을 보고받게 되면 구동부를 컨트롤하여 이동바퀴를 움직여 주고, 상기 이동바퀴가 일정횟수만큼 회전하거나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게되면 멈춰 서게 컨트롤하여 주는 반응형 차량 완구에 있어서,
이동바퀴를 움직여주기 위한 구동부는 복수 개의 기어들이 맞물려 있는 기어 박스(32a)와, 상기 기어박스에 결합되어 이동바퀴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회전모터(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박스(32a) 외측에는 회전체(32c)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32c)는 기어박스 안쪽에 내장되어 있는 기어의 축과 결합되어 회전모터(32b) 회전시 외측에 위치한 회전체(32c)도 같이 회전하게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32c)의 테두리에는 구동핀(32d)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핀(32d)은 기어박스(32a)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 하게 설치된 조립대(32e)의 개구부 안쪽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조립대는 차량 케이스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구조물(6)과 연결되어,
회전모터(32b)에 의해 이동바퀴가 회전할 때, 회전체(32c)도 같이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회전체에 의해 연속하여 회전하는 구동핀(32d)이 조립대(32e)의 개구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조립대(32e)가 전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게 됨으로써,
차량완구 이동시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조립대에 의해 상부 구조물(6)이 일정 각도 이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차량 완구.
A detection unit including one or more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children are approaching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vehicle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are installed, and the control unit connected to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wheel is detected inside the vehicle cas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moving wheel when the children report the fact of access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to stop when the moving wheel rotates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a specified time has elapsed. In the older toy,
Th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wheel comprises a gear box 32a in which a plurality of gears are engaged, and a rotating motor 32b coupled to the gear box to rotate the moving wheel,
A rotating body 32c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gear box 32a, and the rotating body 32c is combined with an axis of a gear built inside the gear box to rotate the rotating motor 32b, which is located on the outside when rotating ( 32c) is also configured to rotate,
A driving pin 32d is formed at the rim of the rotating body 32c, and the driving pin 32d is located inside the opening of the assembly table 32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under the gear box 32a. Is installed,
The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upper structure 6 rotatably coupled to the vehicle cas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moving wheel rotates by the rotating motor 32b, the rotating body 32c also rotates, and the driving pin 32d continuously rotating by the rotating body moves along the opening of the assembly table 32e. As it is made, the assembly table 32e is repeatedly reciproc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Responsive vehicle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tructure (6)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in a certain angle by an assembly table that reciproc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vehicle toy is 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차량 케이스에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센서가 설치되고, 각각의 센서는 컨트롤부와 연결되어,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아이들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부는 전후방향으로 혹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보고받은 사실을 토대로 신호의 세기나 감지된 순서에 따라 아이들의 신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였는지 아니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였는지 아니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였는지 아니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모션을 취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판단모듈과,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션을 취한 것으로 판단하였을 때에는, 출발시 음향부로 시동음을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시동음이 출력된 후에는 회전모터를 정 회전시키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회전모터가 동작중일 때에는 엘이디로 발광토록 지시하는 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진이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차량 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case a plurality of sensors spac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left-right direction, each sens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movement of children moving in the front-rear or left-right direction,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facts repor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signal or the detected order, the children's body moved from front to rear or back to front or left And a judgment module to check whether the motion has been moved from right to left or from right to lef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tion mov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is taken by the determination module, a command instructing to output a starting sound to the sound unit at the time of departure is output, and after the starting sound is output, instructing to rotate the rotating motor forward And a forward movement module configured to output a command and output a command to instruct the LED to emit light when the rotary motor is in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모션을 취한 것으로 판단하였을 때에는,
출발시 차량 후방에 설치된 엘이디를 발광토록 지시하는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엘이디가 출력된 후에는 회전모터를 역 회전시키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후진이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차량 완구.
According to claim 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tion moving from front to rear is taken by the determination module,
Outputs a command to instruct the LED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o emit light at departure,
After the LED is output, a responsive vehicle toy comprising a reverse movement module configured to output a command instructing the rotation motor to reversely ro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모션을 취한 것으로 판단하였을 때에는,
출발시 음향부로 시동음을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시동음이 출력된 후에는 회전모터를 정 회전시키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회전모터가 동작중일 때에는 조향부를 좌측으로 움직이도록 지시하는 명령과 함께 차량 선단 좌측에 설치된 엘이디를 점멸시키기 위한 지시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좌회전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차량 완구.
According to claim 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tion moving from right to left by the determination module is taken,
When starting, output a command instructing to output a starting sound to the sound unit,
After the starting sound is output, a command instructing to rotate the rotating motor forward is output,
When the rotating motor is in operation, a responsive vehicle toy comprising a left rotating module configured to output an instruction for blinking an LED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long with a command for instructing the steering unit to move to the le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93903A 2017-07-25 2017-07-25 vehicle toys used safely indoors. KR102134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903A KR102134036B1 (en) 2017-07-25 2017-07-25 vehicle toys used safely ind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903A KR102134036B1 (en) 2017-07-25 2017-07-25 vehicle toys used safely indo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407A KR20190011407A (en) 2019-02-07
KR102134036B1 true KR102134036B1 (en) 2020-07-21

Family

ID=6536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903A KR102134036B1 (en) 2017-07-25 2017-07-25 vehicle toys used safely indo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03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568B2 (en) * 1992-06-04 2000-06-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Traveling equipment for subsequent equipment of a tunnel excavator
JP2001188087A (en) 1999-12-28 2001-07-10 Bandai Co Ltd Sensor means and recognition device using the same
CN103520935A (en) 2012-09-21 2014-01-22 徐志强 Two-player adversarial remote control electric toy
US20150091694A1 (en) * 2013-10-01 2015-04-02 Mattel, Inc. Mobile Device Controllable With User Hand Gestur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568U (en) * 1998-02-18 1998-08-25 株式会社トイボックス Remote-controlled toys
KR100426464B1 (en) * 2001-06-29 2004-04-17 대한민국 worker-following transport vehicle
KR200375085Y1 (en) 2004-11-08 2005-02-05 전자부품연구원 Sensor responsive toy
KR20080075268A (en) * 2007-02-12 2008-08-18 (주)아이티시에스 Robot toy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KR200458735Y1 (en) * 2009-03-31 2012-03-07 송석민 driving device of lotate unit in sound generation toy
KR20170055236A (en) 2015-11-11 2017-05-19 (주)젠트정보기술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bject using motion recognizing based on infrared sen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568B2 (en) * 1992-06-04 2000-06-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Traveling equipment for subsequent equipment of a tunnel excavator
JP2001188087A (en) 1999-12-28 2001-07-10 Bandai Co Ltd Sensor means and recognition device using the same
CN103520935A (en) 2012-09-21 2014-01-22 徐志强 Two-player adversarial remote control electric toy
US20150091694A1 (en) * 2013-10-01 2015-04-02 Mattel, Inc. Mobile Device Controllable With User Hand Ges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407A (en)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5023B2 (en) Mobile device controllable with user hand gestures
JP5998215B2 (en) Method for driving and controlling biomimetic fish and biomimetic fish
US6902464B1 (en) Rolling toy
US10272828B2 (en) Light indicator system for an autonomous mobile robot
EP2844435B1 (en) Line sensing robot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with a digital display
US8435359B2 (en) Cleaner and path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4891215U (en) A Toy Based on Gesture Trajectory Recognition
JP2009279368A (en) Toy which floats with propeller
KR100778895B1 (en) Radio-controlled riding toy
US8272919B2 (en) Interactive intelligent toy
KR102134036B1 (en) vehicle toys used safely indoors.
KR20120004769U (en) Robo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robot model kit
KR20080075268A (en) Robot toy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CN109769711B (en) Intelligent pet toy capable of running on two sides and automatically avoiding obstacle
US20120122367A1 (en) Advanced Light Beam Remote Control
KR200311296Y1 (en) Toy block using for education
WO2021027637A1 (en) Toy car
CN104368153A (en) Intelligent automatic avoidance walking device
CN210874083U (en) Toy car
US20090128367A1 (en) Sensing ball
CN210056696U (en) Intelligent blind guiding stick
KR101313794B1 (en) Robot education service apparatus
US7749043B1 (en) Interactive toy and areas designated therefor
KR20100052702A (en) Automatic running robot
JP2005348952A (en) Infrared type radio-controlled traveling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