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809B1 -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4809B1 KR102044809B1 KR1020180112433A KR20180112433A KR102044809B1 KR 102044809 B1 KR102044809 B1 KR 102044809B1 KR 1020180112433 A KR1020180112433 A KR 1020180112433A KR 20180112433 A KR20180112433 A KR 20180112433A KR 102044809 B1 KR102044809 B1 KR 1020448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radish
- decomposition
- water
- enzy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8700040099 Xylose isomeras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10059892 Cellul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10073178 Glucan 1,4-alpha-Glucosid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90001060 Lip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2000004882 Lipase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367 Lip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90000526 Papa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90000284 Pepsin A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2000057297 Pepsin A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10059820 Polygalacturon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2100037486 Reverse transcriptase/ribonuclease H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106157 cellulas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10093305 exopolygalacturon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421 lipa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55729 papa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834 papa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111202 peps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419 proteas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605159 Nitrobacter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605122 Nitrosomona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589516 Pseudomona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190932 Rhodopseudomona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8090000631 Tryps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2000004142 Trypsi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108461 renne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8010058314 rennet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88 tryp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60001322 tryps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claims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01727 glucose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9123 Fibr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3385 Fib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BWGVNKXGVNDBDI-UHFFFAOYSA-N Fibrin monomer Chemical compound CNC(=O)CNC(=O)CN BWGVNKXGVNDB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YYVLZVUVIJVGH-UHFFFAOYSA-N caffeine Chemical compound CN1C(=O)N(C)C(=O)C2=C1N=CN2C RYYVLZVUVIJ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50003499 fibr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LXNHXLLTXMVWPM-UHFFFAOYSA-N pyridoxine Chemical compound CC1=NC=C(CO)C(CO)=C1O LXNHXLLTXMVW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JJVAFUKOBZPCB-UHFFFAOYSA-N 2-methyl-2-(4,8,12-trimethyltrideca-3,7,11-trienyl)-3,4-dihydrochromen-6-ol Chemical compound OC1=CC=C2OC(CCC=C(C)CCC=C(C)CCC=C(C)C)(C)CCC2=C1 GJJVAFUKOBZPC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PHGQDQBBGAPDZ-UHFFFAOYSA-N Isocaffeine Natural products CN1C(=O)N(C)C(=O)C2=C1N(C)C=N2 LPHGQDQBBGAPD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948 caffe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VJEONQKOZGKCAK-UHFFFAOYSA-N caffeine Natural products CN1C(=O)N(C)C(=O)C2=C1C=CN2C VJEONQKOZGKC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VJHHUAWPYXKBD-UHFFFAOYSA-N d-alpha-tocopherol Natural products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1205 diast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10 lig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02 metabolic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ADKZDMFGJYCBB-UHFFFAOYSA-N pyridoxal hydrochloride Natural products CC1=NC=C(CO)C(C=O)=C1O RADKZDMFGJYC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DPJRMOMPQZCRJU-UHFFFAOYSA-M thiam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C1=C(CCO)SC=[N+]1CC1=CN=C(C)N=C1N DPJRMOMPQZCRJ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84 tocoph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95 tocoph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99 tocopher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2 tocophe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802 tocotrien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1 tocotrien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48 tocotri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8 vitamin B6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6 vitamin B6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1671 vitamin b6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VJHHUAWPYXKBD-IEOSBIPE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H](C)CCC[C@H](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IEOSBIPE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1/00—Hydrolases acting on ester bonds (3.1)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1—Serine endopeptidases (3.4.21)
- C12Y304/21004—Trypsin (3.4.21.4)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2—Cysteine endopeptidases (3.4.22)
- C12Y304/22002—Papain (3.4.22.2)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3—Aspartic endopeptidases (3.4.23)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503/00—Intramolecular oxidoreductases (5.3)
- C12Y503/01—Intramolecular oxidoreductases (5.3) interconverting aldoses and ketoses (5.3.1)
- C12Y503/01005—Xylose isomerase (5.3.1.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임무 제조 등 무(radish) 가공 과정 중에 발생되는 부산물인 무(radish)슬러지를 분해 처리하기 위하여, 효소톱밥, 분해보조혼합물, 다공성 고령토, 미생물 제제의 혼합으로 조성된 분해촉매와 함께 반응기에 투입함으로써, 분해효소 및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완전하게 분해처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무(radish) 가공 현장에서 발생되는 무슬러지를 바로 분해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무슬러지를 전문처리업체로 넘기기 전까지 보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처리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임무 제조 등 무(radish) 가공 과정 중에 발생되는 부산물인 무(radish)슬러지를 분해 처리하기 위하여, 효소톱밥, 분해보조혼합물, 다공성 고령토, 미생물 제제의 혼합으로 조성된 분해촉매와 함께 반응기에 투입함으로써, 분해효소 및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완전하게 분해처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무 가공 현장에서 발생되는 무슬러지를 바로 분해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무슬러지를 전문처리업체로 넘기기 전까지 보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처리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 처리비 증가로 인하여 매년 그 비용이 기업 상품 제조비 인상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치킨용 무로 사용되는 절임무 제조시 부산물로 발생되는 무 껍질 등은 폐기물로 지정되어 있어, 외부 전문 처리업체를 통하여 위탁처리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처리비 및 운반비 가중으로 인한 상품 가격경쟁력 약화 및 수집 운반 처리 시 발생되는 악취와 주변오염으로 인한 악취발생과 주변오염에 의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여러 방안이 검토되고 있기는 하나, 처리비, 처리 기술 등이 적합하지 않아 해결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효과적인 처리기술 개발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절임무 제조 등 무(radish) 가공 과정 중에 발생되는 부산물인 무(radish)슬러지를 분해 처리하기 위하여, 효소톱밥, 분해보조혼합물, 다공성 고령토, 미생물 제제의 혼합으로 조성된 분해촉매와 함께 반응기에 투입함으로써, 분해효소 및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완전하게 분해처리되도록 하는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효소활성수 2.0 ~ 8.0 wt%와 톱밥 92.0 ~ 98.0 wt%를 혼합한 후, 5 ~ 15 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된 효소톱밥(a) 3.0 ~ 30.0 wt%;
커피박과 미강의 혼합으로 조성된 분해보조혼합물(b) 15.0 ~ 50.0 wt%;
다공성 고령토(c) 5.0 ~ 45.0 wt%;
미생물 제제(d) 5.0 ~ 20.0 wt%;의 혼합(a+b+c+d)으로 조성되는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는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절임무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radish) 껍질 등을 포함하는 무(radish)슬러지를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완전하게 분해처리할 수 있어, 무 가공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발생되는 무슬러지를 따로 보관할 필요없이 간편하면서도 신속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둘째. 사업장 내에서 식품폐기물 발생 즉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식품폐기물 위탁처리업체에 의한 처리를 위해 임시보관 및 이송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주변작업환경 및 주변 토양 및 수질 오염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셋째. 무(radish)슬러지의 유기물을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완벽하게 분해처리하기 때문에 처리과정에서 잔여물 발생이 전혀 없어, 대기, 수질, 토양의 오염이 전혀 없는 친환경 기술이다.
넷째. 현재 무(radish)슬러지의 일발생량은 약 10톤이다. 기존 폐기물처리 전문 업체 위탁 처리비는 톤당 10 만원 이상 소요되나, 본 발명에 따른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를 이용하여 분해처리시 처리비용은 톤당 3 만원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처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폐기물 전문처리업체 위탁 처리 시 발생되는 운송비 및 보관비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 있어 매우 큰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무(radish)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슬러지를 예시적으로 보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기술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기재되어 있는 '무슬러지'는 '무(radish) 가공 과정에서 발생된 무(radish) 껍질 또는 속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도 1은 무(radish)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슬러지를 예시적으로 보인 사진으로서, (a)는 치킨용 무로 사용되는 절임무 제조과정에서 발생된 무(radish) 껍질이며, (b)는 치킨용 무로 사용되는 절임무 제조과정에서 발생된 무(radish) 속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슬러지 처리용 친환경 분해촉매는,
효소활성수 2.0 ~ 8.0 wt%와 톱밥 92.0 ~ 98.0 wt%를 혼합한 후, 5 ~ 15 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된 효소톱밥(a) 3.0 ~ 30.0 wt%;
커피박과 미강의 혼합으로 조성된 분해보조혼합물(b) 15.0 ~ 50.0 wt%;
다공성 고령토(c) 5.0 ~ 45.0 wt%;
미생물 제제(d) 5.0 ~ 20.0 wt%;의 혼합(a+b+c+d)으로 조성된다.
상기 효소톱밥은 효소활성수와 톱밥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제조하는 것으로서, 효소활성을 통해 무슬러지의 분해효율을 높여준다.
상기 효소톱밥을 구성하는 효소활성수는 디아스타아제(Distase), 아밀라아제(Amylase), 아밀로글루코시디아제(Amyloglucosidase), 트립신(Trypsin), 펩신(Pepsin), 레넷(Rennet), 파파인(Papain), 프로테아제(Protease), 글루코오스 이소메라아제(Glucose isomerase), 리파아제(Lip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펙티나아제(Pectinas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해효소 50.0 ~ 70.0 wt%와, 물(water) 15.0 ~ 25.0 wt%와, 톱밥 15.0 ~ 2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효소활성수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배합예 1 | 배합예 2 | 배합예 3 | 배합예 4 | 배합예 5 | |
분해 효소 | 50.0 wt% | 55.0 wt% | 60.0 wt% | 65.0 wt% | 70.0 wt% |
물(water) | 25.0 wt% | 20.0 wt% | 20.0 wt% | 15.0 wt% | 15.0 wt% |
톱 밥 | 25.0 wt% | 25.0 wt% | 20.0 wt% | 20.0 wt% | 15.0 wt% |
합 계 | 100.0 wt% | 100.0 wt% | 100.0 wt% | 100.0 wt% | 100.0 wt% |
상기 톱밥과 혼합을 이루는 효소활성수의 사용량이 2.0 wt%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고, 8.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해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효소활성수의 사용량은 2.0 ~ 8.0 wt%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밥은 상기 효소활성수와 혼합을 이루어 효소의 활성화를 위한 공간 및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92.0 wt% 미만인 경우에는 효소톱밥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98.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효소톱밥을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톱밥의 사용량은 92.0 ~ 98.0 wt%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소톱밥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배합예 1 | 배합예 2 | 배합예 3 | 배합예 4 | 배합예 5 | |
효소활성수 | 2.0 wt% | 3.0 wt% | 5.0 wt% | 7.0 wt% | 8.0 wt% |
톱 밥 | 98.0 wt% | 97.0 wt% | 95.0 wt% | 93.0 wt% | 92.0 wt% |
합 계 | 100.0 wt% | 100.0 wt% | 100.0 wt% | 100.0 wt% | 100.0 wt% |
상기 효소톱밥은 친환경 분해촉매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효소를 통한 무슬러지 분해처리 기능을 높여준다.
그 사용량이 3.0 wt% 미만인 경우에는 효소를 통한 무슬러지의 분해 기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3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한 처리비용의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효소톱밥의 사용량은 분해촉매 전체 중량에 대해 3.0 ~ 3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해보조혼합물은 커피박과 미강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효소 및 미생물에게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효소 및 미생물의 활동을 왕성하게 하여 무슬러지의 분해 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피박(SCG: Spent Coffee Ground)은 커피 원두에서 커피를 추출하고 남은 나머지이다. 상기 커피박은 유기 폐기물로서 단백질, 조섬유, 조지방, 폴리페놀, 탄닌, 섬유소, 리그닌, 카페인 등의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균사체 생육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미강(rice bran)은 쌀을 현미로 도정하는 과정에서 약 7 % 비중으로 얻게 되는 부산물이다. 미강의 주된 영양 성분으로는 단백질 12 ~ 16 %, 지방 16 ~ 22 %, 섬유소 8 ~ 12 %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밖에도 비타민 A와 비타민 B1, 비타민 B6,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철분 등 매우 적은 양으로 물질 대사나 생리기능 조절에 필요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분해보조혼합물은 커피박 65.0 ~ 85.0 wt%와, 미강 15.0 ~ 3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배합예 1 | 배합예 2 | 배합예 3 | 배합예 4 | 배합예 5 | |
커피박 | 65.0 wt% | 70.0 wt% | 75.0 wt% | 80.0 wt% | 85.0 wt% |
미 강 | 35.0 wt% | 30.0 wt% | 25.0 wt% | 20.0 wt% | 15.0 wt% |
합 계 | 100.0 wt% | 100.0 wt% | 100.0 wt% | 100.0 wt% | 100.0 wt% |
상기 분해보조혼합물은 커피박과 미강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효소 및 미생물에게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효소 및 미생물의 활동을 왕성하게 하여 무슬러지의 분해 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5.0 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기능성의 발현이 미미하고, 5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해 무의미하므로, 상기 분해보조혼합물의 사용량은 분해촉매의 전체 중량에 대해 15.0 ~ 5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고령토는 미생물 담체 및 악취 제거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고령토와 물(water)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 ~ 30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수분이 고령토의 층간구조와 기공에 포화된 시점에 -75 ~ -85 ℃에서 급속냉각 하여, 상기 수분이 팽창하면서 새로운 기공을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기공이 더욱 확장되도록 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다공성 고령토는 미생물이 충분히 부착될 수 있도록 넓은 비표면적을 가지며, 다공성이고, 물리·화학·생물학적 변화에 안정적이다. 그리고 충분한 기계적 저항과 내구성을 갖는다.
상기 다공성 고령토의 사용량이 5.0 wt% 미만인 경우에는 미생물 담체 및 악취제거 기능의 발현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고, 45.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해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다공성 고령토의 사용량은 분해촉매 전체 중량에 대해 5.0 ~ 4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에어로박터(Aerobacter), 바실러스(Bacillus), 슈도모나스(Pseudomonas),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니트로박터(Nitrobacter)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효소와 함께 무슬러지를 분해처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페트리접시(petri dish)에 상기 제시된 미생물 균주를 접종하여 43 ~ 47 ℃의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8 ~ 12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된 균주를 영양 배지(nutrient broth, NB)에 접종한 후,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00 ~ 250 rpm, 43 ~ 47 ℃에서 6 ~ 10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기(Centrifuge)를 이용하여 3500 ~ 4500 rpm에서 20 ~ 4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미생물 균주와,
함수율이 38 ~ 43 %인 코코피트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미생물 균주와 코코피트를 1 : 5 중량비로 혼합하여 미생물 제제를 조성한다.
상기 미생물 제제의 사용량이 5.0 wt% 미만인 경우에는 무슬러지의 분해속도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고, 2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분해속도에 큰 변화없으면서 분해과정에서 악취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미생물 제제의 사용량은 분해촉매 전체 중량에 대해 5.0 ~ 20.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슬러지 처리용 친환경 분해촉매를 구성하는 성분 간의 배합비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성 분 | 배합예 1 | 배합예 2 | 배합예 3 | 배합예 4 | 배합예 5 |
효소톱밥 | 15.0 wt% | 20.0 wt% | 23.0 wt% | 26.0 wt% | 28.0 wt% |
분해보조 혼합물 |
35.0 wt% | 36.0 wt% | 37.0 wt% | 40.0 wt% | 42.0 wt% |
다공성 고령토 | 40.0 wt% | 38.0 wt% | 32.0 wt% | 26.0 wt% | 22.0 wt% |
미생물 제제 | 10.0 wt% | 6.0 wt% | 8.0 wt% | 8.0 wt% | 8.0 wt% |
합 계 | 100.0 wt% | 100.0 wt% | 100.0 wt% | 100.0 wt% | 100.0 wt% |
다음으로, 상기 제시된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무슬러지의 분해처리방법은,
무슬러지 45.0 ~ 55.0 wt%와,
상기 제시된 무슬러지 처리용 친환경 분해촉매 45.0 ~ 55.0 wt%를 혼합한 후, 60 ~ 100 ℃의 온도 조건을 유지하여 유기물을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분해처리한다.
이와 같은 분해처리방법은 무슬러지가 발생되는 작업현장에서 바로 분해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전문 처리업체를 통해 처리하는 운송 및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발생, 환경오염, 처리시간 지연 및 처리비용의 증가 문제를 해결하고, 단시간 내에 효과적인 무슬러지 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무슬러지 분해처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1. 디아스타아제(Distase), 아밀라아제(Amylase), 아밀로글루코시디아제(Amyloglucosidase), 트립신(Trypsin), 펩신(Pepsin), 레넷(Rennet), 파파인(Papain), 프로테아제(Protease), 글루코오스 이소메라아제(Glucose isomerase), 리파아제(Lip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또는 펙티나아제(Pectinas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분해효소 60.0 wt%와, 물(water) 15.0 wt% 및 톱밥 25.0 wt%를 혼합하여 효소활성수를 제조한다.
2. 앞서 제조된 효소활성수 5.0 wt%와, 톱밥 95.0 wt%를 혼합한 후, 10 일 동안 발효하여 효소톱밥 제조한다.
3. 커피박 80.0 wt%와, 미강 20.0 wt%를 혼합하여 분해보조혼합물을 제조한다.
4. 고령토와 물(water)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5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수분이 고령토의 층간구조와 기공에 포화된 시점에 - 80 ℃에서 급속냉각 하여, 상기 수분이 팽창하면서 새로운 기공을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기공이 더욱 확장되도록 하여 다공성 고령토를 제조한다.
5. 페트리접시(petri dish)에 에어로박터(Aerobacter), 바실러스(Bacillus), 슈도모나스(Pseudomonas),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니트로박터(Nitrobacter)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미생물 균주를 접종하여 43 ℃의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10 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된 균주를 영양 배지(nutrient broth, NB)에 접종한 다음,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50 rpm, 43 ℃에서 6 시간 동안 배양한다. 다음으로 원심분리기(Centrifuge)를 이용하여 4,000 rpm에서 2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미생물 균주를 수득한다.
6. 상기 미생물 균주와 함수율이 43 %인 코코피트를 1 : 5 중량비율로 배합하여 미생물 제제를 제조한다.
7. 상기 효소톱밥 28.0 wt%; 상기 분해보조혼합물 30.0 wt%; 다공성 고령토 32.0 wt%; 미생물 제제 10.0 wt%;를 혼합하여 분해촉매를 제조한다.
8. 상기 분해촉매 50.0 wt%와 무슬러지 50.0 wt%를 반응기에 투입한 후 70 ℃를 유지하여 반응기 내에 유기물이 물(H2O)와 이산화탄소(CO2)로 완전히 분해될 때까지 촉매분해처리한다.
이와 같은 처리방법은, 무슬러지가 발생하는 작업 현장에서 바로 분해촉매와 함께 무슬러지를 반응기에 투입한 후 완전 분해처리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무슬러지의 처리가 가능하고, 이로 인한 환경오염개선, 작업환경개선, 악취발생문제 해결, 처리비용 대폭절감, 처리시간 대폭단축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은 절임무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껍질 등의 부산물인 무슬러지를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완전히 분해함으로써, 무 가공 작업현장에서 무슬러지를 신속하게 바로 처리가능함에 따라 작업환경개선, 주변환경오염 방지, 처리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7)
- 효소활성수 2.0 ~ 8.0 wt%와 톱밥 92.0 ~ 98.0 wt%를 혼합한 후, 5 ~ 15 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된 효소톱밥(a) 3.0 ~ 30.0 wt%;
커피박과 미강의 혼합으로 조성된 분해보조혼합물(b) 15.0 ~ 50.0 wt%;
다공성 고령토(c) 5.0 ~ 45.0 wt%;
미생물 제제(d) 5.0 ~ 20.0 wt%;의 혼합(a+b+c+d)으로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 청구항 1에 있어서,
효소활성수는 디아스타아제(Distase), 아밀라아제(Amylase), 아밀로글루코시디아제(Amyloglucosidase), 트립신(Trypsin), 펩신(Pepsin), 레넷(Rennet), 파파인(Papain), 프로테아제(Protease), 글루코오스 이소메라아제(Glucose isomerase), 리파아제(Lip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펙티나아제(Pectinas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해효소 50.0 ~ 70.0 wt%와,
물(water) 15.0 ~ 25.0 wt%와,
톱밥 15.0 ~ 2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 청구항 1에 있어서,
분해보조혼합물은 커피박 65.0 ~ 85.0 wt%와, 미강 15.0 ~ 3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 청구항 1에 있어서,
다공성 고령토는 고령토와 물(water)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 ~ 30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수분이 고령토의 층간구조와 기공에 포화된 시점에 -75 ~ -85 ℃에서 급속냉각 하여, 상기 수분이 팽창하면서 새로운 기공을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기공이 더욱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 청구항 1에 있어서,
미생물 제제는 페트리접시(petri dish)에 에어로박터(Aerobacter), 바실러스(Bacillus), 슈도모나스(Pseudomonas),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니트로박터(Nitrobacter)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생물 균주를 접종하여 43 ~ 47 ℃의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8 ~ 12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된 균주를 영양 배지(nutrient broth, NB)에 접종한 후,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00 ~ 250 rpm, 43 ~ 47 ℃에서 6 ~ 10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기(Centrifuge)를 이용하여 3500 ~ 4500 rpm에서 20 ~ 4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미생물 균주와,
함수율이 38 ~ 43 %인 코코피트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 무슬러지 45.0 ~ 55.0 wt%와,
청구항 1의 무슬러지 처리용 친환경 분해촉매 45.0 ~ 55.0 wt%를 혼합한 후, 60 ~ 100 ℃의 온도 조건을 유지하여 유기물인 무슬러지를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처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촉매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무슬러지는 무(radish) 가공 과정에서 발생된 무(radish) 껍질 또는 속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촉매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2433A KR102044809B1 (ko) | 2018-09-19 | 2018-09-19 |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2433A KR102044809B1 (ko) | 2018-09-19 | 2018-09-19 |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4809B1 true KR102044809B1 (ko) | 2019-11-14 |
Family
ID=6857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2433A KR102044809B1 (ko) | 2018-09-19 | 2018-09-19 |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4809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5800A (ko) * | 1998-01-16 | 1999-08-05 | 손경식 | 폐수처리용 미생물 및 미생물제제 |
JP2001239234A (ja) * | 2000-02-29 | 2001-09-04 | Daiso Co Ltd | 有機系廃棄物処理材および処理方法 |
JP2001293460A (ja) * | 2000-04-13 | 2001-10-23 | Shinyo Sangyo Kk | 分解水処理槽を持っ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有機廃棄物分解消滅装置、及び分解処理剤と分解媒体材。 |
KR20050090184A (ko) * | 2004-03-08 | 2005-09-13 | 주식회사 매직맥 | 미생물과 효소의 상호기능에 의한 각종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소멸 방법. |
KR100659537B1 (ko) * | 2006-04-05 | 2006-12-19 | 김성구 | 다공성 광물과 황토를 함유하는 친환경 불연내장재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
KR100810884B1 (ko) * | 2007-03-19 | 2008-03-07 | 문선길 | 염분 함유 음식물쓰레기 소멸용 분해조성물 |
KR100805044B1 (ko) | 2007-08-30 | 2008-03-25 | 자연과함께 주식회사 | 지방분해 균주 바실러스 클라우지 및 음식물쓰레기 발효소멸용 미생물제제 |
KR101219764B1 (ko) | 2010-11-16 | 2013-01-09 | 이순권 | 음식물 쓰레기 분해용 미생물의 배양방법 |
KR20160003587A (ko) | 2015-12-11 | 2016-01-11 | 주식회사 템셀코리아 | 음식물 쓰레기 분해 소멸 미생물과 이를 포함하는 분해소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 방법 |
KR101642321B1 (ko) | 2014-03-12 | 2016-07-27 | 박상무 | 음식물 쓰레기 분해 소멸 미생물과 이를 포함하는 분해소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 방법 |
-
2018
- 2018-09-19 KR KR1020180112433A patent/KR1020448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5800A (ko) * | 1998-01-16 | 1999-08-05 | 손경식 | 폐수처리용 미생물 및 미생물제제 |
JP2001239234A (ja) * | 2000-02-29 | 2001-09-04 | Daiso Co Ltd | 有機系廃棄物処理材および処理方法 |
JP2001293460A (ja) * | 2000-04-13 | 2001-10-23 | Shinyo Sangyo Kk | 分解水処理槽を持っ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有機廃棄物分解消滅装置、及び分解処理剤と分解媒体材。 |
KR20050090184A (ko) * | 2004-03-08 | 2005-09-13 | 주식회사 매직맥 | 미생물과 효소의 상호기능에 의한 각종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소멸 방법. |
KR100659537B1 (ko) * | 2006-04-05 | 2006-12-19 | 김성구 | 다공성 광물과 황토를 함유하는 친환경 불연내장재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
KR100810884B1 (ko) * | 2007-03-19 | 2008-03-07 | 문선길 | 염분 함유 음식물쓰레기 소멸용 분해조성물 |
KR100805044B1 (ko) | 2007-08-30 | 2008-03-25 | 자연과함께 주식회사 | 지방분해 균주 바실러스 클라우지 및 음식물쓰레기 발효소멸용 미생물제제 |
KR101219764B1 (ko) | 2010-11-16 | 2013-01-09 | 이순권 | 음식물 쓰레기 분해용 미생물의 배양방법 |
KR101642321B1 (ko) | 2014-03-12 | 2016-07-27 | 박상무 | 음식물 쓰레기 분해 소멸 미생물과 이를 포함하는 분해소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 방법 |
KR20160003587A (ko) | 2015-12-11 | 2016-01-11 | 주식회사 템셀코리아 | 음식물 쓰레기 분해 소멸 미생물과 이를 포함하는 분해소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ikiashvili et al. | Carbon and nitrogen sources influence the ligninolytic enzyme activity of Trametes versicolor | |
Bohacz | 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s, free-radical transformations during composting of lignocellulosic waste and biothermal phases in small-scale reactors | |
Hemati et al. | Role of lignin and thermophilic lignocellulolytic bacteria in the evolution of humification indices and enzymatic activities during compost production | |
Dilip et al. | A review on actinomycetes and their biotechnological application | |
Cairney et al. |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of the ericoid mycorrhizal endophyte Hymenoscyphus ericae (Read) Korf & Kernan: their likely roles in decomposition of dead plant tissue in soil | |
Arora et al. | Laccase production and wood degradation by a white-rot fungus Daedalea flavida | |
CN106399209B (zh) | 一种降解高油脂餐厨垃圾的复合菌剂及其制备方法 | |
KR102516789B1 (ko) | 혐기성 조건에서의 음식물 분해를 위한 친환경 미생물제제 | |
Theerachat et al. | The culture or co-culture of Candida rugosa and Yarrowia lipolytica strain rM-4A, or incubation with their crude extracellular lipase and laccase preparations, for the biodegradation of palm oil mill wastewater | |
KR100276044B1 (ko) | 호열성 섬유소 분해균 및 그의 이용 | |
Wang et al. | Eichhornia crassipes: Agro-waster for a novel thermostable laccase production by Pycnoporus sanguineus SYBC-L1 | |
JP2008230919A (ja) | 肥料、土壌改良剤又は下水処理調整剤の製造方法 | |
Zhang et al. | Enhancing laccase production by white-rot fungus Trametes hirsuta SSM-3 in co-culture with yeast sporidiobolus pararoseus SSM-8 | |
Hailei et al. | Overproduction of laccase from a newly isolated Ganoderma lucidum using the municipal food waste as main carbon and nitrogen supplement | |
Shamugam et al. | Bacterial interactions with the mycelium of the cultivated edible mushrooms Agaricus bisporus and Pleurotus ostreatus | |
Ishaq et al. |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omparative study of fungal and bacterial strains found in organic and inorganic soils of different agricultural fields | |
Lynch et al. | The microbial upgrading of straw for agricultural use | |
Ayuningrum et al. | Screening of actinobacteria-producing amylolytic enzyme in sediment from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 ponds in Rembang District, Central Java, Indonesia | |
KR102044809B1 (ko) | 무슬러지 친환경 분해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무슬러지 분해처리방법 | |
KR20200073532A (ko) | 음식물 쓰레기 분해능 및 악취가스 감소능을 갖는 미생물 발효제 및 그 제조방법 | |
KR20180105593A (ko) | 유기성폐기물 분해능 및 악취 제거능이 우수한 미생물제 및 그 제조방법 | |
Arnthong et al. | Cooperative decomposition of rice straw by co-cultivation of cellulolytic fungi | |
Linda et al. | Degradation of cellulose and hemicellulose in rice straw by consortium bacteria cellulolytic | |
Okwute et al. | Changes in microbial population of palm oil mill effluent polluted soil amended with chicken droppings and cow dung | |
Theradimani et al. | Advances in microbial management of so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