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689B1 - 방초블록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초블록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2689B1 KR102092689B1 KR1020180085526A KR20180085526A KR102092689B1 KR 102092689 B1 KR102092689 B1 KR 102092689B1 KR 1020180085526 A KR1020180085526 A KR 1020180085526A KR 20180085526 A KR20180085526 A KR 20180085526A KR 102092689 B1 KR102092689 B1 KR 1020926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block
- block body
- anchor member
- adjac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초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변에 각종 잡초나 풀 등이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방초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단차부(110)를 가지며, 상기 단차부(110)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블록본체(100)와; 중첩된 상기 단차부(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인접한 블록본체(100)와 서로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앵커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블록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단차부(110)를 가지며, 상기 단차부(110)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블록본체(100)와; 중첩된 상기 단차부(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인접한 블록본체(100)와 서로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앵커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블록 구조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초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변에 각종 잡초나 풀 등이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방초블록 구조체 및 그에 사용되는 방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도로를 벗어나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도로 주변에는 차량의 도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설치되고, 가드레일에는 절벽, 급경사, 굴곡 도로 등 안전운행을 위하여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태나 도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판이나 야광 반사판 등의 각종 교통안전 시설물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도로 변에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가드레일 주변으로 잡초나 풀이 성장하여, 교통안전 시설물을 가리게 되고, 이는 곧 안전운행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도로 주변의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로 변의 각종 교통안전 시설물을 가리지 않아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도로 변의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도로 변 잡초, 풀 등을 제거하는 제초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바, 수작업을 통해 제초가 진행되므로 비용이나 관리를 위한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으며, 더 나아가 도로 변에서의 작업이므로 작업자가 교통사고 등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571799호는,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을 이용하여 하부블록 간의 길이방향 틈새를 차단하는 방초블록 구조체를 개시하고 있으나, 동일한 지면에 이중으로 블록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블록 자체의 외부온도 변화에 따른 열팽창에 유연하게 대응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870900호는, 잡초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지면에 덮는 방초매트로서, 난연처리되고, UV처리되는 등 강화된 방초매트를 개시하고 있으나, 방초매트의 경우 햇빛의 지속적 노출로 인해 색이 바래는 등의 문제점으로 미관을 해치고, 태풍이나 기상상황이 악화되는 경우 바람 등에 날아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1571799 B1
(특허문헌 2) KR10-087090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 변에 잡초가 생장하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방초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단차부(110)를 가지며, 상기 단차부(110)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블록본체(100)와; 중첩된 상기 단차부(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인접한 블록본체(100)와 서로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앵커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블록 구조체를 개시한다.
상기 단차부(110)들 사이를 통한 식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 중첩시 상기 단차부(110)들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식생방지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1)은, 인접한 블록본체(100)들 사이 간격이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앵커부재(200)가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1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앵커부재(200)가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1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내경이 상기 앵커부재(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슬롯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200)가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부재(200)에 결합되어 상기 앵커부재(200)가 설치된 블록본체(100)와 인접한 블록본체(100)를 서로 고정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너트부재(30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앵커부재(200)가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부재(200)가 삽입된 부분에 대응되는 삽입부(113)와 상기 삽입부(113)의 상측에서 상기 너트부재(3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확장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200)는, 상기 블록본체(100)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100)의 이동방지를 위하여, 상기 블록본체(100) 및 지면과의 마찰을 증대하기 위한 마찰수단(5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수단(500)은, 상기 블록본체(100) 저면 및 지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도로 변에 복수의 방초블록들을 서로 결합시켜 설치함으로써, 도로 변에서의 식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방초블록 구조체를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인접한 방초블록과의 결합에 있어서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방초블록과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방초블록 구조체의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인접한 방초블록과의 결합에 있어서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블록 사이의 틈을 통해 생장하는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인접한 방초블록과의 결합에 있어서 단부, 특히 단차부가 인접한 방초블록의 단부, 즉 단차부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설치되는 방초블록이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열팽창 및 수축으로 설치상태가 변화될 수 있는바, 이러한 변화가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잡초의 생장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설치되는 방초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메우는 부재가 함께 설치됨으로써, 완벽한 방초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설치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도로 변을 따라서 이웃하는 방초블록 간의 결합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직선의 설치환경 뿐만아니라, 곡선으로 형성되는 설치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는, 인접한 방초블록과의 결합에 있어서 단부, 특히 단차부가 인접한 방초블록의 단부, 즉 단차부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인접한 블록본체들의 결합시 그 결합각도의 변화가 가능하므로 직선의 설치환경 뿐만아니라, 곡선으로 형성되는 설치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설치되는 방초블록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잡초 등의 생장은 억제하면서도 배수가 원활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방초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도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도로에 설치된 방초블록 구조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은,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방초블록 구조체 중 방초블록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Ⅶ-Ⅶ방향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방초블록 구조체 중 방초블록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Ⅷ-Ⅷ방향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방초블록 구조체 중 변형된 방초블록을 보여주는 Ⅸ-Ⅸ방향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 중 앵커부재가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를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의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블록본체로 구성되는 방초블록 구조체의 도로 변 설치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로에 설치된 방초블록 구조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은,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방초블록 구조체 중 방초블록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Ⅶ-Ⅶ방향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방초블록 구조체 중 방초블록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Ⅷ-Ⅷ방향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방초블록 구조체 중 변형된 방초블록을 보여주는 Ⅸ-Ⅸ방향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 중 앵커부재가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를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방초블록 구조체의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블록본체로 구성되는 방초블록 구조체의 도로 변 설치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단차부(110)를 가지며, 단차부(110)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블록본체(100)와; 중첩된 단차부(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인접한 블록본체(100)와 서로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앵커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도 1,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 변 중 잡초, 풀 등이 자라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환경에서 식생을 억제함으로써, 주로 도로(1) 변, 인도 등의 경관을 유지하고, 안전운전을 위해 설치되는 각종 도로 안전 표지판 등이 잡초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블록본체가 생산되는 공장 등에서 직접 조립되어 시공현장에서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산된 블록본체를 시공현장으로 운반해 온 뒤 시공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100)는,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단차부(110)를 가지며, 단차부(110)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관통홀(111) 및 앵커부재(200)의 설치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블록본체(100)는, 복수로 설치되며 인접한 블록본체(100)와 결합되어 설치됨으로써 방초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방초대상지역의 넓이에 따라 그 설치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100)는, 플라스틱, 콘크리트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블록본체(100)는, 콘크리드 재질을 가지며, 블록본체(100)의 외부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본체(100)는, 구조 보강을 위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121) 등 구조보강부재가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블록본체(100)는, 블록본체(100)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형상유지를 위하여, 거푸집 내에는 블록본체(100)의 내부보강구조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철근(121)이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채움으로써 블록본체(100)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100)는, 본체부(120)와, 본체부(120)의 양단(블록본체들의 설치방향, 즉 Y축방향) 중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차부(110)를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부(110)는, 인접한 단차부(110)와 상하로 중첩될 수 있도록 본체부(120)의 일단, 바람직하게는 양단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단차부(11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블록본체(100)의 단차부(110)와의 중첩위치에 따라서 본체부(120)의 상면 및 하면, 즉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본체(100)는, 도 3 내지 도 6,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제1실시예로서, 상기 블록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10)가 본체부(120)의 양단에서 각각 형성되며, 그 형성 높이가 서로 겹치지 않고 일단은 본체부(120)의 높이 중 상측에서, 타단은 본체부(120)의 높이 중 하측에서 엇갈려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블록본체(100)를 제작하여 도로 변에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블록본체(100) 복수개를 동일방향으로 하여,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 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단차부(110)는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인접한 블록본체(10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앵커부재(200)가 단차부(110)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111)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로서, 상기 블록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10)가 본체부(120)의 양단에서 각각 형성되며, 그 형성 높이가 서로 겹치지 않고 일단은 본체부(120)의 높이 중 상측에서, 타단은 본체부(120)의 높이 중 하측에서 엇갈려 연장 형성되며, 앵커부재(200)가 블록본체(100)의 양단에 형성되는 단차부(110) 중 일측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와 같이, 동일한 블록본체(100)를 제작하여 도로 변에 길이방향으로 동일 블록본체(100) 복수개를 동일방향으로 하여,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 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하는 블록본체(100)의 앵커부재(200)가 설치되지 않은 관통홀(111)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블록본체(100)의 앵커부재(200)가 관통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이웃하는 블록본체(10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3실시예로서, 상기 블록본체(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10)가 본체부(120)의 양단 동일 높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블록본체(100)를 제작하여 도로 변에 길이방향으로 동일 블록본체(100) 복수개를 이웃하는 블록본체(100)와 상하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번갈아가며 인접배치함으로써, 방초블록 구조체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블록본체(100)의 상하방향이 번갈아가며 배치됨에 따라 단차부(110)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하로 중첩된 단차부(110)의 관통홀(111)을 앵커부재(200)가 관통하도록 삽입 설치함으로써, 이웃하는 블록본체(10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반면, 제3실시예 중, 블록본체(100)의 양단에 형성되는 단차부(110)에 앵커부재(200)가 매립되어 형성되는 경우, 앵커부재(200)가 매립되지 않은 블록본체(100)를 함께 제작하여, 앵커부재(200)가 매립된 블록본체(100)와 관통홀(111)이 형성된 블록본체(100)를 번갈아 배치할 수 있다.
계속하여, 블록본체(100)의 양단 단차부(110)에 매립되어 설치된 앵커부재(200)를 이웃하는 블록본체(100)의 관통홀(111)에 삽입함으로써, 블록본체(100)를 결합 설치할 수 있다.
제4실시예로서, 상기 블록본체(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10)가 본체부(120)의 양단 동일 높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실시예의 경우, 블록본체(100)의 양단에 형성되는 단차부(110) 중 일단에 앵커부재(200)가 매립되고, 타단에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동일한 블록본체(100)를 도로 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블록본체(100)의 단차부(110)가 서로 중첩되도록 블록본체(100)의 상하방향을 바꿔가며 번갈아 배치하며, 앵커부재(200)가 매립된 단차부(110)를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단차부(110)와 중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계속하여, 앵커부재(200)를 중첩된 단차부(110)에 형성된 관통홀(111)에 삽입함으로써, 블록본체(1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5실시예로서, 상기 블록본체(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10)가 본체부(120)의 양단에 형성되고, 측면에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제5실시예의 경우, 도로(1)의 인도 등 구조물(2)에 블록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부(110)가 중첩되도록 배치하거나, 구조물(2)을 블록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부(110) 밑의 공간에 끼워 결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구조물(2)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블록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부(110)에 결합 또는 매립되는 앵커부재(200)를 구조물(2)의 관통홀에 삽입함으로써, 블록본체(100)를 도로(1) 변의 구조물(2)에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10)는, 관통홀(111) 및 앵커부재(200)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관통홀(111) 및 앵커부재(20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110)는, 복수의 블록본체(100)가 배치될 때, 단차부(110)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가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차부(110)는, 블록본체(100)의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높이가 블록본체(100) 높이의 절반 이하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블록본체(100)가 배치될 때, 단차부(110)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하로 배치되는 단차부(110) 사이에 미리 설정된 상하간격을 가지고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간격은, 상하로 배치되는 단차부(110) 사이의 이격거리를 말하며, 후술하는 식생방지부재(4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상하간격은, 후술하는 식생방지부재(400)의 폭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단차부(110)의 블록본체(100) 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하간격은, 후술하는 식생방지부재(400)가 변형이 일정부분 용이한 재질임을 감안하여, 식생방지부재(40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1)은, 단차부(110)에 형성되어, 앵커부재(200)가 삽입됨으로써, 이웃하는 블록본체(100)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관통홀(111)은, 단차부(110)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곡선 구간 등이 잦은 도로 변에 설치됨을 감안하여, 단차부(110)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단차부(110)의 끝단으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상기 관통홀(111)은, 인접한 블록본체(100)들 사이 간격이 가변 가능하도록, 앵커부재(200)가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홀(11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1)은, 앵커부재(200)가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홀(11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내경이 앵커부재(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슬롯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1)은, 앵커부재(20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앵커부재(20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통홀(111)은, 앵커부재(200)가 원활히 삽입되도록 앵커부재(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앵커부재(200)의 상하이동 제한을 위하여 너트부재(300)가 설치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관통홀(111)은, 앵커부재(200)의 상하이동 제한을 위하여 너트부재(300)의 외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너트부재(300)가 관통홀(11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홀(111)은, 앵커부재(200)가 단차부(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직경이 앵커부재(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통홀(111)은, 앵커부재(20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앵커부재(200)가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차부(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블록본체(100)의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열팽창 또는 수축,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럭 조립체의 설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111)은, 너트부재(300)가 지지되도록 직경이 너트부재(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너트부재(300)가 설치되도록 직경이 단차를 가지고 확장되는 확장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111)은, 앵커부재(200)가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부재(200)가 삽입된 부분에 대응되는 삽입부(113)와 삽입부(113)의 상측에서 너트부재(3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확장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112)는, 상기 관통홀(111) 중 너트부재(300)가 설치되도록 직경이 너트부재(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관통홀(1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확장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확장부(112)는, 너트부재(30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확장부(112)는, 너트부재(300)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너트부재(30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앵커부재(20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너트부재(300)가 단차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너트부재(300)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100)는, 확장부(112)에 삽입되어, 관통홀(111)에 삽입되는 앵커부재(200)와 너트부재(3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이웃하는 블록본체(100)의 높이가 일정하고 평평하게 유지되도록하는 마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130)는, 관통홀(111) 중 반경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확장형성되는 확장부(112)에 삽입되어, 앵커부재(200)와 너트부재(3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마감부(130)는, 확장부(112)의 부피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관통홀(111)을 관통하고 확장부(112)로 돌출되는 앵커부재(200)와, 확장부(112)에 설치되는 너트부재(300)가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본체(100)의 평면도 상 확장부(112)가 마감부(130)에 의해 메워짐으로써, 블록본체(100)의 상단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부(130)는, 너트부재(300)의 확장부(112) 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0)는, 단차부(110)가 연장형성 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철근(121)은, 블록본체(100)에 매립 형성되며, 블록본체(100)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철근(121)은, 복수개로 본체부(120) 내부에 교차되어 매립형성되고, 본체부(120)로부터 연장되는 단차부(110)의 형성을 위하여 단차부(110) 내부에도 철근(121) 존재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철근(121)이 매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철근(121)은, 앵커부재(2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차부(110)에 일부가 매립되고 일부가 돌출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200)는, 상하로 중첩된 단차부(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인접한 블록본체(100)와 서로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앵커부재(200)는, 너트부재(300)와의 볼트결합을 위하여 외주면에 너트부재(30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로 중첩된 단차부(110)의 관통홀(111)에 모두 삽입가능한 길이로 형성되며, 더 나아가 블록본체(100)의 높이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200)는, 인접한 블록본체(100)들 사이 간격이 가변 가능하도록, 단차부(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앵커부재(200)는, 삽입되는 관통홀(111)의 직경에 비하여 작은 외경으로 형성됨으로써, 관통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차부(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 할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200)는, 블록본체(100)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단차부(110)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앵커부재(200)는, 앵커부재(200)가 매립되지 않은 단차부(110)에 형성되는 관통홀(111)에 돌출되는 앵커부재(200)를 삽입하여 블록본체(100)를 결합함으로써, 방초블록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부재(200)는, 매립되는 경우 블록본체(100)의 제작과정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 앵커부재(200)를 앵커부재(200)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술한 철근(121)으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앵커부재(200)는, 단차부(110)에 매립될 때, 안정적으로 매립되기 위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앵커부재(2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매립되는 매립부재(210)가 추가로 매립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매립부재(210)는, 블록본체(100)를 제작하는 콘크리트 내부에 앵커부재(200)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고 매립됨으로써, 앵커부재(200)가 블록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매립부재(210)는, 앵커부재(200)의 블록본체(100) 내부에 매립되는 위치에서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앵커부재(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너트로서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매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앵커부재(200)가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부재(200)에 결합되어 앵커부재(200)가 설치된 블록본체(100)와 인접한 블록본체(100)를 서로 고정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너트부재(3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300)는, 앵커부재(200)가 관통홀(111)을 관통하여 블록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앵커부재(200)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으로서, 관통홀(111)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단차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앵커부재(200)의 상하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너트부재(300)는, 앵커부재(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너트로서, 앵커부재(200)와 볼트결합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단차부(110) 사이의 이격거리인 상하간격과, 이웃하는 블록본체(100) 사이에 변형가능한 간격(D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간격과 간격(D1)을 통해 잡초, 풀 등의 식생이 유도되어, 블록본체(100) 위로 잡초나 풀이 자라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상하간격으로의 식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간격에 설치되는 식생방지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단차부(110)들 사이를 통한 식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 중첩시 단차부(110)들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식생방지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생방지부재(400)는, 상하간격과 간격(D1)를 메워 상하간격과 간격(D1)을 통해 지면으로 침투하는 씨앗을 방지하고, 지면으로부터 자라나는 잡초나 풀의 식생을 억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식생방지부재(400)는, 변형 가능한 소재로서, 예를 들면 잡초방지를 위한 부직포로서, 상하간격과 간격(D1)에 대응되는 길이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생방지부재(400)는,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가 우천 시, 배수가 원활하도록 물은 잘 빠지면서, 식생은 억제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블록본체(100)의 이동방지를 위하여, 블록본체(100) 저면에 마찰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수단(500)는, 블록본체(100) 저면에 결합되어, 블록본체(100)의 이동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마찰수단(500)은, 블록본체(100) 저면에 설치되는 지오그리드로서, 지면과의 마찰을 증대시켜, 강풍 등 블록본체(1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블록본체(100)의 설치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마찰수단(500)은, 블록본체(100)의 저면에 복수의 요홈(501)이 형성됨으로써, 지면과의 마찰이 증대되어 블록본체(10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블록본체(100)가 설치되는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의 요홈(5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마찰수단(500)은, 리브(미도시)가 추가로 결합되거나, 저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지면과의 마찰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초블록 구조체는, 보다 효과적인 방초효능을 위하여, 단차부(110), 블록본체(100) 사이의 간격(D1) 및 식생방지부재(400)에 제초제 성분이 환경오염을 고려하여 미량 도포되거나, 살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초제 성분은, 지방족 산제, 페놀제, 아마이드제, 카바메이트제, 요소제, 트라이아진제, 비피리딜리움제, 유라실제 등 산업현장에서 실제 사용되는 제초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초제가 간격(D1)에 망구조물 내부에 담겨 추가 설치됨으로써, 빗물 등에 자연스럽게 살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차부(110), 블록본체(100) 사이의 간격(D1) 및 식생방지부재(400)에 함유되는 제초제는, 환경오염을 고려하여 친환경, 보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제초제 성분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블록본체 200 : 앵커부재
300 : 너트부재 400 : 식생방지부재
500 : 마찰수단
300 : 너트부재 400 : 식생방지부재
500 : 마찰수단
Claims (8)
-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단차부(110)를 가지며, 상기 단차부(110)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블록본체(100)와;
중첩된 상기 단차부(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인접한 블록본체(100)와 서로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앵커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110)들 사이를 통한 식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 중첩시 상기 단차부(110)들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식생방지부재(400)가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111)은, 인접한 블록본체(100)들 사이 간격이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앵커부재(200)가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1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블록본체(100)의 열팽창 또는 수축을 통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앵커부재(200)가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1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내경이 상기 앵커부재(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슬롯 형상을 가지며,
이웃하는 상기 블록본체(100)들 사이에 변형가능한 간격(D1)이 형성되도록 이웃하는 상기 블록본체(100)들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식생방지부재(400)는, 배수가 원활하며, 인접한 블록본체(100)들 사이 간격이 가변 가능하도록 변형가능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블록 구조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200)가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부재(200)에 결합되어 상기 앵커부재(200)가 설치된 블록본체(100)와 인접한 블록본체(100)를 서로 고정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너트부재(30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앵커부재(200)가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부재(200)가 삽입된 부분에 대응되는 삽입부(113)와 상기 삽입부(113)의 상측에서 상기 너트부재(3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확장부(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블록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200)는, 상기 블록본체(100)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블록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00)의 이동방지를 위하여, 상기 블록본체(100) 및 지면과의 마찰을 증대하기 위한 마찰수단(50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블록 구조체.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찰수단(500)은, 상기 블록본체(100) 저면 및 지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오그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블록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5526A KR102092689B1 (ko) | 2018-07-23 | 2018-07-23 | 방초블록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5526A KR102092689B1 (ko) | 2018-07-23 | 2018-07-23 | 방초블록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0900A KR20200010900A (ko) | 2020-01-31 |
KR102092689B1 true KR102092689B1 (ko) | 2020-03-24 |
Family
ID=6936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5526A KR102092689B1 (ko) | 2018-07-23 | 2018-07-23 | 방초블록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26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60334A (zh) * | 2022-05-19 | 2022-08-30 | 中建科技集团有限公司 | 装配式机场道面结构及其施工方法 |
KR102627827B1 (ko) * | 2023-10-24 | 2024-01-23 | 대명알앤텍(주) | 승강장 연단 친환경 고무 마감재의 시공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04224B2 (ja) * | 1998-09-17 | 2001-09-04 | 日本電気株式会社 | Dcオフセットのキャンセルとキャリア検出しきい値測定機能を備えた受信機とその制御方法 |
JP2005307518A (ja) * | 2004-04-20 | 2005-11-04 | Hashimoto Seisakusho:Kk | 路肩ブロック、路肩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路肩部と法面部の整備構造 |
JP2007124987A (ja) * | 2005-11-07 | 2007-05-24 | Inoac Corp | 防草マット |
KR101231146B1 (ko) * | 2012-09-07 | 2013-02-07 | 매크로드 주식회사 | 방초 보도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
JP2016070451A (ja) * | 2014-10-01 | 2016-05-09 | 角銅 秀光 | アンカー部材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7518B1 (ko) * | 2011-02-22 | 2013-03-04 | 류준수 | 지주용 기초구조물 |
JP3204224U (ja) * | 2016-01-20 | 2016-05-26 | 林 四郎 | 防草板状体敷設構造 |
-
2018
- 2018-07-23 KR KR1020180085526A patent/KR1020926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04224B2 (ja) * | 1998-09-17 | 2001-09-04 | 日本電気株式会社 | Dcオフセットのキャンセルとキャリア検出しきい値測定機能を備えた受信機とその制御方法 |
JP2005307518A (ja) * | 2004-04-20 | 2005-11-04 | Hashimoto Seisakusho:Kk | 路肩ブロック、路肩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路肩部と法面部の整備構造 |
JP2007124987A (ja) * | 2005-11-07 | 2007-05-24 | Inoac Corp | 防草マット |
KR101231146B1 (ko) * | 2012-09-07 | 2013-02-07 | 매크로드 주식회사 | 방초 보도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
JP2016070451A (ja) * | 2014-10-01 | 2016-05-09 | 角銅 秀光 | アンカー部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0900A (ko) | 2020-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85577A (en) | Noise-absorbing construction having live plants | |
KR101126658B1 (ko) |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080102356A (ko) | 복합 교량 구조 | |
KR102092689B1 (ko) | 방초블록 구조체 | |
KR100899037B1 (ko) | 블록 조립체 | |
JP4407916B2 (ja) | 路肩ブロックの製造方法 | |
JP6067661B2 (ja) | 防草構造 | |
KR100992055B1 (ko) | 동물 안전 유도형 휀스 | |
KR102219062B1 (ko) |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 |
KR102475707B1 (ko) | 모듈형 보도 블럭로 및 그 시공방법 | |
JPH09154420A (ja) | 防草マット及びその施工法 | |
KR100971444B1 (ko) | 확장형 보도 블록 | |
KR101129586B1 (ko) | 조립형 가로수 보호장치 | |
JP3013304B1 (ja) | 法面等への雑草制御マット固定用ブロック | |
JP2012136930A (ja) | 路肩保護ブロック、路肩構造及び現場打ちコンクリート型枠 | |
KR100523965B1 (ko) | 건축용 조경블럭 | |
KR200222394Y1 (ko) | 야생동물 이동용 교량 설치구조 | |
KR200251413Y1 (ko) | 수로겸용 옹벽 | |
KR20100037710A (ko) | 보.차도 블럭 부등침하방지 시공공법 | |
KR200420332Y1 (ko) | 낙석방지망 설치용 조립식 옹벽블록 | |
KR102347891B1 (ko) |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 |
JP2013223484A (ja) | 害獣侵入防止装置 | |
KR100626325B1 (ko) | 콘크리트 블록과 이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방법 | |
JP3073346U (ja) | コンクリート製排水溝ブロック | |
KR200387013Y1 (ko) | 낙석방지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