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3303B1 - 설치 구조,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설치 구조,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303B1
KR102123303B1 KR1020180105260A KR20180105260A KR102123303B1 KR 102123303 B1 KR102123303 B1 KR 102123303B1 KR 1020180105260 A KR1020180105260 A KR 1020180105260A KR 20180105260 A KR20180105260 A KR 20180105260A KR 102123303 B1 KR102123303 B1 KR 10212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entral axis
around
hole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145A (ko
Inventor
산잉 판
다카유키 마스나가
미스즈 사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9003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2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3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3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6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mounting fan or blower rotors 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2Balancing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용이하게 제조 가능한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치 구조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부재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제1 외면을 갖는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1 부재가 수용되는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이 개방되는 제1 면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축 주위에 상기 제1 부재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다.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한쪽 면에, 상기 제1 축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다른 쪽 면에,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축 주위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록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설치 구조,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MOUNTING STRUCTURE, ROTATING MACHIN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설치 구조,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팬과 같은 회전물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계에 있어서, 모터와 같은 동력원의 축과, 팬과 같은 회전물은, 설치 구조에 의해 접속된다. 예를 들어, 설치 구조에 형성된 구멍에 축이 삽입 관통되고, 설치 구조의 외주에 회전물이 접속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92810호 공보
설치 구조는, 예를 들어 축에 접속되는 내측의 부재와, 회전물에 접속되는 외측의 부재를 갖는다. 이것들 두 부재 사이에 탄성체를 성형함으로써, 두 부재를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부재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조 공정은 복잡하다.
본 발명이 해결할 과제의 일례는, 용이하게 제조 가능한 설치 구조,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치 구조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부재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제1 외면을 갖는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1 부재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이 개방되는 제1 면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축 주위에 상기 제1 부재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다.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한쪽 면에, 상기 제1 축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다른 쪽 면에,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축 주위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록부가 형성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의 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모터의 축과 캡과 부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모터의 축과 부시를 분해하여 도 4의 반대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부재의 일부 및 제2 부재의 일부를 도 7의 F8-F8선을 따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부재의 일부와 제3 부재의 일부와 와셔의 일부를 도 5의 F9-F9선을 따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부재가 회전되는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제2 부재가 회전되는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에,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 요소 및 당해 요소의 설명에 대하여, 복수의 표현이 기재되는 경우가 있다. 복수의 표현으로 된 구성 요소 및 설명은 기재되어 있지 않은 다른 표현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표현으로 되지 않는 구성 요소 및 설명도 기재되지 않은 다른 표현으로 되어도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절 장치(에어 컨디셔너. 이하, 공조기라고 칭함)(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공조기(10)는 공기 조절 장치 및 회전 기계의 일례이고,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또한, 회전 기계는 공조기(10)에 한정되지 않고, 산업용 모터를 갖는 기구나, 선풍기 및 세탁기와 같은 가정용 전기 기구나, 동력원 및 회전물을 갖는 다른 기계여도 된다.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 X축, Y축 및 Z축이 정의된다. X축과 Y축과 Z축은 서로 직교한다. X축은 공조기(10)의 폭을 따른다. Y축은 공조기(10)의 길이(깊이)를 따른다. Z축은 공조기(10)의 높이를 따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기(10)는 실내 유닛(11)을 갖는다. 실내 유닛(11)은, 예를 들어 실외기나, 실내 유닛(11)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접속된다. 또한, 복수의 실내 유닛(11)이 하나의 제어 장치에 접속된 공기 조절 시스템이 구성되어도 된다.
실내 유닛(11)은 커버(21)와, 본체(22)를 갖는다. 커버(21)는, 예를 들어 실내 유닛(11)이 설치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다. 커버(21)에, 복수의 흡기구(25)와 복수의 송기구(26)가 형성된다. 송기구(26)는, 예를 들어 루버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11)의 본체(2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11)의 본체(2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2)는 하우징(31)과, 열교환기(32)와, 모터(33)와, 터보 팬(34)과, 캡(35)과, 부시(36)를 갖는다.
모터(33)는 동력원의 일례이다. 터보 팬(34)은 팬의 일례이고, 예를 들어 회전물 및 원심 팬이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또한, 회전물은 터보 팬(34)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로펠러 팬과 같은 다른 팬, 또는 기어나 도르래와 같은 다른 회전물이어도 된다. 부시(36)는 설치 구조의 일례이고, 예를 들어 접속 부품, 베어링, 또는 부재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1)은, 예를 들어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상벽(41)과, 주위벽(42)을 갖는다. 상벽(41)은 X-Y 평면 위에 펼쳐지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벽(41)에, 예를 들어 당해 상벽(41)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리브가 형성되어도 된다. 주위벽(42)은 상벽(41)의 테두리로부터 Z축을 따르는 부방향(Z축의 화살표의 반대 방향,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31)의 내부에 송풍로(45)가 설치된다. 송풍로(45)는 하우징(31)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하우징(31)의 내측에 설치되는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상벽(41)은 송풍로(45)를 향하는 내면(41a)을 갖는다. 내면(41a)은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한다.
열교환기(32)는 송풍로(45)에 배치된다. 열교환기(32)는, 예를 들어 상벽(41)의 내면(41a)에 설치되고,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열교환기(32)는, 예를 들어 냉매가 흐르는 관이나 핀을 갖는다. 열교환기(32)는 당해 열교환기(32)를 통과하는 공기와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발생시켜, 당해 공기를 데우거나 또는 식힌다. 또한, 열교환기(32)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터(33)는, 예를 들어 인버터 제어에 의해 회전수를 변동 가능한 DC 모터이다. 모터(33)는 상벽(41)의 내면(41a)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모터(33)는 내면(41a)으로부터 연장되는 볼트에, 너트에 의해 설치된다.
모터(33)는 축(33a)을 갖는다. 축(33a)은, 예를 들어 구동축 또는 회전축이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축(33a)은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연장된다. 모터(33)는 구동됨으로써, 축(33a)을, 당해 축(33a)의 중심축 둘레에 회전시킨다.
터보 팬(34)은 송풍로(45)에 배치되고, 열교환기(32)에 둘러싸인다. 터보 팬(34)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 의해 만들어진다. 터보 팬(34)은 다른 재료에 의해 만들어져도 된다. 터보 팬(34)은 허브(51)와, 지지부(52)와, 연결부(53)와, 복수의 블레이드(54)와, 슈라우드(55)를 갖는다.
허브(51)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허브(51)는 부시(36)를 통해 모터(33)의 축(33a)에 설치된다. 지지부(52)는 X-Y 평면 위에 펼쳐지는 원환형으로 형성된다. 지지부(52)는 허브(51)보다도 상벽(4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모터(33)를 둘러싼다.
연결부(53)는, 예를 들어 대략 원뿔대형의 통형으로 형성되고, 허브(51)의 단부와, 지지부(52)의 내주를 연결한다. 복수의 블레이드(54)는 원환형으로 배치되고, 지지부(52)로부터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슈라우드(55)는 X-Y 평면 위에 펼쳐지는 원환형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블레이드(54)의 단부에 접속된다.
모터(33)는 축(33a)을 회전시킴으로써, 터보 팬(34)을 회전시킨다.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는 터보 팬(34)은 도 1의 흡기구(25)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당해 공기를 열교환기(32)로 보낸다. 열교환기(32)에 의해 데우거나 또는 식은 공기는 도 1의 송기구(26)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캡(35)은 모터(33)의 축(33a)에, 터보 팬(34) 및 부시(36)를 고정한다. 예를 들어, 캡(35)은 나사 고정에 의해 축(33a)에 설치되고, 터보 팬(34) 및 부시(36)를 지지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모터(33)의 축(33a)과 캡(35)과 부시(36)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캡(35) 및 부시(36)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시(36)는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와, 와셔(64)를 갖는다. 와셔(64)는 제4 부재의 일례이다.
제1 부재(61), 제2 부재(62) 및 제3 부재(63)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교적 가벼운 금속에 의해 만들어진다. 즉,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만들어지고, 제1 부재(61)의 재료의 영률과, 제2 부재(62)의 재료의 영률과, 제3 부재(63)의 재료의 영률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와셔(64)도,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와 동일하게, 금속에 의해 만들어진다.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 및 와셔(64)는 합성 수지와 같은 다른 재료에 의해 만들어져도 된다. 또한, 제1 부재(61)의 재료와, 제2 부재(62)의 재료와, 제3 부재(63)의 재료가 상이해도 된다.
제1 부재(61)는 통부(71)와, 플랜지부(72)를 갖는다. 통부(71)는, 예를 들어 연장부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플랜지부(72)는 지지부의 일례이다. 또한, 플랜지부(72)와, 통부(71)를 갖는 제1 부재(61)가 별개의 부품이어도 된다.
통부(71)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통부(71)에,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통부(71)를 관통하는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이 형성된다.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은 제3 구멍의 일례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와셔(64)는 생략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은 회전 중심(Cr)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회전 중심(Cr)은 제3 축의 일례이다.
회전 중심(Cr)은 모터(33)의 축(33a)의 중심축임과 함께, Z축을 따르는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가상적인 중심축이다. 또한, 축(33a)의 중심축과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중심축이 상이해도 된다.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은 회전 중심(Cr)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원형의 구멍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은 회전 중심(Cr)을 중심에 두고 연장되는 구멍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모터(33)의 축(33a)과 부시(36)를 분해하여 도 4의 반대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71)는 제1 내주면(71a)과, 제1 외주면(71b)과, 두 제1 단부면(71c, 71d)을 갖는다. 제1 내주면(71)은 제1 내면의 일례이다. 제1 외주면(71b)은 제1 외면의 일례이다.
제1 내주면(71a)은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을 구획(규정)하고, 회전 중심(Cr)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내주면(71a)은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을 형성한다. 또한, 제1 내주면(71a)의 일부가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을 형성해도 된다. 제1 내주면(71a)은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내부를 향한다. 다른 표현에 의하면,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은 제1 내주면(71a)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1 외주면(71b)은 제1 내주면(71a)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외주면(71b)은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외주면(71b)은 제1 중심축(C1)을 중심에 두고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 면이다. 제1 중심축(C1)은 제1 축의 일례이다.
제1 중심축(C1)은 Z축을 따르는 제1 외주면(71b)의 가상적인 중심축이다. 제1 중심축(C1)은 회전 중심(Cr)과 평행이고, 회전 중심(Cr)과 상이한 위치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중심축(C1)은 회전 중심(Cr)과 상이하다. 즉, 제1 외주면(71b)과, 제1 내주면(71a) 및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은 서로 편심된다. 또한, 제1 중심축(C1)은 회전 중심(Cr)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도 된다.
제1 외주면(71b)은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중심축(C1) 둘레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중심축(C1)은 제1 외주면(71b)의 대칭축이기도 하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1 단부면(71c)은 Z축을 따르는 정방향(Z축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 상방향)을 향한다. 다른 쪽의 제1 단부면(71d)은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단부면(71c, 71d)은 회전 중심(Cr)을 따르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제1 중심축(C1)을 따르는 방향을 향한다.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은 두 제1 단부면(71c, 71d)에 개방된다.
통부(71)에 돌기(76)가 설치된다. 돌기(76)는 제1 내주면(71a)으로부터,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돌기(76)의 길이는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길이보다도 짧다. 바꾸어 말하면, 돌기(76)는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내주면(71a)의 일부에 설치된다. 또한, 돌기(76)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오목부나 끼워 맞춤부(76)와 같은 돌기가 제1 내주면(71a)의 일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회전 중심(Cr)은 오목부나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중심을 지난다. 또한, 오목부나 돌기가,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내주면(71a)의 전체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회전 중심(Cr)은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단면에 있어서의 원호형 부분의 중심을 지난다.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단면이 복수의 원호형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회전 중심(Cr)은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단면의 기하학적 무게 중심(도심)에 가장 가까운 중심을 갖는,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단면에 있어서의 원호형 부분의 중심을 지난다.
상기한 기재에서는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단면이 원형 또는 원호형인 부분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단면이 원호형인 부분을 갖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회전 중심(Cr)은 오목부나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회전 대칭인 단면을 갖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대칭축을 지난다. 또한, 오목부나 돌기가,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내주면(71a)의 전체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회전 중심(Cr)은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단면이 형성하는 가장 큰 회전 대칭인 형상의 대칭축을 지난다.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형상이 상술한 어느 경우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 회전 중심(Cr)은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단면의 기하학적 무게 중심을 지난다.
제1 삽입 관통 구멍(75)에, 모터(33)의 축(33a)이 삽입 관통된다. 축(33a)은 절결부(33b)가 형성된 소위 D 커트축이다. 제1 삽입 관통 구멍(75)에 축(33a)이 통과되면, 절결부(33b)에 돌기(76)가 끼워진다. 이에 의해, 축(33a)과 제1 부재(61)의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되고, 축(33a)의 회전이 제1 부재(61)에 전해진다.
플랜지부(72)는 통부(71)와 일체로 만들어진다. 이로 인해, 플랜지부(72)는 제1 중심축(C1) 둘레에 통부(71)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플랜지부(72)는 통부(71)의 제1 외주면(71b)으로부터 돌출된다. 플랜지부(72)는 X-Y 평면 위에 펼쳐지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72)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플랜지부(72)는 Z축을 따르는 정방향에 있어서의 제1 외주면(71b)의 단으로부터 돌출된다. 플랜지부(72)는 제1 받이면(72a)을 갖는다. 제1 받이면(72a)은 제2 면의 일례이다. 제1 받이면(72a)은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하는 대략 평탄한 면이다. 제1 받이면(72a)은, 예를 들어 원추면이어도 된다.
제2 부재(62)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 부재(62)에,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2 부재(62)를 관통하는 제1 구멍(81)이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멍(81)은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즉, 제1 중심축(C1)은 Z축을 따르는 제1 구멍(81)의 가상적인 중심축이고, 제1 구멍(81)은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원형의 구멍이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재(62)는 제2 내주면(62a)과, 제2 외주면(62b)과, 두 제2 단부면(62c, 62d)을 갖는다. 제2 내주면(62a)은 제2 내면의 일례이다. 제2 외주면(62b)은 제2 외면의 일례이다. 제2 단부면(62c)은 제1 면의 일례이다. 제2 단부면(62d)은 제3 면의 일례이다.
제2 내주면(62a)은 제1 구멍(81)을 구획(규정)하고,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내주면(62a)은 제1 구멍(81)을 형성한다. 또한, 제2 내주면(62a)의 일부가 제1 구멍(81)을 형성해도 된다. 제2 내주면(62a)은 제1 구멍(81)의 내부를 향한다. 다른 표현에 의하면, 제1 구멍(81)은 제2 내주면(62a)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2 내주면(62a)은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중심축(C1) 둘레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중심축(C1)은 제2 내주면(62a)의 대칭축이기도 하다.
상기와 같이 제1 구멍(81) 및 제2 내주면(62a)의 중심(제1 중심축(C1))과, 제1 부재(61)의 통부(71)의 제1 외주면(71b)의 중심(제1 중심축(C1))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로 인해,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2)의 상대 회전에 대하여 다른 부분에 의한 제한이 없으면, 제2 부재(62)는 제1 부재(61)에 대하여 제1 중심축(C1) 둘레에 회전할 수 있다.
제1 구멍(81)에 제1 부재(61)의 통부(71)가 수용된다. 제1 구멍(81)의 반경과, 제1 부재(61)의 통부(71)의 제1 외주면(71b)의 반경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이로 인해, 제2 내주면(62a)은 제1 외주면(71b)에 접촉하고, 제2 부재(62)가 제1 부재(61)에 대하여 Z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제2 내주면(62a)의 일부는 제1 외주면(71b)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도 된다.
제2 외주면(62b)은 제2 내주면(62a)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외주면(62b)은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원통형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외주면(62b)은 제2 중심축(C2)을 중심에 두고 연장되는 원통형 면이다. 제2 중심축(C2)은 제2 축의 일례이다.
제2 중심축(C2)은 Z축을 따르는 제2 외주면(62b)의 가상적인 중심축이다. 제2 중심축(C2)은 회전 중심(Cr)과 평행이면서 또한 제1 중심축(C1)과 평행이고, 제1 중심축(C1)과 상이한 위치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중심축(C2)은 제1 중심축(C1)과 상이하다. 즉, 제2 외주면(62b)과, 제2 내주면(62a) 및 제1 구멍(81)은 서로 편심된다. 제2 중심축(C2)은 회전 중심(Cr)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져도 되고, 제1 중심축(C1)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져도 된다.
회전 중심(Cr)과 제1 중심축(C1) 사이의 거리 r1은 제1 중심축(C1)과 제2 중심축(C2) 사이의 거리 r2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이로 인해, 도 5와 같이, 회전 중심(Cr)과 제2 중심축(C2)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외주면(62b)은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중심축(C2) 둘레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중심축(C2)은 제2 외주면(62b)의 대칭축이기도 하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2 단부면(62c)은 Z축을 따르는 정방향을 향한다. 다른 쪽의 제2 단부면(62d)은 제2 단부면(62c)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한다. 제1 구멍(81)은 두 제2 단부면(62c, 62d)에 개방된다.
제1 구멍(81)에 통부(71)가 수용됨으로써, Z축을 따르는 정방향을 향하는 제2 단부면(62c)은 플랜지부(72)의 제1 받이면(72a)과 대향한다. 플랜지부(72)는 제2 부재(62)를 지지하고, 제2 부재(62)가 제1 부재(61)에 대하여 Z축을 따르는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제3 부재(63)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3 부재(63)에,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3 부재(63)를 관통하는 제2 구멍(85)이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구멍(85)은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즉, 제2 중심축(C2)은 Z축을 따르는 제2 구멍(85)의 가상적인 중심축이고, 제2 구멍(85)은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원형의 구멍이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부재(63)는 제3 내주면(63a)과, 제3 외주면(63b)과, 두 제3 단부면(63c, 63d)을 갖는다. 제3 내주면(63a)은 제3 내면의 일례이다. 제3 단부면(63c)은 제4 면의 일례이다. 제3 단부면(63d)은 제5 면의 일례이다.
제3 내주면(63a)은 제2 구멍(85)을 구획(규정)하고,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3 내주면(63a)은 제2 구멍(85)을 형성한다. 또한, 제3 내주면(63a)의 일부가 제2 구멍(85)을 형성해도 된다. 제3 내주면(63a)은 제2 구멍(85)의 내부를 향한다. 다른 표현에 의하면, 제2 구멍(85)은 제3 내주면(63a)의 내측에 형성된다. 즉, 제3 내주면(63a)과, 제2 내주면(62a) 및 제1 구멍(81)은 서로 편심된다.
제3 내주면(63a)은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중심축(C2) 둘레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중심축(C2)은 제3 내주면(63a)의 대칭축이기도 하다.
상기와 같이 제2 구멍(85) 및 제3 내주면(63a)의 중심(제2 중심축(C2))과, 제2 부재(62)의 제2 외주면(62b)의 중심(제2 중심축(C2))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로 인해,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의 상대 회전에 대하여 다른 부분에 의한 제한이 없으면, 제3 부재(63)는 제2 부재(62)에 대하여 제2 중심축(C2) 둘레에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멍(85)에 제2 부재(62)가 수용된다. 제2 구멍(85)의 반경과, 제2 부재(62)의 제2 외주면(62b)의 반경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이로 인해, 제3 내주면(63a)은 제2 외주면(62b)에 접촉하고, 제3 부재(63)가 제2 부재(62)에 대하여 Z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제3 내주면(63a)의 일부는 제2 외주면(62b)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도 된다.
제3 외주면(63b)은 제3 내주면(63a)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외주면(63b)은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원통형 면이다. 이로 인해, 제3 내주면(63a)과 제3 외주면(63b)은 동심원형으로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부재(63)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해, 터보 팬(34)의 허브(5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3 부재(63)의 제3 외주면(63b)이 터보 팬(34)의 허브(51)에 접속된다. 또한, 제3 부재(63)와 터보 팬(34)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동일한 재료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3 단부면(63c)은 Z축을 따르는 정방향을 향한다. 다른 쪽의 제3 단부면(63d)은 제3 단부면(63c)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한다. 제2 구멍(85)은 두 제3 단부면(63c, 63d)에 개방된다.
제1 구멍(81)에 통부(71)가 수용되고, 제2 구멍(85)에 제2 부재(62)가 수용됨으로써, Z축을 따르는 정방향을 향하는 제3 단부면(63c)은 플랜지부(72)의 제1 받이면(72a)과 대향한다. 플랜지부(72)는 제3 부재(63)를 지지하고, 제3 부재(63)가 제1 부재(61)에 대하여 Z축을 따르는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와셔(64)는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와 캡(35) 사이에 위치하고,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와셔(64)에,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와셔(64)를 관통하는 제2 삽입 관통 구멍(88)이 형성된다. 제2 삽입 관통 구멍(88)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제2 삽입 관통 구멍(88)의 반경은 제1 삽입 관통 구멍(75)의 반경보다도 크다.
제1 삽입 관통 구멍(75)에 삽입 관통된 모터(33)의 축(33a)이 제2 삽입 관통 구멍(88)에 삽입 관통된다. 예를 들어, 축(33a)의 선단부에 설치된 수나사부(33c)가, 제2 삽입 관통 구멍(88)에 삽입 관통된다. 수나사부(33c)의 반경은 제2 삽입 관통 구멍(88)의 반경보다도 작다.
와셔(64)는 제2 받이면(64a)을 갖는다. 제2 받이면(64a)은 제6 면의 일례이다. 제2 받이면(64a)은 Z축을 따르는 정방향을 향한다. 제2 삽입 관통 구멍(88)은 제2 받이면(64a)에 개방된다.
제2 받이면(64a)은 제1 부재(61)의 제1 단부면(71d),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d) 및 제3 부재(63)의 제3 단부면(63d)과 대향한다. 제2 단부면(62d)과 제3 단부면(63d)은 대략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제1 단부면(71d)은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으로부터 Z축을 따르는 정방향으로 이격된다.
캡(35)에 암나사부(35a)가 설치된다. 축(33a)의 수나사부(33c)가 암나사부(35a)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캡(35)은 와셔(64)를 통해,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d) 및 제3 부재(63)의 제3 단부면(63d)을 지지한다. 이에 의해, 캡(35) 및 와셔(64)는 제1, 제2 및 제3 부재(61, 62, 63)가 모터(33)의 축(33a)에 대하여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캡(35)은 와셔(64)가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에 대하여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캡(35)은 와셔(64)와, 제2 부재(62) 및 제3 부재(63)를 통해, 제1 부재(61)의 플랜지부(72)를 지지한다. 이로 인해, 캡(35)과 플랜지부(72) 사이에, 제2 부재(62) 및 제3 부재(63)가 끼움 지지된다.
플랜지부(72)의 제1 받이면(72a)과,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c)의 각각에, 복수의 제1 볼록부(91) 및 복수의 제1 오목부(92)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볼록부(91)가 제1 받이면(72a)과 제2 단부면(62c) 중 한쪽에 형성되고, 제1 오목부(92)가 제1 받이면(72a)과 제2 단부면(62c) 중 다른 쪽에 형성되어도 된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부재(61) 및 제2 부재(6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부재(61)의 일부 및 제2 부재(62)의 일부를 도 7의 F8-F8선을 따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좌우 방향이 제1 중심축(C1)의 둘레 방향이 되도록, 제1 부재(61) 및 제2 부재(62)를 전개하여 나타낸다. 제1 중심축(C1)의 둘레 방향은 제1 중심축(C1) 둘레에 회전하는 방향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1 받이면(72a)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제1 중심축(C1) 둘레에 대략 일정한 각도(피치)마다 배열된다. 마찬가지로,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2 단부면(62c)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제1 중심축(C1) 둘레에 대략 일정한 각도(피치)마다 배열된다.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1 중심축(C1) 둘레에, 예를 들어 1°마다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제1 볼록부(91)가 제1 받이면(72a)에 배치되는 피치와, 복수의 제1 볼록부(91)가 제2 단부면(62c)에 배치되는 피치가 상이해도 된다.
제1 오목부(92)는 복수의 제1 볼록부(91)가 제1 중심축(C1) 둘레에 배열됨으로써, 인접하는 제1 볼록부(91) 사이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복수의 제1 오목부(92)도, 제1 중심축(C1) 둘레에 대략 일정한 각도(피치)마다 배열된다. 제1 볼록부(91)와 제1 오목부(92)는 제1 중심축(C1) 둘레에 교대로 배열된다.
복수의 제1 오목부(92)는 제1 중심축(C1) 둘레에, 예를 들어 1°마다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오목부(92)가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되는 피치와, 복수의 제1 오목부(92)가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되는 피치가 상이해도 된다.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는 각각, 대략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반원형의 단면을 가져도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볼록부(91) 및 복수의 제1 오목부(92)는 제1 중심축(C1)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제1 볼록부(91) 및 복수의 제1 오목부(92)는 제1 중심축(C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중심축(C1)의 직경 방향은 제1 중심축(C1)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부(92)에 끼워진다. 마찬가지로,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부(92)에 끼워진다. 또한, 제1 부재(61) 및 제2 부재(62)를 제1 중심축(C1) 둘레에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제1 볼록부(91)가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제1 오목부(92)에 끼워지는 개소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부재(62)와 플랜지부(72)를 갖는 제1 부재(61)가 제1 중심축(C1) 둘레에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조정 가능하면서 또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도 8에서는 설명을 위해,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와,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가 서로 약간 이격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볼록부(91) 및 복수의 제1 오목부(92)는,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절삭 가공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부재(63)의 제3 단부면(63c)은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다. 제3 단부면(63c)은 플랜지부(72)의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91)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d)과, 제3 부재(63)의 제3 단부면(63d)과,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의 각각에, 복수의 제2 볼록부(95)와, 복수의 제2 오목부(96)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볼록부(95)가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고, 제2 오목부(96)가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볼록부(95)가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되고, 제2 오목부(96)가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되는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제1 끼워 맞춤부의 일례이다.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는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제2 끼워 맞춤부의 일례이다.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되는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제3 끼워 맞춤부의 일례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부재(62)의 일부와 제3 부재(63)의 일부와 와셔(64)의 일부를 도 5의 F9-F9선을 따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좌우 방향이 제2 중심축(C2)의 둘레 방향이 되도록, 제2 부재(62), 제3 부재(63) 및 와셔(64)를 전개하여 나타낸다. 제2 중심축(C2)의 둘레 방향은 제2 중심축(C2) 둘레에 회전하는 방향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2 단부면(62d)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제2 중심축(C2) 둘레에 대략 일정한 각도(피치)마다 배열된다. 마찬가지로,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3 단부면(63d)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제2 중심축(C2) 둘레에 대략 일정한 각도(피치)마다 배열된다.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2 받이면(64a)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제2 중심축(C2) 둘레에 대략 일정한 각도(피치)마다 배열된다.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2 중심축(C2) 둘레에, 예를 들어 1°마다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제2 볼록부(95)가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되는 피치와, 복수의 제2 볼록부(95)가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는 피치와, 복수의 제2 볼록부(95)가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되는 피치가 서로 상이해도 된다.
제2 오목부(96)는 복수의 제2 볼록부(95)가 제2 중심축(C2) 둘레에 배열됨으로써, 인접하는 제2 볼록부(95) 사이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복수의 제2 오목부(96)도, 제2 중심축(C2) 둘레에 대략 일정한 각도(피치)마다 배열된다. 제2 볼록부(95)와 제2 오목부(96)는 제2 중심축(C2) 둘레에 교대로 배열된다.
복수의 제2 오목부(96)는 제2 중심축(C2) 둘레에, 예를 들어 1°마다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제2 오목부(96)가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되는 피치와, 복수의 제2 오목부(96)가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는 피치와, 복수의 제2 오목부(96)가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되는 피치가 서로 상이해도 된다.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각각, 대략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반원형의 단면을 가져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볼록부(95) 및 복수의 제2 오목부(96)는 제2 중심축(C2)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제2 볼록부(95) 및 복수의 제2 오목부(96)는 제2 중심축(C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중심축(C2)의 직경 방향은 제2 중심축(C2)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와, 제2 중심축(C2)의 직경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와,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제2 중심축(C2)의 직경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96)에 끼워진다. 마찬가지로,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96)에 끼워진다. 또한, 제2 부재(62) 및 제3 부재(63)를 제2 중심축(C2) 둘레에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된 제2 오목부(96)와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제2 오목부(96)가 일치하는 개소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는 제2 중심축(C2) 둘레에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조정 가능하고,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가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96)에 끼워짐으로써, 제2 중심축(C2) 둘레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도 9에서는, 설명을 위해,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와,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가 서로 약간 이격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볼록부(95) 및 복수의 제2 오목부(96)는,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절삭 가공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재(61)의 통부(71)의 제1 단부면(71d)은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다. 제1 단부면(71d)은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상 설명한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제3 부재(63)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따라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서로 중심(제1 중심축(C1) 또는 제2 중심축(C2)) 둘레에 회전시켜, 모터(33)의 축(33a)의 중심축(회전 중심(Cr))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삼각 형상으로 배치된 3개의 압력 센서에 터보 팬(34)을 적재시킴으로써 계측된다. 또한,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터보 팬(34)을 회전시킴으로써 계측되어도 된다.
회전 중심(Cr)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일치한 상태에서, 제1 부재(61)의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와,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가 서로 끼워 맞춰진다. 또한,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d) 및 제3 부재(63)의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와,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가 서로 끼워 맞춰진다.
캡(35)이 모터(33)의 축(33a)에 설치됨으로써, 제2 부재(62) 및 제3 부재(63)는 캡(35)과 제1 부재(61)의 플랜지부(72) 사이에 끼움 지지된다. 이에 의해, 캡(35)은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가 형성된 제1 부재(61)의 제1 받이면(72a)을,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가 형성된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c)에 압박한다. 또한, 캡(35)은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가 형성된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을,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가 형성된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d) 및 제3 부재(63)의 제3 단부면(63d)에 압박한다.
제1 볼록부(91)와 제1 오목부(92)가 끼워 맞춰지고, 제2 볼록부(95)와 제2 오목부(96)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 및 와셔(64)의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모터(33)의 축(33a)이,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 및 와셔(64)를 통해, 터보 팬(34)에 회전(토크)을 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은 Z축을 따르는 회전 중심(Cr) 위의 어느 위치에 있어도 된다. 즉,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회전 중심(Cr)이 연장되는 방향(Z축을 따르는 정방향 또는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평면으로 본 경우에, 회전 중심(Cr)의 위치와 일치된다.
회전 중심(Cr)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일치됨으로써, 회전하는 터보 팬(34)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회전 중심(Cr)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상이해도, 회전 중심(Cr)의 위치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접근됨으로써, 회전하는 터보 팬(34)에 발생하는 진동이 저감된다.
예를 들어,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터보 팬(34) 및 제3 부재(63)의 중심인 제2 중심축(C2)의 위치와 동일한 경우,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회전 중심(Cr)과 제2 중심축(C2)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중심축(C1)의 위치는 도 5에 나타내는 위치와 상이해도 된다.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가 도 5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모터(33)의 축(33a)의 중심축(회전 중심(Cr))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제2 중심축(C2))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에 의해, 회전하는 터보 팬(34)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 시의 제3 부재(63)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제2 중심축(C2)의 위치와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도 5의 위치로부터 서로 중심(제1 중심축(C1) 또는 제2 중심축(C2)) 둘레로 회전된다. 이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중심축(C2)과 상이한 위치에 있는 무게 중심(CG)과, 회전 중심(Cr)의 위치 정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5에 나타내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지만, 무게 중심(CG)과 회전 중심(Cr)의 위치 정렬은 이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게 중심(CG)은 제2 중심축(C2)을 기준으로 하여, 극좌표(Rf, θf)로 표현되는 위치에 있다. 즉, 무게 중심(CG)은 제2 중심축(C2)으로부터 거리 Rf 이격됨과 함께, 도 5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제2 중심축(C2) 둘레에 각도 θf 회전한 위치에 있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부재(61)가 회전되는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과 하기의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와셔(64),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생략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하여 제1 중심축(C1) 둘레에 각도 θ1 회전된다. 이에 의해, 회전 중심(Cr)과 제2 중심축(C2)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고, 회전 중심(Cr)이 제2 중심축(C2)으로부터 거리 Rf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하여 제1 중심축(C1) 둘레에 회전함으로써, 제2 중심축(C2)에 대한 회전 중심(Cr)의 편심량이 조정된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제2 부재(62)가 회전되는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어서,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하여 제2 중심축(C2) 둘레에 각도 θ2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2 중심축(C2)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중심(Cr)의 각도가 변화되고, 회전 중심(Cr)이 극좌표(Rf, θf)에 배치되고, 무게 중심(CG)과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하여 제2 중심축(C2) 둘레에 회전함으로써, 제2 중심축(C2)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중심(Cr)의 각도가 조정된다.
회전 중심(Cr)을 극좌표(Rf, θf)에 배치하기 위한 제1 부재(61)의 회전 각도 θ1은 이하의 식(수 1)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18087779281-pat00001
회전 중심(Cr)을 극좌표(Rf, θf)에 배치하기 위한 제2 부재(62)의 회전 각도 θ2는 이하의 식(수 2)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18087779281-pat00002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부재(61, 62)가 회전됨으로써, 모터(33)의 축(33a)의 중심축(회전 중심(Cr))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CG)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 경우, 터보 팬(34)과 모터(33)의 축(33a)은 외견상 서로 편심되지만, 회전하는 터보 팬(34)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은 억제된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시(36)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무게 중심(CG)과 제2 중심축(C2) 사이의 거리 Rf는 부시(36)에 의해 회전 중심(Cr)과 무게 중심(CG)을 동일 위치에 배치 가능한 최댓값으로 설정된다.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하여 180° 회전됨으로써, 회전 중심(Cr)은 도 12에 나타내는 경우의 무게 중심(CG)과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거리 Rf는 이하의 식(수 3)에 의해 나타난다.
Figure 112018087779281-pat00003
식(수 3)으로부터, 거리 Rf가 거리 r1과 거리 r2의 합계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짧을 때, 부시(36)는 회전 중심(Cr)과 무게 중심(CG)을 동일 위치에 배치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2 부재(62)는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CG)의 위치에 따라 제1 부재(61)에 대하여 제1 중심축(C1) 둘레에 회전되어, 제1 부재(61)에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부재(62)는 제1 부재(61)에 대한 제1 중심축(C1) 둘레의 복수의 각도로 제1 부재(61)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부재(63)는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CG)의 위치에 따라 제2 부재(62)에 대하여 제2 중심축(C2) 둘레에 회전되어, 제2 부재(62)에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3 부재(63)는 제2 부재(62)에 대한 제2 중심축(C2) 둘레의 복수의 각도로 제2 부재(62)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모터(33)의 축(33a)의 중심축(회전 중심(Cr))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CG)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설명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기(10)의 부시(36)에 있어서, 제1 중심축(C1) 둘레에 제1 부재(61)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플랜지부(72)의 제1 받이면(72a)은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c)과 대향한다. 제2 단부면(62c)과 제1 받이면(72a)에, 복수의 제1 오목부(92)와, 제1 오목부(92)에 끼워져 제2 부재(62)와 플랜지부(72)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제1 볼록부(91)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2)를 서로 고정하는 핀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는 일 없이,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2)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부시(36)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91)는 제1 중심축(C1)을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제1 오목부(92)는 제1 중심축(C1)을 따르는 방향으로 오목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제1 부재(61)의 제1 외주면(71b)과 제2 부재(62)의 제2 내주면(62a)에 볼록부 및 오목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를 코이닝과 같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 및 오목부(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를 제1 외주면(71b) 및 제2 내주면(62a)보다도 제1 중심축(C1)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수록, 각도당 둘레 방향의 거리는 커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제1 오목부(92)를 배치하는 경우, 제1 중심축(C1) 둘레의 복수의 제1 오목부(92)의 피치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재(62)를 제1 부재(61)에 대하여 더 정밀하게 제1 중심축(C1) 둘레의 원하는 각도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접착, 용접 및 압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제1 볼록부(91)와 제1 오목부(92)의 끼워 맞춤에 의해,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2)의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공조기(10)의 메인터넌스 시에, 부시(36)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오목부(92)는 제1 중심축(C1)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제1 볼록부(91)는 제1 중심축(C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제1 볼록부(91)가 복수의 제1 오목부(92)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짐으로써,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2)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조정 가능하면서 또한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부재(61)의 제1 내주면(71a)의 회전 중심(Cr)은, 제1 외주면(71b)의 제1 중심축(C1)으로부터 편심된다. 또한, 제2 부재(62)의 제2 내주면(62a)의 제1 중심축(C1)은 제2 외주면(62b)의 제2 중심축(C2)으로부터 편심된다. 그리고,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의 제1 구멍(81)에 수용되고,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의 제2 구멍(85)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제2 부재(62)를 제1 부재(61)에 대한 제1 중심축(C1) 둘레의 원하는 각도로 제1 부재(61)에 설치하고, 제3 부재(63)를 제2 부재(62)에 대한 제2 중심축(C2) 둘레의 원하는 각도로 제2 부재(62)에 설치함으로써, 제2 중심축(C2)의 위치를, 회전 중심(Cr)과 일치시키거나 또는 회전 중심(Cr)과 상이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회전 중심(Cr)의 위치를 부시(36)의 무게 중심(CG)과 일치시킬 수 있고, 부시(36)가 설치되는 터보 팬(34)이 진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추의 설치에 의한 무게 중심의 조정 작업이 불필요해짐과 함께, 진동 억제를 위한 보강 구조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시(36)를 갖는 공조기(10)의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은 제2 단부면(62c)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d) 및 제3 부재(63)의 제3 단부면(63d)과 대향한다. 제2 단부면(62d), 제3 단부면(63d) 및 제2 받이면(64a)에,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가 형성된다.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와 끼워 맞춰지고,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와 와셔(64)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를 서로 고정하는 핀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는 일 없이,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부시(36)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2 오목부(96)는 제2 중심축(C2)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제2 볼록부(95)는 제2 중심축(C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와,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와 와셔(64)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조정 가능하면서 또한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회전 중심(Cr)과, 제1 중심축(C1)과, 제2 중심축(C2)은 서로 평행이다. 이에 의해, 회전 중심(Cr), 제1 중심축(C1) 및 제2 중심축(C2)과 직교하는 평면 위에 있어서, 회전 중심(Cr)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제1 중심축(C1)과 제2 중심축(C2) 사이의 거리 r2는 제1 중심축(C1)과 회전 중심(Cr) 사이의 거리 r1과 동등하다. 이에 의해, 회전 중심(Cr)의 위치를, 제2 중심축(C2)과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1 외주면(71b) 및 제2 내주면(62a)은 제1 중심축(C1) 둘레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제2 외주면(62b) 및 제3 내주면(63a)은 제2 중심축(C2) 둘레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 부재(62)가 제1 부재(61)에 대한 제1 중심축(C1) 둘레의 복수의 각도로 제1 부재(61)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부재(63)가 제2 부재(62)에 대한 제2 중심축(C2) 둘레의 복수의 각도로 제2 부재(62)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중심(Cr)의 위치를, 제2 중심축(C2)과 일치시키거나 또는 제2 중심축(C2)과 상이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91) 및 복수의 제1 오목부(92)의 수와,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91) 및 복수의 제1 오목부(92)의 수가 동등하다. 이에 의해, 공통의 금형에 의해, 제1 받이면(72a) 및 제2 단부면(62c)의 복수의 제1 볼록부(91) 및 복수의 제1 오목부(92)를, 프레스 가공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 및 복수의 제2 오목부(96)의 수와,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 및 복수의 제2 오목부(96)의 수와,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 및 복수의 제2 오목부(96)의 수가 동등하다. 이에 의해, 공통의 금형에 의해, 제2 받이면(64a),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의 복수의 제2 볼록부(95) 및 복수의 제2 오목부(96)를, 프레스 가공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복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이미 설명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는 당해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 부호가 붙여져, 더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동일 부호가 붙여진 복수의 구성 요소는 모든 기능 및 성질이 공통되는 것만은 아니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상이한 기능 및 성질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부재(63)의 제3 단부면(63d)과,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의 각각에, 복수의 제2 볼록부(95)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d)과, 제3 부재(63)의 제3 단부면(63d)의 각각에, 복수의 제2 오목부(96)가 형성된다. 도 13은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오목부(96)의 수는,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오목부(96)의 수보다도 많고, 또한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볼록부(95)의 수보다도 많다.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오목부(96) 및 제2 받침면(64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각각, 제2 중심축(C2) 둘레에, 예를 들어 90°마다 배치된다.
제2 단부면(62d)에 있어서, 복수의 제2 오목부(96)는 제2 중심축(C2)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두 제2 오목부(96) 사이에 있어서, 제2 단부면(62d)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다. 제3 단부면(63d)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볼록부(95)와 복수의 제2 오목부(96)는 제2 중심축(C2) 둘레에 교대로 배열된다. 제2 받이면(64a)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2 중심축(C2)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두 제2 볼록부(95) 사이에 있어서, 제2 받이면(64a)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다.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96)에 끼워진다. 제2 부재(62) 및 제3 부재(63)를 제2 중심축(C2) 둘레에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된 제2 오목부(96)와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제2 오목부(96)가 일치하는 개소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는 제2 중심축(C2) 둘레에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조정 가능하고,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가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96)에 끼워짐으로써, 제2 중심축(C2) 둘레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부재(61) 및 제2 부재(6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72)의 제1 받이면(72a)과,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c)의 각각에, 복수의 제1 볼록부(91)가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72)의 제1 받이면(72a)에, 복수의 제1 오목부(92)가 형성된다. 도 14는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제1 볼록부(91)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오목부(92)의 수는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볼록부(91)의 수보다도 많다.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1 중심축(C1) 둘레에, 예를 들어 90°마다 배치된다.
제2 단부면(62c)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1 중심축(C1)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두 제1 볼록부(91) 사이에 있어서, 제2 단부면(62c)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다. 제1 받이면(72a)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볼록부(91)와 복수의 제1 오목부(92)는 제1 중심축(C1) 둘레에 교대로 배열된다.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부(92)에 끼워진다. 제1 부재(61) 및 제2 부재(62)를 제1 중심축(C1) 둘레에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제1 볼록부(91)가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제1 오목부(92)에 끼워지는 개소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부재(62)와 플랜지부(72)를 갖는 제1 부재(61)가 제1 중심축(C1) 둘레에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조정 가능하면서 또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상에 설명된 제2 실시 형태의 공조기(10)의 부시(36)에 있어서,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오목부(92)의 수는,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볼록부(91)의 수보다도 많다. 이에 의해, 제1 볼록부(91)를, 예를 들어 절삭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오목부(96)의 수는,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볼록부(95)의 수보다도 많다. 이에 의해, 제2 볼록부(95)를, 예를 들어 절삭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d)과, 제3 부재(63)의 제3 단부면(63d)과,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의 각각에, 복수의 제2 볼록부(95)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d)과,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의 각각에, 복수의 제2 오목부(96)가 형성된다. 도 15는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 및 제2 오목부(96)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오목부(96)의 수는,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볼록부(95)의 수보다도 많다. 또한,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오목부(96)의 수는,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볼록부(95)의 수보다도 많다.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2 중심축(C2) 둘레에, 예를 들어 90°마다 배치된다.
제2 단부면(62d) 및 제2 받이면(64a)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볼록부(95)와 복수의 제2 오목부(96)는 제2 중심축(C2) 둘레에 교대로 배열된다. 제3 단부면(63d)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2 중심축(C2)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두 제2 볼록부(95) 사이에 있어서, 제3 단부면(63d)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다.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는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96)에 끼워진다. 제2 부재(62) 및 제3 부재(63)를 제2 중심축(C2) 둘레에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제2 단부면(62d)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와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제2 볼록부(95)가 일치하는 개소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는 제2 중심축(C2) 둘레에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조정 가능하고, 제2 단부면(62d) 및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볼록부(95)가 와셔(64)의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된 제2 오목부(96)에 끼워짐으로써, 제2 중심축(C2) 둘레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의 제1 부재(61) 및 제2 부재(6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72)의 제1 받이면(72a)과,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c)의 각각에 복수의 제1 볼록부(91)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부재(62)의 제2 단부면(62c)에 복수의 제1 오목부(92)가 형성된다. 도 16은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제1 볼록부(91) 및 제1 오목부(92)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오목부(92)의 수는,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볼록부(91)의 수보다도 많다.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1 중심축(C1) 둘레에, 예를 들어 90°마다 배치된다.
제2 단부면(62c)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볼록부(91)와 복수의 제1 오목부(92)는 제1 중심축(C1) 둘레에 교대로 배열된다. 제1 받이면(72a)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1 중심축(C1)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두 제1 볼록부(91) 사이에 있어서, 제1 받이면(72a)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다.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볼록부(91)는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부(92)에 끼워진다. 제1 부재(61) 및 제2 부재(62)를 제1 중심축(C1) 둘레에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된 제1 볼록부(91)가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된 제1 오목부(92)에 끼워지는 개소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부재(62)와 플랜지부(72)를 갖는 제1 부재(61)가 제1 중심축(C1) 둘레에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조정 가능하면서 또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상에 설명된 제3 실시 형태의 공조기(10)의 부시(36)에 있어서, 제2 단부면(62c)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오목부(92)의 수는, 제1 받이면(72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볼록부(91)의 수보다도 많다. 이에 의해, 제1 볼록부(91)를, 예를 들어 절삭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받이면(64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오목부(96)의 수는, 제3 단부면(63d)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볼록부(95)의 수보다도 많다. 이에 의해, 제2 볼록부(95)를, 예를 들어 절삭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시(36)는 복수의 제1 볼록부(91) 및 복수의 제2 볼록부(95)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제1 볼록부(91) 및 복수의 제2 볼록부(95)에 토크가 분산된다. 그러나, 부시(36)는 하나의 제1 볼록부(91) 및 하나의 제2 볼록부(95)를 구비해도 된다. 하나의 제1 볼록부(91)가 있으면, 제2 부재(62)와 플랜지부(72)를 갖는 제1 부재(61)가 제1 중심축(C1) 둘레에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2 볼록부(95)가 있으면,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가 제2 중심축(C2) 둘레에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중심축 둘레에 제1 부재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부의 제2 면은 제2 부재의 제1 면과 대향한다. 제1 면과 제2 면에, 복수의 제1 오목부와, 제1 오목부에 끼워져 제2 부재와 지지부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서로 고정하는 핀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는 일 없이,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설치 구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공기 조절 장치
33 : 모터
33a : 축
34 : 터보 팬
36 : 부시
61 : 제1 부재
62 : 제2 부재
62a : 제2 내주면
62b : 제2 외주면
62c, 62d : 제2 단부면
63 : 제3 부재
63a : 제3 내주면
63c, 63d : 제3 단부면
64 : 와셔
64a : 제2 받이면
71 : 통부
71a : 제1 내주면
71b : 제1 외주면
72 : 플랜지부
72a : 제1 받이면
75 : 제1 삽입 관통 구멍
81 : 제1 구멍
85 : 제2 구멍
91 : 제1 볼록부
92 : 제1 오목부
95 : 제2 볼록부
96 : 제2 오목부
Cr : 회전 중심
C1 : 제1 중심축
C2 : 제2 중심축

Claims (12)

  1. 제1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제1 외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1 부재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이 개방되는 제1 면을 갖는 제2 부재와,
    상기 제1 축 주위에 상기 제1 부재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지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한쪽 면에, 상기 제1 축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다른 쪽 면에,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축 주위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록부가 형성되는,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볼록부는 상기 제1 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의 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볼록부의 수보다도 많은, 설치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다른 제2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2 부재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2 구멍이 형성된 제3 부재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축과 다른 제3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제3 구멍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구멍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1 외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내면을 갖고,
    상기 제2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구멍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1 외면에 접촉하는 제2 내면과, 상기 제2 내면의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제2 외면을 갖고,
    상기 제3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구멍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외면에 접촉하는 제3 내면을 갖는
    설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제4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 면을 갖고, 상기 제3 면에 제1 끼워 맞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1 면과 대향함과 함께 상기 제2 구멍이 개방되는 제4 면과, 상기 제4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5 면을 갖고, 상기 제5 면에 제2 끼워 맞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4 부재는, 상기 제3 면과 대향함과 함께 상기 제5 면과 대향하는 제6 면을 갖고, 상기 제6 면에 제3 끼워 맞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끼워 맞춤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볼록부와 상기 제2 축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오목부 중 한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끼워 맞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볼록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 중 상기 한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끼워 맞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볼록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 중 다른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끼워 맞춤부에 끼워짐과 함께 상기 제2 끼워 맞춤부에 끼워져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제4 부재의 상기 제2 축 주위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설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는 상기 제2 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볼록부는 상기 제2 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상기 제2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제3 끼워 맞춤부 중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의 수는,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상기 제2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제3 끼워 맞춤부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볼록부의 수보다도 많은, 설치 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과, 상기 제3 축이 평행인, 설치 구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3 축 사이의 거리와 동등한, 설치 구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면은 상기 제1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내면은 상기 제1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면은 상기 제2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내면은 상기 제2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는,
    설치 구조.
  11. 제4항의 설치 구조와,
    상기 제3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축을 갖고, 당해 축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력원
    을 구비하는 회전 기계.
  12. 제4항의 설치 구조와,
    상기 제3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축을 갖고, 당해 축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력원과,
    상기 제3 부재에 접속되는 팬
    을 구비하는 공기 조절 장치.
KR1020180105260A 2017-09-15 2018-09-04 설치 구조,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KR102123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8342A JP6786460B2 (ja) 2017-09-15 2017-09-15 取付構造、回転機械、及び空気調節装置
JPJP-P-2017-178342 2017-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145A KR20190031145A (ko) 2019-03-25
KR102123303B1 true KR102123303B1 (ko) 2020-06-16

Family

ID=6572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260A KR102123303B1 (ko) 2017-09-15 2018-09-04 설치 구조,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85857A1 (ko)
JP (1) JP6786460B2 (ko)
KR (1) KR102123303B1 (ko)
CN (1) CN1095058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2156B1 (en) * 2022-11-11 2023-12-26 Air International (Us) Inc. HVAC blower wheel inser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026B2 (ja) * 1999-11-25 2001-07-30 株式会社半導体先端テクノロジーズ 基板処理装置のロードポートシステム及び基板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8849A (ja) * 1982-03-30 1983-10-05 日本サブロ−株式会社 ホツトガス自動除霜装置
JP3206700B2 (ja) * 1994-07-25 2001-09-10 富士電機株式会社 トルク伝達装置
JP3689877B2 (ja) * 1995-11-22 2005-08-31 草津電機株式会社 永久磁石電動機の回転子
JPH1118363A (ja) * 1997-06-27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5195043A (ja) * 2003-12-26 2005-07-21 Sanden Corp 動力伝達機構
US8025579B2 (en) * 2007-10-03 2011-09-27 Jtekt Corporation Wheel support apparatus
CN201696463U (zh) * 2010-02-09 2011-01-05 连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枢纽器的凹凸轮结构
JP2012092810A (ja) 2010-10-28 2012-05-17 Tokai Rubber Ind Ltd 回転ファンの製造方法
CN206364647U (zh) * 2016-11-04 2017-07-28 无锡康沃特变频电机有限公司 一种转子结构以及具有其的电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026B2 (ja) * 1999-11-25 2001-07-30 株式会社半導体先端テクノロジーズ 基板処理装置のロードポートシステム及び基板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05806A (zh) 2019-03-22
JP2019052732A (ja) 2019-04-04
JP6786460B2 (ja) 2020-11-18
US20190085857A1 (en) 2019-03-21
KR20190031145A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32059A (ja) 渦巻ファン組立構造及び据置型空気調和機
EP2339183B1 (en) Molding machine for following-through fan, blower and blade wheel
JP5618951B2 (ja) 多翼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102474954B1 (ko) 에어 포일 베어링
KR102123303B1 (ko) 설치 구조,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US10156376B2 (en) Air conditioner
US20080223558A1 (en) Cooling device
KR102036674B1 (ko) 부시,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KR101451353B1 (ko) 열전달방지 회전축을 갖는 송풍기
KR102124807B1 (ko) 설치 구조, 회전 기계, 공기 조절 장치, 및 조정 방법
CN108571473B (zh) 衬套、旋转机器、以及空气调节装置
JP6479161B2 (ja) 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6466494B2 (ja) ブッシュ、回転機械、及び空気調節装置
JP2018150910A (ja) 両吸込型遠心ファン
KR101798574B1 (ko) 방열용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19094811A (ja) 送風装置
KR102617365B1 (ko) 환기팬 임펠러
JP6487179B2 (ja) 送風機
WO2023176126A1 (ja) 空気調和機
JP2019094809A (ja) 送風装置
JP7052541B2 (ja) ファン装置
WO2022091225A1 (ja) 軸流ファン、送風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4016134A (ja) 空気調和装置
KR20150011709A (ko) 원심 압축기
KR20220118616A (ko) 모터교체가 쉬운 직결형 송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