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427B1 - 2열 흙막이 구조물 - Google Patents
2열 흙막이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0427B1 KR102050427B1 KR1020170030603A KR20170030603A KR102050427B1 KR 102050427 B1 KR102050427 B1 KR 102050427B1 KR 1020170030603 A KR1020170030603 A KR 1020170030603A KR 20170030603 A KR20170030603 A KR 20170030603A KR 102050427 B1 KR102050427 B1 KR 1020504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heat transfer
- heat
- spacer
- r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방향을 따라 열지어 설치된 전열말뚝(100); 상기 전열말뚝(100)의 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열지어 설치된 후열말뚝(200); 상기 후열말뚝(200)의 후방의 배후토사부(a)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열말뚝(200)에 설치된 후열 흙막이부재(201); 상기 배후토사부(a)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열말뚝(100)과 후열말뚝(200) 사이에 형성된 중간토사부(b)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열말뚝(100)에 설치된 전열 흙막이부재(101); 상기 후열말뚝(200)의 상단 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후열띠장(200a); 상기 전열말뚝(100)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후단이 상기 후열띠장(200a)에 결합하고, 전단이 상기 전열말뚝(100)에 결합한 상부 간격재(500); 상기 전열말뚝(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중간토사부(b)의 상면의 높이와 상기 상부 간격재(500)의 높이의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설치된 전열띠장(100a); 상기 전열말뚝(100)과 상기 후열말뚝(200)의 사이에 결합하되, 상기 중간토사부(b)의 상면의 높이와 상기 전열띠장(100a)의 높이의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설치된 하부 간격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흙막이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말뚝, 띠장, 간격재의 상호 결합구조를 개선하고, 간격재와 흙막이 부재의 저촉을 방지하여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 경제성 및 시공성을 얻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구조물이란, 건설공사 현장에서 비탈지거나 굴토해낸 자리에 설치되어, 낙석이나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며, 기초공사 등을 위한 굴토구간의 터파기시 흙벽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을 일컫는다.
즉, 흙막이 구조물은 터파기를 안전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져 작용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최근, 굴착 영역(작업 영역) 내부에 설치되는 지보재에 의한 시공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2열로 엄지말뚝을 설치하고 이에 대하여 흙막이 부재를 설치하는 2열 흙막이 공법이 개발되었다(도 1 내지 3).
이러한 종래의 2열 흙막이 구조물은, 토류판이나 시트파일과 같은 전열 흙막이부재(101)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열지어 설치된 H 파일 구조의 전열말뚝(100);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전열말뚝(100)의 후방에 열지어 설치된 H 파일 구조의 후열말뚝(200); 전열말뚝(100)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전열띠장(10a,10b); 후열말뚝(200)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후열띠장(20); 전열말뚝(100)과 후열말뚝(200)의 상부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상부 간격재(30); 전열말뚝(100)과 후열말뚝(200)의 중앙부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중앙부 간격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2).
전열말뚝(100)과 후열말뚝(200)의 상단을 상호 결합하여 견고한 지지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전열말뚝(100)의 상단 및 후열말뚝(200)의 상단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각각 전열띠장(10a)과 후열띠장(20)이 설치되고, 전열말뚝(100)과 전열띠장(10a)의 결합지점 및 후열말뚝(200)과 후열띠장(20)의 결합지점마다 상부 간격재(30)의 전단 및 후단이 각각 결합한다.
후열 흙막이부재(201)는 후열말뚝(200)의 후방의 배후토사부(a)를 지지하도록 후열말뚝(200)에 설치된다.
전열 흙막이부재(101)는 배후토사부(a)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열말뚝(100)과 후열말뚝(200) 사이에 형성된 중간토사부(b)를 지지하도록 전열말뚝(100)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전열말뚝(100)과 후열말뚝(200) 사이의 상부 영역을 굴착하고 후열 흙막이부재(201)에 의해 토압의 일부를 분담하도록 하므로, 하중의 고른 분배를 통해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부 간격재(40)의 전단은 전열말뚝(100)의 후방 플랜지(120)에 이중너트 구조로 결합하고, 중앙부 간격재(40)의 후단은 후열말뚝(200)의 전방 플랜지(210)에 이중너트 구조로 결합하는 구조를 취한다(도 3).
한편, 흙막이부재(101,102)는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말뚝(100,200)의 전방 플랜지(110,210)의 후면에 면접촉하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2열 흙막이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첫째, 전열말뚝(100)의 상단, 전열띠장(10a), 상부 간격재(30)의 전단의 3개의 부재가 일지점에서 상호 만나야 하는 결합구조이므로, 실제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대단히 좋지 못하다.
둘째, 일지점에서 3개의 부재가 상호 만남에 따라, 압축력, 인장력, 휨모멘트가 모두 발생하므로, 구조해석이 복잡하고 어렵다.
셋째, 전열말뚝(100)의 상단에 전열띠장(10a)을 설치하므로, 최상단의 전열띠장(10a)과 하단 지지점 사이의 지간이 커서 추가 전열띠장(10b)의 설치가 필요하다.
넷째, 중앙부 간격재(40)의 후단이 후열말뚝(200)의 전방 플랜지(210)에 이중너트 구조로 결합하므로,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양단과 중앙부 간격재(40)의 후단의 이중너트 결합구조 사이에 저촉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양단의 지지면적 축소로 인한 구조적 안정성의 저하, 시공의 불편함 등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말뚝, 띠장, 간격재의 상호 결합구조를 개선하고, 간격재와 흙막이 부재의 저촉을 방지하여,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 경제성 및 시공성을 얻도록 하는 2열 흙막이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방향을 따라 열지어 설치된 전열말뚝(100); 상기 전열말뚝(100)의 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열지어 설치된 후열말뚝(200); 상기 후열말뚝(200)의 후방의 배후토사부(a)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열말뚝(200)에 설치된 후열 흙막이부재(201); 상기 배후토사부(a)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열말뚝(100)과 후열말뚝(200) 사이에 형성된 중간토사부(b)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열말뚝(100)에 설치된 전열 흙막이부재(101); 상기 후열말뚝(200)의 상단 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후열띠장(200a); 상기 전열말뚝(100)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후단이 상기 후열띠장(200a)에 결합하고, 전단이 상기 전열말뚝(100)에 결합한 상부 간격재(500); 상기 전열말뚝(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중간토사부(b)의 상면의 높이와 상기 상부 간격재(500)의 높이의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설치된 전열띠장(100a); 상기 전열말뚝(100)과 상기 후열말뚝(200)의 사이에 결합하되, 상기 중간토사부(b)의 상면의 높이와 상기 전열띠장(100a)의 높이의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설치된 하부 간격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흙막이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전열말뚝(100), 후열말뚝(200), 전열띠장(100a), 후열띠장(200a) 및 상부 간격재(500)는 H 단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열말뚝(100)에 대하여 상기 상부 간격재(500)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열말뚝(100)의 후면 및 상기 상부 간격재(500)의 저면에 결합한 "ㄱ"자형 단면의 지지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열말뚝(100)의 후면과, 상기 상부 간격재(500)의 상부 플랜지의 상면 및 웹의 측면에 결합한 리브 플레이트(15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간격재(500)의 후단에 용접결합한 결합판(5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열띠장(200a)의 전방 플랜지(210a)와 상기 결합판(510)은 볼트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간격재(300)는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한 한 쌍의 강봉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전면이 상기 후열말뚝(200)의 전방 플랜지(210)의 후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과 상기 후열말뚝(200)의 직접결합에 따른 상기 후열말뚝(200)과 상기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저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이 결합하도록 상기 후열말뚝(200)의 전방에 설치된 보조결합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결합부재(400)는 상기 후열말뚝(200)에 비해 길이가 짧은 H 파일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결합부재(400)의 후방 플랜지(430)의 후면과 상기 후열말뚝(200)의 전방 플랜지(210)의 전면이 면접촉하도록 용접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결합부재(400)의 전방 플랜지(410)에는 결합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은 상기 결합부(411)를 관통하여 이중너트(31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상기 결합부(411)가 상기 보조결합부재(400)의 전방 플랜지(4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이 각각 한 쌍의 상기 결합부(411)에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411)는 상기 전방 플랜지(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트임부(4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웹 측으로 연장형성된 장공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간격재(300)는 모든 상기 전열말뚝(100) 및 후열말뚝(200)의 사이 영역 전부에 대하여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간격재(500)는 모든 상기 전열말뚝(100) 및 후열말뚝(200)의 사이 영역 중 일부에 대하여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말뚝, 띠장, 간격재의 상호 결합구조를 개선하고, 간격재와 흙막이 부재의 저촉을 방지하여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 경제성 및 시공성을 얻도록 하는 2열 흙막이 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2열 흙막이 구조물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2열 흙막이 구조물의 상부 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2열 흙막이 구조물의 중앙부 횡단면도.
도 4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2열 흙막이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상부 간격재의 결합판의 정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8은 제2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 10은 보조결합부재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2열 흙막이 구조물의 상부 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2열 흙막이 구조물의 중앙부 횡단면도.
도 4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2열 흙막이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상부 간격재의 결합판의 정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8은 제2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 10은 보조결합부재의 정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2열 흙막이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좌우방향을 따라 열지어 설치된 전열말뚝(100); 전열말뚝(100)의 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열지어 설치된 후열말뚝(200); 후열말뚝(200)의 후방의 배후토사부(a)를 지지하도록, 후열말뚝(200)에 설치된 후열 흙막이부재(201); 배후토사부(a)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열말뚝(100)과 후열말뚝(200) 사이에 형성된 중간토사부(b)를 지지하도록, 전열말뚝(100)에 설치된 전열 흙막이부재(101); 후열말뚝(200)의 상단 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후열띠장(200a); 전열말뚝(100)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후단이 후열띠장(200a)에 결합하고, 전단이 전열말뚝(100)에 결합한 상부 간격재(500); 전열말뚝(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중간토사부(b)의 상면의 높이와 상부 간격재(500)의 높이의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설치된 전열띠장(100a); 전열말뚝(100)과 후열말뚝(200)의 사이에 결합하되, 중간토사부(b)의 상면의 높이와 전열띠장(100a)의 높이의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설치된 하부 간격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와 같이 전열말뚝(100)의 상단, 전열띠장(100a), 상부 간격재(500)의 전단의 3개의 부재가 일지점에서 상호 만나는 구조가 아니고, 전열말뚝(100)의 상단과 상부 간격재(500)의 전단이 결합하는 한편, 전열띠장(100a)은 그 하측 위치(별도의 위치)에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3개의 부재가 일지점에서 상호 만날 필요가 없으므로, 종래에 비해 실제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우수하다.
둘째, 전열말뚝(100)의 상단과 상부 간격재(500)의 전단의 결합부위에는 오로지 압축력만이 발생하고, 기타의 하중(인장력, 휨모멘트)은 전열말뚝(100)과 전열띠장(100a)의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것으로 구조해석을 단순화할 수 있다.
셋째, 전열말뚝(100)의 상단이 아닌 중앙부위에 전열띠장(100a)을 설치하므로, 최상단의 전열띠장(100a)과 하단 지지점 사이의 지간이 줄어듦에 따라 추가 전열띠장의 설치가 불필요하거나 설치개수를 줄일 수 있다.
전열말뚝(100), 후열말뚝(200), 전열띠장(100a), 후열띠장(200a) 및 상부 간격재(500)는 H 단면 구조(H 말뚝, H 빔)를 취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경제성, 시공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부 간격재(500)의 전단은 전열말뚝(100)의 후면에 일체형 구조로 용접결합을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열말뚝(100)에 대하여 상부 간격재(500)를 지지하도록, 전열말뚝(100)의 후면에 먼저 "ㄱ"자형 단면의 지지부재(150)를 용접결합하고, 그 위에 상부 간격재(500)의 저면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말뚝(100)의 후면과, 상부 간격재(500)의 상부 플랜지의 상면 및 웹의 측면에 리브 플레이트(151)를 용접결합하는 것이 일체형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부 간격재(500)의 후단에 결합판(510)을 용접결합하고, 후열띠장(200a)의 전방 플랜지(210a)와 위 결합판(510)을 볼트결합하는 것이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H 빔 구조를 취하는 상부 간격재(500)와 달리, 하부 간격재(300)는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한 한 쌍의 강봉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흙막이부재(101,102)는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말뚝(100,200)의 전방 플랜지(110,210)의 후면에 면접촉하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2열 흙막이 구조물에서는, 중앙부 간격재(40)의 후단이 후열말뚝(200)의 전방 플랜지(210)에 이중너트 구조로 결합하므로,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양단과 중앙부 간격재(40)의 후단의 이중너트 결합구조 사이에 저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과 후열말뚝(200)의 직접결합에 따른 후열말뚝(200)과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저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이 결합하도록 후열말뚝(200)의 전방에 보조결합부재(400)가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내지 10).
즉,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을 직접 후열말뚝(200)에 결합함에 따라,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과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저촉이 발생한다는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별도의 보조결합부재(400)를 후열말뚝(200)의 전방에 설치하고,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이 이러한 보조결합부재(400)에 결합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의 결합구조가 후열말뚝(200)의 전방 플랜지(210)에 대하여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과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저촉이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양단의 지지면적 확보로 인한 구조적 안정성의 증대, 시공의 편리함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조결합부재(400)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데, 후열말뚝(200)에 비해 길이가 짧은 H 파일 구조(H 파일의 조각)를 사용하는 경우, 제조 및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보조결합부재(400)의 후방 플랜지(430)의 후면과 후열말뚝(200)의 전방 플랜지(210)의 전면이 면접촉하도록 용접결합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보조결합부재(400)의 전방 플랜지(410)에는 결합부(411)가 형성되고,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은 결합부(411)를 관통하여 이중너트(31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결합부(411)가 보조결합부재(400)의 전방 플랜지(4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이 각각 한 쌍의 결합부(411)에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합부(411)는 전방 플랜지(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트임부(4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웹 측으로 연장형성된 장공구조를 취하는 경우, 하부 간격재(300), 이중너트(310) 및 보조결합부재(400)의 상호 결합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 효율성 및 경제성을 위하여, 상부 간격재(500)로는 고가의 H 빔을 사용하고, 하부 간격재(300)로는 저가의 강봉을 사용하는데, 상부 간격재(500)를 모든 전열말뚝(100) 및 후열말뚝(200)의 사이 영역 전부에 대하여 설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하부 간격재(300)는 모든 전열말뚝(100) 및 후열말뚝(200)의 사이 영역 전부에 대하여 설치되고, 상부 간격재(500)는 모든 전열말뚝(100) 및 후열말뚝(200)의 사이 영역 중 일부에 대하여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구조적 효율성 및 경제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예컨대 모든 전열말뚝(100) 및 후열말뚝(200)의 사이 영역 중 한 칸씩 번갈아 상부 간격재(50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도 5).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전열말뚝 100a : 전열띠장
110 : 전방 플랜지 101 : 전열 흙막이부재
150 : 지지부재 151 : 리브 플레이트
200 : 후열말뚝 200a : 후열띠장
210 : 전방 플랜지 201 : 후열 흙막이부재
300 : 하부 간격재 310 : 이중너트
400 : 보조결합부재 410 : 전방 플랜지
411 : 결합부 412 : 트임부
420 : 웹 430 : 후방 플랜지
500 : 상부 간격재
110 : 전방 플랜지 101 : 전열 흙막이부재
150 : 지지부재 151 : 리브 플레이트
200 : 후열말뚝 200a : 후열띠장
210 : 전방 플랜지 201 : 후열 흙막이부재
300 : 하부 간격재 310 : 이중너트
400 : 보조결합부재 410 : 전방 플랜지
411 : 결합부 412 : 트임부
420 : 웹 430 : 후방 플랜지
500 : 상부 간격재
Claims (12)
- 좌우방향을 따라 열지어 설치된 전열말뚝(100);
상기 전열말뚝(100)의 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열지어 설치된 후열말뚝(200);
상기 후열말뚝(200)의 후방의 배후토사부(a)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열말뚝(200)에 설치된 후열 흙막이부재(201);
상기 배후토사부(a)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열말뚝(100)과 후열말뚝(200) 사이에 형성된 중간토사부(b)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열말뚝(100)에 설치된 전열 흙막이부재(101);
상기 후열말뚝(200)의 상단 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후열띠장(200a);
상기 전열말뚝(100)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후단이 상기 후열띠장(200a)에 결합하고, 전단이 상기 전열말뚝(100)에 결합한 상부 간격재(500);
상기 전열말뚝(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중간토사부(b)의 상면의 높이와 상기 상부 간격재(500)의 높이의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설치된 전열띠장(100a);
상기 전열말뚝(100)과 상기 후열말뚝(200)의 사이에 결합하되, 상기 중간토사부(b)의 상면의 높이와 상기 전열띠장(100a)의 높이의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설치된 하부 간격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말뚝(100), 후열말뚝(200), 전열띠장(100a), 후열띠장(200a) 및 상부 간격재(500)는 H 단면 구조이고,
상기 하부 간격재(300)는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한 한 쌍의 강봉 구조이고,
상기 하부 간격재(300)는 모든 상기 전열말뚝(100) 및 후열말뚝(200)의 사이 영역 전부에 대하여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간격재(500)는 모든 상기 전열말뚝(100) 및 후열말뚝(200)의 사이 영역 중 일부에 대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전면이 상기 후열말뚝(200)의 전방 플랜지(210)의 후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과 상기 후열말뚝(200)의 직접결합에 따른 상기 후열말뚝(200)과 상기 후열 흙막이부재(201)의 저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이 결합하도록 상기 후열말뚝(200)의 전방에 설치된 보조결합부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결합부재(400)는 상기 후열말뚝(200)에 비해 길이가 짧은 H 파일 구조이고,
상기 보조결합부재(400)의 후방 플랜지(430)의 후면과 상기 후열말뚝(200)의 전방 플랜지(210)의 전면이 면접촉하도록 용접결합하고,
상기 보조결합부재(400)의 전방 플랜지(410)에는 결합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은 상기 결합부(411)를 관통하여 이중너트(310)에 의해 고정되고,
한 쌍의 상기 결합부(411)가 상기 보조결합부재(400)의 전방 플랜지(4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하부 간격재(300)의 후단이 각각 한 쌍의 상기 결합부(411)에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411)는 상기 전방 플랜지(4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트임부(4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웹 측으로 연장형성된 장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흙막이 구조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말뚝(100)에 대하여 상기 상부 간격재(500)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열말뚝(100)의 후면 및 상기 상부 간격재(500)의 저면에 결합한 "ㄱ"자형 단면의 지지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흙막이 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말뚝(100)의 후면과, 상기 상부 간격재(500)의 상부 플랜지의 상면 및 웹의 측면에 결합한 리브 플레이트(1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흙막이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간격재(500)의 후단에 용접결합한 결합판(5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열띠장(200a)의 전방 플랜지(210a)와 상기 결합판(510)은 볼트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흙막이 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0603A KR102050427B1 (ko) | 2017-03-10 | 2017-03-10 | 2열 흙막이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0603A KR102050427B1 (ko) | 2017-03-10 | 2017-03-10 | 2열 흙막이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4242A KR20180104242A (ko) | 2018-09-20 |
KR102050427B1 true KR102050427B1 (ko) | 2020-01-08 |
Family
ID=6371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0603A KR102050427B1 (ko) | 2017-03-10 | 2017-03-10 | 2열 흙막이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04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2862B1 (ko) * | 2024-04-05 | 2024-09-04 | (주)지오알앤디 | 이열말뚝 자립형 흙막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공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1332B1 (ko) * | 2007-11-29 | 2008-05-22 | 이재호 |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1225569B1 (ko) * | 2010-06-14 | 2013-01-24 |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 전열·후열 말뚝 연결재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7435A (ko) * | 2006-10-26 | 2008-04-30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브보강 엔드플레이트 접합부 |
KR20090057708A (ko) * | 2007-12-03 | 2009-06-08 | 주식회사 백산공영 | 2열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 |
-
2017
- 2017-03-10 KR KR1020170030603A patent/KR1020504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1332B1 (ko) * | 2007-11-29 | 2008-05-22 | 이재호 |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1225569B1 (ko) * | 2010-06-14 | 2013-01-24 |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 전열·후열 말뚝 연결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4242A (ko) | 2018-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6373B1 (ko) | 2열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 |
KR100964993B1 (ko) | 고심도 2열 엄지말뚝 흙막이 공법 | |
KR101179770B1 (ko) | 흙막이 가설구조 및 흙막이 가설 방법 | |
KR100966573B1 (ko) | 스트럿을 이용한 2열 엄지말뚝 흙막이 공법 | |
KR200452946Y1 (ko) | 용접 h형 강널말뚝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합성 차수벽체 | |
JP6905387B2 (ja) | 土留め構造の施工方法 | |
JP5381760B2 (ja) | 鋼矢板擁壁およびその設計方法 | |
KR102050427B1 (ko) | 2열 흙막이 구조물 | |
KR101715795B1 (ko) |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20140069845A (ko) |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 |
KR20190132771A (ko) | 보강 구조물을 구비한 프리스트레스 빔 및 이를 사용한 가설 흙막이 공법 | |
KR102200265B1 (ko) | 부모멘트부 보강 거더 구조 | |
JP5187325B2 (ja) | 鋼矢板擁壁およびその設計方法 | |
KR101095700B1 (ko) | 성토층의 보강구조를 가진 전면 패널벽체를 이용한 성토층 지지옹벽 및 이러한 성토층 지지옹벽의 시공방법 | |
KR101692541B1 (ko) | 2열 자립식 흙막이 시공에서의 전열·후열 말뚝 연결구조 | |
KR102542559B1 (ko) | 레이커 보강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보강방법 | |
JP5633524B2 (ja) | 鋼矢板地下壁構造 | |
KR102649098B1 (ko) | 프리스트레스 띠장을 이용한 2열 흙막이 구조물 | |
KR101947119B1 (ko) | 2열 흙막이 구조물 | |
KR100995503B1 (ko) | 작업통로를 구비한 2열 엄지말뚝 흙막이 구조물 및 흙막이 공법 | |
KR20120049603A (ko) | 트러스형 말뚝 배열 구조를 가지는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4855359B2 (ja) | 鋼矢板および鋼矢板壁体ならびに鋼矢板壁体の構築方法 | |
KR101349299B1 (ko) | 전면 보강판 및 띠장의 일체 결합에 의해 보강된 차수기능의 강재 토류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94381B1 (ko) |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 |
JPH06280251A (ja) | 地中連続壁用鋼製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56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07 Effective date: 20190722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