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2395B1 - Orthodontic device - Google Patents

Orthodont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395B1
KR102092395B1 KR1020190158142A KR20190158142A KR102092395B1 KR 102092395 B1 KR102092395 B1 KR 102092395B1 KR 1020190158142 A KR1020190158142 A KR 1020190158142A KR 20190158142 A KR20190158142 A KR 20190158142A KR 102092395 B1 KR102092395 B1 KR 102092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ooth
teeth
sub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2395B9 (en
Inventor
김정석
김성현
차정열
최성환
김철순
강호성
서정일
황충주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407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53161B1/en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102019015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3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395B1/en
Publication of KR10209239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395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6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using magnetic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teeth correction by moving a first tooth and a position of the second tooth located at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tooth, which comprises a main wire for connecting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nd moving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using resilience; a disk shaped fixing part fixed on the gum and fixing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main wire; and a first sub-wir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wire and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rthodontic period can be shortened by maintaining the tension and resilience of the main wire which is degra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entire orthodontic device. Also, damage to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occurring in an orthodontic proces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unintentional rotation of a fixing and fastening part can be prevented, thereby increasing safety.

Description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ORTHODONTIC DEVICE}Simple tooth correction device using elastic chain {ORTHODONTIC DEVICE}

본 발명은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교정 종료 후 치아의 이동에 따른 유지장치의 탄성 저하에 따라 치아의 이동이 중지되는 경우, 이를 즉시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치아를 지속적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이한 치아 교정을 이룰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tooth correction device using an elastic chain. In more detail, when the movement of the tooth is stopped due to a decrease in elasticity of the retaining device due to the movement of the tooth after completion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it is immediately reflected and continuously moving the tooth in a desired direction to achieve easy orthodontic treatmen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치아는 색깔 및 형태로부터 형성되는 외관상의 이미지로 인해 개인적 외모를 연출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 되며, 치아를 올바르게 정렬하는 것은 치아 자체뿐만 아니라 안면의 골격구조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외적 이미지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a tooth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create a personal appearance due to the appearance image formed from color and shape, and correct alignment of teeth affects not only the tooth itself, but also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face. It is known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특히, 치아가 고르게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부정 교합이라 하는데, 부정 교합의 경우, 외적 이미지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음식을 잘 씹을 수가 없고, 발음에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In particular, the case where the teeth are not evenly formed is called malocclusion. In the case of malocclusion, it is not possible to chew food well and functionally as well as to the effect on the external image, and may adversely affect pronunciation.

또한, 부정 교합을 방치하게 되면 충치 또는 잇몸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장기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른 질병을 유발하거나 더 악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부정 교합이 있는 경우, 치아 교정을 통해 치아를 올바른 위치 및 자세로 움직여 올바른 치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malocclusion is neglected, the likelihood of the occurrence of tooth decay or gum disease increases, and other parts of the body have a long-term effect, which may cause or worsen other diseases. Therefore, in the case of malocclusion,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correct dentition state by moving the teeth to the correct position and posture through orthodontics.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치아 교정을 통해 외모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치아 교정을 통해 치아와 무관하다고 오해하던 다른 병들이 치유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치의학적 치료 중에서 치아의 교정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방법이나 기술 또한 눈부시게 발전되어 왔다. 여기서, 치아 교정이라 함은 치아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치조골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치아를 움직여 주는 기능적 또는 심미적 치료를 말한다.In fact, many people gain confidence in their appearance through orthodontic treatment, and in addition, orthodontic treatment can sometimes heal other illnesses that they believe are unrelated to teeth. For this reason, among dental treatments, orthodontic surgery has a long history, and the method and technique have also been remarkably developed. Here, orthodontic refers to a functional or aesthetic treatment that moves a tooth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alveolar bone by applying an appropriate force to the tooth.

치아 교정에는 치아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치아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치아 교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치아 교정기는 교정을 위한 브라켓(bracket)과 탄성을 갖는 교정용 와이어(Arch wire)를 포함한다. 부정교합을 각 치아의 근원심 폭경의 길이 합계 대비 치아의 배열을 위한 악궁의 길이에 대한 차이로 구분한다면, 치아가 배열되는 악궁의 길이가 작고 전체 치아의 근원심 폭경의 길이가 클 경우, 치아는 겹치는 형태로 배열되는 부정교합을 이루게 된다. 반대로, 악궁의 길이가 치아의 합한 근원심폭경보다 클 경우, 악궁의 길이가 치아를 배열 하고도 그 길이가 남아서 치아는 듬성듬성하게 치아간의 틈새가 보이도록 배열되는 부정교합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치아 교정기에서 브라켓은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의 치면(tooth face)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교정용 와이어는 부착된 브라켓 내에 장착된다. 치아 교정 장치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12779호에 제안된 바 있다.In orthodontics, a dental brace is used to gradually move the teeth to fix the position of the teeth. Conventional conventional dental braces include a bracket for orthodontic and an elastic orthodontic wire. If the malocclusion is divid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eccentric width of each tooth and the length of the arches for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the length of the arches in which the teeth are arranged is small and the length of the eccentric width of the entire teeth is large. Will form malocclusions arranged in overlapping form. Conversely, if the length of the arch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root myocardial widths of the teeth, the length of the arch is retained even if the teeth are arranged, so that the teeth form a malocclusion that is arranged so that the gaps between the teeth are visible. To this end, in the orthodontic appliance, the bracket is firmly attached to the tooth 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and the orthodontic wire is mounted in the attached bracket. The orthodontic device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2779.

하지만, 선행문헌의 경우 교정을 위한 와이어를 지속적으로 교체 및 재장착해야 하고, 치아 간을 연결하는 고무줄이 이탈할 수 있어 이를 지속적으로 확인 및 장착해야 하며, 치아 교정 현황에 대응하여 치아 교정 장치를 교체하여 치아에 이동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고통 및 번거로움을 극대화할 수 있어 교정을 기피하게 되는 주요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literature, the wire for orthodontics must be constantly replaced and re-installed, and the rubber band connecting the teeth may be detached, so it must be continuously checked and installed, and the orthodontic device should be installed in response to the orthodontic status.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imparting mobility to the teeth by replacemen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ain and hassle of the patient, and thus has a problem that it is a major cause of avoiding orthodontics.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779호 (2015.04.10. 등록)Prior Literature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12779 (2015.04.10. Registr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교정 장치의 탈착 및 재장착을 위한 치아 및 잇몸의 가공을 최소화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minimize the processing of teeth and gums for removal and re-installation of the orthodontic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치아의 이동력을 용이하게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impart the mobility of teeth.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치아 및 상기 제1 치아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제2 치아의 위치를 이동시켜 교정을 실시하는 장치로서,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연결하고 복원력을 이용하여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메인와이어(230), 잇몸에 설치되며 메인와이어(230)의 일단 또는 타단을 고정하는 원판 형상의 고정부(240) 및 메인와이어(230) 및 고정부(2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서브와이어(22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rrecting by mov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teeth, connecting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and using the restoring force, the first teeth And a main wire 230 that moves the second tooth in an outer direction or an inner direction, a fixed portion 240 and a main wire 230, which are installed in the gum and fix one or the other end of the main wire 230, and And a first subwire 220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parts 240.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교정 장치 전체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이동에 따라 저하되는 메인와이어의 장력 및 복원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교정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orthodontic period by maintaining the tension and restoring force of the main wire which is deterio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teeth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entire orthodontic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교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to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occurring in the orthodontic proces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도하지 않게 고정구속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ed constraining part from rotating unintentionally, thereby increasing safe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222) 및 턱부(22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턱부(221)에 의해 고정부(240)가 가이드부(222) 상에 삽입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의 회전에 따른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식부(242), 음각홈(243) 및 제1 자성체(24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 및 회전부(3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공(302) 및 제2 자성체(30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301)가 음각홈(243)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6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7 is a view showing the guide portion 222 and the jaw portion 2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xing portion 240 is not inserted on the guide portion 222 by the jaw portion 2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xing uni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recognition unit 242, the intaglio groove 243 and the first magnetic body 24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240 and the rotating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12 is a view showing the insertion hole 302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3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at the protrusion 3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taglio groove 24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isclos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turally understood or more apparent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외측 방향”은 구강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도 1 내지 도 5의 우측 방향을 뜻하고, “외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내측 방향”은 구강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서 도 1 내지 도 5의 좌측 방향을 뜻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outward direction" means the right direction of FIGS. 1 to 5 in the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o the outside, and "inside direction" which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of "outside direction" is The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means the left direction of FIGS. 1 to 5.

또한, 제1 치아는 전치부(앞니 부분)이고 제2 치아는 구치부(어금니 부분)이며,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교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교정을 실시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속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는 도 1 내지 도 6은 보다 명확한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이동을 표현하기 위해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일렬로 배열하여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tooth is an anterior portion (front tooth portion) and the second tooth is a molar portion (molar por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re moved inwards to explain the cor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ase in which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are moved in the outer direction to perform correction may also belo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S. 1 to 6 are illustrated by arranging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in a line to express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teeth more clear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제1 치아 및 제2 치아가 형성된 치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교정 경로를 제공하는 아치와이어(110),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연결하는 메인와이어(230), 메인와이어(230)의 일단 또는 타단을 고정함으로써 고정단을 형성하도록 하는 고정부(240), 메인와이어(230)와 연결됨으로써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의 장력을 제공하는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치아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부착부(120)를 포함한다.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rthodontics in which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are formed, the arch wire 110 and the first to provide the orthodontic paths of the first and second teeth. The main wire 230 connecting the teeth and the second tooth, the fixing part 240 to form a fixed end by fixing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main wire 23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wire 230 to the outside or inside It includes a first sub-wire 220 providing a tension in the direction and the attachment portion 120 to move the teeth in the outer direction or the inner direction.

아치와이어(110)는 치아의 교정 치형에 대응하는 궤적으로 형성되어 치아군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된다. 즉, 아치와이어(110)는 치아의 교정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제1 치아 및 제2 치아가 의도하지 않게 이동하여 교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아치와이어(110)는 제1 치아 및 제2 치아가 형성된 치열을 따라 형성되는 와이어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아치와이어(110)는 교정이 필요한 제1 치아 및 제2 치아 전체에 걸쳐져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아치와이어(110)는 치아 교정을 받고자 하는 환자의 치열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치와이어(110)는 궁극적으로 교정하고자 하는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제1 치아 및 제2 치아에 측압 또는 뒤틀림력을 부여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가이드 역할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아치와이어(11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내측 방향을 향하는 아치와이어(110)의 양 끝단은 앵커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됨으로써 구강의 상하방향에 각각 위치할 수 있는 한 쌍의 아치와이어(110)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The arch wire 110 is formed as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orthodontic teeth of the teeth and is provided on the labial or lingual side of the tooth group. That is, the arch wire 110 prevents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from being unintentionally moved and corrected by providing the orthodontic path of the teeth. To this end, the arch wire 1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formed along the dent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teeth are formed. In addition, the arch wire 110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across the entire first and second teeth needing correction. That is, the arch wire 1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dentition state of the patient to be orthodontic. As the arch wire 110 is ultimately provided in a shape to be corrected, it serves as a guide for correcting dentition by applying lateral pressure or twisting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teeth. To this end, the arch wire 110 may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and may be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both ends of the arch wire 110 facing toward the inner direction are provided with anchor brackets (not shown), so that a pair of arch wires 110 that can b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ral cavity can be easily detached. can do.

메인와이어(230)는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연결하고,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메인와이어(230)는 스프링 등의 탄성을 갖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양 끝단이 제1 치아 및 제2 치아에 각각 연결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메인와이어(230)는 호 형상 또는 아치와이어(110) 방향으로 개방된 '디귿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큰 복원력으로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가압하여 교정을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메인와이어(230)는 후술할 부착부(120)와 연결되되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부착부(120)의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The main wire 23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an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teeth in a direction to be corrected using a restoring force. To this end, the main wire 230 is provided as a means having elasticity such as a spring, and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main wire 230 is formed in an arc shape or an 'dispensing' shape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arch wire 110, so that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can be pressed and corrected with greater resilience. have. 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main wire 230 is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ortion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is positioned in an outer direction or an inner direction of the attachment portion 1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can do.

일례로, 제1 치아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메인와이어(230)의 일단은 제2 치아에 부착된 부착부(12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타단은 제1 치아에 부착된 부착부(120)의 외측 방향에 배치된다. 이후 메인와이어(230)가 후술할 제1 서브와이어(220)를 통해 내측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 치아 및 제2 치아에 부착된 부착부(120) 및 상기 부착부(120)에 부착된 제1 치아 및 제2 치아는 내측 방향으로 가압된다. 추가적으로,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을 향하는 타단이 고정단으로 작용하는 메인와이어(230)의 복원력이 내측 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제2 치아는 메인와이어(230)의 복원력 및 제1 서브와이어(220)의 장력을 통해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메인와이어(230)는 제1 치아의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치아를 용이하게 내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In one example, when the first tooth is to be moved in the inner direction, one end of the main wire 230 is locat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attachment portion 120 attached to the second tooth,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first tooth. It is dispos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portion 120. Thereafter, as the main wire 230 is pulled in the inner direction through the first sub-wire 220 to be described later, the attachment portion 120 and the attachment portion 120 attached to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re attached.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re pressed inward. Additionally, as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in wire 230, the other end of which is relatively outward, acts as a fixed end, acts in the inner direction, the second tooth is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in wire 230 and the first subwire 220. It moves inward through tension. That is, the main wire 230 can easily press the second tooth in the inside direction while being fix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tooth.

아울러, 제1 치아에 근접한 메인와이어(230)는 고정부(240)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고, 이로 인해 치열 교정 대상이 되는 제2 치아가 후방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힘 조절과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후 제2 치아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나면 제1 치아에 근접한 메인와이어(230)가 아치와이어(110)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이 조정된다. 따라서, 제2 치아의 이동 후 제1 치아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연스러운 이동이 유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wire 230 close to the first tooth receives a force pulled in the inner direction by the fixing part 240, thereby adjusting the force and moving distance so that the second tooth, which is the orthodontic target, moves backward. It is responsible for coordination. Then, after the second tooth is moved rearward, the elasticity is adjusted as the main wire 230 close to the first tooth moves inward along the archwire 110. Therefore, natural movement may be induced while the first tooth moves in the inner direction after the second tooth moves.

고정부(240)는 메인와이어(230)를 내측 방향으로 당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세하게, 고정부(240)는 메인와이어(230)의 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치아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부(240)는 메인와이어(230)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당기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메인와이어(230)가 탄성을 이용하여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교정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240)는 잇몸에 설치되며 메인와이어(230)의 일단 또는 타단을 고정하며, 고정되는 메인와이어(230)의 끝단은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교정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240 is provided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wire 230 is pulled in the inner direction. In detail, the fixing part 240 is a configuration for easily moving the target tooth orthodontic teeth by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in wire 230. In more detail, the fixing part 240 pulls the main wire 230 in an outer direction or an inner direction, and the main wire 230 generated thereby causes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to be inward or outward by using elasticity. By pressing in the direction, easier calibration is performed. To this end, the fixing part 240 is installed on the gum and fixes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main wire 230, and the ends of the fixed main wire 230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rr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Can be set.

고정부(240) 및 메인와이어(230)의 사이에는 제1 서브와이어(220)가 더 구비된다. 제1 서브와이어(220)는 메인와이어(230)를 고정부(240)가 위치한 방향으로 당기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서브와이어(220)는 당기고자 하는 메인와이어(230)의 끝단을 기준으로 고정부(240)가 위치한 방향으로 상기 메인와이어(230)의 끝단을 당기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 서브와이어(220)는 메인와이어(230)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부(240)와 연결되는 와이어 등으로 구비된다. 보다 용이한 메인와이어(230)의 당김을 위해, 제1 서브와이어(220)는 곡률지게 형성되어 구비되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1 서브와이어(220)는 메인와이어(23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ubwire 22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art 240 and the main wire 230. The first sub-wire 220 is configured to pull the main wire 2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art 240 is located. In detail, the first sub-wire 220 serves to pull the end of the main wire 2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art 240 is located based on the end of the main wire 230 to be pulled. To this end, the first sub-wire 220 is provided with a wire or the like extending from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main wire 230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240. For easier pulling of the main wire 230, the first sub-wire 220 may be provided with a curvature to have elasticity.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wire 220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main wire 230.

제1 서브와이어(220)가 메인와이어(230)의 끝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메인와이어(230)의 의도하지 않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치아 교정의 정확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와이어(220)가 메인와이어(230)와 연결되는 아치와이어(110)를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당기기 때문에, 제1 치아 및 제2 치아는 메인와이어(230)의 복원력, 제1 서브와이어(220)의 장력 등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교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 교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sub-wire 2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ain wire 230, unintentional shaking of the main wire 230 can be prevented,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orthodontics. In addition, since the first sub-wire 220 pulls the arch wire 110 connected to the main wire 230 in the inner direction or the outer direction,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re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in wire 230, the second 1 It can be moved to a desired calibration position more easily by the tension of the sub-wire 220, etc.,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calibration.

부착부(120)는 메인와이어(23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부착부(120)는 별도의 접착수단을 통해 제1 치아 및 제2 치아에 부착되어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부착부(120)는 복수로 구비되되 고리 또는 링크 등의 체결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부(120)는 아치와이어(110)가 형성된 경로 상에서 치아와 접하고, 부착부(120)의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에는 선술한 메인와이어(230)가 배치됨으로써, 메인와이어(230)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메인와이어(230)는 부착부(120)에 의해 복원력이 제거될 때까지 이동하지 않고 일정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가압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한 교정이 가능하다.The attachment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prevent excessive movement of the main wire 230. To this end, the attachment portion 120 is attached to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through separate adhesive means.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attachment portion 120 is provided in plural, but may be form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ring or a link. Accordingly, the attachment portion 120 is in contact with the teeth on the path where the arch wire 110 is formed, and the main wire 230 described above is disposed in the outer direction or the inner direction of the attachment portion 120, so that the main wire 230 In respons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is moved in the outer direction or the inner direction. Here, since the main wire 230 maintains a constant state without moving until the restoring force is removed by the attachment portion 120,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ess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for easier calibration. It is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서브구속부(250)를 더 포함한다. 서브구속부(250)는 복수의 부착부(120)를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보다 신속하게 교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서브구속부(250)는 양 끝단에 고리 등의 체결수단이 형성된 와이어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서브구속부(250)는 제1 치아 및 제2 치아 이외에도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사이에 위치한 제3 치아(14)를 이동시킨다. 상세하게, 서브구속부(250)의 양단은 제1 치아 및 제2 치아에 부착된 부착부(120)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서브구속부(25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은 메인와이어(230)와 연결된다. 여기서, 메인와이어(230)와 연결되는 서브구속부(250)의 어느 하나의 끝단은 제1 치아, 제2 치아 및 제3 치아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에 위치한 메인와이어(230)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메인와이어(230) 및 서브구속부(250)의 휨 현상과 원형으로 복원 되려는 힘을 이용하여 아치와이어(110)가 치열방향으로 이동되려는 힘을 발생시킨다. 메인와이어(230) 및 서브구속부(250)가 아치와이어(110)를 당기는 힘은 상악이나 하악에 박힌 고정부(240)에 의해 발생된다. 이로 인해, 메인와이어(230)가 복원력에 의해 신장하는 과정에서 서브구속부(250) 또한 일체로 상기 메인와이어(230)의 신장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치아, 제2 치아 및 제3 치아를 일괄 이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b-binding portion 250 as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ub-constraining part 250 is configured to more quickly correct the plurality of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attachment parts 120. To this end, the sub-constraining portion 250 may be provided with wires having fastening means such as rings formed at both ends. In addition, the sub-constraining part 250 moves the third tooth 14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eth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teeth. In detail, both ends of the sub-constraining portion 25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ortion 120 attached to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nd one end of either end of the sub-constraining portion 250 is the main wire ( 230). Here, one end of the sub-constraining part 250 connected to the main wire 23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ain wire 230 located in a direction to move the first tooth, the second tooth and the third tooth You can. That is, by using the bending phenomenon of the main wire 230 and the sub-constraining portion 250 and the force to be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the arch wire 110 generates a force to be moved in the dental direction. The force that the main wire 230 and the sub-constraining portion 250 pulls the arch wire 110 is generated by the fixing portion 240 embedded in the maxilla or the mandible. Due to this, in the process of the main wire 230 is extended by the restoring force, the sub-restriction part 250 also integrally moves the first tooth, the second tooth, and the third tooth as it mov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wire 230. It can be moved in bulk.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링크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링크부재(260)는 선술한 서브구속부(25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메인와이어(230)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 배치된 교정 대상 치아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링크부재(260)는 와이어가 꽈배기 형태로 꼬인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재(260)는 부착부(120) 및 서브구속부(250)와 연결된다. 이를 통해 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치아에 대해서도 균일한 치아 교정을 실시할 수 있어 교정 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 link member 26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provided. In detail, the link member 260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role as the sub-constraining section 250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to easily move the orthodontic target teeth spaced apart from the main wire 230. To this end, the link member 260 is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wire is twisted in the shape of a pretzel, and the link member 260 is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art 120 and the sub-restriction part 25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uniformly orthodontize even the farther teeth, thereby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orthodontic period.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대비 접속부(270)를 더 포함한다. 접속부(270)는 메인와이어(230) 및 제1 서브와이어(220)를 용이하게 탈착 및 교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접속부(270)는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을 향하는 메인와이어(230) 및 제1 서브와이어(220)의 끝단이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끼움수단으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접속부(270)는 걸고리 방식이나 끼움 타입 커넥터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접속부(270)를 통해, 제1 서브와이어(220) 및 메인와이어(230)는 용이하게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돌발 상황 발생 시 보다 신속한 대처를 통한 교정 기간의 연장을 방지하고, 환자로 하여금 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270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270 is a configuration for easily detaching and replacing the main wire 230 and the first subwire 220. In detail, the connecting portion 270 is provided as a fitting means in which the ends of the main wire 230 and the first sub-wire 220 facing inward or outward are simultaneously inserted.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27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hook type or a fitting type connector.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270,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main wire 23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la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nsion of the correction period through a quicker response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and to provide the patient with a mental stability.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발치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치부재(500)는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사이에 위치하는 발치 대상 치아를 발치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발치부재(500)는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사이에 위치하되, 발치 대상인 제4 치아(32) 상에 부착된 부착부(120)와 연결된다. 상세하게, 발치부재(500)의 일측은 고정부(240)와 연결되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4 치아의 부착부(120)와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발치부재(500)는 잇몸의 상측 방향(도 5 참조)으로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부착부(120) 및 제4 치아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따라서, 서서히 제4 치아를 발치할 수 있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ooth extraction member 500 when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extraction member 500 is a means for extracting a tooth to be extracted located between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To this end, the extraction member 50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but is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ortion 120 attached to the fourth tooth 32, which is the extraction target. In detail, one side of the tooth extraction member 500 is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240,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art 120 of the fourth tooth. In this state, the extraction member 500 uses the elastic forc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um (see FIG. 5) to push the attachment portion 120 and the fourth tooth upward. Therefore, the fourth tooth can be gradually extrac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도 6에 따른 고정부(240)는 앞서 언급한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모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240)는 후술할 회전부(300)를 통해 회전하여 제1 서브와이어(22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메인와이어(230)의 탄성을 조절하여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부(240)는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와 접하여 상기 제1 서브와이어(220)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24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톱니부가 형성되며,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의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24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서브와이어(220)를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fixing unit 240 according to FIG. 6 is applied to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S. 1 to 5, wherein the fixing unit 240 is rotated through the rotat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b-wire 2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lasticity of the main wire 23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in the inner or outer direction. In detail, the fixing part 240 adjusts the length of the first sub-wire 220 in contact with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To this end, the fixing part 240 is formed in a disk shape, a toothed par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position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In addition, the fixing part 240 moves the first sub-wire 220 in the inner direction or the outer direction as it rotates around the central axis.

제2 서브와이어(280)는 고정부(240)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 서브와이어(280)는 끝단이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고정부(24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별도의 거치수단에 삽입되어 보관되며, 상기 별도의 거치수단은 환자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 아말감 등의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서브와이어(280)는 고정부(240)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면접촉을 이루며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서브와이어(220)는 제2 서브와이어(280)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장력이 조정된다.The second sub-wire 280 provides a path for easily rotating around the central axis while the fixing part 240 is fixed in position. To this end, the second sub-wire 280 is provided so that the end is facing outward and is inserted into and stored in a separate mounting means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240, the separate mounting means allows the patient to feel It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such as amalgam that does not feel or a metal material. The second sub-wire 280 forms a surface contact when the fixing part 240 rotates around the central axis, and moves in an outer direction or an inner direction, and the first sub-wire 220 is a second sub-wire 280 The tension is adjusted as it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222) 및 턱부(22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은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 중에 제1 서브와이어(220)를 일례로 도시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턱부(221)에 의해 고정부(240)가 가이드부(222) 상에 삽입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guide portion 222 and the jaw portion 2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of the first sub-wire 220 of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As shown.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xing part 240 is not inserted on the guide part 222 by the jaw part 2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에는 가이드부(222) 및 턱부(221)가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 가이드부(222) 및 턱부(221)는 제1 서브와이어(220)의 상면 및 제2 서브와이어(280)의 하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서브와이어(220)의 상면 및 제2 서브와이어(280)의 하면은 평평하고 턱부(221)가 형성된 제1 구역(a1) 및 가이드부(222)가 형성된 제2 구역(a2)으로 구분된다.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are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222 and a jaw portion 221. In detail, the guide part 222 and the jaw part 221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wire 280.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wire 280 are flat and the first area (a1) having the jaw portion 221 and the second area (a2) having the guide portion 222 formed thereon. It is separated by.

제1 구역(a1)은 고정부(240)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표면에 턱부(22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240)가 무분별하게 가이드부(222)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세하게, 고정부(24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톱니부가 가이드부(222)에 계합되도록 배열되지 않은 경우, 고정부(240)는 턱부(221)에 걸려 제2 구역(a2)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제1 구역(a1)에는 가이드부(222)가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고정부(240)가 제1 구역(a1)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하더라도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와 맞물리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서브와이어(22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턱부(221)의 높이는 가이드부(222)의 하면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톱니부가 가이드부(222)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턱부(221)의 상면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222)에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area (a1)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prevent the fixing part 240 from rotating unintentionally, and the fixing part 240 indiscriminately guides the part 222 as the chin part 221 is provided on the surface. ). In detail, when the tee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240 are not arranged to engage with the guide part 222, the fixing part 240 is caught by the jaw part 221 and moves to the second zone a2 Is limited. In addition, since the guide portion 222 is not formed in the first region a1,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20 are rotated even when the fixing portion 240 rotates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first region a1. It is not engaged with the subwire 280. Therefore, the tension of the first subwire 220 is maintained constant.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jaw portion 221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22, so that the top portion of the jaw portion 221 is in a state where the tooth portion is placed in the guide portion 222. Passing through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22.

반면, 제2 구역(a2)은 고정부(2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부(222)가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고정부(24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에 대응되는 가이드부(22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222)는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를 통해, 고정부(240)는 제1 구역(a1) 상에 위치하다가 제2 구역(a2)을 향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톱니부가 가이드부(222)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후 회전함으로써, 제1 서브와이어(2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zone (a2) is a space where the guide portion 222 for rotating the fixing portion 240 is formed, and a guide portion 222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ee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40 ) Is provided. The guide portion 222 is formed along the outer direction and the inner direction. Through this, the fixing part 240 is located on the first zone (a1) and then moves rearward toward the second zone (a2) and rotates after the teeth are arranged to mesh with the guide part (222), and then rotates. The length of the wire 220 can be adjusted.

또한,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의 끝단에는 고정부(24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고정부(240)가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2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탈방지부(223)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제1 서브와이어(220)의 상면 및 제2 서브와이어(28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가이드부(222)의 높이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240)가 회전 과정에서 제1 이탈방지부(223)에 걸림으로써,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구역(a2)에는 제1 이탈방지부(223)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제2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1 이탈방지부(223)의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ends of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the fixing part 240 is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due to the rotation of the fixing part 240 )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223 to prevent departure from.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223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provided that the heigh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wire 280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guide portion 222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ing part 24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by being caught by the first departure-preventing part 223 during the rotation process. Additionally, a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serving the same role as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223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a2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223.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의 회전에 따른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xing uni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선술한 바와 같이, 톱니부가 가이드부(222)에 계합되지 않도록 배열되는 경우, 고정부(240)는 턱부(221)에 의해 가로막힘으로써, 제1 구역(a1)에서 제2 구역(a2)을 향한 후방 이동이 제한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eth are arranged so as not to engage with the guide portion 222, the fixing portion 240 is blocked by the jaw portion 221, thereby blocking the second region a2 from the first region a1. Rearward movement towards the vehicle is limited.

반면, 톱니부가 가이드부(222)에 맞물리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가이드부(222)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톱니부는 가이드부(222)에 삽입되고 고정부(240)는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240)가 후술할 회전부(300)에 의해 회전(도 9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뜻함)하는 경우, 제1 서브와이어(220)는 내측 방향(도 9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서브와이어(280)는 외측 방향(도 9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서브와이어(220)의 길이 및 장력이 조정되고, 메인와이어(230)는 제1 서브와이어(220)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uide portion 222 moves rearward while the tooth portion is arranged to engage the guide portion 222, the tooth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22 and the fixing portion 240 is the first subwire 220 ) And the second subwire 280. In this state, when the fixing part 240 is rotated by the rotat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meaning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FIG. 9), the first sub-wire 220 is inward (left direction in FIG. 9). And the second sub-wire 280 moves in an outer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in FIG. 9). Accordingly, the length and tension of the first sub-wire 220 are adjusted, and the main wire 230 is pulled by the first sub-wire 220 to move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in the outer or inner direction. You can.

상기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통해, 치아의 지속적인 교정을 위한 교정 장치를 전체적으로 탈착 및 재장착하지 않아도 고정부(240)의 회전만으로도 상기 치아에 대해 지속적으로 가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의 교정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환자의 고통 및 번거로움을 덜 수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240)가 의도하지 않게 조여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configuration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essurize the tooth even by rotating the fixing part 240 without removing and re-installing the orthodontic device for continuous orthodontic correction of the tooth. Therefore, the orthodontic period of the teeth can be drastically shortened and the patient's pain and hassle can be reduced,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In addition, the fixing part 2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intentionally tightened or released, thereby increasing safety.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식부(242), 음각홈(243) 및 제1 자성체(24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recognition unit 242, the intaglio groove 243 and the first magnetic body 24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고정부(240)는 인식부(242), 음각홈(243) 및 제1 자성체(244)를 더 포함한다.The fixing unit 240 further includes a recognition unit 242, an intaglio groove 243, and a first magnetic body 244.

인식부(242)는 선술한 턱부(221)와의 접촉을 통해 고정부(240)의 위치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식부(242)는 고정부(240)의 후방(도 10의 좌상측 방향을 뜻함)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240) 및 톱니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으며, 상기 고정부(240)와 일체가 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240)가 선술한 제1 구역(a1)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이동하고, 톱니부 및 가이드부(222)가 서로 계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경우, 인식부(242)는 턱부(221)와 접하게 된다. 여기서, 인식부(242) 및 턱부(221)는 후술할 회전부(300)에 의해 미세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인식부(242) 및 턱부(221)는 서로 통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정부(240)가 제2 구역(a2) 상에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recognition unit 242 serves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fixing unit 240 through contact with the aforementioned chin portion 221. To this end, the recognition unit 242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xing unit 240 (meaning the upper left direction in FIG. 10)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fixing unit 240 and the toothed unit, and the fixing unit 240 ). Accordingly, when the fixing part 240 is pushed backward and moved while being disposed in the first zone a1 described above, when the tooth part and the guide part 222 are arranged not to engage with each other, the recognition part 242 ) Is in contact with the chin portion (221). Here, as the recognition unit 242 and the jaw portion 221 are provid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through which the micro-current can flow by the rotating portion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recognition portion 242 and the jaw portion 221 are energized with each other. Is don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fixing part 240 is disposed on the second zone a2.

음각홈(243)은 후술할 회전부(300)에 구비되는 돌출부(301)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부(240) 및 회전부(300)의 체결을 돕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음각홈(243)은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부(240)의 전방을 향하는 일면 상에 음각 형성된다. 여기서 음각홈(243)은 4각형, 5각형, 6각형, 8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taglio groove 243 is configured to help fasten the fixing part 240 and the rotating part 300 by inserting the protruding part 301 provided in the rotat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this end, the intaglio groove 243 is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and is engraved on one side facing the front of the fixing part 240. Here, the intaglio groove 243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quadrangular shape, a pentagonal shape, a hexagonal shape, an octagonal shape, and a circular shape.

제1 자성체(244)는 후술할 제2 자성체(303)와의 자력을 통해 고정부(240) 및 회전부(300)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보조한다. 이를 위해, 원통 형상의 제1 자성체(244)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고정부(24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도록 구비된다.The first magnetic body 244 assists the fixing portion 240 and the rotating portion 300 to be more firmly fastened through magnetic force with the second magnetic body 303 to be described later. To this end,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bodies 244 having a cylindrical shape are provided and have a circular arrangement around a central axis of the fixing part 240.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 및 회전부(3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공(302) 및 제2 자성체(303)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301)가 음각홈(243)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240 and the rotating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insertion hole 302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3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showing that the protrusion 3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taglio groove 243.

유도부(245)는 제2 자성체가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제2 자성체(303)를 회전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도 13 참조). 이를 위해, 유도부(245)는 코일 형태로 구비되어 고정부(240)에 내설되되, 선술한 제1 자성체(244)가 코일 형태의 상기 유도부(245)의 안쪽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도부(245)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금속 재질의 제1 자성체(244)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 회전부(300)의 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공(302)에 삽입되고, 이로써 고정부(240) 및 회전부(30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The induction part 245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moves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303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ng part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see FIG. 13). To this end, the induction part 245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il, and is built in the fixing part 240, and the first magnetic body 244 described above is formed to be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induction part 245 in the form of a coil. Accordingly, when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induction part 245, the first magnetic body 244 made of a metal is moved into one direction of the rotating part 300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02, whereby the fixed part ( 240) and the rotating part 300 can be fastened firmly.

회전부(300)는 선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24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회전부(300)는 고정부(24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4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고정부(240)와 맞물린 제1 서브와이어(22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궁극적인 메인와이어(230)의 장력 및 복원력을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회전부(300)는 돌출부(301), 삽입공(302) 및 제2 자성체(303)를 포함한다.The rotating part 30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ixing part 240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rotating part 300 is rotat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ixing part 240 in a state of being fastened with the fixing part 240, there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sub-wire 220 engaged with the fixing part 240. , Maintain the tension and resilience of the ultimate main wire 230. To this end, the rotating part 300 includes a protruding part 301, an insertion hole 302, and a second magnetic body 303.

돌출부(301)는 고정부(240) 및 회전부(300)의 체결을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돌출부(301)는 후방을 향하는 고정부(24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음각홈(243)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301)가 음각홈(243)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부(240)의 내부에서 회전을 위한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한 회전이 가능하다. 고정부(240)를 향하는 돌출부(301)의 일면에는 고정부(240)에 내설되어 선술한 유도부(24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부가 구비되고, 음각홈(243)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단자부와 일대일 대응되는 또다른 단자부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돌출부(301)가 음각홈(243)에 정확하게 삽입될 경우에만 유도부(24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자성체(244)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protrusion 301 is a configuration for fastening the fixing part 240 and the rotating part 300. To this end, the protruding portion 301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40 toward the rear,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intaglio groove 243. As the protruding portion 301 is inserted into the intaglio groove 243, the frictional force for rotation can be increased within the fixing portion 240, thereby making it easier to rotate. A plurality of terminal parts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induction part 245, which is built in the fixing part 240 and i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otruding part 301 facing the fixing part 240, and the inside of the intaglio groove 243 is Another termin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one to one is provided. Through this,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induction part 245 only when the protrusion 301 is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intaglio groove 243, and thus the first magnetic body 244 can be moved.

삽입공(302)은 제1 자성체(244) 및 제2 자성체(303) 간의 자력에 의해 회전부(300)를 향해 접근하는 제1 자성체(244)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삽입공(302)은 제1 자성체(244)의 형상, 크기 및 개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회전부(300)의 일면 상에 위치한다.The insertion hole 302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magnetic body 244 approaching toward the rotating part 300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244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303. To this end, the insertion hole 30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size, and number of the first magnetic body 244 and is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300.

제2 자성체(303)는 제1 자성체(244)와의 자력을 통해, 상기 제1 자성체(244)가 삽입공(302)에 삽입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2 자성체(303)는 삽입공(302)의 내부에 위치하여 내설되고 금속 재질로 구비된다. 여기서, 제2 자성체(303)가 제1 자성체(244)와의 자력에 의해 삽입공(302)에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공(302)의 내부에는 별도의 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성체(303)는 통전될 시 자성이 발생하는 전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magnetic body 303 induces the first magnetic body 244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02 through a magnetic force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244. To this end, the second magnetic body 303 is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hole 302 and is internally provided and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Here, in order to prevent the second magnetic body 303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ertion hole 302 by magnetic force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244, a separate b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inside the insertion hole 302. . 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body 303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that generates magnetism when energized.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고정부(240) 및 회전부(300) 간의 체결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astening between the fixing part 240 and the rotating par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a는 유도부(245)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로서, 제1 자성체(244)가 전자기유도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상세하게 돌출부(301)가 음각홈(243)에 삽입되지 않아 전력이 유도부(245)에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제1 자성체(244)는 고정부(240)에 붙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13A is a case in which electric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induction part 245, which means that the first magnetic body 244 is not electromagnetically induced. In detail, since the protruding portion 301 is not inserted into the intaglio groove 243, electric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induction portion 245, so that the first magnetic body 244 remains attached to the fixing portion 240.

반면, 도 13b는 제1 자성체(244)가 삽입공(302)에 삽입된 경우로서, 유도부(245)에 전력이 공급된 경우를 의미한다. 상세하게, 돌출부(301)에 형성된 단자부가 음각홈(243)의 내부에 형성된 또다른 단자부와 접함에 따라, 상기 또다른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도부(245)는 전력을 공급받고, 코일 형태로 구비된 유도부(245)의 안쪽 방향에 위치한 제1 자성체(244)는 전자기유도를 이용하여 자력을 부여받아 이동하여 삽입공(302)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고정부(240) 및 회전부(300)는 제1 자성체(244)에 의해 서로 체결되고 지지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고 정밀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4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고정부(240)는 돌출부(301)가 음각홈(243)에 삽입되고 전력이 유도부(245)에 공급된 경우에만 회전부(300)와 체결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고정부(24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3b is a case where the first magnetic body 24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02, it means a case where power is supplied to the induction portion 245. In detail, as the terminal portion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301 comes into contact with another terminal portion formed inside the intaglio groove 243, the induction portion 24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portion receives power and is provided in a coil form. The first magnetic body 244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induction part 245 is moved by being supplied with a magnetic force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02. Through this, the fixing part 240 and the rotating part 300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and supported by the first magnetic body 244, thereby inducing a more robust and precise rotation. Therefore, the fixing part 240 can be rotated more easily. In addition, the fixing part 240 is rotated by being engaged with the rotating part 300 only when the protrusion 301 is inserted into the intaglio groove 243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induction part 245. Therefore, the fixing part 240 can be selectively rotated to maximize safety.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above claim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f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by.

110: 아치와이어 120: 부착부
220: 제1 서브와이어 230: 메인와이어
240: 고정부 250: 서브구속부
260: 링크부재 270: 접속부
280: 제2 서브와이어
300: 회전부 301: 돌출부
302: 삽입공 303: 제2 자성체
110: Arch wire 120: Attachment
220: first sub-wire 230: main wire
240: fixing portion 250: sub-binding portion
260: link member 270: connection
280: second sub-wire
300: rotating portion 301: protrusion
302: insertion hole 303: second magnetic body

Claims (5)

제1 치아 및 상기 제1 치아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제2 치아의 위치를 이동시켜 교정을 실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연결하고,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메인와이어(230);
잇몸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와이어(230)의 일단 또는 타단을 고정하는 원판 형상의 고정부(240); 및
상기 메인와이어(230) 및 고정부(2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서브와이어(2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240) 및 상기 제1 서브와이어(220)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1 서브와이어(220) 및 메인와이어(230)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향한 이동력을 조정하고,
끝단이 외측 방향을 향하는 제2 서브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의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1 서브와이어(220) 및 제2 서브와이어(280)를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며,
상기 고정부(24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40)와 접하는 상기 제1 서브와이어(220)의 상면 및 제2 서브와이어(280)의 하면에는 상기 톱니부에 대응하는 가이드부(22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40)의 일면에는,
다각형 형상의 음각홈(243); 및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4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자성체(244);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24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음각홈(243)에 삽입되는 돌출부(301);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체(244)가 삽입되는 삽입공(302); 및
상기 삽입공(302)에 내설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자성체(244)가 상기 삽입공(302)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부(300)의 일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자성체(3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240)와 일체로 구비되고, 통전됨으로써 상기 고정부(240)의 위치를 인식하는 인식부(2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As a device for performing correction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tooth,
A main wire 230 connecting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and moving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in an outer direction or an inner direction using a restoring force;
It is installed on the gum and fixed portion 240 in the shape of a disk fixing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main wire 230; And
Includes; a first sub-wire 220 located between the main wire 230 and the fixing part 240;
As the fixing part 240 and the first sub-wire 220 mesh with each other, the lengths of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main wire 230 are varied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teeth. Adjust the mobility,
The end further includes a second sub-wire facing outward,
The fixing part 24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to engage the first sub-wire 220 and the second sub-wire 280 according to engagement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A plurality of teeth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240,
A guide portion 222 corresponding to the tooth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wire 220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wire 280 contacting the fixing portion 240,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240,
Polygonal intaglio groove 243; And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body 244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ormed to have a circular arrangement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ixing part 240; is further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portion 300 for rotating the fixing portion 240,
The rotating part 300,
A protrusion 301 inserted into the intaglio groove 243;
An insertion hole 302 into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bodies 244 are inserted; And
Further included in the insertion hole 302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303 to move in the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rotating portion 300 so that the first magnetic body 24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02 by magnetic force; and,
A simple tooth correction device using an elastic cha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tegral part of the fixing part 240, and further comprising a recognition part 242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240 by being energiz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메인와이어(23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부착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와이어(230)는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부착부(120)의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attachment portions 120 attach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eeth and preventing excessive movement of the main wire 230,
The main wire 230 is a simple tooth correction device using an elastic chain,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outer direction or the inner direction of the attachment portion 120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착부(120)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메인와이어(230)와 연결되는 서브구속부(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구속부(250)를 통해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치아는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와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lurality of attachment portions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urther comprising a sub-binding portion 250 connected to the main wire 230,
One or more teeth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through the sub-constraining portion 250,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with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simple teeth using an elastic chain Corr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와이어(230) 및 제1 서브와이어(2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와이어(230) 및 제1 서브와이어(220)를 탈착하는 접속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Located between the main wire 230 and the first sub-wire 22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270 for detaching the main wire 230 and the first sub-wire 220, elastic body Simple tooth correction device using phosphor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사이에 위치하고, 복원력을 이용하여 발치 대상이 되는 치아를 잇몸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발치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Simple tooth correction device using an elastic chai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ooth extraction member (500) located between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nd using the restoring force to release the tooth to be extracted from the gum.
KR1020190158142A 2019-11-06 2019-12-02 Orthodontic device KR1020923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142A KR102092395B1 (en) 2019-11-06 2019-12-02 Orthodont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32A KR102053161B1 (en) 2019-11-06 2019-11-06 Orthodontic device
KR1020190158142A KR102092395B1 (en) 2019-11-06 2019-12-02 Orthodontic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732A Division KR102053161B1 (en) 2019-11-06 2019-11-06 Orthodont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395B1 true KR102092395B1 (en) 2020-03-23
KR102092395B9 KR102092395B9 (en) 2020-03-23

Family

ID=6999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142A KR102092395B1 (en) 2019-11-06 2019-12-02 Orthodont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3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774A (en) 2022-10-25 2024-05-03 권지용 dental braces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025A (en) * 1979-06-07 1981-09-29 Bernhard Forster Gmbh Orthodontic device for rotating a tooth
US6632088B2 (en) * 2001-04-25 2003-10-14 Orthoarm, Inc. Powered orthodontic bracket
KR100814509B1 (en) * 2007-02-12 2008-03-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s device generating cyclic tensility
US20080182219A1 (en) * 2007-01-30 2008-07-31 Spalty Cory J Apparatus for moving a misplaced or impacted tooth
KR101268646B1 (en) * 2012-11-15 2013-05-29 이철규 3d k - plate & wave 1.0 of orthodontic temporary anchorage device
KR101512779B1 (en) 2014-07-02 2015-04-16 조건제 Teeth Alignment Device
KR20160044380A (en) * 2014-10-15 2016-04-25 양동민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US20170128164A1 (en) * 2015-11-09 2017-05-11 Naif Bindayel Orthodontic systems
KR101748134B1 (en) * 2016-07-19 2017-06-19 장상건 A self distal driving device and self mesial driving device having spring
KR101763732B1 (en) * 2017-02-10 2017-08-01 장상건 A self distal driving device and self mesial driving device having spring
KR101816487B1 (en) * 2017-07-04 2018-01-08 이경식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with sliding guide
JP2019118826A (en) * 2017-12-28 2019-07-22 澄祥 洪 Gap closing device for orthodontic field
KR102053161B1 (en) * 2019-11-06 2019-12-06 김정석 Orthodontic device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025A (en) * 1979-06-07 1981-09-29 Bernhard Forster Gmbh Orthodontic device for rotating a tooth
US6632088B2 (en) * 2001-04-25 2003-10-14 Orthoarm, Inc. Powered orthodontic bracket
US20080182219A1 (en) * 2007-01-30 2008-07-31 Spalty Cory J Apparatus for moving a misplaced or impacted tooth
KR100814509B1 (en) * 2007-02-12 2008-03-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s device generating cyclic tensility
KR101268646B1 (en) * 2012-11-15 2013-05-29 이철규 3d k - plate & wave 1.0 of orthodontic temporary anchorage device
KR101512779B1 (en) 2014-07-02 2015-04-16 조건제 Teeth Alignment Device
KR20160044380A (en) * 2014-10-15 2016-04-25 양동민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US20170128164A1 (en) * 2015-11-09 2017-05-11 Naif Bindayel Orthodontic systems
US9980787B2 (en) * 2015-11-09 2018-05-29 Naif Bindayel Orthodontic systems
KR101748134B1 (en) * 2016-07-19 2017-06-19 장상건 A self distal driving device and self mesial driving device having spring
KR101763732B1 (en) * 2017-02-10 2017-08-01 장상건 A self distal driving device and self mesial driving device having spring
KR101816487B1 (en) * 2017-07-04 2018-01-08 이경식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with sliding guide
JP2019118826A (en) * 2017-12-28 2019-07-22 澄祥 洪 Gap closing device for orthodontic field
KR102053161B1 (en) * 2019-11-06 2019-12-06 김정석 Orthodont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774A (en) 2022-10-25 2024-05-03 권지용 dental br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395B9 (en)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9291B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101723674B1 (en) Lingual orthodontic system
US4412819A (en) Orthodontic arch wire
US5580243A (en) Removable orthodontic aligner with eyelet arm springs
JP20105199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on of orthodontic malocclusion
JP2020520737A (en) Orthodontic system with archwire slots of various sizes
US3994068A (en) Orthodontic retainer
KR101748134B1 (en) A self distal driving device and self mesial driving device having spring
KR101763732B1 (en) A self distal driving device and self mesial driving device having spring
US20170209240A1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KR102053161B1 (en) Orthodontic device
KR102092395B1 (en) Orthodontic device
US10357335B2 (en) Orthodontic appliances for correcting teeth irregularities and for retaining the position of teeth
US102998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ow palate expansion
US7625206B2 (en) Method of orthodontic treatment
KR100952423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ntal arch expansion using magnetic
KR101202217B1 (en)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058526B1 (en) Orthodontic device
US20230329842A1 (en) Bracket
KR102197877B1 (en)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method
KR102092397B1 (en) Orthodontic device
KR102246987B1 (en) orthodontics system and multi retainer manufacturing method applied to thereof
Goutham et al. G-technique: an effective and precise method for rapid derotation of teeth
KR101108104B1 (en)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2164764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