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082B1 -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3082B1 KR102123082B1 KR1020180024275A KR20180024275A KR102123082B1 KR 102123082 B1 KR102123082 B1 KR 102123082B1 KR 1020180024275 A KR1020180024275 A KR 1020180024275A KR 20180024275 A KR20180024275 A KR 20180024275A KR 102123082 B1 KR102123082 B1 KR 1021230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frequency
- electrical stimulation
- user
- frequency curr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전기 자극 기능에 더하여 헬스 케어와 관련된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 신체에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인가하여 사용자 신체 부분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전기 자극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사용자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사용자 신체에서 약리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약리 효과 물질을 사용자 피부에 공급 및 도포하는 약제도포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듈에서 생성되어 전달되는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사용자 신체에 인가하는 전기자극패드를 포함하는 전기 자극 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he main purpose of which is to provide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health care in addition to the normal electrical stimulation fun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electrically stimulating a user's body part by applying a low-frequency current or a medium-frequency current to the user's body, comprising: a housing; A medicine coat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supplied and applied to the user's skin with a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absorbed through the user's skin and capable of causing a pharmacological effect in the user's body; A driving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driving to generate a low-frequency current or a medium-frequency current; And 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includ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for applying to the user's body a low-frequency current or a medium-frequency current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the drive module is discl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전기 자극 기능에 더하여 헬스 케어와 관련된 추가적인 기능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전기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d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and effects related to health care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unction.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건강 증진을 위한 각종 기기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various devices for promoting health have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accordingly.
일례로 전기 자극 장치의 일종인 저주파 치료기는 저주파 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저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인체 국소 부위를 자극하는 것으로, 비만이나 통증 등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For example, a low-frequency treatment device, which is a type of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is used to stimulate a local area of the human body by using a low-frequency current generated by a low-frequency generator,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in treating obesity or pain.
전기 자극 장치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2565호 "저주파 치료기"(2005.08.03.), 공개특허 제10-2014-0114190호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2014.09.26.), 공개특허 제10-2015-0105062호 "저주파 패드를 활용한 다이어트 및 치료 벨트"(2015.09.16.) 등이 제안된 바 있다.Prior arts relat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includ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2565 "low frequency treatment device" (2005.08.03.), published patent No. 10-2014-0114190 "electrotherapy stimulator for deep muscle stimulation" (2014.09.26 .),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5062 "Diet and treatment belt using a low-frequency pad" (2015.09.16.) has been proposed.
일반적으로 피부를 통해 인체에 미약한 저주파 전기를 통하게 할 경우 근육을 운동시켜 기초대사량을 높일 수 있고, 지방 세포를 직접 자극하여 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크기를 줄일 수 있다. In general, when a weak low-frequency electricity is passed through the skin to the human body, the muscles can be exercised to increase the basal metabolism, and by directly stimulating the fat cells, the number of cells can be reduced while reducing the size.
또한,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체내 온도를 상승시켜 에너지 소모량을 늘릴 수 있고,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와 대장을 직접 운동시키고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해주는 등 숙변 제거와 변비 치료에 효과적이다.In addition, it can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increase the energy consumption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in the body, and it is effective in removing constipation and treating constipation by stimulating the skin to directly exercise the skin and large intestine and actively intestinal movement.
그 밖에 저주파는 인체에 흐르는 전류와 유사하여 인체를 쉽게 투과할 수 있으므로 신경과 근육을 자극하기에 적합하고, 근육을 자극하여 활동량과 혈액의 움직임을 증가시켜 근육 마비, 통증, 피로 등의 증상을 완화시킨다.In addition, the low frequency is similar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uman body and can easily penetrate the human body, so it is suitable for stimulating the nerves and muscles, and by stimulating the muscles to increase the amount of activity and blood movement, symptoms of muscle paralysis, pain, fatigue, etc. Relieve.
한편, 전기 자극 장치 중에 전기적 근육 자극(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을 통해 근육을 운동시키는 EMS 기기(Electrical Muscle Stimulator)가 시판되고 있고, 이를 이용한 EMS 운동법이 각광받고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s, an EMS device (Electrical Muscle Stimulator) for exercising muscles through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an EMS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has been spotlighted.
EMS 운동법은 저주파 또는 중주파 전기를 이용하여 근육을 자극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는 마이크로 트레이닝으로도 불리는 운동법으로, 체내에서 가해지는 전기 자극으로 근육이 수축하는 현상을 응용하여 운동 시 신체 곳곳에 약한 전기 자극을 가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높이는 운동법이다. EMS exercise is a technique called micro-training that maximizes the exercise effect by stimulating muscles using low-frequency or medium-frequency electricity, and by applying the phenomenon of muscle contraction by electric stimulation applied to the body, weak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throughout the body during exercise. It is an exercise method that increases exercise effect by applying.
이러한 EMS 운동법에서는 저주파가 발생하는 단말을 사용자 신체에 직접 붙이거나, 단말이 설치된 의복 또는 밴드 등을 착용하여 단말을 신체에 간접적으로 밀착시킴으로써 단말을 통해 신체에 저주파 또는 중주파 전류를 인가한다.In the EMS exercise method, a low-frequency or medium-frequency current is applied to the body through the terminal by directly attaching the terminal generating the low frequency to the user's body, or by indirectly adhering the terminal to the body by wearing a garment or band on which the terminal is installed.
상기 단말은 전극 패드를 포함하며, 전극 패드는 근섬유 조직을 직접 자극할 수 있도록 저주파나 중주파 전기를 사용자 신체 부분에 잘 인가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The terminal includes an electrode pad, and the electrode pad is manufactured in a structure capable of applying low-frequency or medium-frequency electricity to a user's body part so as to directly stimulate muscle fiber tissue.
이를 위해 전극 패드는 신체 굴곡에도 불구하고 신체와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데, 일반적인 형태로는 실리콘 고무나 합성수지 시트로 제작된 패드형 몸체에 탄소 소재 등의 도전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전극을 형성한 형태가 알려져 있다.To this end, the electrode pad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increase the degree of adhesion to the body despite bending of the body. In general, a pad-type body made of silicone rubber or synthetic resin sheet is co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arbon material. The form in which the electrode is formed is known.
그 밖에 EMS 장비를 이용한 운동 방식 중 하나로 복수 개의 전극 패드를 부착하여 특수 제작한 일렉트릭 슈트를 착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In addition, it is known to wear a special-made electric suit by attaching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as one of the exercises using EMS equipment.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EMS 기기나 장비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EMS 기기나 장비들이 형태나 사용 방식은 달리하고 있지만 주요 구성에 있어서는 저주파나 중주파 전류를 신체에 인가하여 근육에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As such, various types of EMS devices or equipment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nd most EMS devices or equipments have different forms or usage methods, but in the main configuration, electric stimulation can be applied to muscles by applying low or medium frequency currents to the body.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그러나, 종래에는 알려진 EMS 기기나 장비들이 전기적 근육 자극의 단순 기능만을 제공할 뿐이며, 이에 헬스 케어와 관련하여 새롭고 보다 다양한 기능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장치를 요구되고 있다. However, conventionally known EMS devices or equipments only provide a simple function of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and thus there is a need f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new and more diverse functions and effects in connection with health car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통상의 전기 자극 기능에 더하여 헬스 케어와 관련된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lectric stimul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health care in addition to the normal electric stimulation fun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신체에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인가하여 사용자 신체 부분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전기 자극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사용자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사용자 신체에서 약리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약리 효과 물질을 사용자 피부에 공급 및 도포하는 약제도포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듈에서 생성되어 전달되는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사용자 신체에 인가하는 전기자극패드를 포함하는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low-frequency current or a medium-frequency current to the user's body,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electrically stimulating a user's body part, the housing; A medicine coat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supplied and applied to the user's skin with a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absorbed through the user's skin and capable of causing a pharmacological effect in the user's body; A driving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driving to generate a low-frequency current or a medium-frequency current; And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tha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pplies a low or medium frequency current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the driving module to the user's body.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약제도포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약리 효과 물질이 채워져 저장될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어서 구비되는 충전부; 및 상기 하우징에서 사용자 피부에 접촉되는 면인 피부접촉면에 상기 충전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부접촉면에 접촉된 사용자 피부에 충전부로부터의 약리 효과 물질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rug application unit, the filling unit is provided provided as a space in which the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is filled and stored inside the housing; And a discharge por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lling part on the skin contact surface, which is the surface contacting the user's skin, in the housing to discharge the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from the filling part to the user's skin contacting the skin contact surface.
또한 상기 충전부에 약리 효과 물질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일측 또는 충전부의 일측에 충전부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에는 개폐를 위한 캡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jection ho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space of the charg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or one side of the charging portion to inject the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into the charging portion, and a cap for opening and closing may be installed in the inj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전기자극패드가 하우징의 피부접촉면에서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충전부가 하우징 내측에서 하우징 둘레 부분을 따라 연결된 링 형상의 공간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피부접촉면에서 하우징 둘레 부분을 따라 배열되도록 복수 개의 토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is installed to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kin contact surface of the housing, the filling portion is provided as a ring-shaped space connected along the housing circumferential portion inside the housing, along the housing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kin contact surfa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may be formed to be arranged.
또한, 상기 약리 효과 물질은 사용자 신체 부분에 대한 진통 및 소염 효과를 일으키는 파스 물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may be a pars material that causes an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n a user's body part.
또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구동모듈에 전달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단위 시간당 비트 수를 검출하고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상기 검출된 단위 시간당 비트 수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된 주파수의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생성하도록 제어되는 전류생성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further include a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driving module, wherein the driving module is per unit time from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receiving unit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number of bits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f the low or medium frequency current to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number of bits per unit time; And a current generation circuit unit controlled to generate a low-frequency current or a medium-frequency current of a frequency adjus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된 상태로 외부 기기에서 사용자 청취가 가능하도록 출력되고 있는 음악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to receive an audio signal of music being output to enable user listening from an external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여기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되면 외부 기기에서 사용자 청취가 가능하도록 출력되고 있는 음악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may be provided to receive an audio signal of music being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o enable user listening when Bluetooth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
또한, 상기 구동모듈의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단위 시간당 비트 수가 클 수록 더 큰 주파수로 상기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된 단위 시간당 비트 수가 작을수록 더 작은 주파수로 상기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driving module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f the low-frequency current or the medium-frequency current at a larger frequency as the detected number of bits per unit time is greater, and the smaller the detected number of bits per unit time It may be provid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f the low or medium frequency current at a small frequency.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에 의하면, 통상의 전기 자극 기능에 더하여 약리 효과 물질(약물)을 사용자 신체 부분에 도포하여 흡수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사용 시 전기 자극의 치료 내지 운동 효과와 더불어, 신체에 흡수된 물질에 의한 약리 작용 및 효과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us,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normal electrical stimulation function, the pharmacological effect substance (drug) is applied to the user's body part to absorb and further perform the treatment or exercise effect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during u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dditional pharmacological action and effects by substances absorbed by the body.
예를 들면, 약리 효과 물질로 파스 물질을 사용한 경우, EMS 운동 효과에 더하여 신체 부위에 대한 소염 및 진통 효과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a pars material is used as a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n body parts in addition to the EMS exercise effect.
또한, 전기 자극용 저주파 전류 내지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음원의 속도에 연동하여 가변 및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기 자극 치료 내지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the low- to medium-frequency current for electrical stimulation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and controlled by interlocking with the speed of the sound source, thereby improving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or exerc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은 여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복합 기능의 전기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전기 자극 기능에 더하여 헬스 케어와 관련된 추가적인 기능과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several functions simultaneously, and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and various effects related to health care in addition to the normal electrical stimu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저주파 전류나 중주파 전류를 신체에 인가하여 근육에 전기 자극을 가해줄 수 있는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기기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EMS용 단말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as 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device that can apply electric stimulation to muscles by applying a low-frequency current or a medium-frequency current to the body, and more specifically for EMS that can be used by directly attaching to the skin It can be used as a terminal.
이때,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별로 피부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는 단말로 사용되거나, EMS 운동 장비 중 하나인 일렉트릭 슈트(electric suit)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슈트를 착용하였을 때 피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한 단말로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terminal that the user directly attaches to the skin and uses, or when the user wears the suit while being attached to an electric suit, which is one of the EMS exercise equipments, the skin is directly contacted. It can be used as one terminal.
그 밖에 EMS용 일렉트릭 슈트 외에도 컴프레션 웨어(compression wear) 등과 함께 착용하면 사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using the electric suit for EMS, it can be used with compression wea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use.
또한, 본 발명은 신체 국소 부위를 자극하여 피로 및 통증 완화, 치료 등의 헬스 케어 효과를 나타내는 통상의 저주파 자극기 또는 중주파 자극기로 제공 및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and used as a conventional low-frequency stimulator or a medium-frequency stimulator that stimulates a local area of the body and exhibits health care effects such as fatigue and pain relief and treat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저면도와 평면도이다.First, FIG.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bottom and plan views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전기 자극 장치(100)를 사용자 피부(S)에 밀착시켜 사용하고 있는 상태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In addi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하우징(101), 약제도포부(110), 전기자극패드(120), 구동모듈(130), 수신부(140), 배터리(150) 및 조작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the
하우징(101)은 하우징을 제외한 전기 자극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이 설치 내지 수용되거나 형성되는 부분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하우징(101)은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 형상 외에 다양한 통 형상 중에 하나가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예를 들면, 하우징(101)은 사각 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자극 장치(100)가 사용자 피부(S)의 넓은 면적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하우징(101)의 전체적인 형상이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하를 기준으로 납작한 형상이 되도록 하우징(101)의 높이가 정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에 하우징(101)의 형상은, 예로서, 상하 높이가 직경에 비해 낮은 납작한 원통 형상이거나, 또는 상하 높이가 좌우 변의 길이에 비해 낮은 납작한 사각통 형상(육면체)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shape of the
그리고, 하우징(101)은 일측에 사용자 피부(S)에 접촉되는 면인 피부접촉면을 가지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101)에서 편평한 하면이 사용 시 피부(S)에 접촉하는 피부접촉면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약제도포부(110)는 피부나 근육 등의 사용자 신체 부분에서 약리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약리 효과 물질을 피부(S)에 공급 및 도포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01) 내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약제도포부(110)는 하우징(101) 내측에 약리 효과 물질이 채워져 저장될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어서 구비되는 충전부(111), 및 하우징(101)의 피부접촉면에 충전부(111)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피부접촉면에 접촉된 사용자 피부에 충전부(111)로부터의 약리 효과 물질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12)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부(111)는 하우징(101) 내측에서 하우징 둘레 부분을 따라 연결된 링 형상의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lling
이때, 하우징(101)의 하면인 피부접촉면(또는 충전부 바닥 부분의 바깥면이 될 수 있음)에서 하우징 둘레 부분(또는 충전부 바닥 부분이 될 수 있음)을 따라 배열되도록 복수 개의 토출구(112)들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또한, 충전부(111)에 약리 효과 물질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01)의 일측 또는 충전부(111)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부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주입구(113)가 구비되고, 이 주입구(113)에는 개폐를 위한 캡(114)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그리고, 실시예에서, 약리 효과 물질은 유동 가능한 액상의 물질, 즉 하우징(101) 내 충전부(111)에서 토출구(112)를 통해 흘러나올 수 있는 적절한 점성을 가지면서 피부(S)에서 흡수 가능한 약물이 될 수 있고, 기능성 물질과 점성 물질을 혼합한 것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pharmacologically effective substance is a liquid substance capable of flowing, that is, a drug capable of being absorbed from the skin S while having appropriate viscosity that can flow through the
여기서, 기능성 물질은 사용자 피부(S)를 통해 흡수되어 신체 내에서 약리 효과와 같은 특정 기능을 행하는 물질, 예를 들어 사용자 신체 부분에 대한 진통 및 소염 효과를 일으키는 파스 물질이 될 수 있다.Here, the functional substance may be a substance that absorbs through the user's skin S and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such as a pharmacological effect, in the body, for example, a pas substance that causes an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n a user's body part.
그 밖에 화학 약물, 단백질 의약 물질, 펩타이드 의약 물질, 미용 성분 물질(예, 주름개선제, 피부노화 억제제, 피부미백제) 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a chemical drug, a protein drug substance, a peptide drug substance, a cosmetic ingredient substance (eg, wrinkle improvement agent, skin aging inhibitor, skin whitening agent), and the like.
물론, 약리 효과 물질은 신체에 흡수되어 작용하는 물질이므로 기능성 물질과 점성 물질 모두가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한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since the pharmacologically effective substance is a substance absorbed and acted on by the body,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functional substance and the viscous substance are substances having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biodegradability.
또한, 약리 효과 물질은, 전기자극패드(120)에서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 출력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 신체의 반복적인 수축과 이완으로 인한 움직임 내지 진동, 또는 그 자중 등에 의하여, 상기 충전부(111)로부터 토출구(112)를 통해 연속적으로 흘러나올 수 있는 수준의 점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액상이거나 젤 성상의 물질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when the low-frequency current or the medium-frequency current output from the
결국, 약제도포부(110)의 충전부(111)에 약리 효과 물질이 충전된 상태에서, 전기자극패드(120)를 통해 사용자 신체 부분에 전기 자극이 가해질 때(예를 들면, EMS 운동 시), 약리 효과 물질이 충전부(111)에서 토출구(112)를 통해 연속적으로 방출되어 피부(S)를 통해 사용자 신체 내로 흡수될 수 있다.After all, in the state where the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is charged in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사용 시 근육 등 신체 부분에 대한 전기 자극의 효과와 더불어, 피부 및 근육 등 신체 부분에 대한 약리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예를 들어, 약리 효과 물질이 파스 물질이라면, 전기자극패드(120)를 통해 출력되는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에 의해 사용자 신체의 근육이 자극될 때, 상기 파스 물질이 신체 내로 흡수될 수 있으므로, 전기 자극으로 인한 근육의 통증 완화 및 이완, 피로 회복, 운동 등의 효과와 더불어, 파스 물질로 인한 소염 및 진통 등의 약리 효과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harmacologically effective substance is a pars material, when the muscles of the user's body are stimulated by a low or medium frequency current output throug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통상의 전기 자극 기능에 더하여 피부 내지 근육 등의 사용자 신체 부분에 대한 약리 기능을 추가로 더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약제 충전이 가능한 붙이는 파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저주파 또는 중주파 전기로 근육 등을 자극하여 치료 내지 운동 효과를 일으키는 전기 자극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end, the
통상 EMS 운동 시에는 장시간 운동을 하지 않고 20 ~ 30분만으로도 충분한 운동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이러한 20 ~ 30분간의 운동 동안 약리 효과 물질이 약제도포부(110)의 충전부(111)에서 계속해서 방출되면서 신체 부분에서의 원하는 약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Normally, during the EMS exercise, a sufficient exercise effect can be seen in 20 to 30 minutes without exercising for a long time, and the pharmacological effect substance is continuously released from the filling
다음으로, 전기자극패드(120)는 구동모듈(130)에서 발생한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사용자 신체에 인가하여 신체 부분이 전기적으로 자극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Next, the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에서 전기자극패드(120)는 사용자 피부에 접촉 및 밀착된 상태에서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신체 내에 인가하여 근육을 자극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공지의 EMS용 전극 패드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상기 전기자극패드(120)는 소정 두께의 얇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약제도포부(110)의 토출구(11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피부(S)와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1)에서도 그 하면인 피부접촉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자극패드(120)는 하우징(101)의 피부접촉면에서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전기자극패드(120)는 하우징(101)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지지체(123)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전기자극패드(120)는 패드형 몸체(121), 및 이 패드형 몸체(121)에 일체로 구비되는 전극(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형 몸체(121)는 사용자 피부(S)에 잘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나 합성수지 시트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ad-shaped
상기 전극(122)은 패드형 몸체(121)에 탄소 소재 등의 도전성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전성 재질로 미리 제작하여 패드형 몸체(121)에 별도로 부착 내지 삽입하여서 설치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전극(122)은 하우징(101)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듈(130)과 도선(12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로써 구동모듈(130)에서 발생한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가 도선(124)을 통해 전극(122)으로 인가된 뒤 사용자 피부(S)로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구동모듈(130)은 하우징(101)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PCB)(131), 및 이 인쇄회로기판(131)에 실장되어 주파수가 조절된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를 상기 도선(124)을 통해 출력시키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들을 포함한다.The
본 명세서에서 상기와 같은 구동모듈(130)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 저주파 자극기에서 주파수가 조절된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하드웨어 구성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or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에서 저주파 전류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1 주파수 범위 이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의미하고, 중주파 전류는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에 비해서는 높은 제2 주파수 범위 이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frequency current means a current having a frequency within a relatively low first frequency range, and the mid-frequency current means a current having a frequency within a high second frequency range compared to the first frequency range.
여기서, 제1 주파수 범위는 공지의 저주파 자극기 또는 저주파 EMS 기기에서 이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저주파 전류의 주파수 범위가 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주파수 범위는 공지의 중주파 자극기 또는 중주파 EMS 기기에서 이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 범위가 될 수 있다.Here, the first frequency range may be a frequency range of a conventional low-frequency stimulator or a low-frequency EMS used in a conventional low-frequency current, similarly, the second frequency range is a conventional medium-frequency stimulator or a medium-frequency EMS used in a typical It can be the frequency range of the phosphorus mid-frequency current.
일례로,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는 5 ~ 99 Hz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 주파수 범위는 1 ~ 50 kHz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requency range may be 5 to 99 Hz, and the second frequency range may be 1 to 50 kHz.
상기 구동모듈(130)은 출력되는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부(13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 회로 구성을 가지며, 이를 위해 구동모듈(130)에는 전류생성회로부(133)가 상기 제어부(13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주파수가 조절된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The
즉, 구동모듈(130)에서 전류생성회로부(133)가 제어부(1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저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가변시켜 생성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2 주파수 범위 내에서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가변시켜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That is, the current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13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 및 조절된 주파수의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생성하거나 전류의 주파수를 가변 및 조절하여 출력하는 회로 구성에 대해서도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is also provided for a circuit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low frequency current or a medium frequency current of a variable and regulated frequenc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고 외부 기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40),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고 자체 전원이 되는 내장 배터리(150), 및 온/오프 등 장치 조작을 위한 조작부(160)를 포함한다.And, the
여기서, 배터리(150)는 구동모듈(130)에 작동 전력과 전류 출력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이 되는 것으로, 충, 방전 가능한 이차전지이거나 통상의 건전지가 될 수 있다.Here, the
상기와 같이 전기 자극 장치(100)의 내부에 자체 전원인 배터리(150)가 내장될 경우, 필요한 전력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시에도 사용 가능하고, 전선 연결 등의 번거로움이나 불편함, 복잡함이 없어진다.When the
조작부(160)는 온/오프 조작 및 장치 작동의 전반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모듈(130)의 제어부(132) 및 배터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위치나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과 같이 사용자 조작 및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조작요소가 될 수 있다.The
또한, 수신부(140)는 구동모듈(130)의 제어부(13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는 외부 기기(1),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공지의 스마트기기, 또는 그밖에 통신수단을 갖춘 전기기기와의 사이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상기 수신부(140)와 외부 기기(1) 사이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통신의 이용이 가능하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receiving
즉, 수신부(140)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기기(1)로부터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음원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구동모듈(130)의 제어부(132)로 전달하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receiving
이때, 구동모듈(130)의 제어부(132)는 수신부(140)를 통해 수신 및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비트(beat)를 측정하게 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오디오 신호의 비트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단위 시간당 비트 수, 즉 bpm(beat per minute)을 검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다시 말하면, 전기 자극 장치(100)의 수신부(140)가 외부 기기(1)와 블루투스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기기(1)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오디오 신호, 즉 현재 스피커나 이어폰, 헤드폰 등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음악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구동모듈(130)의 제어부(132)가 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그로부터 음악의 단위 시간당 비트 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udio signal of music being played on the
또한, 구동모듈(130)의 제어부(132)는 전기 자극을 위해 생성하는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음악의 비트 수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가변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즉, 오디오 신호로부터 음악의 단위 시간당 비트 수가 검출되면, 외부 기기(1)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하는 구동모듈(130)이 상기 검출된 단위 시간당 비트 수에 상응하는 정해진 값으로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number of beats per unit time of music is detected from the audio signal, the
이에 따라 외부 기기(1)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단위 시간당 비트 수(bpm)에 따라 전기자극패드(120)에서 사용자 신체로 인가되는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가 조절 및 제어될 수 있고, 결국 음원의 속도에 연동하는 전류 출력 제어에 의해 보다 향상된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requency of the low or medium frequency current applied to the user's body from the
예컨대,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비트 수가 빠른(단위 시간당 비트 수가 큰) 음악을 들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에서 빠른 주파수의 전류가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발라드나 비트 수가 느린 음악을 들을 때에는 전기 자극 장치(100)에서 느린 주파수의 전류가 출력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a user listens to music with a fast number of beats (a large number of beats per unit time) with a smartphone, a current of a high frequency is output from the
이와 같이 사용자가 청취하고 있는 음원에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전류의 주파수를 가변시키면 전기 자극의 치료 내지 운동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changing the frequency of the current in real time in conjunction with the sound source that the user is listening to,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effect of treatment or exercise of electrical stimulation.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그 사용 발명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약제도포부(110)의 충전부(111) 내에 약리 효과 물질, 예를 들어 파스 물질을 미리 충전한다.In this way,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hen the use invention is described, first, the user may have a pharmacological effect substance in the
이어 전기자극패드(120)를 포함하여 토출구(112)가 위치한 하우징(101)의 피부접촉면이 피부(S)에 접촉하도록 본 발명의 전기 자극 장치를 사용자 신체 부분에 부착한다.Subsequently,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user's body part such that the skin contact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부착을 완료하면, 사용자는 조작부(160)를 통해 전기 자극 장치를 온(on) 시키고, 외부 기기(1),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들으면서 블루투스 연결된 전기 자극 장치 내 수신부(140)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도록 한다.When the attachment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urns on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hrough the
이후 사용자가 전기 자극 장치를 사용할 때 구동모듈(130)의 제어부(132)는 수신부(140)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의 오디오 신호(음원 신호)를 수신 및 입력받아 비트 수를 확인한다.Thereafter, when the user uses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he
상기와 같이 음악의 비트 수가 확인하고 나면, 구동모듈(130)의 제어부(132)는 비트 수에 상응하는 주파수로 저주파 전류 내지 중주파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구동모듈(130)의 전류생성회로부(133)가 제어부(13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및 제어되어 목표로 하는 주파수의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생성 및 출력한다.After checking the number of beats of the music as described above, the
결국, 전류생성회로부(133)에서 발생한 전류가 전기자극패드(120)를 통해 사용자 신체로 인가되고, 이로써 신체 내 근육 등에 전류에 의한 전기 자극이 이루어지게 된다.As a result,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current
이와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약제도포부(110)의 충전부(111)에서 파스 물질이 토출구(112)를 통해 방출되어 피부(S)에 도포되고, 상기 도포된 파스 물질이 피부(S)를 통해 흡수되어 신체 내 근육에 대한 소염 및 진통의 작용을 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pars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filling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외부 기기 100 : 전기 자극 장치
101 : 하우징 110 : 약제도포부
111 : 충전부 112 : 토출구
113 : 주입구 114 : 캡
120 : 전기자극패드 122 : 전극
121 : 몸체 123 : 지지체
124 : 도선 130 : 구동모듈
131 : PCB 132 : 제어부
133 : 전류생성회로부 140 : 수신부
150 : 배터리 160 : 조작부
S : 피부 1: external device 100: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101: housing 110: drug application unit
111: charging unit 112: discharge port
113: injection port 114: cap
120: electrical stimulation pad 122: electrode
121: body 123: support
124: conductor 130: drive module
131: PCB 132: Control
133: current generation circuit section 140: receiving section
150: battery 160: operation unit
S: Skin
Claims (9)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사용자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사용자 신체에서 약리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약리 효과 물질을 사용자 피부에 공급 및 도포하는 약제도포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듈에서 생성되어 전달되는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사용자 신체에 인가하는 전기자극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도포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약리 효과 물질이 채워져 저장될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어서 구비되는 충전부; 및
상기 하우징에서 사용자 피부에 접촉되는 면인 피부접촉면에 상기 충전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부접촉면에 접촉된 사용자 피부에 충전부로부터의 약리 효과 물질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자극패드가 하우징의 피부접촉면에서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충전부가 하우징 내측에서 하우징 둘레 부분을 따라 연결된 링 형상의 공간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피부접촉면에서 하우징 둘레 부분을 따라 배열되도록 복수 개의 토출구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In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electrically stimulating a user's body part by applying a low or medium frequency current to the user's body,
housing;
A medicine coat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supplied and applied to the user's skin with a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absorbed through the user's skin and capable of causing a pharmacological effect in the user's body;
A driving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driving to generate a low-frequency current or a medium-frequency current; And
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ncludes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for applying a low-frequency current or a medium-frequency current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the driving module to the user's body,
The drug application part
A filling unit provided as a space in which the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is filled and stored inside the housing; And
It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lling portion on the skin contact surface that is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in the housing, and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from the filling portion to the user's skin contacting the skin contact surface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is installed to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kin contact surface of the housing,
The filling portion is provided as a ring-shaped space connec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inside the hous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formed to b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using on the skin contact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충전부에 약리 효과 물질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일측 또는 충전부의 일측에 충전부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에는 개폐를 위한 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inject the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into the filling part, an injection ho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space of the filling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filling part,
Electrosti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is provid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상기 약리 효과 물질은 사용자 신체 부분에 대한 진통 및 소염 효과를 일으키는 파스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3,
The pharmacological effect material is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 material that causes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the user's body parts.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구동모듈에 전달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단위 시간당 비트 수를 검출하고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상기 검출된 단위 시간당 비트 수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된 주파수의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를 생성하도록 제어되는 전류생성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further includes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driving module,
The drive module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number of bits per unit time from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receiving unit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f the low frequency or medium frequency current to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number of bits per unit time; And
And a current generation circuit unit controlled to generate a low-frequency current or a medium-frequency current of a frequenc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수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된 상태로 외부 기기에서 사용자 청취가 가능하도록 출력되고 있는 음악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an audio signal of music being output to enable user listening from an external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상기 수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되면 외부 기기에서 사용자 청취가 가능하도록 출력되고 있는 음악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receiving unit
It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receive the audio signal of the music being output to enable user listening from the external device.
상기 구동모듈의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단위 시간당 비트 수가 클 수록 더 큰 주파수로 상기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된 단위 시간당 비트 수가 작을수록 더 작은 주파수로 상기 저주파 전류 또는 중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of the driving module
The larger the number of bits per unit time detected, the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f the low or medium frequency current with a larger frequency, and outputs
The smaller the number of bits per unit time detected,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f the low-frequency or medium-frequency current with a smaller frequenc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275A KR102123082B1 (en) | 2018-02-28 | 2018-02-28 |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275A KR102123082B1 (en) | 2018-02-28 | 2018-02-28 |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3624A KR20190103624A (en) | 2019-09-05 |
KR102123082B1 true KR102123082B1 (en) | 2020-06-15 |
Family
ID=6794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4275A KR102123082B1 (en) | 2018-02-28 | 2018-02-28 |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30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34598B2 (en) | 2020-10-08 | 2022-12-27 | Rootonix Co., Ltd. | Iontophoresis-based patch type skin care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0320B1 (en) * | 2020-05-26 | 2022-01-14 | 주식회사 제우기술 | Customized health care system using electric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96629A (en) * | 2004-02-24 | 2005-10-27 | Mattioli Engineering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utaneous absorption enhancement and percutaneous drug delivery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9836A (en) * | 2000-05-02 | 2000-08-05 | 전경택 | Low frequency obesity treater |
KR100977945B1 (en) * | 2008-05-08 | 2010-08-24 | 김휘영 | Functional poultice |
KR101395897B1 (en) * | 2011-11-04 | 2014-05-15 | 문찬곤 | Low frequency electric stimulator using music and diet system having the low frequency electric stimulator |
-
2018
- 2018-02-28 KR KR1020180024275A patent/KR1021230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96629A (en) * | 2004-02-24 | 2005-10-27 | Mattioli Engineering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utaneous absorption enhancement and percutaneous drug delivery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34598B2 (en) | 2020-10-08 | 2022-12-27 | Rootonix Co., Ltd. | Iontophoresis-based patch type skin car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3624A (en) | 2019-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26945B2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 |
AU2001252069B2 (en) |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 |
US20210379374A1 (en) | Nerve stimulation for treating migraine and other headache conditions | |
US9630003B2 (en) | Non-invasive neuro stimulation system | |
US11534608B2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 |
JP201150598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rmatome stimulation | |
US2004007327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neurophysiologic performance | |
JPH08511445A (en) | Nerve stimulator and link support | |
CN103717257A (en) | Low-frequency stimulator using music, and weight-loss assisting system having low-frequency stimulator | |
AU2001252069A1 (en) |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 |
KR20190042394A (en) | Low frequency massager | |
KR20160000789U (en) | Multiople function medical appliance with function of cupping | |
KR101893214B1 (en) |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Device | |
KR102123082B1 (en) |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
KR101512555B1 (en) | Connector device being connected to earphone connecting port of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electrical stimulus through electrical pad attached to skin surface | |
KR20190008005A (en) | Exercise equipment of the low frequency stimulation | |
KR100843249B1 (en) | Stimulus apparatus using micro-current pulse | |
US9108055B1 (en) | System for electrical muscle and nerve stimulation in aqueous media | |
KR20180064781A (en) |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Device using Application | |
KR101192108B1 (en) | Low frequency electrotherapeutic device | |
KR101646092B1 (en) | Medium and low frequency exercise device indemnifying the current amount | |
US12144987B2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 |
KR100618564B1 (en) | Metal net pad for electrotherapy apparatus | |
KR200199087Y1 (en) | A pad for low frequency cure | |
KR20210091930A (en) | Multitype EMS apparatus based on IoT for healthca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