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880B1 -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7880B1 KR101987880B1 KR1020180092220A KR20180092220A KR101987880B1 KR 101987880 B1 KR101987880 B1 KR 101987880B1 KR 1020180092220 A KR1020180092220 A KR 1020180092220A KR 20180092220 A KR20180092220 A KR 20180092220A KR 101987880 B1 KR101987880 B1 KR 1019878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suction
- charcoal
- fan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8—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solely adapted for radiation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후면, 양측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설치되며 상호 연결되는 수직 흡입덕트와 수평 흡입덕트 및 수평 송풍덕트로 이루어지는 순환덕트부, 상기 수평 흡입덕트 내부 또는 수평 흡입덕트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숯통, 상기 순환덕트부의 수직 흡입덕트 상단에 배치되는 흡입팬, 상기 수평 흡입덕트 내에 설치되어 수평 송풍덕트로 연소가스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바디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팬과 송풍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흡입팬과 송풍팬에 동시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메커니즘부, 상기 숯통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 측면으로 연장되어 하부 측면이 개방된 수직상승관, 상기 바디부 내에 수직상승관 위쪽으로 장착되는 불판, 및 상기 바디부 내에 불판 하방으로 배치되는 기름받이통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과 송풍팬을 동작시켜 순환덕트부로부터 수직상승관을 통해 다시 순환덕트부로 순환되는 강제대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듀얼팬을 채용하여 그릴 내부에 마련된 순환덕트에 강제대류를 발생시키고, 숯의 열기를 로켓 스토브 원리에 의해 조리기에 전달하여 높은 열효율로 조리 가능하며, 연기와 냄새 등 연소 가스를 최소화한 새로운 무연숯불구이기를 제안한다.
현대사회의 발전과정에서 야기된 핵가족, 1인가구, 맞벌이가구 등 가족 구성원의 변화는 외식과 서구식 고기 요리 위주의 식생활을 불러왔으며, 고기의 조리 방식은 가스불에 의한 후라이펜 사용, 삶기, 찌기, 숯불에 의한 직화구이 등 다양하다. 그 중에서 직화구이 방식은 인류의 DNA에 가장 오래전부터 기억되어 온 맛으로 고기 특유의 맛과 향을 불향과 함께 잘 살릴 수 있어 가장 선호하는 조리방식이기도 하지만 배출되는 연기와 열기, 냄새, 유분 등 연소가스는 여러 가지 건강, 환경적 악영향을 초래하였다.
고기의 기름이 불에 떨어지고, 그을음이 고기에 달라붙어 다핵방향족탄화수소인 벤조피렌과 헤테로사이클릭아민류와 같은 발암물질이 발생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가스불에서 6.42㎍인데 비해 숯불에서는 20.09㎍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립암센터 발표에 의하면 최근 14년간 국내 여성 폐암 수술환자 중 87.8%가 비흡연여성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폐암의 주원인으로 주방에서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들고 있다.
따라서 숯불에 의한 직화구이의 장점인 불맛은 살리되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최소화하고, 발암물질 억제를 위해 기름이 숯통으로 바로 떨어지지 않는 구조의 숯불구이기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숯불구이기는 대부분 송풍팬 혹은 흡입팬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연소가스를 제어하며 연기나 공기의 순환구조를 이루지 못하고 일방향으로 진행 중 소멸, 혹은 방출되므로 연기나 냄새의 제어에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조리열원이 복사열 방식이며 고기기름이 숯통 방향으로 직하하여 벤조피렌 등 발암물질 방생에 무방비하였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10-1614105호에 따르면, 직화구이장치의 화로대에 인접하여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는 수집챔버를 설치하고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순환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음식점 등의 테이블 위에 설치된 후드를 생략할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고 있을 뿐 조리대상물인 고기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숯으로 하강하여 발암물질이 발생하는 단점은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20-0269946호에 따르면 케이싱 내부에 숯불통을 포함하고 숯불통 상부로 고기구이판이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싱 내부에 공기순환통로를 마련하고 케이싱 하부의 송풍팬으로 공기를 순환시켜 고기구이판 상부의 연기를 케이싱 내부로 순환시키고 필터링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별도의 후드 대신 케이싱 내부의 송풍팬으로 연기를 흡입하기에는 고기구이판으로 상승하는 열기 및 내부 순환통로의 유로 구조로 인하여 한계가 있고, 강력한 송풍팬을 사용하는 경우 연기 뿐만 아니라 열기마저도 흡입되어 조리에 필요한 열효율이 떨어지거나 조리 대상물의 가열을 제대로 통제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가스를 최소화하여 야외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사용 가능한 친환경 무연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가스를 최소화하고, 발암물질 발생 억제를 위해 고기 기름이 숯으로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불판과 열원의 위치를 변화시킨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대상물의 기름이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한편, 내부 청소와 관리가 용이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은 연료 사용으로도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고,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한 무연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 후면, 양측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설치되며 상호 연결되는 수직 흡입덕트와 수평 흡입덕트 및 수평 송풍덕트로 이루어지는 순환덕트부, 상기 수평 흡입덕트 내부 또는 수평 흡입덕트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숯통, 상기 순환덕트부의 수직 흡입덕트 상단에 배치되는 흡입팬, 상기 수평 흡입덕트 내에 설치되어 수평 송풍덕트로 연소가스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바디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팬과 송풍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흡입팬과 송풍팬에 동시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메커니즘부, 상기 숯통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 측면으로 연장되어 하부 측면이 개방된 수직상승관, 상기 바디부 내에 수직상승관 위쪽으로 장착되는 불판, 및 상기 바디부 내에 불판 하방으로 배치되는 기름받이통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과 송풍팬을 동작시켜 순환덕트부로부터 수직상승관을 통해 다시 순환덕트부로 순환되는 강제대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면은 불판 위쪽으로 수직상승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반사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상승관 상단에 결합되며, 돔 형상의 구조물로서 표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름받이통으로 조리 대상물의 기름을 흘려보내는 수직상승관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직상승관의 상단은 상기 숯통과 평면도적으로 다른 위치에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직상승관으로 조리 대상물의 기름이 떨어지더라도 숯통에 직접적으로 기름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면에는 기름받이통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바디부 전면에는 숯통을 장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디부 내에는 순환덕트부와 상기 메커니즘부의 모터 및 동력 전달 수단을 분리하기 위한 중간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 내에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팬에 의한 강제대류 열전달 및 순환사이클이 가능하고 적은 연료로 높은 열효율을 얻고 완전연소를 유도하기 위한 순환 덕트 구조 설계를 통하여 배출 연소가스를 최소화하며, 조리대상물의 기름이 숯통으로 직하하지 않도록 배치 설계하여 발암물질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숯통, 기름받이통 등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연숯불구이기는 누구나 쉽게 야외 및 가정에서 연기, 매연, 기름, 열기, 유분, 암발생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숯불구이를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연 숯불구이기를 모식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바디부를 보인 모식도
도 3은 강제대류 및 순환사이클을 위한 메커니즘부를 보인 모식도
도 4는 강제대류 순환덕트부를 보인 모식도
도 5는 수직상승관 상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순환덕트부의 강제대류 순환유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숯통의 점화 방법을 보인 모식도
도 8은 순환덕트부에서 화기유로 및 조리방식을 보인 모식도
도 9는 기름이 숯통으로 하강하지 않는 조리구조를 보인 모식도
도 10은 수직상승관 덮개를 보인 사시도
도 11a 내지 11c는 기름받이통의 상세 구조
도 12는 숯불구이기의 부품 분리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바디부를 보인 모식도
도 3은 강제대류 및 순환사이클을 위한 메커니즘부를 보인 모식도
도 4는 강제대류 순환덕트부를 보인 모식도
도 5는 수직상승관 상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순환덕트부의 강제대류 순환유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숯통의 점화 방법을 보인 모식도
도 8은 순환덕트부에서 화기유로 및 조리방식을 보인 모식도
도 9는 기름이 숯통으로 하강하지 않는 조리구조를 보인 모식도
도 10은 수직상승관 덮개를 보인 사시도
도 11a 내지 11c는 기름받이통의 상세 구조
도 12는 숯불구이기의 부품 분리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새로운 무연숯불구이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흡입팬과 송풍팬을 포함하는 듀얼팬이 순환덕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듀얼팬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동시 구동시킴으로써 숯의 연소가스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고 재흡입되며, 흡입 후 순환덕트를 거쳐 연소실로 다시 송풍되고 수직상승관을 거쳐 강제대류 되면서 완전 연소에 가까운 연소 방식을 구현한다.
순환식 강제대류열전달을 통해 숯불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 예를 들어 연기, 열기, 냄새, 유분 등을 1차적으로는 완전연소에 의해 차단하고, 2차적으로는 강제대류에 의해 억제함으로써 친환경 헬스 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이 방식이 숯불의 복사열이 아닌 단열 수직상승관을 통해 상승하는 강제 대류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복사열을 이용한 방식에 비해 벤조피렌 등 암발생 물질 생성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고기기름이 수직상승관으로 일부 떨어지더라도 상승열기류에 의해 연소되며, 숯통 위치를 불판 바로 아래에 직접 위치시키지 않고 수직상승관 아래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공간에 배치하므로 기름이 숯에 직접 떨어지지 않는 매우 안전한 조리 구조일 뿐만 아니라, 조리 시 기름이 수직상승관으로 떨어지지 않고 기름받이통으로 흘러내리도록 부가적으로 슬롯 구조의 수직상승관 덮개를 채용하여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숯불구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순환덕트와 연동한 단열 수직상승관을 설계하여 로켓스토브 원리에 의해 적은 연료로도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름받이통, 숯불통, 수직상승관 덮개 등을 본체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숯불구이기의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하고,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무연숯불구이기의 구조 및 기능, 동작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연 숯불구이기를 모식적으로 보인 사시도로서, 내부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강판 등으로 구성된 바디부, 강제대류를 발생시키는 동력 장치로서 배터리, 모터, 샤프트, 듀얼팬, 벨트 등으로 구성된 메커니즘부, 숯통과 단열 상승관을 포함하며 흡입 및 송풍을 통한 강제대류 순환덕트부, 기름 하강을 저지하는 수직상승관 덮개, 기름받이판, 불판, 반사대류 열전달을 위한 상부 반사판으로 구성된 조리부 등이 포함된다.
도 2는 메커니즘부, 순환덕트부, 조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바디부를 보인 것으로, 전면판(1), 후면판(2), 좌측판(3), 우측판(4), 하부판(7)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의 바디 프레임이 마련된다.
바디부 내부에는 메카니즘부가 위치하는 공간을 순환덕트부 및 조리부와 분리하도록 격벽에 해당하는 중간판(8)이 설치되어 있고, 바디부 상부는 우측에 메커니즘부를 커버하는 상부우측판(6)이 마련되고 순환덕트부와 수직상승부 위쪽으로 상부반사판(5)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반사판은 흡입팬으로 연소가스가 전달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반사대류 열전달에 의한 불판에 놓인 조리대상물의 상부면이 조리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로 인하여 고기 수분의 증발이 억제되고, 고기의 상하면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바디부 상부 전방은 개방되어 있으며, 이 부분을 통해 기름받이통과 불판이 장착될 수 있다. 바디부의 좌측판과 중간판 내면에는 적절한 위치에 기름받이통 가이드(9)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좌측판과 중간판 외부면에는 장치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1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판에는 개방부(1a)가 마련되며, 이 곳을 통해 숯통을 장입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도 3은 리튬이온 배터리, 모터, 샤프트, 흡입, 송풍 듀얼팬, 벨트 및 풀리 등을 포함하는 메커니즘부를 보이고 있다.
흡입팬(15)과 송풍팬(17)이 후술하는 순환덕트의 양단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흡입팬의 일단에는 모터(13)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송풍팬의 일단에는 타이밍벨트(16)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이 함께 전달된다. 모터 구동축은 커플링(14)에 의해 지지되며, 커플링의 일단은 후면판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듀얼팬에 동시에 모터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벨트와 풀리에 의한 회전력 전달 이외에도 각종 기어 등을 사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중간판(8)을 경계로 흡입팬과 송풍팬이 한 쪽에, 모터 및 구동력 전달용 타이밍 벨트 등이 다른 한 쪽에 배치되어 듀얼팬에 의한 순환덕트부와 모터 구동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모터는 실내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배터리(12)가 더 내장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리튬이온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으며, 모터의 동작은 바디부 외면에 노출되는 토글 스위치(11)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흡입팬은 샤프트를 포함하며, 커플링을 통해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고, 예를 들어 시계방향 회전으로 (수직상승관을 통해 전달되는) 연소 가스를 흡입한다. 타이밍벨트 및 풀리를 통해 흡입팬 축의 회전을 전달 받은 송풍팬은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숯통으로 연소가스와 새로운 공기 혼합기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숯통, 로켓스토브 원리의 단열 수직상승관, 흡입팬 및 송풍팬을 포함하는 듀얼팬을 통해 강제대류를 발생시키는 순환덕트부를 도시하고 있다.
수직 흡입덕트(20)와 수평 흡입덕트(21)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연소가스 유로를 형성하며, 수직 흡입덕트 입구에는 흡입팬(15)이 배치되고 수평 흡입덕트 출구쪽에는 송풍팬(17)이 배치된다. 수평 흡입덕트의 출구쪽에 연결되어 수평 송풍덕트(22)가 배치되고, 수평 송풍덕트에 인접하여 숯통(23)이 배치된다. 숯통은 수평 송풍덕트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수평 흡입덕트 출구쪽 상면과 수평 송풍덕트 하면에는 연소 가스 등이 흐르도록 다수의 통기공 등의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숯통의 양측면에도 연소 가스 등이 흐르도록 다수의 통기공 등의 유로가 형성된다.
숯통의 일측면은 수평 송풍덕트와 접하거나 수평 송풍덕트 내부에 마련되며, 다른 일측면은 수직상승관(25)의 하부 측단이 접하게 된다. 수직상승관은 하방 측부로부터 수직 상부로 꺽인 구조물로서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숯통에서 발생한 열기를 하부 측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전달하며, 로켓스토브 원리에 의해 숯통의 열기를 높은 열효율로 상승시킨다.
흡입팬의 회전으로 연소가스가 흡입되어 수직 흡입덕트와 수평 흡입덕트로 전달되며, 송풍팬은 흡입팬으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와 새로운 공기 혼합기체를 수평 송풍덕트를 거쳐 숯통(23)으로 송풍하게 된다.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된 혼합기체는 숯통(23)을 통과하여 수직 상승관(25)으로 전달된다. 수직상승관은 세장비가 큰 수직 상승기류관으로 송풍팬에서 유출된 혼합기체와 숯에 의한 열기로 형성된 완전연소 대류 열에너지를 불판으로 전달하게 되는데, 불판의 조리 대상물이 익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는 상부반사판(5)을 거쳐 다시 흡입팬으로 흡입되는 순환사이클 형성하게 된다.
수직상승관의 외부에는 수직상승관 커버(24)가 장착되고, 수직상승관 커버와 그 내부의 수직 상승관 사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라믹페이퍼(26)와 펄라이트(27) 등의 단열재를 채워 넣어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키며, 이로 인하여 적은 연료로도 높은 화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순환덕트부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순환덕트와 숯통, 수직상승관을 통해 강제대류 유로가 마련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유로를 통해 연소가스(30)가 순환되며, 흡입팬과 송풍팬을 통해 강제적인 순환사이클이 유지된다. 강제대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팬(15)를 통과한 연소가스(냄새, 연기, 열기 등)가 수직 흡입덕트(20)와 수평흡입덕트(21)를 거쳐 송풍팬(17)으로 유출된 후 숯통(23)으로 송풍되고, 수직 상승관(25)을 타고 상승기류를 만들면서 완전연소된 후 불판(28)과 상부반사판(5)을 거쳐 다시 흡입팬(15)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강제대류를 통해 불판에서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에 직접적인 복사열이 가해지지 않으면서도 대류열에 의한 조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연소 가스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듀얼팬 가동 상태에서 숯통 상판 개방 후 토치 등으로 점화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에서 점화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숯통(23)을 수평 송풍덕트(22)와 함께 본체에서 탈착 후 착화제와 숯(23a)을 충전하고, 숯통을 다시 삽입한다. 그 다음 모터를 구동하여 흡입팬과 송풍팬을 동작시키고 순환덕트 내에 강제 대류를 발생시킨다. 이 상태에서 숯통 상판을 열고 토치 등으로 숯을 점화시키면, 연소 가스는 수직상승관으로 전달되며, 순환덕트와 듀얼팬 작동으로 만들어지는 강제대류에 의해 연기 발생이 최소화된다.
도 8은 점화된 숯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 등 화기의 유동을 보인 것으로, 흡입덕트와 송풍덕트, 숯통, 수직 상승관에 의해 만들어지는 순환덕트 내부에서의 강제대류 흐름과 유사하게 숯통과 수직상승관을 거쳐 불판에 이르는 화기 유로, 즉 대류열전달 경로(31)가 형성된다. 이 화기의 흐름에 의한 대류열로 불판 위의 조리 대상물이 가열되어 조리된다. 또한, 상부반사판(5)에 의한 반사대류 열전달(32)로 조리 대상물의 상부면이 효과적으로 조리되어, 조리 대상물이 골고루 잘 익으면서 타지 않고 수분 유지가 가능하다.
수직상승관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반사판(5)의 하면과 숯통(23)을 수납하는 수평 송풍덕트(22) 외부면에는 예를 들어 세라믹페이퍼(26a) 등의 단열재를 장착하여 고온의 열기로 인한 사용자의 화상이나 장치 내 부품들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강제대류에 의해 연기발생을 최소화하는 것과 더불어, 조리 대상물 가열 시 발생될 수 있는 기름이 수직상승관 등 열발생 및 전달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최적의 조리 구조를 제공한다.
수직상승관 위쪽의 불판에서 조리 대상물이 조리되는 경우, 조리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기름은 수직상승관으로 하강하게 된다. 기존의 숯불구이기는 대부분 숯으로 기름이 바로 하강한 후 재연소에 의한 벤조피렌 등 발암물질을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을 수납하는 숯통이 수직상승관의 수직부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기름과 숯이 직접 접촉되지 않으며, 따라서 기름이 수직상승관으로 하강하더라도 재연소에 의한 발암물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 대상물의 기름이 숯통으로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수직상승관 덮개(25a)를 더 채용한다. 수직상승관 덮개는 수직상승관(25) 및 수직상승관 커버(24)의 상부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으며, 조리 대상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수직상승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도 11a 내지 11c는 수직상승관 덮개(25a)와 연동하여 장착되는 기름받이통(34)의 상세 구조를 보인 것이다. 기름받이통의 후단은 수직상승관의 상단에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며, 이 만입된 부분에 수직상승관 덮개가 위치하게 된다(도 11a). 수직상승관 덮개는 돔 형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도 11b), 돌출부 표면에는 측방향으로 타공된 다수의 슬롯(25b)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상승관에서 유출되는 대류열은 수직상승관 덮개의 슬롯을 통해 상방향으로 통과되어 조리 대상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반면, 조리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기름은 수직상승관 덮개로 인하여 수직상승관 내부로 하강하지 않으며,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름(33)이 돔 형상의 돌출부 표면을 따라 기름받이통(34)으로 흘러내려 수집된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조리 대상물의 가열 후 청소가 용이하도록 장치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2는 본체(바디부)로부터 각 구성 부품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수직상승관으로부터 수직상승관 덮개(25a)를 분리할 수 있고, 본체 개방부에 거치 상태로 놓여진 불판(28) 역시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기름받이통(34)은 가이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빼낼 수 있다. 또한, 숯통(23)은 수평 송풍덕트 내에 일체화된 용기 형태로 제작하여 전면판의 개방부를 통해 바깥으로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 대상물의 가열과 관련된 각 부품들의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연소된 숯이나, 조리 대상물로부터 발생된 기름 등을 쉽게 청소할 수 있고, 숯불구이기를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연숯불구이기는 가정용은 물론이고 각종 음식 관련 업소나 학교 또는 공공기관의 대형 식당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숯불 구이에 대한 안전하고 청결한 음식 트렌드를 만들어가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 전면판 2: 후면판
3: 좌측판 4: 우측판
5: 상부반사판 6: 상부우측판
7: 하부판 8: 중간판
9: 기름받이통 가이드 10: 이동 손잡이
11: 토글 스위치 12: 배터리
13: 모터 14: 커플링
15: 흡입팬 16: 벨트
17: 송풍팬 20: 수직 흡입덕트
21: 수평 흡입덕트 22: 수평 송풍덕트
23: 숯통 24: 수직 상승관 커버
25: 수직 상승관 26: 세라믹페이퍼
27: 펄라이트 28: 불판
29: 공기순환 슬롯 30: 연소가스
31: 대류열전달 경로 32: 반사대류열전달 경로
33: 기름 34: 기름받이통
3: 좌측판 4: 우측판
5: 상부반사판 6: 상부우측판
7: 하부판 8: 중간판
9: 기름받이통 가이드 10: 이동 손잡이
11: 토글 스위치 12: 배터리
13: 모터 14: 커플링
15: 흡입팬 16: 벨트
17: 송풍팬 20: 수직 흡입덕트
21: 수평 흡입덕트 22: 수평 송풍덕트
23: 숯통 24: 수직 상승관 커버
25: 수직 상승관 26: 세라믹페이퍼
27: 펄라이트 28: 불판
29: 공기순환 슬롯 30: 연소가스
31: 대류열전달 경로 32: 반사대류열전달 경로
33: 기름 34: 기름받이통
Claims (4)
- 전면, 후면, 양측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설치되며, 상호 연결되는 수직 흡입덕트와 수평 흡입덕트 및 수평 송풍덕트로 이루어지는 순환덕트부,
상기 수평 흡입덕트 내부 또는 수평 흡입덕트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숯통,
상기 순환덕트부의 수직 흡입덕트 상단에 배치되는 흡입팬,
상기 수평 흡입덕트 내에 설치되어 수평 송풍덕트로 연소가스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바디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팬과 송풍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흡입팬과 송풍팬에 동시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메커니즘부,
상기 숯통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 측면으로 연장되어 하부 측면이 개방된 수직상승관,
상기 바디부 내에 수직상승관 위쪽으로 장착되는 불판, 및
상기 바디부 내에 불판 하방으로 배치되는 기름받이통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과 송풍팬을 동작시켜 순환덕트부로부터 수직상승관을 통해 다시 순환덕트부로 순환되는 강제대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면은 불판 위쪽으로 수직상승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반사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상승관 상단에 결합되며, 돔 형상의 구조물로서 표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름받이통으로 조리 대상물의 기름을 흘려보내는 수직상승관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면에는 기름받이통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바디부 전면에는 숯통을 장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220A KR101987880B1 (ko) | 2018-08-08 | 2018-08-08 |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220A KR101987880B1 (ko) | 2018-08-08 | 2018-08-08 |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7880B1 true KR101987880B1 (ko) | 2019-06-11 |
Family
ID=6684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2220A KR101987880B1 (ko) | 2018-08-08 | 2018-08-08 |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788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2885B1 (ko) | 2020-01-31 | 2021-03-25 | 유동덕 | 대류열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장치 |
KR102235285B1 (ko) * | 2020-02-21 | 2021-04-01 | 정기호 | 복합 가스 구이기용 숯불 발화장치 |
EP4000481A1 (en) * | 2020-11-03 | 2022-05-25 | Dansons US, LLC | Longitudinal burn pot assembly and improved air flow system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35779A (ja) * | 1995-11-16 | 1997-05-27 | Y M Corp:Kk | 無煙加熱調理器 |
KR200264398Y1 (ko) * | 2001-11-12 | 2002-02-19 | 권태균 | 고기구이기의 연기 흡입장치 |
KR20050010478A (ko) * | 2003-07-18 | 2005-01-27 | 이익로 | 숯불오븐 |
KR200421022Y1 (ko) * | 2006-02-13 | 2006-07-07 | 엄완영 | 고기구이장치 |
KR20070008879A (ko) * | 2005-07-12 | 2007-01-18 | 전봉진 | 도어를 통하여 방출되는 연기의 제거수단을 갖는 스탠드형구이장치 |
KR100959121B1 (ko) * | 2008-02-20 | 2010-05-25 | 김영환 | 오븐타입바베큐장치 |
JP2016140615A (ja) * | 2015-02-03 | 2016-08-08 | 株式会社アイホー | 加熱調理装置 |
-
2018
- 2018-08-08 KR KR1020180092220A patent/KR1019878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35779A (ja) * | 1995-11-16 | 1997-05-27 | Y M Corp:Kk | 無煙加熱調理器 |
KR200264398Y1 (ko) * | 2001-11-12 | 2002-02-19 | 권태균 | 고기구이기의 연기 흡입장치 |
KR20050010478A (ko) * | 2003-07-18 | 2005-01-27 | 이익로 | 숯불오븐 |
KR20070008879A (ko) * | 2005-07-12 | 2007-01-18 | 전봉진 | 도어를 통하여 방출되는 연기의 제거수단을 갖는 스탠드형구이장치 |
KR200421022Y1 (ko) * | 2006-02-13 | 2006-07-07 | 엄완영 | 고기구이장치 |
KR100959121B1 (ko) * | 2008-02-20 | 2010-05-25 | 김영환 | 오븐타입바베큐장치 |
JP2016140615A (ja) * | 2015-02-03 | 2016-08-08 | 株式会社アイホー | 加熱調理装置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2885B1 (ko) | 2020-01-31 | 2021-03-25 | 유동덕 | 대류열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장치 |
KR102235285B1 (ko) * | 2020-02-21 | 2021-04-01 | 정기호 | 복합 가스 구이기용 숯불 발화장치 |
EP4000481A1 (en) * | 2020-11-03 | 2022-05-25 | Dansons US, LLC | Longitudinal burn pot assembly and improved air flow system |
US11767980B2 (en) | 2020-11-03 | 2023-09-26 | Dansons Us, Llc | Longitudinal burn pot assembly and improved air flow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6683B1 (ko) | 연도를 이용한 구이기 | |
KR101987880B1 (ko) |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 |
KR101607990B1 (ko) | 측면직화구이장치 | |
KR101721368B1 (ko) |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 |
KR101010264B1 (ko) | 구이용 조리기구 | |
KR20190132597A (ko) | 다용도 화로 | |
KR101852716B1 (ko) |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 |
KR101721805B1 (ko) |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 |
EP1312293B1 (en) | Domestic oven for barbecuing | |
KR100881211B1 (ko) | 고기 구이기 | |
KR101425896B1 (ko) | 조립체로 된 훈연 오븐 | |
KR100794233B1 (ko) | 직화구이기 | |
KR100870582B1 (ko) |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 |
KR20120028172A (ko) | 세라콜이 설치된 구이용 로스터 | |
KR20110060131A (ko) | 세라콜이 설치된 가스 및 숯불겸용 로스터 | |
KR20040107460A (ko) | 숯불구이장치 | |
KR102335948B1 (ko) | 초벌구이장치 | |
KR20190087332A (ko) |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 |
KR102224413B1 (ko) | 회전식 고기 구이기 | |
KR101721369B1 (ko) | 보조요리를 겸하는 구이 화덕 | |
KR101073882B1 (ko) | 훈제식 고기 구이기 | |
KR20050041664A (ko) | 고기 구이장치 | |
KR100644973B1 (ko) |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 |
KR200179567Y1 (ko) |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 |
KR200339468Y1 (ko) | 식탁용 고기 구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