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9777B1 - Amt hybrid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Amt hybrid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777B1
KR102119777B1 KR1020140129964A KR20140129964A KR102119777B1 KR 102119777 B1 KR102119777 B1 KR 102119777B1 KR 1020140129964 A KR1020140129964 A KR 1020140129964A KR 20140129964 A KR20140129964 A KR 20140129964A KR 102119777 B1 KR102119777 B1 KR 10211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dler
gear
out2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8122A (en
Inventor
이근석
최금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
Priority to KR1020140129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777B1/en
Publication of KR2016003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1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777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과정 중 토크 어시스트가 가능하여 구동륜으로의 동력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회생제동 기능 및 전기차 모드 주행 등으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rque assist during the shifting process to prevent the power to the driving wheels from being completely cut off, thereby improving the shifting feeling and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by regenerative braking function and electric vehicle mode driving.

Description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AMT HYBRID TRANSMISSION}AMT hybrid transmission {AMT HYBRID TRANSMISSION}

본 발명은 AMT(AUTOMATED MANUAL TRANSMISSION)타입의 하이브리드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연비와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속기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T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type hybrid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a transmission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fuel efficiency and a sense of shift of a vehicle.

AMT(AUTOMATED MANUAL TRANSMISSION)는 종래 자동변속기와 같이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편리함과, 종래 수동변속기가 가지고 있는 높은 동력전달 효율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MT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both the high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manual transmission and the convenience of automatically shif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without driver intervention, such as a conventional automatic transmission. .

그러나, 종래 수동변속기 메커니즘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AMT는 변속시 필연적으로 이전 변속단을 해제하고 다음 변속단으로 변속하는 동안 구동륜으로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되는 과정이 수반되어, 변속충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MT based on the conventional manual transmission mechanism inevitably releases the previous transmission stage when shifting, and involves a process in which power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is blocked while shifting to the next transmission stage, resulting in a problem that shift shock occurs. have.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item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accepted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KRKR 10201400836891020140083689 A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과정 중 토크 어시스트가 가능하여 구동륜으로의 동력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회생제동 기능 및 전기차 모드 주행 등으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assist torque during the shifting process, thereby preventing power from being completely cut off by driving wheels, thereby improving the feeling of shifting, as well as regenerative braking function and electric vehicle mode driving. The aim is to provide an AMT hybrid transmission that can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a vehic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는The present invention AMT hybrid transmiss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클러치를 통해 엔진의 동력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입력축과;An input shaft installed to receive engine power through a clutch;

상기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변속구동기어들과 치합되어 다수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변속피동기어를 구비한 제1출력축과;A first output shaft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input shaft and engaged with a plurality of shift driving gears provided on the input shaft to have a plurality of shift driven gears to realize a plurality of shift stages;

상기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출력축과;A second output shaft disposed parallel to the input shaft;

상기 입력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진 모터와;A motor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input axis;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제2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아이들러축과;An idler shaft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output shaft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상기 아이들러축과 상기 제2출력축 사이에 회전력이 전달 가능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된 EV싱크로;An EV sync provided to switch a state in which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idler shaft and the second output shaft;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은 변속과정 중 토크 어시스트가 가능하여 구동륜으로의 동력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회생제동 기능 및 전기차 모드 주행 등으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rque assist during the shifting process to prevent the power to the driving wheels from being completely cut off, thereby improving the shifting feeling and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by regenerative braking function and electric vehicle mode driv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변속기의 작동 모드표,
도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구성에서 EV모드를 구현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구성에서 HEV모드를 구현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구성에서 HEV고속모드를 구현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7는 도 1의 구성에서 회생모드를 구현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8은 도 1의 구성에서 회생고속모드를 구현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도 1의 구성에서 후진모드를 구현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MT hybrid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able of the operating mode of the transmission of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implementing the EV mod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implementing the HEV mode in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implementing the HEV high-speed mod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generation mode is implement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generative high speed mode is implement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verse mode is implement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들은, 클러치(CL)를 통해 엔진(E)의 동력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입력축(IN)과; 상기 입력축(IN)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IN)에 구비된 다수의 변속구동기어들과 치합되어 다수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변속피동기어를 구비한 제1출력축(OUT1)과; 상기 입력축(IN)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출력축(OUT2)과; 상기 입력축(IN)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진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제2출력축(OUT2)과 평행하게 배치된 아이들러축(IS)과; 상기 아이들러축(IS)과 상기 제2출력축(OUT2) 사이에 회전력이 전달 가능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된 EV싱크로(EV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3,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haft (IN) installed to receive the power of the engine (E) through the clutch (CL); A first output shaft OUT1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input shaft IN and engaged with a plurality of shift driving gears provided on the input shaft IN to have a plurality of shift driven gears to realize a plurality of shift stages; ; A second output shaft OUT2 disposed parallel to the input shaft IN; A motor M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input shaft IN; An idler shaf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n a state that can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M); The idler shaft (IS) and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V sink (EVS) provided to switch a state in which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즉, 본 발명은 기존의 동기치합식 변속메커니즘을 활용하면서, 모터(M)의 동력을 엔진의 동력과 별도의 경로를 통해 구동륜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변속시의 동력단절 현상을 배제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키고, 상기 모터(M)에 의한 EV모드 구동 및 회생모드 구동에 의해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raw power of the motor M to the driving wheel through a separate path from the power of the engine while utilizing the existing synchronous meshing shifting mechanism, thereby excluding the power disconnection phenomenon during shifting. It is to improve the feeling of shift and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by driving the EV mode and the regenerative mode by the motor M.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모드표에 따라 구동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driv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able as shown in FIG. 2.

상기 제1출력축(OUT1)과 제2출력축(OUT2)에는 각각 제1출력기어(OG1) 및 제2출력기어(OG2)가 구비되고, 상기 제1출력기어(OG1) 및 제2출력기어(OG2)는 공통으로 디퍼렌셜의 링기어(1) 등과 같은 출력요소에 연결되어 각각 구동륜으로 동력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output shaft OUT1 and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are provided with a first output gear OG1 and a second output gear OG2, respectively, and the first output gear OG1 and a second output gear OG2. ) Is commonly connected to an output element such as a differential ring gear 1, and is configured to draw power through a driving wheel.

상기 모터(M)는 그 회전축이 상기 입력축(IN)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IN)에는 상기 모터(M)의 로터와 연결되면서 상기 아이들러축(IS)에 일체로 구비된 아이들러구동기어(3)에 치합되는 모터연결기어(5)가 구비된다.
The motor (M) is arranged such that its rotation axis forms a concentric axis with the input shaft (IN), and the input shaft (IN) is connected to the rotor of the motor (M) while the idler driving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idler shaft (IS) A motor connecting gear 5 engaged with the gear 3 is provided.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연결기어(5)는 그 회전축이 상기 입력축(IN)의 외측에 삽입되는 중공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CL)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모터(M)는 상기 모터연결기어(5)의 외측에 결합된 구조이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motor connecting gear 5 is formed as a hollow shaft whose rotation shaft is inserted outside the input shaft IN,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lutch CL, and the motor M Is a structur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otor connecting gear (5).

한편, 도 3과 같이 모터(M)와 상기 모터연결기어(5)의 위치를 바꾸어서, 상기 모터연결기어(5)는 그 회전축이 상기 입력축(IN)의 클러치(CL)가 연결된 쪽의 반대편 단부에 인접하게 동심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M)는 상기 모터연결기어(5)의 외측에 결합된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motor (M) and the motor connecting gear (5) as shown in Figure 3, the motor connecting gear (5) has a rotation shaft whose opposite end is connected to the clutch (CL) of the input shaft (IN) It is arranged adjacent to the concentric shaft, the motor (M)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structur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otor connecting gear (5).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축(IN)과 제1출력축(OUT1) 사이에는 1 내지 4단의 변속단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어서, 상기 제1출력축(OUT1)에는 1단피동기어(P1), 2단피동기어(P2), 3단피동기어(P3) 및 4단피동기어(P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축(IN)과 제2출력축(OUT2) 사이에는 5단 및 6단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어서, 상기 제2출력축(OUT2)에는 5단피동기어(P5) 및 6단피동기어(P6)가 구비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1 to 4 speed shift stages are formed between the input shaft IN and the first output shaft OUT1, and the first output shaft OUT1 has a single-speed driven gear P1. , Two-speed driven gear (P2), three-speed driven gear (P3) and four-speed driven gear (P4) is provided, between the input shaft (IN) and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5 and 6-speed formed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s provided with a 5-speed driven gear P5 and a 6-speed driven gear P6.

상기 아이들러축(IS)에는 적어도 2개의 EV변속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2출력축(OUT2)에는 상기 아이들러축(IS)의 변속구동기어에 치합되어 변속단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EV변속피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EV싱크로(EVS)는 상기 EV변속피동기어가 상기 제2출력축(OUT2)에 연결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출력축(OUT2)에 설치된다.
The idler shaft IS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EV shift drive gears, and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s engaged with the shift drive gear of the idler shaft IS to form at least two EV shift driven gears. Gears are provided, and the EV sync (EVS) is installed on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so as to switch the state in which the EV transmission driven gear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2개의 EV변속구동기어와 EV변속피동기어가 구비된 바, 상대적으로 큰 변속비를 가지는 EV1변속구동기어(EV1G) 및 EV1변속피동기어(EV1P)와, 상대적으로 작은 변속비를 가지는 EV2변속구동기어(EV2G) 및 EV2변속피동기어(EV2P)를 구비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two EV shift drive gears and the EV shift driven gear is provided, and the EV1 shift drive gear (EV1G) and the EV1 shift drive gear (EV1P), which have a relatively large shift ratio, and the relatively small shift ratio, respectively. It is equipped with EV2 shift drive gear (EV2G) and EV2 shift drive gear (EV2P).

물론, 상기 EV싱크로(EVS)는 상기 EV변속구동기어를 상기 아이들러축(IS)에 회전 자유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EV변속구동기어가 상기 아이들러축(IS)에 연결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러축(IS)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EV sync (EVS) is installed so that the EV shift drive gear is installed in the idler shaft (IS) in a rotation free state and the EV shift drive gear is connected to the idler shaft (IS) so as to switch the state It may be installed on the idler shaft (I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들러축(IS)에는 상기 입력축(IN)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후진아이들러기어(RI)가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러축(IS)에는 상기 후진아이들러기어(RI)를 상기 아이들러축(IS)에 회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아이들싱크로(IDS)가 구비되며, 상기 아이들러축(IS)에는 후진구동기어(RG)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출력축(OUT2)에는 상기 후진구동기어(RG)에 치합되는 후진피동기어(RP)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제2출력축(OUT2)에는 상기 후진피동기어(RP)를 상기 제2출력축(OUT2)에 회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후진싱크로가 구비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idler shaft IS is provided with a reverse idler gear RI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input shaft IN, and the idler shaft IS is provided with the reverse idler gear RI. (IS) is provided with an idle sync (IDS) for rotational restraint or release, the idler shaft (IS) is provided with a reverse drive gear (RG) integrally, and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s provided with the reverse drive gear ( The reverse driven gear RP engaged with the RG) is freely rotated, and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s provided with a reverse sink for rotationally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reverse driven gear RP to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t is.

물론,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후진아이들러기어(RI)와 후진구동기어(RG) 및 후진피동기어(RP)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EV변속구동기어와 EV변속피동기어를 사용하여 상기 모터(M)를 역회전시킴으로써, 후진단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verse idler gear RI, the reverse drive gear RG, and the reverse driven gear RP are not provided, and the motor using the EV shift drive gear and the EV shift driven gear (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 reverse diagnosis by rotating M).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진싱크로는 6단을 형성하기 위한 6단싱크로의 기능을 아울러 수행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6&R단싱크로(6&RS)라고 칭하며, 이외에 상기 제2출력축(OUT2)에는 5단을 형성하기 위한 5단싱크로(5S)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출력축(OUT1)에는 1단 및 3단을 형성하기 위한 1&3단싱크로(1&3S)와, 2단 및 4단을 형성하기 위한 2&4단싱크로(2&4S)가 구비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reverse sync performs the function of a 6-speed sink to form 6-speed, it will hereinafter be referred to as a 6&R single-sync (6&RS), and in addition,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has 5 steps. Five-stage sinks (5S) for forming are provided, and the first output shaft (OUT1) has 1&3-stage sinks (1&3S) for forming 1- and 3-stages, and 2&4 stages for forming 2- and 4-stages A synchro (2&4S) is provided.

이하, 도 4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들의 작동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도 4는 EV모드를 구현하는 상태로서, 다른 모든 싱크로를 해제하고 EV싱크로(EVS)가 EV1변속피동기어(EV1P)를 제2출력축(OUT2)에 연결한 상태에서 모터(M)를 구동하여, 동력이 아이들러축(IS)과 제2출력축(OUT2)을 거쳐 인출되는 상태이다.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EV mode is implemented, by releasing all other syncs and driving the motor M while the EV sync (EVS) connects the EV1 transmission driven gear (EV1P) to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Power is drawn out through the idler shaft (IS) and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물론, 차속이 상대적으로 고속의 상태에서는 상기 EV싱크로(EVS)가 EV2변속피동기어(EV2P)를 제2출력축(OUT2)에 연결하는 상태로 하여, 보다 낮은 변속비의 EV모드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speed is relatively high, the EV sync (EVS) is connected to the EV2 shift driven gear (EV2P) to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so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ower shift ratio EV mode. .

도 5는 HEV모드를 구현한 것으로서,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E)을 구동하고 상기 클러치(CL)를 결합하고 1&3단싱크로(1&3S)가 1단피동기어(P1)를 제1출력축(OUT1)에 연결하여, 엔진(E)의 동력이 상기 입력축(IN)과 제1출력축(OUT1)을 거쳐서 상기 모터(M)의 동력과 함께 인출되는 상태이다.
FIG. 5 shows the implementation of the HEV mode, in which the engine E is driven in the same state as in FIG. 4, the clutch CL is coupled, and the first & third stage syncs 1 & 3S are the first output shaft P1. Connected to OUT1, the power of the engine E is drawn out with the power of the motor M via the input shaft IN and the first output shaft OUT1.

이 상태로부터 2단으로의 변속시에는, 상기 클러치(CL)를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1&3단싱크로(1&3S)를 해제하여 중립으로 하고, 2&4단싱크로(2&4S)가 2단피동기어(P2)를 제1출력축(OUT1)에 연결하도록 한 후, 다시 상기 클러치(CL)를 결합하는데, 이와 같은 변속과정 동안 상기 모터(M)로부터의 동력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2출력축(OUT2)을 통해 구동륜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변속시 동력이 단절됨에 따른 변속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shifting from this state to the second stage, in the state where the clutch CL is released, the first & third stage sync (1 & 3S) is released to be neutral, and the second & fourth stage sync (2 & 4S) is the second stage driven gear (P2).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shaft OUT1, and then the clutch CL is coupled again. During this shifting process, power from the motor M is continuously driven to the driving wheel through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By being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feeling of shift due to the power being cut off during shifting.

도 6은 HEV고속모드를 표현한 것으로서, 도 5에 비하여 상기 EV싱크로(EVS)가 상기 EV2변속피동기어(EV2P)를 제2출력축(OUT2)에 연결하여, 상기 모터(M)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이 보다 낮은 변속비를 형성하면서 출력되도록 하여 보다 고속 상황에 적합하도록 하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6 is a representation of the HEV high-speed mode, compared to FIG. 5, the EV sync (EVS) connects the EV2 shift driven gear (EV2P) to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and the power provided from the motor (M) The difference is that the output is formed while forming a lower transmission ratio, so that it is suitable for a higher speed situation.

도 7은 회생모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클러치(CL)를 해제하고 상기 EV싱크로(EVS)가 상기 EV1변속피동기어(EV1P)를 제2출력축(OUT2)에 연결하고 있어서, 구동륜으로부터 역으로 입력되는 동력이 상기 EV1변속피동기어(EV1P)와 EV1변속구동기어(EV1G)를 차례로 거쳐 상기 모터연결기어(5)를 통해 모터(M)로 공급되어, 상기 모터(M)의 발전으로 회생제동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FIG. 7 shows a regenerative mode, in which the clutch CL is released and the EV sync (EVS) connects the EV1 transmission driven gear (EV1P) to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and is input in reverse from the driving wheel.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M) through the motor connecting gear (5) through the EV1 shift driven gear (EV1P) and the EV1 shift drive gear (EV1G) in turn, resulting in regenerative brak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motor (M) State.

도 8은 회생고속모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클러치(CL)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EV싱크로(EVS)가 EV2변속피동기어(EV2P)를 제2출력축(OUT2)에 연결하여, 상기 도 7에 비하여 고속의 상황에서 모터(M)의 회전수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하면서 회생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FIG. 8 shows a regenerative high-speed mode. In the state where the clutch CL is released, the EV sync (EVS) connects the EV2 transmission driven gear (EV2P) to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n contrast, the regenerative braking is performed while preven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M from becoming excessively high in a high-speed situation.

도 9는 후진모드를 구현한 것으로서, 상기 클러치(CL)를 결합하고, 상기 6&R단싱크로(6&RS)가 후진피동기어(RP)를 상기 제2출력축(OUT2)에 연결하고, 상기 아이들싱크로(IDS)가 상기 후진아이들러기어(RI)를 상기 아이들러축(IS)에 회전 구속하여, 상기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이 상기 후진아이들러기어(RI)와 후진구동기어(RG) 및 후진피동기어(RP)를 통해 인출되도록 하고 있다.
9 is implemented as a reverse mode, the clutch (CL) is coupled, the 6&R single-sink (6&RS) connects the reverse driven gear (RP) to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and the idle sync (IDS) ) Rotationally restrains the reverse idler gear (RI) on the idler shaft (IS), so that the power from the engine (E) is the reverse idler gear (RI), the reverse drive gear (RG) and the reverse driven gear (RP) ).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it is understoo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CL; 클러치
E; 엔진
IN; 입력축
OUT1; 제1출력축
OUT2; 제2출력축
M; 모터
IS; 아이들러축
EVS; EV싱크로
OG1; 제1출력기어
OG2; 제2출력기어
1; 링기어
3; 아이들러구동기어
5; 모터연결기어
P1; 1단피동기어
P2; 2단피동기어
P3; 3단피동기어
P4; 4단피동기어
P5; 5단피동기어
P6; 6단피동기어
EV1G; EV1변속구동기어
EV1P; EV1변속피동기어
EV2G; EV2변속구동기어
EV2P; EV2변속피동기어
RI; 후진아이들러기어
IDS; 아이들싱크로
RG; 후진구동기어
RP; 후진피동기어
6&RS; 6&R단싱크로
5S; 5단싱크로
1&3S; 1&3단싱크로
2&4S; 2&4단싱크로
CL; clutch
E; engine
IN; Input shaft
OUT1; 1st output shaft
OUT2; 2nd output shaft
M; motor
IS; Idler axis
EVS; EV Sync
OG1; 1st output gear
OG2; Second output gear
One; Ring gear
3; Idler drive gear
5; Motor connection gear
P1; 1-speed driven gear
P2; 2-speed driven gear
P3; 3-speed driven gear
P4; 4-speed driven gear
P5; 5-speed driven gear
P6; 6-speed driven gear
EV1G; EV1 transmission drive gear
EV1P; EV1 transmission driven gear
EV2G; EV2 shift drive gear
EV2P; EV2 transmission driven gear
RI; Reverse Idler Gear
IDS; Idle Sync
RG; Reverse Drive Gear
RP; Reverse driven gear
6&RS; 6&R single sync
5S; 5-speed sync
1&3S; 1 & 3 stage sync
2&4S; 2 & 4 stage sync

Claims (7)

클러치(CL)를 통해 엔진(E)의 동력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입력축(IN)과;
상기 입력축(IN)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IN)에 구비된 다수의 변속구동기어들과 치합되어 다수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변속피동기어를 구비한 제1출력축(OUT1)과;
상기 입력축(IN)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출력축(OUT2)과;
상기 입력축(IN)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진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제2출력축(OUT2)과 평행하게 배치된 아이들러축(IS)과;
상기 아이들러축(IS)과 상기 제2출력축(OUT2) 사이에 회전력이 전달 가능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된 EV싱크로(EVS);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이들러축(IS)에는 상기 입력축(IN)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후진아이들러기어(RI)가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러축(IS)에는 상기 후진아이들러기어(RI)를 상기 아이들러축(IS)에 회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아이들싱크로(IDS)가 구비되며;
상기 아이들러축(IS)에는 후진구동기어(RG)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출력축(OUT2)에는 상기 후진구동기어(RG)에 치합되는 후진피동기어(RP)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제2출력축(OUT2)에는 상기 후진피동기어(RP)를 상기 제2출력축(OUT2)에 회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후진싱크로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
An input shaft IN installed to receive power of the engine E through the clutch CL;
A first output shaft OUT1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input shaft IN and engaged with a plurality of shift driving gears provided on the input shaft IN to have a plurality of shift driven gears to realize a plurality of shift stages; ;
A second output shaft OUT2 disposed parallel to the input shaft IN;
A motor M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input shaft IN;
An idler shaf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n a state that can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M);
An EV sync (EVS) provided to switch a state in which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idler shaft (IS) and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t comprises,
The idler shaft IS is provided with a reverse idler gear RI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input shaft IN;
The idler shaft (IS) is provided with an idler sink (IDS) for rotationally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reverse idler gear (RI) to the idler shaft (IS);
The idler shaft IS is provided with a reverse driving gear RG integrally;
A reverse driven gear RP engaged with the reverse driving gear RG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s provided with a reverse sync that rotates or restrains the reverse driven gear RP from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AMT hybrid transmission, characterized b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M)는 그 회전축이 상기 입력축(IN)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IN)에는 상기 모터(M)의 로터와 연결되면서 상기 아이들러축(IS)에 일체로 구비된 아이들러구동기어(3)에 치합되는 모터연결기어(5)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tor M is arranged such that its rotation axis forms a concentric axis with the input axis IN;
The input shaft IN is provided with a motor connecting gear 5 engaged with an idler driving gear 3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idler shaft I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rotor of the motor M.
AMT hybrid transmission, characterized b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터연결기어(5)는 그 회전축이 상기 입력축(IN)의 외측에 삽입되는 중공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CL)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모터(M)는 상기 모터연결기어(5)의 외측에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otor connecting gear 5 is formed with a hollow shaft whose rotation shaft is inserted outside the input shaft IN,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lutch CL;
The motor (M)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otor connecting gear (5)
AMT hybrid transmission, characterized b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터연결기어(5)는 그 회전축이 상기 입력축(IN)의 클러치(CL)가 연결된 쪽의 반대편 단부에 인접하게 동심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M)는 상기 모터연결기어(5)의 외측에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otor connecting gear 5 is disposed with a concentric shaft whose rotational shaft is adjacent to the opposite end of the side where the clutch CL of the input shaft IN is connected;
The motor (M)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otor connecting gear (5)
AMT hybrid transmission, characterized b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러축(IS)에는 적어도 2개의 EV변속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2출력축(OUT2)에는 상기 아이들러축(IS)의 변속구동기어에 치합되어 변속단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EV변속피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EV싱크로(EVS)는 상기 EV변속피동기어가 상기 제2출력축(OUT2)에 연결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출력축(OUT2)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dler shaft IS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EV shift drive gears;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EV shift driven gears meshed with the shift drive gear of the idler shaft IS to form a shift stage;
The EV sync (EVS) is installed on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so as to switch the state in which the EV transmission driven gear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AMT hybrid transmission, characterized b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러축(IS)에는 적어도 2개의 EV변속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2출력축(OUT2)에는 상기 아이들러축(IS)의 변속구동기어에 치합되어 변속단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EV변속피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EV싱크로(EVS)는 상기 EV변속구동기어가 상기 아이들러축(IS)에 연결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러축(IS)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dler shaft IS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EV shift drive gears;
The second output shaft OUT2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EV shift driven gears meshed with the shift drive gear of the idler shaft IS to form a shift stage;
The EV sync (EVS) is installed on the idler shaft (IS) to switch the state in which the EV transmission drive gear is connected to the idler shaft (IS).
AMT hybrid transmission,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KR1020140129964A 2014-09-29 2014-09-29 Amt hybrid transmission KR1021197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964A KR102119777B1 (en) 2014-09-29 2014-09-29 Amt hybrid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964A KR102119777B1 (en) 2014-09-29 2014-09-29 Amt hybrid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22A KR20160038122A (en) 2016-04-07
KR102119777B1 true KR102119777B1 (en) 2020-06-09

Family

ID=5578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964A KR102119777B1 (en) 2014-09-29 2014-09-29 Amt hybrid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7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724B1 (en) 2014-11-12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ansmission for hybrid vehicle
KR101878044B1 (en) * 2016-07-22 2018-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ansmission for hybrid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4013A (en) * 2011-12-15 2013-06-24 Aisin Seiki Co Ltd Vehicle drive device
US20130288850A1 (en) * 2010-06-28 2013-10-31 Johannes Kaltenbach Hybrid drive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4069727A (en) * 2012-09-28 2014-04-21 Aisin Ai Co Ltd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hybri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239B1 (en) 2012-12-26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ift control method for vehicle with am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88850A1 (en) * 2010-06-28 2013-10-31 Johannes Kaltenbach Hybrid drive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3124013A (en) * 2011-12-15 2013-06-24 Aisin Seiki Co Ltd Vehicle drive device
JP2014069727A (en) * 2012-09-28 2014-04-21 Aisin Ai Co Ltd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hybri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22A (en)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295B1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KR101543164B1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KR101551123B1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KR101637685B1 (en) Amt hybrid transmission
KR101550984B1 (e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KR20180052808A (en) Structure for transmission of vehicle
KR101637740B1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KR101262498B1 (e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KR20210116722A (en) Hybrid powertrain for vehicle
KR101637687B1 (en) Hybrid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2651622B1 (en) Dual clutch transmission for vehicle
KR20160134967A (en) Hybrid transmission for vehicle
CN106051107A (en) Electric automobile transmission
KR101611076B1 (en) Hybrid transmission for vehicle
KR20140047377A (en) Multiple hydraulic wet clutch transmission for vehicles
KR102119777B1 (en) Amt hybrid transmission
KR20210109064A (en) Hybrid powertrain for vehicle
KR101637686B1 (en) Hybrid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1755794B1 (en) Hybrid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1543086B1 (en) Hybrid power train for vehicle
KR101693937B1 (en) Hybrid transmission for vehicle
US20160265628A1 (en)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CN206112046U (en) Electric automobile transmission
KR101684059B1 (en) Transmission for vehicle
KR20190004862A (en) Transmission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