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0864B1 -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 - Google Patents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864B1
KR102100864B1 KR1020190111992A KR20190111992A KR102100864B1 KR 102100864 B1 KR102100864 B1 KR 102100864B1 KR 1020190111992 A KR1020190111992 A KR 1020190111992A KR 20190111992 A KR20190111992 A KR 20190111992A KR 102100864 B1 KR102100864 B1 KR 102100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mounting portion
unit
plate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화
Original Assignee
강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화 filed Critical 강기화
Priority to KR102019011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대상영역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축부와, 다수개가 상기 축부의 외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각 회전부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거치부와, 내부에 형성되는 적재공간이 외부로 노출되게 전면이 개방되고,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일측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지지되는 다수의 버킷과, 상기 다수의 버킷 중 어느 하나의 버킷을 상기 거치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인출된 상기 버킷을 상기 거치부에 거치하는 인입인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와 거치부의 사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영역과, 이와 수직방향에 위치한 상기 거치부와 거치부의 사이영역에 상기 인입인출수단의 일측이 상하이동하는 가동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상기 거치부와 거치부는 상기 버킷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버킷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설치대상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레일부와, 일측이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가동공간과 대응되는 일측에 배치되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유닛에 안착된 상기 버킷의 일측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버킷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승강유닛 상에 위치한 버킷의 일측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버킷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가압부, 상기 승강유닛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버킷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버킷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및 일측이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버킷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인출플레이트와, 상기 버킷의 저면 중 상기 인출플레이트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인입플레이트와,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 일측에 무한궤도로 회전하되,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와,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출플레이트와 상기 인입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출플레이트를 전방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인입플레이트를 후방으로 가압하되, 상기 버킷을 상기 거치부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상기 버킷이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탈되는 위치까지 상기 버킷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부채꼴 형상의 버킷 및 이의 지지구조를 통해 거치부로부터 인출되는 버킷의 인출거리를 크게 단축하여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전거의 입출고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Bicycle parking tower with bucket}
본 발명은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채꼴 형상의 버킷 및 이의 지지구조를 통해 거치부로부터 인출되는 버킷의 인출거리를 크게 단축하여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전거의 입출고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환경문제가 부각되면서 그 대책으로 근거리 이동시 자전거의 사용이 장려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의 운행은 환경오염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도 도움이 되며 차량정체로부터 자유로운 이점이 있어 그 사용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와 시민단체에서 자전거의 이용을 적극 장려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전국에 자전거 도로망 건설과 더불어 역, 터미널, 백화점, 학교 및 공공시설과 아파트 단지에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한 자전거 보관대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자전거 보관대는 단순히 자전거를 기대어 놓으며 별도의 자물쇠 등으로 자전거 차체나 바퀴를 자전거 주차대와 결속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전거 보관대는 일반적으로 야외의 도로 상에 노출되어 있어 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우천 시에는 비, 바람에 노출되어 자전거가 더러워지거나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전거를 안전하고 깔끔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차량의 주차타워와 같이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주차타워가 개발되고 있는데, 그 일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111243호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이하 '종래의 자전거 주차타워'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자전거 주차타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전거 주차타워(100)는 설치대상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기둥(110)과, 회전기둥(110)의 외면에 다수개가 결합되고 일측에 자전거가 거치된 주차레일(120)과, 주차레일(120) 측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유닛(130)과, 승강유닛(1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주차레일(120)에 주차된 자전거를 파지하여 인출하거나 승강유닛(130) 상에 적재된 자전거를 주차레일(120)에 거치하는 인입인출부(1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 주차타워(100)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 승강유닛(130)이 사용자와 대응되는 입고위치로 이동하여 그 상면에 입고하고자 하는 자전거가 적재되고, 승강유닛(130)이 자전거를 보관하고자 하는 주차레일(120)과 대응되는 위치로 하강하며, 인입인출부(140)가 자전거를 파지한 상태에서 자전거를 주차레일(120) 방향을 밀어넣어 자전거가 주차레일(120)에 주차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 주차타워(100)는 자전거를 입고 또는 출고하는 경우 인입인출부(140)가 자전거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자전거를 주차레일(120)에서 승강유닛(130)으로 또는 승강유닛(130)에서 주차레일(120)로 자전거 전체를 이동해야 하므로 자전거 입고 또는 출고동작에 상당한 동작범위가 요구되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부피가 크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전거 주차타워(100)는 자전거 입출고시 인입인출부(140)가 자전거 전체를 이동하므로 자전거의 이동거리가 증대되고, 이에 자전거의 입출고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면서 사용상 편의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자전거 주차타워(100)는 자전거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를 이동하므로 자전거를 입출고하는 과정에서 인입인출부(140)가 파지한 자전거의 일측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채꼴 형상의 버킷 및 이의 지지구조를 통해 거치부로부터 인출되는 버킷의 인출거리를 크게 단축하여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전거의 입출고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롤러가 버킷을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버킷의 인입 또는 인출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타 구성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장치의 부피를 보다 최소화할 수 있는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설치대상영역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축부와, 다수개가 상기 축부의 외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각 회전부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거치부와, 내부에 형성되는 적재공간이 외부로 노출되게 전면이 개방되고,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일측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지지되는 다수의 버킷과, 상기 다수의 버킷 중 어느 하나의 버킷을 상기 거치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인출된 상기 버킷을 상기 거치부에 거치하는 인입인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와 거치부의 사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영역과, 이와 수직방향에 위치한 상기 거치부와 거치부의 사이영역에 상기 인입인출수단의 일측이 상하이동하는 가동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상기 거치부와 거치부는 상기 버킷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버킷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설치대상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레일부와, 일측이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가동공간과 대응되는 일측에 배치되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유닛에 안착된 상기 버킷의 일측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버킷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승강유닛 상에 위치한 버킷의 일측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버킷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가압부, 상기 승강유닛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버킷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버킷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및 일측이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버킷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인출플레이트와, 상기 버킷의 저면 중 상기 인출플레이트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인입플레이트와,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 일측에 무한궤도로 회전하되,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와,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출플레이트와 상기 인입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출플레이트를 전방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인입플레이트를 후방으로 가압하되, 상기 버킷을 상기 거치부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상기 버킷이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탈되는 위치까지 상기 버킷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인출플레이트는 양측단부가 상기 버킷의 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인입플레이트는 양측단부가 상기 버킷의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부채꼴 형상의 버킷 및 이의 지지구조를 통해 거치부로부터 인출되는 버킷의 인출거리를 크게 단축하여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전거의 입출고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압롤러가 버킷을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버킷의 인입 또는 인출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타 구성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장치의 부피를 보다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자전거 주차타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입인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입인출수단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이 가동공간 내에서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롤러가 인출플레이트를 가압하여 버킷이 승강유닛 상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이 하강하여 사용자와 대응되는 출고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롤러가 인입플레이트를 가압하여 버킷을 거치부에 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입인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입인출수단의 평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킷(40)형 자전거 주차 타워(1)는 축부(10)와, 회전부(20)와, 거치부(30)와, 버킷(40) 및 인입인출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부(1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대상영역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어 후술하는 회전부(20) 및 거치부(30)의 설치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2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부(1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체(21)와, 일측이 회전링체(21)에 연결되어 회전링체(2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소정각도 회전하여 외면에 결합되는 거치부(30)가 동반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거치부(30)에 거치된 버킷(40)을 후술하는 가동공간(31) 및 보관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전링체(21)는 다수개가 축부(10)의 외면에 결합되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축부(10)의 외면에 결합되고, 그 외면에 각각 다수의 거치부(30)가 결합되도록 하여 거치부(30)에 거치되는 다수의 버킷(40)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30)는 대략 단면이 'ㅗ' 형상을 갖는 막대프레임(41)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각 회전부(2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보관하고자 하는 버킷(40)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술하면, 거치부(30)는 회전부(2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됨에 따라 이웃하는 거치부(30)와 거치부(30)의 사이공간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버킷(40)이 사이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저면 양측부가 이웃하는 거치부(30)의 상면 일측에 각각 지지되어 장시간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다수의 거치부(30)에 의해 형성되는 거치부(30)와 거치부(30)의 사이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영역과, 이의 상하방향에 위치한 거치부(30)와 거치부(30)의 사이영역에는 후술하는 인입인출수단(50)의 승강유닛(5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가동공간(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동공간(31)은 거치부(30)와 거치부(30)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는 승강유닛(5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승강유닛(52)의 상하이동동작에 간섭되지 않는 공간으로서, 버킷(40)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한다.
버킷(4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41)과, 프레임(41)의 상하면, 좌우면 및 후면에 각각 결합된 스킨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자전거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S)이 형성됨과 아울러 적재공간(S)으로 자전거를 용이하게 인입, 인출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형성된다.
여기서, 프레임(41)은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 즉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인입인출수단(5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매우 짧은 이동거리만으로 프레임(41)이 거치부(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전거의 인입, 인출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킨부(42)는 개방된 프레임(41)의 좌우면과, 상하면 및 후면을 차폐하여 내부에 자전거의 적재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먼지, 바람 등으로부터 내부에 적재된 자전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인입인출수단(50)은 설치대상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레일부(51)와, 일측이 레일부(51)의 일측에 상하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유닛(52)과, 승강유닛(52)의 상면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53) 및 승강유닛(5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가압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거치부(30)에 버킷(40)을 거치하거나 거치부(30)로부터 버킷(40)을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레일부(51)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빔(beam)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대상영역 일측 중 거치부(30)에 거치된 버킷(40)의 외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승강유닛(52)을 지지함과 아울러 승강유닛(5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이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승강유닛(52)은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가동공간(31)과 대응되는 일측에 배치되며 타측이 레일부(51)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플레이트(52a)와, 레일부(51)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승강플레이트(52a)의 일측에 연결되어 승강플레이트(52a)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력제공수단(5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승강플레이트(52a)는 일측에 후술하는 지지롤러(53) 및 가압부(54)의 설치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지지롤러(53) 및 가압부(54)가 상하방향으로 동반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롤러(53)는 대략 원형의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고, 버킷(40)이 승강플레이트(52a)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버킷(40)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여 버킷(40)이 승강플레이트(52a)에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승강플레이트(52a) 상에서 버킷(40)이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경우 회전하여 버킷(40)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부(54)는 승강유닛(5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승강유닛(52)에 안착된 버킷(40)의 일측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버킷(40)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버킷(40)의 일측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버킷(40)이 후방이동되도록 하여 버킷(40)을 거치부(30)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압부(54)는 버킷(4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인출플레이트(54a)와, 버킷(40)의 저면 중 인출플레이트(54a)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인입플레이트(54b)와, 승강유닛(52)의 상면 일측에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동력전달부(54c)와, 일측이 동력전달부(54c)에 연결되는 동력부(54d)와, 동력전달부(54c)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롤러(54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출플레이트(54a)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버킷(40)의 저면 중 선단측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며, 가압롤러(54e)가 버킷(40)의 전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가압롤러(54e)의 가압력을 버킷(40)에 전달하여 버킷(40)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인입플레이트(54b)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버킷(40)의 저면 중 선단측에 인출플레이트(54a)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인출플레이트(54a)와 평행하게 결합되며, 가압롤러(54e)가 버킷(40)의 후방으로 일측을 가압하는 경우 가압롤러(54e)의 가압력을 버킷(40)에 전달하여 버킷(40)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전달부(54c)는 체인벨트 및 체인벨트가 결합된 기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루프 구조로 설치되어 동력부(54d)로부터 동력이 제공되는 경우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일측에 결합되는 가압롤러(54e)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부(54d)는 일반적인 모터(22)가 사용될 수 있으며, 모터(22)축이 동력전달부(54c)의 기어에 연결되어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함으로써 동력전달부(54c)가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롤러(54e)는 동력전달부(54c)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동력전달부(54c)가 회전하는 경우 이를 따라 동반 이동하며, 이동과정에서 인출플레이트(54a) 또는 인입플레이트(54b)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버킷(40)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이 가동공간 내에서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롤러가 인출플레이트를 가압하여 버킷이 승강유닛 상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이 하강하여 사용자와 대응되는 출고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롤러가 인입플레이트를 가압하여 버킷을 거치부에 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킷(40)형 자전거 주차 타워(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에 설치된 입출고 제어반을 통해 자전거 출고요청신호가 인가되면, 출고요청신호에 포함된 버킷(40)정보를 통해 출고하고자 하는 자전거가 주차된 버킷(40)을 식별하며, 해당 버킷(40)이 거치된 회전부(20)가 회전하여 출고하고자 하는 버킷(40)이 가동공간(31)에 위치한다.
이후, 가동공간(31)의 최하부에 위치한 승강플레이트(52a)가 상승하여 가동공간(31)에 위치한 버킷(40)의 하부로 이동하며, 지지롤러(53)에 버킷(40)의 프레임(41) 하부 일측에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버킷(40) 저면에 형성된 인출플레이트(54a)와 인입플레이트(54b)의 사이영역에 가압롤러(54e)가 배치된다.
동력부(54d)가 구동하면서 동력전달부(54c)가 무한궤도로 회전하게 되며, 동력전달부(54c) 일측에 결합된 가압롤러(54e)가 동력전달부(54c)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면서 인출플레이트(54a)를 버킷(40)의 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버킷(4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승강플레이트(52a)의 상부에 적재된다.
이때, 본 발명은 자전거 인출시 자전거가 보관된 버킷 전체길이 또는 자전거 전체 길이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버킷 또는 자전거를 이동시키는 종래와는 달리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치부(30)와 거치부(30)의 사이공간 및 버킷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버킷(40)의 후단부가 거치부(30)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만큼만 버킷(40)을 이동함으로써 버킷(40)의 인출 또는 인입동작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버킷(40)의 인출 또는 인입동작에 요구되는 공간이 축소되어 전체적인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버킷(40)이 적재된 승강플레이트(52a)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와 대응되는 위치, 즉 출고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버킷(40)에 주차된 자전거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자전거가 인출되면, 승강플레이트(52a)는 상승하여 출고전 가동공간(31)에 배치된 버킷(4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동력부(54d)가 동력부(54d)에 역방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함에 따라 동력전달부(54c)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동력전달부(54c) 일측에 결합된 가압롤러(54e)가 동력전달부(54c)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면서 인입플레이트(54b)를 버킷(40)의 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버킷(40)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와 대응되는 거치부(30)와 거치부(30)의 사이영역으로 인입되어 버킷(40)의 저면 양측부가 이웃하는 거치부(30)와 거치부(30)의 일측에 거치된다.
승강플레이트(52a)는 거치부(30)에 버킷(40)을 거치한 후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한 후 대기하며, 출고요청신호 또는 입고요청신호에 따라 위와 같은 동작 또는 역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자전거의 입고동작은 버킷(40)에 인입되는 자전거의 인입순서만 다를 뿐 장치의 동작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축부 20 : 회전부
21 : 회전링체 22 : 모터
30 : 거치부 31 : 가동공간
40 : 버킷 41 : 프레임
42 : 스캔부 S : 적재공간
50 : 인입인출수단 51 : 레일부
52 : 승강유닛 52a : 승강플레이트
52b : 상하이동력제공수단 53 : 지지롤러
54 : 가압부 54a : 인출플레이트
54b : 인입플레이트 54c : 동력전달부
54d : 동력부 54e : 가압롤러

Claims (5)

  1. 설치대상영역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축부와;
    다수개가 상기 축부의 외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각 회전부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거치부와;
    내부에 형성되는 적재공간이 외부로 노출되게 전면이 개방되고,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일측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지지되는 다수의 버킷과;
    상기 다수의 버킷 중 어느 하나의 버킷을 상기 거치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인출된 상기 버킷을 상기 거치부에 거치하는 인입인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와 거치부의 사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영역과, 이와 수직방향에 위치한 상기 거치부와 거치부의 사이영역에 상기 인입인출수단의 일측이 상하이동하는 가동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상기 거치부와 거치부는 상기 버킷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버킷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설치대상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레일부와;
    일측이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가동공간과 대응되는 일측에 배치되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유닛에 안착된 상기 버킷의 일측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버킷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승강유닛 상에 위치한 버킷의 일측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버킷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가압부;
    상기 승강유닛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버킷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버킷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및
    일측이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버킷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인출플레이트와;
    상기 버킷의 저면 중 상기 인출플레이트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인입플레이트와;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 일측에 무한궤도로 회전하되,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와;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출플레이트와 상기 인입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출플레이트를 전방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인입플레이트를 후방으로 가압하되, 상기 버킷을 상기 거치부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상기 버킷이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탈되는 위치까지 상기 버킷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플레이트는 양측단부가 상기 버킷의 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인입플레이트는 양측단부가 상기 버킷의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
KR1020190111992A 2019-09-10 2019-09-10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 KR102100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92A KR102100864B1 (ko) 2019-09-10 2019-09-10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92A KR102100864B1 (ko) 2019-09-10 2019-09-10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864B1 true KR102100864B1 (ko) 2020-04-14

Family

ID=7029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992A KR102100864B1 (ko) 2019-09-10 2019-09-10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4574A (zh) * 2020-08-19 2020-10-20 杭州焱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助力车管理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613A (ja) * 1993-02-04 1994-08-16 Kawasaki Heavy Ind Ltd 搬送装置
KR20160003138U (ko) * 2015-03-09 2016-09-21 김성진 자전거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613A (ja) * 1993-02-04 1994-08-16 Kawasaki Heavy Ind Ltd 搬送装置
KR20160003138U (ko) * 2015-03-09 2016-09-21 김성진 자전거 주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4574A (zh) * 2020-08-19 2020-10-20 杭州焱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助力车管理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49669B (zh) 一种自行车立体车库系统
CN207225517U (zh) 自行车停靠桩
KR102100864B1 (ko) 버킷형 자전거 주차 타워
CN107675913A (zh) 无障碍空中自行车库
CN108100088A (zh) 一种自行车夹持器
CN108086743B (zh) 一种升降回转装置以及自行车立体车库系统
CN103726698B (zh) 一种升降装置
JP3255607B2 (ja) 立体式駐輪設備
JP2006188866A (ja) 二輪車の立体駐輪装置
CN112127666B (zh) 一种地下自行车库
CN211899917U (zh) 一种无避让滑轨式立体停车库
CN213473202U (zh) 一种钢桶入库搬运车
CN211392796U (zh) 一种用于uv生产线的接料装置
CN208168482U (zh) 一种自行车立体车库系统
CN108086757A (zh) 一种单立柱搬运耙齿型停车设备
CN208168490U (zh) 一种升降回转装置以及自行车立体车库系统
CN209195111U (zh) 自行车立体停车装置及系统
CN208168481U (zh) 一种立柱回转装置及自行车立体车库系统
CN207826389U (zh) 一种自行车夹持器
AU2005243379A1 (en) Cargo storage device
AU2018100139A4 (en) Intelligent Parking System
CN112722679A (zh) 一种自动化上下料设备
CN219858848U (zh) 一种仓储货架结构
CN219219934U (zh) 一种立体式共享单车停车库
CN220596396U (zh) 一种桶装水专用自动传输上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