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274B1 - Noxious gas treatment and air purif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Noxious gas treatment and air purific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6274B1 KR102036274B1 KR1020190109777A KR20190109777A KR102036274B1 KR 102036274 B1 KR102036274 B1 KR 102036274B1 KR 1020190109777 A KR1020190109777 A KR 1020190109777A KR 20190109777 A KR20190109777 A KR 20190109777A KR 102036274 B1 KR102036274 B1 KR 1020362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water
- air
- scrubber
- controller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RAHZWNYVWXNFOC-UHFFFAOYSA-N Sulphur dioxide Chemical compound O=S=O RAHZWNYVWXNF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MGWGWNFMUOTEHG-UHFFFAOYSA-N 4-(3,5-dimethylphenyl)-1,3-thiazol-2-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2N=C(N)SC=2)=C1 MGWGWNFMUOTEH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CXJVPUVTGWSNB-UHFFFAOYSA-N nitroge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N]=O JCXJVPUVTGWS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2 ultra-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SNNMFCWUKXFEE-UHFFFAOYSA-N Sulfurous acid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0—Venturi scrub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오염된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여러 단계에 걸쳐 집진 정화시킴으로써 집진 정화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xious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collecting and purifying polluted noxious gas and fine dust or ultrafine dust in multiple stages using the washing water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dust purification efficiency. Toxic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일반적으로 작업장에서는 초미세먼지 또는 분진형태의 오염물질이나 황화수소 같은 유해 가스가 많이 배출되는데, 이를 정화하지않고 대기 중에 그대로 배출시킬 경우 환경 오염이 심각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lot of harmful gases such as ultra-fine dust or dust in the form of dust or hydrogen sulfide are emitted, but if it is discharged in the air without purifi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occurs seriously.
따라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유해 가스 또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여러 방식의 집진기 또는 공기 정화 장치가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 습식 집진기는 미세먼지 또는 오염물질이나 유해 가스를 물과 접촉시켜 여과하는 구조이다.Therefore, various types of dust collectors or air purifiers are used to remove contaminants and harmful gases or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Among them, wet dust collectors are used to filter fine dust or pollutants or harmful gases by contacting with water. Structure.
이러한 습식 집진기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물을 낙하시켜 낙하되는 물에 오염물질이 흡착 또는 제거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다 보니 여과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Such wet dust collectors generally have a structure in which contaminants are adsorbed or removed from the dropped water simply by dropping the water,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not high.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단계에 걸쳐 세정수 또는 세정액과의 접촉 횟수를 늘리고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초미립 세정수 코팅을 통해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number of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or the cleaning liquid and increase the contact area in several steps, and also to collect the harmful gas through the ultra-fine washing water coating and It is to provide a harmful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significantly improved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은 유해가스를 집진하고 공기를 정화하는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측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정화하는 스크러버부; 상기 스크러버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세정수가 저장되는 수조; 상기 스크러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블로어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해공기를 상기 스크러버부의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스크러버부에 의해 정화된 정화공기를 상측에 형성된 배기구로 배출시키는 흡배기부; 및 상기 수조에 저장된 세정수가 상기 스크러버부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유해공기가 상기 스크러버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블로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xious gas dust collecting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xious gas dust collecting and air purification system for collecting the harmful gas and purifying the air, through the air inlet formed on one side having an internal space A scrubber unit for purifying harmful air introduced; A water tank installed under the scrubber unit and storing washing water for purifying harmful air; An intake and exhaust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ubber unit and having a blower to introduce harmful air into the scrubber unit through the air inlet, and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purified by the scrubber unit to an exhaust port formed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ank to be supplied to the scrubber uni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lower so that harmful air flows into the scrubber unit.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크러버부는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며 스크러버부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층상 배열되는 복수개의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폴링부재와, 제일 상부 타공판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와 연결된 세정수 공급관과 연통되어 세정수를 토출하는 세정수 토출부와, 제일 상부 타공판과 세정수 토출부 사이에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며 스크러버부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는 트레이부재와, 제일 하부 타공판의 하측이면서 상기 공기유입구측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되 호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공기유도부재와, 상기 세정수 토출부의 상측이면서 상기 흡배기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데미스터와, 상기 타공판 사이이면서 스크러버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스크러버부의 내부로 세정수를 분무하는 세정수분무노즐과, 타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통구와, 상기 연통구와 연통되면서 상기 데미스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연통구로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가지며 형성되는 연통덕트와, 상기 폴링부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투시창과, 상기 세정수 토출부와 트레이부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투시창의 상측이면서 스크러버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3투시창을 포함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scrubber portion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partitions the inside of the scrubber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arranged in a lay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polling members disposed on the perforated plate; A washing water discharge part installed above the upper perforated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between the upper upper perforating plate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art, and horizontally inside the scrubber part. A tray member partitioned in the direction, a plurality of air induction members installed on the air inlet side at a lower side of the lower perforated plat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arc-shaped vertical s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ion Demister and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and exhaust portion while the upper side, the perforation And a cleaning water spray nozzle which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scrubber part and sprays the washing water into the scrubber part, a communication port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other side, and air passing through the demiste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port. Communication duct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to flow to the sphere, the first viewing window provided on one side so as to check the state of the polling member, and the stat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ion and the tray member And a third viewing window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crubber part while being above the first viewing window.
또한, 상기 수조는 상기 스크러버부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스크러버부에서 낙하되는 세정수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pH를 측정하는 pH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와, 일측면에 설치되어 저장된 세정수를 배수시킬 수 있고 볼밸브를 구비하여 개폐될 수 있는 배수관과,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2투시창과,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와,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타측면에 설치되어 물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입수구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is to stor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scrubber portion and to accommodate th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scrubber portion, the pH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o measure the pH of the washing water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and a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measuring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A heater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capable of heating the washing water, a drain pipe installed on one side to drain the stored washing water, and having a ball valve to be opened and closed; The second viewing window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wheel for movemen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And a support unit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further includes a ipsugu to inject water into the interior.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세정수 공급관 상에 상기 수조의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 토출부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되 상기 펌프는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수조의 타측면에 설치된 브라켓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수 공급관에는 볼밸브가 구비된다.In one embodiment, a pump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f the tank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ion is installed on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the pum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is disposed on the bracke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nk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with a ball valve.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세정수분무노즐은 상기 세정수 공급관에서 분기되는 세정수 분기관과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세정수 분기관과 압축공기 공급관 상에는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폐밸브가 각각 설치된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washing water branch pipe branched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is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respectively, the washing water branch pipe and the compression On / off valves are electrically provided on the air supply pipes.
또한, 상기 세정수분무노즐은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과 결합하여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유입구와, 상기 스크러버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가 분무되는 세정수분무구와, 상기 압축공기유입구와 세정수분무구 사이이면서 상기 압축공기유입구와 세정수분무구와 동일축선상에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이동속도를 높이는 벤투리부와, 상기 벤투리부와 연통되고 상기 세정수 분기관과 연결되어 세정수를 벤투리부로 유입시키는 세정수유입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is combined with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compressed air inlet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washing water spray holes disposed inside the scrubber portion to spray cleaning water, and between the compressed air inlet port and the washing water spray ball. The venturi part is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compressed air inlet and the flushing water spray port to increase the moving speed of the compressed air, and is connected to the venturi part and connected to the wash water branch pipe to introduce the washing water into the venturi part. It includes a washing water inlet path.
상기 벤투리부는 상기 압축공기유입구와 접하면서 압축공기 이동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스로틀부와, 상기 세정수분무구와 접하면서 압축공기 이동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확대부와, 상기 스로틀부와 확대부 사이에 형성되는 혼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정수유입로가 상기 혼입부에 수직으로 연통된다.The venturi part has a throttle part which is smaller in diameter along the compressed air moving direction while contacting the compressed air inlet, and an enlarged part which is larger in diameter as it goes outward along the compressed air moving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spray hole. The mixing part may be formed between the throttle part and the enlarged part, and the washing water inflow path may be perpendicularly communicated with the mixing part.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수조의 하부측에 설치된 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직립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에 바닥판을 구비한 나사봉 및 상기 나사봉에 결합된 너트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나사봉을 돌리면 상기 바닥판이 하강하여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을 지면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holder is upright through the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nk,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cludes a screw rod having a bottom plate at the bottom and a nut coupled to the screw rod When the four-spinning is turned, the bottom plate is lowe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fixing the harmful gas dust collecting and air purification system to the ground.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크러버부는 일측면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저장된 용액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용액통은 용액공급관을 통해 상기 수조와 연결되며, 상기 용액공급관 상에는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scrubber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olution container in which sodium hydroxide solution is stored on one side, the solution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hrough a solution supply pipe, the solenoi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on the solution supply pipe The valve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블로어, 펌프, pH센서, 온도센서, 수위센서, 히터, 솔레노이드 밸브, 및 개폐 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와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includes a blower, a pump, a pH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water level sensor, a heater, a solenoid valve, and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n / off valv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pH센서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pH수치가 설정 pH 이하일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용액통에 저장된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상기 용액공급관을 통해 상기 수조로 소정량 투입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하일 경우 세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t2)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히터를 구동하여 세정수가 가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하일 경우 경고 표시를 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pH value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pH sensor is lower than the set pH, the control unit opens the solenoid valve to control the sodium hydroxide solution stored in the solution container to be introduced into the tank through the solution supply pipe a predetermined amoun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t1), the heater is controlled to be heated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2), and the washing water is heated. If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t level, a warning is displayed.
또한, 상기 흡배기부는 상기 배기구의 일측에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출되는 정화공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배기 센서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intake and exhaust unit further comprises an exhaust sensor on one side of the exhaust por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harmful gas present in the purified ai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controller of the controller.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배기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화공기 내의 유해가스정보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유해가스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스마트폰에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어 스마트폰에서 송신되는 펌프 구동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harmful gas information in the purified air obtained by the exhaust sensor from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harmful gas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running the applica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application Receives the pump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from the smartphone and transmits to the controller.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 구동정보에 따라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driving of the pump according to the pump driving informa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의 구동 초기에 상기 타공판 상에 소정 높이의 수막층이 먼저 형성되도록 상기 펌프를 먼저 구동시킨 다음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블로어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rol unit first drives the pump so that a water film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irst formed on the perforated plat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toxic gas dust collecting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nd then drives the blow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pen the on-off valv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세정수에 존재하는 이물질 예를 들면 중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염 등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가 펌프의 상류측 세정수 공급관 상에 설치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washing water, for example, salts generated by the neutralization reaction, may be installed on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upstream of the pump.
본 발명은 오염된 유해가스와 미세먼지에 대해 수막층 통과에 의한 집진 정화 과정, 버블(기포,수포) 또는 액적을 이용한 폴링부재 접촉에 따른 집진 정화 과정, 마이크로 내지 나노 입자 상태의 초미립 세정수 분무층 통과에 의한 집진 정화 과정 등 여러 집진 정화 과정을 여러 횟수에 걸쳐 수행하기 때문에 유해가스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집진 및 정화 효율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st collection purification process by passing the water film layer against the polluting harmful gas and fine dust, dust collection purification process by contacting the polling member using bubbles (bubbles, blisters) or droplets, ultra fine washing water in the state of micro to nano particles Since the various dust purification processes, such as the dust purification process by the passage of the spray layer, are performed a number of times, the dust collection and purification efficiency for harmful gases and (ultra) fine dust is remarkably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은 소형화되고 컴팩트한 구조로 인해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nufacture and easy to maintain due to the compact and compact structure.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의 공기유입구측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타공판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공기유도부재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타공판 상에 형성된 수막층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분무노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제어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c에 표시된 M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1a to 1c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armful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armful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ir inlet side of the harmful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c shows the air indu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3D is a photograph showing the water film layer formed on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harmful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relationship of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ing the portion M shown in FIG.
본 발명은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유해공기를 세정수를 통해 즉, 습식으로 집진 및 정화하는 것으로, 고도화된 대기 풍속, 풍량, 풍압의 매트랩 설계 방식에 의해 구현되는 세정수 수막층 통과를 통한 집진 정화 처리, 세정수의 액적, 액막, 기포 등에 의한 폴링부재와의 접촉 반응을 통한 집진 정화 처리, 및 세정수분무노즐에 의해 구현되는 유해가스 중화처리용 초미립/초미량 세정수 코팅을 통한 집진 정화 처리를 다단 또는 다층 구조를 통해 복수회에 걸쳐 수행함으로써 유해가스와 미세먼지가 완벽히 제거된 정화공기를 배출시키는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ean the harmful air, including harmful gas and fine dust or ultra-fine dust through the washing water, that is, the wet and dust-collected, washing water implemented by the matlab design method of the advanced air wind speed, air volume, wind pressure Ultra-fine / ultra-fine amount for dust collection purification through water film layer, dust collection purification through contact reaction with polling member by droplet, liquid film, bubble, etc., and harmful gas neutralization treatment by washing water spray nozz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xious gas dust collecting and air purifying system which discharges purifying air from which noxious gas and fine dust are completely removed by performing a dust collecting purification process through a washing water coating through a multistage or multilayer structure.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harmful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라 유해가스를 집진하고 공기를 정화하는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측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정화하는 스크러버부(100)와,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세정수가 저장되는 수조(200)와,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블로어(310)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101)를 통해 유해공기를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스크러버부(100)에 의해 정화된 정화공기를 상측에 형성된 배기구(320)로 배출시키는 흡배기부(300)와, 상기 수조(200)에 저장된 세정수가 상기 스크러버부(10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유해공기가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블로어(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armful gas dust collecting and air purification system for collecting harmful gas and purifying air has a
본 발명의 스크러버부(100)는 유해공기 예를 들면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일산화탄소(CO), 황화수소(H2S) 등과 같은 유해가스와 미세먼지(PM10) 또는 초미세먼지(PM2.5)를 집진하고 정화 처리하는 공간으로서, 수산화나트륨이 함유된 세정수를 이용하는 습식 방식이 채택된다.The
상기 스크러버부(100)는 도 1a 내지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공판(110), 폴링부재(120), 세정수 토출부(130), 트레이부재(140), 공기유도부재(150), 데미스터(160), 세정수분무노즐(170), 연통구(180), 및 제1투시창(19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A to 3D, the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정면측에서 바라본 사진을 나타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후면측에서 바라본 사진을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A and 1B show a front view of a noxious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C shows a rear view of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타공판(110)은 다수의 관통공(111)을 가지며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면서 시스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층상 배열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구동시 타공판(110) 상에 수막층(W1)이 형성되고 폴링부재(120)가 타공판(110) 상에 배치되게 된다.The
상기 관통공(111)은 유해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타공판(110) 상에 형성되는 관통공(111)의 갯수는 시스템 구동시 타공판(110) 상에 소정 높이의 수막층(W1)이 형성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는 세정수의 토출량과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유해공기의 풍속, 풍량, 풍압 등을 감안하여 매트랩 설계에 의해 소정의 복수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관통공(111)은 세정수가 낙하할 수 있는 통로 역할도 한다.The through
상기 폴링부재(120)는 상기 복수의 타공판(110) 상에 배치되는 다수개로 배치되는 공지의 폴링(pall ring)부재로서,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구동시 상승 공기에 의해 세정수 또는 수막층(W1)에서 버블 또는 액적(또는 기포, 수포, 액막)이 발생하고, 발생되는 버블 또는 액적(기포, 액막)에 의해 유해공기가 폴링부재(120)에 접촉되는 면적이 극대화됨으로써 [다시 말해, 유해공기가 폴링부재(120)에 활발하게 접촉됨으로서] 폴링부재(120)에 의한 유해공기의 집진 정화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The
상기 세정수 토출부(130)는 제일 상부 타공판(110A)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200)와 연결된 세정수 공급관(500)과 연통되어 세정수를 스크러버부(100) 내부로 토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정수는 물에 수산화나트륨이 소정 농도로 용해된 것으로서 세정수의 수산화나트륨 성분에 의해 유해가스가 중화처리되어 정화되게 된다.The washing
상기 트레이부재(140)는 제일 상부 타공판(110A)과 세정수 토출부(130) 사이에 다수의 관통공(141)을 가지며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는 부재로서, 상기 타공판(110)상의 수막층(W1)과 세정수분무층(F)을 통과한 유해공기를 다시 수막층(W2)을 통과시켜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관통공(141)도 유해공기와 세정수가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하고, 관통공(141)의 갯수도 시스템 구동시 트레이부재(140) 상에 소정 높이의 수막층(W2)이 형성되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매트랩 설계 방식에 의해 복수개로 형성된다. The
상기 공기유도부재(150)는 유입되는 유해공기가 타공판(110) 전역에 고루 퍼져 상승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재로서, 제일 하부 타공판(110B)의 하측이면서 상기 공기유입구(101)측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되 호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된다.The
도 2와 도 3c를 참조하며 상기 공기유도부재(15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블로어(31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스크러버부(100)의 공기유입구(101)로 유해공기가 유입되면, 제일 하부 타공판(110B)의 하측이면서 공기유입구(101)측에 유해공기의 유동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대향되면서 내측으로 오목한 호 형상의 공기유도부재(150)가 상하로 다수개 배치됨으로써, 유해공기의 유동이 공기유도부재(150) 부근에서 난류로 변화되어 공기유입구(101)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타공판(110B)의 관통공(111)부터 먼 거리에 위치하는 타공판(110B)의 관통공(111)까지 유해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S. 2 and 3C, the
공기유입구(101)로 유입되는 유해공기의 이동 방향은 수평 방향이지만 스크러버부(100) 내부에서 유해공기의 이동 방향은 수직 방향이므로, 공기유입구(101)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타공판(110B)의 관통공(111)에서나 먼 거리에 위치하는 타공판(110B)의 관통공(111)에서나 균일한 공기 유동이 일어나도록 공기유도부재(150)를 이용하여 타공판(110B)의 하측에서 난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Sinc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rmful air flowing into the
상기 데미스터(160)는 상기 세정수 토출부(130)의 상측이면서 상기 흡배기부(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습식 집진 장치에서 채택될 수 있는 공지의 데미스터를 사용하여 스크러버부(100)에서 최종적으로 집진을 하면서 공기에서 액적을 제거하는 것이다.The
상기 세정수분무노즐(170)은 각각의 타공판(110) 사이이면서 스크러버부(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로 세정수를 분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세정수가 세정수분무노즐(170)에 의해 마이크로화 또는 나노화되어 초미립 상태로 분무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110) 상에 세정수 분무층(F)을 생성시킨다.The washing
따라서, 유해공기는 수막층(W1)을 통과하면서 1차 집진 정화되고, 이어서 유해공기는 시스템 구동시 공기 상승에 의해 수막층(W1) 또는 세정수에 발생하는 버블 또는 액포와 함께 폴링부재(120)와의 접촉 반응으로 2차 집진 정화되며, 이어서 유해공기가 세정수 분무층을 통과하면서 유해공기에 존재하는 황화수소(H2S) 또는 황산가스(SO2)와 같은 유해가스의 표면에 마이크로 또는 나노 상태의 초미립 세정수 입자가 코팅되면서 중화반응을 일으켜 3차로 집진 정화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harmful air is first collected and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water film layer (W1), and then the harmful air is polling
참고로, 본 발명의 스크러버부(1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화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예를 들 수 있다.For reference, the neutralization reaction that may occur in the
H2S + 2NaOH → Na2S(s) + 2H2O, H 2 S + 2NaOH → Na 2 S (s) + 2H 2 O,
H2SO4+2NaOH -> 2Na2SO4 + 2H2OH 2 SO 4 +2 NaOH-> 2Na 2 S O4 + 2H 2 O
상기 연통구(180)는 스크러버부(100)의 타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단일 또는 1대만 사용할 경우에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시키고, 유해공기의 양이 많거나 오염 정도가 심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2대 이상 여러 대를 가동해야 할 경우에 상기 연통구(180)를 개방하여 연통구(180)와 또 다른 시스템의 공기유입구를 연통시켜 시스템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을 병렬로 추가로 연결할 경우에는 상기 데미스터(160)를 통과한 공기를 연통구(180)로 유동시켜야 하므로, 데미스터(160)를 통과한 공기를 연통구(180)로 유도하는 유로가 필요하고, 이 유로의 역할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러버부(100)의 내부 일측으로 소정 공간을 차지하며 형성된 연통덕트(181)가 한다. 상기 연통덕트(181)는 데미스터(160)를 통과한 공기를 연통구(180)로 유동시키기 위해 연통구(180)와 연통된다. As such, whe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onnected in parallel,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병렬로 추가로 연결할 경우 상기 연통구(180)가 개방되는 일측 시스템의 스크러버부(100)의 상부는 흡배기부(300)가 설치되지 않고 폐쇄되거나 흡배기부(300)의 배기구(320)가 폐쇄됨과 아울러, 타측 시스템만 연통구(180)가 폐쇄되면서 흡배기부(300)가 설치되거나 배기구(320)가 개방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whe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onnected in parallel,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제1투시창(190)은 상기 폴링부재(12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스크러버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공지의 투명 부재로서, 상기 제1투시창(190)을 통해 스크러버부(100) 내부의 집진 정화 공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폴링부재(120)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용이하다.The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크러버부(100)는 세정수 토출부(130)에서 토출되는 세정수와 트레이부재(14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투시창(190)의 상측이면서 일측면에 공지의 투명 부재인 제3투시창(191)을 더 구비하여 스크러버부(100) 내부의 집진 정화 공정을 육안으로 더욱 더 잘 확인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수조(200)는 상기 스크러버부(100)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스크러버부(100)에서 낙하되는 세정수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pH센서(210), 온도센서(220), 수위센서(230), 히터(240), 배수관(250), 제2투시창(260), 이동용 바퀴(270), 고정대(280), 및 입수구(290)를 포함한다.The
상기 pH센서(210)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pH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400)로 전송한다.The
상기 온도센서(220)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400)로 전송한다. The
상기 수위센서(230)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400)로 전송한다. The
상기 pH센서(210), 온도센서(220), 수위센서(230)는 각각 공지의 센서가 채택될 수 있다. The
상기 히터(240)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를 가열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The
상기 배수관(250)은 수조(20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저장된 세정수를 배수시킬 수 있고 볼밸브(251)를 구비하여 개폐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조(200) 내에 저장된 세정수를 교체하거나 수조(200) 내부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 볼밸브(251)를 개방하여 수조(200) 내의 세정수 또는 물을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The
제2투시창(260)은 수조(2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조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투시창(260)을 통해 세정수의 수위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다.The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수조(200)의 하부에 이동용 바퀴(270)가 구비되어 본 시스템을 필요한 장소에 용이하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구동시 진동 등에 의해 시스템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200)의 하부에 사방으로 고정대(280)가 설치되는 바, 상기 고정대(280)는 나사봉(281), 너트(282), 및 바닥판(283)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정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일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봉(281)은 수조(200)의 하부측에 설치된 프레임(201)을 관통하면서 직립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281)의 하단에 편평한 바닥판(283)이 구비된다. 또한, 너트(282)가 상기 나사봉(28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나사봉(281)을 돌리면 상기 바닥판(283)이 하강하게 된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 정지시켜놓고 상기 나사봉(281)을 돌려서 상기 바닥판(283)을 지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정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user can stably fix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by mov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n stopping and turning the
상기 입수구(290)는 수조(200) 내부에 물을 투입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조(200)의 타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물을 투입할 때 이외 또는 구동시에는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 공급관(500) 상에 상기 수조(200)의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 토출부(13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600)가 설치되되 상기 펌프(600)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수조(200)의 타측면에 설치된 브라켓(60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수 공급관(500)에는 볼밸브(501)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상기 세정수 공급관(500)은 본 발명의 시스템 후방측에 배치되어 수조(200)의 세정수를 스크러버부(100)의 세정수 토출부(130)로 공급하는 것으로 볼밸브(501)를 통해 관로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공급되는 세정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e washing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세정수에 존재하는 이물질 예를 들면 중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염 등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700)가 펌프(600)의 상류측 세정수 공급관(5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a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세정수분무노즐(170)은 상기 세정수 공급관(500)에서 분기되는 세정수 분기관(510)과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520)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세정수 분기관(510)과 압축공기 공급관(520) 상에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폐밸브(530)가 각각 설치된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따라서, 상기 세정수분무노즐(170)은 세정수 공급관(500)과 연결된 세정수 분기관(510)으로부터 세정수를 공급받고, 외부 에어컴프레샤(도시 생략)와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관(520)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다.Accordingly, the wash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세정수분무노즐(1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520)과 결합하여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유입구(171)와,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가 분무되는 세정수분무구(172)와, 상기 압축공기유입구(171)와 세정수분무구(172) 사이이면서 상기 압축공기유입구(171)와 세정수분무구(172)와 동일축선상에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이동속도를 높이는 벤투리부(173)와, 상기 벤투리부(173)와 연통되고 상기 세정수 분기관(510)과 연결되어 세정수를 벤투리부(173)로 유입시키는 세정수유입로(174)를 포함한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또한, 상기 벤투리부(173)는 상기 압축공기유입구(171)와 접하면서 압축공기 이동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스로틀부(173A)와, 상기 세정수분무구(172)와 접하면서 압축공기 이동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확대부(173B)와, 상기 스로틀부(173A)와 확대부(173B) 사이에 형성되는 혼입부(173C)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정수유입로(174)는 상기 혼입부(173C)에 수직으로 연통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세정수분무노즐(17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압축공기유입구(171)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벤투리관 원리에 의해 벤투리부(173)에서 유속이 급격히 증가하고 혼입부(173C)에서는 압력이 급격히 감소하여 세정수유입로(174) 내의 세정수가 급격히 혼입부(173C)로 빨려 들어가 압축공기에 의해 확대부(173B)로 급속히 배출되면서 세정수 입자가 분쇄되어 마이크로 내지 나노 입자 크기의 초미립 입자 상태로 세정수분무구(172)에서 고압으로 분무되게 된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110)의 상측에는 세정수가 마이크로 내지 나노 입자 크기의 초미립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세정수 분무층(F)이 생성되게 된다. Referring to the washing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세정수 분무층(F)에서 세정수가 마이크로 내지 나노 입자 상태로 존재하여 아황산가스(SO2)나 황화수소(H2S)와 같은 유해가스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코팅되게 되므로 유해가스와 세정수 성분간의 중화 반응이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수막층(W1)과 폴링부재(102)를 통한 집진 정화 과정 이후에 유해가스가 완벽하게 정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수막층(W1, W2) 통과, 버블(액포)을 통한 폴링부재(120)와의 접촉, 세정수 분무층(F)에서의 활발한 중화 반응을 복수회 수행하여 유해가스와 (초)미세먼지를 완벽하게 정화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water spraying layer (F) is present in the micro-to-nanoparticle state, the harmful water is effectively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harmful gas such as sulfurous acid gas (SO 2 ) or hydrogen sulfide (H 2 S). And the neutralization reaction between the water and the wash water components occurs effectively. Therefore, the harmful gas may be completely purified after the dust collecting purification process through the water film layer W1 and the polling member 102.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utralizing reaction in the water film layers W1 and W2, the contact with th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크러버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저장된 용액통(121)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용액통(121)은 용액공급관(122)을 통해 상기 수조(200)와 연결되며, 상기 용액공급관(122) 상에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23)가 설치된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서는 세정수를 통해 유해공기를 정화 처리하는 것이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정수의 pH(농도) 수치가 낮아질 수 있는 바, 세정수의 적정 pH를 항상 유지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조(200)에 소정량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rmful air is purged through the washing water, the pH (concentration) value of the washing water may be lowered as time passes, so that the sodium hydroxide solution may be used to maintain the proper pH of the washing 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amount is automatically added to the
본 발명의 흡배기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블로어(310)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101)를 통해 유해공기를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스크러버부(100)에 의해 정화된 정화공기를 상측에 형성된 배기구(320)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블로어(310)는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스크러버부(100) 내부로 유해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블로어 또는 링블로어 기술이 채택된다.As shown in FIG. 2, the intake /
본 발명의 컨트롤러(400)는 상기 수조(200)에 저장된 세정수가 상기 스크러버부(10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유해공기가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블로어(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로어(310), 펌프(600), pH센서(210), 온도센서(220), 수위센서(230), 히터(240), 솔레노이드 밸브(123), 및 개폐 밸브(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410)와 스마트폰(S)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420)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pH센서(21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pH수치가 기설정된 설정 pH 이하일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3)를 개방하여 상기 용액통(121)에 저장된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상기 용액공급관(122)을 통해 상기 수조(200)로 소정량 투입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설정 온도(t1) 이하일 경우 세정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설정 온도(t2)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히터(240)를 구동하여 세정수가 가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위센서(23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설정 수위 이하일 경우 경고 표시를 하도록 제어한다.The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시스템 구동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정수의 pH 수치가 낮아져 pH센서(21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pH수치가 제어부(410)에 기설정된 설정 pH 이하에 도달할 경우 제어부(410)는 세정수의 적정 pH를 유지시키기 위해 폐쇄 상태에 있던 솔레노이드 밸브(123)를 개방하여 용액통(121)에 저장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용액공급관(122)을 통해 수조(200)로 소정량 투입시킨다. 4 and 6, in more detail, the pH value of the washing water is lowered as the system driving time elapses, so that the pH value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또한, 시스템 주위 기온이 하강하여 온도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온도가 제어부(410)에 기설정된 설정 온도(t1) 이하에 도달할 경우 제어부(410)는 히터(240)를 가동하여 세정수의 온도가 제어부(410)에 기설정된 설정 온도(t2)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정 온도(t2)는 설정 온도(t1) 보다 높다.In addition,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ystem decreas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발 등에 의해 수조(200)에 저장된 세정수의 수위가 낮아져 수위센서(23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수위가 제어부(410)에 기설정된 설정 수위 이하에 도달할 경우 제어부(410)는 경고음 또는 경고등 작동을 통해 외부로 경고 표시를 한다. 여기서, 경고음 또는 경고등 작동에 의한 경고 표시 기술은 공지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흡배기부(300)는 배기구(320)의 일측에 상기 컨트롤러(400)의 제어부(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출되는 정화공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배기 센서(330)를 더 구비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and
즉, 상기 배기 센서(330)는 배기구(320)에서 배출되는 정화공기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일산화탄소(CO), 황화수소(H2S) 등과 같은 유해가스와 미세먼지(PM10) 또는 초미세먼지(PM2.5)의 양을 측정하여 제어부(410)로 전송한다. 배기 센서(330)에서 전송된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410)는 유해가스와 미세먼지(PM10) 또는 초미세먼지(PM2.5)의 양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유해가스정보(D1)를 생성하고 이 유해가스정보(D1)를 무선통신부(420)로 전송한다.That is, the
이어서, 상기 무선통신부(420)는 상기 유해가스정보(D1)를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S)를 송신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iFi 또는 Bluetooth 등을 이용하는 공지의 무선 통신 기술이 채택될 수 있고, 상기 무선통신부(420)에서 송신되는 유해가스정보(D1)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고 실행 중인 스마트폰(S)에서 수신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 사용자는 스마트폰(S)을 통해 실시간으로 유해가스정보(D1)와 함께 정화공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스템 사용자가 공기 정화 상태를 감안하여 시스템을 계속 구동할지 또는 얼마 동안 더 구동해야할지 또는 펌프(600)의 구동을 정지(OFF)시켜도 될지에 대해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purified air state together with the harmful gas information (D1) in real time through the smartphone (S). As a result, the system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o continue to drive the system or how long to drive the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air purification state or to stop the driving of the
또한,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펌프(600)의 구동시간, 펌프의 ON/OFF 구동에 관한 펌프구동정보(D2)를 생성하여 스마트폰(S)에서 상기 펌프구동정보(D2)를 전송하면 상기 무선통신부(420)가 이 펌프구동정보(D2)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ystem user transmits the pump driving information (D2) from the smart phone (S) by generating the pump driving information (D2) about the driving time of the
상기 무선통신부(420)가 상기 펌프구동정보(D2)를 수신하면 이 정보(D2)를 제어부(41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펌프구동정보(D2)에 따라 상기 펌프(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폰(S)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스템 사용자가 펌프구동정보(D2)인 펌프(600)의 구동시간 정보 또는 펌프(600)의 ON 구동정보 또는 펌프(600)의 OFF 구동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410)는 전송된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펌프(600)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시키거나 펌프(600)를 ON 구동시키거나 펌프(600)를 OFF 구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of the syste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S), the driving time information of the
한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유해가스정보(D1)를 분석하여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의 양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시스템의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410)는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의 구동 초기에 상기 타공판(110) 상에 소정 높이의 수막층(W1)이 먼저 형성되도록 상기 펌프(600)를 먼저 구동시킨 다음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블로어(310)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개폐 밸브(530)를 개방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대해 도 2, 도 3d, 도 4, 및 도 6 등을 참조하며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만약, 펌프(600)와 블로어(310)를 동시에 구동시키면 타공판(110) 상에 수막층(W1)이 생성되기도 전에 유해공기가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기구(320)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펌프(600)를 먼저 구동시켜 세정수 토출부(130)에서 세정수를 먼저 토출시킴으로써 유해공기가 유입되기 전에 타공판(110) 상에 소정 높이의 수막층(W1)이 먼저 생성될 필요가 있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3D, 4, 6, and the like. I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410)는 시스템 구동이 시작되면 펌프(600)를 먼저 구동하여 세정수 토출부(130)에서 세정수를 먼저 토출시켜 소정 시간 동안 세정수만 스크러버부(100)내에 낙수시킨다. 이 시간 동안 블로어(310)는 구동되지않고 개폐 밸브(530)도 폐쇄 상태에 있다. 초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소정 높이의 수막층(W1)이 타공판(110) 상에 생성되면 제어부(410)는 블로어(310)를 구동시켜 유해공기가 스크러버부(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개폐 밸브(530)을 개방하여 세정수분무노즐(170)에도 압축공기와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수분무노즐(170)에 의해 타공판(110) 상에 세정수 분무층(F)이 생성되도록 한다. Therefore, the
그 결과, 시스템 구동 초기에 유해공기가 정화되지않고 그대로 배출되는 일 없이 스크러버부(100)에 유입되는 유해공기가 확실하게 집진 및 정화 처리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harmful air flowing into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스크러버부, 101: 공기유입구, 110: 타공판,
111: 관통공, 120: 폴링부재, 121: 용액통,
122: 용액공급관, 123: 솔레노이드 밸브, 130: 세정수 토출부,
140: 트레이부재, 141: 관통공, 150: 공기유도부재,
160: 데미스터, 170: 세정수분무노즐, 171: 압축공기유입구,
172: 세정수분무구, 173: 벤투리부, 173A: 스로틀부,
173B: 확대부, 173C: 혼입부, 174: 세정수유입로,
180: 연통구, 181: 연통덕트, 190: 제1투시창,
200: 수조, 210: pH센서, 220: 온도센서,
230: 수위센서, 240: 히터, 250: 배수관,
251: 볼밸브, 260: 제2투시창, 270: 이동용 바퀴,
280: 고정대, 281: 나사봉, 282: 너트,
283: 바닥판, 290: 입수구, 300: 흡배기부,
310: 블로어, 320: 배기구, 330: 배기 센서,
400: 컨트롤러, 410: 제어부, 420: 무선통신부,
500: 세정수 공급관, 510: 세정수 분기관, 520: 압축공기 공급관,
530: 개폐 밸브, 600: 펌프, 601: 브라켓,
W: 수막층, D1: 유해가스정보, D2: 펌프구동정보. 100: scrubber portion, 101: air inlet, 110: perforated plate,
111: through hole, 120: polling member, 121: solution container,
122: solution supply pipe, 123: solenoid valve, 130: washing water discharge,
140: tray member, 141: through hole, 150: air induction member,
160: demister, 170: washing water spray nozzle, 171: compressed air inlet,
172: washing water spray ball, 173: venturi portion, 173A: throttle portion,
173B: expansion portion, 173C: mixing portion, 174: washing water inlet passage,
180: communication port, 181: communication duct, 190: first viewing window,
200: bath, 210: pH sensor, 220: temperature sensor,
230: water level sensor, 240: heater, 250: drain pipe,
251: ball valve, 260: second viewing window, 270: wheel for movement,
280: holder, 281: screw rod, 282: nut,
283: bottom plate, 290: water inlet, 300: intake and exhaust section,
310: blower, 320: exhaust port, 330: exhaust sensor,
400: controller, 410: control unit, 4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00: washing water supply pipe, 510: washing water branch pipe, 520: compressed air supply pipe,
530: on-off valve, 600: pump, 601: bracket,
W: water film layer, D1: hazardous gas information, D2: pump driving information.
Claims (1)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측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정화하는 스크러버부(100);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세정수가 저장되는 수조(200);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블로어(310)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101)를 통해 유해공기를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스크러버부(100)에 의해 정화된 정화공기를 상측에 형성된 배기구(320)로 배출시키는 흡배기부(300); 및
상기 수조(200)에 저장된 세정수가 상기 스크러버부(10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유해공기가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블로어(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러버부(100)는,
다수의 관통공(111)을 가지며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층상 배열되는 복수개의 타공판(110)과,
상기 타공판(110)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폴링부재(120)와,
제일 상부 타공판(110A)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200)와 연결된 세정수 공급관(500)과 연통되어 세정수를 토출하는 세정수 토출부(130)와,
제일 상부 타공판(110A)과 세정수 토출부(130) 사이에 다수의 관통공(141)을 가지며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는 트레이부재(140)와,
제일 하부 타공판(110B)의 하측이면서 상기 공기유입구(101)측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되 호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공기유도부재(150)와,
상기 세정수 토출부(130)의 상측이면서 상기 흡배기부(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데미스터(160)와,
각각의 타공판(110) 사이이면서 스크러버부(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스크러버부(100)의 내부로 세정수를 분무하는 세정수분무노즐(170)과,
타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통구(180)와,
상기 연통구(180)와 연통되면서 상기 데미스터(16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연통구(180)로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가지며 형성되는 연통덕트(181)와,
상기 폴링부재(12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투시창(190)과,
상기 세정수 토출부(130)와 트레이부재(14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투시창(190)의 상측이면서 스크러버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3투시창(191)을 포함하며,
상기 수조(200)는 상기 스크러버부(100)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스크러버부(100)에서 낙하되는 세정수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pH를 측정하는 pH센서(210)와,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20)와,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30)와,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조(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240)와,
일측면에 설치되어 저장된 세정수를 배수시킬 수 있고 볼밸브(251)를 구비하여 개폐될 수 있는 배수관(250)과,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2투시창(260)과,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270)와,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대(280)와,
타측면에 설치되어 물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입수구(290)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공급관(500) 상에 상기 수조(200)의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 토출부(13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600)가 설치되되 상기 펌프(600)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수조(200)의 타측면에 설치된 브라켓(60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수 공급관(500)에는 볼밸브(501)가 구비되며,
세정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700)가 상기 펌프(600)의 상류측 세정수 공급관(5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수분무노즐(170)은,
상기 세정수 공급관(500)에서 분기되는 세정수 분기관(510)과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520)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세정수 분기관(510)과 압축공기 공급관(520) 상에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폐밸브(53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세정수분무노즐(170)은,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520)과 결합하여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유입구(171)와,
상기 스크러버부(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수가 분무되는 세정수분무구(172)와,
상기 압축공기유입구(171)와 세정수분무구(172) 사이이면서 상기 압축공기유입구(171)와 세정수분무구(172)와 동일축선상에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이동속도를 높이는 벤투리부(173)와,
상기 벤투리부(173)와 연통되고 상기 세정수 분기관(510)과 연결되어 세정수를 벤투리부(173)로 유입시키는 세정수유입로(174)를 포함하고,
상기 벤투리부(173)는 상기 압축공기유입구(171)와 접하면서 압축공기 이동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스로틀부(173A)와, 상기 세정수분무구(172)와 접하면서 압축공기 이동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확대부(173B)와, 상기 스로틀부(173A)와 확대부(173B) 사이에 형성되는 혼입부(173C)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정수유입로(174)는 상기 혼입부(173C)에 수직으로 연통되고,
상기 고정대(280)는,
상기 수조(200)의 하부측에 설치된 프레임(201)을 관통하면서 직립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에 바닥판(283)을 구비한 나사봉(281) 및 상기 나사봉(281)에 결합된 너트(282)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나사봉(281)을 돌리면 상기 바닥판(283)이 하강하여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을 지면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며,
상기 스크러버부(100)는 일측면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저장된 용액통(121)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용액통(121)은 용액공급관(122)을 통해 상기 수조(200)와 연결되며, 상기 용액공급관(122) 상에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23)가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블로어(310), 펌프(600), pH센서(210), 온도센서(220), 수위센서(230), 히터(240), 솔레노이드 밸브(123), 및 개폐 밸브(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410)와 스마트폰(S)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pH센서(21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pH수치가 설정 pH 이하일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3)를 개방하여 상기 용액통(121)에 저장된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상기 용액공급관(122)을 통해 상기 수조(200)로 소정량 투입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하일 경우 세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t2)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히터(240)를 구동하여 세정수가 가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위센서(23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하일 경우 경고 표시를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배기부(300)는 상기 배기구(320)의 일측에 상기 컨트롤러(400)의 제어부(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출되는 정화공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배기 센서(3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통신부(420)는 상기 배기 센서(330)에 의해 획득된 정화공기 내의 유해가스정보(D1)를 상기 제어부(410)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유해가스정보(D1)를 무선 통신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스마트폰(S)에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어 스마트폰(S)에서 송신되는 펌프구동정보(D2)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41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펌프구동정보(D2)에 따라 상기 펌프(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410)는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의 구동 초기에 상기 타공판(110) 상에 소정 높이의 수막층(W1)이 먼저 형성되도록 상기 펌프(600)를 먼저 구동시킨 다음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블로어(310)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개폐 밸브(530)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집진 및 공기 정화 시스템.In a noxious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ollects harmful gases and purifies the air,
A scrubber unit 100 having an inner space and purifying harmfu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0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water tank 200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crubber unit 100 and storing washing water for purifying harmful air;
It is installed on top of the scrubber part 100 and provided with a blower 310 to purify the harmful air through the air inlet 101 into the scrubber part 100 and then purified by the scrubber part 100. An intake and exhaust unit 300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an exhaust port 320 formed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nd a controller 400 for controll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00 to be supplied to the scrubber part 100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lower 310 so that harmful air flows into the scrubber part 100. and,
The scrubber part 100,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11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 and arranged in a lay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height direction while dividing the inside of the scrubber part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polling members 120 disposed on the perforated plate 110,
A washing water discharge unit 130 disposed above the upper perforated plate 110A and communicating with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500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00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 tray member 14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1 between the uppermost perforated plate 110A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art 130 and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scrubber part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ir induction member 150 which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perforated plate 110B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air inlet 101 side and has a arc-shaped longitudinal s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emister 16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take and exhaust unit 300 and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 unit 130,
Washing water spray nozzles 170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crubber portion 100 while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scrubber portion 100 between the perforated plates 110,
Communication port 180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on the other side,
Communication duct 181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port 18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mister 160 flows to the communication port 180, and
The first viewing window 190 is provided on one side so as to check the state of the polling member 120,
And a third viewing window 19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crubber part 100 while being upper side of the first viewing window 190 to check the states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art 130 and the tray member 140. ,
The water tank 200 stores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scrubber unit 100 and accommodates th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scrubber unit 100.
A pH sensor 21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and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200 to measure pH of the washing water;
A temperature sensor 2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and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200 to measure a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A water level sensor 2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and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200 to measure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A heater 2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and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200 to heat the washing water;
A drain pipe 250 installed at one side to drain the stored washing water, and having a ball valve 251 to be opened and closed;
The second viewing window 260 is installed on one side to check the inside,
A moving wheel 270 installed at a lower part thereof;
A fixed base 280 installed at the lower part,
I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nd includes an inlet 290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A pump 600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f the tank 200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500, and the pump 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Is connected to the bracket is disposed on the bracket 601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nk 200,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500 is provided with a ball valve 501,
A filter 700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matter present in the washing water is installed on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500 upstream of the pump 600.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170,
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washing water branch pipe 510 branching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500 and is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520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respectively, and the washing water branch pipe 510 and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On the 520, the on-off valves 5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are installed, respectively,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170,
Compressed air inlet 171 is coupl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520 and the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A washing water spraying hole 172 disposed inside the scrubber part 100 and spraying washing water;
A venturi portion 173 formed between the compressed air inlet 171 and the washing water spray ball 172 and coaxially with the compressed air inlet 171 and the washing water spray ball 172 to increase the moving speed of the compressed air. Wow,
And a washing water inlet passage 174 which communicates with the venturi part 173 and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branch pipe 510 to introduce washing water into the venturi part 173.
The venturi portion 173 is in contact with the compressed air inlet 171 and the throttle portion (173A) is smaller in diameter along the compressed air moving direction toward the inside, and the compressed air while contacting the washing water spray (172) An enlarged portion 173B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outside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a mixing portion 173C formed between the throttle portion 173A and the enlarged portion 173B, wherein the washing water inflow passage 174 is provided. Is vertically communicated with the mixing portion 173C,
The fixing stand 280,
Upright through the frame 201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200,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upled to the screw rod 281 and the screw rod 281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283 at the bottom. Rotating the screw rod 281 as a nut 282, the bottom plate 283 is lowered to contact the ground to fix the harmful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to the ground,
The scrubber part 100 further includes a solution container 121 in which a sodium hydroxide solution is stored on one side, and the solution container 121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00 through a solution supply pipe 122, and the solution On the supply pipe 122, a solenoid valve 12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is installed.
The controller 400 includes the blower 310, the pump 600, the pH sensor 210, the temperature sensor 220, the water level sensor 230, the heater 240, the solenoid valve 123, and an open / close valve ( A control unit 4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53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0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S;
The control unit 410 opens the solenoid valve 123 when the pH value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pH sensor 210 is less than the set pH so that the sodium hydroxide solution stored in the solution container 121 is the solution supply pip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2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t1, the control water is controlled to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200 through 122,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s set temperature t2. The heater 240 is driven until it is abnormal, and the washing water is controlled to be heated, and when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230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t level, a warning is displayed.
The intake and exhaust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10 of the controller 400 on one side of the exhaust port 320 and the exhaust sensor 33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harmful gas present in the purified air discharged. More equipp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0 receives the harmful gas information D1 in the purified air obtained by the exhaust sensor 330 from the control unit 410, and the application is executing the harmful gas information D1 by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ransmitting to the smartphone (S) and receives the pump driving information (D2)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and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S) and transmits to the control unit 410,
The controller 41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pump 600 according to the pump driving information (D2),
The controller 410 first drives the pump 600 such that a water film layer W1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irst formed on the perforated plate 110 at the beginning of driving the harmful gas dust collecting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nd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o drive the blower 310 and at the same time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530) harmful gas dust collec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9777A KR102036274B1 (en) | 2019-09-04 | 2019-09-04 | Noxious gas treatment and air purif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9777A KR102036274B1 (en) | 2019-09-04 | 2019-09-04 | Noxious gas treatment and air purific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6274B1 true KR102036274B1 (en) | 2019-10-25 |
Family
ID=6842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9777A KR102036274B1 (en) | 2019-09-04 | 2019-09-04 | Noxious gas treatment and air purific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6274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49886A (en) * | 2020-01-22 | 2020-06-09 | 北京建筑大学 | Pipeline deodorization structure, tubular deodorization device and deodorization method |
KR102236823B1 (en) * | 2021-01-14 | 2021-04-07 | 주식회사 강양에이치티에스 | Air purification device having combined functions for reduction of ultrafine dust and carbon dioxide and sterilization in multi-use facilities |
KR102337974B1 (en) * | 2021-10-05 | 2021-12-10 | 디에이치환경산업 주식회사 | Small-scale exhaust gas control method and device |
KR102447085B1 (en) | 2022-05-13 | 2022-09-28 | 임석원 | Pollution Gas Purification System |
KR102453966B1 (en) * | 2022-04-29 | 2022-10-13 | 주식회사 강양에이치티에스 | Hazardous gas measurement and alarm device with built-in filter-free subminiature dust collector |
KR102543472B1 (en) | 2023-01-18 | 2023-06-16 | 주식회사 골드테크 | Contaminated gas purif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urification performance |
KR102543473B1 (en) | 2023-01-18 | 2023-06-19 | 주식회사 골드테크 | Demister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
CN118286834A (en) * | 2024-06-06 | 2024-07-05 | 山西农业大学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harmful waste gas of livestock and poultry breeding house |
CN118767659A (en) * | 2024-09-06 | 2024-10-15 |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 Low disturbance phase splitter and integrated carbon capture absorption towe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8205Y1 (en) * | 2006-03-23 | 2006-06-09 | 여일엔지니어링(주) | Scrubber system for cleaning harmful process gas like nitrogen oxides |
KR20110032985A (en) * | 2009-09-22 | 2011-03-30 | 이인섭 | Wet scrubbing system |
KR101227893B1 (en) | 2010-09-14 | 2013-01-30 | 주식회사 에이피티 | Wet type dust collector |
KR101453341B1 (en) * | 2014-03-21 | 2014-10-22 | 광성(주) | Wet Scrubber Systme Combined With Electrostatic Induction |
KR20170128760A (en) * | 2017-05-22 | 2017-11-23 |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 Wet scrubber using flushing water of dissolved oxygen |
-
2019
- 2019-09-04 KR KR1020190109777A patent/KR10203627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8205Y1 (en) * | 2006-03-23 | 2006-06-09 | 여일엔지니어링(주) | Scrubber system for cleaning harmful process gas like nitrogen oxides |
KR20110032985A (en) * | 2009-09-22 | 2011-03-30 | 이인섭 | Wet scrubbing system |
KR101227893B1 (en) | 2010-09-14 | 2013-01-30 | 주식회사 에이피티 | Wet type dust collector |
KR101453341B1 (en) * | 2014-03-21 | 2014-10-22 | 광성(주) | Wet Scrubber Systme Combined With Electrostatic Induction |
KR20170128760A (en) * | 2017-05-22 | 2017-11-23 |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 Wet scrubber using flushing water of dissolved oxyg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49886A (en) * | 2020-01-22 | 2020-06-09 | 北京建筑大学 | Pipeline deodorization structure, tubular deodorization device and deodorization method |
KR102236823B1 (en) * | 2021-01-14 | 2021-04-07 | 주식회사 강양에이치티에스 | Air purification device having combined functions for reduction of ultrafine dust and carbon dioxide and sterilization in multi-use facilities |
KR102337974B1 (en) * | 2021-10-05 | 2021-12-10 | 디에이치환경산업 주식회사 | Small-scale exhaust gas control method and device |
KR102453966B1 (en) * | 2022-04-29 | 2022-10-13 | 주식회사 강양에이치티에스 | Hazardous gas measurement and alarm device with built-in filter-free subminiature dust collector |
KR102447085B1 (en) | 2022-05-13 | 2022-09-28 | 임석원 | Pollution Gas Purification System |
KR102543472B1 (en) | 2023-01-18 | 2023-06-16 | 주식회사 골드테크 | Contaminated gas purif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urification performance |
KR102543473B1 (en) | 2023-01-18 | 2023-06-19 | 주식회사 골드테크 | Demister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
KR20240115380A (en) | 2023-01-18 | 2024-07-25 | 주식회사 골드테크 | Contaminated gas purification system with improved purification performance |
CN118286834A (en) * | 2024-06-06 | 2024-07-05 | 山西农业大学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harmful waste gas of livestock and poultry breeding house |
CN118767659A (en) * | 2024-09-06 | 2024-10-15 |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 Low disturbance phase splitter and integrated carbon capture absorption tow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6274B1 (en) | Noxious gas treatment and air purification system | |
US8523987B2 (en) | Dust arrester and method for removing dust particles from air | |
KR100948052B1 (en) | System for removing noxious substances from industrial gases | |
JP2015213904A (en) | Antifoam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eawater foam control | |
KR20140103742A (en) | Dust collector | |
KR102395319B1 (en) | Wet dust collector | |
KR101111245B1 (en) | Apparatus for coating glass panel | |
WO200709181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exhaust gas in order to prevent generation of white smoke | |
KR20200060597A (en) | Small washing dust collector for simultaneous removal of fine dust and harmful gas | |
CN105736103B (en) | Tailgas purifier of engine | |
JP3223688U (en) | Wet scrubber | |
KR101989400B1 (en) | Immersion type scrubbe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leaning | |
CN213790748U (en) | Harmful gas processing apparatu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engineering | |
CN212283495U (en) | Inertia foam dust removal absorbing device | |
JP2018102888A (en) | Capturing and absorption recovering contaminant such as bacterium, odor, dust, pm, co gas, soot, formaldehyde and voc floating in space by spraying nano fine particle water to indoor spa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covery device | |
CN113117429A (en) | Flue gas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industrial boiler | |
JPH11148335A (en) | Wet typ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 |
KR101862147B1 (en) | Dust collecting equipment | |
JP2006510488A (en) | Air flow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queous foam combined with nucleation | |
KR101740311B1 (en) | Wet scrubber using vortex and elimination method of noxious gas using the same | |
JP2008161573A (en) | Air purifying method and its apparatus | |
EP4011407A1 (en) | Gas processing device, gas processing system, and gas processing method | |
KR20180047303A (en) | Dust collecting equipment | |
KR100538784B1 (en) | Dust collecting purifier for eliminating smoke | |
KR100613301B1 (en) | Wet type scrubber having a rolling filter for removing adhesive particles of exhaust g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