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989B1 - 멀티스크린 지원을 위한 마크-업 구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스크린 지원을 위한 마크-업 구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2989B1 KR102072989B1 KR1020130031647A KR20130031647A KR102072989B1 KR 102072989 B1 KR102072989 B1 KR 102072989B1 KR 1020130031647 A KR1020130031647 A KR 1020130031647A KR 20130031647 A KR20130031647 A KR 20130031647A KR 102072989 B1 KR102072989 B1 KR 1020729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ultimedia device
- information
- scene
- screen
- sub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마크-업 파일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마크-업 파일을 기반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는 웹 서버로부터 마크-업 파일을 수신할 시, 상기 네트워크에 자신 외의 다른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의해 다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시에 상기 수신한 마크-업 파일을 기반으로 개별 단말 씬 배치를 적용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하지만 상기 판단에 의해 다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을 시에 상기 수신한 마크-업 파일을 기반으로 복수 단말 씬 배치를 적용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는 웹 서버로부터 마크-업 파일을 수신할 시, 상기 네트워크에 자신 외의 다른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의해 다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시에 상기 수신한 마크-업 파일을 기반으로 개별 단말 씬 배치를 적용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하지만 상기 판단에 의해 다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을 시에 상기 수신한 마크-업 파일을 기반으로 복수 단말 씬 배치를 적용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마크-업 구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디바이스를 통해 멀티스크린 지원을 위한 마크-업 구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하나의 마크 업을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제공 받은 마크-업을 처리하며, 상기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일 예로 상기 마크-업은 HTML 파일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마크-업의 일 예로 구성된 HTML 문서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HTML은 하나의 파일로 하나의 문서 구조를 정의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이다. 현재 최신 버전은 HTML 버전 5 (이하 ‘HTML 5’로 표기)로써, 비디오, 오디오 등 멀티미디어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HTML 5는 다양한 문서 구조를 지원할 수 있는 많은 의미 요소 (일반적으로 ‘태그 (Tag)’로 불림)를 정의한다.
상기 HTML 5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하나의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HTML 5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된 서비스 환경에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연관 관계를 고려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콘텐트를 하나의 동일한 마크-업으로 구성할 수가 없었다.
도 2는 종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에서의 마크-업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210)는 복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될 시, 상기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을 위한 HTML 파일을 별도로 구성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예컨대 상기 웹 서버(210)는 제 1기기 (1ST Device)(220)인 DTV를 위한 HTML 파일 (예, VoD 서비스 제공)과 제 2기기 (2nd Device)(230)인 이동 단말을 위한 HTML 파일 (예, Program Guide 또는 Remote control을 위한 화면)을 별도로 준비하여 제공한다. 즉 상기 웹 서버(210)는 상기 제 1기기 (1ST Device)(220)와 상기 제 2기기 (2nd Device)(230)를 위한 별도의 HTML 문서를 준비해야 한다.
한편 제 1기기 (1ST Device)(220)인 DTV와 상기 제 2기기 (2nd Device)(230)인 이동 단말은 자신을 위한 HTML을 상기 웹 서버(210)로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웹 서버(210)로부터 제공되는 HTML을 렌더링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구성에 의해서는 제 1기기 (1ST Device)(220)와 제 2기기 (2nd Device)(230)는 화면 구성에 있어 종속 관계가 존재하더라도 이를 표시할 수가 없다. 만약 상기 제 2기기 (2nd Device)(230)가 상기 제 1기기 (1ST Device)(220)와 연관된 문서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웹 서버(210)와 연결을 유지하여야만 한다. 또한 제 1기기 (1ST Device)(220)와 제 2기기 (2nd Device)(230) 사이의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통신 채널과 인터페이스를 확보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 1기기 (1ST Device)(220)와 상기 제 2기기 (2nd Device)(230)는 자신에게 필요한 HTML 문서를 수신하였다 하더라도, 다른 기기와의 종속성을 알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 1기기 (1ST Device)(220)와 상기 제 2기기 (2nd Device)(230) 간의 종속성을 웹 서버(210)가 인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웹 서버(210)는 기기 간의 종속성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모듈을 구비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연관 관계를 고려하여 처리할 콘텐트의 지원이 가능한 마크-업에 대한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양한 디지털 기기가 콘텐트를 서로 공유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환경에서 하나의 동일한 마크-업으로 각각의 디지털 기기를 위한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 스크린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된 마크-업을 기반으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디지털 기기에서 자신이 처리할 오디오, 비디오 등의 미디어, 이미지,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디지털 기기 각자가 자신에게 부여된 역할에 따라 주 기기 또는 보조 기기로서 처리하여야 할 정보를 하나의 마크-업에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가 마크-업을 확장하여 하나의 동일한 마크-업 파일로 복수의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상황에서 기기간의 연결 관계에 따라 각각의 기기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서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의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마크-업 파일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는, 단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1 씬 레이아웃 정보와, 다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을 상기 다수 씬들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 각각을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의 서브-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 각각을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의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 파일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마크-업 파일을 제공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는, 단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1 씬 레이아웃 정보와, 다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을 상기 다수 씬들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 각각을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의 서브-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 각각을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의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 파일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이면,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지를 검출하고,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고,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씬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씬을 배치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이면,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씬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씬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는, 단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1 씬 레이아웃 정보와, 다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을 상기 다수 씬들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 각각을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의 서브-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 각각을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의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 파일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마크-업 파일을 제공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는, 단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1 씬 레이아웃 정보와, 다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을 상기 다수 씬들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 각각을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의 서브-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 각각을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의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 파일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이면,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지를 검출하고,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고,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씬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씬을 배치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이면,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씬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씬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동일한 마크-업으로 복수의 기기 간의 연결 관계 및 각각의 기기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정보를 기술 할 수 있음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는 복잡한 기기 간의 연결 관계나 상태를 관리할 필요 없이 일관성 있는 서비스를 쉽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제2기기는 제1기기로부터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의 정보만을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기기의 상태가 변경될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고 기기에서 이에 따른 씬의 배치 정보를 적용하여 씬의 공간 구성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추정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정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마크-업의 일 예로 구성된 HTML 문서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종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에서의 마크-업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에서의 마크-업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라우저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미디어의 시간적, 공간적 배치 및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마크-업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의 시간적, 공간적 배치 및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마크-업의 구성 중 씬의 배치 정보를 별도의 파일로 구성하는 경우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환경에서 주 기기가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환경에서 보조 기기가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8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 기기와 보조 기기를 구성하는 모듈 가의 연결 관계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크-업을 구성하는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종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에서의 마크-업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에서의 마크-업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라우저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미디어의 시간적, 공간적 배치 및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마크-업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의 시간적, 공간적 배치 및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마크-업의 구성 중 씬의 배치 정보를 별도의 파일로 구성하는 경우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환경에서 주 기기가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환경에서 보조 기기가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8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 기기와 보조 기기를 구성하는 모듈 가의 연결 관계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크-업을 구성하는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본 발명에 따른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에서의 마크-업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웹 서버(310)는 제1기기(320)와 제2기기(330)를 위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HTML 파일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하나의 HTML 파일을 제1기기(320)와 제2기기(330) 각각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1기기(320)와 상기 제2기기(330)는 상기 웹 서버(310)로부터 제공되는 HTML 파일로부터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만을 파싱하여 표시한다.
한편 도 3에서는 제1기기(320)와 제2기기(330) 각각이 웹 서버(310)로부터 직접 HTML 파일을 수신하였다. 하지만, 웹 서버(310)가 HTML 파일을 하나의 기기로 제공할 시, 나머지 기기에 대해서는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구조에 의한 구현도 가능하다. 예컨대 웹 서버(310)가 제1기기(320)에서만 HTML 파일을 제공할 시, 상기 제1기기(320)는 제공받은 HTML 파일에서 자신이 처리할 부분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1기기(320)는 제공받은 HTML 파일에서 제2기기(330)를 위한 부분을 상기 제2기기(330)에게 전달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한 두 번째 방안은 제2기기(330)가 웹 서버(310)와의 연결에 의해 직접 파일을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제1기기(320)와의 연결성만 유지하면 필요한 HTML 파일을 제공받아 원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기 별로 처리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해 지시하는 정보를 모아 별도의 파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브라우저는 일반적인 화면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HTML과, 복수의 기기에 대한 처리방법을 기술하는 별도의 파일을 동시에 처리하면 된다. 이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마크-업을 처리하기 위한 브라우저는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라우저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4에서의 브라우저(400)는 Front End(410), Browser Core(420), DOM Tree(430), Event Hander(440), Connectivity Module(450) 및 Protocol Handler(46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우저(400)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Front End(410): DOM Tree(430)를 읽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화면에 렌더링하는 모듈이다.
2) Browser Core(420): 일반적으로 마크-업 파일을 파싱하고, 태그들을 해석하여 처리하며, 이를 DOM Tree(430)로 구성하기 위한 브라우저의 핵심 모듈이다. 상기 Browser Core(420)는 일반적인 브라우저의 처리 모듈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위해 새로이 정의된 element와 attribute의 처리를 위한 기능이 추가된다.
3) DOM Tree(430): Browser Core(420)에서 마크-업들을 해석하여 요소들을 하나의 Tree 형태로 만들어 놓은 자료 구조를 말한다. 일반적인 브라우저의 DOM Tree와 동일하다.
4) Event Hander(440): 일반적으로 브라우저의 Event Handler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Event나 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Event (Time out 처리 등)를 처리하는 모듈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2기기 (또는 제1기기)가 추가되거나 제외되는 변동 사항이 발생할 때, 이에 대한 Event를 Connectivity Module(450)로부터 받아 이를 DOM Tree(430)로 전달하여 화면 구성을 새롭게 변경하는 과정이 추가된다.
5) Connectivity Module(450): 네트워크에서 기기의 추가/제외 등의 변동 과정이 있을 때 이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상황 변화를 Event로 발생시켜 Event Handler(440)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6) Protocol Handler(460): 웹 서버와 연결하여 마크-업 파일을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인 브라우저의 Protocol Handler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브라우저(400)의 구성들 중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해 추가 또는 변경된 모듈은 Event Hander(440)와 Connectivity Module(450)이다. 그 외의 나머지 모듈들은 일반적인 브라우저의 동작 과정과 대부분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Event Hander(440)와 Connectivity Module(450)에 상응한 element와 attribute의 처리 과정이 추가되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해 정의된 마크-업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미디어의 시간적, 공간적 배치 및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마크-업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마크-업 파일(500)은 씬 배치 정보(510)와 씬 구성 정보(520)를 포함한다. 상기 씬 구성 정보(520)는 복수의 영역 구성 정보들 (520-1, 520-2, 520-3)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영역 구성 정보들 (520-1, 520-2, 520-3)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미디어란 특정한 정보의 형태 (일반적인 비디오, 오디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텍스트 등의 정보 형태까지도 포함하는 의미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의 미디어는 비디오, 오디오뿐만 아니라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의미한다.
하기 <표 1>은 도 5a에서 보이고 있는 마크-업 파일을 HTML 파일로 구성할 시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head> 영역에는 <view> element와 하위 element인 <divLocation>로 구성된 화면의 전체 씬에 상응한 배치정보가 기록된다. <body> 영역에는 실제 장면을 구성하는 정보가 하위 구조인 Area 구성 정보로 각각 나뉘어져 기록된다. 여기서 Area 구성 정보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하나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Area 안에는 실제 미디어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 정보가 담겨 있다.
한편 도 5a를 통해 살펴본 마크-업을 구성하는 씬의 배치 정보는 별도의 파일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의 시간적, 공간적 배치 및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마크-업의 구성 중 씬의 배치 정보를 별도의 파일로 구성하는 경우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마크-업 파일은 씬 배치 정보(510)를 기술하는 마크-업(550)과, 씬 구성 정보(520)를 기술하는 마크-업(560)으로 구성된다. 즉 서로 다른 정보로 구성된 두 개의 마크-업들(550, 560)은 마크-업 파일 내에서 구분되도록 구성된다.
하기 <표 2>는 도 5b에서 보이고 있는 마크-업 파일을 HTML 파일로 구성할 시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화면의 전체 씬에 상응하는 배치 정보를 기록하는 <view> 요소와 하위 요소인 <divLocation>를 별도의 파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씬의 배치 정보를 별도로 구성하여 제공할 때, 각각의 기기는 씬의 배치 정보를 기술하는 마크-업과 장면 구성 정보를 기술하는 마크-업을 동시에 수신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이 때에도 기술하는 정보에 따라 마크-업이 두 개로 구성되었을 뿐, 각각의 기기에서는 동일한 마크-업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이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장면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에서 기기의 연결 관계 및 이에 따라 처리해야 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씬 배치 정보에 세부 attribute들을 추가하였다.
이하 상기 처리해야 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씬 배치 정보에 추가된 attribute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1. viewtype: 씬의 배치 정보가 어떤 장면을 위한 배치 정보인지를 나타낸다.
하기 <표 2>는 세부 viewtype 값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viewtype | description |
default | 기본 값.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하나일 경우 |
multiple |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복수 개일 경우 |
receptible | 외부 기기로부터 영역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빈 공간을 정의 |
2. plungeOut: Area(영역)이 복수의 기기에서 어떻게 공유/분배될 수 있는지의 관계를 나타낸다.
하기 <표 3>은 세부 plungeOut 값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plungeOut | description |
sharable | 영역이 제2기기에서 공유될 수 있음 |
dynamic | 영역이 제2기기로 이동함 |
complementary | 영역이 제2기기에서만 추가적으로 제공됨 |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 이를 처리하기 위해 씬의 배치 정보를 복수 개로 구성한다. 이때 새롭게 정의된 viewtype과 plungOut은 복수의 씬의 배치 정보가 구성되어 있을 때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환경에서 주 기기가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주 기기는 해당 마크-업 문서를 웹 서버로부터 직접 받아 처리하는 기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DTV 등과 같은 대형 화면을 지원하는 기기가 이에 해당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주 기기는 서비스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 기기는 610단계에서 웹 서버로부터 마크-업 문서를 수신한다. 상기 주 기기는 마크-업 문서를 수신하면, 612단계에서 Connectivity Module을 통해 네트워크 상에 보조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주 기기는 보조 기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614단계에서 Connectivity Module에 의해 'default'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 기기는 616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마크-업 문서의 씬 배치 정보 중 'default'에 해당하는 씬 배치 정보 (view element의 viewtype attribute가 'default')를 읽어 이를 해석한 후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한다.
한편 상기 주 기기는 Connectivity Module을 계속 체크하고, 상기 체크를 통해 보조 제2기기의 연결이 감지될 시, 618단계에서 'multiple'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 기기는 620단계에서 마크-업 문서의 씬 배치 정보 중 'multiple'에 해당하는 배치 정보(view element의 viewtype attribute가 'multiple')를 읽어 적용한다.
상기 주 기기는 622단계에서 해당 view element의 하위 element 정보인 divLocation element를 읽어 이의 'plungeOut' attribute가 설정되어 있는 Area 정보를 보조 기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plungeOut의 attribute는 세 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 기기는 624단계에서 plungeOut의 attribute이 가지는 값을 확인한다. 상기 주 기기는 attribute의 값이 'Sharable'과 'Complementary' 값을 가지고 있을 경우, 630단계로 진행하여 주 기기의 씬 구성정보가 실제로 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DOM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에 대한 변경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주 기기는 attribute의 값이 'Dynamic'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 주 기기의 씬 구성정보가 변경되므로, 626단계로 진행하여 DOM 갱신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 기기는 628단계에서 상기 DOM 갱신을 기반으로 화면을 재구성하여 표시한다.
한편 네트워크 상에 보조 기기가 빠져나갔을 때에도 주 기기에 구비된 Connectivity Module에 의해 변경된 event가 발생하며, 이에 대한 처리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환경에서 보조 기기가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보조 기기는 주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기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이나 태블릿 등과 같이 작은 화면을 가진 기기로써, 주 기기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을 때 이에 대한 보조 정보를 표시하거나 주 기기의 제어 등을 담당한다.
한편 보조 기기의 경우에 서비스의 수신 방식에 따라 두 가지의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보조 기기가 서비스를 웹 서버로부터 직접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보조 기기는 710단계에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마크-업 문서를 수신한다. 상기 보조 기기는 마크-업을 수신한 후 712단계에서 Connectivity Module에 의해 네트워크 상에 주 기기, 즉 제1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보조 기기는 상기 주 기기가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주 기기 (제1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보조 기기는 마크-업 문서를 수신하는 시점에 주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거나 새로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시, 716단계에서 Connectivity Module에 의해 'multiple'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조 기기는 718단계에서 씬의 배치정보에서 multiple에 해당하는 정보를 읽고, 이 중 divLocation의 plungeOut 값이 설정되어 있는 Area의 정보만을 해석하여 자신의 화면에 해석한 정보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보조 기기가 서비스를 웹 서버로부터 직접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보조 기기는 주 기기로부터 자신의 기기에 해당하는 영역(Area) 정보만을 수신하고 이를 해석하여 단말에 표시한다. 이에 따른 보조 기기의 동작은 도 6에서 632단계 및 634단계를 통해 보이고 있다.
즉 도 6에서 632단계와 634단계는 보조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부가하여 보이고 있다. 상기 보조 기기는 632단계에서 상기 주 기기에서 전송되는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634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을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 기기를 구성하는 모듈 구조를 보이고 있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기기를 구성하는 모듈 구조를 보이고 있다. 상기 도 8에서 주 기기를 구성하는 모듈 중 Connectivity Module(850)과 보조 기기를 구성하는 모듈 중 Connectivity Module(950)에 의해 상기 주 기기와 보조 기기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상에 주 기기와 보조 기기의 연결은 Connectivity Module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주 기기의 Connectivity Module과 보조 기기의 Connectivity Module에 의해 주 기기와 보조 기기 상호 간의 정보 교환뿐만 아니라 해당 기기에서의 event를 발생시킨다.
한편 도 8과 도 9에서 보이고 있는 주 기기의 모듈 구조와 보조 기기의 모듈 구조는 도 4에서 살펴본 구조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과 도 9에서 보이고 있는 모듈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주 기기에서 해당 씬 배치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실제 마크-업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하기 <표 4>는 하나의 마크-업이 두 개의 view element를 포함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표 4>에서 각각의 view element는 viewtype attribute로 구분된다. 해당 값이 'default'인 view는 네트워크 상에 하나의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를 위한 씬 배치 정보이고, 'multiple'인 view는 네트워크 상에 복수의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를 위한 씬 배치 정보이다.
네트워크 상에 하나의 기기가 존재할 경우, 상기 <표 4>에서 위쪽 블록의 씬 배치 정보를 적용한다. 상기 위쪽 블록에 존재하는 마크-업에 상응한 씬 배치정보에는 하나의 Area(영역) 정보만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주 기기의 화면에는 하나의 영역만이 표시될 것이다.
하지만 네트워크 상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기가 추가되면, Connectivity module은 'multipe' event를 발생한다. 상기 event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표 4>에서 아래 쪽 블록의 씬 배치정보를 적용하게 된다. 상기 아래 쪽 블록에 존재하는 마크-업에 상응한 씬 배치정보에는 두 개의 Area 정보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존재하는 두 개의 Area 정보 중 id 값 'divL2'로 구분된 divLocation의 plungOut attribute는 'Complementary'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이 영역 정보는 주 기기에서 표시되지 않는다. 즉 주 기기에는 여전히 Area1 정보만이 표시될 뿐이고, 보조 기기는 Area 2 정보만을 수신하여 표시한다.
한편, 도 5b에서 씬 배치 정보를 별도의 마크-업으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표 5>의 view 요소는 별도의 마크-업에 기술되어 있다. 이를 처리하는 각각의 기기는 씬 구성 정보를 기술하는 마크-업을 수신하여 동시에 처리하여야 한다. 별도의 마크-업으로 분리되어 기술되어 있는 경우도 동일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뿐으로, 기기에서 처리하는 과정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그 처리 과정을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크-업을 구성하는 예들을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크-업을 구성하는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0에서 보이고 있는 예는 일부 영역이 주 기기와 보조 기기에 의해 공유(Sharing)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좌측 도면은 네트워크에 유일하게 연결된 주 기기 (1010)가 Area1과 Area2 영역을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좌측 도면에서 보조 기기(10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황에서 보조 기기(104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우측 도면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주 기기(1030)는 여전히 Area1과 Area2 영역을 표시하고 있고, 상기 주 기기(1030)에 표시되고 있는 Area1과 Area2 중 Area2가 새로 연결된 보조 기기(1040)에 의해 표시된다.
앞에서 살펴본 도 10에 따른 실시 예를 코드로 표시하면 하기 <표 5>와 같다.
<!DOCTYPE html>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MT-CI:LoA> <MMT-CI:AI id="Asset1" src="mmt://package1/asset1" MMT-CI:mediatype="video"/> <MMT-CI:AI id="Asset2" src="mmt://package1/asset2" MMT-CI:mediatype="video"/> </MMT-CI:LoA> <MMT-CI:view id="View1" MMT-CI:viewtype="default" MMT-CI:width="1920px" MMT-CI:height="1080px"> <MMT-CI:divLocation id="divL1" MMT-CI:width="70%" MMT-CI:height="100%" MMT-CI:left="0%" MMT-CI:top="0%" MMT-CI:refDiv="Area1"/> <MMT-CI:divLocation id="divL2" MMT-CI:width="30%" MMT-CI:height="100%" MMT-CI:left="70%" MMT-CI:top="0%" MMT-CI:refDiv="Area2"> </MMT-CI:view> <MMT-CI:view id="View2" MMT-CI:viewtype="multiple" MMT-CI:width="1920px" MMT-CI:height="1080px"> <MMT-CI:divLocation id="divL1" MMT-CI:width="70%" MMT-CI:height="100%" MMT-CI:left="0%" MMT-CI:top="0%" MMT-CI:refDiv="Area1"/> <MMT-CI:divLocation id="divL2" MMT-CI:width="30%" MMT-CI:height="100%" MMT-CI:left="70%" MMT-CI:top="0%" MMT-CI:refDiv="Area2" MMT-CI:plungeOut="sharable"/> </MMT-CI:view> </head> <body> <div id="Area1" MMT-CI:width="1000px" MMT-CI:height="1000px"> <video id="video1" MMT-CI:refAsset="Asset1" MMT-CI:width="100%" MMT-CI:height="100%" MMT-CI:left="0px" MMT-CI:top="0px"/> </div> <div id="Area2" MMT-CI:width="600px" MMT-CI:height="1000px"> <video id="video2" MMT-CI:refAsset="Asset2" MMT-CI:width="100%" MMT-CI:height="100%" MMT-CI:left="0px" MMT-CI:top="0px"/> </div> </body> </html> |
한편, 씬 배치 정보를 별도의 마크-업으로 구성하는 경우, 도 10에서 보이고 있는 실시 예를 코드로 표시하면, 하기 <표 7>과 같다.
하기 <표 7>에서 보듯이 씬 배치 정보가 별도의 파일로 기술되어 있을 뿐, 마크-업 내용의 차이는 없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MMT-CI> <MMT-CI:LoA> <MMT-CI:AI id="Asset1" src="mmt://package1/asset1" MMT-CI:mediatype="video"/> <MMT-CI:AI id="Asset2" src="mmt://package1/asset2" MMT-CI:mediatype="video"/> </MMT-CI:LoA> <MMT-CI:view id="View1" MMT-CI:viewtype="default" MMT-CI:width="1920px" MMT-CI:height="1080px"> <MMT-CI:divLocation id="divL1" MMT-CI:width="70%" MMT-CI:height="100%" MMT-CI:left="0%" MMT-CI:top="0%" MMT-CI:refDiv="Area1"/> <MMT-CI:divLocation id="divL2" MMT-CI:width="30%" MMT-CI:height="100%" MMT-CI:left="70%" MMT-CI:top="0%" MMT-CI:refDiv="Area2"> </MMT-CI:view> <MMT-CI:view id="View2" MMT-CI:viewtype="multiple" MMT-CI:width="1920px" MMT-CI:height="1080px"> <MMT-CI:divLocation id="divL1" MMT-CI:width="70%" MMT-CI:height="100%" MMT-CI:left="0%" MMT-CI:top="0%" MMT-CI:refDiv="Area1"/> <MMT-CI:divLocation id="divL2" MMT-CI:width="30%" MMT-CI:height="100%" MMT-CI:left="70%" MMT-CI:top="0%" MMT-CI:refDiv="Area2" MMT-CI:plungeOut="sharable"/> </MMT-CI:view> </MMT-CI> |
<!DOCTYPE html>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body> <div id="Area1" MMT-CI:width="1000px" MMT-CI:height="1000px"> <video id="video1" MMT-CI:refAsset="Asset1" MMT-CI:width="100%" MMT-CI:height="100%" MMT-CI:left="0px" MMT-CI:top="0px"/> </div> <div id="Area2" MMT-CI:width="600px" MMT-CI:height="1000px"> <video id="video2" MMT-CI:refAsset="Asset2" MMT-CI:width="100%" MMT-CI:height="100%" MMT-CI:left="0px" MMT-CI:top="0px"/> </div> </body> </html> |
상기 <표 7>에서 첫 번째 박스와 두 번째 박스는 서로 다른 파일에 해당한다. 예컨대 첫 번째 박스는 파일 이름이 “Sceane.xml”인 파일에 해당하고, 두 번째 박스는 파일 이름이 “Main.html”인 파일에 해당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크-업을 구성하는 다른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1에서 보이고 있는 예는 보조 기기가 연결될 경우, 주 기기에 의해 표시되고 있던 특정 영역 정보가 보조 기기로 이동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좌측 도면은 네트워크에 유일하게 연결된 주 기기 (1110)가 Area1과 Area2 영역을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좌측 도면에서 보조 기기(1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황에서 보조 기기(114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우측 도면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주 기기(1130)는 Area1 영역을 표시하고 있고, 상기 주 기기(1030)에 의해 표시되고 있던 Area2 영역은 새로 연결된 보조 기기(1040)에 의해 표시된다.
앞에서 살펴본 도 11에 따른 실시 예를 코드로 표시하면 하기 <표 6>과 같다.
<!DOCTYPE html>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MT-CI:LoA> <MMT-CI:AI id="Asset1" src="mmt://package1/asset1" MMT-CI:mediatype="video"/> <MMT-CI:AI id="Asset2" src="mmt://package1/asset2" MMT-CI:mediatype="video"/> </MMT-CI:LoA> <MMT-CI:view id="View1" MMT-CI:viewtype="default" MMT-CI:width="1920px" MMT-CI:height="1080px"> <MMT-CI:divLocation id="divL1" MMT-CI:width="70%" MMT-CI:height="100%" MMT-CI:left="0%" MMT-CI:top="0%" MMT-CI:refDiv="Area1"/> <MMT-CI:divLocation id="divL2" MMT-CI:width="30%" MMT-CI:height="100%" MMT-CI:left="70%" MMT-CI:top="0%" MMT-CI:refDiv="Area2"> </MMT-CI:view> <MMT-CI:view id="View2" MMT-CI:viewtype="multiple" MMT-CI:width="1920px" MMT-CI:height="1080px"> <MMT-CI:divLocation id="divL1" MMT-CI:width="70%" MMT-CI:height="100%" MMT-CI:left="0%" MMT-CI:top="0%" MMT-CI:refDiv="Area1"/> <MMT-CI:divLocation id="divL2" MMT-CI:width="30%" MMT-CI:height="100%" MMT-CI:left="70%" MMT-CI:top="0%" MMT-CI:refDiv="Area2" MMT-CI:plungeOut="sharable"/> </MMT-CI:view> </head> <body> <div id="Area1" MMT-CI:width="1000px" MMT-CI:height="1000px"> <video id="video1" MMT-CI:refAsset="Asset1" MMT-CI:width="100%" MMT-CI:height="100%" MMT-CI:left="0px" MMT-CI:top="0px"/> </div> <div id="Area2" MMT-CI:width="600px" MMT-CI:height="1000px"> <video id="video2" MMT-CI:refAsset="Asset2" MMT-CI:width="100%" MMT-CI:height="100%" MMT-CI:left="0px" MMT-CI:top="0px"/> </div> </body> </html> |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크-업을 구성하는 다른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2에서 보이고 있는 예는 주 기기에 표시되는 영역과 무관하게 새로 연결되는 보조 기기에 의해 새로운 영역이 표시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좌측 도면은 네트워크에 유일하게 연결된 주 기기 (1210)가 Area1과 Area2 영역을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좌측 도면에서 보조 기기(12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황에서 보조 기기(124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우측 도면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주 기기(1230)는 여전히 Area1과 Area2 영역을 표시한다. 하지만 새로이 연결된 보조 기기(1240)는 상기 주 기기(1230)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Area1과 Area2와 무관한 새로운 추가 정보, 즉 Area3의 영역 정보를 표시한다.
앞에서 살펴본 도 12에 따른 실시 예를 코드로 표시하면 하기 <표 7>과 같다.
<!DOCTYPE html>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MT-CI:LoA> <MMT-CI:AI id="Asset1" src="mmt://package1/asset1" MMT-CI:mediatype="video"/> <MMT-CI:AI id="Asset2" src="mmt://package1/asset2" MMT-CI:mediatype="video"/> <MMT-CI:AI id="Asset3" src="mmt://package1/asset3" MMT-CI:mediatype="widget"/> </MMT-CI:LoA> <MMT-CI:view id="View1" MMT-CI:viewtype="default" MMT-CI:width="1920px" MMT-CI:height="1080px"> <MMT-CI:divLocation id="divL1" MMT-CI:width="70%" MMT-CI:height="100%" MMT-CI:left="0%" MMT-CI:top="0%" MMT-CI:refDiv="Area1"/> <MMT-CI:divLocation id="divL2" MMT-CI:width="30%" MMT-CI:height="100%" MMT-CI:left="70%" MMT-CI:top="0%" MMT-CI:refDiv="Area2"/> </MMT-CI:view> <MMT-CI:view id="View2" MMT-CI:viewtype="multiple" MMT-CI:width="1920px" MMT-CI:height="1080px"> <MMT-CI:divLocation id="divL1" MMT-CI:width="70%" MMT-CI:height="100%" MMT-CI:left="0%" MMT-CI:top="0%" MMT-CI:refDiv="Area1"/> <MMT-CI:divLocation id="divL2" MMT-CI:width="30%" MMT-CI:height="100%" MMT-CI:left="70%" MMT-CI:top="0%" MMT-CI:refDiv="Area2"/> <MMT-CI:divLocation id="divL3" MMT-CI:width="1024px" MMT-CI:height="768px" MMT-CI:left="0px" MMT-CI:top="0px" MMT-CI:refDiv="Area3" MMT-CI:plungeOut="complementary"/> </MMT-CI:view> </head> <body> <div id="Area1" MMT-CI:width="1000px" MMT-CI:height="1000px"> <video id="video1" MMT-CI:refAsset="Asset1" MMT-CI:width="100%" MMT-CI:height="100%" MMT-CI:left="0px" MMT-CI:top="0px"/> </div> <div id="Area2" MMT-CI:width="600px" MMT-CI:height="1000px"> <video id="video2" MMT-CI:refAsset="Asset2" MMT-CI:width="100%" MMT-CI:height="100%" MMT-CI:left="0px" MMT-CI:top="0px"/> </div> <div id="Area3" MMT-CI:width="1024px" MMT-CI:height="768px"> <MMT-CI:widget id="widget1" MMT-CI:refAsset="Asset3" MMT-CI:width="100%" MMT-CI:height="100%" MMT-CI:left="0px" MMT-CI:top="0px"/> </div> </body> </html> |
도 13은 외부로부터 영역 정보(Area)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3에서는 최초 하나의 영역 정보(Area)만 표시하고 있지만, 외부로부터 새로운 영역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크-업에서는 수신할 수 있는 빈 공간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새로운 영역 정보가 수신된 후에도 전체적인 장면 구성이 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기 <표 10>은 앞에서 살펴본 도 13에 따른 실시 예를 코드로 표시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DOCTYPE html>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MT-CI:view id="View1" MMT-CI:viewtype="default"> <MMT-CI:divLocation id="divL1" style="position:absolute; width:100%; height:100%; left:0px; top:0px" MMT-CI:refDiv="Area1"/> </MMT-CI:view> <MMT-CI:view id="View2" MMT-CI:viewtype="receptible" > <MMT-CI:divLocation id="divL2" style="position:absolute; width:70%; height:100%; left:0%; top:0%" MMT-CI:refDiv="Area1"/> <MMT-CI:divLocation id="divL3" style="position:absolute; width:30%; height:100%; left:70%; top:0%" MMT-CI:plungeIn="1"/> </MMT-CI:view> </head> <body> <div id="Area1" style="width:1000px; height:1000px"> <video id="video1" src="mmt://package1/asset1"/> </div> </body> </html> |
도 11 내지 도 13에 대해서는 씬 구성 정보를 별도의 파일로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는 따로 설명하지 않았다. 이는 표 7에서 보여준 방법을 참조하면 충분히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변형에 의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0)
- 서버에서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의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마크-업 파일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는,
단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1 씬 레이아웃 정보와,
다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을 상기 다수 씬들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 각각을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의 서브-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 각각을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가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것임을 지시하는 뷰 타입 및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다수 씬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화면들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가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것임을 지시하는 뷰 타입 및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제공될 씬의 타입을 정의하는 플런지-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지-아웃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에 포함되며,
상기 플런지-아웃 정보는 씬이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인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공유됨을 지시하는 공유 가능 정보, 씬이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인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이동된 것임을 지시하는 동적 정보 또는 씬이 새롭게 추가되었음을 지시하는 보완 정보 (complementary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파일은 상기 다수 씬들에 대응한 상기 복수의 서브-화면들 각각을 구성하는 씬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씬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화면들 중 하나의 서브-화면에 대한 미디어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는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의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 파일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마크-업 파일을 제공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는,
단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1 씬 레이아웃 정보와,
다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동작 모드 동안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을 상기 다수 씬들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 각각을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해당 서브-화면들의 서브-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 각각을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가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것임을 지시하는 뷰 타입 및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다수 씬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화면들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가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것임을 지시하는 뷰 타입 및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제공될 씬의 타입을 정의하는 플런지-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지-아웃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에 포함되며,
상기 플런지-아웃 정보는 씬이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인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공유됨을 지시하는 공유 가능 정보, 씬이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인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이동된 것임을 지시하는 동적 정보 또는 씬이 새롭게 추가되었음을 지시하는 보완 정보 (complementary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파일은 상기 다수 씬들에 대응한 상기 복수의 서브-화면들 각각을 구성하는 씬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씬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화면들 중 하나의 서브-화면에 대한 미디어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는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의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 파일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이면,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지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는 과정;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씬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씬을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이면,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씬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씬을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가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것임을 지시하는 뷰 타입 및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다수 씬들의 일부를 배치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가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것임을 지시하는 뷰 타입,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씬의 일부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씬의 일부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제공될 씬의 타입을 정의하는 플런지-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지-아웃 정보는 씬이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인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공유됨을 지시하는 공유 가능 정보, 씬이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인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이동된 것임을 지시하는 동적 정보 또는 씬이 새롭게 추가되었음을 지시하는 보완 정보 (complementary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파일은 상기 다수 씬들 각각을 구성하는 씬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씬 구성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의 서브 화면에 대한 미디어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는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의 다수 씬들을 배치하기 위한 씬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 파일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이면,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지를 검출하고,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다수 씬들을 배치하고,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씬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씬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씬을 배치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멀티 스크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이면,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씬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씬을 배치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1 씬 레이아웃 정보가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것임을 지시하는 뷰 타입 및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다수 씬들의 일부를 배치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제2 씬 레이아웃 정보가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것임을 지시하는 뷰 타입,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씬의 일부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된 상기 다수 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씬의 일부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서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제공될 씬의 타입을 정의하는 플런지-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지-아웃 정보는 씬이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인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공유됨을 지시하는 공유 가능 정보, 씬이 상기 메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인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이동된 것임을 지시하는 동적 정보 또는 씬이 새롭게 추가되었음을 지시하는 보완 정보 (complementary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파일은 상기 다수 씬들 각각을 구성하는 씬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씬 구성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의 서브 화면에 대한 미디어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는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154,507 US20140201609A1 (en) | 2013-01-14 | 2014-01-14 | Mark-up comp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screen service |
MX2015008738A MX349842B (es) | 2013-01-14 | 2014-01-14 | Aparato de redaccion de marcado y metodo para soportar servicio de varias pantallas. |
JP2015552589A JP6250703B2 (ja) | 2013-01-14 | 2014-01-14 | マルチスクリーンサービス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マークアップ構成装置及び方法 |
RU2015134191A RU2676890C2 (ru) | 2013-01-14 | 2014-01-14 | Устройство составления разметки и способ поддержки многоэкранной услуги |
CN201480004834.8A CN104919447B (zh) | 2013-01-14 | 2014-01-14 | 用于支持多屏幕服务的标记组成装置和方法 |
PCT/KR2014/000403 WO2014109623A1 (en) | 2013-01-14 | 2014-01-14 | Mark-up comp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screen service |
EP14737927.5A EP2943890A4 (en) | 2013-01-14 | 2014-01-14 | BALLISING COM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RVICE BASED ON MULTIPLE SCREENS |
AU2014205778A AU2014205778B2 (en) | 2013-01-14 | 2014-01-14 | Mark-up comp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screen service |
CA2893415A CA2893415C (en) | 2013-01-14 | 2014-01-14 | Mark-up comp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screen service |
JP2017225131A JP6445117B2 (ja) | 2013-01-14 | 2017-11-22 | マルチスクリーンサービス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マークアップ構成装置及び方法 |
US17/314,497 US20210263989A1 (en) | 2013-01-14 | 2021-05-07 | Mark-up comp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screen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4173 | 2013-01-14 | ||
KR1020130004173 | 2013-01-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2192A KR20140092192A (ko) | 2014-07-23 |
KR102072989B1 true KR102072989B1 (ko) | 2020-03-02 |
Family
ID=5173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1647A KR102072989B1 (ko) | 2013-01-14 | 2013-03-25 | 멀티스크린 지원을 위한 마크-업 구성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2) | US20140201609A1 (ko) |
EP (1) | EP2943890A4 (ko) |
JP (2) | JP6250703B2 (ko) |
KR (1) | KR102072989B1 (ko) |
CN (1) | CN104919447B (ko) |
AU (1) | AU2014205778B2 (ko) |
CA (1) | CA2893415C (ko) |
MX (1) | MX349842B (ko) |
RU (1) | RU2676890C2 (ko) |
WO (1) | WO201410962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2989B1 (ko) * | 2013-01-14 | 2020-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스크린 지원을 위한 마크-업 구성장치 및 방법 |
EP2963892A1 (en) * | 2014-06-30 | 2016-01-06 | Thomson Licensing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edia data |
KR102434103B1 (ko) | 2015-09-18 | 2022-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US10638022B2 (en) | 2018-09-07 | 2020-04-28 |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 Multi-panel display |
CN110908552B (zh) * | 2019-10-11 | 2021-08-10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多窗口操作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72139A1 (en) | 2006-08-20 | 2008-03-20 | Robert Salinas | Mobilizing Webpages by Selecting, Arranging, Adapting, Substituting and/or Supplementing Content for Mobile and/or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Optimizing Content for Mobile and/or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Enhancing Usability of Mobile Devices |
US20110167468A1 (en) | 2010-01-07 | 2011-07-07 | Joon Hui Lee | Method of processing application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nected with interactive network and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110490A1 (en) * | 2001-12-20 | 2004-06-10 | Steele Jay 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to media devices |
US7500198B2 (en) * | 2003-04-25 | 2009-03-03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skin and theme screens on a communication product |
JP2008512012A (ja) * | 2004-08-30 | 2008-04-17 | テレコム・イタリア・エッセ・ピー・アー | デジタルテレビで双方向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
US8893179B2 (en) * | 2005-09-12 | 2014-11-18 | Qualcomm Incorporated |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presenting customized channel information |
US8037406B1 (en) * | 2006-07-25 | 2011-10-11 |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 Dynamic screen generation and navigation engine |
WO2010021102A1 (ja) * | 2008-08-22 | 2010-02-2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関連シーン付与装置及び関連シーン付与方法 |
US8612582B2 (en) * | 2008-12-19 | 2013-12-17 | Openpeak Inc. | Managed services portals and method of operation of same |
US20100293471A1 (en) * | 2009-05-15 | 2010-11-18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Apparatus and method of diagrammatically presenting diverse data using a multiple layer approach |
US20110063224A1 (en) * | 2009-07-22 | 2011-03-17 | Frederic Vexo |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virtual on screen input |
WO2011053271A1 (en) | 2009-10-29 | 2011-05-05 | Thomson Licensing | Multiple-screen interactive screen architecture |
KR101857563B1 (ko) * | 2011-05-11 | 2018-05-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네트워크 전자기기들 간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
JP6058643B2 (ja) * | 2011-05-27 | 2017-01-11 |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 複数のスクリーンによるメディア体験を提供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
JP5254411B2 (ja) * | 2011-08-31 | 2013-08-07 | 株式会社東芝 |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外部装置連携システム |
US20130173765A1 (en) * | 2011-12-29 | 2013-07-04 | United Video Propert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roles between user devices |
US9176703B2 (en) * | 2012-06-29 | 2015-11-03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screen capture |
US9323755B2 (en) * | 2012-07-30 | 2016-04-26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Secondary content |
KR102072989B1 (ko) * | 2013-01-14 | 2020-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스크린 지원을 위한 마크-업 구성장치 및 방법 |
-
2013
- 2013-03-25 KR KR1020130031647A patent/KR1020729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1-14 JP JP2015552589A patent/JP6250703B2/ja active Active
- 2014-01-14 RU RU2015134191A patent/RU2676890C2/ru active
- 2014-01-14 CA CA2893415A patent/CA2893415C/en active Active
- 2014-01-14 MX MX2015008738A patent/MX349842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4-01-14 US US14/154,507 patent/US2014020160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1-14 CN CN201480004834.8A patent/CN104919447B/zh active Active
- 2014-01-14 EP EP14737927.5A patent/EP2943890A4/en not_active Ceased
- 2014-01-14 WO PCT/KR2014/000403 patent/WO201410962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1-14 AU AU2014205778A patent/AU2014205778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11-22 JP JP2017225131A patent/JP6445117B2/ja active Active
-
2021
- 2021-05-07 US US17/314,497 patent/US20210263989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72139A1 (en) | 2006-08-20 | 2008-03-20 | Robert Salinas | Mobilizing Webpages by Selecting, Arranging, Adapting, Substituting and/or Supplementing Content for Mobile and/or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Optimizing Content for Mobile and/or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Enhancing Usability of Mobile Devices |
US20110167468A1 (en) | 2010-01-07 | 2011-07-07 | Joon Hui Lee | Method of processing application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nected with interactive network and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893415C (en) | 2020-11-24 |
RU2015134191A (ru) | 2017-02-16 |
JP2018078575A (ja) | 2018-05-17 |
CN104919447B (zh) | 2017-12-12 |
WO2014109623A1 (en) | 2014-07-17 |
US20140201609A1 (en) | 2014-07-17 |
MX2015008738A (es) | 2015-10-26 |
AU2014205778A2 (en) | 2015-12-17 |
EP2943890A1 (en) | 2015-11-18 |
RU2676890C2 (ru) | 2019-01-11 |
JP6250703B2 (ja) | 2017-12-20 |
CN104919447A (zh) | 2015-09-16 |
MX349842B (es) | 2017-08-16 |
AU2014205778B2 (en) | 2019-04-18 |
JP6445117B2 (ja) | 2018-12-26 |
US20210263989A1 (en) | 2021-08-26 |
CA2893415A1 (en) | 2014-07-17 |
KR20140092192A (ko) | 2014-07-23 |
JP2016508347A (ja) | 2016-03-17 |
EP2943890A4 (en) | 2016-11-16 |
AU2014205778A1 (en) | 2015-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63989A1 (en) | Mark-up comp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screen service | |
EP1914986A1 (en) | An electronic program guide interface customizing method, server, set top box and system | |
US2012016704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web content for mobile communicators | |
US20070255811A1 (en) | Dynamic Data Presentation | |
US20080278628A1 (en) | Content display device, content display method, content display system, content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CN113687745A (zh) | 一种分屏窗口的界面显示方法、系统及终端 | |
CN111639281A (zh) | 一种页面资源显示方法及显示设备 | |
US9354901B2 (en) |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introducing client devices into a client-server network | |
US12022146B2 (en) |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 |
JP4449359B2 (ja) | 電子機器及び情報視聴方法、並びに情報視聴システム | |
KR101958662B1 (ko) | 웹페이지 자바 스크립트 객체 공유 방법 및 장치 | |
JP5303534B2 (ja) | 体裁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 |
KR100419568B1 (ko) | 네트워크 기반 홈페이지 자동 편집 방법 | |
US1029865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eb serve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CN101710952B (zh) | 一种以xml方式存储、显示epg数据的方法和系统 | |
KR101262493B1 (ko) | Ux 특성을 갖춘 웹 기반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US11343583B2 (en) | Method for displaying GUI for providing menu items and display device | |
KR101460788B1 (ko) | 웹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101370714B1 (ko) | 다중 스크린 장치 사용을 위한 웹 페이지 스크린 분할 방법 및 시스템 | |
WO2023046083A1 (zh) | 一种频道列表显示方法及显示设备 | |
KR102142569B1 (ko) | 미디어 재생 장치 및 화면 캡쳐 방법 | |
KR20070108771A (ko) | 방송수신장치 및 그 인터넷 바로가기 수행방법 | |
JP2012080223A (ja) | ビデオサー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