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947B1 - Holder for carry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Holder for carrying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5947B1 KR102125947B1 KR1020200038121A KR20200038121A KR102125947B1 KR 102125947 B1 KR102125947 B1 KR 102125947B1 KR 1020200038121 A KR1020200038121 A KR 1020200038121A KR 20200038121 A KR20200038121 A KR 20200038121A KR 102125947 B1 KR102125947 B1 KR 1021259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holder
- elastic means
- guide groove
- holder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운반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는 이송시키고자 하는 용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도록 수용홈을 형성하는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의 수용홈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일정 스트로크를 이동하면서 수용홈으로 출몰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홀딩 핀;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홀딩 핀을 탄력 지지하는 제1 탄성수단; 상기 홀더 본체의 가이드홈에서 상기 홀딩 핀과는 대응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탄성수단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캡; 상기 캡이 구비되는 각 가이드홈의 외측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홀더 본체의 외측 주연부를 따라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지지홈에 삽입되는 제2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사이즈와 비정형의 용기에 대해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in the center of the holder body forming a receiving groove to open upward so that the container to be transported can be accommodated; A plurality of holding pins provided to move into and out of the receiving groove while moving a predetermined stroke along a guide groove formed radially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lder body; A first elastic means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holder body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lding pin; A cap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while supporting the first elastic mean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pin in the guide groove of the holder body; It is made of a second elastic means inserted into a support groove formed at a certain width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end of each guide groove provided with the cap to support various sizes and irregular containers. There are features to make it possi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운반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다양한 형상과 사이즈를 갖는 용기에 대해서 각각 쉽고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 충진과 캡핑 등의 공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운반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transporting a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easily and stably hold each container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conveyed by a conveyor, so that processes such as contents filling and capping can be more accurately performed. It relates to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음료수와 같은 다양한 내용물은 용기에 수용되어 유통 및 판매가 이루어지게 된다.In general, various contents such as cosmetics and beverages are accommodated in containers to be distributed and sold.
이러한 다양한 내용물들은 제조 공정에서부터 자동으로 용기에 채워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용기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 및 운반되도록 하고 있다.These various contents are automatically filled in the container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for this purpose, the container is transported and transported by a conveyor.
컨베이어를 통해 자동으로 내용물이 용기에 채워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용기가 일정한 주기로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위치까지 안전하게 이송이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컨베이어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용기 고정용 홀더이다.In order to automatically fill the container with the contents through the conveyor, the container must be safely transported to a position where the contents are filled at regular intervals. For this purpose, the holder for fixing the container is provided on the conveyor.
즉, 컨베이어에는 내용물을 충진할 용기의 하단부를 안착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홀더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각 홀더에 용기를 고정시켜 안정되게 이송되도록 하고 있다.That is, the conveyor is provided with a holder for fix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to be filled with content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ontainer is fixed to each holder to be transported stably.
따라서 용기를 컨베이어에 직접 얹게 되면 운반 중 넘어지기도 하고 정위치에서 이탈될 수가 있으므로 컨베이어에 용기를 직접 올려놓지 않고 미리 용기 고정용 홀더를 설치하여 홀더에 용기가 홀딩되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if the container is placed directly on the conveyor, it may fall during transport and may be displaced from its position. Therefore, the container is held on the holder by holding a container holder in advance without placing the container directly on the conveyor.
이렇게 용기를 홀더에 홀딩시키게 되면 컨베이어의 구동에 의해 이송 중이거나 내용물 충진 중에도 용기가 컨베이어에서 넘어지거나 충진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할 수가 있으므로 안정되게 내용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최종적으로 밀봉과정 또한 자동으로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When the container is held in the holder in this way,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ver the conveyor or out of the filling position during transport or filling by the drive of the conveyor, so that the contents can be stably filled and finally the sealing process is also automatically performed. You can do it.
따라서 종래에는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홀더가 용기의 사이즈에 맞게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실용신안등록 제0404037호와 제0405338호에서와 같이 용기의 사이즈에 맞춰 가동블럭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동블럭간 안착홈의 사이즈 변경에 의해서 좀더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를 홀딩시켜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 holder installed on the conveyor allows the receiving portion to be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or by allowing the movable block to mov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as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s. By changing the size, containers of various sizes can be held and transported.
하지만 종래기술의 홀더에 의해서는 용기마다 그에 맞는 사이즈의 홀더를 구비해야만 할 뿐만 아니라 가동블럭에 의한 구성에서도 비록 좀더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를 홀딩할 수 있을 뿐 홀딩되는 면이 중앙으로부터 동일 반경에 형성되는 정형화된 용기에 대해서만 홀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홀딩할 수 있는 용기 사이즈도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holder of the prior art not only has to have a holder of a size suitable for each container, but even in a configuration by a movable block, it is possible to hold a container of more various sizes, but the holding surface is formed at the same radius from the center.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can the holding be held only for a regular container, but also the size of the container that can be held is very limit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향해 복수의 홀딩 핀이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와 비정형의 용기를 홀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운반용 홀더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nd irregularities to be held by allowing a plurality of holding pins to be retractable toward the receiving groove accommodating the containers.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carrying holder.
또한, 본 발명은 2중의 탄발력에 의해 좀더 안전하고 견고하게 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운반용 홀더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that can support the container more securely and firmly by a double elastic force.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는, 중앙에는 이송시키고자 하는 용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도록 수용홈을 형성하는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의 수용홈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일정 스트로크를 이동하면서 수용홈으로 출몰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홀딩 핀;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홀딩 핀을 탄력 지지하는 제1 탄성수단; 상기 홀더 본체의 가이드홈에서 상기 홀딩 핀과는 대응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탄성수단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캡; 상기 캡이 구비되는 각 가이드홈의 외측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홀더 본체의 외측 주연부를 따라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지지홈에 삽입되는 제2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Container for carry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enter of the holder to form a receiving groove to open upward so that the container to be transported can be accommodated; A plurality of holding pins provided to move into and out of the receiving groove while moving a predetermined stroke along a guide groove formed radially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lder body; A first elastic means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holder body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lding pin; A cap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while supporting the first elastic mean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pin in the guide groove of the holder body; The second elastic means is inserted into a support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end of each guide groove provided with the cap.
상기 홀딩 핀은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송하도록 하면서 수용홈측 걸림턱에 의해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걸림단부와 상기 걸림단부로부터 수용홈측으로 일정 길이가 인출되도록 하여 용기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인출부로서 이루어진다.The holding pi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while withdrawing the locking end portion that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by the receiving groove side locking jaw a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cking end portion to the receiving groove side so as to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It is made as wealth.
상기 인출부는 수용홈의 내주면측에 위치하는 외주면 상부로부터 단부측으로 일정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여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용기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단부가 용기의 외주면에 일정 탄성으로 접촉하면서 지지하도록 한다.The withdrawal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from the top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to slide by the container inserted from the top to support the end while being in constant elastic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상기 제1 탄성수단은 상기 제2 탄성수단보다는 탄발력이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 탄성수단이 일정 이상 압축된 후 상기 제2 탄성수단이 인장되도록 한다.The first elastic means allows the elastic force to be formed smaller than the second elastic means so that the second elastic means is tensioned after the first elastic means is compres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상기 제1 탄성수단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탄성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의 지지홈을 따라 내설되는 코일 스프링이나 지지홈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rst elastic means is made of a compressed coil spring, and the second elastic means is made of an elastic ba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il spring or support groove installed along the support groove of the holder body.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용기 운반용 홀더는 홀더 본체에서 수용홈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홀딩 핀들에 의해서 다양한 사이즈와 함께 외주면이 비정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용기들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용기들의 운반에 적용할 수가 있으므로 용기의 사이즈와 형상의 변경에도 지속해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가 있다.The container carrying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in containers having various sizes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variety of sizes by a plurality of holding pins provided to be able to emerge from the holder body toward the receiving groove. By doing so, it can be applied to the transportation of more various containers,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ience that can be stably used even when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tainer is changed.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변경에 따른 홀더의 교체가 불필요하므로 설비의 유지 관리 또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replacement of the hold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tainer, there is also an economical effect of the maintenance of the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의 실시예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의 요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의 요부를 확대한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에서 홀딩 핀의 걸림단부에 제1 탄성수단이 연결되는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에 이송용 용기를 수용홈에 안착되도록 하는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에서 용기의 안착에 의해 홀딩 핀이 이동하는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작동 구조도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main part of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main portion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elastic means is connected to the locking end of the holding pin in the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perating state to ensure that the container for transport in the holder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Figure 6 is a main operation structure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lding pin is moved by the seating of the container in the container holder for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s omitted in some cas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의 실시예 구성을 예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의 요부를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의 요부를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main part of a container carry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tainer carry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상기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홀더 본체(10)와 홀딩 핀(20)과 제1 탄성수단(30)과 캡(40)과 제2 탄성수단(5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본 발명의 구성에서 홀더 본체(10)는 용기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수용홈(11)을 중앙에 형성하도록 하는 용기 수용 수단이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홀더 본체(10)는 하부가 이송수단인 컨베이어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컨베이어에서 홀더 본체(10)는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되도록 한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홀더 본체(10)에는 중앙에 수용홈(11)을 형성하면서 외주연을 따라서는 일정 폭으로 지지홈(13)을 형성하고, 수용홈(11)과 지지홈(13)의 사이는 수용홈(1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가이드홈(12)에 의해서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While forming the
이때 수용홈(11)과 가이드홈(12)의 사이에는 가이드홈(12)의 사이즈보다는 작은 사이즈의 홀을 통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홈(12)측으로 걸림턱(120)이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between the
한편, 홀더 본체(10)은 수용홈(11)과 가이드홈(12)과 지지홈(13)이 상향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부는 별도의 커버(미도시)를 이용하여 볼팅 체결되면서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홀더 본체(10)에서 수용홈(11)과 복수의 가이드홈(12)에 걸쳐서는 각각 홀딩 핀(20)이 구비되도록 한다.In this
홀딩 핀(20)은 일단이 가이드홈(12)에 삽입되어 가이드홈(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이드홈(12)의 수용홈(11)측 단부로 형성되는 걸림턱(120)에 걸려서 가이드홈(12)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걸림단부(21)와 이 걸림단부(21)로부터 수용홈(11)에 일정 길이가 인출되게 연장형성되도록 한 인출부(2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인출부(22)가 수용홈(11)측으로 출몰하는 길이만큼 걸림단부(21)가 가이드홈(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Therefore, the
특히, 홀딩 핀(20)의 수용홈(11)측으로 인출되는 인출부(22)는 도 3에서와 같이 수용홈(11)의 내주면측에 위치하는 외주면 상부로부터 단부측으로 일정 경사각으로 점차 하향 경사지도록 하되 수용홈(11)측 단부는 용기와의 보다 안정된 접촉이 되도록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는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홀딩 핀(20)의 상부면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면 상부로부터 용기를 삽입 시 홀딩 핀(20)의 단부들간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용기에 의해 각 홀딩 핀(20)들을 가이드홈(12)측으로 이동시켜 홀딩 핀(20)의 인출부(22) 단부가 용기의 외주면에 일정 탄성으로 접촉하면서 지지될 수가 있다.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홀딩 핀(20)의 가이드홈(12)에 삽입되는 걸림단부(21)는 가이드홈(12)에 탄설되는 제1 탄성수단(30)에 의해서 탄력 지지되도록 한다.The
제1 탄성수단(30)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일단부가 홀딩 핀(20)의 걸림단부(21)에 면밀착되어 가이드홈(12)을 따라 압축과 팽창이 가능하게 탄설되도록 한다.The first
제1 탄성수단(30)은 홀딩 핀(20)의 걸림단부(21)가 가이드홈(12)의 일단에서 타단측으로 이동 시 홀딩 핀(20)의 이동력을 탄발력에 의해서 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first
한편, 홀딩 핀(20)의 걸림단부(21)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제1 탄성수단(30)의 내경과 동일한 지지돌기(210)가 돌출되도록 하여 제1 탄성수단(30)이 이 지지돌기(210)의 외주면으로 지지되면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제1 탄성수단(30)의 걸림단부(21)에 접촉되는 단부에 대응되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캡(40)이 밀착되도록 한다.The
캡(40)은 외주면이 가이드홈(1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12)의 내경과 동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제1 탄성수단(30)의 단부가 밀착 또는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The
따라서 캡(40)은 가이드홈(12)에서 전면이 모두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여 제1 탄성수단(30)측의 일면에는 홀딩 핀(20)의 걸림단부(21)에 형성되는 지지돌기(21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지지돌기가 돌출되게 할 수도 있으나,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탄성수단(30)측으로 일측이 개방되게 하여 제1 탄성수단(30)의 단부가 삽입되는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가 있다.Therefore, the
한편, 각 가이드홈(12)의 외측으로는 홀더 본체(10)의 외주연을 따라 지지홈(13)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 지지홈(13)에는 제2 탄성수단(50)이 구비되도록 한다.Meanwhile, a
제2 탄성수단(50)은 지지홈(13)을 따라 지지홈(13)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지지홈(13)의 내부면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밴드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The second elastic means 50 may be formed into a shape in which the coil spring is inserted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다만, 제2 탄성수단(50)은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지지홈(13)에서 캡(40)의 외측단부를 일정 탄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However, the second elastic means 5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outer end of the
이때 제2 탄성수단(50)은 제1 탄성수단(30)의 탄발력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홀딩 핀(20)이 외측으로 이동 시 제1 탄성수단(30)이 먼저 압축되고, 일정 이상으로 압축되면 그 이상에서는 제2 탄성수단(50)에 의해서 동시에 탄력 지지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means 50 is such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한편, 가이드홈(12)의 단부에 위치하는 캡(40)은 지지홈(13)측으로 빠지지 않는 길이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도면 중 미설명부호 70은 커버이다.In the drawings,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용기 운반용 홀더를 이용하여 용기를 홀딩하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Using the holder for carrying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action and effect of holding the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용 홀더는 용기 이송 수단인 컨베이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도록 고정 설치된다.Container holder for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conveyor, which is a container transport means.
이때 홀더 본체(10)는 컨베이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홀더에 의해서는 홀딩이 불가한 용기를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가 교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holder
컨베이어에 연결된 홀더 본체(10)에서 수용홈(11)으로는 복수의 홀딩 핀(20)이 인출되어 있으며, 홀딩 핀(20)들의 단부간 직경은 본 발명에 의해 홀딩할 용기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A plurality of holding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홀딩 핀(20)들간 직경은 용기의 외경보다는 작아야만 용기의 외주면으로 일정 탄성을 갖고 밀착되면서 지지할 수가 있다.In other words, the diameter between the holding pin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tainer so that it can be supported while having a certain elasticity and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도 5에서와 같이 컨베이어에 고정된 본 발명의 홀더 본체(10)에는 수용홈(11)의 상부로부터 이송시키고자 하는 용기(60)가 안착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ure 5, the
수용홈(11)에 용기(60)를 안착시키게 되면 수용홈(11)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복수의 홀딩 핀(20)들 상부에 용기(60)의 바닥면이 얹혀지게 되는데 이렇게 용기(60)가 얹혀진 상태에서 용기(60)를 강제적으로 하향 가압하게 되면 용기(60)의 바닥면에 접하고 있던 홀딩 핀(20)이 경사진 상부면을 타고 하향 이동하게 된다.When the
이때 용기(60)는 실제적으로 홀딩 핀(20)들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60)는 단순히 하향 이동하게 되고, 홀딩 핀(20)들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홀딩 핀(20)들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홈(12)에 수용되어 있던 걸림단부(21)가 가이드홈(12)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6에서와 같이 가이드홈(12)에 탄설되어 있는 제1 탄성수단(30)을 압축시키게 된다.When the holding pins 20 are moved to the outside, the locking
즉, 용기(60)를 수용홈(11)에 대충 중심을 맞춰 하향 이동시키기만 하면 수용홈(11)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복수의 홀딩 핀(20)들이 후진하게 되고, 결국 용기(60)가 수용홈(11)의 바닥면에 안착되면 용기(60)의 하단부측 외주면에 홀딩 핀(20)들의 단부가 접촉되면서 용기(60)가 수용홈(11)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한다.That is, as long as the
이렇게 본 발명의 홀더는 용기(60)가 수용홈(11)에 안착되도록 하기만 하면 자연적으로 홀딩 핀(20)에 의해 센터링이 맞추어지면서 용기(60)의 하단부를 일정한 탄성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의 구동과 정지 및 용기(60)에 내용물이 충진되더라도 유동없이 안정된 내용물 충진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다만,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시키게 되는 용기(60)는 내용물의 용량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서 형성되기도 하고, 외형이 균일하지 않은 비정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기도 한다.However, the
이때의 용기(60)는 수용홈(11)에 형성되는 홀딩 핀(20)의 단부간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홀딩 핀(20)의 외주면에서 경사지도록 한 경사면의 상단부간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이렇게 용기(60)의 하단부가 홀딩 핀(20)의 경사면 내에 위치되어야만 용기(60)를 하향 가압 시 홀딩 핀(20)을 외측으로 밀어낼 수가 있으며, 홀딩 핀(20)들은 제1 탄성수단(30)을 압축시키면서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용기(60)를 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As such, the lower end of th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용기(60)가 일정 사이즈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홀딩 핀(20)들을 이동시키면서 수용홈(11)에 안착될 때 홀딩 핀(20)들에 의해 제1 탄성수단(30)을 압축 시 일정 이상으로 압축되면 그 이상의 압축력에 의해서는 제1 탄성수단(30)이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캡(40)을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캡(40)을 지지하는 제2 탄성수단(50)에 의해 탄력 지지하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와 같이 제1 탄성수단(30)에 이어 제2 탄성수단(50)에 의해서 탄력 지지되도록 하면 각 홀딩 핀(20)들에 의한 지지력이 더욱 강화되면서 보다 견고하게 용기(60)를 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한편, 용기(60)는 항상 외주면이 정형화된 형상만 있는 것이 아니라 타원등과 같이 비정형화된 형상들도 제작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비정형화된 용기(60)들 조차도 복수의 홀딩 핀(20)들에 의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지지되게 할 수가 있으므로 각 용기(60)에 내용물을 충진시키거나 용기(60)의 상단에 뚜껑을 결합하는 캡핑작업 또한 안정되게 할 수가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홀더 본체(10)의 수용홈(11)에 안치되는 다양한 사이즈 또는 비정형의 외주면을 갖는 용기(60)들을 항상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가 있도록 하면서 일정한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므로 안정된 연속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e because the
또한, 본 발명은 용기(60)의 사이즈와 형상에 따른 교체가 불필요하므로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가 있도록 하는 경제적 이점 외에도 교체 작업을 생략할 수가 있어 작업 시간 단축 등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replacement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홀더 본체
11 : 수용홈
12 : 가이드홈 120 : 걸림턱
13 : 지지홈
20 : 홀딩 핀
21 : 걸림단부 210 : 지지돌기
22 : 인출부
30 : 제1 탄성수단
40 : 캡
50 : 제2 탄성수단
60 : 용기10: holder body
11: Receiving home
12: guide groove 120: hanging jaw
13: support groove
20: holding pin
21: engaging end 210: support projection
22: withdrawal part
30: first elastic means
40: cap
50: second elastic means
60: container
Claims (7)
상기 홀더 본체의 수용홈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일정 스트로크를 이동하면서 수용홈으로 출몰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홀딩 핀;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홀딩 핀을 탄력 지지하는 제1 탄성수단;
상기 홀더 본체의 가이드홈에서 상기 홀딩 핀과는 대응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탄성수단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캡;
상기 캡이 구비되는 각 가이드홈의 외측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홀더 본체의 외측 주연부를 따라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지지홈에 삽입되는 제2 탄성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운반용 홀더.
In the center, a holder body forming a receiving groove to open upward so that a container to be transported can be accommodated;
A plurality of holding pins provided to move into and out of the receiving groove while moving a predetermined stroke along a guide groove formed radially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lder body;
A first elastic means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holder body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lding pin;
A cap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while supporting the first elastic mean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pin in the guide groove of the holder body;
A second elastic means inserted into a support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end of each guide groove provided with the cap;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consisting of.
상기 홀딩 핀은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송하도록 하면서 수용홈측 걸림턱에 의해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걸림단부와 상기 걸림단부로부터 수용홈측으로 일정 길이가 인출되도록 하여 용기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인출부로서 이루어지는 용기 운반용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pi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while allow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withdrawn from the locking end and the receiving groove side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by the receiving groove side locking jaw. Holder for carrying containers as a part.
상기 인출부는 수용홈의 내주면측에 위치하는 외주면 상부로부터 단부측으로 일정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여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용기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단부가 용기의 외주면에 일정 탄성으로 접촉하면서 지지하도록 하는 용기 운반용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withdrawal portion is a holder for container transport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a top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o slide and move by the container inserted from the top while the end comes into constant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
상기 제1 탄성수단은 상기 제2 탄성수단보다는 탄발력이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 탄성수단이 일정 이상 압축된 후 상기 제2 탄성수단이 인장되도록 하는 용기 운반용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astic means is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formed smaller than the second elastic means so that the second elastic means is tensioned after the first elastic means is compres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상기 제1 탄성수단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운반용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astic means is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made of a compressed coil spring.
상기 제2 탄성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의 지지홈을 따라 내설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운반용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elastic means is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made of a coil spring that is installed along the support groove of the holder body.
상기 제2 탄성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되는 지지홈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는 용기 운반용 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elastic means is a holder for carrying a container made of an elastic b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holder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8121A KR102125947B1 (en) | 2020-03-30 | 2020-03-30 | Holder for carrying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8121A KR102125947B1 (en) | 2020-03-30 | 2020-03-30 | Holder for carrying conta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5947B1 true KR102125947B1 (en) | 2020-06-23 |
Family
ID=7113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8121A KR102125947B1 (en) | 2020-03-30 | 2020-03-30 | Holder for carrying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594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92139A (en) * | 2020-07-27 | 2020-10-20 | 温州凯美锐机械制造有限公司 | Full-automatic intelligent filling machine |
CN112046855A (en) * | 2020-09-29 | 2020-12-08 | 北京城市排水集团有限责任公司 | Ton bag filling auxiliary device |
CN116135738A (en) * | 2023-04-20 | 2023-05-19 | 无锡雷博激光技术有限公司 | Loading auxiliary device of laser bar test equipment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6985A (en) * | 1994-11-01 | 1996-05-21 | Kao Corp | Article holding device and its using method |
JP2627376B2 (en) * | 1991-09-19 | 1997-07-02 | 花王株式会社 | Article fixing device |
KR100405338B1 (en) | 2001-05-14 | 2003-11-1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Dual Control Cabin Heat Box |
KR100404037B1 (en) | 1994-10-27 | 2004-03-24 | 똥송-쎄 에스 에프 | Missile Launch and Defense System |
KR200404037Y1 (en) * | 2005-07-26 | 2005-12-16 | 주식회사 태평양 | Holder for a tool transport of cosmetic production line |
KR20060015826A (en) * | 2004-08-16 | 2006-02-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up holder support structure for automobile |
-
2020
- 2020-03-30 KR KR1020200038121A patent/KR10212594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27376B2 (en) * | 1991-09-19 | 1997-07-02 | 花王株式会社 | Article fixing device |
KR100404037B1 (en) | 1994-10-27 | 2004-03-24 | 똥송-쎄 에스 에프 | Missile Launch and Defense System |
JPH08126985A (en) * | 1994-11-01 | 1996-05-21 | Kao Corp | Article holding device and its using method |
KR100405338B1 (en) | 2001-05-14 | 2003-11-1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Dual Control Cabin Heat Box |
KR20060015826A (en) * | 2004-08-16 | 2006-02-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up holder support structure for automobile |
KR200404037Y1 (en) * | 2005-07-26 | 2005-12-16 | 주식회사 태평양 | Holder for a tool transport of cosmetic production lin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92139A (en) * | 2020-07-27 | 2020-10-20 | 温州凯美锐机械制造有限公司 | Full-automatic intelligent filling machine |
CN112046855A (en) * | 2020-09-29 | 2020-12-08 | 北京城市排水集团有限责任公司 | Ton bag filling auxiliary device |
CN116135738A (en) * | 2023-04-20 | 2023-05-19 | 无锡雷博激光技术有限公司 | Loading auxiliary device of laser bar test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5947B1 (en) | Holder for carrying container | |
MX2008014565A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ntent-filled bottle. | |
AU2005222434B2 (en) | A process and a device for conveying odd-shaped containers | |
US3491803A (en) | Machine for filling with liquids containers having deformable side walls | |
KR102176836B1 (en) | a cap assembly apparatus | |
KR102012928B1 (en) | Apparatus for loading a receptacle in the box | |
KR101013393B1 (en) | External tube fitting of container | |
US6748983B2 (en) | Conveyor for bottle-filling machine | |
US2936558A (en) | Bottle carrier loading machine | |
US2017004389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rticles into a packing case | |
KR200447797Y1 (en) | Holder for carrying tube vessel | |
KR101239180B1 (en) | Improved bottle carrier | |
CN212832776U (en) | Clamping device for filling carbonated beverage | |
JP2017150844A (en) | Dispensing device | |
CN214218139U (en) | Antidrip filling device and milk bottle filling equipment | |
CN113044783A (en) | Filling and capping machine | |
CN202924013U (en) | Plastic container for conveying and storing commodities and cargoes | |
CN219929614U (en) | Full-automatic ice crystal box production equipment | |
KR200404037Y1 (en) | Holder for a tool transport of cosmetic production line | |
CN113072019B (en) | Filling and sealing integrated machine | |
CN215677418U (en) | Bottle cap sealing performance testing device | |
CN217578265U (en) | Device for closing a container with a container closure | |
KR102170552B1 (en) | Double rotary type spout pouch packing apparatus, spout pouch supply unit comprised in the double rotary type spout pouch packing apparatus, and spout pouch capping unit comprised in the double rotary type spout pouch packing apparatus | |
KR20010072641A (en) | Device for centering pharmaceutical containers, in particular, for head sections of ampoules in a filling unit | |
US4863011A (en) | Automatic article unloa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4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