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2983B1 - 개폐체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983B1
KR102012983B1 KR1020130017464A KR20130017464A KR102012983B1 KR 102012983 B1 KR102012983 B1 KR 102012983B1 KR 1020130017464 A KR1020130017464 A KR 1020130017464A KR 20130017464 A KR20130017464 A KR 20130017464A KR 102012983 B1 KR102012983 B1 KR 102012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apturing
captured
catch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657A (ko
Inventor
쇼헤이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ublication of KR2013009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피포착부재와 포착인입기구의 포착부재와의 포착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작게 하고, 또한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으로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를 구비하고, 이러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는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120), 및, 개폐체(2)를 고정부재(1)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피포착부재(11)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포착부재(120)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110)을 각각 갖고,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할 때에, 피포착부재(11)에 대하여 맞닿음 블록(110)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개폐체 완충 장치{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나 서랍 등의 개폐체를, 열림 시에 강제적으로 완만하게 열림시키는 한편, 닫힘 시에 강제적으로 완만하게 닫힘할 수 있는 개폐체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개폐체 완충 장치는 예를 들면, 건물 측의 미닫이문 레일에 장착되어, 이 미닫이문 레일의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양쪽 모두에 각각 배치된 2개의 피포착부재와, 미닫이 측에 장착되어,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여 미닫이문을 열림 방향 또는 닫힘 방향으로 인입하기 위한 포착인입기구(捕捉引入機構)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포착인입기구는 미닫이문 레일의 긴 방향으로서, 미닫이문의 개폐 방향으로 연재 (延在)되어 있고, 그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각각의 단부(端部)에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포착부재(후크(hook))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포착인입기구의 내부에서 개폐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스프링에 의하여 개폐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의하여 서로 당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서로 당기는 스프링 힘을 완충하기 위한 댐퍼(damper)에 의하여 개폐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포착전 상태(포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포착인입기구의 본체부(케이싱)에 로크(lock)(걸림 고정)되어 있고, 개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로크된 상태로부터, 미닫이문이 소정의 위치까지 닫혀지면,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와 닫힘 측의 포착부재가 맞닿아, 포착부재가 회동된다. 이 때, 포착부재와 본체부와의 로크가 해제되어 포착부재가 개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됨과 함께, 닫힘 측의 포착부재가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게 된다.
한편, 열림 측의 포착부재는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열림 측의 포착부재 및 피포착부재도 닫힘 측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고, 미닫이문이 소정의 위치까지 열리면, 열림 측의 포착부재가 회동되어, 로크가 해제되어 포착부재가 개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됨과 함께, 열림 측의 포착부재가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폐체 완충 장치에서는, 미닫이문이 닫힘 측 및 열림 측의 어느 소정 위치까지 이르지 않아,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포착부재가 어느 피포착부재도 포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어느 쪽의 포착부재도 포착인입기구의 본체부에 로크되어, 어느 쪽의 포착부재도 개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한편, 미닫이문이 닫힘 측의 소정의 위치까지 닫혀져 닫힘 측의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는, 닫힘 측의 포착부재의 로크는 해제되지만, 열림 측의 포착부재는 포착인입기구의 본체부에 로크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하여, 포착된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가 열림 측으로 끌어당기도록 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은 그 닫힘 시에 강제적으로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미닫이문이 열림 측의 소정의 위치까지 열려 열림 측의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는, 열림 측의 포착부재의 로크는 해제되지만,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포착인입기구의 본체부에 로크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하여, 포착된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가 닫힘 측으로 끌어당기도록 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은 그 열림 시에 강제적으로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미닫이문의 열림 시 또는 닫힘 시는 상술한 댐퍼가 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을 완충하므로, 미닫이문은 완만하게 개폐하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특허공개 2009-127293호 공보
상술한 개폐체 완충 장치에서는, 미닫이문이 미닫이문 레일 위를 주행할 때에, 닫힘 측 또는 열림 측 중 어느 하나의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또는 포착 해제한다. 이 포착 또는 포착 해제하는 동작은 포착부재와 피포착부재가 맞닿아, 포착부재가 회동하면서 피포착부재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행해진다. 즉, 포착부재와 피포착부재는 이 소정 위치에서의 미닫이문의 개폐력을 그대로 받아, 그 개폐력에 의하여 회동하여 피포착부재와 강제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한다. 또한, 이 포착부재가 회동하는 속도는 이 소정 위치에서 미닫이문을 개폐시키는 속도와 거의 같은 속도로 된다.
그 때문에, 미닫이문을 힘차게 개폐시키려고 한 경우에는,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할 때, 포착부재가 빠른 속도로 회동하여 버려, 포착부재와 피포착부재가 강하게 맞닿는다. 그 때문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에 큰 충격이 발생하여 버린다. 이 충격은 포착인입기구 전체에 진동을 일으키게 하고, 예를 들면, 열림 측의 포착 동작에 의한 진동이 닫힘 측의 포착부재에 전해져, 닫힘 측의 포착부재가 회동하여 로크가 빠져 버리는 등의 오동작이 생기는 일이 있었다.
그 반대로, 닫힘 측의 포착 동작에 의한 진동이 열림 측의 포착부재의 오동작을 유인하기도 하였다
또한, 미닫이문을 힘차게 개폐시킨 경우, 스프링이 포착부재를 끌어들이는 속도보다 댐퍼가 축장(縮長)하는 속도가 빨라지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스프링은 미닫이문의 개폐 속도에 추종하지 못하여 밀어붙이는 힘(인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 힘에 의하여 로크되어 있던 포착부재가 자중(自重)으로 회동하여 버려, 인입 동작중에 포착 동작이 해제되어 버릴 우려도 있었다.
또한, 미닫이문을 힘차게 개폐시키려고 한 경우에는, 포착부재가 빠른 속도로 회동하고, 포착부재와 피포착부재가 힘차게 결합 혹은 결합 해제하게 되어, 결합음 혹은 결합 해제음이 발생하여 버린다. 이러한 소리는 특히, 조용한 가정의 거실 등에서 귀에 거슬리는 소리로 들리게 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피포착부재와 포착부재와의 포착 동작에 의한 진동을 작게 하고, 또한 결합음 혹은 결합 해제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의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각각에 설치된 피포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개폐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포착인입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닫힘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1 캐치부(catch portion)와, 열림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2 캐치부와, 상기 제1 캐치부 및 상기 제2 캐치부를 개폐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캐치부가 닫힘 측의 상기 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캐치부를 상기 제2 캐치부 측으로 인입하고, 상기 제2 캐치부가 열림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2 캐치부를 상기 제1 캐치부 측으로 인입하는 제1 탄성체와, 상기 제1 탄성체가 상기 제1 캐치부 또는 상기 제2 캐치부를 입입하는 힘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개폐체 완충 장치로서, 상기 제1 캐치부 및 제2 캐치부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각각 갖고,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체를 힘차게 개폐하였더라도, 맞닿음 블록이 이동하여 제1 캐치부(또는 제2 캐치부)에서의 충격이 작게 억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피포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포착인입기구가 상기 개폐체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체의 구조에 맞추어, 장착하기 쉬운 쪽에 포착인입기구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포착부재가 이동하는 기세를 누그려 뜨려, 포착부재를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따라 상기 포착부재 및 상기 맞닿음 블록을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포착부재를 회동하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에 장착된 링크 핀과, 상기 링크 핀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誘導)구멍을 갖고, 상기 유도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內包)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 블록에는 상기 링크 핀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맞닿음 블록이 상기 내포 블록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링크기구에 의하여, 포착부재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맞닿음 블록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에는 상기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 사이에, 개폐 방향으로 축장하는 제2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탄성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맞닿음 블록의 이동을 완충하고, 또한 복귀 동작을 촉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탄성체의 밀어붙이는 힘을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쪽 측의 포착부재 측에, 다른 한쪽 측의 포착부재를 인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포착부재의 상하 이동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로크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에서는, 상기 제1 캐치부 및 제2 캐치부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각각 갖고,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폐체를 힘차게 개폐하였더라도, 맞닿음 블록이 이동하여 제1 캐치부(또는 제2 캐치부)에서의 충격이 작게 억제된다. 그 때문에, 포착 동작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는 제2 캐치부(또는 제1 캐치부)에서, 그 전달되는 진동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진동이 전달되는 제2 캐치부(또는 제1 캐치부)에서, 진동에 의한 오동작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다.
또한, 미닫이문을 힘차게 개폐시킨 경우로서, 제1 탄성체가 포착부재를 인입하는 속도보다 댐퍼가 축장하는 속도가 빠르게 되어, 제1 탄성체의 밀어붙이는 힘을 발휘할 수 없도록 되었더라도, 맞닿음 블록이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어 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한, 포착 동작이 해제될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포착 동작중에 이러한 오동작이 생기는 일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폐체를 힘차게 개폐하였더라도, 맞닿음 블록이 이동하여 피포착부재에 맞닿는 기세를 완충함으로써, 포착시에 맞닿음 블록과 피포착부재가 접촉할 때의 결합음(충돌음)을 억제하여,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포착부재가 이동하는 기세를 누그려 뜨려, 포착부재를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포착부재가 상한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링크 핀과 유도구멍의 상단부와의 충돌음을 억제하여, 동작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 상부의 정면도로서, 미닫이문이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상태로부터 미닫이문을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상태로부터 미닫이문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포착인입기구를 단체(單體)로 나타낸 것이며, 미닫이문이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도 1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포착인입기구를 단체로 나타낸 것이며, 미닫이문을 닫힌 상태(도 2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포착인입기구를 단체로 나타낸 것이며, 미닫이문을 연 상태(도 3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포착인입기구를 상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포착인입기구를 하측에서 본 분해 해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캐치부를 분해한 상태의 확대도이며, (a)는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우측에서 본 사시도, (b)는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캐치부를 뒤쪽 비스듬하게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매달림부와 인입부와의 장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인입부와 후측 가이드 롤러부와의 장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는 포착인입기구의 평면도, (b)는 포착인입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a)의 C-C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후측 부분의 확대정면도, (b)는 X-X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후측 부분의 확대정면도, (b)는 Y-Y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후측 부분의 확대정면도, (b)는 Z-Z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2 캐치부의 단면도이며, (a)는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전 상태, (b)는 포착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는 개폐체 완충 장치(10)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미닫이문 장치에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구비한 미닫이문(2)의 상부의 정면도로서, 미닫이문(2)이 개폐 방향(지면 좌우방향)에서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포착인입기구(20)를 단체로 나타낸 것이며, 미닫이문(2)이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도 1의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포착인입기구(20)로서, 미닫이문(2)을 닫힌 상태(도 2의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 도 6은 미닫이문(2)을 연 상태(도 3의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전측(전(前)방향)」이란, 도 1의 좌측(문 닫힘 측)을 말하는 것으로 하고, 「후측(후(後)방향)」이란, 도 1의 우측(문 열림 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하, 좌우」의 방향은 도 1의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전측이 보았을 때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하는 「닫힘 시」란, 개폐체 완충 장치(10)가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는 위치로부터 미닫이문이 완전하게 닫힌 위치까지 이동할 때까지를 말한다. 그 반대로, 「열림 시」란, 개폐체 완충 장치(10)이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는 위치로부터 미닫이문이 완전하게 열린 상태로 될 때까지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미닫이 장치는 건물의 개구부의 상연부(上椽部)를 따라 전후방향(개폐 방향)으로 연재되는 가이드 레일(1)과, 이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개구부를 개폐하는 미닫이문(2)(개폐체)과, 미닫이문(2)의 열림 시 또는 닫힘 시에 제동하면서, 이 미닫이문(2)을 열림 위치 또는 닫힘 위치로 유도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10)로 구성되어 있다.
개폐체 완충 장치(10)는 가이드 레일(1)의 전측에 배치된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11)와, 가이드 레일(1)의 후측에 배치된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11)와, 이 가이드 레일(1) 위를 전후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한 포착인입기구(20)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피포착부재(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11a)를 갖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포착부재(11)는 포착인입기구(20)의 구조에 맞추어, 전측 및 후측의 소정의 위치(미닫이문(2)을 개폐 방향으로 유도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포착인입기구(20)는 하측이 개구되는 단면 ㄷ자 형상의 가이드 레일(1)의 안쪽에 수용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1)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착인입기구(20)에는, 그 전측부와 후측부의 각각에 가이드 롤러(21)(도 1∼도 3에서, 전측에 4개, 후측에 2개)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롤러(21)가 가이드 레일(1)의 전동면(轉動面)(1a) 위를 전동함으로써, 포착인입기구(20)가 가이드 레일(1)의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착인입기구(20)의 전측 부분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매달림부(3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매달림부(300)에는, 미닫이문(2)의 상단(上端) 각부(角部)(도 1의 지면 왼쪽으로 비스듬한 위쪽의 각부)가 장착되어 있고, 미닫이문(2)의 전단(前端) 부분을 매다는 형태로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을 개폐 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착인입기구(20)의 가이드 롤러(21)가 가이드 레일(1) 위를 전동하여, 미닫이문(2)이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개폐하게 된다.
또한, 포착인입기구(20)는 아니지만, 미닫이문(2)의 우측의 상단 각부에도 매달림부(5)가 장착되어 있다. 이 매달림부(5)는 미닫이문(2)의 후단(後端) 부분을 매다는 형태로 지지하고 있고, 미닫이문(2)은 가이드 레일(1)의 전동면(1a)을 전동 가능한 가이드 롤러(21)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개폐하게 된다.
이 포착인입기구(20)에는, 도 1∼도 3 및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에 위치하는 제1 캐치부(100)와,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캐치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캐치부(100)는 포착인입기구(2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닫힘 시의 소정의 위치에서 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한다. 또한, 제2 캐치부(150)도 포착인입기구(2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열림 시의 소정의 위치에서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한다(포착 동작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포착인입기구(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이 개폐 방향에서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가 2개의 피포착부재(11) 사이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 모두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지 않고 있다. 즉, 이 상태에서는, 포착인입기구(20)는 기능하지 않는다(대기 상태). 이 대기 상태에서는, 제1 캐치부(100)는 포착인입기구(20)의 본체 측에 로크(상세한 사항은 후술함)된 상태에서 포착인입기구(20)의 전단 측에 위치하고, 제2 캐치부(150)도 로크된 상태에서 포착인입기구(20)의 후단 측에 위치한다(도 4 참조).
이 대기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전측(도 1의 지면 좌측. 문 닫힘 측)으로 이동시키면, 미닫이문(2)의 닫힘 시에, 상술한 캐치부(100)의 로크가 해제되어, 제1 캐치부(100)가 전측에 위치하는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한다(문 닫힘 상태. 도 2 참조).
이 문 닫힘 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캐치부(100)가 전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면서, 스프링(226)(도 7 및 도 8 참조)의 힘으로 중앙부 측(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포착인입기구(20)는 포착한 피포착부재(11)를 미닫이문(2) 측(도 1의 우측. 후측)으로 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은 상대적으로 닫히는 방향(도 1의 좌측. 전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이 전측의 문 버팀쇠(3)와 맞닿을 때까지 완전하게 닫혀지게 된다. 또한, 이 문 닫힘 상태에서는, 제2 캐치부(150)는 로크된 상태에서, 대기 상태와 같은 위치에 머물려 있다.
한편, 대기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후측(도 1의 지면 우측. 문 열림 측)으로 이동시키면, 미닫이문(2)이 완전하게 열 때의 열림 시에, 상술한 캐치부(150)의 로크가 해제되어, 제2 캐치부(150)가 후측에 위치하는 포착인입부재(11)를 포착한다(문 열림 상태. 도 3 참조).
이 문 열림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캐치부(150)가 후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면서, 스프링(226)의 힘으로 중앙부 측(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포착인입기구(20)는 포착한 피포착부재(11)를 미닫이문(2) 측(도 1의 좌측. 전측)으로 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은 상대적으로 열리는 방향(도 1의 우측. 후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이 후측의 문버팀 쇠(4)와 맞닿을 때까지 완전하게 열리게 된다. 또한, 이 문 열림 상태에서는, 제1 캐치부(100)는 로크된 상태에서, 대기 상태와 같은 위치에 머물려 있다.
도 7은 포착인입기구(20)를 위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포착인입기구(20)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제1 캐치부(100)를 분해한 상태의 확대도이며, (a)는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우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b)는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제2 캐치부(150)를 뒤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포착인입기구(20)는 도 4∼도 6 및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는 제1 캐치부(100)와, 후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는 제2 캐치부(150)와, 이러한 캐치부(100, 150)를 가이드 레일(1)의 연재방향(전후방향)을 따라 중앙 측으로 인입하기 위한 인입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캐치부(100)는 후술하는 링크 핀(140)의 위치에 따라 동작하는 링크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캐치부(100)는 도 7, 도 8, 특히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소정 위치에서 맞닿는 맞닿음 블록(110)과, 이 돌기부(11a)를 포착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포착판(12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과 포착판(120)을 내포하여 이들 전체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내포 블록(13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 포착판(120), 제1 내포 블록(130)이 링크기구로서 동작하기 위한 링크 핀(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맞닿음 블록(110)은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11)와, 이 본체부(111)의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부가 본체부(11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받침부(112)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11)는, 그 내측이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고, 이 공동은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동 안에는, 그 하측의 개구로부터, 포착판(12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본체부(111)에는,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부터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향하여 뻗는 경사구멍(1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구멍(111a)은 본체부(111)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제1 캐치부(100)가 조립될 때에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되게 된다.
받침부(112)의 전측의 면에는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11)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기립하는 맞닿음면(1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면(112a)은, 미닫이문(2)이 닫힘 시의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에, 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맞닿아 압압되게 된다.
또한, 받침부(112)의 후측의 면에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스프링 수용홈(1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수용홈(112b)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113)의 일단부가 지지된다.
포착판(12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포착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포착 돌기(121)는, 포착판(120)이 링크기구에 의하여 윗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술한 받침부(112)와 이 포착 돌기(121)로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전후방향에서 포착하게 된다.
이 포착 돌기(121)의 후면에는, 테이퍼(taper) 맞닿음면(1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 맞닿음면(121a)은 테이퍼의 하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이 테이퍼 맞닿음면(121a)에는, 미닫이문(2)을 닫힘 상태(도 2 참조)로부터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가 맞닿는다. 그리고, 돌기부(11a)가 포착 돌기(121)를 이 테이퍼면과 수직한 방향인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향하여 눌러 내리게 된다. 이에 의해, 돌기부(11a)를 포착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문 닫힘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포착판(120)에는, 포착 돌기(121)의 전측에 위치하는 보조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 돌기(122)는 상술한 포착 돌기(121)와 받침부(112)에 의하여 돌기부(11a)를 포착할 수 없었을 때에, 포착 돌기(121)와 이 보조 돌기(122) 사이에 돌기부(11a)를 포착하는, 말하자면 보조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이 보조 돌기(122)는 포착 돌기(121)와 보조 돌기(122)로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한 경우이라도, 개폐체 완충 장치(10)가 미닫이문(2)을 폐지(閉止)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착 돌기(122)는 미닫이문(2)을 열 때에 있어서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에 의하여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되었을 때에, 포착 돌기(122)가 하측으로 휘어서 피포착부재(11)를 보조 돌기(122)의 전측으로 퇴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착판(120)에는, 포착 돌기(121)의 하측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123)은 링크 핀(14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큰 직경의 둥근 구멍이며, 이 장착구멍(123)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된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링크 핀(140)의 이동에 따라 링크 핀(14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제1 내포 블록(130)은 도 7, 도 8, 특히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외곽부(131)와, 이 외곽부(131)의 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하는 지지부(132)와, 외곽부(131)의 좌우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좌우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안내 돌기부(133, 134)로 구성되어 있다.
외곽부(131)는, 그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이 공동은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 안에는, 그 상측의 개구로부터 맞닿음 블록(11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외곽부(131)에는,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재되는 유도구멍(1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구멍(131a)은 외곽부(131)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캐치부(100)가 조립될 때에, 맞닿음 블록(110)의 경사구멍(111a), 포착판(120)의 장착구멍(123)과 함께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되게 된다.
또한, 외곽부(131)의 공동 내의 후단부에는, 상하로 기립하는 받침면(1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면(131b)에는, 제1 내포 블록(130) 내에 맞닿음 블록(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113)의 타단부가 지지된다.
또한, 외곽부(131)의 하측 후부(받침면(131b)의 하측)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스프링 받침부(227)의 네크부(neck portion)(227a)를 수용하는 네크부 수용홈(13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네크부 수용홈(131c)은 스프링 받침부(227)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 스프링 받침부(227)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
지지부(132)에는, 그 후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뻗는 장착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홈(132a)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댐퍼 유닛(221)(완충부재)의 출력축(221a)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이 출력축(221a)의 좌우방향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안내 돌기부(133, 134)는 전후방향(미닫이문(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 돌기부(133, 134)는, 제1 내포 블록(130)이 후술하는 인입부(200)의 가이드부(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가이드부(210)의 돌기부(218)(도 17(a), 도 17(b) 참조)와 단차부(段差部)(260)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261)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 홈부(261)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에 의해, 제1 캐치부(100)가 인입부(2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외곽부(131)에는, 전측 및 후측의 각각의 양측에, 슬라이드 돌기(135, 13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돌기(135, 136)는, 제1 내포 블록(130)이 후술하는 인입부(200)의 가이드부(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부(210)의 내측면(210a)과 접한다. 이에 의해, 제1 내포 블록(130)의 가이드부(210) 내에서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제1 내포 블록(13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이러한 슬라이드 돌기(135, 136)가 가이드부(210)의 내측면(210a)과 슬라이드 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링크 핀(140)은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링크 핀(140)의 길이는 제1 내포 블록(130)의 폭방향의 치수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링크 핀(140)에 의하여, 맞닿음 블록(110), 포착판(120), 및 제1 내포 블록(130)을 일체로 조립한 상태에서, 제1 내포 블록(130)의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링크 핀(140)의 단부(端部)(140a)가 돌출하는 형태로 조립된다. 이 돌출하는 단부(140a)는, 제1 내포 블록(130)이 후술하는 인입부(200)의 가이드부(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돌기부(218)의 상부에 놓여져,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 캐치부(150)는 도 7, 도 8, 특히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소정 위치에서 맞닿는 맞닿음 블록(110)과, 이 돌기부(11a)를 포착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포착판(12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과 포착판(120)을 내포하여 이들 전체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내포 블록(16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 포착판(120), 제2 내포 블록(160)이 링크기구로서 동작하기 위한 링크 핀(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캐치부(150)도, 제1 캐치부(100)과 마찬가지로, 링크 핀(140)의 위치에 의하여 동작하는 링크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링크기구의 동작은 제1 캐치부(100)와 비교하여, 전후방향으로 반대의 동작을 하는 것 이외는 제1 캐치부(100)와 같다. 보다 간단하게 말하면, 제2 캐치부(150)는 제1 캐치부(100)의 제1 내포 블록(130) 대신에 제2 내포 블록(160)이 사용된 것이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 기재하는 제2 캐치부(150)의 설명에서는, 맞닿음 블록(110), 포착판(120), 및 링크 핀(140)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2 내포 블록(160)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내포 블록(160)의 외곽부(161)는 도 7,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후측 부분의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이 공동은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 안에는, 그 상측의 개구로부터, 맞닿음 블록(11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외곽부(161)에는,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재되는 유도구멍(16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구멍(161a)은 외곽부(161)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제2 캐치부(150)가 조립될 때에, 맞닿음 블록(110)의 경사구멍(111a), 포착판(120)의 장착구멍(123)과 함께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되게 된다.
또한, 외곽부(161)의 공동 내의 후단부에는, 상하로 기립하는 받침면(16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면(161b)에는, 제2 내포 블록(160) 내에 맞닿음 블록(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113)의 타단부가 지지된다.
또한, 외곽부(161)의 하측 후부(받침면(161b)의 하측)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스프링 받침부(227)의 네크부(227a)를 수용하는 네크부 수용홈(16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네크부 수용홈(161c)은, 스프링 받침부(227)이 조립된 상태에서, 이 스프링 받침부(227)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
또한, 외곽부(161)에는, 네크부 수용홈(161c)보다 전측에,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이 수용된다.
한편, 외곽부(161)의 중앙 상부로서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의 상측에는, 댐퍼 수용홈(16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댐퍼 수용홈(167)은 전후방향으로 연재되고, 그 단면(斷面)이 댐퍼 유닛(221)의 유닛 본체(221b)의 대략 원기둥형의 형상에 맞추어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댐퍼 수용홈(167)에 유닛 본체(221b)가 수용된 상태에서, 댐퍼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이 댐퍼 수용홈(167)의 후측에는, 유닛 본체(221b)의 후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후단 지지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단 지지부(168)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에 유닛 본체(221b)의 후단부를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삽입함으로써, 유닛 본체(221b)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곽부(161)의 전측 상부에는, 댐퍼 유닛(221)의 출력축(221a)을 지지하는 지지부(1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162)에는, 상측이 개구된 U자 형상의 장착홈(16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홈(162a)에 댐퍼 유닛(221)의 출력축(221a)의 기단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이 출력축(221a)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되게 된다.
또한, 외곽부(161)의 전측 및 후측의 측부에는, 안내 돌기부(163, 16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 돌기부(163, 164)는 전후방향(미닫이문(2)의 이동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 돌기부(163, 164)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가이드부(210)의 돌기부(218)(도 17(a), 도 17(b) 참조)와 단차부(260)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261)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 홈부(261)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에 의해, 제2 캐치부(150)가 인입부(2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외곽부(161)에는, 전측 및 후측의 각각의 양측에, 슬라이드 돌기(165, 16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돌기(165, 166)는, 제2 내포 블록(160)이 후술하는 인입부(200)의 가이드부(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부(210)의 내측면(210a)과 접한다. 이에 의해, 제1 내포 블록(130)의 가이드부(210) 내에서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제2 내포 블록(16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이러한 슬라이드 돌기(165, 166)가 가이드부(210)의 내측면(210a)과 슬라이드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이러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유닛(221) 및 인장 스프링 유닛(225)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댐퍼 유닛(221)은 출력축(221a)과, 이 출력축(221a)을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유닛 본체(221b)를 갖고 있다. 유닛 본체(221b) 내에는, 출력축(221a)의 축장방향(전후방향)으로의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오일 등의 저항 유체(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출력축(221a)의 선단부는 제1 캐치부(100)의 지지부(132)의 장착홈(132a)에 장착된다. 또한, 유닛 본체(221b)는 제2 내포 블록(160)의 후단 지지부(168)에 삽입된 후에 댐퍼 유닛 수용부(167)에 조립되어, 상측으로부터 장착 커버(170)를 장착함으로써 고정된다.
한편, 인장 스프링 유닛(225)은 제2 내포 블록(160)의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 내에 수용된다. 이 인장 스프링 유닛(225)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26)과 이 인장 스프링(226)의 양단부에 설치된 2개의 스프링 받침부(227)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받침부(227)는 대략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의 선단 부분에, 직경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형성된 네크부(227a)를 갖고 있다.
전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받침부(227)의 네크부(227a)는 제1 내포 블록(130)의 네크부 수용홈(131c)에 삽입되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전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받침부(227)는 네크부 수용홈(131c)으로부터, 후측에 위치하는 제2 내포 블록(160)의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까지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받침부(227)의 네크부(227a)는 제2 내포 블록(160)의 네크부 수용홈(161c)에 삽입되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후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받침부(227)는 네크부 수용홈(161c)으로부터,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2개의 스프링 받침부(227)는 인장 스프링(226)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인장 스프링(226)은 코일 스프링이며, 인장 스프링 유닛(225)에서는, 2개의 스프링 받침부(227)를 중앙 측으로 밀어붙이는 인장 스프링으로서 사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장 스프링 유닛(225)이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를 포착인입기구(120)의 중앙부 측으로 밀어붙이는 한편, 댐퍼 유닛(221)이 인장 스프링(226)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완충하게 된다.
인입부(20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를 내측에 조립되는 가이드부(210)와, 가이드부(210)와 매달림부(300)(상세한 사항은 후술함)를 연결하기 위한 전측 장착 블록(240)과, 가이드부(210)와 후측 가이드 롤러부(400)를 연결하기 위한 후측 장착 블록(250)(상세한 사항은 후술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1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이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은, 상측이 개구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가이드부(210)의 단면 형상은 특히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한 저면부(210H)와, 이 저면부(210H)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위쪽에 뻗는 측부(210S)에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측부(210S)에는, 일단 바깥 방향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위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단차부(2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차부(260)의 상측에는, 도 7, 도 8 및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210S)의 내측면(210a)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260) 및 돌기부(218)는 가이드부의 전후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단차부(260), 돌기부(218) 및 내측면(210a)에 의하여,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홈부(261)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18) 위에는, 링크 핀(140)의 단부(140a)가 놓여져,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도 16(b) 참조). 또한, 홈부(261)에는, 제1 내포 블록(130)의 안내 돌기부(133, 134) 및 제2 내포 블록(160)의 안내 돌기부(163, 164)가 들어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즉, 상술한 인장 스프링 유닛(225) 및 댐퍼 유닛(221)에 의하여 전후로 연결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는 가이드부(210)의 전측 또는 후측 단부로부터 가이드부(210)에 삽입되어, 링크 핀(140)의 단부(140a) 및 각각의 안내 돌기부(133, 134, 163, 164)가 상술한 소정의 위치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가이드부(210)에는, 전측 및 후측의 측부에, 2개의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은 상하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이며, 가이드부(210)의 좌우의 양측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은 돌기부(218)의 연재방향의 일부를 절결하기 위한 것이며, 볼트 등이 삽입 통과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기부(218)의 일부를 졀결하는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상측의 개구부로부터 절삭 공구를 삽입하여 절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가공하기가 어렵다. 그 때문에, 가공하기 쉬운 방법으로서,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을 횡방향으로부터 뚫음으로써, 돌기부(218)의 일부를 절결하도록 한 것이다.
이 돌기부 절제구멍(219)을 형성함으로써, 이 돌기부(218)에는, 링크 핀(140)의 단부(140a)가 이 돌기부(218)의 상측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절결부(262)가 형성되게 된다.
이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절결부(262))의 전후방향에서의 치수는 상술한 링크 핀(140)의 직경과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의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의 전후방향의 위치는, 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제1 캐치부(100)의 맞닿음 블록(110)의 맞닿음면(112a)이 맞닿음(또는 맞닿음 해제)하는 경우에, 링크 핀(140)이 있는 위치에 뚫려 있다. 즉, 제1 캐치부(100)의 링크기구가 동작하는 위치로서, 링크 핀(140)이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에 맞추어, 전측의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절결부(262))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측의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절결부(262))의 전후방향의 위치도,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제2 캐치부(150)의 맞닿음 블록(110)의 맞닿음면(112a)이 맞닿음(또는 맞닿음 해제)하는 경우에, 링크 핀(140)이 있는 위치에 뚫려 있다. 즉, 제2 캐치부(150)의 링크기구가 동작하는 위치로서, 링크 핀(140)이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에 맞추어, 후측의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절결부(2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10)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보다 더 전측 및 후측에, 2개의 장착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216)은 가이드부(210)의 좌우의 양측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측의 장착구멍(216)에는, 장착핀(215)을 통하여 전측 장착 블록(240)이 장착된다. 또한, 후측의 장착구멍(216)에는, 장착핀(215)을 통하여 후측 장착 블록(250)이 장착된다.
전측 장착 블록(240)은 도 7,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 L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측 장착 블록(240)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우 관통구멍(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좌우 관통구멍(242)에는, 전측의 장착구멍(216)에 폭방향으로부터 삽입 통과된 장착핀(215)이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전측 장착 블록(240)이 가이드부(210)의 전단부에 장착된다.
또한, 전측 장착 블록(240)의 상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수평부(24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평부(24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 관통구멍(241)이 형성되어 있다.
후측 장착 블록(250)은 도 7, 도 8,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형상의 본체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우 관통구멍(2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좌우 관통구멍(251)에는, 후측의 장착구멍(216)에 폭방향으로부터 삽입 통과된 장착핀(215)이 삽입된다. 이에 의해, 후측 장착 블록(250)이 가이드부(210)의 후단부에 장착된다.
또한, 후측 장착 블록(250)에는, 그 후면으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결합돌기(2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230)는 후측 장착 블록(250)의 좌우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결합돌기(230)는 좌우방향으로 탄성에 의하여 내측을 향하여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10)의 전측의 저면에는 도 7, 도 8,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하는 장착구멍(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10)의 전측 및 후측의 저면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底部) 사각구멍(2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저부 사각구멍(217)으로부터는, 상술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가 가이드부(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포착판(120)이 하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도 13(b), 도 14, 도 15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포착판(120)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저부 사각구멍(217)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도 15 및 도 16 참조), 포착판(120)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저부 사각구멍(217)으로부터 돌출한다. 이에 의해, 인입부(200)를 하측에서 보아,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착인입기구(20)의 전측부에는, 도 7, 도 8,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을 매달기 위한 매달림부(3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포착인입기구(20)의 후측부에는, 도 7, 도 8,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가이드 롤러부(400)가 설치되어 있다.
매달림부(300)는 도 7, 도 8, 특히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21)를 구비한 전측 가이드 롤러부(310)와, 이 전측 가이드 롤러부(310)의 하측에 장착되어, 미닫이문(2)을 매다는 형태로 고정함과 함께 그 장착 위치를 미세조정 가능한 고착 유닛(320)을 구비하고 있다.
전측 가이드 롤러부(310)에는, 회전축(312)을 통하여 4개의 가이드 롤러(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측 가이드 롤러부(310)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후단부로부터 후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하측 돌출부(3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돌출부(3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구멍(3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돌출부(311)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입부(200)의 전측으로서, 상술한 전측 장착 블록(240)의 수평부(243)의 하측에 삽입된다. 그리고, 인입부(200)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장착나사(213)를, 가이드부(210)의 장착구멍(212), 하측 돌출부(311)의 장착구멍(311a), 전측 장착 블록(240)의 상하 관통구멍(241)의 순서대로 삽입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매달림부(300)는 인입부(200)의 전단부(前端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게 된다.
또한, 고착 유닛(320)은 그 전단에 표출(表出)되어 있는 조정부(調整部)(321)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 고착 유닛(320)에 장착된 미닫이문(2)의 좌우방향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후측 가이드 롤러부(400)는 도 7 및 도 8, 특히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커버(401)와, 후측의 2개의 가이드 롤러(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장착 커버(401)는, 전측 부분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로부터 후측 장착 블록(250)의 결합돌기(230)가 삽입된다. 이 장착 커버(401)의 좌우의 양측부에는, 결합돌기(230)와 결합하는 결합구멍(40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결합돌기(230)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자유롭게 결합구멍(401b)에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의 가이드 롤러(21)는 장착 커버(401)를 좌우로 관통하는 회전축(402)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의 작용, 및 링크 핀(140)에 의해 기능하는 링크기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a)는 포착인입기구의 평면도, 도 13(b)는 포착인입기구의 정면도, 도 14는 도 12(a)의 C-C 단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후측 부분의 확대 정면도, (b)는 X-X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후측 부분의 확대 정면도, (b)는 Y-Y 단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후측 부분의 확대 정면도, (b)는 Z-Z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제2 캐치부의 단면도이며, (a)는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전 상태, (b)는 포착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의 작용, 및 링크기구의 동작은 전후방향의 방향이 반대일 뿐 그 동작은 같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2 캐치부(150)에서의 링크기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고, 제1 캐치부(100)의 링크기구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캐치부(150)가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지 않는 대기 상태(도 1, 도 4, 도 13(a), 도 13(b), 도 14 참조)에서는, 링크기구를 동작시키는 링크 핀(140)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돌기부(218)를 절결한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의 위치에 있다. 또한, 링크 핀(140)의 단부(140a)는 절결부(262)를 통하여 돌기부(218)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이 때, 제2 캐치부(150)의 포착판(120)은 도 15(a),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 내려간 상태이며, 포착판(120)의 하부가 가이드부(210)의 저부 사각구멍(217)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도 15(a) 및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핀(140)의 단부(140a)는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에 의해 형성된 절결부(262)의 절결면과 전후방향으로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제2 캐치부(150)는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도록 로크된 상태로 된다.
이 대기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문 열림 측(후측. 도 18(a)의 H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6(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가 제2 캐치부(150)의 맞닿음 블록(110)의 맞닿음면(112a)과 맞닿아, 맞닿음 블록(110)을 앞 방향으로 압압한다. 이 압압력(E)은 미닫이문(2)을 열려고 하는 힘과 같고, 힘차게 열려고 할 때에는 큰 힘이 작용한다.
이 압압력(E)이 작용하면, 제2 캐치부(150)의 맞닿음 블록(110)은 앞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 맞닿음 블록(110)은 압축 코일 스프링(113)을 압축하므로, 압압력(E)이 완충되게 된다. 이에 의해, 먼저, 미닫이문(2)을 열 때의 힘이 그대로 제2 캐치부(150)에 전해지지 않게 되어, 보다 작은 힘이 작용하게 된다.
맞닿음 블록(110)이 앞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도 15(a)에 나타내는 맞닿음 블록(110)의 경사구멍(111a)은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링크 핀(140)은 경사구멍(111a) 및 제2 내포 블록(160)의 유도구멍(161a)을 따라, 상측 F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링크 핀(140)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는 도 16(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맞닿음 블록(110)의 받침부(112)와, 포착판(120)의 포착 돌기(121)에서 앞뒤를 끼우는 형태로 포착되게 된다.
또한, 링크 핀(140)은 상측 F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218)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돌기부(218)의 절결부(262)의 절결면에서 로크되어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제2 캐치부(150)의 로크가 해제되어, 링크 핀(140)의 단부(140a)가 돌기부(218)의 상면을 슬라이드 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착판(120)의 위쪽으로의 이동 속도는 경사구멍(111a)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면, 유도구멍(131a)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맞닿음 블록(110)의 이동 속도보다 느리게 할 수 있다. 즉, 포착판(120)은 미닫이문(2)을 개폐시키는 속도(맞닿음 블록(110)의 이동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윗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로크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캐치부(150)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인장 스프링 힘에 의하여, 제1 캐치부(100)측(전측. G방향)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캐치부(150)는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고정 위치에서 돌기부(11a)를 포착하면, 그 동작이 완료되고, 그 후에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 및 댐퍼 유닛(221)이 동작한다.
제2 캐치부(150)는 후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면서, G방향으로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캐치부(150)는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한 채로 피포착부재(11)의 장착 위치에 머물고, 제2 캐치부(150) 이외의 포착인입기구(20)의 전체가 상대적으로 후측으로 이동한다. 즉, 이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인장 스프링 힘은 미닫이문(2)을 강제적으로 여는 방향으로 밀어붙인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이 완전하게 열린 상태까지 안내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이동 상태에서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스프링 힘에 의하여, 미닫이문(2)이 힘차게 문 버팀쇠(4)에 충돌하지 않도록, 댐퍼 유닛(221)으로 스프링 힘을 완충하고 있다
반대로, 미닫이문(2)이 완전하게 열린 상태로부터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도 3의 상태로부터 미닫이문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된다. 즉, 미닫이문(2)을 전측으로 이동시키면,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는 포착판(120)의 포착 돌기(121)와 맞닿아, 제2 캐치부(150)가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인장 스프링(226)을 안내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돌기부(11a)는 포착 돌기(121)의 테이퍼 맞닿음면(121a)를 압압하므로, 제2 캐치부(15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중에 포착판(120)에는 항상 하측으로 눌러 내리는 힘이 작용한다. 이 눌러 내리는 힘은, 링크 핀(140)이 돌기부(218) 위에 있을 때에는, 돌기부(218)가 받치지만, 링크 핀(140)이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의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링크 핀(140)은 돌기부(218)의 절결부(262)를 통하여 하측으로 눌러 내려진다.
또한, 상술한 하측으로 눌러 내리는 힘이 작용하고 있을 때, 링크 핀(140)의 단부(140a)가 돌기부(218) 위에 압착되어 있으므로, 제2 캐치부(150)의 이동중에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제2 캐치부(150)의 이동에 의해 제1 캐치부(100)에 전달되는 진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제1 캐치부(100)의 로크가 빠지는 등의 오동작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돌기부 절제구멍(219)(절결부(262))의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포착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링크 핀(140)의 단부(140a)는 절결부(262)의 절결면에 맞닿음으로써 전후방향으로 로크되어, 제2 캐치부(150)가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맞닿음 블록(110)은 압축 코일 스프링(113)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힘이 촉진(보조)되게 된다. 이에 의해, 포착 해제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이 보다 원활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에 의하면, 미닫이문(2)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의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각각에 설치된 피포착부재(11)와, 미닫이문(2)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1) 위를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포착인입기구(20)를 구비하고, 포착인입기구(20)는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1 캐치부(100)와,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2 캐치부(150)와,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를 개폐 방향으로 연결하고, 제1 캐치부(100)가 닫힘 측의 포착부재(11)를 포착하였을 때에, 제1 캐치부(100)을 제2 캐치부(150) 측으로 인입하고, 제2 캐치부(150)가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였을 때에, 제2 캐치부(150)를 제1 캐치부(100) 측으로 인입하는 인장 스프링(226)과, 인장 스프링(226)이 제1 캐치부(100) 또는 제2 캐치부(150)를 입입하는 힘을 완충하는 댐퍼 유닛(221)을 구비한 개폐체 완충 장치로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는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판(120)(포착부재), 및 미닫이문(2)을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피포착부재(11)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포착부재(11)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110)을 각각 갖고,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할 때에, 피포착부재(11)에 대하여 맞닿음 블록(110)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닫이문(2)을 힘차게 개폐하였더라도, 맞닿음 블록(110)이 이동하여 제1 캐치부(100)(또는, 제2 캐치부(150))에서의 맞닿을 때의 충격이 작게 억제되도록 된다. 그 때문에, 포착 동작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는 제2 캐치부(150)(또는, 제1 캐치부(100))로, 그 전달되는 진동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진동이 전달되는 제2 캐치부(150)(또는, 제1 캐치부(100))로, 진동에 의한 오동작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문(2)을 힘차게 개폐시킨 경우로서, 인장 스프링(226)이 포착판(120)을 인입하는 속도보다 댐퍼 유닛(221)이 축장하는 속도가 빨라져서, 인장 스프링(226)의 밀어붙이는 힘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더라도, 맞닿음 블록(110)이 피포착부재(11)에 압압되어 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한, 포착 동작이 해제될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포착 동작중에 이러한 오동작이 생기는 일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문(2)을 힘차게 개폐하였더라도, 맞닿음 블록(110)이 이동하여 피포착부재(11)에 맞닿는 기세를 완충함으로써, 포착시에 맞닿음 블록(110)과 피포착부재(11)이 접촉할 때의 결합음(충돌음)을 억제하여,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포착판(120)이 미닫이문(2)을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포착판(120)이 이동하는 기세를 누그려 뜨려, 포착판(120)을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포착판(120)이 상한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링크 핀(140)과 유도구멍(131a) 혹은 경사구멍(111a)의 상단부와의 충돌음을 억제하여, 동작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포착인입기구(20)는 미닫이문(2)을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포착판(120) 및 맞닿음 블록(110)을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포착판(120)을 회동하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게 된다. 그 때문에, 회동 동작에 의해 결합 혹은 결합 해제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고, 부드럽게 동작하므로, 포착시의 진동이나 결합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링크기구는 포착판(120)에 장착된 링크 핀(140)과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구멍(131a)을 갖고, 유도구멍(131a)을 따라 포착판(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내포 블록(130, 160)과, 맞닿음 블록(110)으로 구성되고, 맞닿음 블록(110)에는,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111a)이 형성되어, 피포착부재(11)에 압압되었을 때에, 경사구멍(111a)을 따라 포착판(1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경사구멍(111a)을 따라 맞닿음 블록(110)이 제1 및 제2 내포 블록(130, 16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링크기구에 의해, 포착판(12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맞닿음 블록(110)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링크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링크기구에는, 제1 및 제2 내포 블록(130, 160)과 맞닿음 블록(110) 사이에, 개폐 방향으로 축장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13)(제2 탄성체)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 탄성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맞닿음 블록의 이동을 완충하고, 또한 포착 해제시의 복귀 동작을 촉진하게 된다. 그 때문에, 미닫이문(2)의 개폐력을 완충할 수 있음과 함께, 포착판(120)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복귀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포착인입기구(20)는 포착판(12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인장 스프링(226)의 밀어붙이는 힘을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한쪽 측의 제1 캐치부(100)(혹은 제2 캐치부(150)) 측에, 다른 쪽 측의 제2 캐치부(150)(혹은 제1 캐치부(100))를 인입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의 인장 스프링(226)으로 서로 끌어당기도록 되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로크기구는 포착판(1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작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포착판(120)의 상하 이동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로크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동하는 동작이 아니라 직선적으로 이동하므로, 로크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회동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의 진동이나 소리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의거하여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문(2)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랍이나 좌우 여닫이의 문 등을 개폐하는 경우이라도, 문을 강제적으로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장치이라면,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문의 상부에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설치하고 있지만,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레일(1)을 개구부의 하연부(下椽部)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20)를 그 하부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장 스프링(226) 및 압축 코일 스프링(113)을, 탄성체인 스프링으로서 기재하였지만,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탄성에 의해 밀어붙이는 힘을 일으키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레일(1) 측에 피포착부재(11)를 장착하고, 미닫이문(2) 측에 포착인입기구(20)를 장착하고 있지만, 반대이라도 상관없다. 이에 의하면, 미닫이문(2)의 구조에 맞추어, 장착하기 쉬운 쪽에 포착인입기구(20)를 구성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가 넓어진다.
1 : 가이드 레일(고정부재)
1a : 전동면
2 : 미닫이문(개폐체)
3, 4 : 문 버팀쇠
5 : 매달림부
10 : 개폐체 완충 장치
11 : 피포착부재
11a : 돌기부
20 : 포착인입기구
21 : 가이드 롤러
100 : 제1 캐치부
110 : 맞닿음 블록
111 : 본체부
111a : 경사구멍
112 : 받침부
112a : 맞닿음면
113 : 압축 코일 스프링(제2 탄성체)
120 : 포착판(포착부재)
121 : 포착돌기
121a : 테이퍼 맞닿음면
122 : 보조돌기
130 : 제1 내포 블록
131 : 외곽부
131a : 유도구멍
131b : 받침면
131c : 네크부 수용홈
132 : 지지부
132a : 장착홈
133, 134 : 안내 돌기부
135, 136 : 슬라이드 돌기
140 : 링크 핀
140a : 단부
150 : 제2 캐치부
160 : 제2 내포 블록
161a : 외곽부
161b : 받침면
161c : 네크부 수용홈
161d :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
162 : 지지부
162a : 장착홈
163, 164 : 안내 돌기부
165, 166 : 슬라이드 돌기
167 : 댐퍼 수용홈
168 : 후단 지지부
170 : 장착 커버
200 : 인입부
210 : 가이드부
210a : 내측면
210H : 저면부
210S : 측부
211 : 가이드 구멍
211a : 전후 긴 구멍
211b : 상하 긴 구멍
212 : 장착 구멍
213 : 장착 나사
214 : 연장부
215 : 장착 핀
216 : 장착 구멍
217 : 저부 사각 구멍
218 : 돌기부
219 : 돌기부 절제용 구멍
221 : 댐퍼 유닛(완충부재)
221a : 출력축
221b : 유닛 본체
225 : 인장 스프링 유닛
226 : 인장 스프링(제1 탄성체)
227 : 스프링 받침부
227a : 네크부
230 : 결합돌기
240 : 전측 장착 블록
241 : 상하 관통 구멍
242 : 좌우 관통 구멍
243 : 수평부
250 : 후측 장착 블록
251 : 좌우 관통 구멍
260 : 단차부
261 : 홈부
262 : 절결부
300 : 매달림부
310 : 전측 가이드 롤러부
311 : 하측 돌출부
311a : 장착 구멍
312 : 회전축
320 : 고착 유닛
321 : 조정부
400 : 후측 가이드 롤러부
401 : 장착 커버
401b : 결합 구멍
402 : 회전축

Claims (10)

  1.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한쪽의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각각에 설치된 피포착(被捕捉)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개폐체 중 어느 다른쪽에 장착되어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포착인입기구(捕捉引入機構)를 구비하고,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닫힘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lock)되는 제1 캐치부(catch portion)와,
    열림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2 캐치부와,
    상기 제1 캐치부 및 상기 제2 캐치부를 개폐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캐치부가 닫힘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캐치부를 상기 제2 캐치부 측으로 인입하고, 상기 제2 캐치부가 열림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2 캐치부를 상기 제1 캐치부 측으로 인입하는 제1 탄성체와,
    상기 제1 탄성체가 상기 제1 캐치부 또는 상기 제2 캐치부를 인입하는 힘을 완충하는 완충부재
    를 구비한 개폐체 완충 장치로서,
    상기 제1 캐치부 및 제2 캐치부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押壓)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각각 가지며,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상기 포착부재 및 상기 맞닿음 블록을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에 장착된 링크 핀과, 상기 링크 핀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誘導)구멍을 가지며, 상기 유도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內包)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 블록에는, 상기 링크 핀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맞닿음 블록이 상기 내포 블록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포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포착인입기구가 상기 개폐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에는, 상기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 사이에, 개폐 방향으로 축장(縮長)하는 제2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5.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한쪽의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각각에 설치된 피포착(被捕捉)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개폐체 중 어느 다른쪽에 장착되어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포착인입기구(捕捉引入機構)를 구비하고,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닫힘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lock)되는 제1 캐치부(catch portion)와,
    열림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2 캐치부와,
    상기 제1 캐치부 및 상기 제2 캐치부를 개폐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캐치부가 닫힘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캐치부를 상기 제2 캐치부 측으로 인입하고, 상기 제2 캐치부가 열림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2 캐치부를 상기 제1 캐치부 측으로 인입하는 제1 탄성체와,
    상기 제1 탄성체가 상기 제1 캐치부 또는 상기 제2 캐치부를 인입하는 힘을 완충하는 완충부재
    를 구비한 개폐체 완충 장치로서,
    상기 제1 캐치부 및 제2 캐치부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押壓)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각각 가지며,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탄성체의 밀어붙이는 힘을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포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포착인입기구가 상기 개폐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상기 포착부재 및 상기 맞닿음 블록을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에 장착된 링크 핀과,
    상기 링크 핀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誘導)구멍을 갖고, 상기 유도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內包)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
    으로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 블록에는, 상기 링크 핀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맞닿음 블록이 상기 내포 블록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에는, 상기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 사이에, 개폐 방향으로 축장(縮長)하는 제2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KR1020130017464A 2012-02-22 2013-02-19 개폐체 완충 장치 KR102012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5944 2012-02-22
JP2012035944A JP5982132B2 (ja) 2012-02-22 2012-02-22 開閉体緩衝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657A KR20130096657A (ko) 2013-08-30
KR102012983B1 true KR102012983B1 (ko) 2019-08-21

Family

ID=4921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464A KR102012983B1 (ko) 2012-02-22 2013-02-19 개폐체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82132B2 (ko)
KR (1) KR102012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1128B2 (ja) * 2014-03-11 2018-12-19 株式会社小林製作所 受け部材構造、およびこれを含む引戸
JP5638717B1 (ja) * 2014-06-12 2014-12-10 家研販売株式会社 トリガ装置
JP6512403B2 (ja) * 2015-05-18 2019-05-15 ケージーパルテック株式会社 引戸用緩衝閉鎖装置
JP6455883B2 (ja) * 2015-06-30 2019-01-23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開閉体緩衝装置
KR101632846B1 (ko) * 2015-12-03 2016-06-22 (주)메탈프린스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JP6877710B2 (ja) 2016-09-30 2021-05-26 株式会社Lixil 開閉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301A (ja) 2005-01-24 2006-08-03 Tostem Corp 引戸の引き込み装置
JP2007177611A (ja) 2005-11-30 2007-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引戸装置
JP2010001684A (ja) 2008-06-23 2010-01-07 Jeo Prince Takeshita Kk 扉用アームストッパ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9687B2 (ja) * 2007-11-22 2009-08-26 株式会社シモダイラ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2010112012A (ja) * 2008-11-04 2010-05-20 Nifco Inc 可動体の往動機構
EP2397637A4 (en) * 2009-02-16 2014-03-26 Nifco Inc APPARATUS FOR MOVING MOBILE BODIES
JP5726556B2 (ja) * 2011-02-02 2015-06-03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開閉体閉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301A (ja) 2005-01-24 2006-08-03 Tostem Corp 引戸の引き込み装置
JP2007177611A (ja) 2005-11-30 2007-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引戸装置
JP2010001684A (ja) 2008-06-23 2010-01-07 Jeo Prince Takeshita Kk 扉用アームストッ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657A (ko) 2013-08-30
JP5982132B2 (ja) 2016-08-31
JP2013170415A (ja)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983B1 (ko) 개폐체 완충 장치
JP3125539U (ja) 引出し滑りレール付き自動閉合装置
JP4751607B2 (ja) 自走往動させる機構、引き戸機構、および、引き出し機構
KR101233874B1 (ko) 회동체의 왕동기구
KR101242976B1 (ko) 래치장치
KR20130014557A (ko)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
JP5726556B2 (ja) 開閉体閉止装置
KR20140015444A (ko)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KR101254435B1 (ko) 이동체의 이동장치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20170071843A (ko) 푸쉬 오픈 슬라이드 장치
KR101254436B1 (ko)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JP5889666B2 (ja) 開閉体緩衝装置およびその着脱方法
EP3403530B1 (en) Driving mechanism, pro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applicable to furniture
JP7086033B2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CN210329930U (zh) 一种弹压回拉驱动件及滑轨
KR101387947B1 (ko) 서랍 자동폐쇄장치
KR100833322B1 (ko) 서랍식 저장실의 레일 장치
JP5307769B2 (ja) 自走往動させる機構
JP5035968B2 (ja) 緩衝装置
JP2014231712A (ja) 引戸の引き出し構造
JP3138284U (ja) 緩衝機能付き引戸収納家具
TW200936865A (en) Pull-in mechanism
JP2024113220A (ja) 緩衝装置
JP5726559B2 (ja) 開閉体閉止装置およびその着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